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2028A -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2028A
KR20140132028A KR20130050569A KR20130050569A KR20140132028A KR 20140132028 A KR20140132028 A KR 20140132028A KR 20130050569 A KR20130050569 A KR 20130050569A KR 20130050569 A KR20130050569 A KR 20130050569A KR 20140132028 A KR20140132028 A KR 20140132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smartphone
smart phone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0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20130050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2028A/ko
Priority to PCT/KR2014/003932 priority patent/WO2014182015A1/ko
Publication of KR2014013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3Querying
    • G06F16/532Query formulation, e.g. graphical quer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진 스마트폰의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사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각종 사물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관련정보들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원격지에 있는 스마트폰의 소지자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물을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된 사물의 사진 송신 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서버에 미리 입력된 각종 사물들의 사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물이 검색된 경우, 그 검색된 사물의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 출력하여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Objec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and information access system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가진 스마트폰의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사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잡지,신문,광고지 등의 인쇄물에 소위 큐알 코드를 삽입하여 한정된 지면을 극복하는 한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큐알 코드(Quick Response code)란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2차원 바코드로서, 1994년 일본 도요타의 자회사 덴소 웨이브가 물류 관리를 위해 개발했고, 명칭은 덴소 웨이브의 등록상표 Quick Response에서 유래했으며, 기존의 세로줄 무늬 바코드는 숫자만 저장할 수 있어 담을 수 있는 정보의 양에 제약이 있었던 반면에 큐알 코드는 이와 달리 문자저장도 가능해 정보의 양이 무한대로 늘어나고 인터넷에 연결해 상세한 제품정보와 이미지, 동영상 등을 보여 주는 진일보한 기술로서, 작은 정사각형의 점을 가로, 세로, 같은 수만큼 병렬시킨 매트릭스형 2차원 코드이며, 한 변에 21개 내지 177개(버전 40)가 나열된 것까지 다양한 버전이 있으며 바코드와 달리 코너의 모서리에는 파인더 패턴이 배치되어 있어서 360도 어느 방향에서도 인식 가능하며, 버전 40의 경우 최대 23,648비트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큐알 코드는 광고물이나 간판 등에 표시되어 정보를 전달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쇄물뿐만 아니라 TV의 방송프로그램상에 큐알 코드를 CG(Computer Graphics)을 이용하여 화면에 출력 표시하거나 DTV 데이터 방송 기술을 이용하여 큐알코드를 노출하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큐알 코드가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보통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폰이나 전용 스캐너로 큐알 코드를 읽어 활용하게 되며, 현재 스마트폰의 대부분이 관련 앱을 다운받아 설치함으로써 이를 지원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에 컴퓨터 지원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휴대폰으로, 휴대폰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그의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인터넷 접속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또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기능, 리모콘 기능 등이 일부 포함되며, 수기 방식의 입력장치와 터치스크린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무선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팩스, 뱅킹, 게임 등 단말기로서의 기능도 수행하며, 다양한 기능의 수용을 위하여 표준화된, 또는 전용 운영체제(OS)를 갖추기도 한다.
이러한 QR코드는 간판이나 신문기사 또는 제품 포장지 등에 표시되어 관련된 정보를 자세하게 전달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등산 등에 있어 숲길은 길과, 길이 아닌 곳이 명확하지 않거나, 지도만으로 찾아다니기에는 판단의 기준이 되는 지형지물이 나무와 바위 등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자칫 길을 잃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 식물에 조예가 깊은 사람이 아니고서는 숲에 서식하는 각종 식물들과 꽃의 이름이나 그들에 관한 상세한 내용을 알수 없어 트랙킹의 재미가 반감되어 숲길에 존재하는 각종 꽃과 식물들의 이름 등과 그들이 가진 다양한 정보들을 알게 되면 더욱 재미있고 의미가 있을 터임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모르니 그냥 지나가고 마는 것으로 그치고 있다.
종래의 경우 숲길이나 등산로에 이정표를 설치하여 현재 위치와 이동가능한 경로 등을 알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정표는 오프라인 상에서 일회적으로 설치되어 일 방향으로만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해당 코스를 등반한 다른 등산객들의 조언이나 코멘트와 같은 생생한 정보를 전달한다거나,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터랙티브하게 이동방향을 알려주는 등의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이정표의 기능 제공을 위해 전기나 통신망을 갖추기 어려운 숲길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전자화된 이정표를 설치하는 것은 과도한 비용의 발생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도심에 접한 근린공원 등에는 꽃이나 나무 옆에 그에 대한 이름과 설명을 하는 표지판을 세워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모든 식물들에 그 같이 표지판을 세울 수도 없고, 또 시간이 지나면 표지판이 손상되거나 인쇄 상태가 나빠져 식별하기 곤란한 상황이 될 수 있고, 더욱이 도심이 아닌 일반 산에까지 표지판을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 같은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3358호에서는 기존의 이정표에 QR코드를 표시하여 등산객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를 디코딩하여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이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함과 함께 이에 더하여 숲길에 위치하는 노거수에 관한 정보를 QR코드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숲길의 산책이나 등반시
중요성을 간과할 수도 있는 노거수에 관한 지식을 얻게 함으로써 숲길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등반의 즐거움을 배가시키도록 하는 숲길 정보제공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QR 방식은 반드시 표지판을 세우고, 그 표지판에 QR 코드를 새겨 넣는 방식이어서, 표지판을 세워야 하는 데 따른 비용의 증가와 표지판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더욱이 QR 코드의 인쇄 상태가 훼손될 경우 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서버에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크게 실효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표지판이 없는 꽃과 나무들의 이름과 관련되는 정보는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일반 사물의 경우 QR 코드를 부여한 경우 그에 대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지만 QR 코드가 부여되어 있지 아니한 각종 사물의 경우 그에 대한 정보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같은 정보에 접근하기가 불가능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733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4399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가진 스마트폰의 스캔 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사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각종 사물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관련정보들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원격지에 있는 스마트폰의 소지자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물을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된 사물의 사진 송신 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서버에 미리 입력된 각종 사물들의 사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물이 검색된 경우, 그 검색된 사물의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 출력하여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의 표시화면에 나타낸 사물의 관련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그 표시창의 정보 내용을 클릭하면 당해 사물의 관련 정보를 가진 사이트에 인터넷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각종 사물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관련정보들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원격지에 있는 스마트폰의 소지자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물을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된 사물의 사진 송신 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서버에 미리 입력된 각종 사물들의 사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물이 검색된 경우, 그 검색된 사물의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 출력하여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표시화면에 출력된 상기 사물 관련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 포털검색사이트에 인터넷 접속되어 관련된 사물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폰의 표시화면에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포털검색사이트를 통해 검색된 사물에 관련한 각종 정보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의 웹사이트를 찾아 클릭하여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각종 사물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관련정보들을 미리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은 서버 관리자 또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 스마트폰 소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제작하여 사물에 붙인 QR 코드가 없더라도, 사물(사물의 사진이나 로고 등을 포함한 개념)을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활용하여 스캔하여 서버에 보내면, 서버에서 기 저장된 각종 사물들과의 일치 여부를 검색하여 최종 일치로 판정되는 사물의 정보 또는 서버에서 수신한 사물의 이름이나 종류를 판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관련 사물들의 정보를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서버에 각종 꽃들의 사진과 꽃말이나 오리지널 서식지 등의 관련 정보를 미리 입력시켜 놓은 상태에서 숲길을 산책 중 만나게 되는 꽃에 대해 알고 싶으면 관련 실행 앱을 설치하고 있는 스마트폰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꽃을 스캔하면, 그 스캔된 꽃의 사진 정보가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는 내부에 저장된 각종 꽃 정보들에서 사진과 일치하는 꽃을 찾아 그 꽃과 관련한 각종 정보(이름, 꽃말, 원산지 등등)를 스마트폰에 전송하게 됨으로써, 꽃(각종 사물) 이름을 모르더라도 정확한 이름과 관련 정보를 즉시 현장에서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실시예의 실행 상황을 단계별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의 목적으로 도시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다.
이 실시예들은 본 기술분야에 익숙한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비록 다르더라도 반드시 상호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로서, 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되는 특정한 양상, 구조 또는 특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다른 실시예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히 해석된 첨부된 청구범위와 이 청구범위가 관여되는 충분한 범위의 균등물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여러 가지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스마트폰(1)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다.
부호 2는 서버로서, 관리자 또는 스마트폰 소지자가 자신들이 원하는 특정 정보가 이 서버(2)에 입력되어 저장되어진다.
상기 서버(2)에 저장되는 정보는 각종 사물에 대한 것으로서, 각종 사물의 예로서는 각종 꽃이나 각종 나무, 화가들의 작품인 각종 서화들, 자동차들, 물고기들, 각종 공산품들, 교재 속의 사진, 기업 및 지방자치 단체들의 고유한 로고 등 제한 없이 가능하다.
그 중 꽃의 경우를 예를 들면,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각종 꽃들을 분류별로 편집하고, 각각의 꽃의 형상을 사전에 사진으로 찍어 그 사진정보와 함께, 꽃말이나 꽃이 피는 시기, 원산지 등의 정보를 입력하여 서버(2)에 저장한다.
나무의 경우에는 나무 종류가 잎의 형상에 의해 구분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나뭇잎의 사진 정보를 서버(2)에 관련 내용들과 함께 저장한다.
만일 자동차에 관한 정보라면, 각 자동차 회사에서 생산되는 모든 차종은 각기 구별되는 디자인적 특징들을 갖고 있으므로, 자동차의 사진과 제작회사 이름과 주소, 모델명 등의 정보를 함께 입력하게 되며, 이 같은 방식으로 사물에 제한 없이 원하는 모든 사물의 정보 입력이 가능하다.
이 정보 입력은 상기 서버(2)의 구축자(관리자) 뿐 아니라 일반인, 예를 들면 스마트폰(1)의 소지자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2)에 접속(비록 스마트폰의 소지자가 아니더라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한 컴퓨터 등을 통해서도 가능하다)하여 자신이 원하는 사물의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서버(2)의 구축자는 스마트폰(1)을 이용하여 자신의 서버(2)를 활용한 시스템을 일반인들이 이용 가능하도록 필요한 앱을 프로그래밍하여 앱 스토어에 올려 놓게 되며,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스마트폰(1)의 소지자는 앱 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스마트폰(1)의 소지자가 예를 들어 등산을 하던 중 등산로 주변에 피어 있는 꽃(4)을 보고 그 꽃의 이름 및 꽃에 관련된 정보를 알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1)을 켜고, 표시화면(3)에 떠 있는 각종 앱들의 아이콘들 중 본 발명의 앱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터치하여 앱을 실행시킨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1)은 카메라 기능 상태로 전환되며, 일반적 사진 촬영 때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렌즈(5)를 꽃(4)을 향하도록 하여 표시화면(3)을 보면서 촬영구도를 잡아 촛점을 맞춘 후, 즉 꽃나무의 꽃(4)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접사시켜 촬영하면, 셔터가 눌려짐과 동시에 촬영한 꽃(4)의 사진이 디지탈 정보로 변환되어 무선 인터넷망을 거쳐 서버(2)에 전송된다(도 2의 (b) 참조)(이때, 각도별로 여러 장의 사진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2)에 꽃(4)의 사진 정보가 전송되어 오면, 서버(4)는 내부에 기존에 저장된 사진 정보들 중에서 그 꽃과 일치하는 종류의 사진을 검색하여 찾게되며, 비교 알고리즘의 작동에 의해 비교결과 같은 꽃이라고 판단되는 꽃이 있는 경우, 그 꽃의 이름과 꽃말, 개화시기, 원산지 등의 미리 입력저장되어 있는 관련정보(6)를 인터넷망을 통해 스마트폰(1)에 전송하며(도 2의 (c) 참조)(도시한 실시예는 장미 꽃이므로, 꽃 이름 '장미'와 함께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송함), 이로써 스마트폰 소지자는 표시화면(3)에 나타난 꽃(4)의 이름 등을 보고 자신이 가고 있는 등산로 주변에 피어 있는 꽃의 정확한 이름을 포함한 꽃에 관한 각종 정보(6)를 현장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나무의 종류를 식별코자 할 때에도 동일하며, 예를 들면 그림을 전시하는 화랑에서도 본 발명의 시스템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전시회를 개최하고자 하는 화랑에서는 전시할 각 작품들의 사진과 작가명과 이름 등의 화가와 관련한 정보들을 미리 서버(2)에 저장시켜 주며, 전시관을 찾은 관람객들은 그림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알고자 하는 경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1)의 앱을 실행시킨 후, 확인코자 하는 그림을 향해 사진 촬영을 하면, 셔터의 작동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 정보가 서버(2)로 전송되어, 비교 알고리즘의 가동에 의해 미리 저장된 사진 정보들에서 일치하는 그림 사진을 찾아내어 관련된 정보(6)를 해당 스마트폰 소지자에게 보내주게 되는 것이며, 스마트폰 소지자는 전송되어 온 그림과 관련한 정보 내용을 표시화면(3)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 같은 사례 이외에 스마트폰 소지자라면 누구나 자유롭게 서버(2) 측에 회원 가입하여 자신이 원하는 사물의 정보를 제3자들에게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어 있는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핸드백(7) 제조 및 판매업자의 경우 자신이 제조판매하는 핸드백(7)의 사진과 사업장 주소와 전화 등의 연락처 정보를 서버(2)에 등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같은 경우, 제3자가 시중에서 당해 핸드백을 보고 제조사나 판매처의 정보를 알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그 3자가 핸드백을 스마트폰으로 사진 촬영하여 서버(2)에 전송하면, 서버(2)가 미리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동일 핸드백을 찾아 제조 및 판매사의 주소와 전화번호 등을 스마트폰 소지자에게 전송해 주게 됨으로써, QR 코드가 없는 경우에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사물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그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도 2의 (C)에 있어서는, 해당하는 내용에 대해 보다 제세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경우 표시화면(3)의 내용 부분을 터치하면, 해당 사이트, 예를 들면 핸드백(4) 제조사가 구축한 웹사이트(8)로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는 도 2의 (C)에 도시한 것 같이 해당하는 회사의 웹사이트(8)로 직접 접속하는 방식 대신, 도 3의 실시예에서는 핸드백(7)의 사진 정보를 전송받은 서버(2)가 동일 내용의 핸드백(7) 제조 판매사를 검색하여 스마트폰에 정보를 다시 전송하여 주었을 때, 좀 더 많은 선택권을 사용자(스마트폰 소유자)에게 주기 위하여 사용자가 표시화면(3)에 나타난 관련 정보(6a)를 클릭하면 "핸드백"을 검색어로 하는 특정 포털검색사이트(예를 들면, '다음', '네이버', '구글' 등)(9)에 접속하여, 그 포털검색사이트(9) 화면에 나타난 '핸드백'과 관련하여 검색된 많은 웹사이트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웹사이트를 찾아 2차로 클릭하여 원하는 웹사이트(10)로 연결됨으로써 그 접속된 웹사이트(10)가 구축해 놓은 정보들이 표시화면(3)에 나타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같은 방식의 장점은 사용자가 촬영한 '핸드백'에 대한 정보를 1차로 확인한 후, 다시 다른 '핸드백'들에 관련한 정보 내용을 살펴보고자 할 때 포털사이트에 직접 접속되어 "핸드백"을 검색어로 한 관련 사이트들의 표시창이 스마트폰에 자동으로 직접 뜨게 되므로, 다시 스마트폰을 인터넷에 별도롤 접속하여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도 매우 편리하게 핸드백에 관한 다른 여러 내용들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재에도 적용이 가능한바, 예를 들어 교재 내용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거나 가장 상징성이 있는 내용을 사진으로 첨부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 데, 그 사물을 대체한 사진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하여 서버(2)에 전송하면, 서버(2)에는 그 사진과 관련한 많은 내용의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그 저장된 정보들을 학생의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학습 자료로 참고할 수 있기 때문에, 분량의 제한이 있는 교재들을 보충하는 학습자료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서울시를 포함하여 많은 지방 자치단체들 및 기업들이 고유한 로고를 디자인하여 표시하고 있는 데, 예를 들어 해와 강과 산을 형상화한 서울시의 로고는 각종 표지판이나 시정 홍보물에 널리 쓰이고 있는바, 이 로고를 스마트폰(1)의 카메라로 촬영하면 큐알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서울시의 해당하는 홈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기업들의 로고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 발명자에게 알려진 최선의 모드이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변형예들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자들은 숙련된 기술자들이 이러한 변형예를 채용할 것을 예상하며, 발명자들도 본 발명을 이상에서 특별히 설명한 것 외에도 실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한 법에 의해 허용되는 바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언급된 주제와 균등한 모든 변형예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요소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은 본 명세서 내에서 특별히 언급하거나 배제하지 않은 이상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1 : 스마트폰
2 : 서버
3 : 표시화면
4 : 꽃(사물)
5 : 카메라 렌즈
6,6a: 관련 정보
7 : 핸드백(사물)
8,10 : 웹사이트
9 : 포털검색사이트

Claims (4)

  1.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각종 사물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관련정보들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원격지에 있는 스마트폰의 소지자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물을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된 사물의 사진 송신 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서버에 미리 입력된 각종 사물들의 사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물이 검색된 경우, 그 검색된 사물의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 출력하여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표시화면에 나타낸 사물의 관련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그 표시창의 정보 내용을 클릭하면 당해 사물의 관련 정보를 가진 사이트에 인터넷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3.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를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각종 사물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관련정보들을 입력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원격지에 있는 스마트폰의 소지자가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물을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하여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캔된 사물의 사진 송신 정보를 서버에서 수신하여 서버에 미리 입력된 각종 사물들의 사진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물이 검색된 경우, 그 검색된 사물의 관련 정보를 스마트폰에 송신 출력하여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폰의 표시화면에 출력된 상기 사물 관련 정보를 클릭하는 경우 포털검색사이트에 인터넷 접속되어 관련된 사물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여 스마트폰의 표시화면에 나타내는 단계와; 상기 포털검색사이트를 통해 검색된 사물에 관련한 각종 정보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의 웹사이트를 찾아 클릭하여 인터넷으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각종 사물에 대한 사진을 포함한 관련정보들을 미리 입력하여 저장하는 것은 서버 관리자 또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 스마트폰 소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KR20130050569A 2013-05-06 2013-05-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KR20140132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569A KR20140132028A (ko) 2013-05-06 2013-05-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PCT/KR2014/003932 WO2014182015A1 (ko) 2013-05-06 2014-05-02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0569A KR20140132028A (ko) 2013-05-06 2013-05-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028A true KR20140132028A (ko) 2014-11-17

Family

ID=5186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0569A KR20140132028A (ko) 2013-05-06 2013-05-06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32028A (ko)
WO (1) WO20141820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96A (ko) 2020-01-21 2021-07-29 케이씨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 기반 검색 어플리케이션 및 그를 위한 검색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4208B (zh) * 2016-03-16 2019-03-12 浙江生辉照明有限公司 信息获取方法、照明装置和照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107B1 (ko) * 2008-02-15 2013-02-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상을 이용한 쇼핑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시스템
KR100985949B1 (ko) * 2008-05-08 2010-10-06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망을 통한 상품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59837B1 (ko) * 2011-05-02 2013-05-0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게임형 도감제작시스템 및 도감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96A (ko) 2020-01-21 2021-07-29 케이씨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 기반 검색 어플리케이션 및 그를 위한 검색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2015A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4911B2 (ja) 3次元地図画像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3次元地図画像生成システム
TWI393860B (zh) 藉由辨識網頁資訊來導覽地理位置的方法與系統
CN102323926B (zh) 一种用于获取与请求对象相关的对象信息的设备和方法
US20150062114A1 (en) Displaying textual information related to geolocated images
JP2012215989A (ja) 拡張現実表示方法
JP2011528454A (ja) 地理的情報の機械可読表現
US20180196819A1 (en) System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real estate property interface
US8358843B2 (en) Techniques including URL recognition and applications
JPWO2007116500A1 (ja) 情報呈示システム、情報呈示端末及びサーバ
US20060204098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omprising a digital camera for character recognition, and a network therefor
US20180089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ing Indoor Views Using Augmented Reality
CN101354791B (zh) 用于编辑照片标签的用户接口
US20140019378A1 (en) Evalu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104102732A (zh) 图像展现方法及装置
JP2003319033A (ja) 携帯通信端末情報入力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用プログラム、解析サーバ、及び、携帯通信端末情報入力方法
KR2014013202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사물의 정보 확인 및 정보 접속 시스템
JPWO2019082381A1 (ja) 画像抽出装置、画像抽出方法及び画像抽出プログラム
KR101750885B1 (ko) 행정 구역도를 바탕으로 하는 통합 정보 검색 방법
US11886527B2 (en) Digital map based online platform
US20180196811A1 (en)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earching for property listing information based on images
KR101861813B1 (ko)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기반한 할인 정보 포스팅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98130B1 (ko) Qr 코드를 이용한 교통정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N113961699A (zh) 一种旅游资源调查方法和系统
JP5929573B2 (ja) 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2014026594A (ja) 評価システム、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223

Effective date: 2014112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