KR20140132181A - 미세조류 수거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181A
KR20140132181A KR20130051367A KR20130051367A KR20140132181A KR 20140132181 A KR20140132181 A KR 20140132181A KR 20130051367 A KR20130051367 A KR 20130051367A KR 20130051367 A KR20130051367 A KR 20130051367A KR 20140132181 A KR20140132181 A KR 2014013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water tank
roller
micro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제
백현준
Original Assignee
손경제
백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제, 백현준 filed Critical 손경제
Priority to KR2013005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181A/ko
Publication of KR2014013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8Open ponds; Greenhouse type or underground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3/00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 C12M33/14Means for introduction, transport, positioning, extraction, harvesting, peeling or sampling of biological material in or from the apparatus with filters, sieves or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 culture medium; Concentration of 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담수 또는 해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되,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로울러와, 상기 회전로울러의 회전축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바아와, 상기 수평바아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본체에 보관된 담수 또는 해수에 침수되어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그물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의 간단한 구조로 미세조류의 배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배양된 미세조류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세조류 수거장치{COLECTING DEVICE FOR CULTIVATING MICROALGE}
본 발명은 미세조류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미세조류를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양된 미세조류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는 미세조류 수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조류는 광합성 색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생물들을 통칭한다.미세조류는 에너지 및 산업소재 생산, 온실가스 저감이 가능한 자원이므로 미래의 청정 에너지 및 산업소재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미세조류는 고갈 및 지구온난화 문제가 있는 석유, 석탄, 화석연료 자원, 원자력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의 연구진행 대안으로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미세조류는 운송용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유일한 에너지 자원이자 우리나라에서도 생산할 수 있는 자원이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미세조류를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량 생산이 요구되며, 미세조류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어떤 환경 속에서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것이 향후 미세조류의 경제성 및 생산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은 국내등록특허 제10-1226627호(2013.01.21)"미세조류 배양장치"가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미세조류 배양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로 인해 초기 많은 설비투자를 요구할 뿐 아니라 미세조류의 대량 생산이 어려운 구조이므로 경제성 및 생산성이 중요한 미세조류 대량 배양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의 간단한 구조로 미세조류의 배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배양된 미세조류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는 미세조류 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담수 또는 해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되,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로울러와, 상기 회전로울러의 회전축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바아와, 상기 수평바아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본체에 보관된 담수 또는 해수에 침수되어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그물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로울러와 연결바아를 매개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보조결합홈이 형성되는 보조로울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바아는, 상기 회전로울러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로울러가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수평바아와 상기 그물망이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에는 상기 그물망에서 탈락되는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수거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는,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담수 또는 해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회전로울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로울러와 연결바아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보조로울러와, 상기 연결바아를 연결하는 수평바아와, 상기 수평바아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본체에 보관된 담수 또는 해수에 침수되어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그물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로울러와 상기 보조로울러의 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로울러와 상기 보조로울러는, 내측면이 상기 수조본체의 외측면에 맞닿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맞닿아 회전되는 롤러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수조본체에 설치되는 보강바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바아는, 상기 수조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테두리 보강바아와, 상기 수조본체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벽 보강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입수구 및 배수구와, 상기 수조본체에 수용된 담수 또는 해수가 순환되도록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비용의 간단한 구조로 미세조류의 배양이 가능할 뿐 아니라 배양된 미세조류를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그물망에 붙어있는 미세조류를 수거함으로 수거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본체와 회전로울러 및 그물망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본체 내부의 흐름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본체의 측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본체와 보조로울러 및 그물망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그물망에 붙어있는 미세조류를 수거함으로 수거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그물망에 붙어있는 미세조류를 수거함으로 수거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와 회전로울러 및 그물망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 내부의 흐름을 보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의 측면을 보인 도면인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는, 수조본체(10), 회전로울러(20), 수평바아(30) 및 그물망(40)이 포함된다.
먼저, 수조본체(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조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가 개구됨으로 인하여 내부에는 수용부(16)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수용부(16)에는 담수 또는 해수가 수용되어 미세조류가 배양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용부(16)의 내부에는 미세조류의 생장이 촉진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15)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교반기(15)는 수조본체에 수용된 담수 또는 해수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수조본체(10)는 높이 1.5m, 폭 2.5m, 길이 10m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수조본체(10)의 높이, 폭, 길이는 수조본체(10)의 크기를 작업자가 관리 가능한 크기로 제작하여 과도한 부영양화를 방지하고 불순물 유입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수조본체(10)의 크기는 작은 부지 면적을 차지하면서도 많은 미세조류를 배양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수조본체(10)의 크기는 하나의 교반기(15)만 사용하여 교반 효율을 높이고 배양된 미세조류의 채취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수조본체(10)의 높이, 폭, 길이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0.5m 범위 내에서 일부 조정 가능하다.
수조본체(10)는 인체에 무해한 경질의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조본체에서 배양되는 미세조류는 화석 연료 대체 외에도 화장품, 의약품에 활용하는 등 용도가 다양하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된 수조본체(10)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수조본체(10)는 강도 확보를 위해 경질인 폴리프로필렌(PP)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과 유사한 다른 플라스틱 재료도 제작 가능하다.
수조본체(10)에 공급되는 담수 또는 해수(이하, 물이라 칭함)는 수조본체(10)의 높이 1.5m를 기준으로 1.4m±0.5m 범위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본체(10)에 수용되는 물의 높이는 인력으로 미세조류를 충분히 추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공사비를 절감하고 부지 사용 면적도 최소화한다.
수조본체(10)는 교반기(15) 작동시 내부에 수용된 담수 또는 해수가 원활히 순환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조류는 바다에서 자라는 해조류와 염분이 없는 담수에서 자라는 담수조류로 구분되므로 배양하고자하는 미세조류의 종류에 따라 수조본체(10)에 담수 또는 해수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조본체(10)의 일측면에는 수조본체(10)의 내부로 담수 또는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입수구(11)와, 수조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된 담수 또는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2)가 형성되는데, 도 2,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구(11)는 수조본체(10) 일측면의 상부에, 배수구(12)는 수조본체(10) 일측면의 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수구(11)와 배수구(12)에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입수관과 배수관이 연결되어 담수 또는 해수의 공급과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상기 수조본체(10)의 테두리와 외벽에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본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테두리 보강바아(13)와 외벽 보강바아(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두리 보강바아(13)는 후수할 미세조류 추출시 회전로울러(20)가 수조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수조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수조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보강판 또는 금속판 등을 덧대어 보강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벽 보강바아(14)는 수조본체(10)에 수용되는 물의 수압으로 인해 수조본체(10)가 터지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이 방지되도록 수조본체(10)의 외벽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내벽에 부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외벽 보강바아(14)는 수조본체(10)의 외벽 또는 내벽에 격자형, 사각형, 직선형 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수조본체(10)와 동일한 재질 또는 금속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본체(10)의 내부에는 물순환을 위한 교반기(15)가 배치되는데, 이러한 교반기(15)는 수조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담수 또는 해수를 순환시켜 미세조류가 침전됨으로 인하여 활동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교반기(15)는 미세조류 배양시에는 수조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미세조류의 배양 후에는 미세조류의 추출을 위해 수조본체(10)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교반기(15)의 케이스는 도시되지 않은 인양수단과 연결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기(15)는 수중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수조본체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며, 여기서 상기 수중모터는 수중에서 작동되도록 방수처리된 모터이다.
교반기(15)는 수조본체(10) 내부에 수용된 물의 평균 유속이 0.1m/sec~0.3m/sec가 되도록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유속은 0.1m/sec 미만으로 느리면 미세조류가 침전되어 생장 촉진 효과가 없고 0.3m/sec를 초과하면 그 효과가 포화되거나 미세조류 생장 촉진 효과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교반기 대신 브로어를 사용할 수 있는데, 브로어는 물 또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장치이며, 수조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브로어는 다수의 수조본체(10)에 튜브를 매개로 각각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로울러(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회전로울러(20)는 상술한 수조본체(10)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수조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정확하게는 수조본체(10)의 상부가 개구됨에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에 결합되어 수조본체(10)의 상부에서 이동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로울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본체(10) 상부의 테두리 보강바아(13)와 수조본체(10)의 테두리에 걸쳐 결합되도록 결합홈(23)이 구비되는데, 이와 반대로 테두리 보강바아(13)에 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홈에 회전로울러(20)가 끼워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 보강바아(13)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울러(20)와 일렬로 배치되는 보조로울러(2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보조로울러(21)는 회전로울러(20)와 연결바아(22)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로울러(20)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로울러(21)는 회전로울러(20)와 동일한 형상 및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조로울러(21)에 의해 회전로울러(20)는 수조본체(10)의 테두리 보강바아(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로울러(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보조로울러(21)에는 테두리 보강바아(13) 및 수조본체(10)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결합홈(2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체로 "H"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다음으로, 수평바아(30)와 그물망(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평바아(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한 쌍의 회전로울러(20)가 테두리 보강바아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시에 회전 및 이동되도록 회전로울러(20)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수평바아(30)는 그물망(4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회전로울러(20)의 회전축을 관통한다.
또한, 상기 그물망(40)은 수조본체(10)에서 배양된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그물망(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된 사각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미세조류를 수거할 수 있다면 연속된 마름모형상 등으로 제작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로울러(20)의 회전축을 관통한 수평바아(30)의 양측 단부에는 연장부(3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장부(31)에는 상술한 회전로울러(20)가 수조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3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32)는 수조본체(10)의 상부를 따라 일측 끝까지 이동된 그물망(40)을 회전시켜 수조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된 수거함(50)에 미세조류를 탈락시켜 미세조류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32)는 미세조류를 수거한 후, 그물망(40)에 충격을 가하여 그물망(40)에 붙어있는 미세조류를 수거함(50)으로 탈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조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입수구(11)를 통해 담수 또는 해수를 수용부(16)에 채운다.
이후, 수조본체(10)를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위치시켜 일정시간 동안 미세조류를 생장시키는데, 생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조본체(10)의 내부에 교반기(15)를 배치하여 담수 또는 해수를 잘 혼합되도록 한다.
이후, 미세조류의 생장이 완료되면, 교반기(15)를 수조본체(10)의 외부로 인출하고, 그물망(40)을 수조본체(10)의 수용부(16)에 침수시킨다.
이때, 한 쌍의 회전로울러(20)와 이 회전로울러(20)에 각각 연결바아(22)를 매개로 연결된 보조로울러(21)를 수조본체(10)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하면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조류를 수거할 수 있는 초기상태가 된다.
이후, 작업자는 손잡이(32)를 잡아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가 수조본체(10)의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되도록 하며,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가 수조본체(10)의 일측 끝까지 이동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그물망(40)에는 미세조류가 붙게 된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2)를 잡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바아(30)와, 침수되어 있던 그물망(40)을 상부로 회전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그물망(40)에 충격을 가하여 그물망(40)에 걸려있는 미세조류를 수거함(50)으로 탈락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손잡이(3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그물망(40)을 다시 수조본체(10)의 내부에 침수되도록 하며,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는 수조본체(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면서 미세조류를 수거한다.
상기와 같이 담수 또는 해수 속에 있는 미세조류의 수거가 완료된 후, 담수 또는 해수를 교체할 경우, 수조본체(10)에 수용된 담수 또는 해수를 배수구(12)를 통해 배출한 후, 입수구(11)를 통해 새로운 담수 또는 해수를 수조본체(10)의 내부에 채울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수조본체(10), 수거함(50), 수평바아(30), 그물망(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사시도,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평면도,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의 수조본체와 보조로울러 및 그물망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는, 수조본체, 한 쌍의 회전로울러, 한 쌍의 보조로울러, 수평바아, 그물망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가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의 외측에는 손잡이(32, 32')가, 내측에는 연결바아(22)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바아(22)는 상기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를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는 연결바아(22)에 의해 수조본체(10)의 상부테두리에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체로 "T"자 형상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는 내측면이 수조본체(10)의 상부 테두리 외측과 맞닿아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지름을 갖는 지지부(25)와, 상기 지지부(25)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상부 테두리와 맞닿아 회전되는 롤러부(26)가 포함된다.
또한, 회전로울러(20)의 롤러부(25)와 보조로울러(21)의 롤러부(25)는 연결바아(22)를 매개로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로울러(20)의 롤러부(25), 연결바아(22), 보조로울러(21)의 롤러부(25)는 대체로 "ㄷ"자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연결바아(22)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아(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수평바아(30)는 일측 연결바아(22)와 타측 연결바아(22)를 수평하게 연결하여 수조본체(10)의 상부 테두리에서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류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수조본체(1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입수구(11)를 통해 담수 또는 해수를 수용부(16)에 채운다.
이후, 수조본체(10)를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위치시켜 일정시간 동안 미세조류를 생장시키는데, 생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조본체(10)의 내부에 교반기(15)를 배치하여 담수 또는 해수를 잘 혼합되도록 한다.
이후, 미세조류의 생장이 완료되면, 교반기(15)를 수조본체(10)의 외부로 인출하고, 그물망(40)을 수조본체(10)의 수용부(16)에 침수시킨다.
이때, 한 쌍의 회전로울러(20)와 연결바아(22)를 매개로 연결된 보조로울러(21)를 수조본체(10)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의 손잡이(32, 32')를 잡고 밀면서 수조본체(10)의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그물망(40)에는 미세조류가 붙게 된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40)이 수조본체의 일측에 접근하면, 보조로울러(21)의 손잡이(32')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평바아(30)와, 침수되어 있던 그물망(40)을 수조본체(10)의 외부로 꺼내는데, 이때, 보조로울러(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수조본체(10)의 상부 테두리에서 이탈된다.
이후, 작업자는 보조로울러(21)가 수조본체(10)의 상부 테두리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회전로울러(20)를 일측 끝부분까지 이동시키는데, 수조본체(10)의 폭방향의 상부 테두리 내측면은 회전로울러(20)의 스톱퍼 역할을 한다.
이후, 작업자는 회전로울러(20)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보조로울러(21), 수평바아(30), 그물망(40)을 낙하시켜 충격을 가하는데, 상기 보조로울러(21), 수평바아(22), 그물망(40)은 반시계 방향으로 낙하되면서 수조본체(10)의 폭방향의 외측면에 보조로울러(21)가 부딪히므로 그물망(40)에 걸려있는 미세조류를 수거함(50)으로 탈락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보조로울러(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회전로울러(20)를 수조본체(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다가 보조로울러(2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수조본체(10)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시킨다.
이에 따라, 그물망(40)은 수조본체(10)의 내부로 침수되고, 회전로울러(20)와 보조로울러(21)의 손잡이(32, 32')를 밀어(또는 잡아당겨) 그물망(40)을 수조본체(10)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서 미세조류를 수거한다.
상기와 같이 담수 또는 해수 속에 있는 미세조류의 수거가 완료된 후, 담수 또는 해수를 교체할 경우, 수조본체(10)에 수용된 담수 또는 해수를 배수구(12)를 통해 배출한 후, 입수구(11)를 통해 새로운 담수 또는 해수를 수조본체(10)의 내부에 채울 수 있을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수조본체 11-입수구
12-배수구 13-테두리 보강바아
14-외벽 보강바아 15-교반기
16-수용부
20-회전로울러 21-보조로울러
22-연결바아 23-결합홈
24-보조결합홈 25-지지부
26-롤러부
30-수평바아 31-연장부
32-손잡이
40-그물망
50-수거함

Claims (10)

  1.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담수 또는 해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되,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로울러와,
    상기 회전로울러의 회전축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바아와,
    상기 수평바아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본체에 보관된 담수 또는 해수에 침수되어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그물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2.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담수 또는 해수가 수용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한 쌍의 회전로울러와,
    상기 한 쌍의 회전로울러와 연결바아를 매개로 각각 연결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보조로울러와,
    상기 연결바아를 연결하는 수평바아와,
    상기 수평바아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본체에 보관된 담수 또는 해수에 침수되어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그물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조본체에 설치되는 보강바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바아는,
    상기 수조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설치되는 테두리 보강바아와,
    상기 수조본체의 외벽에 설치되는 외벽 보강바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조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입수구 및 배수구와,
    상기 수조본체에 수용된 담수 또는 해수가 순환되도록 상기 수조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울러와 연결바아를 매개로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보조결합홈이 형성되는 보조로울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아는,
    상기 회전로울러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로울러가 상기 수조본체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수평바아와 상기 그물망이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조본체에는 상기 그물망에서 탈락되는 미세조류를 수거하는 수거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울러와 상기 보조로울러의 외측에 설치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울러와 상기 보조로울러는,
    내측면이 상기 수조본체의 외측면에 맞닿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조본체의 상부 테두리에 맞닿아 회전되는 롤러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조류 수거장치.
KR20130051367A 2013-05-07 2013-05-07 미세조류 수거장치 KR20140132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367A KR20140132181A (ko) 2013-05-07 2013-05-07 미세조류 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1367A KR20140132181A (ko) 2013-05-07 2013-05-07 미세조류 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81A true KR20140132181A (ko) 2014-11-17

Family

ID=5245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1367A KR20140132181A (ko) 2013-05-07 2013-05-07 미세조류 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21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0051B1 (no) * 2014-07-08 2017-03-06 Biosystems As Bioreaktor for produksjon og innhøsting av mikroalger
KR20200077684A (ko) * 2018-12-20 2020-07-01 씨이비티 주식회사 유동 제어형 연속식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배양방법
CN113583805A (zh) * 2021-08-03 2021-11-02 鄂尔多斯市琢成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螺旋藻立体培养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40051B1 (no) * 2014-07-08 2017-03-06 Biosystems As Bioreaktor for produksjon og innhøsting av mikroalger
KR20200077684A (ko) * 2018-12-20 2020-07-01 씨이비티 주식회사 유동 제어형 연속식 미세조류 배양장치 및 배양방법
CN113583805A (zh) * 2021-08-03 2021-11-02 鄂尔多斯市琢成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螺旋藻立体培养系统
CN113583805B (zh) * 2021-08-03 2023-12-22 鄂尔多斯市琢成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螺旋藻立体培养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50191A1 (en) Photobioreactor for mass culturing of photosynthetic microorganism
CN204146168U (zh) 智能养殖集装箱及智能养殖集装箱组合建筑
KR20140132181A (ko) 미세조류 수거장치
US201602516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pulse flow circulation for algae cultivation
WO2014026851A1 (de) Photobioreaktor zur kultivierung von phototrophen organismen
JP2012213351A (ja) 海藻類の陸上養殖装置、および海藻類の陸上養殖方法
CN207885493U (zh) 一种新型绿色水产养殖水处理系统
WO2015002229A1 (ja) 微生物濃縮器
US10174282B2 (en) Method for mass culturing photosynthetic microalgae by additionally supplying environmental water
CN202246258U (zh) 湖泊生态净化岛
CN206024485U (zh) 一种浅水区沉水植物种植设备
CN102373151A (zh) 光生物反应器和光生物培养系统
US20160130547A1 (en) An apparatus for culturing photosynthetic organisms
WO20160608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algae
CN2931462Y (zh) 悬浮式生物膜折叠网
CN102373149A (zh) 光生物反应器及其制备方法、光生物培养系统和方法
CN205727661U (zh) 一种生态循环种养殖系统
DE10201000132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olaren Eindampfung von Salzlösungen
CN105994098A (zh) 一种生态循环种养殖系统
CN105010213B (zh) 一种生态养殖系统
CN105018330B (zh) 一种多层半干贴壁培养装置及培养方法
CN207121512U (zh) 一种农业污水处理环保装置
KR102027884B1 (ko) 미세조류 생산장치
KR20140132182A (ko) 미세조류 배양수조 및 이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방법
CN205455431U (zh) 一种清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