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490A -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490A
KR20140130490A KR1020147026215A KR20147026215A KR20140130490A KR 20140130490 A KR20140130490 A KR 20140130490A KR 1020147026215 A KR1020147026215 A KR 1020147026215A KR 20147026215 A KR20147026215 A KR 20147026215A KR 20140130490 A KR20140130490 A KR 2014013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tran
mobile station
path
network
ger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089B1 (ko
Inventor
가쯔또시 니시다
도시유끼 다무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6In-session procedures session scope mod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04W36/00224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 H04W36/00226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between packet switched [PS] and circuit switched [CS] network technologies, e.g. circuit switched fallback [CSFB] wherein the core network technologies comprise IP multimedia system [IMS], e.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3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between licens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18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 H04M2207/187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wireless networks combining circuit and packet-switched, e.g. GP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방법은, UE#1이, UE#1의 재권(existence) 네트워크 내의 P-CSCF/VAT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하는 공정과, P-CSCF/VATF가, IMS에 대해, 'INVITE'를 송신하는 공정과, P-CSCF/VATF가, IMS로부터 수신한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상술한 음성통신용 경로에 대해, MGW#1을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2G/3G 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혹은, GERAN: GSM EDGE Radio Access Network), 및,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를 수용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3GPP TS23.216에 있어서, UE(User Equipment)#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 신용 경로를, E-UTRAN 혹은 UTRAN을 통한 경로(VoIP(Voice over IP) 통신용 경로) 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회선교환(CS: Circuit Switch) 통신용 경로)로 전환하는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방식'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또, 3GPP TR23.856 v0.4.1의 Alt.4나 Alt.11 등에 있어서, UE#1의 재권(在圈) 네트워크 내의 MGW(Media Gateway)#1을 앵커 포인트로서,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SRVCC 방식(이하, SRVCC 개선방식이라 부른다)이 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SRVCC 개선방식에 의하면,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를, UE#1의 재권 네트워크 내에서 종단(終端)할 수 있으며, 종래의 SRVCC 방식과 비교하여, 이러한 신호의 UE#1의 재권 네트워크와 UE #1의 홈 네트워크와의 사이의 왕복에 기인하는 통신 순단(瞬斷)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설정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1에 있어서, UE#1은, P-CSCF(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VATF(Visited Access Transfer Function)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2에 있어서, P-CSCF/VATF는, 이러한 경로에 대해, MGW#1을 할당한다.
또한, P-CSCF/VATF는, I/S-CSCF(Interrogation/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에 대해, MGW#1의 식별정보, 및,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 'eSRVCC'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3에 있어서, I/S-CSCF는, SCC AS(Service Centralization and Continuity Application Server)에 대해, 'eSRVCC'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4에 있어서, SCC AS는, I/S-CSC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하고, 단계 5에 있어서, I/S-CSCF는, UE#2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6에 있어서, UE#2는, I/S-CSCF에 대해, '200 OK('INVITE'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7에 있어서, I/S-CSCF는, SCC AS에 대해, '200 OK'를 송신하고, 단계 8에 있어서, SCC AS는, I/S-CSCF에 대해, '200 OK'를 송신하고, 단계 9에 있어서, I/S-CSCF는, P-CSCF/VATF에 대해, '200 OK'를 송신하고, 단계 10에 있어서, P-CSCF/VATF는, UE#1에 대해, '200 OK'를 송신한다.
이 결과,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시그널링 경로가, UE#1과 P-CSCF/VATF와 I/S-CSCF와 UE#2와의 사이에서 설정되고,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미디어 신호 경로가, UE#1과 MGW#1과 UE#2와의 사이에서 설정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하는 수순에서는, UE#1이 SRVCC 방식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 등,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해서도, MGW#1이 할당되어 버리기 때문에, MGW#1의 리소스를 쓸데없이 소비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MGW#1의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과 제2 이동국과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전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1 세션 제어 노드에 대해,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포함하는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가,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포함하는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의 할당요구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가,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를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과 제2 이동국과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전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이,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수순에 있어서,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1 세션 제어 노드에 대해,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통지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에 대해,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가,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를 할당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과 제2 이동국과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전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이,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수순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통지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이동국이,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에 대해,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가,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해,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가,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의 할당요구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과,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가,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를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과 제2 이동국과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전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1 세션 제어 노드는, 상기 제1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포함하는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포함하는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의 할당요구 신호를 송신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는,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과 제2 이동국과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전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1 세션 제어 노드는, 상기 제1 이동국의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수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취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는, 상기 제1 이동국으로부터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를 할당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소정 노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과 제2 이동국과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전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이동국의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수순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을 취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는, 상기 제1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1 이동국의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의 할당요구신호를 송신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세션 제어 노드는, 상기 서비스 제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노드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GW#1의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는, E-UTRAN과, UTRAN/GERAN이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UE#1의 재권 네트워크에 있어서, eNB(무선기지국)나,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무선 회선 제어국)나, NodeB(무선기지국)나, BSS(미도시)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동 관리 노드)나, S-GW(Serving-Gateway, 서빙 게이트웨이 장치)나, P-GW(PDN-Gateway, PDN 게이트웨이 장치)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나, P-CSCF/VATF나, MGW#1이나, MSC(Mobile-service Switching Center, 회선 교환기)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패킷 교환기)이나, MSC 서버나, MGW#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P-CSCF 및 VATF는, 동일한 장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으며, 개별의 장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VATF는, 예를 들면, P-GW나, S-GW나, IBCF(TS23.228에 기재된 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 미도시)와 같은 장치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은, UE#1의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SCC AS나, I/S-CSCF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SRVCC 방식이나 SRVCC 개선방식에 의해,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 혹은 UTRAN을 통한 경로(IMS VoIP 통신용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회선교환통신용 경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설정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01에 있어서, UE#1은, P-CSCF/VATF에 대해, UE#1이 SRVCC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나타내는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S1002에 있어서, P-CSCF/VATF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내의 I/S-CSCF에 대해,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eSRVCC' 및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I/S-CSCF는, 단계 S1003에 있어서,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UE#1의 가입자 프로파일이나, 수신한 'INVITE'에 포함되어 있는 SRVCC 능력이나, UE#1의 홈 네트워크나 재권 네트워크의 폴리시 등에 의해,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판정하고, 단계 S1004에 있어서, IMS 내의 SCC AS에 대해, 이러한 판정결과를 나타내는 'eSRVCC'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S1005에 있어서, SCC AS는, I/S-CSCF에 대해, MGW#1의 할당요구신호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또한, 본 신호에 있어서, MGW#1의 할당요구 신호가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단계 S1006에 있어서, I/S-CSCF는, P-CSCF/VATF에 대해, 이러한 할당요구신호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P-CSCF/VATF는, 단계 S1007에 있어서,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MGW#1을 할당하고, 단계 S1008에 있어서, I/S-CSC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S1009에 있어서, I/S-CSCF는, UE#2에 대해, 'INVITE'를 송신하고, 단계 S1010에 있어서, UE#2는, I/S-CSCF에 대해, '200 OK('INVITE'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1011에 있어서, I/S-CSCF는, SCC AS에 대해, '200 OK'를 송신하고, 단계 S1012에 있어서, SCC AS는, I/S-CSCF에 대해, '200 OK'를 송신하고, 단계 S1013에 있어서, I/S-CSCF는, P-CSCF/VATF에 대해, '200 OK'를 송신하고, 단계 S1014에 있어서, P-CSCF/VATF는, UE#1에 대해, '200 OK'를 송신한다.
이 결과,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시그널링 경로가, UE#1과 P-CSCF/VATF와 UE#2와의 사이에서 설정되고,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미디어 신호 경로가, UE#1과 MGW#1과 UE#2와의 사이에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 통신용 경로 중,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경로에 대해서는, MGW#1을 할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MGW#1의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변경예 1)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첫째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변경예 1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UE #1의 IMS Registration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3001에 있어서, UE#1이, P-CSCF/VATF에 대해, UE#1이 SRVCC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나타내는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MS Registration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P-CSCF/VATF는, 단계 S3002에 있어서, 이러한 SRVCC 능력을 저장하고, 단계 S3003에 있어서, I/S-CSCF에 대해, 이러한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MS Registration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3004에 있어서, I/S-CSCF는, SCC AS에 대해, 이러한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MS Registration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S3005에 있어서, SCC AS가, I/ S-CSCF에 대해, IMS Registration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3006에 있어서, I/S-CSCF가, P-CSCF/VATF에 대해, IMS Registration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S3007에 있어서, P-CSCF/VATF가, UE#1에 대해, IMS Registration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둘째로, 도 4를 참조하여,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설 정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4001에 있어서, UE#1은, P-CSCF/VAT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S4002에 있어서, P-CSCF/VATF는, 단계 S3002에 있어서 저장한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MGW#1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P-CSCF/VATF는, SRVCC 능력이, UE#1이 SRVCC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MGW#1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계 S4002에 있어서, P-CSCF/VATF는, I/S-CSCF에 대해, 'eSRVCC'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S4003에 있어서, I/S-CSCF는, SCC AS에 대해, 'eSRVCC'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S4005에 있어서, SCC AS는, I/S-CSC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이하, 단계 S4006 내지 S4011의 동작은, 도 2에 도시하는 단계 S1009 내지 S1014의 동작과 동일하다.
(변경예 2)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과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첫째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변경예 2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UE #1의 IMS Registration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5001에 있어서, UE#1이, P-CSCF/VATF에 대해, UE#1이 SRVCC 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에 대해 나타내는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MS Registration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5002에 있어서, P-CSCF/VATF는, I/S-CSCF에 대해, 이러한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MS Registration 요구신호를 송신한다.
I/S-CSCF는, 단계 S5003에 있어서, 이러한 SRVCC 능력을 저장하고, 단계 S5004에 있어서, SCC AS에 대해, 이러한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MS Registration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S5005에 있어서, SCC AS가, I/S-CSCF에 대해, IMS Registration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단계 S5004에서는, 이러한 SRVCC 능력이 통지되지 않아도 좋다.
단계 S5006에 있어서, I/S-CSCF가, P-CSCF/VATF에 대해, IMS Registration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단계 S5007에 있어서, P-CSCF/VATF가, UE#1에 대해, IMS Registration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둘째로, 도 6을 참조하여,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설 정하는 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6001에 있어서, UE#1은, P-CSCF/VAT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한다.
단계 S6002에 있어서, P-CSCF/VATF는, I/S-CSCF에 대해, 'eSRVCC'를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한다.
I/S-CSCF는, 단계 S6003에 있어서, HSS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UE#1의 가입자 프로파일이나, 단계 S3002에 있어서 저장한 SRVCC 능력이나, UE#1의 홈 네트워크나 재권 네트워크의 폴리시 등에 의해,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해야 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이하, 단계 S6004 내지 S6014의 동작은, 도 2에 도시하는 단계 S1004 내지 S1014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E-UTRAN(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과, UTRAN/GERAN(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을 구비하고 있으며, UE#1(제1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MGW#1(소정 노드)에 있어서,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SRVCC 개선방식(전환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UE#1이, UE#1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P-CSCF/VATF(제1 세션 제어 노드)에 대해, SRVCC 능력(제1 이동국의 능력)을 포함하는 'INVITE(세션개시 요구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P-CSCF/VATF가, IMS(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해,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하는 공정과, IMS가,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MGW#1의 할당요구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과, P-CSCF/VATF가, IMS로부터 수신 한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MGW#1을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E-UTRAN과, UTRAN/GERAN을 구비하고 있으며, UE #1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MGW#1에 있어서,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UE #1이, IMS Registration 수순(서비스 제어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수순)에 있어서, P-CSCF/VATF에 대해, SRVCC 능력을 통지하는 공정과, UE#1이, P-CSCF/VAT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하는 공정과, P-CSCF/VATF가,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MGW#1 을 할당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E-UTRAN과, UTRAN/GERAN을 구비하고 있으며, UE #1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MGW#1에 있어서,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에 있어서, UE #1이, IMS Registration 수순에 있어서, IMS에 대해, SRVCC 능력을 통지하는 공정과, UE#1이, P-CSCF/VATF에 대해, 'INVITE'를 송신하는 공정과, P-CSCF/VATF가, IMS에 대해, 'INVITE'를 송신하는 공정과, IMS가,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MGW#1 의 할당요구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공정과, P-CSCF/VATF가, IMS로부터 수신한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MGW#1을 할당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은, E-UTRAN과, UTRAN/GERAN을 구비하고 있으며, UE #1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MGW#1에 있어서,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P-CSCF/VATF는, UE#1로부 터,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NVITE'를 수신한 경우, IMS에 대해, SRVCC 능력을 포함하는 'INVITE'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IMS는,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MGW#1의 할당요구신호를 송신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P-CSCF/VATF는, IMS로부터 수신한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MGW#1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5 특징은, E-UTRAN과, UTRAN/GERAN을 구비하고 있으며, UE #1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MGW#1에 있어서,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P-CSCF/VATF는, UE#1의 IMS Registration 수순에 있어서, SRVCC 능력을 취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P-CSCF/VATF는, UE#1로부터 'INVITE'를 수신한 경우에, 저장하고 있는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MGW#1을 할당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6 특징은, E-UTRAN과, UTRAN/GERAN을 구비하고 있으며, UE #1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MGW#1에 있어서, UE#1과 UE#2와의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SRVCC 개선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IMS는, UE#1의 IMS Registration 수순에 있어서, SRVCC 능력을 취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IMS는, UE#1에 의해 송신된 'INVITE'를 수신한 경우, 저장하고 있는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MGW#1의 할당요구신호를 송신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P-CSCF/VATF는, IMS로부터 수신한 할당요구신호에 기초하여, MGW#1을 할당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상술한 MSC 서버, MGW#1, MGW#2, MME, S-GW, P-GW, P-CSCF/VATF, I /S-CSCF, SCC AS, SGSN, MSC, UE#1, UE#2, RNC, NodeB, eNB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대해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이러한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러한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ASIC은, MSC 서버, MGW#1, MGW#2, MME, S-GW, P-GW, P-CSCF/VATF, I/S-CSCF, SCC AS, SGSN, MSC, UE#1, UE#2, RNC, NodeB, eNB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러한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MSC 서버, MGW #1, MGW#2, MME, S-GW, P-GW, P-CSCF/VATF, I/S-CSCF, SCC AS, SGSN, MSC, UE#1, UE#2, RNC, NodeB, eNB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 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 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 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GW#1의 리소스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UE#1, UE#2…이동국
MME…이동 관리 노드
SGSN…패킷 교환기
MSC…회선 교환기
S-GW, P-GW…게이트웨이 장치

Claims (6)

  1.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GERAN)와,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통신 상대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SRVCC(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용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통신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어 노드에 대해, INVITE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어 노드가, 상기 이동국의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환할지를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방법.
  2.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GERAN)와,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통신 상대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SRVCC용 이동통신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어 노드에 대해, INVITE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노드가, 상기 이동국의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환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
  3.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GERAN)와,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통신 상대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SRVCC용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의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어 노드에 대해, INVITE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의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상기 경로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환할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통신방법.
  4.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GERAN)와,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통신 상대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SRVCC용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국으로서,
    상기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어 노드에 대해, INVITE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이동국의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상기 경로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환할지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5.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GERAN)와,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통신 상대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SRVCC용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어 노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INVITE 신호를 수신하는 공정과,
    상기 이동국의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환할지를 결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노드의 제어방법.
  6.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제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와, 회선교환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제2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GERAN)와,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과 상기 이동국의 통신 상대 사이의 음성통신용 경로를,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E-UTRAN을 통한 경로로부터 상기 UTRAN/GERAN을 통한 경로로 전환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는 SRVCC용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상기 이동국의 재권 네트워크 내의 제어 노드로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INVITE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국의 SRVCC 능력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를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전환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노드.
KR1020147026215A 2010-06-04 2011-03-17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KR101609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9116A JP4834167B1 (ja) 2010-06-04 2010-06-04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JP-P-2010-129116 2010-06-04
PCT/JP2011/056329 WO2011152102A1 (ja) 2010-06-04 2011-03-17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33160A Division KR101481251B1 (ko) 2010-06-04 2011-03-17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490A true KR20140130490A (ko) 2014-11-10
KR101609089B1 KR101609089B1 (ko) 2016-04-05

Family

ID=450664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33160A KR101481251B1 (ko) 2010-06-04 2011-03-17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KR1020147026215A KR101609089B1 (ko) 2010-06-04 2011-03-17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7033160A KR101481251B1 (ko) 2010-06-04 2011-03-17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9408131B2 (ko)
EP (2) EP2963973B1 (ko)
JP (1) JP4834167B1 (ko)
KR (2) KR101481251B1 (ko)
CN (2) CN105072102B (ko)
BR (3) BR112012030772A2 (ko)
ES (1) ES2741580T3 (ko)
IL (3) IL223378A (ko)
MX (1) MX2012013941A (ko)
RU (4) RU2526843C1 (ko)
TR (1) TR201908256T4 (ko)
WO (1) WO2011152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4232B2 (ja) 2010-08-06 2012-05-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9131013B2 (en) 2011-07-29 2015-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iloring content to be delivered to mobile device based upon features of mobile device
US9526037B2 (en) 2013-02-04 2016-12-20 Apple Inc. SRVCC handover indication for remote party to voice call
CN108966299B (zh) * 2014-12-08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切换的方法和装置
CA2982147A1 (en) * 2017-10-12 2019-04-12 Rockport Networks Inc. Direct interconnect gatewa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9851D0 (en) * 1999-08-20 1999-10-27 Lucent Technologies Inc Core network allocation for gsm/umts
GB0314252D0 (en) * 2003-06-19 2003-07-23 Ericsson Telefon Ab L M Conversational bearer negotiation
US6975881B2 (en) * 2003-08-25 2005-12-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during a cell reselection
FI20050500A0 (fi) * 2005-05-11 2005-05-11 Nokia Corp Menetelmä järjestelmien välisten kanavanvaihtojen toteutta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EP3253033A1 (en) * 2006-12-29 2017-12-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processing after network element fails
CN101212814A (zh) * 2006-12-29 2008-07-0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网元数据失效或发生故障后的业务处理方法、系统及网元
CN101330715B (zh) * 2007-06-20 2011-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Cs控制sr vcc中建立呼叫控制语音信令承载的方法及设备
CN101370266B (zh) * 2007-08-19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终端重新附着方法
ES2525377T3 (es) * 2007-08-29 2014-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tilización de WLAN para transporte de medios en redes móviles celulares
US8340627B2 (en) 2008-01-04 2012-12-25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voice call continuity (VCC) for wireless emergency calls
ATE536721T1 (de) 2008-01-14 2011-12-15 Nortel Networks Ltd Koexistenz von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lösungen
CN101227677B (zh) 2008-02-05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单无线信道语音业务连续性的域切换方法
JP2011523239A (ja) 2008-03-17 2011-08-04 ノーテル・ネットワークス・リミテッド パケット交換マルチメディア加入者サービスを提供するアーキテクチャにより規定された機能との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移動交換センタプラットフォーム
EP2338299A2 (en) * 2008-10-15 2011-06-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software for extending the mme-ganc interface to report which ues have registered for the gan to tunnel cs voice over evolved packet system (eps)
EP2364562B1 (en) 2008-11-10 2013-05-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srvcc) from cs to lte
GB2469875B (en) * 2009-05-01 201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ro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1132927A2 (en) * 2010-04-21 2011-10-27 Lg Electron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n rsrvcc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63973A1 (en) 2016-01-06
RU2630785C2 (ru) 2017-09-13
JP4834167B1 (ja) 2011-12-14
RU2015147655A (ru) 2017-05-12
US9813971B2 (en) 2017-11-07
KR101481251B1 (ko) 2015-01-09
US20180007609A1 (en) 2018-01-04
BR122015017458A2 (pt) 2019-01-22
KR101609089B1 (ko) 2016-04-05
BR122016014724B1 (pt) 2022-05-17
MX2012013941A (es) 2013-05-06
US9408131B2 (en) 2016-08-02
RU2570826C1 (ru) 2015-12-10
KR20130033384A (ko) 2013-04-03
CN105072102A (zh) 2015-11-18
CN103004261B (zh) 2016-04-27
EP2963973B1 (en) 2019-05-08
TR201908256T4 (tr) 2019-06-21
CN103004261A (zh) 2013-03-27
RU2526843C1 (ru) 2014-08-27
EP2579647A1 (en) 2013-04-10
IL247000A (en) 2017-02-28
ES2741580T3 (es) 2020-02-11
RU2675071C1 (ru) 2018-12-17
EP2579647A4 (en) 2016-06-29
IL240110A0 (en) 2015-09-24
BR112012030772A2 (pt) 2016-11-01
RU2012153780A (ru) 2014-07-20
WO2011152102A1 (ja) 2011-12-08
US20150334605A1 (en) 2015-11-19
BR122016014724A2 (pt) 2019-08-27
JP2011259017A (ja) 2011-12-22
CN105072102B (zh) 2019-05-31
IL223378A (en) 2017-09-28
IL240110A (en) 2017-09-28
US20130070655A1 (en)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5071C1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101372447B1 (ko)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통신시스템
JP5456708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呼セッション制御ノード
WO2012157429A1 (ja)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JP5626166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の通信方法、移動局、制御ノードの制御方法及び制御ノード
US9363295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lication server apparatus
JP5615194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ノード
WO2011152463A1 (ja)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