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435A -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 Google Patents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435A
KR20140130435A KR1020147022039A KR20147022039A KR20140130435A KR 20140130435 A KR20140130435 A KR 20140130435A KR 1020147022039 A KR1020147022039 A KR 1020147022039A KR 20147022039 A KR20147022039 A KR 20147022039A KR 20140130435 A KR20140130435 A KR 20140130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s
series
views
display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트 제라드 베르나르드 바렌브루그
왈터스 안토니어스 헨드리쿠스 로엘렌
Original Assignee
울트라-디 코퍼라티에프 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트라-디 코퍼라티에프 유.에이. filed Critical 울트라-디 코퍼라티에프 유.에이.
Publication of KR2014013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1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6Pseudo-stereoscopic systems, i.e. systems wherein a stereoscopic effect is obtained without sending different images to the viewer's ey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하고; 그리고 (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며, 그리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거나, (ⅱ)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그리고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 및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고 - 먼저 언급된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는 이미지들의 각 시리즈 각각의 이미지들의 총수에 비례하여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보다 큼-, 입체 시청(110)을 제공하기 위해 3D 디스플레이(140)에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제공하기 하며 그리고 슈도스코픽 시청(112)을 제공하기 위해 3D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Description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DISPLAY PROCESSOR FOR 3D DISPLAY}
본 발명은 3D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 태블릿 디바이스, 디지털 사진 프레임 및 스마트폰,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것이다.
3D 디스플레이들, 및 특히 3D 디스플레이들이 구비된 텔레비전은 그것들이 시청자에게 깊이의 입체 인지를 제공함에 따라 소비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인기 있다. 소위 자동입체(autostereoscopic) 3D 디스플레이는 시청자가 편광 또는 셔터-기반 안경을 쓸 필요없이 상기 깊이의 입체 인지를 제공한다. 그 때문에,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 어레이들과 같은 광학 컴포넌트들이 사용되는데, 이는 디스플레이가 뷰잉 콘(viewing cone)을 각각의 주어진 점에서 3D 디스플레이로 방출하게 할 수 있으며, 뷰잉 콘은 적어도 장면(scene)의 좌측 뷰 및 우측 뷰를 포함한다. 이는 시청자가 뷰잉 콘 내에서 적절히 위치될 때 각각의 눈으로 상이한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한다.
종종 오토멀티스코픽(aoutomultiscopic) 디스플레이들로서 지칭되는 특정 자동입체 디스플레이들은 단지 좌측 및 우측 뷰 대신 동일한 장면의 복수의 뷰들을 제공한다. 이는 시청자가 뷰잉 콘에서 다수의 위치들로 가정하게 하고, 즉, 여전히 장면의 입체 인지를 획득하면서 디스플레이의 앞에서 좌-우로 움직이게 한다.
그러나, 시청자에 의해 가정된 모든 위치들이 장면의 입체 인지를 획득하기 위해 동일하게 적합하지 않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뷰잉 콘의 시리즈(series)로서 뷰잉 콘을 반복하도록 배열된 경우, 시청자는 예를 들어, 좌측 눈이 주어진 뷰잉 콘의 최외각 우측 뷰를 인지하고, 우측 눈이 인접한 뷰잉 콘의 최외각 좌측 뷰를 인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청 위치(viewing position)에서, 시청자는 소위 장면의 슈도스코픽(pseudoscopic) 인지를 획득하는데, 여기서, 장면은 종종 깊이를 갖도록 나타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슈도스코픽 인지는 두통 및 시각적 긴장의 다른 증상들을 초래한다고 알려졌다.
게다가, 상술한 시청 위치들에서, 양자의 뷰들 사이의 차이는 뷰잉 콘들의 시리즈 내의 다른 시청 위치들에서보다 크다. 그 결과, 임의의 시각적 긴장이 더 악화된다. 상기 시청 위치는 이하에서 추가(extra)-슈도스코픽 시청 위치로 지칭될 것이고, 즉, 슈도스코픽 시청(pseudoscopic viewing)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2개의 가장 상이한 뷰들, 예를 들어, 인접한 뷰잉 콘들의 가장-좌측 및 가장-우측 뷰에 대응하는 차이를 제공할 것이다. 상기 시청 위치는 또한 종종 슈퍼-슈도스코픽 시청 위치로 지칭된다.
WO 2005/091050 A1은 다수의 뷰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멀티-뷰(multi-view)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는데, 디스플레이될 객체와 관련된 각각의 시야각들을 갖는 다수의 뷰들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수의 뷰잉 콘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광학 수단 - 다수의 뷰잉 콘의 첫 번째 뷰잉 콘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관련된 뷰들의 각도 분포를 가짐 -, 및 광학 수단에 각 뷰들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세트들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미지 데이터의 세트들은 각도 분포가 증가하는 시야각을 갖는 인접한 뷰들의 제 1 부분 및 감소하는 시야각을 갖는 인접한 뷰들의 제 2 부분을 갖고, 각도 분포가 최대 시야각에 대응하는 최대 뷰와 최소 시야각에 대응하는 최소 뷰 사이에서 뷰들의 첫 번째 뷰들을 갖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상술한 멀티-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시청자에게 입체 시청(stereoscopic viewing)을 제공하는 인접한 뷰들의 제 1 부분, 및 시청자에게 슈도스코픽 시청을 제공하는 인접한 뷰들의 제 2 부분을 제공한다. 일부 슈도스코픽 이미지들을 생성함으로써, 슈퍼-슈도스코픽 영역들이 방지될 수 있다고 한다.
상술한 멀티-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문제는 멀티-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시청자들에게 제공된 뷰들의 품질이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3D 디스플레이 상의 3D 이미지 데이터의 개선된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또는 방법을 갖는 것은 유리할 것이다.
이런 걱정을 더 잘 다루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3D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제공하며, 3D 디스플레이는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 중 각 하나의 각각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들의 시리즈를 인접하게 방출하도록 배열되고, 뷰들의 시리즈는 각각의 뷰잉 콘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입체 시청을 가능하게 하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각각의 뷰잉 콘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입체 시청을 제공하도록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적어도 각각의 뷰잉 콘의 추가 시청 위치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슈도스코픽 시청을 제공하도록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도록 - 제 2 부분은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에 인접함- ;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그리고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들을 생성하도록; 그리고 (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또는 (ⅱ)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그리고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 및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 먼저 언급된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는 이미지들의 각 시리즈 각각의 이미지들의 총수에 비례하여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보다 큼- 배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서, 개시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서, 개시된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태블릿 디바이스, 디지털 사진 프레임 또는 스마트폰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서, 3D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3D 디스플레이는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 중 각 하나의 각각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들의 시리즈를 인접하게 방출하도록 배열되고, 뷰들의 시리즈는 각각의 뷰잉 콘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입체 시청을 가능하게 하며, 방법은 각각의 뷰잉 콘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입체 시청을 제공하도록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각각의 뷰잉 콘의 추가 시청 위치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슈도스코픽 시청을 제공하도록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 제 2 부분은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에 인접함- ;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그리고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들을 생성하는 단계; 및 (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또는 (ⅱ)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그리고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 및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는 단계 - 먼저 언급된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는 이미지들의 각 시리즈 각각의 이미지들의 총수에 비례하여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보다 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에서, 프로세서 시스템이 개시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상술한 대책들은 3D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제공한다. 3D 이미지 데이터는 입체 시청을 제공하는 이미지 데이터이고, 즉, 시청자의 눈들의 각각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장면의 조금 상이한 뷰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시청자는 깊이의 느낌이 제공된다. 3D 디스플레이는 전형적으로 3D 디스플레이 상의 주어진 위치로부터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들의 시리즈를 근접하게 방출하기 위한 광학 수단을 포함하는 소위 자동입체 멀티-뷰 디스플레이이다. 뷰들의 시리즈는 3D 디스플레이로부터 비롯된 뷰잉 콘의 형태로 방출되며, 뷰잉 콘은 반복된 뷰잉 콘의 시리즈 중 하나이고,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의 각 하나 각각은 상술한 뷰들의 시리즈를 포함하며, 다른 뷰잉 콘들에 대하여 상이한 각도 방향으로 3D 디스플레이에 의해 방출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뷰들의 시리즈의 부분으로서, 뷰잉 콘의 각각에서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입체 시청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 뷰잉 콘들의 각각에서 입체 시청 영역을 제공하는 뷰들의 제 1 부분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뷰잉 콘들의 각각 내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시청자는 그의 눈들의 각각으로 3D 이미지 데이터의 장면의 조금 상이한 뷰를 인지할 수 있고, 뷰들의 차이는 깊이의 느낌을 제공한다. 개념적으로, 제 1 위치의 뷰들은 3D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장면으로 향하고 상기 장면의 전방에서 그리고 그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뷰들에 대응하는 뷰들의 시리즈를 형성한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뷰들의 시리즈의 일부로서, 뷰잉 콘들의 각각에서의 적어도 추가 시청 위치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슈도스코픽 시청을 제공하고, 그에 의해 뷰잉 콘들의 각각에서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을 제공하는 뷰들의 제 2 부분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의사-입체 시청으로서 알려진 슈도스코픽 시청은 3D 이미지 데이터에서의 장면의 조금 상이한 뷰를 인지하는 시청자의 눈들의 각각을 지칭하지만, 뷰들은 입체 시청에 대하여 반전된다. 슈도스코픽 시청은, 예를 들어, 우측 눈으로 보도록 의도된 뷰가 좌측 눈으로 보이고, 좌측 눈으로 보도록 의도된 뷰가 우측 눈으로 보일 때 획득된다. 그 결과, 시청자에게 반전된 그리고 그에 의해 전형적으로 깊이의 비정상적 느낌이 제공된다.
제 2 부분은 뷰들의 시리즈에서의 제 1 부분에 인접한다. 그 결과, 시청자는 입체 시청 영역으로부터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입체 시청으로부터 슈도스코픽 시청으로 끊김 없이 전이할 수 있다. 필연적으로,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이 예를 들어, 인접한 뷰잉 콘에 배치되어 있는, 주어진 입체 시청 영역에서의 가장-우측 뷰와 인접한 입체 시청 영역에서의 가장-좌측 뷰 사이의 차이 또는 불일치를 뷰들의 제 2 부분에 걸쳐 분포시키기 때문에,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영역들은 감소하거나 방지된다. 따라서, 입체 시청 영역에 인접한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을 의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위치에서의 다르게 인지되는 차이는 다수의 뷰들에 걸쳐 분포된다. 상기 차이, 및 따라서 관련된 시각적 긴장은 제 2 부분에서 증가는 수의 뷰들에 의해 감소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더 배열된다.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 이미지들을 직접 획득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은 예를 들어, 3D 이미지 데이터가 소위 이미지+깊이 포맷으로 제공될 때,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이미지들을 뷰 렌더러(renderer)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은 또한, 예를 들어, 3D 이미지 데이터가 소위 좌측+우측 이미지 포맷으로 제공될 때,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 합성을 수행하는 것, 또는 상기 이미지들을 뷰 합성기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들은 또한 이미지 데이터가 멀티-뷰 포맷으로 제공될 때, 즉, 뷰들의 시리즈를 포함할 때,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 있다. 용어 원래 이미지들은 3D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장면의 상이한 뷰를 각각 나타내는, 즉, 장면에 대하여 카메라들의 상이한 위치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지칭하고, 장면의 각각의 상이한 뷰는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직접 유도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유도된 이미지들을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하도록 더 배열된다. 여기서, 용어 유도하는(deriving) 및 유도된(derived)은 보간 및/또는 보외(extrapolation), 예를 들어, 원래 이미지들 및/또는 원래 이미지들 다음에 보외된 이미지들 사이의 보간된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것을 지칭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적어도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바와 같은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더 생성한다.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는 유도된 이미지들에 더하여 원래 이미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원래 이미지들은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직접 획득되는 반면, 보간된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은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되고 따라서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직접 획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간된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과 상이하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상술한 바와 상이한 유사한 방식으로,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도록, 또는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획득하고,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하며, 그리고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 및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더 배열된다. 다시, 용어들 유도하는 및 유도된은 보간 및/또는 보외, 예를 들어,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및/또는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다음에 보외된 이미지들 사이에 보간된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것을 지칭한다. 게다가,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가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경우, 먼저 언급한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는 이미지들의 각 시리즈 각각에서 이미지들의 총수에 비례하여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보다 크다.
상술한 대책들은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은 각각의 부분에서 이미지들의 총수에 비례하여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보다 많은 보간된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로 구성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제 2 부분에서보다 제 1 부분에서 뷰들의 더 큰 비율이 보간 및/또는 보외된다. 시청자는 따라서 뷰잉 콘들의 각각의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에서보다 입체 시청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을 마주할 것이다.
본 발명은 두개의 다른 관련없는 기법들이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인지에 부분적으로 기반한다. 제 1 기법은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과 같이, 예를 들어, 뷰 렌더링 또는 뷰 합성을 이용하여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들을 생성할 때, 연산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간 및/또는 보외의 사용은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보다 전형적으로 많이 연산적으로 복잡하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제 2 기법은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을 방지하거나 그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한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의 도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슈도스코픽 시청 자체에 기인한 시각적 긴장에 더 부가되지 않도록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에서 슈도스코픽 뷰들 사이의 평탄한 전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았다. 뷰들이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면, 이는 상기 뷰들 사이의 평탄한 전이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을 생성하기 위해 보간 및/또는 보외를 이용함으로써 뷰들의 시리즈와 같이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것의 연산의 복잡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할 때보다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할 때 상기 보간 및/또는 보외를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0-차 보간 및/또는 보외 기법을 이용하여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도록 배열된다. 용어 0-차는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원래 이미지를 반복하는 것을 지칭한다. 이미지들을 반복하는 것은 낮은 연산 복잡도를 수반한다. 원래 이미지들을 반복함으로써, 보간 및/또는 보외 아티팩트(artifacts)가 방지되기 때문에, 원래 이미지들의 선명함(sharpness)은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에서 유지된다. 유리하게, 3D 디스플레이가 인접한 뷰들 사이에서 광학적 누화를 나타낼 때, 예를 들어, 3D 디스플레이가 뷰가 본질적으로 인접한 뷰들과 상당한 누화를 갖는 소위 부분 뷰(fractional view) 디플레이인 경우, 주어진 뷰에서의 이미지의 선명함은 인접한 뷰들이 주어진 뷰에서 이미지의 반복들인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을 포함할 때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1차 또는 더 고차 보간 및/또는 보외 기법을 이용하여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도록 배열된다. 1차- 또는 더 고차 보간 및/또는 보외 기법들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은 전형적으로 0차 보간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보다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사이의 더 평탄한 전이들을 제공한다. 유리하게,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가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경우, 보간 및/또는 보외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에서 슈도스코픽 뷰들 사이의 평탄한 전이가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원래 이미지들의 모두 또는 서브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도록 배열된다.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의 연산 복잡도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에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로부터의 원래 이미지들의 서브세트, 또는 모두를 재사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유리하게, 뷰 렌더링 또는 뷰 합성을 수행하는 것에 기인한 연산 복잡도는 적어도 원래 이미지들의 일부가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에서 재사용되기 때문에 감소된다.
선택적으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는 원래 이미지들의 모두 또는 서브세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임의의 원래 이미지들을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개별적으로 획득하는 것은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모두가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획득되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유리하게,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특별히 획득하기 위해 임의의 뷰 렌더링 또는 뷰 합성을 수행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블러링하도록 배열된다.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블러링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들의 선명함이 감소하고, 따라서 뷰들 사이의 전이들이 덜 뚜렷하게 되기 때문에,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에서 슈도스코픽 뷰들 사이의 더 평탄한 전이가 획득된다. 유리하게,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에서의 보간 및/또는 보외 아티팩트는 블러링에 의해 감소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공간 저역 필터를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개별 이미지에 적용하거나,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다수의 이미지들을 평균함으로써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블러링하도록 배열된다. 공간 저역 필터는 이미지들을 개별적으로 블러링하고, 즉, 다른 이미지들의 픽셀들이 고려되는 반면, 다수의 이미지들을 평균하는 것은 다수의 이미지들에 걸쳐 픽셀들을 평균함으로써 이미지들을 블러링한다. 양자의 기법들은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블러링하기 위해 적절하다.
선택적으로,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 및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은 함께 뷰들의 시리즈를 형성한다. 반복된 뷰잉 콘들의 각각에서 제공되는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은 따라서 항상 이웃하는 뷰잉 콘들의 입체 시청 영역들 사이의 전이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3D 디스플레이는 부분 뷰들의 시리즈로서 뷰들의 시리즈를 방출하도록 배열되며, 부분 뷰들의 시리즈 중 각각의 하나는 O개의 부분 인접한 뷰들과 광학적 누화를 나타낸다. 3D 디스플레이는 따라서 소위 부분 뷰 디스플레이이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들은 전형적으로 P/Q 디스플레이로서 지칭되며, P는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 중 각 하나의 각각에 제공되는 부분 뷰들의 수를 나타내고, Q는 광학적 누화에 기인한 상기 부분 뷰들 중 단일 뷰를 볼 때,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는 부분 뷰들의 수를 나타낸다. Q는 예를 들어, 부분 뷰 디스플레이가 20/3 디스플레이인 경우, O+1과 같고, 시청자는 주어진 부분 뷰를 볼 때, 2개의 인접한 부분 뷰들을 또한 인지할 것이며, 시청자가 총 3개의 부분 뷰들의 합을 인지하는 것을 초래하며, 즉, O=2, Q=3인 것이 주목된다.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ⅰ) 0차 보간 및/또는 보외 기법을 이용하여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O개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함으로써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그리고 (ⅱ)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각각의 원래 이미지에 대하여, O개의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이 반복에 의해 생성되고, O는 부분 뷰들의 시리즈 중 각각의 하나와 광학적 누화를 나타내는 인접한 부분 뷰들의 수와 같다. 결과적으로, 시청자는, 부분 뷰들 중 하나에서 원래 이미지를 인지할 때, 원래 이미지의 반복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접한 부분 뷰의 광학적 누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더 적은 광학적 누화를 인자할 것이다. 광학적 누화는 또한 상기 반복된 이미지를 각각 포함하는 O개의 인접한 부분 뷰들일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거의 없거나 작은 양의 누화를 인지할 것이다. 0차 기법의 사용은 따라서 볼 수 있는 더 작은 광학적 누화를 초래하고, 부분 뷰들의 제 1 시리즈에서의 이미지들은 평균적으로 더 선명하게 나타난다. 시청자는 따라서 입체 시청 영역에서 개선된 이미지 품질을 획득할 것이다. 게다가,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는 임의의 보간 및/또는 보외된 이미지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에서 부분 뷰들 사이의 평탄한 전이가 획득된다. 게다가, 인접한 부분 뷰들이 서로에 혼합되기 때문에, 인접한 부분 뷰들 사이의 광학적 누화는 상기 평탄함을 더 증가시킨다.
선택적으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는 실질적으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이미지들의 총수의 O+1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뷰들의 각각이 2개의 인접한 뷰들과 광학적 누화를 나타내는, 즉, O가 2인 3D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세배, 즉, 이 더하기 일 배나 많은 이미지들을 포함한다. 그 결과,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은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 중 하나의 각각에서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의 3배나 크다. 유리하게, 인접하지만 상이한 뷰들 사이의 전이는 뷰들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각각에서 실질적으로 같다. 유리하게, 예를 들어, 뷰들의 제 2 부분이 뷰들의 제 1 부분보다 큰 인지된 깊이를 제공하는 대신, 동일한 양의 인지된 깊이가 뷰들의 상기 부분들의 각각에서 획득될 수 있다.
위의 대책들은 따라서 인접한 부분 뷰들 사이의 광학적 누화가 원래 이미지들을 반복함으로써, 특히, 부분 뷰들의 시리즈 중 각각의 하나와 광학적 누화를 나타내는 인접한 부분 뷰들이 수와 동일한 수만큼 원래 이미지들을 반복함으로써, 입체 시청 영역에서 감소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반복이 채용되지 않고, 즉, 입체 시청 영역에서 부분 뷰들 사이의 전이의 평탄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광학적 누화가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에서 감소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은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의 적어도 2배나 크다. 이와 같이,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의 적어도 2배나 큰 입체 시청 영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 구현예들, 및/또는 양상들 중 둘 또는 그 초과가 유용하다고 간주된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의 설명된 수정들 및 변형들에 대응하는, 3D 디스플레이, 태블릿 디바이스, 디지털 사진 프레임, 스마트폰, 방법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의 수정들 및 변형들은 본 설명에 기반하여 당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유리한 선택들은 종속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하고, 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뷰잉 콘들의 시리즈의 각각에서 뷰들의 시리즈를 인접하게 방출하기 위한 3D 디스플레이를 도시하고;
도 2는 뷰잉 콘들의 시리즈에서 시청 위치의 함수로서 뷰들의 시리즈의 각각에 의해 제공되는 뷰포인트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하며;
도 3은 단일 뷰잉 콘의 뷰들의 시리즈에 의해 제공되는 뷰포인트들의 개략적 예시를 도시하고 - 뷰들의 시리즈는 입체 시청을 제공함 - ;
도 4는 입체 시청에 대한 제 1 부분 및 슈도스코픽 시청에 대한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뷰들의 시리즈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뷰들의 시리즈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하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뷰들의 시리즈의 추가 예들을 각각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3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태블릿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며;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도시한다.
도 1은 3D 디스플레이(140)에 이미지들의 시리즈(122)를 제공하기 위한 3D 디스플레이(140)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를 도시한다. 3D 디스플레이(140)는 사용자가 안경을 쓸 필요없이 그 상에 디스플레이된 콘텐츠의 입체 시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자동입체 3D 디스플레이이다. 3D 디스플레이(140)는 전형적으로 발광 또는 광 변조 엘리먼트들의 어레이로 구성된 광 발생부(1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광 발생부(142)는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및 백라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140)는 광 발생부(142)에 의해 발생된 광을 상이한 방향들로 방향을 바꾸기(redirecting) 위한 광학 수단(144)을 더 포함한다. 광 발생부(142)는 뷰들의 시리즈(0-5)가 뷰잉 콘(104)의 형태로 3D 디스플레이(140)로부터 방출되도록 적합하게 배열될 수 있고, 광학 수단(144)과 협조할 수 있다. 게다가, 3D 디스플레이(140)는 이미지들의 시리즈(122)가 제공될 때, 뷰들의 시리즈(0-5)에서 상기 이미지들을 인접하게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시청자는 뷰들의 시리즈(0-5) 중 하나를 볼 때, 이미지들의 시리즈(122)의 각 하나를 인지할 것이다. 이미지들의 시리즈(122)는 3D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장면을 향하고 상기 장면의 전방에서 그리고 그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카메라에 대응한다. 따라서, 뷰잉 콘(104) 내에 위치되고(110) 뷰들의 시리즈(0-5) 중 두 개의 상이한 뷰들(0, 1)을 인지하는 시청자는 상기 장면의 입체 시청을 획득할 수 있다.
위의 구성의 3D 디스플레이들, 및 뷰들의 시리즈(0-5)로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들의 시리즈(122)를 프로세싱하는 방식은 본질적으로 알려진다는 것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US 6,064,424호는 광학 수단(144)으로서 렌티큘러 엘리먼트들을 갖는 자동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디스플레이 엘리먼트들, 즉, 발광 또는 광 변조 엘리먼트들과, 렌티큘러 엘리먼트들 사이의 관계를 개시한다. 또한, 강학 수단(144)으로서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를 포함하는 자동입체 디스플레이들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반복된 뷰잉 콘들(100)의 중앙 뷰잉 콘인 뷰잉 콘(104)을 도시하고, 뷰잉 콘들(104, 102, 106)의 각각은 뷰들의 시리즈(0-5)를 포함한다. 뷰잉 콘(104)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은 3D 디스플레이(140)의 광학 수단(144)의 고유 속성에 더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뷰잉 콘들의 반복은 또한 상술한 US 6,604,424호에 논의되고 설명된다.
시청자는 2개의 시청 위치들에서 도 1에 도시된다. 제 1 시청 위치(100)에서, 시청자는 그의 좌측 눈으로 제 1 뷰(0)를 인지하면서, 그의 우측 눈으로 제 1 뷰(1)를 인지한다. 상기 장면의 전방에서 그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카메라에 대한 이미지들의 시리즈(122)의 상술한 대응에 기인하여, 시청자는 제 1 시청 위치(110)에서 입체 시청을 획득할 것이다. 제 1 시청 위치(110)는 따라서 입체 시청 위치(110)이다. 제 2 시청 위치(112)에서, 시청자는 그의 좌측 눈으로 제 3 뷰(5)를 인지하면서 그의 우측 눈으로 제 4 뷰(0)를 인지한다. 시청자는 따라서 제 2 시청 위치(112)에서 슈도스코픽 시청을 획득할 것이고, 즉, 상기 시청 위치는 슈도스코픽 시청 위치(112)이다. 이런 경우에, 제 3 뷰(5)는 중앙 뷰잉 콘(104)의 가장-우측 뷰에 대응하고, 제 4 뷰(0)는 우측 뷰잉 콘(106)의 가장-좌측 뷰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깊이의 대단히 크고 반전된 느낌이 제 2 시청 위치에서 획득되고, 즉, 상기 시청 위치는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위치(112)이다.
도 2는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의 각각에 걸친 뷰들의 시리즈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한다. 수평 축은 3D 디스플레이(140)의 디스플레이 표면에 평행하게 3D 디스플레이(140)의 전방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시청자, 즉, 좌측 뷰잉 콘(102), 중앙 뷰잉 콘(104) 및 마지막으로 우측 뷰잉 콘(106)의 뷰들의 시리즈를 가로지르는 시청자에 대응하는 순서로 반복된 뷰잉 콘들(102, 104, 106)의 각각에 대한 뷰들의 시리즈(0-5)의 각각을 도시한다. 수직 축은 뷰들의 시리즈(0-5) 중 하나를 인지하는 시청자에 의해 획득된 뷰포인트(160)에 대응하고, 뷰포인트(160)는 3D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장면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낮은 값, 즉, 수직 축 상의 낮은 위치는 장면에 대하여 좌측 뷰포인트에 대응하고, 높은 값, 즉, 수직 축 상의 높은 위치는 장면에 대하여 우측 뷰포인트에 대응한다. 도 2는 따라서 시청자가 좌측 뷰잉 콘(102)에서 뷰들의 시리즈(0-5)를 가로지르는 경우, 장면에 대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변하는 뷰포인트(160O)를 도시하고, 뷰포인트는 그 다음 중앙 뷰잉 콘(104) 등에서 뷰들의 시리즈(0-5)를 가로지를 때 다시 좌측으로 점프하고 우측으로 변한다. 또한, 상술한 입체 시청 위치(110) 및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위치(112)가 예시된다. 시청자가 뷰포인트 위치에서의 큰 차이들에 기인하여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위치(112)에서 깊이의 대단히 크고 반전된 느낌을 획득하는 것은 도 2로부터 명백하다.
도 3은 다른 뷰들의 시리즈(0-19)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한다. 여기서, 뷰들의 시리즈(0-19)는 단지 단일 뷰잉 콘(108)에 대하여 도시되고, 즉, 명료성의 이유로 반복된 뷰잉 콘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뷰들의 시리즈(0-5)와 대조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시리즈는 20개의 뷰들로 구성된다. 3D 디스플레이(140)는 부분 뷰들의 시리즈로서 뷰들의 시리즈(0-19)를 방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용어 부분(fractional)은 뷰들의 시리즈(0-19) 중 각각의 하나가 인접한 뷰들과 광학적 누화를 나타내고, 즉, 시청자가 본질적으로 뷰들의 시리즈(0-19)의 다수의 뷰들의 중첩을 인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3D 디스플레이(140)는 따라서 소위 부분 뷰 3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부분 뷰 3D 디스플레이들, 및 뷰들의 시리즈(0-19)로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들의 시리즈(122)를 프로세싱하는 방식은 본질적으로 알려진다는 것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WO 2006/117707 A2호는 광학적 디렉터리 수단으로서 렌즈들의 그룹을 갖는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하고, 렌즈들의 피치는 상기 부분 뷰들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3D 디스플레이(140)는 소위 20/3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20'은 각각의 뷰잉 콘에서 방출된 부분 뷰들의 수를 나타내고, '3'은 부분 뷰들 사이의 누화의 정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수 '3'은 부분 뷰들 중 하나를 볼 때, 전체로서 부분 뷰들 중 3개를 인지하는 시청자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따라서, 광학적 누화는 임의의 주어진 부분 뷰에서 2개의 추가의 이웃하는 부분 뷰들이 보인다는 것이다.
물론 3D 디스플레이(140)는 또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구성, 즉, 5-뷰, 9-뷰, 20-뷰 또는 임의의 다른 수의 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게다가, 3D 디스플레이(140)는 부분 뷰들의 시리즈로서 뷰들의 시리즈(0-19)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 그러나, 3D 디스플레이(140)는 상술한 20/3 부분 뷰 3D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되도록 가정된다.
도 3은 단조적으로 증가하는 뷰포인트(160)에 대응하는 뷰들의 시리즈(0-19)를 도시하고, 즉, 뷰포인트(160)는 뷰들의 시리즈(0-19)에서 처음 뷰(0)와 마지막 뷰(19) 사이에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뷰들의 시리즈(0-5)의 경우와 같이, 시청자가 추가-슈도스코픽 시청을 획득하는, 즉, 그의 우측 눈으로 첫 번째 뷰(0)를 인지하고, 그의 좌측 눈으로 마지막 뷰(19)를 인지하거나, 그 반대인 시청 위치는 뷰잉 콘(108)과 인접한 뷰잉 콘 사이에 존재한다. 광학적 누화에 기인하여, 시청자는 그의 우측 눈으로 마지막 뷰(19) 및 두 번째 뷰(1)를 그리고 그의 좌측 눈으로 첫 번째 뷰(0) 및 끝에서 두 번째 뷰(18)를 추가적으로 인지할 것이라는 것이 주목된다. 광학적 누화는 블러링의 인지를 초래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결과적으로,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위치에서 깊이의 대단히 크고 반복된 느낌에 기인한 시각적 긴장은 감소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시각적 긴장이 시청자에 의해 인지된 큰 크기의 깊이에 기인하여 남는다.
도 4는 인접한 뷰잉 콘들 사이의 추가-슈도스코픽 시청에 기인한 시각적 긴장을 감속시키기 위해 적합한 뷰들의 시리즈(0-19)를 도시한다. 이 도에서, 뷰들의 시리즈(0-19)의 각각에 대응하고, 수직 축 상의 점들의 높이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뷰포인트(160)는 뷰포인트의 시리즈(162)에 의해 추가적으로 수치로 표시된다. 수치 표현에서, 낮거나 더 낮은 수는 장면에 대하여 좌측 또는 더 좌측 뷰포인트(160)에 대응하는 시청자에게 제공된 뷰포인트(160)를 나타내고, 높거나 더 높은 수는 장면에 대하여 우측 또는 더 우측 뷰포인트(160)에 대응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따라서, 수치 표시는 뷰들의 시리즈(0-19) 사이의 뷰포인트(160)에서의 상대적인 차이들을 예시하도록 제공되고, 절대 크기는 아니다.
도 4는 입체 시청이 제공되는 제 1 부분(0-14)을 포함하는 뷰들의 시리즈(0-19)를 도시하고, 즉, 뷰포인트(160)는 첫 번째 뷰(0)의 뷰포인트 '0'에서부터 제 1 부분(0-14)의 마지막 뷰(14)의 뷰포인트 '14'까지 단조적으로 증가한다. 게다가, 뷰들의 시리즈(0-19)는 슈도스코픽 시청이 제공되는 제 2 부분(15-19)을 포함하고, 즉, 뷰포인트(160)는 첫 번째 뷰(15)의 포인트 '11'에서 제 2 부분의(15-19)의 마지막 뮤(19)의 뷰포인트 '2'까지 단조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뷰잉 콘(108)에서 뷰들의 시리즈(0-19)를 가로지르는 시청자는 뷰잉 콘(108)에서 입체 시청 영역 및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을 알 것이다. 게다가, 제 2 부분(15-19)에서 뷰들의 각각 사이의 뷰포인트(160)의 단계는 제 1 부분(0-14)에서 뷰포인트(160)의 변화가 실질적으로 오프셋인 것이 되도록 선택되고, 즉, 뷰들의 시리즈(0-19)를 가로지르는 시청자는 뷰잉 콘(108)의 좌측에서와 같이 뷰잉 콘(108)의 우측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뷰포인트를 획득할 것이다. 이런 경우, 제 2 부분(15-19)의 뷰포인트에서의 감소는 대략 2.5배 많은 뷰들을 갖는 제 1 부분(0-14)에 기인하여 평균적으로 제 1 부분(0-14)의 뷰포인트에서의 증가의 대략 2.5배 크도록 선택된다.
도 3에서 제공된 뷰들의 시리즈와 비교하여, 도 4에서 제공된 뷰들의 시리즈(0-19)는 더 작은 입체 시청 영역을 갖지만, 또한 입체 시청 영역의 가장-좌측 뷰로부터 인접한 뷰잉 콘의 입체 시청 영역의 가장-우측 뷰까지의 점진적인 전이를 제공하는 입체 시청 영역들 사이의 슈도스코픽 시청 영역의 도입에 기인하여 인접한 뷰잉 콘들 사이의 임의의 추가-슈도스코픽 시청 위치들을 방지한다는 것이 이 주목된다. 따라서, 뷰잉 콘(108)에서의 더 많은 시청 위치들이 이제 슈도스코픽 시청을 제공하지만, 도 3의 깊이의 대단히 크고 반전된 느낌은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바와 같은 뷰들의 시리즈(0-19)를 도시한다. 다시, 뷰들의 시리즈(0-19)는 입체 시청이 제공되는 제 1 부분(0-14), 및 슈도스코픽 시청이 제공되는 제 2 부분(15-19)을 포함한다. 제 2 부분(15-19)은 도 4의 것과 유사하게 도시되고, 단지 첫 번째 뷰(15) 만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뷰포인트 '11' 대신 뷰포인트 '10'을 도시한다. 제 1 부분(0-14)은, 그러나, 뷰들(0, 1, 2)이 동일한 뷰포인트 '0'을 도시하고, 뷰들(3, 4, 5)들이 동일한 뷰포인트 '3'을 도시한다는 등의 관점에서 이제 반복된 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용어 반복된(repeated)은 뷰포인트가 동일하다는 것을 지칭하고, 즉, 뷰들은 장면의 똑같은 이미지를 도시한다. 제 1 부분(0-14)에서의 뷰포인트들의 전체 기울기는 실질적으로 도 4의 것과 유사하고, 즉, 제 1 부분(0-14)은 뷰포인트(160)에서 전체의 실질적으로 유사한 전이를 제공하지만 더 큰 스텝 크기를 갖는 것이 명백하다. 본 예에서, 20/3 부분 뷰 3D 디스플레이인 3D 디스플레이(140)에 기인하여, 시청자는 평균적으로 광학적 누화에 더 조금 영향을 받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뷰들의 시리즈(0-19)의 뷰(4)를 인지할 때, 시청자는 뷰들(3 및 5)을 추가로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뷰포인트들 '3', '4', '5'의 혼합을 인지할 것이다. 그에 반하여, 도 5에 도시된 뷰들의 시리즈(0-19)의 뷰(4)를 인지할 때, 시청자는 동일한 뷰포인트 '3'의 반복들을 추가로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는 상이한 뷰포인트들의 혼합을 인지하지 않거나 현저하지 않게 인지할 것이다. 상이한 뷰포인트들의 혼합은 전형적으로 블러링의 느낌 즉, 선명함의 손실을 초래한다. 상이한 뷰포인트들의 혼합을 방지함으로써, 선명함이 발생하지 않거나, 더 적은 손실로 발생한다. 특정 뷰들은 예를 들어, 뷰(5)에서 상이한 뷰포인트들의 혼합을 제공하고, 시청자는 뷰포인트들 '3', '3' 및 '6'의 혼합을 인지할 것이라는 것이 주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으로, 도 5의 제 1 부분(0-14)은 도 4의 제 1 부분(0-14)보다 더 적은 블러링, 즉, 더 많은 선명함을 제공한다. 동시에, 양자의 제 2 부분들은 반복된 뷰들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도 5의 제 2 부분(15-19)은 도 4의 제 2 부분(15-19)과 같이, 유사한 양의 블러링, 즉 선명함의 유사한 손실을 제공한다.
도 5의 뷰포인트들의 반복은 뷰들의 시리즈(0-19)의 제 1 부분(0-14)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140)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도록 그리고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원래 이미지들 및 X개의 보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발생하도록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도록 - X는 0보다 큼 -, 그리고 0차 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도록 배열된다. 도 5의 예에서, X는 2와 같고, 즉, 뷰포인트들 '0', '3', '6', '9' 및 '12'에 대응하는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2개의 보간된 이미지들이 발생되고, 뷰포인트들의 시리즈 "0, 3, 6, 9, 12"에 대응하는 원래 이미지들의 시리즈를 초래하며, 뷰포인트들의 시리즈 "0, 0, 0, 3, 3, 3, 6, 6, 6, 9, 9, 9, 12, 12, 12"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제공하도록 보간된다. 따라서 5개의 원래 이미지들은 5개의 원래 이미지들 및 10개의 보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의 제 1 시리즈를 획득하도록 보간된다.
원래 이미지들을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것은 뷰포인트들의 시리즈 "0, 3, 6, 9, 12"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을 획득하도록 뷰 렌더링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원래 이미지들을 0차 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은 단순히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을 두 번 반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5의 제 2 부분(15-19)은 뷰들의 시리즈(0-19)의 제 2 부분(15-19)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140)에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획득하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및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Y개의 보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기 위해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Y는 0이고, 즉, 보간된 이미지들은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생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도 5의 뷰포인트들의 시리즈(164)에 대응하기 위한 뷰들의 시리즈(0-19)를 생성하는 것은 총 9개의 원래 이미지들, 즉, 뷰포인트들 "0", "3", "6", "9", "12", "10", "8", "4", "2"에 대응하는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을 수반한다. 결과적으로, 뷰들의 시리즈(0-19) 내에서 남은 11개의 이미지들은 보간된 이미지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뷰들의 시리즈(0-19)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다시, 뷰들의 시리즈(0-19)는 입체 시청이 제공되는 제 1 부분(0-14), 및 슈도스코픽 시청이 제공되는 제 2 부분(15-19)을 포함한다. 제 1 부분(0-14)은 도 5의 것과 동일하도록 도시된다. 이 예에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원래 이미지들의 모두 또는 서브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런 예에서, 제 2 부분(15-19)은 뷰포인트들 '0', '3', '6', '9', '12'에 대응하는 이미지들로 구성되는데, 이는 따라서 모두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6a의 뷰포인트들의 시리즈(166)에 대응하기 위해 뷰들의 시리즈(0-19)를 생성하는 것은 총 5개의 원래 이미지들, 즉, 뷰포인트들 "0", "3", "6", "9", "12"에 대응하는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것을 수반한다. 결과적으로, 뷰들의 시리즈(0-19) 내에서 남은 15개의 이미지들은 보간된 이미지이다.
유사하게,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는 뷰포인트들의 시리즈 "0, 0, 2, 2, 4, 4, 6, 6, 8, 8, 10, 10"에 대응하는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는 뷰포인트들의 시리즈 "8, 6, 4, 2, 0"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런 예에서, 3D 디스플레이(140)는 17/2 부분 뷰 3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유사하게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는 뷰포인트들의 시리즈 "1, 1, 1, 4, 4, 4, 7, 7, 7, 10, 10, 10, 13, 13, 13, 16, 16, 16, 19, 19"에 대응하는 이미지들로 구성될 수 있고,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는 뷰포인트들의 시리즈 "17, 15, 13, 11, 9, 7, 5, 3"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런 예에서, 단지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의 원래 이미지들의 서브세트만이 사용되고, 즉, 뷰포인트 '7'에 대응하는 원래 이미지만이 사용된다. 이런 예에서의 3D 디스플레이(140)는 28/3 부분 뷰 3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뷰들의 시리즈(0-19)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제 1 부분(0-14)은 도 5의 것과 동일하도록 도시된다. 이런 예에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1차- 또는 더 고차 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Y는 5/3과 같을 수 있고, 즉,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5/3 보간된 이미지들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은 뷰포인트들 "10", "6" 및 "2"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뷰포인트 "6"에 대응하는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은 제 1 부분(0-14)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반면, 뷰포인트들 "10" 및 "2"에 대응하는 것들은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 있다. 1차- 또는 더 고차 보간 기법은 뷰포인트들 '10' 및 '6'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사이의 중간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보간된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에 사용될 수 있고, 중간 이미지는 상기 뷰포인트들 사이의 보간에 대응하며, 보간된 뷰포인트 '8*'을 산출한다. 유사하게, 1차 또는 더 고차 보간 기법은 뷰포인트들 '6' 및 '2'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사이의 추가의 중간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추가의 중간 이미지는 상기 뷰포인트들 사이의 보간에 대응하며, 보간된 뷰포인트 '4*'를 산출한다. 여기서, 유사한 제 2 부분(15-1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될 수 있고, 비록 제 2 부분(15-19)이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및 보간된 이미지들로 구성될지라도, 제 2 부분(15-19)에서, 뷰포인트들 "10, 8*, 6, 4*, 2"를 포함하는 뷰포인트들의 시리즈(168)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1차 보간은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가중 평균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더 고차 보간은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사이에서 물체들의 궤적들을 분석하는 것, 및 궤적의 중간 점들을 따라 위치된 물체들을 가능한 정확하게 재현하기 위해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간 기법들은 이미지 프로세싱의 분야에서, 특히 뷰 보간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의 분야들에서 본질적으로 알려진다는 것이 주목된다.
일반적으로, X와 Y 사이의 보간의 비율은 예를 들어, 1:0일 수 있고, 즉,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는 원래 이미지들의 절반 및 보간된 이미지들의 절반이 포함될 수 있는 반면, 뷰들의 제 2 시리즈는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전체가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비율은 2:0, 2:1, 3:0, 3:1, 3:2, 4:0, 4:1, 4:2 및 4:3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비율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보간 인자들, 및 결과적으로 또한 비율은 정수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주목된다. 예를 들어,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두 개의 보간된 이미지들을 보간함으로써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하고,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5/3 이미지들을 보간함으로써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할 때, 2:5/3 또는 대략적으로 2:1.67인 X:Y의 비율이 획득된다.
X개의 이미지들은 보간된, 보외된 또는 보간 및 보외된 이미지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유사하게, Y개의 이미지들은 보간된, 보외된 또는 보간 및 보외된 이미지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과가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의 대안으로, 뷰포인트들 '8' 및 '4'는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 있다. 1차 또는 더 고차 보간 기법은 상기 뷰포인트들 사이의 보간에 대응하는 중간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보간된 뷰포인트 '6*'을 산출한다. 유사하게, 1차 또는 더 고차 보외 기법은 뷰포인트들 '8' 및 '4'에 대응하는 이미지들 다음의 추가의 이미지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추가 이미지들은 어느 하나의 뷰포인트들의 보외에 대응하며, 보외된 뷰포인트 '10*' 및 보외된 뷰포인트 '2*'를 산출한다. 여기서, 유사한 제 2 부분(15-1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될 수 있고, 비록 제 2 부분(15-19)이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및 보간 및 보외된 이미지들의 조합으로 구성될지라도, 제 2 부분(15-19)에서, 뷰포인트들 '10*, 8, 6*, 4, 2*'을 포함하는 뷰포인트들의 시리즈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공간 저역 필터를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개별 이미지들에 적용함으로써, 또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다수의 이미지들을 평균함으로써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블러링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깊이-의존 블러링은 WO 2007/063477호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는 태블릿 디바이스(180)를 도시하고, 즉,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태블릿 디바이스(180)의 내부 컴포넌트이다. 태블릿 디바이스(180)는 3D 디스플레이(140)를 더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이미지들의 시리즈(122)를 제공하기 위한 3D 디스플레이(1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사진 프레임 또는 스마트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들은 또한 3D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3D 디스플레이(140)에 포함될 수 있고, 3D 디스플레이(140)는 분리된 또는 독립형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셋톱 박스, 개인용 컴퓨터, 게임 콘솔 또는 3D 디스플레이(140)에 연결가능한 유사한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3D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200)을 도시하고, 3D 디스플레이는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 중 각 하나의 각각에서 ,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들의 시리즈를 인접하게 방출하도록 배열되며, 뷰들의 시리즈는 각각의 뷰잉 콘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입체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 방법(200)은 각각의 뷰잉 콘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입체 시청을 제공하도록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준비"라는 제목의 제 1 단계(220)를 포함한다. 방법(200)은 적어도 각각의 뷰잉 콘의 추가 시청 위치에서 3D 이미지 데이터의 슈도스코픽 시청을 제공하도록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 - 제 2 부분은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에 인접함- 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준비"라는 제목의 제 2 단계(220)를 더 포함한다. 방법(200)은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원래 이미지들 및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X개의 보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는 단계 - X는 0보다 큼 -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이라는 제목의 제 3 단계(260)를 더 포함한다. 방법(200)은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및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Y개의 보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보간하는 단계 - Y는 0보다 크거나 같고, Y는 X보다 작음 -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이라는 제목의 제 4 단계(280)를 더 포함한다. 도 8은 단계들(220, 240, 260, 280)이 수행되기 위해 필요한 순서를 특정하는 바와 같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된다. 특히, 제 3 단계(260)는 제 1 단계(220) 전에 수행될 수 있고, 제 4 단계(280)는 제 2 단계(240)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프로세서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302)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300)를 도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302)은 일련의 기계 판독가능한 물리적 마크들로서 및/또는 상이한 전기적, 예를 들어, 자기적, 또는 광학적 속성들 또는 값들을 갖는 일련의 엘리먼트들로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컴퓨터 프로그램들, 특히 캐리어 상 또는 그 안의 컴퓨터 프로그램들에 적용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프로그램은 소스 코드, 목적 코드, 코드 중간 소스 및 부분적으로 컴파일된 형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현에 사용을 위해 적합한 임의의 다른 형태와 같은 목적 코드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많은 상이한 아키텍처 설계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또는 시스템의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서브-루틴들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들 서브-루틴들 가운데 기능을 분배하는 많은 상이한 방식들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서브-루틴들은 독립된 프로그램을 형성하기 위한 하나의 실행가능한 파일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행가능한 파일은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들, 예를 들어, 프로세서 명령들 및/또는 해석프로그램 명령들(예를 들어, 자바 해석프로그램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브-루틴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또는 모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라이브러리 파일에 저장될 수 있고, 정적이거나 동적으로,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메인 프로그램과 링크될 수 있다. 메인 프로그램은 서브-루틴들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호출을 포함한다. 서브-루틴들은 또한 서로에 대한 함수 호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과 관련된 실시예는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프로세싱 단계에 대응하는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이들 명령들은 서브-루틴들로 세분화될 수 있고, 및/또는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링크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파일들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에 관한 다른 실시예는 본원에서 개시된 시스템들 및/또는 물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각각의 수단에 대응하는 컴퓨터-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이들 명령들은 서브-루틴들로 세분화될 수 있고, 및/또는 정적으로 또는 동적으로 링크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파일들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캐리어는 프로그램을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는 ROM, 예를 들어, CD ROM 또는 반도체 ROM, 또는 자기 기록 매체,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캐리어는 전기 또는 광학 신호와 같은 보낼 수 있는 캐리어일 수 있는데, 이는 전기 또는 광학 케이블을 통하여 또는 무선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이와 같은 신호에 포함되는 경우, 캐리어는 이와 같은 케이블 또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리어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집적 회로일 수 있고, 집적 회로는 관련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되거나, 그의 성능에 사용된다. 집적 회로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또한 펌웨어의 형태로, 즉, ASIC에 저장된 마이크로코드로서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ASCI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보다 예시하고, 당업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괄호들 사이에 배치된 임의의 참조 부호들은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동사 "포함하다(comprise)" 및 그의 활용들의 사용은 청구항에 언급된 것들 이외의 엘리먼트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엘리먼트들 이전의 관사 "a" 또는 "an"은 이와 같은 엘리먼트들의 복수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몇몇 개별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그리고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수단들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들의 수단들의 몇몇은 하드웨어 중 하나 및 동일한 아이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정 대책들이 상호 상이한 종속 청구항들에서 인용된다는 단순한 사실은 이들 대책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는다.

Claims (15)

  1. 3D 디스플레이(140)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로서,
    상기 3D 디스플레이는 반복된 뷰잉 콘(viewing cone)들의 시리즈(series)(100) 중 각각의 개별적인 뷰잉 콘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들의 시리즈(0-5, 0-19)를 인접하게 방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뷰들의 시리즈는 각각의 뷰잉 콘(102, 104, 106, 108)의 다수의 시청 위치(viewing position)들(110)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입체 시청(stereoscopic viewing)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 각각의 뷰잉 콘의 상기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입체 시청을 제공하도록 상기 뷰들의 시리즈(0-19)의 제 1 부분(0-14)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고;
    - 각각의 뷰잉 콘의 적어도 추가 시청 위치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슈도스코픽 시청(pseudoscopic viewing)을 제공하도록 상기 뷰들의 시리즈(0-19)의 제 2 부분(15-19)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고 -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뷰들의 시리즈의 상기 제 1 부분에 인접함 - ;
    -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original)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상기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들을 생성하며; 그리고
    - (ⅰ)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거나, (ⅱ)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상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 및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 - 먼저 언급된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는 이미지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시리즈의 이미지들의 총수에 비해 상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보다 큼 - 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0-차 보간 및/또는 보외(extrapol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1차 또는 더 고차의 보간 및/또는 보외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상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상기 원래 이미지들의 모두 또는 서브세트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는 상기 원래 이미지들의 모두 또는 상기 서브세트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블러링(blurring)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공간 저역 필터를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개별 이미지들에 적용하거나,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다수의 이미지들을 평균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블러링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 및 상기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은 함께 상기 뷰들의 시리즈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
  9. 제 1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14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D 디스플레이는, 부분 뷰(fractional view)들의 시리즈로서 상기 뷰들의 시리즈를 방출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부분 뷰들의 시리즈 중 각각의 하나는 O개의 인접한 부분 뷰들과 광학적 누화(cross-talk)를 나타내는, 3D 디스플레이(14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는,
    (ⅰ) 0차 보간 및/또는 보외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원래 이미지들의 각각에 대하여 O개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생성하고, (ⅱ)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도록 배열되는, 3D 디스플레이(140).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의 이미지들의 총수의 실질적으로 O+1배를 포함하는, 3D 디스플레이(140).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는 태블릿 디바이스(180), 디지털 사진 프레임 또는 스마트 폰.
  14. 3D 디스플레이 상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3차원[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3D 디스플레이는 반복된 뷰잉 콘들의 시리즈 중 각각의 개별적인 뷰잉 콘들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뷰들의 시리즈를 인접하게 방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뷰들의 시리즈는 각각의 뷰잉 콘의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입체 시청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방법은,
    - 각각의 뷰잉 콘의 상기 다수의 시청 위치들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입체 시청을 제공하도록 상기 뷰들의 시리즈의 제 1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를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220);
    - 각각의 뷰잉 콘의 적어도 추가 시청 위치에서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의 슈도스코픽 시청을 제공하도록 상기 뷰들의 시리즈의 제 2 부분으로서 방출되기 위한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상기 3D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단계(240) -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뷰들의 시리즈의 상기 제 1 부분에 인접함 - ;
    -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상기 유도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1 시리즈들을 생성하는 단계(260); 및
    - (ⅰ)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거나, (ⅱ) 상기 3D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을 획득하고,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로부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을 유도하며, 상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 및 상기 추가의 원래 이미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이미지들의 제 2 시리즈를 생성하는 단계(280) - 먼저 언급된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는 이미지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시리즈의 이미지들의 총수에 비해 상기 추가의 유도된 이미지들의 수보다 큼 - 를 포함하는, 3차원[3D]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15. 프로세서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 14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302).
KR1020147022039A 2012-01-06 2012-01-06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KR20140130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50185 WO2013102500A1 (en) 2012-01-06 2012-01-06 Display processor for 3d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435A true KR20140130435A (ko) 2014-11-10

Family

ID=45491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039A KR20140130435A (ko) 2012-01-06 2012-01-06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50042770A1 (ko)
EP (1) EP2801200B1 (ko)
JP (1) JP2015506621A (ko)
KR (1) KR20140130435A (ko)
CN (1) CN104041027A (ko)
BR (1) BR112014016448A8 (ko)
CA (1) CA2860360A1 (ko)
ES (1) ES2730701T3 (ko)
IL (1) IL233405A0 (ko)
RU (1) RU2607282C2 (ko)
TW (1) TW201333879A (ko)
WO (1) WO2013102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568B1 (ko) * 2013-09-16 2018-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9756316B2 (en) * 2013-11-04 2017-09-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Joint view expansion and filtering for automultiscopic 3D displays
US9967538B2 (en) 2013-11-04 2018-05-08 Massachus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educing view transitions artifacts in automultiscopic displays
US9716879B2 (en) * 2014-07-15 2017-07-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Image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multi-view stereoscopic display
CN104144337B (zh) * 2014-08-05 2016-07-0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多视点立体显示器的图像显示方法及装置
JP6434169B2 (ja) * 2015-05-05 2018-12-0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裸眼立体視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画像の生成
US10375379B2 (en) * 2015-09-17 2019-08-06 Innolux Corporation 3D display device
KR102121389B1 (ko) * 2015-10-16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11831B2 (en) 2017-01-04 2019-12-17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EP3687168A1 (en) 2019-01-24 2020-07-29 Ultra-D Coöperatief U.A. Assigning view numbers to display elements of an autostereoscopic display
EP4270946A1 (en) * 2022-02-18 2023-11-01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function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8037B1 (ko) * 1992-09-14 2001-05-02 가나이 쓰도무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5973700A (en) * 1992-09-16 1999-10-2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he resolution of images which have an apparent depth
JP3032414B2 (ja) * 1993-10-29 2000-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GB2297876A (en) * 1995-02-09 1996-08-14 Sharp Kk Observer tracking autostereoscopic display
GB9513658D0 (en) * 1995-07-05 1995-09-06 Philips Electronics Uk Ltd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H09139829A (ja) * 1995-11-16 1997-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3次元画像ファクシミリ装置
US6064424A (en) 1996-02-23 2000-05-16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JP2002159022A (ja) * 2000-11-17 2002-05-31 Fuji Xerox Co Ltd 視差画像生成装置および視差画像生成方法
US7734085B2 (en) * 2002-06-28 2010-06-08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ata delivery system, image data transmitting device thereof, and image data receiving device thereof
AU2002952872A0 (en) * 2002-11-25 2002-12-12 Dynamic Digital Depth Research Pty Ltd Image generation
JP3788974B2 (ja) * 2003-02-25 2006-06-21 株式会社東芝 三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RU2231097C1 (ru) * 2003-01-08 2004-06-20 Орлов Вячеслав Васильевич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авто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KR100689311B1 (ko) * 2003-11-10 2007-03-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4682186B2 (ja) * 2004-03-12 2011-05-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ルチビュー表示装置
TWI251189B (en) * 2004-03-18 2006-03-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riv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3944188B2 (ja) * 2004-05-21 2007-07-11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方法、立体画像撮像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PL3522529T3 (pl) 2005-04-29 2021-09-20 Koninklijke Philips N.V. Stereoskopowe urządzenie wyświetlające
EP1958459B1 (en) 2005-12-02 2018-06-13 Koninklijke Philips N.V. Depth dependent filtering of image signal
JP5342796B2 (ja) * 2008-03-27 2013-11-13 株式会社東芝 三次元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2011077679A (ja) * 2009-09-29 2011-04-14 Fujifilm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629479B1 (ko) * 2009-11-04 2016-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능동 부화소 렌더링 방식 고밀도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방법
US9438896B2 (en) * 2009-11-13 2016-09-06 Kopin Corporation Method for driving 3D binocular eyewear from standard video stream
JP5494283B2 (ja) * 2010-06-24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装置の制御方法
US8547418B2 (en) * 2010-07-19 2013-10-01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video in three dimensions using a liquid crystal display
JP5367031B2 (ja) * 2011-08-11 2013-12-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140089860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33405A0 (en) 2014-08-31
TW201333879A (zh) 2013-08-16
EP2801200B1 (en) 2019-03-13
CN104041027A (zh) 2014-09-10
WO2013102500A9 (en) 2013-09-26
EP2801200A1 (en) 2014-11-12
RU2607282C2 (ru) 2017-01-10
JP2015506621A (ja) 2015-03-02
US20150042770A1 (en) 2015-02-12
BR112014016448A2 (pt) 2017-06-13
BR112014016448A8 (pt) 2017-07-04
WO2013102500A1 (en) 2013-07-11
RU2014132427A (ru) 2016-02-27
CA2860360A1 (en) 2013-07-11
ES2730701T3 (es)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0435A (ko)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JP3944188B2 (ja) 立体画像表示方法、立体画像撮像方法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
JP6517245B2 (ja) 三次元画像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機器
US20100091012A1 (en) 3 menu display
Daly et al. Perceptual issues in stereoscopic signal processing
RU2611244C2 (ru) Индикатор положения для трехмерного дисплея
EP1875440A1 (en) Depth perception
KR20120093243A (ko) 3d 비디오에서 추가 뷰들을 생성하기 위한 뷰포인트들을 선택하는 방법
JP6231125B2 (ja) マルチビュー立体視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と共に使用するビデオデータ信号を符号化する方法
US20150365645A1 (en) System for generating intermediate view images
JP2014515569A (ja) 両眼視画像の両眼視用および単眼視用の同時表示を可能にするための該両眼視画像の自動変換
RU2707726C2 (ru) Генерирование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авто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дисплея
US9967537B2 (en) System for generating intermediate view images
JP5647741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画像信号処理方法
Makiguchi et al. 21‐1: Reducing Image Quality Variation with Motion Parallax for Glassless 3D Screens using Linear Blending Technology
JP7344886B2 (ja) 3d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オーバースキャン
JP2010014891A (ja) 3次元画像表示装置
JP2013090170A (ja) 立体視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