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1244A -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1244A
KR20140131244A KR1020130109806A KR20130109806A KR20140131244A KR 20140131244 A KR20140131244 A KR 20140131244A KR 1020130109806 A KR1020130109806 A KR 1020130109806A KR 20130109806 A KR20130109806 A KR 20130109806A KR 20140131244 A KR20140131244 A KR 2014013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terracotta
terracotta panel
buil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0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1244A/ko
Publication of KR2014013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벽에 테라코타 패널의 설치가 더욱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는 상하방향으로 긴 베이스 상에 다수개의 모듈화된 패널 걸쇠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통하여 테라코타 패널을 상하 좌우 임의의 위치에서 동시에 시공할 수 있고 또한 상하방향 폭이 서로 다른 이종의 패널도 함께 고정할 수 있으며, 우수 드레인용 거터부를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TERRACOTTA PANEL ON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외장재 중의 하나인 테라코타 패널을 건물 표면에 부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테라코타 패널을 건물 외부 표면에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건물 외부 표면에 테라코타 패널을 쉽고 안정되게 또한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 외장 공사시 도기, 세라믹, 석재 또는 테라코타패널 마감재를 건축물의 내, 외벽에 부착 고정하는 마감공법으로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다.
습식공법은 건축물 내, 외벽과 마감재 사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접착재로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으로서, 마감재마다 그 이면에 접착재인 시멘트를 발라 줄눈을 맞추어 하나 하나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어서 작업시간이 길고 인건비가 많이 들며 시멘트의 양생시간이 필요하다.
건식공법은 내, 외벽과 마감패널 사이에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마감패널을 건축물의 내, 외벽과 이격되게 부착하는 것으로, 시공시간이 짧고 작업의 편의성 외에 단열 구성의 용이성 등 시공상의 장점이 있다.
테라코타 패널은 점토를 소정의 형상으로 압출성형한 후 1,000~1,450℃ 정도의 고온에서 소성하여 얻어지는 패널로서, 미감과 성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재료가 풍부하고 균질하여 천연 석재 마감재를 대체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무기 마감소재로서 주목받고 있다.
종래 테라코타 패널을 건식 공법으로 건축물의 내, 외벽면 벽체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에 고정부재 부착용 앵커너트 또는 앵커볼트를 사후적 드릴가공 등에 의해 매립하여 사용하였는데,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에 드릴로 결합 요홈 또는 매립요홈을 가공할 때 테라코타 패널에 드릴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어 테라코타 패널이 빈번하게 파손됨으로써 인건비, 자재비의 증가와 시공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4073호(2010. 09. 29)호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라코타 패널을 건축물의 외벽(W)과 제1 및 제2 외장패널(P1, P2)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 고정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기술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구조는 제1 및 제2 외장패널(P1, P2)에 각각 부분적으로 인서트(insert)되어 고정되는 제1 및 제2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 건축물의 외벽(W)에 부분적으로 인서트되어 고정되는 하나의 인서트 앵커(insert anchor, 103); 일단부(110a)는 제1스프링 앵커(101)에 고정되고 타단부(110b)는 상기 인서트 앵커(103)에 고정되되 상기 제2 외장패널(P2)을 향한 면에 요철홈(111)이 형성되는 앵글(angle, 110); 및 일단부(120a)는 상기 제2스프링 앵커(102)에 고정되고 타단부(120b)는 상기 앵글(110)의 요철홈(111)에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되는 클립(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073호에 의한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구조는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 및 조립,고정하는 부품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어 건축물의 외벽과 외장패널 사이의 간격을 더 좁혀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부품수 증가에 따른 단가 상승 문제, 조립 시간의 증가 문제,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 P2)에 각각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스프링 앵커(spring anchor, 101,102)를 인서트(insert)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외장패널(P1, P2)을 생산한 후 드릴을 이용하여 별도로 홀(hole)을 가공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여전히 시공에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고, 성형 후 고온으로 소성되는 테라코타 패널이 드릴가공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쉬우므로 여전히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등록 제10-1188812호에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2) 또는 내벽과 나란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하방향으로 틈새(g)가 형성되는 마감패널(100)들을 상기 외벽(2) 또는 내벽에 고정하기 위한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이 기술에 따른 고정장치를 적용하는 테라코타 패널은 그 이면에 소정형상의 가로방향 연속의 장착홈이 형성되도록 압출성형된 것으로서, 이 가로방향 장착홈의 형성이 테라코타 패널의 성형시에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장착철물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사후적 가공이 필요 없으며, 이 장착홈에 고정장치가 용이하게 작동적으로 체결되는 기술이다.
본 출원인의 이 국내 특허등록 제10-1188812호에 따른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측면이 외벽(2) 또는 내벽에 직접 결합되거나 그 외벽(2)에 고정된 틀부재(3) 상에 결합되고, 외측면에 결합홈(211)이 형성된 인너브래킷레일(210)과; 이 인너브래킷레일(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내측면에 상기 결합홈(211)에 삽입되어 상기 인너브래킷레일(210)과 결합되는 결합돌기부(221)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마감패널(100)용 장착홈(110)에 끼워져 그 마감패널(100)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마감패널(100)에 대하여 그 마감패널을 바깥쪽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마감패널(100)의 장착유격 및 작동유격을 방지하는 탄력부(224)가 구비된 아웃터브래킷(220)을 포함하는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이다.
그런데 이러한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등록 제10-1188812호에 따른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는 테라코타 패널의 이면의 가로방향 연속의 장착홈(110) 내에 간단하게 작동적으로 체결되어 장착되는 기술로서 부품수가 적고 장착이 극히 용이하며 탄력부(224)가 마감패널을 일정한 탄성력으로 바깥쪽으로 밀어줌으로써 장착이후 사후적으로 장착유격 및 작동유격이 생기지 않게 되며, 그 결과 바람과 같은 외력에 대해서 테라코타 패널(100)이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지만, 부착하고자 하는 각 테라코타 패널마다 그 상하단 배면에 인너브라켓레일(210) 및 아웃터브라켓(220)을 별개로 마련하여 이들을 매번 각 단(段)의 테라코타 패널마다 부착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단위 테라코타 패널의 상하 폭이 달라질 경우 일일이 그 폭에 맞추어 인너브라켓레일(210) 및 아웃터브라켓(200)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고정장치의 재료량이 많고 시공 인건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로방향으로 인접하는 패널간의 간격(세로줄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줄눈시공을 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공사에 주의하여야 하며 공사기간도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등록 제10-1188812호에 따른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의 이점을 그대로 살리되 특히 각 단(段)의 테라코타 패널마다 별개의 분리된 고정장치(인너브라켓레일(210) 및 아웃터브라켓(220)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속하는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복수단의 테라코타 패널을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건물의 한 표면에 부착되는 테라코타 패널의 상하방향 폭이 서로 다른 이종의 패널을 부착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줄눈시공이 편리한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4073호(2010. 09. 29) 국내 등록특허 제10-1188812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단의 테라코타 패널마다 개별적인 각각 분리된 고정장치를 사용할 필요 없이, 다수개의 패널 걸쇠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모듈화된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테라코타 패널을 상하좌우 임의의 위치에서 손쉽게 벽면에 동시에 부착하여 시공할 수 있는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건물외벽에 부착하고자 하는 테라코타 패널의 상하방향 폭이 서로 다른 이종의 패널일지라도 이를 손쉽게 벽면에 부착시공할 수 있는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테라코타 패널을 건물 외벽에 부착함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인접하는 테라코타 패널간의 틈새(세로줄눈)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만으로 세로줄눈을 쉽게 형성할 수 있는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로방향으로 인접하는 테라코타 패널간의 틈새(세로줄눈)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잘 배출될 수 있는 드레인부가 구비된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그밖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후술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라,
배면(24)에 적어도 두 개의 가로방향 체결홈(22)이 형성된 테라코타 패널(20)을 건물 외벽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띠형상 평판으로 구성된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의 중앙에 세로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종홈 또는 종돌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중앙요철부(15);
상기 중앙요철부(15)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1)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세 면이 따내어져 그 따내어진 면이 베이스면으로부터 전방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그 돌출단부가 상기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걸쇠부(12);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세 면이 따내어져 그 따내어진 면이 베이스면으로부터 전방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그 돌출단부는, 상기 걸쇠부(12)가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24)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삽입되었을 때,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24)을 탄성적으로 밀어 상기 걸쇠부(12)의 패널 체결홈(22)에 대한 장착유격을 고정하는 패널 지지부(13);
를 포함하는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중앙요철부(15)는 높이가 h1인 중앙의 제1돌출부(15a)와 이 제1돌출부의 좌우측에 형성된 높이 h2인 제2돌출부(15b)를 포함하며, 높이 h1은 높이 h2에 비해 더 높은 것(h1 > h2)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와 같은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중앙요철부(15)는 높이가 h1인 중앙의 제1돌출부(15a)와 이 제1돌출부의 좌우측에 형성된 높이 h2인 제2돌출부(15b)를 포함하며, 높이 h1은 높이 h2에 비해 더 낮은 것(h2 > h1)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바와 같은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의 중앙요철부(15)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제 띠판재를 롤포밍(roll forming)하여 형성되고, 걸쇠부(12) 및 패널지지부(13)는 롤포밍에 의해 중앙요철부(15)가 형성된 이후에 프레스 타발(blanking)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는 복수단의 테라코타 패널마다 개별적인 각각 분리된 고정장치를 사용할 필요 없이,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패널 걸쇠부가 일체적으로 구비된 모듈화된 길이방향의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다수단의 테라코타 패널을 손쉽게 벽면에 부착시공할 수 있으며, 건물외벽에 부착하고자 하는 테라코타 패널의 상하방향 폭이 서로 다른 이종의 패널일지라도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손쉽게 벽면에 부착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테라코타 패널을 건물 외벽에 부착함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인접하는 테라코타 패널간의 틈새(세로줄눈)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만으로 세로줄눈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오픈조인트 타입 마감패널용 고정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로방향으로 인접하는 테라코타 패널간의 틈새(세로줄눈)를 통해 유입된 빗물이 잘 배출될 수 있는 드레인부가 구비된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결합되는 테라코타 패널을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의 전면도(a) 및 배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의 길이방향 연결부의 오버랩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단부측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건물벽면에 부착되는 테라코타 패널을 도시한 사시도(a), 부분평면도(b)와 입면도(c)이다.
도 9는 종래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0는 종래 건축물의 또다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결합되는 테라코타 패널을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의 전면도(a) 및 배면도(b)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건물벽면에 부착되는 테라코타 패널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a), 부분평면도(b)와 입면도(c)이다.
이들 도면에 의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건물벽면에 부착되는 테라코타 패널(20)은 가로방향의 길이를 L, 세로방향 폭을 W 및 두께를 T라 할 경우, 예컨대 L×W×T=594mm×204mm×16mm의 것을 가로방향이 길이가 길게 벽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 패널의 배면에는 길이(L)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체결홈(22)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 두 체결홈(22)이, 도 3을 참조한 후술하는 설명처럼,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의 상하부 걸쇠부(12)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테라코타 패널이 고정장치(100)에 고정된다. 전술한 LWT의 치수는 주문자의 요구치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는 치수로서, 예컨태 길이 L은 594mm, 894mm, 1194mm일 수 있고, 폭 W는 204mm, 304mm일 수 있으며, 두께 T는 16mm, 24mm 등일 수 있다.
상기 걸쇠부(12)는 하나의 고정장치(100) 내에 상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어 복수단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 걸쇠부(12)의 적어도 한 쌍의 상하부 형성간격은 벽면에 부착될 테라코타 패널(100)의 크기 및 그 배면에 형성된 상하부 체결홈(22)의 상하방향 간격(W1)과 일치하도록 사전 설계에 의해 만들어진다.
테라코타 패널(20)의 고정장치(100)의 건물 벽면에 대한 고정은, 예컨대 벽면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세로방향으로 앵커(미도시)로 체결되는 세로대(50) 위에,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100)를 체결하여 이루어지며, 이 때 세로대(50)에 대한 고정장치(100)의 체결은 고정장치(100)의 판면에 관통되게 형성된 나사체결공(14)에 나사를 체결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것으로부터 잘 알 수 있듯이, 배면(24)에 적어도 두 개의 가로방향 체결홈(22)이 형성된 테라코타 패널(20 : 도 8에 도시)을 건물 외벽에 부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띠형상 평판으로 구성된 베이스부(11)와, 이 베이스부(11)의 중앙에 세로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종홈 또는 종돌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중앙요철부(15)와, 이 중앙요철부(15)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1)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세 면이 따내어져 그 따내어진 면이 베이스면(11)으로부터 전방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그 돌출단부가 상기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복수개의 걸쇠부(12)와, 상기 베이스부(11)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세 면이 따내어져 그 따내어진 면이 베이스면으로부터 전방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그 돌출단부는, 상기 걸쇠부(12)가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24)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삽입되었을 때,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24)을 탄성적으로 미는 패널 지지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요철부(15)를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되는 걸쇠부(12) 및 패널지지부(13)는 그 형성 높이와 형상, 개수가 서로 동일한 대칭형으로서, 이들 중 좌측의 걸쇠부(12)와 패널지지부(13)는 좌측 테라코타 패널의 우측단부에 결합되어 그 패널의 우측 단부를 지지하고, 우측의 걸쇠부(12)와 패널지지부(13)는 우측 테라코타 패널의 좌측단부에 결합되어 그 좌측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는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가로방향 테라코타 패널(20)의 인접하는 양 단부를 함께 고정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중앙요철부(15)를 중심으로 좌우에 형성되는 걸쇠부(12) 및 패널지지부(13)를 그 형성 높이와 형상, 개수를 서로 달리하여 비대칭형으로 구성할 경우, 이러한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결합되는 테라코타 패널은 그 상하 폭을 달리할 수 있어서 좌우측이 비대칭되게 부착되는 열(列)을 포함할 수 있어서 마감벽면을 디자인적으로 다른 미감이 느껴지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에서 미설명부호 17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그 절단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시된 절취눈금선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중앙요철부(15)는 베이스부(11)의 중앙에 세로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하나의 종돌기로서, 이 종돌기는 베이스부(11)의 단면성능(단면2차모멘트)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외에,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가로방향 테라코타 패널(20)의 인접하는 양 단부를 함께 고정함에 있어서 잠정적으로 그 인접하는 간격을 맞추는 세로줄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이 제2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의 길이방향 연결부인 상하방향 단부의 오버랩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2실시예에서는 중앙요철부(15)는 높이가 h1인 중앙의 제1돌출부(15a)와 이 제1돌출부의 좌우측에 등간격을 두어 형성된 높이 h2인 제2돌출부(15b)를 포함하며, 높이 h1이 높이 h2에 비해 더 낮은 것(h2 > h1)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인 점이다.
이 제2실시예는 가운데에 낮은 높이의 제1돌출부(15a)가 형성되고 그 좌우에 이보다 높은 제2돌출부(15b)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트렌치(trench) 형상의 거터(gutter)를 이루어 우수(雨水)를 배수하는 데에 유익하다.
이러한 우수드레인 거터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전술한 중앙요철부(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의 길이방향 연결부인 상하방향 단부를 오버랩하여 설치함으로써 건물벽면 전체에 걸쳐 물 끊김 없이 세로방향으로 연속하는 우수 드레인 거터를 형성하는 점에서 유익하며 이러한 오버랩 부분의 돌출이 과도하지 않도록 전술한 제2돌출부(15b)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제3실시예는 제 2실시예와는 반대로 중앙요철부(15)를 구성함에 있어서, 가운데에 높은 높이(h1)의 제1돌출부(15a)가 형성되고 그 좌우에 이보다 높이(h2)가 낮은 제2돌출부(15b)가 형성되어(h1 > h2), 테라코타 패널을 건물 외벽에 부착함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인접하는 테라코타 패널간의 틈새(세로줄눈)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없이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부착용 고정장치만으로 세로줄눈을 더욱 쉽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의 이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의 확대부분(A)에 의해 알 수 있듯이, 패널부착용 고정장치(100)에 체결되는 좌우측의 테라코타 패널(20)을 그 좌우측단부가 각각 제1돌출부(15a)에 직접 맞닿게 설치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테라코타 패널(20)의 제1돌출부(15a) 폭만큼의 세로줄눈(S)이 정연하게 일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위치결정돌기 역할을 하는 높이(h1)가 높은 제1돌출부(15a)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부착용 고정장치(100)는 하나의 베이스부(11)에 복수단의 걸쇠부(12)와 패널지지부(13)가 형성됨으로 인한 시공성 개선효과와 함께 전체적으로 공기를 크게 단축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벽면의 단부측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및 그 부분확대 사시도로서, 이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는 테라코타 패널(20)로 마감하고자 하는 건물 벽면의 맨 좌우측에 설치되는 고정장치로서, 그 맨 좌우측 테라코타 패널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만을 결합하여 고정하면 족하므로 전술한 제1, 2, 3 실시예로서 구성한 걸쇠부(12)와 패널지지부(13)의 좌우대칭의 구성과는 달리 단일의 걸쇠부(12)와 패널지지부(13)가 구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는 스테인레스스틸,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강판), 칼라강판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벽 마감재로서의 테라코타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100)는 일체화된 모듈구조를 통하여 다수의 테라코타 패널을 상하 동시에 시공할 수 있고, 테라코타 패널(20)의 상하에 형성된 체결홈(22)을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100)의 상하에 형성된 패널 걸쇠(12)에 단순히 끼우기만 하면 고정되고, 또한 줄눈형성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여 테라코타 패널(20)을 설치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100 :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11 : 베이스
12 : 패널 걸쇠 13 : 패널 지지부
14 : 나사고정홀 15 : 중앙요철부
20 : 테라코타 패널 22 : 체결홈
24 : 지지부홈 30 : 지지부재
W : 벽체 S : 줄눈

Claims (1)

  1. 배면(24)에 적어도 두 개의 가로방향 체결홈(22)이 형성된 테라코타패널(20)을 건물 외벽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띠형상 평판으로 구성된 베이스부(11);

    상기 베이스부(11)의 중앙에 세로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종홈 또는 종돌기 중의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중앙요철부(15);

    상기 중앙요철부(15)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부(11)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세 면이 따내어져 그 따내어진 면이 베이스면으로부터 전방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며, 그 돌출단부가 상기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복수개의 걸쇠부(12); 및

    상기 베이스부(11)의 세로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세 면이 따내어져 그 따내어진 면이 베이스면으로부터 전방쪽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그 돌출단부는, 상기 걸쇠부(12)가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24)에 형성된 체결홈(22)에 삽입되었을 때, 테라코타 패널의 배면(24)을 탄성적으로 밀어 상기 걸쇠부(12)의 패널 체결홈(22)에 대한 장착유격을 고정하는 패널 지지부(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20130109806A 2013-09-12 2013-09-12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20140131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806A KR20140131244A (ko) 2013-09-12 2013-09-12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806A KR20140131244A (ko) 2013-09-12 2013-09-12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292A Division KR101334320B1 (ko) 2013-05-03 2013-05-03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44A true KR20140131244A (ko) 2014-11-12

Family

ID=5245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806A KR20140131244A (ko) 2013-09-12 2013-09-12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12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0825883B1 (ko) 건축물의 슬라이딩식 목재데크판 고정 구조
CA2597186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740254B1 (ko) 브라켓의 걸어맞춤을 이용한 실내벽의 패널 설치구조
KR20170048130A (ko) 벽체 마감 시공용 프레임 조립체
US10508433B2 (en)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assembly and vacuum insulating material providing method using same
KR101500313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A2722715C (en) Support bracket for anchoring overlapping cladding tiles to a wall structure
KR200405447Y1 (ko) 지붕패널
KR100837669B1 (ko) 외장재 마감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0993901B1 (ko) 벽체용 마감부재의 고정구
KR20100007586U (ko) 커튼레일 고정구
KR101789684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
KR200174254Y1 (ko) 건축물의 외장재
KR20140131244A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1248575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20100040420A (ko) 건축물 벽체용 내,외장재 설치구조
KR200441675Y1 (ko) 조립식 하우스용 연결부재
JP3636139B2 (ja) 外壁施工構造及び外壁施工方法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200186960Y1 (ko) 대리석 패널 고정장치
KR20110059937A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20110039933A (ko)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KR101665305B1 (ko) 건물 외벽용 루버
JP4450744B2 (ja) 外装仕上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