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548A - 전자 사진 기록 재료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기록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548A
KR20140131548A KR20147026747A KR20147026747A KR20140131548A KR 20140131548 A KR20140131548 A KR 20140131548A KR 20147026747 A KR20147026747 A KR 20147026747A KR 20147026747 A KR20147026747 A KR 20147026747A KR 20140131548 A KR20140131548 A KR 2014013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toner
betaine
electrophotographic
receiv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아라이
겐고 야마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06Cover layers for image-receiving members; Strippable coversheets
    • G03G7/002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26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7/00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image-receiving members, i.e. for reversal by physical contact; Manufacture thereof
    • G03G7/006Substrates for image-receiving members; Image-receiving members comprising only one layer
    • G03G7/0073Organic components thereof
    • G03G7/008Organic components thereof being macromolec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88Next to cellulosic
    • Y10T428/31895Paper or wo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황변 내성을 갖고, 높은 토너 정착 강도가 우수하며,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된 토너 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이고, 상기 토너 수리층은, 적어도 아이오노머 수지와,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이다.

Description

전자 사진 기록 재료{ELECTROPHOTOGRAPHIC RECORDING MATERIAL}
본 발명은,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한 기록은, 복사기를 비롯하여, 단말의 프린트 출력, 팩시밀리, 소부수 인쇄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출력 장치의 진보도 현저하여, 인쇄 속도는 향상되고, 풀 컬러는 말할 것도 없이 토너의 개량에 의해 고정밀화를 달성하고, 색재현성도 크게 향상되어, 문서 출력에서 사진 출력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전자 사진 방식 중, 건식 전자 사진 방식은, 복사기 등으로 대표되는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토너는, 안료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체 분말 토너를 사용한다. 화상 형성 방법은, 코로나 대전에 의해 발생시킨 감광체 롤 상의 정전 화상에 토너가 흡착되고, 다시 토너가 기록 재료에 전사되며, 전사된 기록 재료를 정착 롤로 가열함으로써 토너가 정착되어 화상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토너의 미세화에 한계가 있어, 고해상도가 잘 얻어지지 않는다. 또, 화선부의 토너 정착 부분의 광택이 높아져, 비화선부와 광택차가 발생하여, 부자연스러운 묘사가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습식 전자 사진 방식에서는, 액체 중에 토너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분말체의 비산 등이 문제가 되지 않아, 건식 전자 사진 방식에 비해 토너를 1/10 이하까지 미세화할 수 있는 것, 즉 화선부를 형성하는 도트를 미세하게 할 수 있는 것, 추가로 색재로서 안료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내후성의 문제가 없는 것, 나아가 화상의 광택차를 일으키지 않아, 사진 출력에 바람직한 방식이다.
습식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방법은, 건식 전자 사진 방식과 마찬가지로 감광체 롤 상의 정전 화상에 토너가 흡착되고, 전위적인 반발을 이용하여 블랭킷 롤에 토너가 전사됨으로써 진행된다. 블랭킷 롤의 표면은 실리콘 고무 등의 계면 자유 에너지가 낮은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토너가 블랭킷 롤로부터 기록 재료에 전사되고, 또한 블랭킷 롤은 가온되어 있고, 토너가 용융 상태가 되어 기록 재료에 정착되어 화상 형성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블랭킷 롤로부터 기록 재료에 습식 토너가 양호하게 전사되는 능력이 블랭킷 롤, 기록 재료 또는 습식 토너에 요구되어, 소위 토너의 전사성이 중요하다.
기록 재료의 성질에 따라, 토너 입자가 충분히 기록 재료에 전사되지 않아 화상 재현이 불충분해지거나, 블랭킷 롤로부터 기록 재료에 전사된 토너 정착 강도가 약하여, 기록면으로부터 토너가 탈리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토너를 기록 재료에 충분히 전사하여, 높은 토너 정착 강도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사파이어 처리”라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비교적으로 단시간 동안, 황색의 물질이 생성되고, 백지 황변이라 불리는 흰 바탕이 노래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화상의 발색이 변동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 출력에서는 높은 평활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기록 재료로는, 천연 펄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이 기재를 필름 형성능이 있는 수지로 피복한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 또는 폴리머 필름을 지지체로 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나 폴리머 필름에서는 토너 정착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토너 수리 (受理) 층을 형성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이 기재의 양면에 특정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토너 수리층을 갖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 폴리머 필름 상에 유리 전이점이 규정된 수지와 저저항 처리제, 유기 폴리머 미립자를 포함하는 토너 수리층을 갖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 (重送) 을 방지하기 위해, 토너 수리층에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에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5112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65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194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0186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또는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토너 수리층은, 습식 전자 사진 방식의 토너 정착 면에 있어서 여전히 불충분하다. 또, 이들 전자 사진 기록 재료는,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할 수 없다.
특허문헌 3 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서는,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대전 방지제가 토너 수리층의 표면을 습윤시켜, 소위 끈적임이 발생하여 지문이 부착되기 쉬워지거나, 또는 흠집이 나기 쉬워지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4 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서는,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대전 방지제와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의 열가소성 수지는 균일하게 혼합되는 경우는 없고, 혼합 불균일이 토너 기록면에 영향을 미쳐, 화상 불균일이 발생하는 결점을 갖는다.
기록 재료의 백지 황변을 억제하면서 토너 정착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사진 기록 재료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지 황변 내성을 갖고, 인쇄 후의 토너 정착 강도가 우수하며, 또한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된 토너 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이고,
상기 토너 수리층은, 적어도 아이오노머 수지와,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의해 기본적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의해, 기록 재료의 백지 황변이 억제되어, 전자 사진 방식, 나아가서는 습식 전자 사진 방식에 있어서, 인쇄 후의 토너 정착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기록 재료에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너 수리층 중에 있어서의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이,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량에 대하여, 0.3 질량% ∼ 8 질량% 이다.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전자 사진 기록 재료는, 중송을 안정적으로 더욱 방지할 수 있고, 또 토너 정착 강도도 더욱 우수하다.
습식 전자 사진 방식에서는, 습식 토너로서, 액체 중에 토너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토너 분산물을 사용한다. 종래 기술로서 습식 전자 사진 방식용 기록 재료에 대해 이용되어 온 사파이어 처리란, 토너 정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카티온성의 에틸렌이민 등의 유기 성분을 기록 재료의 표면에 도포하고, 아니온성의 토너 분산물을 정착시키는 것을 원리로 하는 처리 방법이다. 그러나, 사파이어 처리에서는, 사용되는 카티온성의 유기 성분의 반응성이 높기 때문에, 공존하는 물질과 반응하여, 화상을 기록 후에 백지 황변, 인쇄 부분의 변색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토너 수리층은, 적어도 아이오노머 수지를 함유한다. 이로써, 높은 토너 정착 강도가 얻어짐과 함께, 상기 사파이어 처리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백지 황변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높은 토너 정착 강도가 얻어지는 이유로는, 아이오노머 수지 중의 금속 이온에 의해, 토너 분산물을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백지 황변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로는, 사용하는 아이오노머 수지의 반응성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은, 아이오노머 수지에 추가로, 적어도,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전자 사진 기록 재료의 대전 방지가 도모되어, 대전한 정전기에 의한 기록 재료의 중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토너 수리층이, 아이오노머 수지와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조합하여 함유함으로써, 아이오노머 수지와,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가 강한 상호 작용을 가져, 서로를 서로 구속하는 구조가 된다. 이로 인해, 이러한 계면활성제가 토너 수리층의 표면을 습윤시켜 끈적임이 발생하여 지문이 부착되기 쉬워지는 문제, 또는 흠집이 나기 쉬워지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에 사용하는 아이오노머 수지로는, 종래 공지된 아이오노머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수지이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수지란, 에틸렌을 포함하는 α-올레핀과,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공중합체에, 원자가가 1 ∼ 3 인 금속 이온을 부가시킨 이온성 공중합체이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금속 이온에 의한 분자간 가교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M 은 원자가가 1 ∼ 3 인 금속 이온이고, m 및 n 은 임의의 정수이다.
여기서,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대표예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원자가가 1 ∼ 3 인 금속 이온의 대표예로는, Na, K, Ca2 , Zn2 , Al3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수지는, 예를 들어,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수지 또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와 다가 에폭시 화합물의 가교체를 들 수 있다. 중송을 방지하는 점에서,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는, 스미토모 정화 (주) 등에서 시판되어,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에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는,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다.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상기 식 중, R1, R2 및 R3 은,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되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알킬기이고, R4 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이며, X- 는, 1 가의 아니온 잔기이다)
를 갖는다.
R1, R2 및 R3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중 1 개가 탄소수 6 이상의 알킬기이고, 그 밖의 2 개가 탄소수 1 ∼ 2 의 알킬기이며,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R4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이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X-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COO- 또는 SO3 - 이다.
각각의 치환기로는, 알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이미다졸리늄베타인 구조를 갖는 양쪽성계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미다졸리늄베타인 구조를 갖는 양쪽성계의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2-알킬-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아미노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을 들 수 있다.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상기 식 중, R5, R6 및 R7 은,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되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알킬기이고, R8 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이며, X- 는, 1 가의 아니온 잔기이다)
을 갖는다.
R5, R6 및 R7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R5 가 탄소수 5 이상의 알킬기이고, R6 및 R7 이,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2 의 알킬기이며, R5, R6 및 R7 은 각각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R8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기이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X-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COO- 또는 SO3 - 이다.
각각의 치환기로는, 알킬기,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실기, 아미노기,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는,
헥실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헥실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옥틸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옥틸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옥틸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데실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데실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데실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운데실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운데실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라우릴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라우릴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미리스틸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미리스틸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미리스틸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팔미틸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팔미틸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팔미틸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팔미틸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스테아릴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스테아릴디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베헤닐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베헤닐디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술포프로필베타인 (C12H25(CH3)2N(CH2)3SO3 -),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술포프로필베타인 (C18H37(CH3)2N(CH2)3SO3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카오 (주) 나 닛코 케미칼즈 (주) 등에서 시판되어, 입수할 수 있다.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물의 구체예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주성분:C11H23CONH(CH2)3N(CH3)2CH2COO-;라우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술타인 (주성분:C11H23CONH(CH2)3N(CH3)2CH2CHOHCH2SO3 -;3-(N-라우릴아미도프로필-N,N-디메틸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필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카오 (주) 나 닛코 케미칼즈 (주) 등에서 시판되어,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 중에 있어서의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은, 중송을 안정적으로 방지하는 점 및 토너 정착 강도 면에서,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량에 대하여, 0.3 질량% ∼ 8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이 0.3 질량% 이상이면, 충분한 전자 사진 기록 재료의 대전 방지를 달성할 수 있고, 전자 사진 기록 재료의 중송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이 8 질량% 이하이면, 충분한 토너 정착 강도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은, 무기 안료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무기 안료 성분은,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및 알루미나 수화물,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산바륨 등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은, 바인더를 함유해도 된다. 바인더로는, 공지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혹은 이들의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 중합체, 아세트산비닐-말레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등의 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 폴리비닐에테르, 알킬비닐에테르-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그들의 염,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혹은 이들의 각종 중합체의 카르복실기 등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에 의한 관능기 변성 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피리디늄할라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합성 폴리머,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등의 열 경화 합성 수지계 등의 접착제 및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알키드 수지 등의 합성 수지계 접착제, 젤라틴, 산화 전분, 카티온화 전분, 에테르화 전분 등의 전분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이다. 이들 바인더를 단독 혹은 병용할 수 있다.
토너 수리층에는, 그 밖에 각종 무기산, 유기산, pH 조정제, 화상 보존제, 착색제, 증점제, 그 밖의 계면활성제 등을 적절히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토너 수리층의 두께는, 0.05 ㎛ ∼ 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지체는,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이다.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란, 천연 펄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종이 기재의 양면이, 필름 형성능이 있는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피복된 것을 말한다. 피복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탄화수소계 플라스틱, 극성 비닐계 플라스틱, 선상 구조 플라스틱, 셀룰로오스계 플라스틱 등의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결정성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비닐계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선상 구조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폴리옥시벤조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플라스틱의 예로는,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셀로판, 셀룰로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피복층의 두께는, 편면당 5 ㎛ ∼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의 두께로는 50 ㎛ ∼ 3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자 사진 재료는, 지지체 상에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을 도포, 건조시켜 토너 수리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지지체 상에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해서는,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터, 오프셋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 리버스 그라비아 코터, 리버스 롤 코터, 익스트루젼 바 코터, 커튼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바 코터, 콤마 코터, 다이 코터, 립 코터, 와이어 바 코터, 블레이드 코터, 슬라이드 호퍼 코터 및 그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된 도포액의 건조에는, 직선 터널 건조기, 아치 드라이어, 에어 루프 드라이어, 싸인 커브 에어 플로트 드라이어 등의 열풍 건조기, 적외선, 가열 드라이어, 마이크로파 등을 이용한 건조기 등 각종 건조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재료는, 건식 전자 사진 방식, 습식 전자 사진 방식의 기록의 어느 것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특히, 습식 전자 사진 방식의 기록에 적절하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 「%」는,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고형분 환산의 질량% 이다. 「부」는,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고형분 환산의 질량부이다.
(실시예 1)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수지 수분산액 (스미토모 정화 제조, 자이크센 A) 에, 아이오노머 수지의 100 부에 대하여,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이 1.5 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추가로 물을 첨가하여 농도를 17 % 로 조정하여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상질지 (上質紙) 의 양면에 용융 라미네이트한 평량 170 g/㎡ 의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를 지지체로 하고,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을 토너 수리층의 두께가 1 ㎛ 가 되도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를 실시하고, 건조시켜, 실시예 1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카오 제조, 안히톨 55AB)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의 첨가량을 0.33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2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카오 제조, 안히톨 55AB) 의 첨가량을 0.33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4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의 첨가량을 7.6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2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카오 제조, 안히톨 55AB) 의 첨가량을 7.6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6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의 첨가량을 0.27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7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2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카오 제조, 안히톨 55AB) 의 첨가량을 0.27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8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의 첨가량을 8.3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9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2 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인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카오 제조, 안히톨 55AB) 의 첨가량을 8.3 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0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에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인 아이오노머 수지 수분산액 (스미토모 정화 제조, 자이크센 A) 을 아크릴계 수지 수분산물 (닛신 화학 제조, 비니브란 2772)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인 아이오노머 수지 수분산액 (스미토모 정화 제조, 자이크센 A) 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수분산물 (도요보 제조, 바이로날 MD-1480)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4)
농도를 10 % 로 조정한 부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 (쿠라레 제조, PVA217) 에, 부분 비누화형 폴리비닐알코올의 100 부에 대하여,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이 1.5 부가 되도록 첨가하고, 추가로 물을 첨가하여 농도를 7 % 로 조정하여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을 얻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상질지의 양면에 용융 라미네이트한 평량 170 g/㎡ 의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를 지지체로 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을 갖는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을 토너 수리층의 두께가 1 ㎛ 가 되도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를 실시하고, 건조시켜 비교예 4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5)
비교예 2 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에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비교예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5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6)
비교예 3 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에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비교예 3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6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7)
비교예 4 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의 도포액에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첨가하지 않았던 것 이외에는, 비교예 4 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7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8)
실시예 1 에 있어서,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카티온계의 계면활성제인 모노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라이온 제조, 아카드 T-28)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8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9)
실시예 1 에 있어서,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아니온계의 계면활성제인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카오 제조, 네오페렉스 G-25)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9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10)
실시예 1 에 있어서,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노니온계의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카오 제조, 에마르겐 104 P)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0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 에 있어서, 알킬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닛코 케미칼즈 제조, 닛콜 AM-301) 을, 이미다졸리늄베타인 구조를 갖는 양쪽성계의 계면활성제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미요시유지 제조, 안호렉스 50-SF)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1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12)
실시예 1 에 있어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상질지의 양면에 용융 라미네이트한 평량 170 g/㎡ 의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사파이어코트액을 사파이어코트층의 두께가 0.6 ㎛ 가 되도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를 실시하고, 건조시켜 비교예 12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비교예 13)
비교예 4 에 있어서 얻어진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폴리에틸렌이민을 주성분으로 하는 사파이어코트액을 사파이어코트층의 두께가 0.6 ㎛ 가 되도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를 실시하고, 건조시켜 비교예 13 의 전자 사진 기록 재료를 얻었다.
(토너 정착 강도의 평가)
습식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로서, HP Indigo 7000 Digital Press 를 이용하여, 표준 4 색, 8 비트 모드, 1219 dpi 로,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인쇄를 실시하였다.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단색, 색농도 100 % (색의 광학 농도) 의 베타 인쇄부에 셀로판 테이프를 첩부하고, 테이프를 벗겨 테이프에 부착된 토너를 관찰하여, 토너 정착 강도를 평가하였다. 토너 접착 강도는, 이하의 4 단계의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평가가 4 또는 3 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재료로서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4:테이프에 토너의 부착이 없어, 토너 정착 강도가 우수하다.
3:테이프에 약간 토너의 부착이 보이지만, 토너 정착 강도는 양호하다.
2:테이프에 토너의 부착이 보여, 토너 정착 강도는 실용 한도의 레벨이다.
1:토너의 상당수는 테이프에 부착되어, 토너 정착 강도는 실용 불가능한 레벨이다.
(정전기에 의한 중송의 평가)
습식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로서, HP Indigo 7000 Digital Press 를 이용하여, 표준 4 색, 8 비트 모드, 1219 dpi 로, 전체면 50 % (색의 광학 농도) 그레이의 베타 화상을 A3 사이즈로 종이를 재단한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3000 장 연속으로 인쇄를 실시하고, 전자 사진 기록 재료가 중송된 횟수를 카운트하였다. 이하의 4 단계의 평가 기준으로 판정을 실시하였다. 평가가 4 또는 3 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재료로서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4:중송이 없다.
3:중송은 2 회 이내이고 또한 3 장 이상의 중송은 없고, 중송에 의해 인쇄가 정지되는 경우가 없어, 연속 인쇄에 있어서 문제는 없다고 판단할 수 있는 레벨이다.
2:중송은 5 회 이내이지만, 중송에 의해 인쇄의 정지가 있어, 연속 인쇄에 있어서는 실조업으로서 하한 레벨이다.
1:중송 횟수는 6 회 이상이고, 중송에 의한 인쇄 정지가 있어, 연속 인쇄에 있어서는 실조업으로서 불량 레벨이다.
(황변 내성의 평가)
전자 사진 기록 재료에 있어서 토너 수리층의 백지면에 제논·페이드오미터 23 ℃/65 %RH 환경 하에서 70,000 lux 의 제논광을 120 시간 조사하기 전후에서의 b* 의 변동량을 Δb 로 하고, 하기와 같이 4 단계로 평가하였다. 평가가 4 또는 3 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자 사진 재료로서 기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4:Δb 가 0.50 미만으로, 황변 내성이 우수하였다.
3:Δb 가 0.50 이상, 1.00 미만으로, 황변 내성은 실용상 문제없다.
2:Δb 가 1.00 이상, 2.00 미만으로, 황변 내성이 열등하여, 인쇄 후의 색재현에 영향이 있다.
1:Δb 가 2.00 이상으로, 황변 내성이 열등하여, 실용에 적합하지 않다.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1 ∼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건으로 제작한 전자 사진용 기록 재료는, 황변 내성을 갖고, 토너 정착 강도가 우수하고, 중송의 발생이 없거나 문제가 없는 빈도로, 높은 품질을 얻고 있다. 토너 수리층 중에 있어서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이,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량에 대하여, 0.3 질량% ∼ 8 질량% 인 실시예 1 ∼ 6 에서는, 특히 토너 정착성이 우수하고, 중송의 발생이 없어, 특히 높은 품질을 얻고 있다. 비교예 1,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 중송 발생 빈도가 높아져 실용에 적합하지 않다. 비교예 2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이오노머 수지를 함유하지 않으면 토너 정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8,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로서, 4 급염을 갖는 카티온계 혹은 아니온계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중송의 발생은 문제가 없지만, 토너 정착성이 불충분하다. 비교예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로서, 양쪽성 구조가 아닌 노니온계의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토너 정착성이 불충분하다. 비교예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다졸리늄베타인 구조를 갖는 양쪽성계의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토너 정착성이 불충분하다. 황변 내성에 관해서는, 비교예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너 수리층을 형성하지 않고 사파이어코트 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는, 중송의 발생 빈도가 높고, 황변 내성이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정착성이 불충분한 비교예 4 에서 얻어진 전자 사진용 기록 재료에 사파이어코트 처리를 실시한 경우, 토너 정착성은 개선되지만, 황변 내성이 열등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형성된 토너 수리층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열가소성 수지 피복지이고,
    상기 토너 수리층은, 적어도 아이오노머 수지와,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기록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수리층 중에 있어서의 알킬베타인 구조 또는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베타인 구조를 갖는 계면활성제의 첨가 비율이, 상기 아이오노머 수지의 함량에 대하여, 0.3 질량% ∼ 8 질량% 인, 전자 사진 기록 재료.
KR20147026747A 2012-02-28 2013-02-05 전자 사진 기록 재료 KR20140131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1952 2012-02-28
JPJP-P-2012-041952 2012-02-28
JP2012274766 2012-12-17
JPJP-P-2012-274766 2012-12-17
PCT/JP2013/052530 WO2013129035A1 (ja) 2012-02-28 2013-02-05 電子写真記録材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548A true KR20140131548A (ko) 2014-11-13

Family

ID=49082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6747A KR20140131548A (ko) 2012-02-28 2013-02-05 전자 사진 기록 재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064486A1 (ko)
JP (1) JP5580938B2 (ko)
KR (1) KR20140131548A (ko)
CN (1) CN104145218A (ko)
DE (1) DE112013001182T5 (ko)
HK (1) HK1199940A1 (ko)
WO (1) WO20131290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8470B2 (ja) * 2014-08-21 2017-03-01 三菱製紙株式会社 水性分散液
JP6845788B2 (ja) * 2017-11-17 2021-03-24 三菱製紙株式会社 電子写真記録材料
US11718805B2 (en) * 2021-01-04 2023-08-08 Saudi Arabian Oil Company CO2-philic crosslinked polyethylene glycol-based membranes for acid and sour gas sepa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7081B (en) * 1999-11-17 2004-04-28 Nippon Catalytic Chem Ind Betaine compound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JP2002311631A (ja) * 2001-04-09 2002-10-23 San Nopco Ltd 電子写真用転写紙用潤滑剤組成物、塗被組成物および転写紙
US6934507B2 (en) * 2002-12-24 2005-08-23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EP1443366A3 (en) * 2003-01-30 2005-06-22 Oji Paper Company Limited Electrophotographic transfer sheet
JP2005283627A (ja) * 2004-03-26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層用塗布液、画像記録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形成方法
US7147909B2 (en) * 2004-11-30 2006-12-12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photographic media with carboxylic acid polymer
JP4686216B2 (ja) * 2005-03-04 2011-05-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写真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71784A (ja) * 2006-02-13 2006-06-29 Oji Paper Co Ltd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JP2009234121A (ja) * 2008-03-27 2009-10-15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グリコール系インク用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
JP2010020283A (ja) * 2008-06-10 2010-01-28 Oji Paper Co Ltd 電子写真用転写シート
JP2010234781A (ja) * 2009-03-31 2010-10-21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CN103613509B (zh) * 2013-10-23 2015-09-09 青岛文创科技有限公司 一种十二烷基甜菜碱的合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9035A1 (ja) 2013-09-06
CN104145218A (zh) 2014-11-12
JPWO2013129035A1 (ja) 2015-07-30
HK1199940A1 (en) 2015-07-24
US20150064486A1 (en) 2015-03-05
JP5580938B2 (ja) 2014-08-27
DE112013001182T5 (de)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8723A (en) Recording sheets
CA2079610C (en) Coated recording sheets for electrostatic printing processes
US6544709B1 (en) Glossy electrophotographic media comprising an opaque coated substrate
WO1997031294A1 (en) Coated paper stocks for use in electrostatic imaging applications
CN111073379B (zh) 静电印刷材料
KR20140131548A (ko) 전자 사진 기록 재료
US5665504A (en) Simulated photographic-quality prints using a plasticizer to reduce curl
JPH06506307A (ja) 普通紙コピー用のフィルム
US5714287A (en) Simulated photographic-quality prints using a transparent substrate containing a wrong reading image and a backing sheet containing an adhesive coating which enhances image optical density
US20120251775A1 (en) Recording Material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Process
US5663023A (en) Simulated photographic-quality prints using a transparent substrate containing a wrong reading image and a backing sheet containing a right reading image of the same information
US5665505A (en) Simulated photographic-quality prints using a transparent substrate containing a wrong reading image and a backing sheet containing a right reading image of different information
US5906905A (en) Simulated photographic-quality prints using a transparent substrate containing a wrong reading image and a backing sheet containing an ultraviolet light absorber
US8999495B2 (en) Recording material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ethod
JP2019139174A (ja) 電子写真記録材料
JP6845788B2 (ja) 電子写真記録材料
US5660962A (en) Simulated photographic-quality prints using a transparent substrate containing a wrong reading image and a backing sheet containing an adhesive coating which enhances image optical density and a hydrophilic wetting agent
US5693437A (en) Simulated photographic-quality prints with a hydrophobic scuff resistant coating which is receptive to certain writing materials
US6440540B1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receiving material
JP2014085375A (ja) 電子写真記録材料
EP1135260B1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receiving material
JP2000131870A (ja) プリント用及び複写用シート
JP2015059986A (ja) 電子写真記録材料
JP2015132715A (ja) 電子写真記録材料
JP2013171122A (ja) 湿式電子写真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