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0219A -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0219A
KR20140130219A KR20147027312A KR20147027312A KR20140130219A KR 20140130219 A KR20140130219 A KR 20140130219A KR 20147027312 A KR20147027312 A KR 20147027312A KR 20147027312 A KR20147027312 A KR 20147027312A KR 20140130219 A KR20140130219 A KR 2014013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vider
supplier
parking
user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엘. 스코필드
윌리엄 제이. 슈웨벨
케빈 포먼
쿠시 지. 패릭
Original Assignee
인릭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릭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인릭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3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0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간적으로나 지리적으로(공간적으로) 사용자에게 가까이 있으면서 도착 예정시간에 이용가능하다고 예상되는 상품이나 서비스 공급자들을 확인하는 시스템이나 기술들에 관한 것으로, 각 공급자의 이용도는 무엇보다도 개장시간이나 주차요건의 함수일 수 있다.

Description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ORGANIZATION OF SEARCH RESULTS BASED UPON AVAILABILITY OF RESPECTIVE PROVIDERS COMPRISED THEREIN}
본 발명은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치처리 기기(예;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의 도래로,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들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무엇보다도 부근 상점들에 쿠폰을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미숙한 지역을 찾을 때 도움을 주거나, 부근의 관심지점(예; 상점, 레스토랑, 주유소, 박물관 등)을 찾는데 사용자의 위치를 이용하는 어플들이 개발되었다. 부근 커피숍이나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 공급자를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런 어플들은 사용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와 입력/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해, 검색어와 사용자의 위치에 관련된 공급자들을 확인하는 것이 보통이다. 몇몇 어플들은 사용자가 공급자 리스트에서 선택된 공급자를 찾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요약
이 요약은 아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것을 보다 간단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 특허청구범위의 핵심 요소나 필수 특징들을 설명하는 것도 아니고, 발명의 범위를 정하려는 것도 아니다.
무엇보다도, 여기서는 시간적으로나 지리적으로(공간적으로) 사용자에게 가까이 있으면서 도착 예정시간에 이용가능하다고 예상되는 상품이나 서비스 공급자들(이하 공급자, 지역 공급자라 함)을 확인하는 시스템이나 기술들을 소개한다. 각 공급자의 이용도는 무엇보다도 개장시간이나 주차요건의 함수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커피숍을 방문하길 원하고 시공간적으로 (반경 3마일 이내 정도로) 사용자에게 가까운 커피숍을 확인하는 검색을 할 수 있다. 이 검색을 오후 9시 1분에 했다면 이시간에 아직 개장하고 있는 부근 커피숍과 9시 이전에 폐장하는 커피숍을 구분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시간에 폐장한 커피숍은 검색결과에서 여과되어 배제된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공급자의 이용도는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도착 예정시간에 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는나 개장이 예상되는지 여부에 좌우될 수 있다. 일례로, 부근 커피숍 검색결과가 도착 예정시간에 개장하고 있을 가능성에 의거해 이루어지거나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운 커피숍까지의 이동거리가 10분인데 9시 5분에 닫는다면, 이 커피숍은 검색을 할 때에는 열려있어도, 제시된 검색결과에서는 이 커피숍이 도착하기 전에 문을 닫아 이용불가일 것이므로 검색결과에서 배제될 것이다.
검색기준을 만족하는 공급자로의 도착시간을 예상할 때 현재나 미래의 교통요건도 고려대상이다. 이런 식으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식이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색결과는 공급자가 도착 예상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영향을 주는 실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예컨대 도착 예상시간에 개장이 예상되는 상점과 폐장이 예상되는 상점을 구분할 수 있다.
공급자의 이용도는 주차요건의 함수일 수도 있다. 이런 주차요건으로는 무엇보다도 주차가능, 주차유형(예; 주차장 또는 도로주차) 및/또는 주차비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차장이나 무료주차를 선호하는 등의 여과기준을 정하거나 이런 선호도가 기본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런 기준/선호도를 만족하는 공급자는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공급자와 구분되어 표시되거나 후자를 배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예컨대 사용자에게 시공간적으로 가까이 있는 지역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100)의 순서도;
도 2는 도 1의 방법(100)을 구현하는 환경(200)의 블록도;
도 3은 아이스크림에 대한 쿼리(204)에 의거 관련있다고 결정된 결과(300)를 보여주는 표;
도 4는 ETA를 계산하는 방법(400)의 순서도;
도 5는 주차요건의 함수로 검색결과를 제시하는 방법(500)의 순서도;
도 6은 상품이나 서비스 공급자의 이용도의 함수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602)의 환경(600)의 블록도;
도 7은 이상 설명한 것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명령어들이 들어있는 컴퓨터 판독매체의 블록도;
도 8은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을 구현하기에 적당한 컴퓨터 환경의 블록도.
휴대기기의 이용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이런 휴대기기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많은 휴대기기들은 사용자의 위치를 검색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기기나 휴대폰이나 태블릿에 GPS 수신기가 설치되고, 이런 기기를 이용해 사용자와 실제 위치들을 중개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기기는 지역의 상세 맵을 추적하고, 검색된 위치를 이용해 사용자의 현위치를 보여주거나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계산한다. 이런 많은 기술이나 서비스들은 자동차 운전자나, 사이클리스트나 보행자와 같은 여행자들에게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해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주어진 지역에 익숙치 않은 사람이 관심을 갖는 상점, 레스토랑, 관광지에 대한 정보나 방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약국이나 상품/서비스 공급자를 찾도록 하는 어플들은 많다. 이런 어플들은 사용자가 약국에 대한 쿼리/검색을 할 때 (검색을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나) 사용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얻어 제기능을 한다. 쿼리와 위치정보를 이용해 관련 결과들을 확인하고, 이 결과들은 사용자에게 (보통 맵을 통해) 제시된다. 이런 어플들은 사용자가 제시된 결과에서 선택한 약국을 찾기위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어플들은 아주 인기가 많고, 특히 그 지역에 익숙치 않은 여행자들에게 인기가 좋지만, 이런 어플들이 제공한 정보는 불완전하거나 오류가 많다. 이는 이런 어플들이 결과내의 공급자의 (현재 개장하거나 폐장하는지 여부와 같은) 이용도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후 9시 1분에 부근 약국의 검색을 했더니, 가장 가까운 곳에 15군데의 약국이 있다고 하자. 사용자가 가장 가까운 약국에 걸어가거나 운전하여 도착했지만, 이 약국이 9시에 문을 닫았기 때문에 헛탕을 친 것이 될 것이다.
따라서, 검색결과를 공급자의 이용도의 함수로 제공하는 기술이나 시스템이 필요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오후 9시 1분에 부근 약국을 검색했더니 검색결과가 이 시간에 개장한 약국들을 폐장한 약국과 구분하거나, 이 시간에 개장한 약국들만을 제시할 수 있다. 또, 사용자의 도착 예상시간에도 열려있으리라고 예상되는 약국들을 닫혀있으리라고 예상되는 약국들과 구분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가 어떤 약국을 찾을지 결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받게된다.
도 1은 (예컨대 사용자에게 시공간적으로 가까이 있는) 지역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100)의 순서도로서, 구체적으로는 위치-관련 쿼리에 응답해 사용자에게 검색결과를 제시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울렛, 식료품점, 약국 등의) 지역 상품공급자나 (배관공, 회계사, 변호사 등의) 지역 서비스공급자와 같은 지역 공급자를 확인할 쿼리를 실행하고, 이 방법(100)은 이 쿼리를 만족시키는 공급자를 확인하는데 이용된다.
102 단계에서 시작해, 104 단계에서 쿼리를 받는다. 이 쿼리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선택한 용어를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사용자와 무관하게 입력/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지역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의 검색필드에 쿼리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런 어플은 (휴대폰 운용시스템에서 채택한 스마트폰 어플과 같이) 사용자 기기의 운용시스템이 관리하거나,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원격 서비스에서 관리할 수 있다.
쿼리를 받는다는 것은 어플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입력한 용어를 받는 것이다. 사용자와 관련된 기기에서 관리되는 어플은 완전한 자급자족형일 수 있다. 즉, 어플이 기기내의 저장매체에 지역 공급자에 관한 정보나 지역 맵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쿼리가 실행되면, 어플은 지역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을 하여 wjrekdg한 검색결과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색 정보를 외부의 다른 기기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와 관련된 기기에서 요청을 받고 응답하는 원격 컴퓨터 시스템(예; 서버)에서 쿼리를 받을 수도 있다. 즉, 지역 공급자에 관한 정보나 맵을 저장하는 것이(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정확한 결과를 야기할 수 있어, 어플이 쿼리관련 정보를 (네트웍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 컴퓨팅 시스템에 제공하고, 이 시스템은 이런 정보를 바탕으로 검색결과를 확인하고 사용자 관련 기기로 보낼 수 있고, 이 경우 좀더 많은 리소스를 확보할 수 있으며 지역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사용자 관련 기기와는 반대로 요청을 처리한다.
106 단계에서 쿼리를 하는 사용자 위치를 결정한다. "사용자의 위치 결정"이란 무엇보다도 사용자의 기기의 위치결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사용자가 검색을 하는데 사용하는 기기의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위치 결정은 광의의 개념으로 사용자의 기기의 위치 결정이나 사용자의 위치결정을 모두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사용자/기기의 위치를 결정/추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을 많이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휴대기기는 GPS 위성에서 받은 신호를 감지하는 GPS 요소를 갖고, 감지된 신호를 이용해 사용자/기기의 위치를 결정/추정한다. 다른 전자기기로는 무선네트웍이나 휴대폰 타워를 확인하는 어댑터가 있다. 어떤 네트웍이나 타워가 확인하고 감지된 신호강도가 어떤가에 따라, (예컨대 네트웍/타워의 위치를 정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정보를 비교해) 사용자/기기의 위치를 결정/추정할 수 있다. 이런 기법들은 예를 든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즉, 당업자라면 다른 위치결정/추정 기법들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쿼리를 원격 컴퓨팅 시스템에 보내는 동안, 위치정보도 원래 형태나 가공 형태로 원격 컴퓨팅 시스템에 보낼 수 있다. 즉, 전송된 위치정보는 (사용자 위치결정을 위해 원격 서버에서 처리/가공된) 감지신호에 관한 정보이거나, (원격 컴퓨팅 시스템에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기기의 위치결정을 위해 감지신호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기긱가 처리/가공하는 동안) 결정된 위치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108 단계에서, 쿼리에 기초해 검색결과들을 제공한다. 즉, 수신된 쿼리와 사용자의 결정된 위치에 의거해, 관련 결과를 확인할 검색을 하고, 이런 검색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컴퓨팅 시스템이 검색을 하는 동안, 원격 컴퓨팅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에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송신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한편, 기기 자체가 쿼리를 실행하는 동안, 기기에 제공된 검색결과를 어떻게 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그래픽 요소에 제시하기만 할 수도 있다.
검색결과는 무엇보다도 106 단계에서 결정된 위치의 시공간적 근접도 내의 (상품이나 서비스) 공급자들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우체국을 검색했을 경우, 사용자에게서 가장 가깝거나 결정된 위치에서 10마일 반경내에 있는 15개의 우체국이 검색결과일 수 있다. "위치의 시공간적 근접도"란 106 단계에서 결정된 위치에서 일정 반경/범위내에 있거나 일정 시간에 도착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관련 검색결과를 확인할 때 사용자/기기의 위치를 어떻게 고려하는지에 대한 설명일 뿐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여러 위치를 갖는 회사를 검색했는데 가장 가까운 위치가 100마일 떨어져있으면, 검색결과는 사용자에게서 100마일 떨어진 위치를 보여줄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위치가 100마일이나 떨어져 있어도, 이 위치가 쿼리에 일치하기 때문에 검색결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결정된 위치로부터) 관련 결과가 얼마나 멀거나 가까운지는 104 단계에서 받은 쿼리의 함수일 수 있다.
항상 완벽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공급자가 시간적으로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예컨대 사용자가 주어진 위치에서 얼마나 빨리 도착할 수 있는지)와 지리적으로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 사이에는 어느정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지리적으로 사용자에게 (반경 5마일내에) 가까이 있는 공급자들이 시간적으로도 (20마일 정도) 사용자에게서 더 멀리있는 공급자보다는 시간적으로도 더 가까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리적인(공간적인) 접근도와 시간적인 접근도를 여기서는 동일한 특징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시간적인 접근도와 지리적인 접근도는 검색결과가 공급자들이 사용자에게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의 함수로서 확인/분류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예일 뿐으로서, 근접도가 지리적으로나 시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시될 검색결과가 검색결과에서 확인된 공급자의 이용성의 함수일 수도 있는데, 여기서 공급자의 이용성은 무엇보다도 각 공급자의 주차요건이나 개점시간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예컨대, 쿼리에 관련되고 106 단계에서 결정된 위치에 대한 시공간적 근접도내에 있는 검색결과가 가까이 있거나 주차가 열악한 공급자(상점, 레스토랑 등)일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제공된 검색결과에서 여과되거나 분류되어 주차요건이 좋거나 개장하고 있는 상점들을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사용자는 방문을 결정하는데 관련된 공급자에 관한 추가정보를 받을 수 있다.
식료품점을 오전 6시에 검색한다고 하자. 검색결과 106 단계에서의 위치에 대해 반경 10마일내에 20개의 식료품점을 확인했지만, 그중 10개는 6시 30분에 문을 닫는다. 따라서, 제공되는 검색결과는 6시에 문을 열어 이용할 수 있는 10개이 식료품점만을 제시하거나, 6시에 이용할 수 없거나 문을 닫는 상점과 10개의 이용가능 상점을 구분할 수 있다.
이런 결과는 (예컨대 사용자가 검색직후 상점을 향해 이동한다고 할 경우) 각 상점이 도착 예정시간에 열려있을지 여부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6시에 검색을 했다해도) 사용자 위치에서 30분 걸리고 6시 30분에 닫는 식품점이라면 사용자가 도착했을 때 열려있다고 보기 때문에 이용가능하다고 검색결과에 들어갈 것이다. 검색결과에 포함된 공급자까지의 예상 도착시간은 이용도에 관한 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나 예상되는 교통패턴도 고려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검색결과에서 확인된 제공자의 개장/폐장 여부의 함수로서 이용도를 설명했지만, 이용도는 주차상황과 같은 다른 요건의 함수일 수도 있다. 예컨대, 검색결과가 주차가능, 주차유형(예; 도로, 주차장 등), 주차비 등의 함수로 제시될 수도 있다. 오전 6시에 개장하지만 (주민이 사용하되 아직 비워주지 않은) 도로주차만 가능한 식료품점은 검색결과에 포함되지 않거나, 오전 6시에 개장하면서 별도의 주차장을 갖는 다른 식료품점과 구분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자가 개장상황과 주차상황을 모두 고려해 공급자를 찾는데 검색결과가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검색결과에 오른 공급자의 이용도는 개장시간과 주차를 포함한 몇가지 기준의 함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도 않으며, 사용자가 이용도를 결정하거나 검색결과를 여과하는데 사용할 기준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자들은 개장시간을 기준으로만 검색결과를 여과/구분하길 선호하고, 다른 사용자들은 주차요건과 같은 다른 사항을 기준으로 검색결과를 여과/구분하길 선호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기준, 예컨대 특정 주차요건을 정하거나, 검색시간에 개장하는지나 도착 예정시간에 개장하는지의 여부로 정할 수도 있다.
이 방법(100)은 110 단계에서 종료한다.
도 2는 도 1의 방법(100)을 구현하는 환경(200)의 블록도로서, 여기서는 오전 10시 30분에 사용자가 아이스크림을 구입하려 한다고 하자.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기기(202)나 다른 컴퓨팅 시스템의 검색 어플과 계약을 하고, "아이스크림"을 입력하여 지역 아이스크림 상점을 검색한다. 이 쿼리(204)는 사용자/기기의 위치정보와 함께 원격 서버(208)로 보내지고, 서버는 쿼리를 처리하고 네트웍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부근 아이스크림 상점을 확인한다.
여기서는 휴대기기(202)에 디스플레이되는 검색어플이 사용자의 위치를 삼각형으로 표시한 맵을 포함한다. 또, 후술하는 것처럼, 맵에 있는 플래그들이 각각 쿼리에 의거해 확인된 지역 공급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검색결과가 휴대기기(2020에 제공되기 전에는 플래그는 나타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도 3은 아이스크림에 대한 쿼리(204)에 의거 관련있다고 결정된 결과(300)를 보여준다. 이 결과는 표로 나타나고, 각각의 결과가 행으로 표시되지만 다른 데이터 배열도 가능하다. 도시된 표에서 컬럼(302)은 거리를, 컬럼9304)은 상점 개장시간을 나타낸다. 거리 컬럼(302)은 사용자의 위치와 상점 사이의 (최단) 주행경로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다른 가능한 주행경로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 이 표와 다른 데이터 배열에서 컬럼(306)은 사용자의 위치에 의거한 각 상점에의 도착 예정시간을 나타낸다.
표에 표시된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는 선택사항이거나, 결과를 분류하는 방법의 함수일 수도 있다. 예컨대, 검색시간에 결정된 이용도에 의거해 결과들이 여과/구분될 경우, 표가 각 상점의 개장시간만 열거할 수도 있다. 반대로, 도착 예정시간의 함수로 이용도가 표시될 경우, (도 4의 방법(400)을 이용해) 각 상점에 대한 ETA를 계산해 표에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의 방법(100)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공되는 검색결과가 검색을 했을 때 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는지의 함수일 수 있다. 검색시간이 오후 10시 30분이고 톰의 상점이 10시에 닫는다면, 톰의 상점은 이용불가라고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톰의 상점이 시간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사용자에게 가까운 상점이고 검색을 만족하기 때문에 관련이 있을수는 있어도, 검색시간에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상점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이 상점이 제시되기는 해도 이용가능한 다른 검색결과와 구분될 수도 있다. 다른 관련 검색결과들은 오후 10시 30분 이후에도 열고있는 상점들과 관련된 것이고, 이에 따라 이용도가 검색시간에 열려있는지에 좌우되기만 한다면 다른 검색결과들이 이용가능하다고 될 것이다.
도 1의 방법(100)의 다른 예에서, 공급자의 이용도가 검색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지에만 좌우되지 않고, 도착 예정시간에 열려있느지에 좌우될 수도 있다. 즉, 도 4의 방법(400)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검색시간에) 사용자의 현위치에서 각 공급자로의 도착 예정시간을 계산해, 사용자가 공급자에 이동할 시간까지 열려있을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ETA로 표시된 컬럼(306)은 사용자의 결정위치에서 각 공급자로의 도착예정시간(ETA; estimated time of arrival)을 제공한다. 이런 ETA는 최단경로, 최장경로, 및/또는 (통행료가 없거나 고속도로를 피하는) 다른 경로의 함수로 결정될 수 있다. 또, 뒤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ETA가 시간, 과거 도로상황, 날씨, 도로구조 등에 의거해 실제/예상 교통패턴을 고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ETA가 현재나 장래의 교통패턴을 고려한 뒤 사용자가 도착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상점이 닫히기 전에 Ice Cream Bonanza나Summer Chill에 도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오후 10시 45분에 닫히는 Sweet Treats에는 도착할 수 없다고 본다. 따라서, Tom's Shop은 검색시간에 이용할 수 없고 Sweet Treats는 도착시간에 이용할 수 없다고 보아 제공된 검색결과가 Ice Cream Bonanza와 Summer Chill만을 제시할 수도 있다. Tom's Shop나 Sweet Treats가 검색결과에는 제시되어도 다른 결과와는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2로 돌아가, 쿼리와 위치정보와 같은 수신된 정보(204)에서 관련 결과를 확인하거나 이 결과들을 공급자의 이용도에 따라 여과/구분한 결과(210)가 네트웍 인터페이스(208)를 통해 휴대기기(202)나 다른 관련 기기에 제공된다. 제공된 검색결과(210)는 이용가능하다고 예상된 공급자들을 도착예정시간에 이용불가능하다고 예상되는 공급자들과 구분할 수 있다. 예컨대, 이용가능인 공급자는 사각형 플래그로 표시하고, ETA에서 이용불가인 공급자는 원형 플래그로 표시하며, ETA에서 이용가능이 예상되는 공급자는 삼각형 플래그로 표시한다.
이런 구분은 예를 든 것일 뿐이고, 다른 식으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공급자들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예컨대 검색결과(210)에서 공급자들을 3가지 카테고리; 즉 이용가능, ETA에서 이용불가 예상, 및 ETA에서 이용가능 예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ETA 직전이나 직후에 문을 닫는 상점들을 다른 공급자와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줄 수도 있다.
도 2에 의하면, 제공된 검색결과(210)가 휴대기기(202)나 다른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각 공급자를 나타내는 플래그들이 맵에서 겹칠 수도 있는데, 맵상의 각 플래그의 위치는 제공자의 위치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플래그를 선택하면 이 플래그가 표시한 위치에 관한 정보(예; 개장시간, 주소, 전화번호 등)도 같이 받을 수 있다.
도 4는 ETA를 계산하는 방법(400)의 순서도로서, 402 단계에서 시작하고, 404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검색결과에서 확인된 공급자의 위치까지의 경로가 맵에 표시된다. 이 경로는 사용자가 의도하거나 정한 이동방법의 함수일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거나 걸을 때와 자동차를 운전할 때 각각 다른 경로가 표시될 수 있다. 또, 1마일을 이동하는 시간이 이동방법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방법(100)의 104 단계에서 받은 검색쿼리(204)가 원하는 이동방법을 정할 수도 있다.
406 단계에서 각 경로에서의 현재 및/또는 장래 교통패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결정된다. 교통패턴을 결정하려면, 무엇보다도 교통/보행자 혼잡도를 측정하거나 건설문제로 폐쇄된 도로/인도를 확인하는 교통서비스로부터 정보를 받거나, (과거 교통패턴, 날씨정보, 건설정보 등을 이용해) 현재 교통패턴을 예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교통패턴이나 시간이나 이력정보나 날씨상태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이동할 때 예상되는) 장래 교통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408 단계에서, 각 경로의 교통패턴을 고려해 도착시간을 예상한다. 도 2~3에서 설명한 것처럼, 도착시간에 공갑자가 열려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ETA가 유용하다. 예컨대, 상점이 검색시간에는 닫혀있지만 도착시간에는 열려있어 이용가능할 수 있고, 반대로 상점이 검색시간에는 열려있지만 도착 전에 닫힐 수도 있다.
이 방법(400)은 각 경로를 매핑하고, 교통패턴을 결정하며 도착시간을 예상는 행위들을 설명하지만, 이런 행위들이 현재 일어나고 있거나 서로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경로생성이 반복적 과정이어서, 최단거리를 갖는 경로나 ETA가 가장 빠른 경로가 먼저 생성되고 각 경로의 교통패턴이 결정/예상된다. 결정/예상 교통패턴상 도로에서의 지체가 예상된다면, 두번째 경로가 생성되고 이 경로의 교통패턴이 결정/예상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여 최적의 경로(예; 최단시간 경로)가 생성된다.
이 방법(400)은 410 단계에서 종료한다.
도 4는 공급자로의 도착시간을 예상할 때의 현재나 장래의 교통패턴을 고려하지만, 당업자라면 (보다 간단한) 다른 방식으로 ETA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각 공급자에 대한 ETA가 사용자의 위치에서 공급자까지의 경로에서의 각 도로의 제한속도에만 의존할 수도 있다. 즉, ETA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양하고, 이들 모두 본 발명에서 고려할 수 있다.
또, 도 2~4의 실시예에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각 공급자에 대한 개장시간의 함수로서 이용도를 결정했지만, 이용도를 결정하는데 공급자의 주차요건과 같은 다른 사항도 고려할 수 있다.
도 5는 주차요건의 함수로 검색결과를 제시하는 방법(500)의 순서도이다. 주차요건에는 주차가능(예; 주차대수), 주차유형(주차장, 도로), 주차비 등이 있다. 공급자의 이용도나 주차요건의 종류를 고려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기본사항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병렬주차를 할 수 없어서 주차장을 갖춘 공급자만을 검색결과로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차요건에 의거 이용도를 정하거나, 이용도가 기본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502 단계에서 시작하고 504 단계에서는 수신된 쿼리에 의거 지역 공급자에 대한 검색결과를 받는다. 즉, 도 1의 방법(100)과 마찬가지로, 쿼리가 수신되고, 이 쿼리를 실행할 사용자의 위치가 결정된다. 쿼리와 사용자의 위치에 의거해, 관련 검색결과들이 확인된다. 일반적으로, 이런 검색결과들은 사용자의 위치에서 시공간적으로 가까운 공급자들인 지역 공급자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한 "지역"이란 용어는 실행되는 쿼리에 의해 좌우되는 상대적인 개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쿼리가 20마일 이내에 없는 회사에 관련될 경우, 검색결과에 포함되는 지역 공급자들은 20마일 이상 떨어진 회사일 것이다.
506 단계에서 검색결과의 적어도 일부가 제시되는바, 검색을 실행하는 원격 컴퓨팅 시스템으로 기기에 제시되거나 사용자와 관련된 기기에 디스플레이된다.
506 단계의 검색결과는 검색결과에서 확인된 각 지역 공급자의 주차요건의 함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 부근의 주차장의 주차정보, 공급자 자체의 주차정보, 공급자의 고객의 주차정보를 받아 공급자의 이용도를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검색을 실행한 시간이나 사용자가 공급자에게 도착예상될 때의 시간도 이용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아침 러시아워에는 출근길에 커피를 마시려는 사람들이 많아 커피숍에 주차할 수 없다고 예상할 수 있다.
주차여부를 결정하는 다른 주차요건으로는 주차유형이나 주차비가 있다. 주차장을 갖춘 공급자는 도로주차만 가능한 공급자와 구분된다. 또, 공급자의 주차장이나 부근 주차장의 주차비도 고려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2군데 커피숍이 거의 비슷한 거리에 있지만 주차비가 한군데는 $5이고 다른데는 무료라면, 검색결과에 이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이용도가 반드시 흑백논리임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이용도는 쿼리를 만족하는 확인된 공급자, 주차장 이용 정도 및/또는 상대적인 주차비의 함수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축구장에서 반경 1마일 이내의 주차장을 찾고있다고 하자. 이용도를 주차비가 무료인 평균 공급자로 했는데 아루먼 공급자도 없을 수 있지만, ld용도를 상대적으로 주차비가 저렴한 평균 공급자로 했으면 주차비가 가장 저렴한 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쿼리에서 확인된 공급자의 함수로 이용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예컨대 주차비가 저렴하거나 주차장을 갖추는 등 사용자의 욕구에 가장 잘 맞는 공급자를 찾을 수 있다.
이 방법(500)은 508 단계에서 종료한다.
도 6은 상품이나 서비스 공급자의 이용도의 함수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602)의 환경(600)의 블록도이다. 이 시스템(602)은 공급자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 요청에 응답해 공급자를 나타내는 검색결과를 제공하고, 공급자들은 이용도에 따라 구분되거나 여과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도는 다른 무엇보다도 요청을 받은 시간, 공급자의 개장시간, 공급자에게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 및/또는 주차요건 등의 함수이다.
이 시스템은 쿼리수신 요소(604), 위치결정 요소(606) 및 검색공급자 요소(608)를 갖는다. 쿼리수신 요소(604)는 검색용어를 포함한 쿼리를 받고, 이런 쿼리는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으로 생성된다.
위치결정 요소(606)는 쿼리를 실행하는 사용자나 사용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쿼리를 실행하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위치정보를 구하고, 이 정보는 사용자나 기기의 위치를 결정/확인하는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이런 기기로는 GPS 요소, 무선수신기, 기타 위치결정에 사용되는 신호/데이터를 감지하는 다른 신호감지 요소가 있다.
사용자가 시공간적 근접도내에 있는 법률사무소를 찾고자할 경우, 자신의 휴대기기, 태블릿, 컴퓨터, 기타 전자기기의 어플을 열고, 쿼리수신 요소(604)에서 수신한 근처 법률사무소를 검색한다. 또 기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정보를 받고, 위치결정 요소(606)가 이 정보를 이용해 기기나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한다.
쿼리와 결정된 위치에 의거해 관련 결과들을 확인하는데, 이런 결과들은 결정된 위치의 시공간적 근접도내에 있는 공급자들을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확인된 결과가 사용자의 반경 10마일 내의 법률사무소의 명칭/위치일 수 있다.
검색공급자 요소(608)는 확인된 결과들을 사용자 기기에 제공한다. 제공된 검색결과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이용도에 따라 여과되거나 구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검색공급자 요소(608)가 개장시간, 주차요건, 도착시간까지 개장하는지 여부에 따라 확인된 결과의 일부를 여과하거나 다른 결과와 구분할 수 있다. 이런 요건들에 대해서는 앞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검색공급자 요소(608)가 도 1~5에서 설명한대로 여과하거나 구분할 수 있다고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이상 3가지 요소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른 요소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도가 개장시간의 함수이면, 시스템(602)이 확인된 결과내의 각 공급자가 언제 개장하거나 폐장할지를 결정하는 공급자 요소를 더 갖출 수 있다. 또, 이용도가 개장중에 사용자가 도착할 수 있는지 여부의 함수일 경우, 시스템은 사용자의 결정 위치에서 각 공급자까지의 경로를 생성하거나 결정된 위치에 의거 각 공급자로의 도착 시간을 예상하는 경로생성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이용도가 주차요건의 함수일 경우, 시스템이 주차이용도, 주차경로, 주차유형을 결정/예상하는 주차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시스템(602)은 검색결과에 포함된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일례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시스템에 포함된 요소들의 종류도 이용도를 결정하기 위한 함수일 뿐이므로, 이용도에 따라 시스템에서 변경되거나,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것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명령어들이 들어있는 컴퓨터 판독매체도 포함한다. 이런 컴퓨터 판독매체가 도 7에 제시되었는데, 이 실시예(700)의 CD-R, DVD-R, 하드디스크 드라이버의 플래터와 같은 컴퓨터 판독매체(702)에 컴퓨터판독 데이터(704)가 인코딩된다. 이런 컴퓨터판독 데이터(704)는 이상 설명한 원리들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터 명령어(706)를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어(706)는 도 1의 방법(100)이나 도 4~5의 방법(400,500)과 같은 방법(710)을 실행한다. 한편, 컴퓨터 명령어(706)가 도 6의 시스템(600)과 같은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동작하는 많은 다른 컴퓨터 판독매체(702)도 안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구조적 특징이나 방법적 행위에 대해 특정된 언어로 설명했지만,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은 이런 특징이나 행위에 한정된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이런 특징과 행위들은 특허청구범위를 구현하기 위한 일례일 뿐이다.
여기서 사용된 "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의 용어는 컴퓨터에 관련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기준으로 이해하면 된다. 예컨대, 요소는 프로세서에서 운용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대상,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프로세스나 실행 스레드에 하나 이상의 요소들이 있을 수 있고, 하나의 요소가 하나의 컴퓨터에 배치되거나 2개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의 주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생산하는 엔지니어링 기술이나 표준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방법, 장치 또는 제조물건으로 구현되기도 한다. "제조물건"이란 모든 컴퓨터 판독기나 캐리어나 매체로부터 접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물론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을 구현하기에 적당한 컴퓨터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8의 작동환경은 예로 든 것일 뿐이고 작동환경의 사용범위나 기능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로든 컴퓨터 장치에는 PC, 서버, 휴대형이나 랩탑 기기, 휴대기기(예; 휴대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전자장치,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이상의 시스템이나 장치를 포함한 분산 컴퓨터환경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 판독매체를 통해 배포되거나, API, 데이터구조, 펑션, 오브젝트처럼 특정 임무를 실행하거나 특정 추출 데이터 종류를 구현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명령어의 기능은 다양한 환경에서 원하는대로 조합되거나 배포될 수 있다.
도 8의 시스템(800)의 컴퓨터장치(802)는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06)와 메모리(808)를 갖는다. 컴퓨터장치의 정확한 구성과 종류에 따라, 메모리(808)는 RAM처럼 휘발성이거나, ROM이나 플래시메모리와 같이 비휘발성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런 구성을 도 8에서는 파단선(804)으로 표시한다.
장치(802)가 다른 특징이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자기저장장치, 광학저장장치와 같은 추가 저장장치(예; 이동식이나 비이동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추가 저장장치를 810으로 표시한다. 컴퓨터명령어가 저장장치(810)에 저장된다. 저장장치는 운용시스템을 구현할 다른 컴퓨터 명령어나, 어플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806)가 실행할 컴퓨터 명령어는 메모리(808)에 저장된다.
"컴퓨터 판독매체"는 컴퓨터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컴퓨터 저장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나 다른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모든 기술이나 방법으로 구현되는 휘발성, 비휘발성, 이동식,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808)와 저장장치(810)는 컴퓨터 저장매체의 일례이다. 컴퓨터 저장매체는 RAM, RAM, EEPROM, 플래시메모리, 다른 메모리기술,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k), 기타 광학 저장장치, 자기카세트,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기타 자기저장장치,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장치(802)가 접속할 수 있는 다른 모든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모든 컴퓨터 저장매체는 장치(802)의 일부일 수 있다.
장치(802)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접속장치(8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접속장치(816)에는 모뎀, NIC(Network Interface Card), 통합 네트웍 인터페이스, 무선 송/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연결장치, 기타 컴퓨터장치(802)를 다른 컴퓨터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통신접속장치(816)는 유무선 장치도 포함하고, 통신매체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컴퓨터 판독매체"는 통신매체를 포함하기도 한다. 통신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나,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신호"의 다른 데이터나 다른 통신 메커니즘을 실행하고, 모든 정보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변조된 데이터신호"는 특성세트를 갖는 신호나, 신호내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경된 신호를 포함한다.
장치(802)는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입력기, 터치 입력기,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기와 같은 입력기(8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등의 출력기(812)도 장치(802)에 포함될 수 있다. 입력기(814)와 출력기(812)는 유선, 무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장치(802)에 연결된다. 다른 컴퓨터장치의 입력기나 출력기도 컴퓨터장치(802)의 입력기(814)나 출력기(812)로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장치(802)의 요소들은 버스와 같은 다양한 커넥터로 연결된다. 이런 커넥터로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USB, firewire(IEEE 1394), 광학버스 등이 있다. 한편, 컴퓨터장치의 요소들이 네트웍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메모리(808)가 네트웍으로 연결된 여러 장소들에 위치한 다수의 메모리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컴퓨터명령어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저장장치를 네트웍에 분산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네트웍(818)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터장치(820)가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장치(802)가 컴퓨터장치(820)에 접속해 컴퓨터명령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장치(802)가 필요한 컴퓨터명령어 일부를 다운로드받고, 어떤 명령어들은 컴퓨터장치(802)와 컴퓨터장치(820)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Claims (21)

  1. 쿼리를 받는 단계;
    쿼리를 실행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쿼리에 의거하여, 상기 위치의 시간적 및 공간적 근접도들 중의 적어도 하나 안에 있는 공급자를 표시하는 검색결과를 이 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의 함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검색결과가 제공될 때 각 공급자가 개장 또는 폐장했는지 여부에 의거 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가 개장한 공급자와 폐장한 공급자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결정된 사용자 위치와 공급자 위치에 의거하여 각 공급자까지의 도착시간을 예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공급자로의 도착 예상시간에 공급자가 개장 또는 폐장이 예상되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검색결과가 도착 예상시간에 개장이 예상되는 공급자와 폐장이 예상되는 공급자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도착시간을 예상할 때,
    사용자의 결정위치에서 각 공급자 위치까지의 경로를 매핑하고;
    각 경로에서의 현재와 장래의 교통패턴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며;
    현재와 장래의 교통패턴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각 공급자로의 도착시간을 예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현재와 장래의 교통패턴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주어졌을 때의 도착 예상시간에 공급자가 개장 또는 폐장이 예상되는지 여부에 따라 공급자를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가 사용자의 도착 예상시간에 개장되었거나 개장이 예상되는 공급자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각 공급자의 주차요건에 의거하여 공급자를 이용할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요건이 주차가능, 주차유형 및 주차비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가 휴대기기에 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3. 쿼리를 받는 쿼리수신 요소;
    쿼리를 실행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 요소; 및
    쿼리에 의거하여, 시간적인 근접도와 지리적인 근접도 중의 적어도 하나 내에있는 공급자를 표시하면서 공급자의 이용가능 여부의 함수로 제공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검색공급자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각 공급자가 개장되거나 폐장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공급자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공급자 요소가 검색결과가 제공되었을 때 각 공급자가 개장 또는 폐장되었는지에 의거하여 공급자의 이용가능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결정위치부터 각 공급자 위치까지의 각각의 경로를 생성하고 이 경로에 의거해 각 공급자로의 도착시간을 예상하는 경로생성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각 공급자가 개장 또는 폐장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공급자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공급자 요소가 도착 예상시간에 각 공급자가 개장이 예상되는지 여부에 의거하여 공급자의 이용가능성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각 공급자로의 도착 예상시간이 각각의 경로의 현재 교통상황과 장래 교통상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었을 때 아래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명령어들이 들어있는 컴퓨터 판독매체.
    - 쿼리에 의거해 지역 공급자들에 관한 검색결과를 받는 단계; 및
    - 각각의 지역 공급자의 주차요건의 함수로 결정된 검색결과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가 주차장을 갖춘 지역 공급자와 도로주차만 가능한 지역 공급자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매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아래 단계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매체.
    - 각 지역 공급자의 주차가능을 결정하고, 검색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된 주차가능의 함수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 각 지역 공급자의 주차가능을 예상하고, 검색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예상된 주차가능의 함수로서 제공하는 단계.
  21. 제18항에 있어서, 방문하는 각 지역 공급자와 관련된주차비를 결정하고 겸색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결정된 주차비의 함수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매체.
KR20147027312A 2012-02-29 2013-02-06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KR201401302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07,841 US20130226915A1 (en) 2012-02-29 2012-02-29 Organization of search results based upon availability of respective providers comprised therein
US13/407,841 2012-02-29
PCT/US2013/024874 WO2013130226A2 (en) 2012-02-29 2013-02-06 Organization of search results based upon availability of respective providers comprised there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0219A true KR20140130219A (ko) 2014-11-07

Family

ID=4778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7312A KR20140130219A (ko) 2012-02-29 2013-02-06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26915A1 (ko)
EP (1) EP2820570A4 (ko)
KR (1) KR20140130219A (ko)
CN (1) CN104428748A (ko)
WO (1) WO20131302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1330A1 (en) * 2013-02-28 2014-08-28 Gurubaran Thanigaivel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relevant local service over wi-fi
US20140280090A1 (en) * 2013-03-15 2014-09-18 Call-It-Out, Inc. Obtaining rated subject content
US10203219B2 (en) * 2013-04-04 2019-02-12 Sky Motion Research Ulc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nowcasts along a route on a map
US10331733B2 (en) * 2013-04-25 2019-06-25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ondition-specific geographic imagery
US10415988B2 (en) * 2014-07-08 2019-09-17 Omnitracs, Llc Integration of hours of service and navigation
US10387912B2 (en) 2014-09-09 2019-08-20 At&T Mobility Ii Llc Augmented reality shopping displays
US11118932B2 (en) * 2017-04-27 2021-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nding available parking spaces using cognitive algorithm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3056B2 (en) * 2006-03-31 2010-06-22 Aol Inc. Identifying a result responsive to a current location of a client device
US20100293186A1 (en) * 2006-12-27 2010-11-18 Pioneer Corporation Search device, search method, search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7966306B2 (en) * 2008-02-29 2011-06-21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cation-aware search
WO2010018451A1 (en) * 2008-08-14 2010-02-18 Life Events Media Pty Ltd. Computer implemented methods and systems of determining location-based matches between searchers and providers
US9043148B2 (en) * 2008-12-29 2015-05-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enhanced search results
US8063797B1 (en) * 2010-07-31 2011-11-22 ParkMe LLC Parking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092326A1 (en) * 2010-10-14 2012-04-19 Navteq North America, Llc Branded Location Referencing
US20120265434A1 (en) * 2011-04-14 2012-10-18 Google Inc. Identifying Parking Spo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8748A (zh) 2015-03-18
WO2013130226A3 (en) 2014-12-24
US20130226915A1 (en) 2013-08-29
WO2013130226A2 (en) 2013-09-06
EP2820570A2 (en) 2015-01-07
EP2820570A4 (en)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91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navigation to physical venue and suggestion of alternative actions
US11808586B1 (en) Rerouting in a navigation system based on updated information
US202002327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anaging, and sharing moving path
US10066954B1 (en) Parking suggestions
KR20140130219A (ko) 검색결과에 있는 공급자의 이용도에 의거해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US9435657B2 (en) Navigation system with an itinerary plann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16177022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终端及服务器、计算机存储介质
US10788330B2 (en) Route generation based on aggregated path data
EP36904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obility insight data for points of interest
WO2018151669A1 (en) Map matching and trajectory analysis
US20100008255A1 (en) Mesh network services for devices supporting dynamic direction information
JP4469790B2 (ja) 地図情報更新装置および地図情報更新方法
EP2659450A2 (en) Providing guidance for locating street parking
KR20150033686A (ko) 우회 경로들의 생성
WO2015013760A1 (en) Free time activity scheduler
EP3485228B1 (en) Point of interest identification based on polyline route and progress along route
JP5846576B2 (ja) 訪問地近隣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US20210172759A1 (en) Map Matching and Trajectory Analysis
US201000945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graphy-Based Tours
JP7328198B2 (ja) ナビゲーションに用いられる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媒体
JP728058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2395488A (zh) 路线推荐的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JP201820598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