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887A -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887A
KR20140130887A KR1020130049425A KR20130049425A KR20140130887A KR 20140130887 A KR20140130887 A KR 20140130887A KR 1020130049425 A KR1020130049425 A KR 1020130049425A KR 20130049425 A KR20130049425 A KR 20130049425A KR 20140130887 A KR20140130887 A KR 2014013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lectronic device
coordinates
thumbnail
thumbnai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1148B1 (ko
Inventor
정지혜
최보근
임새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148B1/ko
Priority to US14/263,243 priority patent/US9900516B2/en
Priority to EP14166427.6A priority patent/EP2800349B1/en
Publication of KR2014013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2Repositioning or masking
    • H04N1/3873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 H04N1/3875Repositioning or masking defined only by a limited number of coordinate points or parameters, e.g. corners, centre; for trimming combined with enlarging or re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전자 장치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한 좌표를 설정하고, 설정된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전자 장치는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 입출력 기능, 카메라 기능 및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전자 장치에서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촬영된 이미지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확인하기 위해 "갤러리"(105) 프로그램이 구동된 경우, 전자 장치는 원본 이미지(103)를 갤러리(105) 프로그램의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107)에 맞게 표시한다.
하지만, 전자 장치 사용자는 썸네일 이미지를 통해 이미지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 생성의 오류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103)를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113)에 맞춰 축소(111)한 후, 잘라내기(crop)하여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115)는 원본 이미지(103)를 확인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로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103)에 포함된 초점 정보(121)를 이용하여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123)는 원본 이미지(103)를 확인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로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103)를 썸네일 이미지의 크기(113)에 맞춰 비율을 무시하여 생성한 썸네일 이미지(131)는 원본 이미지(103)를 확인하기 위한 썸네일 이미지로 적당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경우, 원본 이미지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의 좌표를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의 좌표를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의 좌표를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함으로써, 전자 장치 사용자가 썸네일이미지를 통해 이미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 기술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 및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 및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시점에 화면에 존재할 수 있는 인물 정보 및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물 정보는 카메라의 포커스 영역을 활용하며, 장소 정보는 카메라, 3D맵 정보 및 센서정보에 의한 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인물 정보의 경우, 현재 상용으로 활용하는 대부분의 카메라의 경우 얼굴의 포커스 정보를 이용하지만, 확장된 인식 엔진의 경우, 인물의 상반신, 전신 등의 인물 정보 추출이 가능하며, 특정 포즈에 대하여도 추출이 가능하다. 얼굴의 포커스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실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얼굴의 좌표를 추출하여 인물 정보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장소 정보의 경우, 카메라의 화각, 방위를 나타내는 센서정보와 2D, 3D맵과 연계된 정보로부터 추출된 화면상의 장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장소 정보를 화면상 상대적 위치와 함께 검출한다. 현재는 사진을 찍는 시점에 추출할 수 있는 지오태깅(geotagging)정보를 활용하나 이후 이 장소 정보가 확장되어 DB화 할 경우, 이미 찍힌 사진에 추가로 장소 정보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텔레비전(Television),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내비게이션, 디지털 시계, 냉장고 및 MP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220), 오디오 처리부(230), 통신 시스템(240), 입출력 제어부(250), 표시부(260), 입력부(270) 및 카메라(2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200)에 포함되는 각 구성부는 각각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210)는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2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카메라(280)를 통해 획득한 피사체에 대한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을 통해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210)는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을 통해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211)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프로그램(213),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2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부(2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할 수도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표시부(260) 상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에 의해 카메라(28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은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에 의해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은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기반으로 하여 인물의 얼굴, 상반신 및 전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물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은 이미지에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에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방위, 위치 정보, 지도 정보(2D, 3D)를 이용하여 검출한 장소 정보(동상, 건물, 유적 등)가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은 이미지에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은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은 이미지에서 인물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또는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및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응용프로그램(215)은 전자 장치(2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2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2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2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2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2) 및 주변 인터페이스(2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221)는 프로세서(2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210) 접근을 제어한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는 전자 장치(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2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221)의 연결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200)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프로세서(222)는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222)는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썸네일 이미지의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스피커(231) 및 마이크로폰(23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2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시스템(240)은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시스템(240)은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무선랜, Bluetooth 네트워크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250)는 표시부(260) 및 입력장치(27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260)는 전자장치(2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프로세서(222)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28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0)는 GUI 프로그램(213)의 제어에 따라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에 의해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27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220)으로 제공한다. 이때, 입력 장치(27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270)는 터치 패드를 통해 감지한 터치 정보를 입출력 제어부(250)를 통해 프로세서(222)로 제공한다.
카메라(280)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피사체를 획득한다. 이때, 카메라(280)에 포함된 이미지 처리 프로세서는 획득한 피사체를 미가공 데이터(raw data)의 미리 정해진 규약의 포맷을 가지는 화상프레임(RGB/YUV) 데이터로 메모리(210)에 임시로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22)는 썸네일 구성부(300), 표시 제어부(310) 및 응용프로그램 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구성부(30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의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기반으로 하여 인물의 얼굴, 상반신 및 전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물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구성부(300)는 이미지에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에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방위, 위치 정보, 지도 정보(2D, 3D)를 이용하여 검출한 장소 정보(동상, 건물, 유적 등)가 존재하는 경우, 썸네일 구성부(300)는 이미지에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썸네일 구성부(300)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구성부(300)는 이미지에서 인물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또는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및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표시 제어부(310)는 프로그램 저장부(211)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213)을 실행하여 표시부(260)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썸네일 구성부(300)에 의해 카메라(28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310)는 썸네일 구성부(300)에 의해 생성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부(26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썸네일 구성부(300)는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을 실행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썸네일 구성 프로그램(214)을 포함하는 별도의 썸네일 구성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동작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에 프리뷰로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새로고침(Refresh)하여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버퍼(buffer)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3동작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 방식으로 좌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기반으로 하여 인물의 얼굴, 상반신 및 전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물 정보에 대한 좌표를 설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방위, 위치 정보, 지도 정보(2D, 3D)를 이용하여 검출한 장소정보(동상, 건물, 유적 등)에 대한 좌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5동작에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서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에서 장소 정보를 검출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서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서 인물 정보에 대한 좌표 또는 장소 정보에 대한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및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절차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장치(means)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수단(411),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대해 좌표를 설정하는 제2수단(413) 및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3수단(4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단(411)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에 프리뷰로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새로고침(Refresh)하여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버퍼(buffer)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제2수단(413)은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 방식으로 좌표를 설정한다.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기반으로 하여 인물의 얼굴, 상반신 및 전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물 정보에 대한 좌표를 설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방위, 위치 정보, 지도 정보(2D, 3D)를 이용하여 검출한 장소 정보(동상, 건물, 유적 등)에 대한 좌표를 설정할 수도 있다.
제3수단(415)은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서 얼굴을 인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서 얼굴을 포함하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이미지에서 장소 정보를 검출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서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서 인물 정보에 대한 좌표 또는 장소 정보에 대한 좌표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 및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좌표에 따라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각각의 수단을 하나의 수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501동작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에 프리뷰로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새로고침(Refresh)하여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버퍼(buffer)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전자 장치는 503동작에서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뉴 또는 버튼 조작에 의해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에 대한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타이머에 의해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에 대한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만일,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또한,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에 프리뷰로 표시하는 동작을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505동작에서 이미지에 인물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인물 정보는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기반으로 하여 검출한 인물의 얼굴, 상반신 및 전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이미지에 인물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509동작에서 기존 방식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 사이즈로 축소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초점 정보를 중심으로 썸네일 이미지 사이즈만큼 잘라내기(crop)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에 인물 정보가 존재한 경우, 전자 장치는 507동작에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표시부(601)에 표시된 이미지(603)에서 얼굴을 인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603)에서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605)의 좌표를 설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605)의 좌표에 따라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605)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511동작에서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603)에서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605)에 대한 좌표(607 및 609) 및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701동작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구동한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에 프리뷰로 표시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새로고침(Refresh)하여 프리뷰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버퍼(buffer)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후, 전자 장치는 703동작에서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뉴 또는 버튼 조작에 의해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에 대한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타이머에 의해 프리뷰로 표시한 이미지에 대한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만일,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또한,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표시부에 프리뷰로 표시하는 동작을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미지 저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5동작에서 이미지에 장소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방위, 위치 정보, 지도 정보(2D, 3D)를 이용하여 검출한 장소(동상, 건물, 유적 등)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이미지에 장소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709동작에서 기존 방식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 사이즈로 축소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초점 정보를 중심으로 썸네일 이미지 사이즈만큼 잘라내기(crop)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에 장소 정보가 존재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7동작에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의 표시부(801)에 표시된 이미지(803)에서 "자유의 여신상(The Statue of Liberty)"을 검출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803)에서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하는 영역(805)의 좌표를 설정한다. 이때, 전자 장치는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하는 영역(805)의 좌표에 따라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하는 영역(805)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711동작에서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 후, 전자 장치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803)에서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하는 영역(805)에 대한 좌표(807 및 809) 및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이미지에 포힘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 정보 및 장소 정보의 좌표에 따라 인물 정보 및 장소 정보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903)에서 얼굴을 인식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903)에서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911)의 좌표를 설정한다. 또한, 이미지(903)에서 "자유의 여신상(The Statue of Liberty)"을 검출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미지(903)에서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하는 영역(905)의 좌표를 설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이미지(903)에서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911)에 대한 제1좌표(913), 제2좌표(915), "자유의 여신상"을 포함하는 영역(905)에 대한 제3좌표(907), 제4좌표(909)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기준 영역(921)에 대한 제5좌표(923) 및 제6좌표(925)를 설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기준 영역(921)의 좌표에 따라 기준 영역(921)의 일부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기준 영역(921)의 좌표,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은,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 인물의 상반신 및 인물의 전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은,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방위, 위치 정보, 지도 정보(2D, 3D)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동상, 건물, 유적 등)를 포함하는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상기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좌표, 상기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좌표를 검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좌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로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카메라를 통해 획득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얼굴 인식(facial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 인물의 상반신 및 인물의 전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좌표를 설정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장소 정보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카메라의 화각(angle of view), 방위, 위치 정보, 지도 정보(2D, 3D)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장소 정보(동상, 건물, 유적 등)를 포함하는 좌표를 설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상기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에 대한 좌표, 상기 썸네일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 XMP(Extensible Metadata Platform from Adobe) 및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저장하는,
    전자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이미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좌표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좌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의 일부 영역을 상기 이미지의 썸네일 이미지로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1020130049425A 2013-05-02 2013-05-02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1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425A KR102111148B1 (ko) 2013-05-02 2013-05-02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263,243 US9900516B2 (en) 2013-05-02 2014-04-28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EP14166427.6A EP2800349B1 (en) 2013-05-02 2014-04-29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425A KR102111148B1 (ko) 2013-05-02 2013-05-02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887A true KR20140130887A (ko) 2014-11-12
KR102111148B1 KR102111148B1 (ko) 2020-06-08

Family

ID=5081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425A KR102111148B1 (ko) 2013-05-02 2013-05-02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00516B2 (ko)
EP (1) EP2800349B1 (ko)
KR (1) KR102111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387B1 (ko) * 2021-04-23 2022-01-12 주식회사 엘젠아이씨티 식당 예약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9661B2 (en) 2017-05-31 2021-1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umbnail generation for digital images
US10769207B2 (en) * 2017-08-17 2020-09-08 Opentv, Inc. Multimedia focaliz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7563A1 (en) * 2002-02-07 2003-08-07 Min Liu Transformation of images
US20060227384A1 (en) * 2005-04-12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100214321A1 (en) * 2009-02-24 2010-08-26 Nokia Corporation Image object detection brows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3396B2 (ja) 1999-04-12 2009-04-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3539394B2 (ja) * 2001-03-26 2004-07-07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675563B2 (en) * 2002-11-15 2010-03-09 Seiko Eps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JP2004336343A (ja) * 2003-05-07 2004-11-25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
US7469064B2 (en) * 2003-07-11 2008-12-23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US7694213B2 (en) * 2004-11-01 2010-04-06 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Video content creating apparatus
JP2006270578A (ja) 2005-03-24 2006-10-05 Brother Ind Ltd 画像提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提示装置
JP4538386B2 (ja) * 2005-07-06 2010-09-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対象画像記録装置および撮像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7089086A (ja) 2005-09-26 2007-04-05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情報端末及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KR100811796B1 (ko) 2007-03-30 2008-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초점 정보를 이용한 영상 표시 방법
US8009921B2 (en) 2008-02-19 2011-08-30 Xerox Corporation Context dependent intelligent thumbnail images
US8711265B2 (en) 2008-04-24 2014-04-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5376403B2 (ja) 2009-09-02 2013-12-25 株式会社リコー 映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151398A1 (en) * 2010-12-09 2012-06-14 Motorola Mobility, Inc. Image Tagging
JP2013070164A (ja) * 2011-09-21 2013-04-18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935039B1 (ko) * 2012-09-11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20140143858A1 (en) * 2012-11-16 2014-05-22 Infineon Technologies Ag Processing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a machine-to-human communications interface
US20140321770A1 (en) * 2013-04-24 2014-10-30 Nvid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 image thumbna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7563A1 (en) * 2002-02-07 2003-08-07 Min Liu Transformation of images
US20060227384A1 (en) * 2005-04-12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20100214321A1 (en) * 2009-02-24 2010-08-26 Nokia Corporation Image object detection brow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387B1 (ko) * 2021-04-23 2022-01-12 주식회사 엘젠아이씨티 식당 예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00349A1 (en) 2014-11-05
US9900516B2 (en) 2018-02-20
US20140327806A1 (en) 2014-11-06
EP2800349B1 (en) 2019-12-18
KR102111148B1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2954B (zh) 视频分析的方法和装置
CN108513070B (zh) 一种图像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94094B1 (ko) 가상과 실제 물체의 합성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2018887B1 (ko) 신체 부위 검출을 이용한 이미지 프리뷰
KR102076773B1 (ko) 영상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114377B1 (ko) 전자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프리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7003221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icture processing
JP6259095B2 (ja) パノラマ画像を取得する方法及び端末
KR102220443B1 (ko) 깊이 정보를 활용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999137B1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WO2014168389A1 (en) Objects in screen images
KR102327779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JPWO2017056942A1 (ja) 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355998B (zh) 视频处理方法及装置
KR20140106779A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US20190387176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WO2014010324A1 (ja) 画像変形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9052866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mage registration and display
KR102082365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5126326A (ja) 電子機器及び画像処理方法
JP5564633B2 (ja) 立体画像表示制御装置、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制御方法
KR102111148B1 (ko) 썸네일 이미지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4020387A (zh) 终端的截屏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4363678A (zh) 一种投屏方法及设备
US112655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