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476A -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476A
KR20140131476A KR20130102450A KR20130102450A KR20140131476A KR 20140131476 A KR20140131476 A KR 20140131476A KR 20130102450 A KR20130102450 A KR 20130102450A KR 20130102450 A KR20130102450 A KR 20130102450A KR 20140131476 A KR20140131476 A KR 20140131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ed
piece
movable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655B1 (ko
Inventor
박윤식
김덕회
장병천
김일만
Original Assignee
(주)세고스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고스, 박윤식 filed Critical (주)세고스
Publication of KR2014013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수납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고정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레일; 고정레일과 중간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중간레일이 고정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고정레일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중간레일 지지부; 중간레일과 이동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이동레일 지지부; 및 수납체의 닫힘 동작과 열림 동작 시 각각 다른 마찰력으로 상기 이동레일과 중간레일을 착탈시키는 슬립 방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볼의 회전없이 볼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열림 동작되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슬라이더{SLIDER}
본 발명은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편을 통해 래치돌기가 이동하려는 힘을 제어하여 수납체의 닫힘 동작 시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될 경우, 래치돌기가 탄성 변형편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인입될 때보다 래치돌기가 탄성 변형편을 큰 힘에 의해 통과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래치를 구비함으로써,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볼의 회전없이 볼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열림 동작되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는 가구, 냉장고 또는 각종 정리함 등의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한 물건들을 넣어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슬라이딩 타입 수납체는, 본체에 수납체 설치공간을 구비하고, 그 설치공간 내측의 벽면과 수납체의 양측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구름접촉(Rolling Contact)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에 의해 개폐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더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체는, 수납체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본체로부터 수납체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레일은 이동레일과 중간레일 사이에 구비된 이동레일 지지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중간레일 측에서 인출되고, 중간레일은 고정레일과 중간레일 사이에 구비된 중간레일 지지부의 지지를 받으면서 고정레일 측에서 인출되며, 수납체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수납체의 개방과 반대로 이동레일과 중간레일이 각각 고정레일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닫힘 동작된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더에 의하면,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에서 인출된 후 중간레일이 고정레일 측에서 인출될 경우, 중간레일 지지부에는 수납체가 인출됨에 따라 중간레일 지지부와 상대적으로 멀어진 수납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모멘트가 발생하여 하중이 집중되고, 이로 인해, 중간레일 지지부 측 볼이 중간레일과 고정레일 사이에서 압착되어 회전할 수 없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중간레일 측에 마찰력을 제공하게 되어 볼 회전에 의해 중간레일이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볼 표면을 미끄러지는 상태로 인출되는 슬립현상이 발생함으로 수납체의 열림 동작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편을 통해 래치돌기가 이동하려는 힘을 제어하여 수납체의 닫힘 동작 시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될 경우, 래치돌기가 탄성 변형편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인입될 때보다 래치돌기가 탄성 변형편을 큰 힘에 의해 통과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래치를 구비함으로써,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볼의 회전없이 볼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열림 동작되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는,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바디와, 상기 고정레일 바디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고정레일 플랜지가 구비된 고정레일; 수납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바디와, 상기 이동레일 바디의 양측에 상기 고정레일 플랜지 측으로 절곡 형성된 이동레일 플랜지가 구비된 이동레일;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이동레일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레일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중간레일 바디와, 상기 중간레일 바디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중간레일 플랜지가 구비된 중간레일;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중간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레일이 상기 고정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고정레일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중간레일 지지부; 상기 중간레일과 상기 이동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이동레일 지지부; 및 상기 수납체의 닫힘 동작과 열림 동작 시 각각 다른 마찰력으로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중간레일을 착탈시키는 슬립 방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이동레일 또는 중간레일의 열림 방향 일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래치돌기; 및 상기 이동레일 또는 중간레일 중 다른 하나의 열림 방향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 변형편이 형성된 슬라이드 래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래치는, 상기 이동레일 바디 또는 상기 중간레일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열림 방향 일측에 개방 형성되어 래치돌기의 이동로를 구현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상기 개구부 반대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인입된 상기 래치돌기를 멈추게 하는 멈춤편; 상기 지지편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변형편; 상기 탄성 변형편과 인접 형성되고, 상기 수납체의 인출 시 상기 래치돌기의 간섭에 의해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탄성 변형편의 탄성 변형범위를 제한하는 제한편; 및 상기 멈춤편과 상기 탄성 변형편 사이에 형성되어 인입된 상기 래치돌기를 수용하는 래치돌기 수용공간; 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체의 닫힘 동작 시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될 경우, 상기 래치돌기가 상기 탄성 변형편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상기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인입될 때보다 상기 래치돌기가 상기 탄성 변형편을 큰 힘에 의해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에 의하면,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편을 통해 래치돌기가 이동하려는 힘을 제어하여 수납체의 닫힘 동작 시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될 경우, 래치돌기가 탄성 변형편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이동레일이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인입될 때보다 래치돌기가 탄성 변형편을 큰 힘에 의해 통과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래치를 구비함으로써,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볼의 회전없이 볼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열림 동작되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래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돌기가 슬라이드 래치 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탄성 변형편이 래치돌기의 이동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b는 래치돌기가 래치돌기 수용공간으로 이동한 후 탄성 변형편이 탄성 복원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치돌기가 슬라이드 래치 측으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탄성 변형편이 래치돌기의 이동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b는 래치돌기가 인출된 후 탄성 변형편이 탄성 복원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는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르며,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도면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게재되는 장치의 구성 또는 제어방법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첨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100)는, 본체(102) 측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110)과, 수납체(104)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120)과, 고정레일(110)과 이동레일(120)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레일(130)과, 고정레일(110)과 중간레일(130) 사이에 구비되어 중간레일(130)의 인입·인출을 지지하는 중간레일 지지부(140)와, 중간레일(130)과 이동레일(120)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레일의 인입·인출을 지지하는 이동레일 지지부(150)와, 수납체(104)의 닫힘 동작과 열림 동작 시 각각 다른 마찰력으로 이동레일(120)과 중간레일(130)을 착탈시키는 슬립 방지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레일(110)은 수납체(104)가 설치되는 가구, 냉장고 또는 각종 정리기구 등의 본체(102) 내측 벽면에 고정되어 수납체(104)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레일(110)은 본체(102)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바디(112)와, 고정레일 바디(112)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고정레일 플랜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레일 바디(112)의 닫힘 방향 일측에는 중간레일 지지부(140)의 중간레일 리테이너(142)가 지지되는 리테이너 지지돌기(116)가 절곡형성될 수 있다.
고정레일 플랜지(114)의 내주면에는 중간레일 지지부(140)의 볼(B)이 지지되는 고정레일 레이스웨이(117)가 마련된다.
고정레일 레이스웨이(117)는 중간레일 지지부(140)의 볼(B)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외향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동레일(120)은 수납체(104)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수납체(104)의 개폐 시 수납체(104)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레일(120)은 수납체(104)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바디(122)와, 이동레일 바디(122)의 양측에 고정레일 플랜지(114) 측으로 절곡 형성된 이동레일 플랜지(124)를 포함한다.
이동레일 바디(122)의 닫힘 방향 일측에는 리테이너 지지부(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리테이너 지지부(125)는 이동레일 지지부(150)의 수용홈(152a)에 삽입되어 이동레일(120)이 중간레일(130) 측으로부터 인출될 때 이동레일 지지부(150)의 이동레일 리테이너(152)가 이동레일(120)과 함께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레일 바디(122)의 열림 방향 측 일단에는 중간레일(130)을 향해 절곡 형성된 이동레일 절곡부(12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동레일 플랜지(124)의 외주면에는 이동레일 지지부(150)의 볼(B)이 지지되는 이동레일 레이스웨이(127)가 마련된다.
이동레일 레이스웨이(127)는 이동레일 지지부(150)의 볼(B)을 수용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레일(130)은 고정레일(110)과 이동레일(120) 사이에 설치되며, 고정레일 플랜지(114)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중간레일 바디(132)와, 중간레일 바디(132)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중간레일 플랜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레일 바디(132)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이동레일(120) 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간섭방지홈(135)을 구비할 수 있다.
간섭방지홈(135)은 중간레일(130)이 고정레일(110) 측에서 인출되거나 고정레일(110) 측으로 인입될 때 고정레일(110)과 중간레일(13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간레일 플랜지(134)에는 이동레일 지지부(150)의 볼(B)이 지지되는 제1레이스웨이(134a)와, 중간레일 지지부(140)의 볼(B)이 지지되는 제2레이스웨이(134b)가 마련된다.
제1레이스웨이(134a)는 중간레일 플랜지(134)의 내주면에 중간레일(1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제2레이스웨이(134b)는 중간레일 플랜지(134)의 외주면에 중간레일(1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중간레일 지지부(140)는 고정레일(110)과 중간레일(130) 사이에 구비되어 중간레일(130)이 고정레일(110)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고정레일(110)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간레일 지지부(140)에는 다수의 볼(B)과, 볼(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간레일 리테이너(142)가 구비된다.
중간레일 리테이너(142)는 볼(B)을 중간레일 플랜지(134)의 제2레이스웨이(134b)와 고정레일 레이스웨이(117)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간레일 리테이너(142)에는 고정레일(110)에 형성된 리테이너 지지돌기(116)가 수용되는 수용홈(142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레일(130)이 고정레일(110)에 인입될 경우, 중간레일 리테이너(142)가 리테이너 지지돌기(116)에 의해 간섭되어 고정레일(110) 측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동레일 지지부(150)는 중간레일(130)과 이동레일(120)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레일(120)이 중간레일(130)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중간레일(130)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레일 지지부(150)에는 다수의 볼(B)과, 볼(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동레일 리테이너(152)가 구비된다.
이동레일 리테이너(152)는 볼(B)을 이동레일 레이스웨이(127)와 중간레일 플랜지(134)의 제1레이스웨이(134a)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조건하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동레일 리테이너(152) 측에는 이동레일(120)에 구비된 리테이너 지지부(125)가 수용되는 수용홈(152a)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레일(120)이 중간레일(130) 측에서 인출될 때 리테이너 지지부(125)가 이동레일 지지부(150)의 수용홈(152a)에 삽입되어 이동레일 리테이너(152)가 이동레일(1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슬립 방지부(160)는 수납체(104)의 닫힘 동작과 열림 동작 시 각각 다른 마찰력으로 이동레일(120)과 중간레일(130)을 착탈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수납체(104)의 닫힘 동작 시 래치돌기(162)가 탄성 변형편(164d)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수납체(104)의 열림 동작 시 이동레일(120)이 중간레일(130) 측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인입될 때보다 래치돌기(162)가 탄성 변형편(164d)을 큰 힘에 의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수납체(104)의 닫힘 동작과 열림 동작 시 각각 다른 마찰력으로 이동레일(120)과 중간레일(130)츨 착탈시키게 된다.
슬립 방지부(160)는 이동레일(120) 또는 중간레일(130)의 열림 방향 일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래치돌기(162)와, 래치돌기(16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하면서 래치돌기(162)의 이동을 제어하는 슬라이드 래치(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래치돌기(162)는 이동레일(12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래치(164)에 걸림 또는 해제된다. 래치돌기(162)는 리벳(Rivet) 등 슬라이드 래치(164)와의 걸림 또는 해제를 충족하는 조건하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드 래치(164)는 이동레일(120) 또는 중간레일(130) 중 다른 하나의 열림 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 변형편(164d)을 통해 래치돌기(162)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슬라이드 래치(164)는 이동레일(150) 또는 중간레일(140)에 고정되는 고정편(164a)과, 고정편(164a)에 돌출 형성된 지지편(164b)과, 지지편(164b)의 개구부(164b-1) 반대쪽에 위치하는 멈춤편(164c)과, 래치돌기(16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변형편(164d)과, 탄성 변형편(164d)의 탄성 변형범위를 제한하는 제한편(164e)과, 인입된 래치돌기(162)를 수용하는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편(164a)은 일정 크기의 판상으로 마련함이 바람직하다.
지지편(164b)은 고정편(164a)의 일측에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지지편(164b)의 열림 방향 일측에는 개방 형성되어 래치돌기(162)의 이동로를 구현하는 개구부(164b-1)가 구비된다.
멈춤편(164c)은 지지편(164b)의 개구부(164b-1) 반대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멈춤편(164c)은 래치돌기(162)의 이동로인 개구부(164b-1)를 통해 인입된 래치돌기(162)를 멈추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탄성 변형편(164d)은 지지편(164b)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어 래치돌기(16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된다.
예를 들어, 탄성 변형편(164d)은 수납체(104)의 닫힘 동작 시 이동레일(120)에 설치되어 이동레일(120)과 함께 닫힘 방향으로 이동하는 래치돌기(162)가 중간레일(130)에 설치된 슬라이드 래치(164)의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 측으로 인입되는 경우, 래치돌기(162)와 간섭되어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 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휘어지게 된다. 탄성 변형편(164d)은 래치돌기(162)가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 측으로 인입된 후에 래치돌기(162)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탄성 복원된다.
또한, 탄성 변형편(164d)은 수납체(104)의 열림 동작 시 이동레일(120)과 함께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래치돌기(162)가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래치돌기(162)와 접촉되면서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 반대쪽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휘어진다. 이와 같이, 휘어진 탄성 변형편(164d)은 제한편(164e)에 간섭되어 탄성 변형범위가 제한된다. 탄성 변형편(164d)은 래치돌기(162)가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래치돌기(162)의 간섭이 해제되어 탄성 복원된다.
래치돌기 수용공간(164f)은 멈춤편(164c)과 탄성 변형편(164d) 사이에 형성되어 인입된 래치돌기(162)를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공(164g)은 멈춤편(164c)과 인접된 위치에 관통 형성된다. 고정공(164g)은 이동레일(120), 중간레일(130)의 열림 방향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70)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더(100)에 의하면, 래치돌기(162)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편(164d)을 통해 래치돌기(162)가 이동하려는 힘을 제어하여 수납체(104)의 닫힘 동작 시 이동레일(120)이 중간레일(130) 측으로 인입될 경우, 래치돌기(162)가 탄성 변형편(164d)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수납체(104)의 열림 동작 시 이동레일(120)이 중간레일(130) 측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인입될 때보다 래치돌기(162)가 탄성 변형편(164d)을 큰 힘에 의해 통과하도록 하는 슬라이드 래치(164)를 구비함으로써, 수납체(104)의 열림 동작 시 볼의 회전없이 볼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열림 동작되는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슬라이더, 102 : 본체,
110 : 고정레일, 112 : 고정레일 바디,
114 : 고정레일 플랜지, 116 : 리테이너 지지돌기,
117 : 고정레일 레이스웨이, 120 : 이동레일,
122 : 이동레일 바디, 124 : 이동레일 플랜지,
125 : 리테이너 지지부, 126 : 절곡부,
127 : 이동레일 레이스웨이, 130 : 중간레일,
132 : 중간레일 바디, 134 : 중간레일 플랜지,
134a : 제1레이스웨이, 134b : 제2레이스웨이,
135 : 간섭방지홈, 140 : 중간레일 지지부,
142 : 중간레일 리테이너, 142a : 중간레일 리테이너용 수용홈,
150 : 이동레일 지지부, 152 : 이동레일 리테이너,
152a : 리테이너 지지부용 수용홈, 160 : 슬립 방지부,
162 : 래치돌기, 164 : 슬라이드 래치,
164a : 고정편, 164b : 지지편,
164b-1 : 개구부, 164c : 멈춤편,
164d : 탄성 변형편, 164e : 제한편,
164f : 래치돌기 수용공간, 164g : 고정공,
170 : 고정돌기. B : 볼.

Claims (3)

  1.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 바디와, 상기 고정레일 바디의 양측에 절곡 형성된 고정레일 플랜지가 구비된 고정레일;
    수납체에 고정 설치되는 이동레일 바디와, 상기 이동레일 바디의 양측에 상기 고정레일 플랜지 측으로 절곡 형성된 이동레일 플랜지가 구비된 이동레일;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이동레일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고정레일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중간레일 바디와, 상기 중간레일 바디의 양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중간레일 플랜지가 구비된 중간레일;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중간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간레일이 상기 고정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고정레일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중간레일 지지부;
    상기 중간레일과 상기 이동레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이동레일 지지부; 및
    상기 수납체의 닫힘 동작과 열림 동작 시 각각 다른 마찰력으로 상기 이동레일과 상기 중간레일을 착탈시키는 슬립 방지부;
    를 포함하는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방지부는,
    상기 이동레일 또는 중간레일의 열림 방향 일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래치돌기; 및
    상기 이동레일 또는 중간레일 중 다른 하나의 열림 방향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탄성 변형편이 형성된 슬라이드 래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래치는,
    상기 이동레일 바디 또는 상기 중간레일 바디에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열림 방향 일측에 개방 형성되어 래치돌기의 이동로를 구현하는 개구부가 구비된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상기 개구부 반대 위치에 돌출 형성되어 인입된 상기 래치돌기를 멈추게 하는 멈춤편;
    상기 지지편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변형편;
    상기 탄성 변형편과 인접 형성되고, 상기 수납체의 인출 시 상기 래치돌기의 간섭에 의해 상기 래치돌기의 이동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탄성 변형편의 탄성 변형범위를 제한하는 제한편; 및
    상기 멈춤편과 상기 탄성 변형편 사이에 형성되어 인입된 상기 래치돌기를 수용하는 래치돌기 수용공간;
    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체의 닫힘 동작 시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 인입될 경우, 상기 래치돌기가 상기 탄성 변형편을 부드럽게 통과하고, 상기 수납체의 열림 동작 시 상기 이동레일이 상기 중간레일 측으로부터 인출될 경우 인입될 때보다 상기 래치돌기가 상기 탄성 변형편을 큰 힘에 의해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더.



KR20130102450A 2013-05-02 2013-08-28 슬라이더 KR101481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79 2013-05-02
KR20130049379 2013-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476A true KR20140131476A (ko) 2014-11-13
KR101481655B1 KR101481655B1 (ko) 2015-01-13

Family

ID=5245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2450A KR101481655B1 (ko) 2013-05-02 2013-08-28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942A (ko) * 2017-01-05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WO2023177073A1 (ko) * 2022-03-14 2023-09-21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48B1 (ko) 2017-12-21 2020-02-10 (주)세고스 서랍용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1213B2 (en) 2007-03-13 2009-11-03 Atom International Co., Ltd. Sliding track assembly
KR100874469B1 (ko) 2008-07-10 2008-12-18 허재용 다단스토퍼가 구비된 슬라이드 레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942A (ko) * 2017-01-05 2018-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로워 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WO2023177073A1 (ko) * 2022-03-14 2023-09-21 (주)세고스 슬라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655B1 (ko)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9995A (ko) 슬라이드 장치
US6824233B2 (en) Track device for drawers
WO2017219487A1 (zh) 具有消音回弹功能的同步抽屉滑轨系统
EP3298927B1 (en) Slide device
US20110043087A1 (en) Slide rail buffering structure
EP3783177A1 (en) Vehicle door checker
US20040056573A1 (en) Drawer-type refrigerator having tightly closable sliding unit
KR101481655B1 (ko) 슬라이더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JP2013532545A (ja) 引き出しガイドレールシステム
KR101896077B1 (ko) 이동이 제한되는 이너리테이너가 구비된 슬라이더
EP2549041A1 (en) Slide assist device
US20130026899A1 (en) Pull-out guide
US20080279490A1 (en) Sliding friction reducer
RU2654392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раздвижной двери
KR101524829B1 (ko) 가구용 도어 댐핑장치
KR20180099249A (ko) 슬라이딩 장치
KR101704356B1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WO2018032690A1 (zh) 左右开门机构及冰箱
KR101139290B1 (ko) 자동 폐쇄 장치
KR101464265B1 (ko) 자동 폐쇄 기능을 갖는 슬라이딩 장치
US6634726B1 (en) Multiple drawer cabinet allowing one drawer opened at a time
KR200478368Y1 (ko) 슬라이드레일 자동폐쇄장치
US20130034318A1 (en) Pull-out guide for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