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961A -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 Google Patents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961A
KR20140129961A KR1020130048954A KR20130048954A KR20140129961A KR 20140129961 A KR20140129961 A KR 20140129961A KR 1020130048954 A KR1020130048954 A KR 1020130048954A KR 20130048954 A KR20130048954 A KR 20130048954A KR 20140129961 A KR20140129961 A KR 2014012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access point
link
integrated access
multim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훈
Original Assignee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9961A/ko
Priority to US14/264,623 priority patent/US9326309B2/en
Publication of KR2014012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각각 링크 연결된 제1 타입 접속점 및 제2 타입 접속점을 포함하는 소스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을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handover for multi-mode terminal}
본 발명은 멀티 모드 단말, 통합 접속점, 및 이종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모드 단말, 통합 접속점, 및 이종 통신 시스템을 위한 링크 연결, 핸드오버, 전송, 커버리지 매칭에 관한 것이다.
최근 셀룰라 통신 기지국 및 와이파이 접속점(액세스 포인트)를 결합한 통합 기지국(예컨대, 통합 펨토셀 기지국)이 상용화되어 보급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두 가지 통신을 장단점을 고려할 때, 해당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멀티 모드 단말, 통합 접속점, 및 이종 통신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링크 연결, 핸드오버, 전송, 커버리지 매칭 등의 다양한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통합 접속점과의 제1 타입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통합 접속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접속점의 제2 타입 접속점과의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1 타입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멀티 모드 단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멀티 모드 단말의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타입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타입 통신부; 제2 타입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타입 통신부;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단말과의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제1 타입 통신부를 통하여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1 타입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멀티 모드 단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타입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타입 통신부;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타입 통신부;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제1 타입 통신부를 통하여 통합 접속점과의 제1 타입 링크가 연결된 경우, 상기 통합 접속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 접속점과의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되도록 상기 제2 타입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각각 링크 연결된 제1 타입 접속점 및 제2 타입 접속점을 포함하는 소스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을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소스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을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및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에게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1 및 제2 타입 링크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멀티 모드 단말과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의 상태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멀티 모드 단말로의 송신 방식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모드 단말로의 송신 방식들은 제1 타입 통신만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제1 타입 통신과 제2 타입 통신을 통한 데이터 분산 송신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타입 통신부;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타입 통신부; 멀티 모드 단말과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멀티 모드 단말로의 송신 방식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모드 단말로의 송신 방식들은 제1 타입 통신만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 제1 타입 통신과 제2 타입 통신을 통한 데이터 분산 송신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타입 통신부;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타입 통신부; 및 상기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분산 송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로부터 제공 받아, 제공 받은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위 계층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타입 통신부;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2 타입 통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를 제어하되, 상기 제1 타입 통신부가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제2 타입 통신부에 대한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2 타입 통신부를 비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멀티 모드 단말로부터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정해진 수준의 제1 타입 커버리지 내에 상기 멀티 모드 단말이 위치하는지 및 미리 정해진 수준의 제2 타입 커버리지 내에 상기 멀티 모드 단말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통합 접속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데이터를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와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로 분류하는 단계;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고,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제2 타입 통신으로 동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데이터를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와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로 분류하는 단계;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제1 및 제2 타입 통신으로 중복 송신하고,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상기 제2 타입 통신으로 동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순위 데이터 및 제2순위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되는 제1순위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미리 설정된 수준보다 낮아지는 경우, 상기 제2 순위 데이터를 상기 제1 타입 통신 대신에 제2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순위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고, 제2 순위 데이터를 제2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되는 제1 순위 데이터의 전송 품질이 미리 설정된 수준보다 높아지는 경우, 상기 제2 순위 데이터를 상기 제2 타입 통신 대신에 상기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수신하고,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제2 타입 통신으로 동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 및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제1 및 제2 타입 통신으로 중복 수신하고,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상기 제2 타입 통신으로 동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 및 낮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순위 데이터 및 제2순위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 통합 접속점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순위 데이터를 상기 제1 타입 통신 대신에 제2 타입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제1 순위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수신하고, 제2 순위 데이터를 제2 타입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통합 접속점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순위 데이터를 상기 제2 타입 통신 대신에 상기 제1 타입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 인식 가능 매체(tangible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를 제공한다. 이 인스트럭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기지국 또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execute)될 때, 본 개시의 방법을 수행(perform)할 수 있다.
본 개요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설명되는 개념들 중 선택된 것들을 단순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개요는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핵심적인 특징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된 것도 아니다. 또한, 청구되는 발명의 주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부분에서 언급된 문제점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구현들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시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양태들, 실시예들, 및 특징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로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모든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모드 단말, 통합 접속점, 및 이종 통신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2는 링크 연결에 대한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 연결을 단축시키기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간 데이터 분산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별 커버리지 매칭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별 커버리지 매칭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맵핑 조절 및 데이터 분산 송신을 예시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개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유사한 기호는, 문맥 상 다른 의미를 갖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는 제한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 제시된 대상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변경들이 가해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반적으로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개시의 양상들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구성에서 배열, 대체, 조합, 분리 및 설계될 수 있으며, 이 모두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고려되었음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100)는 통합 접속점(access point)(150) 및 멀티 모드 단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접속점(150)은 제1 타입 통신부(160_1), 제2 타입 통신부(160_2),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들(160_1, 160_2)은 각각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타입 통신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셀룰러 통신일 수 있고, 제2 타입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 근거리망 통신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160_1, 160_2)는 각각 펨토셀 기지국(또는 HNB, HeNB) 및 WiFi 접속점(이하, WiFi AP)일 수 있고, 통합 접속점(150)은 이들을 포함하는 통합 펨토셀 기지국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들(160_1, 160_2)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합 계층 처리부(172) 및 상위 계층 처리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174)는 TCP/IP 계층 처리부(178) 및 응용 계층 처리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접속점(150)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독출을 위해 메모리(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1 타입 통신부(120_1), 제2 타입 통신부(120_2),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들(120_1, 120_2)은 상술한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들(160_1, 160_2)과 마찬가지로 각각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의 예로는 셀룰러 통신 및 무선 근거리망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을 들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들(120_1, 120_2)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합 계층 처리부(132) 및 상위 계층 처리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134)는 TCP/IP 계층 처리부(138) 및 응용 계층 처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10)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데이터의 저장 및/또는 독출을 위해 메모리(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링크 연결에 대한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도 2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멀티 모드 단말(120)은 통합 접속점(110)과의 제1 타입 링크를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210). S210은 멀티 모드 단말(120)의 제1 타입 통신부(120_1)와 통합 접속점(110)의 제1 타입 통신부(160_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타입 링크는 셀룰러 통신 링크일 수 있다. S210의 과정에서 멀티 모드 단말(120)은 통합 접속점(110)의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는 펨토셀 식별자일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20). 일례로, 제2 타입 링크는 와이파이 통신 링크일 수 있다.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들로는, 다음과 같다:
- CASE_A : 최초 또는 새로운 제1 타입 링크가 연결되면, 자동적으로 제2 타입 링크도 연결 시도되도록, 멀티 모드 단말(110)과 통합 접속점(150)이 설정된 경우로서, 일례로,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와 통합 접속점(150)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가 상술한 내용으로 미리 설정되는 경우
- CASE_B : 통합 접속점(150)이 현재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의 상태(예컨대, 채널 상태, 간섭 상태, 부하)를 기초로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멀티 모드 단말(110)에게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라는 명시적인 명령을 송신하는 경우로서, 일례로,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가 제1 타입용 통신부(120_1)를 통하여 통합 접속점(110)으로부터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라는 명시적인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보고 받은 경우
- CASE_C : 멀티 모드 단말(110)이 현재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의 상태(예컨대, 채널 상태, 간섭 상태, 부하)를 기초로 제2 타입 통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로서, 일례로,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가 상술한 내용으로 결정하는 경우
- CASE_D : 멀티 모드 단말(110)이 사용자로부터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라는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일례로,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가 멀티 모드 단말(1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로부터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라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았다고 보고 받은 경우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할 필요가 없는 경우(S220),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2 타입 통신부(120_2)를 비활성화 상태에 두고(S230), S220으로 복귀하며,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할 필요가 있는 경우(S220),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2 타입 통신부(120_2)를 활성화 상태에 둘 수 있다(S240). 활성화 상태의 예로는 적어도 링크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 링크 연결 및 일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들 수 있으며, 비활성화 상태의 예로는, 제2 타입 통신부(120_2)의 전부 또는 일부(예컨대, RF 회로)가 전원 공급을 못 받는 상태, 제2 타입 통신부(120_2)가 전력 절감 모드 상태(예컨대, 전원 공급은 받고 있으나 활성화 상태보다 전력 소모량이 낮은 상태)를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230, S240의 과정은 통합 계층 처리부(132)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타입 통신부(120_2)를 항상 활성화 상태에 두는 다른 일실시예는 S230, S240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S240의 과정은 S280 및 S260 직전에 수행되거나 또는 S280 및 S260의 과정에 포함되는 실시예도 있을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은 S210을 통하여 연결된 통합 접속점(110)의 링크 설정용 정보가 이미 확보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250). S250의 과정은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가 메모리(140)의 내용을 조회함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통합 접속점(110)의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에 맵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가 메모리(140)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링크 설정용 정보는 제2 타입 링크의 연결 설정(connection setup)을 시간적으로 또는 절차적으로 단축시키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타입 링크의 연결 설정이 와이파이 링크 연결 설정과 같이, 스캐닝(scanning) 과정, 인증(authentication) 과정, 결합(association)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 링크 설정용 정보는 이러한 3가지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시간적으로 또는 절차적으로 단축시키거나 생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추가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통합 접속점(110)의 링크 설정용 정보가 이미 확보되지 않은 경우(S250), 멀티 모드 단말(120)은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일반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S260). 일반 설정 프로시져의 예로는, 제2 타입 링크가 와이파이 링크인 경우, IEEE 802.11 규격(예컨대, IEEE 802.11-1999 규격)에 따라 스캐닝 과정, 인증 과정, 결합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시져를 들 수 있다. S260의 과정은 통합 계층 처리부(132)로부터 제2 타입 링크를 생성하라는 명령을 받은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20)은 S260의 과정을 수행하여 획득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추후의 사용(예컨대, S280의 과정에서 사용)을 위해 저장할 수 있다(S270). S270의 과정은 통합 계층 처리부(132)가 제2 타입 통신부(120_2)로부터 링크 설정용 정보를 제공 받아 통합 접속점(110)의 제1 타입 접속점에 대한 정보(예컨대,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와 맵핑하여 메모리(140)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S270의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S260의 과정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통합 접속점(110)의 링크 설정용 정보가 이미 확보된 경우(S250), 멀티 모드 단말(120)은 확보된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단축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S280). 단축 설정 프로시져의 예로는, 제2 타입 링크의 연결 설정이 와이파이 링크 연결 설정과 같이, 스캐닝 과정, 인증 과정, 결합 과정을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3가지 과정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시간적으로 또는 절차적으로 단축되거나 생략된 설정 프로시져를 들 수 있다. S280의 과정은 통합 계층 처리부(132)가 S210에서 획득한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에 맵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메모리(140)로부터 독출하여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제2 타입 링크를 생성하라는 명령과 함께 제공하는 과정, 제2 타입 통신부(120_2)가 제공 받은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단축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S270 또는 S280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제2 타입 링크가 연결 완료된 후(S290), S220로 복귀할 수 있다.
도 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 연결을 단축시키기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3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도 3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타입 통신부(120_1)와 통합 접속점(150)의 제1 타입 통신부(160_1)는 제1 타입 링크를 연결하여 제1 타입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310). S310은 도 2의 S210에 대응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타입 통신부(120_1)는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정보를 통합 계층 처리부(132)에 보고할 수 있다(S312).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정보의 예로는, 연결된 제1 타입 접속점에 대한 식별자(예컨대, 펨토셀 식별자)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S310의 과정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통합 접속점(150)의 제1 타입 통신부(160_1)는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정보를 통합 계층 처리부(172)에 보고할 수 있다(S312'). 연결된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정보의 예로는,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타입 단말 식별자(예컨대, 셀룰러 단말의 식별자)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S310의 과정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메모리(예컨대, 도 1의 140)로부터 독출하고(S320), 그 독출된 정보를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제공할 수 있다(S322). S320 및 S322는 도 2의 S280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멀티 모드 단말(110)은, S320에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S220, S240, S250 과정에 상응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통합 접속점(150)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제1 타입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메모리(예컨대, 도 1의 180)로부터 독출하고(S320), 그 독출된 정보를 제2 타입 통신부(160_2)에 제공할 수 있다(S322'). 통합 접속점(150)도 링크 설정용 정보의 생성, 저장, 조회, 활용 등을 위한 동작을 도 2에서 예시한 멀티 모드 단말의 동작(예컨대, S250, S260, S270, S280)과 마찬가지 원리로 수행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공받은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제2 타입 링크 연결을 위한 단축 설정 프로시져(후술하는 S340, S350-3, S350-2, S350-1, S360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포함)를 수행할 수 있으며(S330), 통합 접속점(150)은 제공 받은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제2 타입 링크 연결을 위한 단축 설정 프로시져(후술하는 S350-3' S350_2' S350-1' S360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포함)를 수행할 수 있다(S330').
멀티 모드 단말(120)은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효율적인 스캐닝을 수행하거나, 스캐닝을 생략할 수 있다(S340).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20)의 제2 타입 통신부(120_2)는 링크 설정용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 정보를 기초로, 효율적인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타입 접속점이 WiFi AP인 경우, 링크 설정용 정보는 WiFi AP가 동작하는 주파수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타입 통신부(120_2)는 해당 주파수 채널에 맞추어 패시브 스캐닝(예컨대, WiFi AP로부터의 비콘 프레임 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20)의 제2 타입 통신부(120_2)는 링크 설정용 정보에 포함된 제2 타입 접속점에 대한 식별자를 기초로, 효율적인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타입 접속점이 WiFi AP인 경우, 링크 설정용 정보는 WiFi AP의 SSID를 포함하고, 제2 타입 통신부(120_2)는 해당 SSID를 이용하는 액티브 스캐닝(SSID를 프로브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20)의 제2 타입 통신부(120_2)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연결 가능성이 확실한 제2 타입 접속점이라고 판단하고, 스캐닝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20) 및 통합 접속점(150)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50, S350').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20) 및 통합 접속점(150)은 제2 타입 통신용 보안 모드에 따라 정해지는 인증용 단계들을 모두 수행하는 전체 인증 절차(즉, 일반 인증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S350-3, S350-3').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20) 및 통합 접속점(150)은 S322, S322'을 통해 제공 받는 정보를 기초로, 일반 인증 프로시저의 단계들 중 일부만을 수행하는 일부 인증 절차를 수행하거나(S350-2, S350-2'), 일반 인증 프로시저의 단계들 모두를 생략하는 인증 생략 절차(S350-1, S350-1')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S322, S322'을 통해 제공 받는 정보는 인증의 절차 간소화 또는 생략을 위한 인증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22를 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20_2)가 제공 받는 인증용 정보의 일례로는, 제2 타입 접속점 식별자(예컨대, WiFi AP의 SSID) 및 해당 제2 타입 접속점 식별자를 가진 제2 타입 접속점에 대해서 해당 인증 모드(예컨대, 일부 인증 절차, 인증 생략 절차)를 인증하라는 커맨드를 들 수 있다. 제2 타입 통신부(120_2)는, 이전에 일반 인증 프로시져를 수행하여 미리 확보한(예컨대, 도 2의 S270을 통하여 저장한) 인증 파라미터 등의 필요 정보 및 S322를 통하여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해당 인증 모드에 따른 인증(일부 인증 절차 또는 인증 생략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322'을 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60_2)가 제공 받는 인증용 정보의 일례로는, 제2 타입 단말 식별자(예컨대, WiFi 단말의 MAC 주소) 및 해당 제2 타입 단말 식별자를 가진 제2 타입 단말에 대해서 해당 인증 모드(예컨대, 일부 인증 절차, 인증 생략 절차)를 인증하라는 커맨드를 들 수 있다. 제2 타입 통신부(160_2)는, 이전에 일반 인증 프로시져를 수행하여 미리 확보한 인증 파라미터 등의 필요 정보 및 S322를 통하여 제공받은 정보를 기초로, 해당 인증 모드에 따른 인증(일부 인증 절차 또는 인증 생략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타입 통신용 보안 모드에 따라 WiFi WEP (Wired Equivalent Privacy)에 기초로 하는 인증 프로시져가 사용되고, 통합 접속점(150)이 기존의 연결 과정을 통해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타입 단말 식별자와 제2 타입 단말 식별자를 맵핑한 정보를 링크 설정용 정보로서 메모리(도 1의 180)에 이미 저장한 경우(예컨대, 도 2의 S270과 같이), 통합 접속점(150)과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전체 인증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S350'-1). 다른 일례로, 통합 접속점(150)과 멀티 모드 단말(110) 모두는 이미 확보된(예컨대, 도 2의 S270과 같이, 이전에 제2 타입 링크 연결 설정을 위해 수행되었던 둘 간의 일반 인증 프로시져에 따라 확보 및 저장된) 공유키(shared key)를 이용해서 바로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보안 모드에 따른 일반 인증 프로시져가 사용되는 경우, 통합 접속점(150)과 멀티 모드 단말(110)은 인증 생략 절차(S350-1, S350'-1)을 수행하거나, 양쪽 모두 동일한 초기화 과정이 필요한 경우(예: 카운터 리셋)에는 전체 인증 절차(S350-3, S350'-3) 또는 일부 인증 절차 (S350-2, S350'-2)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인증 모드는 멀티 모드 단말(110)과 통합 접속점(150) 간에 미리 약속(예컨대, 제품 출하시에 초기 설정 또는 S310을 통하여 인증 모드를 양자간 협의 및 결정)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20) 및 통합 접속점(150)은 S322, S322'을 통해 제공 받는 정보를 기초로, 결합에 필요한 단계들을 생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S322, S322'을 통해 제공 받는 정보는 결합의 생략을 위한 결합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322를 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20_2)가 제공 받는 결합용 정보의 일례로는, 제2 타입 접속점 식별자(예컨대, WiFi AP의 SSID) 및 해당 제2 타입 접속점 식별자를 가진 제2 타입 접속점에 대해서는 결합된 것으로 설정하라는 커맨드를 들 수 있다. S322'을 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60_2)가 제공 받는 결합용 정보의 일례로는, 제2 타입 단말 식별자(예컨대, WiFi 단말의 MAC 주소) 및 해당 제2 타입 단말 식별자를 가진 제2 타입 단말에 대해서 결합된 것으로 설정하라는 커맨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2 타입 링크 연결 설정이 완료되고, 멀티 모드 단말(110)과 통합 접속점(150) 간의 제2 타입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S360).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핸드 오버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2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도 4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멀티 모드 단말(110)이 제1 타입 통신을 수행할 때 소스 통합 접속점(150-S)으로부터 타겟 통합 접속점(150-T)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상황을 전제하여 도시된 도면이다. 본 개시는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자동적으로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가 수행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먼저, 멀티 모드 단말(110)과 소스 통합 접속점(150-S) 간에 제1 및 제2 타입 링크들이 모두 연결될 수 있다(S310, S360). 제1 및 제2 타입 링크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도 3에서 예시한 방법 또는 그외의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링크(제1 타입 링크)로 멀티 모드 단말(110)와 소스 통합 접속점(150-S)과 통신하던 도중에, 제2 타입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10) 또는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이 제1 타입 핸드오버를 수행하기로 결정하면, 자동적으로 제2 타입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멀티 모드 단말(110)은 주변의 제1 타입 링크의 신호 품질(일례로, 주변 셀의 신호 세기 등)를 소스 통합 접속점(150-S)에 주기적으로 보고하고(S405),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은 해당 신호 세기 정보를 기초로, 제1 타입 및 제2 타입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410).
제1 타입 및 제2 타입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S410), 핸드오버용 시그널링(S420-A, S420-B, S420-C, S420-D)이 수행될 수 있다. 소스 통합 접속점(150-S)과 타겟 통합 접속점(150-T) 간 핸드오버용 시그널링(S420-A)은,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핸드오버 결정 후,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이 타겟 통합 접속점(150-T)에게 해당 단말의 핸드오버를 통보하는 시그널링,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이 이를 승인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과 소스 통합 접속점(150-S) 간 핸드오버 시그널링(S420-B)은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이 멀티 모드 단말(110)에게 타겟 통합 접속점(150-T)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통보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 모드 단말(110)과 타겟 통합 접속점(150-T) 간 시그널링(S420-C)은, 멀티 모드 단말(110)과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이 서로에 대한 제1 타입 링크를 연결 설정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통합 접속점(150-S)과 타겟 통합 접속점(150-T) 간 핸드오버 시그널링(S420-D)은,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이 멀티 모드 단말(110)에게 핸드오버를 통보한 이후에 수신한 멀티 모드 단말(110)의 트래픽을 타겟 통합 접속점(150-T)으로 전달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있다.
한편, 제1 타입 핸드오버가 진행되는 도중(일례로, S420-A 직후, S420-B 직후 또는 S420-C 직후)에 또는 진행 완료된 후에 각 제1 타입 통신부(120_1, 160_1-S, 160_1-T)는 제2 타입 핸드오버를 시작하기 위한 정보를 각 통합 계층 처리부(132, 172-S, 172-T)에 보고할 수 있다(S430-A, S430-B, S430-C).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제1 타입 통신부(160_1-S)는 제1 타입 핸드오버 관련 정보(제1 타입 핸드오버를 하기로 결정되었음, 제1 타입 핸드오버가 진행되고 있음, 또는 제1 타입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합 계층 처리부(172-S)에 보고할 수 있다(S430-A). 이렇게 보고 받은 통합 계층 처리부(172-S)는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2 타입 단말 식별자가 타겟 통합 접속점(150-T)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타입 통신부(120-1)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타입 통신부(120-1)는 제1 타입 핸드오버 관련 정보(제1 타입 핸드오버를 하기로 결정되었음, 제1 타입 핸드오버가 진행되고 있음, 또는 제1 타입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 및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의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를 통합 계층 처리부(132)에 보고할 수 있다(S430-B). 일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의 제1 타입 통신부(160-1-T)는 제1 타입 핸드오버 관련 정보(제1 타입 핸드오버를 하기로 결정되었음, 제1 타입 핸드오버가 진행되고 있음, 또는 제1 타입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 및 소스 통합 접속점(150-S)으로부터 제공 받은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2 타입 단말 식별자를 통합 계층 처리부(172-T)에 보고할 수 있다(S430-C).
리포트(S430-A, S430-B, S430-C)를 수신한 각 통합 계층 처리부(172-S, 132, 172-T)는 제2 타입 핸드오버를 진행하라는 명령을 각 제2 타입 통신부(160_2-S, 120_2, 160_2-T)에게 제공하고(S440-A, S440-B, S440-C), 이에 응답하여 각 제2 타입 통신부(160_2-S, 120_2, 160_2-T) 는 제2 타입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다(S450-A, S450-B, S450-C).
일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T)는 제2 타입 통신부(160_2-S)에게 해당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대한 결합 해제(Deassociation)을 간단히 처리하라는 명령을 제공하고(S440-A), 이에 응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60_2-S)는 결합 해제를 위한 신호 교환 없이, 결합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S450-A).
결합 해제를 위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게 해당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제2 타입 통신부(160_2-S)에 대한 결합 해제(Deassociation)을 간단히 처리하라는 명령을 제공하고(S440-B), 이에 응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60_2-S)는 결합 해제를 위한 신호 교환 없이, 결합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S450-B-1). 제2 타입 링크 연결을 위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S430-B를 통하여 획득한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의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가 메모리(예컨대, 도 1의 140)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링크 설정용 정보가 메모리에 있는 경우에는 단축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링크 설정용 정보와 함께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제공하고(S440-B), 링크 설정용 정보가 메모리에 없는 경우에는, 일반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제공하며(S440-B), 이에 응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20_2)는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의 제2 타입 접속점과의 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해당 설정 프로시져(단축 설정 프로시져 또는 일반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S450-B-2). 일반 설정 프로시져 및 단축 설정 프로시져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상술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T)는 S430-C를 통하여 획득한 멀티 모드 단말(110-T)의 제1 타입 단말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가 메모리(예컨대, 도 1의 180)에 있는지를 확인하고, 링크 설정용 정보가 메모리에 있는 경우에는 단축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링크 설정용 정보와 함께 제2 타입 통신부(160_2-T)에 제공하고(S440-C), 링크 설정용 정보가 메모리에 없는 경우에는, 일반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제공하며(S440-C), 이에 응답하여 제2 타입 통신부(160_2-T)는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2 타입 통신부(120_2)와의 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설정 프로시져(단축 설정 프로시져 또는 일반 설정 프로시져)를 수행할 수 있다(S450-C). 일반 설정 프로시져 및 단축 설정 프로시져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상술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연결 설정(S450-B-2, S450-C)과 연결 해제(S450-B-1, S450-A)가 동시 수행되는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연결 설정과 연결 해제가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시간에 시작 및/또는 완료되는 실시예도 존재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되어(S460), 제1 타입 핸드오버 뿐만 아니라, 제2 타입 핸드오버까지 수행 완료된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간 데이터 분산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이 서로 통신하는 상황에서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통합 접속점과 멀티 모드 단말은 제1 타입 링크를 연결한다(S505).
통합 접속점은 제1 타입 링크의 현재 부하가 큰지(일례로, 미리 설정한 문턱 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510). 일례로, 통합 접속점의 통합 계층 처리부는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제1 타입 통신부로부터 제공 받아 이러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입 링크의 부하의 예로는 하향링크 버퍼(기지국) 또는 상향링크 버퍼(단말)의 길이, 무선자원 리소스(주파수, 타임슬롯, 전송파워)의 사용정도 등을 들 수 있다.
제1 타입 링크의 부하가 미리 설정한 문턱 값보다 크면(S510), S54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S510), S520으로 진행한다.
S520에서 통합 접속점은 제1 타입 링크의 현재 서비스 품질이 열악한지(일례로, 미리 설정한 문턱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520). 일례로, 통합 접속점의 통합 계층 처리부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1 타입 통신부로부터 제공 받아, 이러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입 통신의 서비스 품질의 예로는 전송 수율(throughput), 전송 지연, 전송 오율(frame error rate), 신호대잡음비(SNR) 등을 들 수 있다.
제1 타입 통신의 서비스 품질이 미리 설정한 문턱 값보다 작으면(S520), S54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S520), S530으로 진행한다.
S530에서 통합 접속점은 제1 타입 링크의 간섭 레벨이 심한지(일례로, 미리 설정한 문턱 값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530). 일례로, 통합 접속점의 통합 계층 처리부는 간섭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제1 타입 통신부로부터 제공 받아 이러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입 통신의 간섭 레벨의 예로는 통합 접속점에서 수신하는 상향링크 간섭신호 세기 또는 멀티 모드 단말이 수신하는 하향링크 간섭신호 세기를 들 수 있다. 통합 접속점에서 수신하는 상향링크 간섭신호 세기가 클 경우, 이는 주변에 타 셀에 소속되어 있는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이 수신하는 하향링크 간섭신호 세기가 클 경우, 이는 주변에 타 셀 기지국이 존재하여 큰 하향링크 간섭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타입 링크의 간섭 레벨이 미리 설정된 문턱 값보다 큰 경우(S530), S54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S530), S550으로 진행한다.
S540에서 통합 접속점은 제2 타입 링크의 현재 부하가 작은지(일례로, 미리 설정한 문턱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통합 접속점의 통합 계층 처리부는 제2 타입 통신의 부하를 제2 타입 통신부로부터 보고 받아, 이러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타입 통신의 부하의 예로는 하향링크 버퍼의 길이, 전송 수율, 전송 지연, 전송 오율, 연결된 단말의 개수 등을 들 수 있다.
제2 타입 통신의 현재 부하가 미리 설정한 문턱 값보다 작으면(S540), S58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S540), S570으로 진행한다.
S550에서 통합 접속점은 멀티 모드 단말의 트래픽을 제1 타입 링크만을 이용하여 일정 서비스 품질 이내로 서비스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통합 접속점의 통합 계층 처리부는 제1 타입 링크의 현재 부하에 대한 정보를 제1 타입 통신부로부터 제공 받아, 이러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가 가능하지 않는 경우 (S550), S57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S550), 모든 트래픽을 제1 타입 통신부를 통해서만 서비스한다(S560). 일실시예에 있어서, S550에서 통합 접속점은 멀티 모드 단말의 제2 타입 통신부를 비활성화시키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말의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S570에서 통합 접속점은 기존 상태(일례로, 제1 타입 링크로만 데이터 송신 서비스 또는 제1 및 제2 타입 링크로 데이터 분산 송신 서비스)를 유지한다.
S580에서 통합 접속점은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연결한다. 일례로, 통합 접속점은, 멀티 모드 단말의 제2 타입 통신부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활성화하도록 멀티 모드 단말을 원격 제어한 후에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는 방법은 본 개시에 따른 방법, 또는 그 외의 방법으로 가능할 수 있다. 이후, 통합 접속점은 제2 타입 링크로 데이터를 분산하여 송신(즉, 하향 링크 송신)한다(S59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타입 링크를 통해 전송 중인 트래픽을 제2 타입 링크로 분산하여 송신함으로써, 제1 타입 링크의 상태(예컨대, 부하, 간섭, 및/또는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6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5를 참조하여, 도 6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6은 S590의 과정 동작 및 S590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상세 동작을 예시한다.
먼저, 통합 접속점(150)과 멀티 모드 단말(110) 간의 제1 타입 링크가 연결된다(S605).
통합 접속점(150)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제1 타입 통신부(160_1)로부터 제1 타입 링크의 상태(부하, 품질, 및/또는 간섭)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S610),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분산 송신 여부를 결정한다(S620). 일례로,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제2 타입 링크를 이용한 분산 송신,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대한 비활성화, 기존 상태 유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2 타입 링크를 이용한 분산 송신,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대한 비활성화, 기존 상태 유지는 도 5의 S590, S560, S570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제2 타입 링크를 이용한 분산 송신으로 결정한 경우,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제2 타입 링크의 연결 명령(및 이를 위해 필요한 경우, 멀티 모드 단말의 제2 타입 통신부에 대한 활성화 명령)을 제1 타입 통신부(160_1)에 제공하여(S622),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멀티 모드 단말(110)에 전달되도록 한다(S624). 수신된 제2 타입 링크의 연결 명령은 통합 계층 처리부(132)에 전달되며(S626), 이에 응답하여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타입 통신부(120_2)를 제어한다. 한편,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2 타입 통신부(120_2)를 활성화하는 제어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통합 접속점(150)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해당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라는 명령을 제2 타입 통신부(160_2)에 내릴 수 있다(S628').
S628 및 S628'의 결과로,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될 수 있다(S630).
제2 타입 링크가 연결되면(S630), 통합 계층 처리부(150)는 기존에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되던 데이터가 제2 타입 통신으로 분산 송신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160_1, 160_2)에 대한 분산 데이터 제공 및 해당 제어를 수행한다(S635, S635').
S635, S635'의 결과, 제1 타입 통신 및 제2 타입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가 분산 송신되어(S640, S640'), 이를 수신한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120_1, 120_2)는 통합 계층 처리부(132)에 알리거나 해당 수신 데이터를 제공한다(S650, S650').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수신한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S660). 이때,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1 및 제2 타입 통신부(120_1, 120_2) 각각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시퀀스번호대로 정렬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수신 데이터를 일정량 (예: 일정 바이트 또는 일정 패킷 수) 만큼 및/또는 일정 시간 동안 시퀀스번호대로 정렬 저장하여, 그 정렬 저장된 데이터를 바로 상위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저장된 데이터가 일정량을 넘거나, 일정 시간 이상 저장된 경우는 해당 데이터를 정렬 없이 상위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도 상술한 하향 링크 분산 송신 과정(S635, S635' S640, S640' S650, S650', S660)과 마찬가지 원리로 S635-A, S635'-A, S640-A, S640'-A, S650-A, S650'-A, S660-A를 통하여 상향 링크 분산 송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7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5를 참조하여, 도 7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7은 S560의 과정 동작 및 S560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상세 동작을 예시한다.
S705, S710, S720은 앞서 설명한 도 6의 S605, S610, S620과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S720에서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대한 비활성화로 결정한 경우,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제2 타입 통신부(120_2)에 대한 비활성화 명령을 제1 타입 통신부(160_1)에 제공하여(S722),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멀티 모드 단말(110)에 전달되도록 한다(S724). 수신된 비활성화 명령은 통합 계층 처리부(132)에 전달되며(S726), 이에 응답하여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2 타입 통신부(120_2)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S728).
마찬가지로, 통합 접속점(150)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제2 타입 통신부(160_2)에 대한 비활성화 및 제2 타입 링크의 연결 해제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728'). 그 결과, 이미 연결 중이었던 제2 타입 링크가 있는 경우, 해당 링크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S730).
통합 접속점(150)은 제1 타입 링크를 통한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제1 타입 통신부(160_1)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S735). 이러한 데이터는 제1 타입 링크를 통하여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타입 통신부(120_1)에 전달되고(S740), 제1 타입 통신부(120_1)는 수신한 데이터를 통합 계층 처리부(132)에 제공하고(S750),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공받은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S760).
멀티 모드 단말(11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도 상술한 제1 타입 통신을 이용한 하향 링크 송신 과정(S735, S740, S750, S760)과 마찬가지 원리로S735-A, S740-A, S750-A, S760-A를 통하여 제1 타입 통신을 이용한 상향 링크 송신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분산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8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5를 참조하여, 도 8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8은 S570의 과정 동작 및 S570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상세 동작을 예시한다.
S805, S810, S820은 앞서 설명한 S605, S610, S620과 마찬가지로 설명될 수 있다.
S820에서 기존 상태 유지로 결정된 경우, 기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S830). 일례로, 기존 상태가 데이터 분산 송신인 경우에는 도 6에 예시된 하향 링크 분산 송신 과정(S635, S635', S640, S640', S650, S650', S660)이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일례로, 기존 상태가 제1 타입 통신 링크만을 이용한 데이터 송신인 경우에는, 도 7에 예시한 제1 타입 통신을 이용한 하향 링크 송신 과정(S735, S740, S750, S760)이 수행될 수 있다. 상향 링크 송신과 관련한 기존 상태 유지도 마찬가지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별 커버리지 매칭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이 서로 통신하는 상황에서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통합 접속점은 멀티 모드 단말로부터 제1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이하, 제1 타입 커버리지) 및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이하, 제2 타입 커버리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이하,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를 보고 받는다(S910).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는 멀티 모드 단말이 통합 접속점의 제1 및 제2 타입 접속점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 또는 측정하여 얻는 정보로서, 통합 접속점에 의해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들에 대한 맵을 그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통합 접속점이 통합 펨토셀 기지국인 경우에는, 통합 접속점은 해당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LTE 셀 및 WiFi AP의 커버리지 맵을 그릴 수 있다. 이러한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의 예로는 수신 신호 세기, 수신 신호의 신호대잡음비, 경로감쇄값을 들 수 있다.
일례로, 멀티 모드 단말은 제1 타입 커버리지에 대한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 및 제2 타입 커버리지에 대한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를 각각 별도의 메시지를 통하여 통합 접속점에 보고할 수 있으며, 다른 일례로, 멀티 모드 단말은 제1 타입 커버리지에 대한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 및 제2 타입 커버리지에 대한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를 하나의 통합 메시지를 통하여 통합 접속점에 보고할 수 있다.
각 링크의 신호 정보가 별도의 메시지를 통하여 보고되는 경우, 통합 접속점은 두 리포팅 간의 시간 간격 또는 두 리포팅 시 단말의 위치 간격이 미리 설정된 문턱 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920). 일례로, 이러한 판단은 통합 접속점의 통합 계층 처리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이 문턱 값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되면(S920), 통합 계층 처리부는 두 리포팅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되었다고 판단하여 S95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S920), S925로 진행한다.
S955에서, 통합 계층 처리부는 상호 커버리지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다. 일례로, 통합 계층 처리부는 링크 커버리지 매칭을 수행하지 않는다. 가장 최근에 수신한 리포팅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이후에 수신하는 리포팅의 시간 간격 또는 위치 간격이 문턱 값 이내인 경우 이와 비교하여 커버리지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리포팅된 제1 타입 통신용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S925), 통합 계층 처리부는 멀티 모드 단말이 일정 수준의 제1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에 있다고 판단하고, S930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S925), S935로 진행한다.
S930 및 S935에서, 통합 계층 처리부는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가 미리 설정된 문턱 값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최종적인 커버리지판단(S940, S945, S950) 및 판단 유보(S955)를 수행할 수 있다.
S940은 통합 접속점이 멀티 모드 단말이 소정(미리 정해둔) 수준의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다고 판단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후속 조치의 예로는, 통합 계층 처리부는 두 커버리지 간 상호 관계를 파악하지 못하였으므로, 이후 수신되는 단말 리포팅을 참조하여 지속적으로 커버리지 매칭을 시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S945는 통합 접속점이 멀티 모드 단말이 소정 수준의 제1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 내에 있으나 소정 수준의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 조치의 예로는, 제2 타입 통신 신호의 커버리지가 미리 설정된 문턱 값보다 커지는 경우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만족하는 경우에만 제2 타입 링크의 자동 연결을 트리거하는 것,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를 넓히기 위해 제2 타입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일정 정도 감소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이후 수신되는 단말 리포팅을 참조하여 계속적으로 커버리지의 변화를 감지하고 커버리지 매칭이 시도될 수 있다.
S950은 통합 접속점이 멀티 모드 단말이 소정 수준의 제2 타입 커버리지 내에 있지만, 소정 수준의 제1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후속 조치의 예로는, 통합 계층 처리부는 제2 타입 링크의 자동 연결을 트리거하는 것, 제1 타입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일정 정도 증가시켜 제1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를 증가시키거나, 제2 타입 통신 신호의 세기를 일정 정도 감소시켜 제2 타입 통신의 커버리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이후 수신되는 단말 리포팅을 참조하여 계속적으로 커버리지의 변화를 감지하고 커버리지 매칭이 시도될 수 있다.
S955는 상호 관계를 파악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시간 간격 또는 위치 간격상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를 수신한 경우(S920으로부터 분기된 경우), 또는 두 커버리지 간 상호 관계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예컨대, S935로부터 분기되는 경우)로서, 이에 대한 후속 조치의 예로는 링크 커버리지 매칭을 하지 않고, 다음의 리포팅을 기다리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10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링크별 커버리지 매칭을 위한 프로시져를 예시한다.
도 10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9를 참조하여, 도 10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10은 도 9에서S950까지의 동작 및 S950의 응용 예인 LTE 핸드오버시 커버리지 매칭을 통한 심리스(seamless) 전송 동작을 예시한다.
먼저, 멀티 모드 단말(110)과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은 제1 및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한다(S1004, S1004'). 이 연결 방법은 앞서 도 3 등을 통하여 설명한 본 개시에 따른 연결 방법 및 기타 그외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1 및 제2 타입 링크의 커버리지 판단용 정보를 소스 통합 접속점(150-S)에 보고한다(S1010, S1010').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제1 및 제2 타입 통신용 인터페이스(160_1-S, 160_2-S) 각각은 수신된 리포트를 통합 계층 처리부(172-S)에 전달하고(S1015, S1015'), 통합 계층 처리부(172-S)는 해당 리포트를 기초로 제1 및 제2 타입 통신 커버리지 간의 상호 관계를 파악하고, 각 커버리지를 제어할 수 있다(S1016). 도 10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S1016에서, 도 9의 S950에서와 같이, 제2 타입 통신 커버리지가 제1 타입 통신 커버리지보다 크다고 판단한 것을 전제한 것이며, 이를 통하여 S1045, S1045'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리포트를 소스 통합 접속점(150-S)에 송신할 수 있다(S1020). 이러한 리포트를 기초로 소스 통합 접속점(150-S)는 핸드오버 진행을 결정하고(S1025), 소스 통합 접속점(150-S)과 타겟 통합 접속점(150-T)은 핸드오버용 시그널링을 통해 멀티 모드 단말(110)의 핸드오버를 알리고 승인한다(S1030). 이후,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제1 타입 통신부(160_1-S)는 멀티 모드 단말(110)에게 핸드오버할 것을 명령하고(S1030'), 제1 타입 통신부(160_1-S)을 통한 멀티 모드 단말(110)로의 데이터 송신을 중지한다. 멀티 모드 단말(110)은 핸드오버 명령을 수신한 후, 타겟 통합 접속점(150-T)과 링크 연결을 시도한다(S1030'). 이와 동시에,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제1 타입 통신부(160_1-S)는 멀티 모드 단말의 핸드오버 사실을 통합 계층 처리부(172-S)에 알리고(S1040), 통합 계층 처리부(172-S)는 이후의 데이터 송신을 제2 타입 통신부를 통해서만 수행하도록 제2 타입 통신부(160_2-S)를 제어한다(S1045, S1045').
나머지 핸드오버용 시그널링(S1050)을 통해서 상위 데이터 전송 패스가 타겟 통합 접속점(150-T)으로 설정되면,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S)는 잔여 데이터를 멀티 모드 단말(110)로 직접 전송하는 대신에 상위 네트워크 노드로 전달하여, 타겟 통합 접속점(150-T)으로 전달되도록 한다(S1065). 여기까지의 과정을 통해 단말의 제1 타입 통신의 핸드오버가 완료된다. 이후 소스 통합 접속점(150-S)의 통합 계층 처리부(172-S)과 멀티 모드 단말(110)의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명령하고, 제2 타입 링크를 연결 해제한다(S1070, S1070'). 이때, 타겟 통합 접속점(150-T)과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1 타입 링크가 이미 설정된 상태이므로 이를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1080, S1080'). 이후,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제2 타입 링크를 통해서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1090).
도 1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 전송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이 서로 통신하는 상황에서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접속점은 높은 우선 순위(이하, 높은 순위)의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고, 낮은 우선 순위(이하, 낮은 순위)의 데이터를 제2 타입 통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입 통신은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전송률 자체 또는 비용 대비 전송률이 낮은 통신(예컨대, 셀룰러 통신)일 수 있으며, 제2 타입 통신은 그 반대의 특성을 가진 통신(예컨대, 와이파이 통신)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통합 접속점은 높은 순위의 데이터를 제1 및 제2 타입 통신으로 중복 송신하고, 낮은 순위의 데이터를 제2 타입 통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은 순위 데이터 및 낮은 순위 데이터의 일례로,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I(Intra-coded), P(Predictive-coded), B(Bidirectional-coded) 프레임의 순으로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되며, 다른 일례로 스케일러블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는 베이스 계층 데이터, 향상 계층 데이터의 순으로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합 접속점은 데이터를 제1 타입 및 제2 타입 링크로 분산 송신하되, 높은 순위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예컨대, 높은 순위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되는 링크 상태가 우수한지)에 따라서 그 분산되는 량을 적응시키거나, 그에 따라 제2 타입 전송 데이터의 QoS 맵핑을 적응시킬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1 타입 통신을 셀룰러 통신, 제2 타입 통신을 와이파이 통신을 가정하여 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합 점속점은 우선 순위 별로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을 통해 전송할지, 제2 타입 통신을 통해 전송할지 및 제2 타입 통신 내에서 어떠한 QoS 클래스(일례로, 와이파이 통신의 AC)에 맵핑할 지에 대한 초기값을 가지고 송신을 시작한다(S1110). 데이터 전송 중에, 높은 순위의 데이터 품질이 제1 문턱 값 미만일 경우(S1120) 제1 타입 링크의 부하가 높다고 판단하여, 이를 낮추기 위해 제1 타입 링크를 통해 전송 중인 일부 낮은 순위 데이터를 제2 타입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S1150). 이로 인해, 제2 타입 통신의 부하가 증가될 것이므로 이에 맞추어 통합 계층 처리부는 기존에 제2 타입 통신으로 전송 중인 데이터를 더 낮은 QoS 클래스로 맵핑한다 (S1160). 이를 통해, 제2 타입 통신으로 전송 중인 데이터 중 더 높은 순위를 갖는 데이터가 더욱 좋은 품질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높은 우선 순위의 데이터의 품질이 제2 문턱값(>제1 문턱값) 초과일 경우(S1130), 제1 타입 링크의 부하가 충분히 낮아졌다고 판단하여, 통합 접속점은 제2 타입 통신을 통해 전송 중인 일부 낮은 순위 데이터(예컨대, 차순위 데이터) 또는 전체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합 접속점은 모든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을 통해 전송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1140). 제1 타입 통신을 통해 모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 정도로 부하가 낮아졌다고 판단될 경우(S1140), 제2 타입 통신부를 비활성화하고, 모든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으로 송신하고(S1190), 그렇지 않은 경우(S1140), 일부 낮은 순위 데이터(예컨대, 차순위 데이터)만을 제1 타입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S1170). S1170을 통하여 제2 타입 통신의 부하가 감소될 것이므로, 통합 접속점은 이에 맞추어 계속해서 제2 타입 통신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더 높은 QoS 클래스로 맵핑한다(S1180). 이를 통해, 제2 타입 통신으로 전송 중인 데이터가 더 낮은 순위를 갖는 데이터에 비해 우수한 전송 품질로 전송될 수 있다. .
도 1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맵핑 조절 및 데이터 분산 송신을 예시한다.
도 12를 통하여 설명되는 몇몇 실시예들은 제1 및 제2 타입 통신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단말 및 통합 접속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 및 11를 참조하여, 도 12에 따른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히, 도 12는 도 11에서 S1160 내지 1190의 동작을 예시한다.
먼저, 통합 접속점(150)과 멀티 모드 단말(110)은 제1 타입 및 제2 타입 링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S1204, S1204'). 이해를 돕기 위해, 0, 1, 2 순위 데이터가 전송된다고 가정하되, 초기 맵핑(예컨대, 도 11의 S1110와 같이)을 통하여, 0, 1 순위 데이터는 제1 타입 통신을 통해, 2순위 데이터는 제2 타입 통신(와이파이 가정)으로 전송하되, AC_VI로 전송한다고 가정한다(S1205).
통합 접속점(150)의 제1 및 제2 통신부(160_1, 160_2)는 우선 순위별 서비스 품질 정보를 통합 계층 처리부(172)에 보고한다(S1210, S1210'). 우선순위별 서비스 품질 정보의 예로는 전송 지연, 지연 지터(jitter), 전송 오율, 피크 신호대잡음비등을 들 수 있다.
0순위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이 제1 문턱값보다 낮은 경우(S1220),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0순위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일부 데이터를 제2 타입 링크로 이동시키고(본 예에서는, 1순위 데이터), 제2 타입 통신의 QoS맵핑을 변경한다(본 예에서는, 1순위 데이터를 AC_VI로, 2순위 데이터를 AC_BE로 하향 조절한다).
통합 계층 처리부(172)는 변경된 데이터 분산 및 QoS맵핑 정보를 각 통신부(162_1, 162_2)에 전달하고(S1225, S1225'), 제1 타입 통신부(160_1)는 변경 정보를 멀티 모드 단말(110)로 전달한다(S1230). 변경 정보를 수신한 멀티 모드 단말(110)의 제1 타입 통신부(120_1)는 이를 통합 계층 처리부(132)로 보고하고(S1235), 이에 응답하여, 통합 계층 처리부(132)는 제2 타입 통신부(120_2)의 QoS맵핑 정보를 변경한다(S1235').
우선 순위별 서비스 품질 정보를 보고 받아(S1240, S1240'), 0순위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이 제2 문턱값보다 높다고 판단한 경우(S1250), 통합 계층 처리분느 차상위 데이터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일부 데이터(본 예에서는 1순위 데이터)를 제1 타입 링크로 이동시키고, 제2 타입 링크의 QoS맵핑을 상향 조절로 변경한다(본 예에서는 2순위 데이터를 AC_VI로 상향 조절). 변경된 데이터 분산 및 QoS 맵핑 정보는 앞의 경우 동일한 절차를 통해 통합접속점과 단말에 적용되고(S1255, S1255', S1260, S1265, S1265'), 해당 방식으로 데이터가 전송된다(S1267).
우선 순위별 서비스 품질 정보를 보고 받아(S1270, S1270'), 0순위 데이터의 서비스 품질이 제2 문턱값보다 높고, 모든 데이터를 제1 타입 링크로 서비스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S1280), 통합 접속점(150)은 모든 데이터를 제1 타입 통신을 통해서 전송한다(S1297). 이를 위해 변경된 데이터 분산 및 QoS맵핑정보는 앞의 경우 동일한 절차를 통해 통합접속점과 단말에 적용된다(S1285, S1285', S1290, S1295, S1295').
당업자는 여기서 개시된 본 프로세스 및 방법 및 다른 프로세스 및 방법에 있어서, 그 프로세스 및 방법에서 실행되는 기능이 다른 순서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략 설명된 단계 및 동작은 예로서만 제공된 것이며,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단계 및 동작은 선택적이며, 더 적은 수의 단계 및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추가적인 단계 및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동작, 프로세스 등의 어떤 것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모바일 장치의 프로세서, 네트워크 구성요소 및/또는 다른 어떤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멀티 모드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각각 링크 연결된 제1 타입 접속점 및 제2 타입 접속점을 포함하는 소스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을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2 타입 타겟 접속점과의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에 대한 정보는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접속점과의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과의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없는 경우, 제2 연결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과의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고,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와 맵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 식별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상기 제2연결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보다 짧은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설정 방식은 상기 제2 연결 설정 방식에 따라 수행되는 단계들 중 일부를 생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통합 접속점과의 제1 및 제2 타입 링크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통신은 셀룰러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통신은 무선 근거리망 통신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접속점은 펨토셀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타입 접속점은 와이파이 접속점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접속점은 통합 펨토셀 기지국을 포함하는 방법.
  12. 통합 접속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소스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을 제1 타입 통신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및 제2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1 타입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멀티 모드 단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링크 설정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멀티 모드 단말의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설정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통합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링크 설정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설정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모드 단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드 단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없는 경우, 제2 연결 설정 방식에 따라 상기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2 타입 링크를 연결하고,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상기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타입 단말 식별자와 맵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독출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타입 단말 식별자에 맵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통합 접속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에게 멀티 모드 단말의 제1 타입 링크에 대한 핸드오버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 모드 단말과의 제1 및 제2 타입 링크를 연결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모드 단말에 대응되는 링크 설정용 정보 - 제2 타입 링크를 제1 설정 방식에 따라 연결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 - 를 타겟 통합 접속점의 제1 타입 접속점에게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30048954A 2013-04-30 2013-04-30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KR20140129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954A KR20140129961A (ko) 2013-04-30 2013-04-30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US14/264,623 US9326309B2 (en) 2013-04-30 2014-04-29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f multi-mod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8954A KR20140129961A (ko) 2013-04-30 2013-04-30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961A true KR20140129961A (ko) 2014-11-07

Family

ID=5245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8954A KR20140129961A (ko) 2013-04-30 2013-04-30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99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71580A1 (zh) 用于无线通信的电子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US9674776B2 (en)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discovery of small coverage area base stations
AU201532890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connections using different radio access technolo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41944B2 (en) Access point, wireless terminal, storage medium, and method utilizing pointer signal to communicate in available channel
US10165496B2 (en) Terminal device having a relay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relay function
KR102072556B1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 관리 방법
US9326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f multi-mode terminal
RU2629557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программа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KR20170125296A (ko) 단말의 연결 상태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JP726183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モビリティ管理方法及び装置
JP2015082766A (ja) 基地局装置、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073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ff
US10993149B2 (en) Operating a terminal device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10715993B2 (en) Electronic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80242226A1 (en) Ap group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nb
JP6295964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基地局
WO2014059887A1 (zh) 网络接入控制方法、装置、网络侧设备和终端
KR20140129962A (ko)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전송
JP201320747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40129961A (ko)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핸드오버
KR20140129963A (ko)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커버리지 매칭
KR20140129964A (ko)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전송
KR20140129960A (ko) 멀티 모드 단말을 위한 링크 연결
US20170325150A1 (en) Base station and processor
CN114930916A (zh) 基于ue组的小区重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