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803A -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8803A KR20140128803A KR20130047717A KR20130047717A KR20140128803A KR 20140128803 A KR20140128803 A KR 20140128803A KR 20130047717 A KR20130047717 A KR 20130047717A KR 20130047717 A KR20130047717 A KR 20130047717A KR 20140128803 A KR20140128803 A KR 201401288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panel body
- vertical wall
- vege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수직벽용 패널(10)은 사각형 판상의 패널몸체(11)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패널몸체(11)의 가장자리 중 일측 세로방향 변과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변에는 각각 패널(10)의 전방으로 노출되게 전면안착단(12)이 형성되고, 나머지 가장자리에는 패널(10)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배면안착단(14)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몸체(11)의 전면에는 식생포켓(16)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식생포켓(16)의 내부에는 포켓내부공간(18)이 형성되는데, 상기 패널몸체(11)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패널몸체(11)의 전면에는 강수를 상기 식생포켓(16)으로 안내하는 공급채널(22)이 패널몸체(11)의 상단에서 상기 식생포켓(16)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식생포켓(16)을 피해 강수가 안내되게 하는 안내경사면(24,26,30,32)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4,26,30,32)을 따라 안내된 강수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식생포켓(16)으로 전달된다. 상기 수직벽용 패널(10)은 성토부나 절토부의 토양층(56) 선단에 형성되는 수직벽(54)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벽(54)에의 녹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수가 패널에 형성된 안내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아래의 패널에 형성된 식생포켓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수직벽의 녹화를 수행하는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을 통과하여 도로를 만들거나 산에 평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절토부나 성토부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상기 절토부나 성토부의 사면을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녹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토부나 성토부의 사면은 수직벽으로 되는 것이 절토부나 성토부를 형성하면서 만들어지는 평지의 면적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 수직벽을 녹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직벽의 녹화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이 수분의 공급이다. 수직벽은 식물이 자라기에는 매우 어려운 환경인데, 특히 수직벽의 하부로 갈수록 수분의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식물이 자라기가 어렵다. 수직벽의 상부에는 자연 강수나 수직벽 상단과 연결된 영역에 내린 강수가 공급될 수 있어 어느 정도 수분의 공급이 가능하나, 수직벽의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자연 강수에 의한 수분 공급은 되지 않고, 인공적으로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수직벽 상단에 연결된 지반인 상부사면은 절토부나 성토부의 형성 후에 안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량의 강우가 있게 되면 간극수압이 커지면서 사면활동파괴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벽 전체에 걸쳐 자연 강수를 수직벽의 외면을 구성하는 패널의 식생포켓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벽 상단의 상부사면의 강수를 집수하여 패널의 식생포켓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널의 식생포켓의 내부와 수직벽 배면의 토사층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수직벽의 식생포켓에 자연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패널몸체와, 상기 패널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식물이 심어지는 포켓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식생포켓과, 상기 패널몸체의 상단에서 전달된 강수를 상기 식생포켓의 내부로 전달하는 공급채널과, 상기 패널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포켓을 피해 상기 패널몸체의 하부로 강수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포켓내부공간이 상기 패널몸체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패널몸체는 사각형 판상으로 일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안착단이 형성되고, 타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배면안착단이 형성되어 일측 패널몸체의 배면안착단이 인접하는 패널몸체의 전면안착단에 안착된다.
상기 패널몸체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걸이부를 가진 멀티앵커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몸체에는 상기 공급채널을 중심으로 양단에 패널몸체의 양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패널몸체 하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제1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경사면의 하부에 있는 식생포켓의 양단에서 패널몸체의 양단과 패널몸체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2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몸체의 상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1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1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의 하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2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하부에 위치되는 패널몸체의 공급채널과 연결되는 제2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경사면과 제2채널안내경사면의 사이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패널몸체의 제1안내경사면과 연결되는 연결안내경사면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양층의 선단에 지면에서부터 적층되어 설치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패널몸체의 전면에 토양층과 연결된 포켓내부공간이 있는 식생포켓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의 전면에 상기 식생포켓을 피해 패널몸체의 하부로 강수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을 가진 패널과, 상기 토양층 중에서 상부 사면에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포켓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상부 사면에서 흡수된 물을 포켓내부공간쪽으로 공급하는 드레인보드와, 상기 패널을 상기 토양층에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는 성토부에서는 상기 패널의 배면에 있는 멀티앵커와 상기 토양층 내에 있는 고정구 사이를 연결하는 띠형 스트랩이 사용된다.
상기 체결구는 절토부에서는 상기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토양층에 박혀진다.
상기 패널을 관통하는 체결구의 선단은 상기 패널의 외부에 노출되는데, 상기 식생포켓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식생포켓에서 자라는 식물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패널몸체에는 상기 식생포켓을 향해 패널몸체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공급채널이 형성되어 강수가 상기 식생포켓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패널몸체에는 상기 공급채널을 중심으로 양단에 패널몸체의 양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패널몸체 하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제1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경사면의 하부에 있는 식생포켓의 양단에서 패널몸체의 양단과 패널몸체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2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몸체의 상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1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1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의 하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2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하부에 위치되는 패널몸체의 공급채널과 연결되는 제2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패널몸체는 사각형 판상으로 일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안착단이 형성되고, 타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배면안착단이 형성되어 일측 패널몸체의 배면안착단이 인접하는 패널몸체의 전면안착단에 안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직벽용 패널에는 식생포켓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식생포켓으로는 공급채널을 통해 전달된 강수와 제1안내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강수의 일부가 전달되는데, 하부에 있는 수직벽용 패널로는 상부에 있는 수직벽용 패널의 안내경사면을 따라 안내된 강수가 공급채널과 제1안내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식생포켓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수직벽 전체에 있는 각각의 패널의 식생포켓으로 골고루 자연 강수가 전달될 수 있어 수직벽에서의 식물생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보드를 사용하여 수직벽의 상부사면으로 스며든 강수를 패널의 식생포켓으로 공급하여 주므로 수직벽의 상부사면의 안정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식생포켓으로의 수분공급이 원활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직벽용 패널에 형성된 식생포켓의 포켓내부공간은 패널을 관통하여 수직벽의 배면과 연결되므로 식생포켓에 식재된 식물이 수직벽 배면의 토양층으로 뿌리를 내릴 수 있어 자연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여 영구적인 식생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용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벽용 패널의 배면의 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벽용 패널을 다수개 인접하여 설치하여 수직벽의 외면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수직벽용 패널과 수직벽의 배면의 토양층이 서로 연결된 것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직벽용 패널을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 녹화장치에서 패널의 고정과 토양층의 보강을 위해 체결구를 설치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 녹화장치를 절토부에 설치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에서 물이 안내되어 흘러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벽용 패널의 배면의 구성을 보인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벽용 패널을 다수개 인접하여 설치하여 수직벽의 외면을 형성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수직벽용 패널과 수직벽의 배면의 토양층이 서로 연결된 것을 보인 설명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직벽용 패널을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 녹화장치에서 패널의 고정과 토양층의 보강을 위해 체결구를 설치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 녹화장치를 절토부에 설치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의 수직벽에서 물이 안내되어 흘러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직벽용 패널(10)은 골격을 구성하는 패널몸체(11)가 대략 사각형의 판형상이다. 상기 패널몸체(11)의 하나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따라서는 전면안착단(12)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안착단(12)은 상기 패널(10)의 전면에서 볼 수 있도록 패널몸체(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고 상기 패널몸체(11)의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변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전면안착단(12)이 형성된 두 개의 변을 제외한 나머지 서로 직교하는 두 개의 변을 따라서는 상기 패널(10)의 배면 후방에서 볼 수 있도록 돌출되는 배면안착단(14)이 형성된다. 상기 배면안착단(14)은 인접하는 패널(10)의 전면안착단(12)에 안착된다.
상기 패널몸체(11)의 전면에 돌출되게 식생포켓(16)이 형성된다. 상기 식생포켓(16)은 상기 패널몸체(11)의 전면 중에서 가장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식생포켓(16)은 본 실시례에서는 피라미드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식생포켓(16)은 상기 패널몸체(11)의 전면에서 가장 돌출되게 형성되기만 한다면 어떠한 형태로 되더라도 상관없다.
상기 식생포켓(16)의 내부에는 포켓내부공간(18)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내부공간(18)에는 식물이 심어질 수 있도록 흙이 채워진다. 상기 포켓내부공간(18)은 상기 패널(10)이 수직으로 설치되었을 때,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식생포켓(16)에 형성된다. 상기 포켓내부공간(18)은 상기 식생포켓(16)의 하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공급된 물이 하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는 많은 양의 물이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전달되었을 경우에 적절하게 포켓내부공간(18)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포켓내부공간(18)은 상기 패널(10)의 배면으로도 개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10)에는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20)는 상기 포켓내부공간(18)과 수직벽(54)의 후방이 서로 연통되게 한다. 즉, 상기 포켓내부공간(18)의 흙과 상기 수직벽(54) 후방의 토양층(56)의 흙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연통부(20)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드레인보드(59)가 통과하여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상부 사면(58)에서 공급된 수분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패널(10)의 전면에는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채널(22)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채널(22)은 상기 패널(10)의 상단 중앙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포켓내부공간(18)과 연통된다. 상기 공급채널(22)은 상기 패널(10)의 전면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내부로 들어가 있어 자연 강수가 자연스럽게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전달된다. 상기 공급채널(22)은 상부쪽은 외부로 개방되어 있으나, 하부쪽은 상기 패널(1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연결된다.
상기 공급채널(22)의 양단에는 제1안내경사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내경사면(24)은 상기 공급채널(22)을 기준으로 양측의 것이 서로 반대쪽으로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됨과 동시에 패널(10)의 하부를 향해서는 상향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즉, 상기 식생포켓(16)을 향해서는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된다. 상기 제1안내경사면(24)은 대략 상기 패널(10)의 높이방향 중간정도까지만 형성된다.
상기 식생포켓(16)의 양측에서 패널(10)의 양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제2안내경사면(26)이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경사면(26)은 상기 패널(10)의 양단 하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안내경사면(26)의 끝부분에 해당되는 상기 패널(10)의 하단부 양측에는 각각 연결안내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안내경사면(28)은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10)의 제1안내경사면(24) 상단과 연결되어 연속적인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내경사면(26)의 양단에 연결되어서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은 상기 패널(10)의 상부 양단에서 상기 제1안내경사면(26)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은 각각 패널(10)을 정면도로 볼 때 삼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을 따라 안내된 강수는 상기 제1안내경사면(24)과의 경계를 따라 하부로 안내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2채널안내경사면(32)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패널(10)의 제2안내경사면(26)과 연결되어 연속적인 경사면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패널(10)의 제2안내경사면(26)을 따라 안내된 강수는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패널(10)의 양단 하반부를 따라서는 제2채널안내경사면(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채널안내경사면(32)은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10)의 공급채널(22)로 강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을 따라 안내되어 온 강수를 제2채널안내경사면(32)이 안내하여 공급채널(22)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채널안내경사면(32)은 상기 공급채널(22)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패널(10)에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안내경사면(24)과 상부의 연결안내경사면(28) 그리고 제2안내경사면(26)과 하부의 제1채널안내경사면(30)이 협력하여 하나의 마름모꼴을 형성하면서 다이아몬드 모양을 만들게 된다.
상기 패널(10)의 배면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앵커(34)가 구비된다. 상기 멀티앵커(34)는 상기 패널(10)에 인서트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구(62)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멀티앵커(34)는 도면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다수 곳의 걸이부(35)가 있어 체결구(62)가 연결되는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10)을 제작하는 재질은 콘크리트와 같은 것이 있다. 물론, 강도와 내구성만 유지된다면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패널(10)을 사용하여 성토부나 절토부의 수직면에 수직벽(54)을 형성하고 녹화하기 위한 수직벽 녹화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고하여 성토부에 설치된 수직벽 녹화장치를 설명한다. 성토부에서는 성토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패널(10)을 차례로 적층하여 수직벽(54)을 형성하게 된다. 즉, 지면(50)에서 시작해서 일정한 영역에 흙을 쌓아 토양층(56)을 형성하면서 그 토양층(56)의 선단에 패널(10)을 차례로 적층하여 수직벽(54)을 만드는 것이다. 상기 지면(50)과 토양층(56)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는 기초부(52)가 형성된다. 상기 기초부(52)는 수직벽(54)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물로서, 콘크리트나 석재를 사용하여 만드는 것이다. 상기 기초부(52)에 수직벽(54)을 형성하는 수직벽용 패널(10) 중 최하부의 것이 안착된다.
상기 수직벽(54)은 상기 토양층(56), 즉 성토부를 형성하면서 만들어나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패널(10)이 형성하는 수직벽(54)이 견고하게 토양층(56)의 선단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토양층(56)의 내부에는 고정구(60)를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60)와 상기 패널(10)의 멀티앵커(34) 사이를 체결구(62)로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체결구(62)는 상기 토양층(56) 내에 매설된다.
상기 체결구(62)는 상기 토양층(56)이 소정 높이만큼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60)와 패널(10)의 멀티앵커(34)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고, 다시 그 위에 토양층(56)을 더 형성하여 토양층(56) 내부에 매설되도록 한다. 상기 체결구(62)는 띠형상으로 된 섬유재질의 스트립을 사용하는데, 같은 층의 패널(10)들을 하나의 체결구(62)를 사용하여 고정구(60)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10)에는 2개의 멀티앵커(34)가 있는데, 이들을 상기 체결구(62)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패널(10)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것의 배면안착단(14)이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패널(10)의 전면안착단(12)에 안착되고, 상대적으로 우측에 있는 패널(10)의 배면안착단(14)이 좌측에 있는 패널(10)의 전면안착단(12)에 안착되어 인접한 패널(10)끼리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0)은 그 구조상 하나의 층에 있는 것들의 식생포켓(16)의 사이에 상부나 하부에 있는 층의 패널(10)들의 식생포켓(16)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최상부에서 제1단에 있는 것과 제3단에 있는 것의 식생포켓(16)의 위치는 수직벽(54)을 평면도로 볼 때, 일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널(10)들을 한층, 한층 만들어 가면서 상기 토양층(56)을 형성할 때, 상기 패널(10)의 연결부(20)를 통해서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드레인보드(59)를 설치한다. 물론 상기 드레인보드(59)의 단부가 포켓내부공간(18) 내부까지 들어갈 필요는 없다. 즉, 상기 포켓내부공간(18)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드레인보드(59)의 단부가 위치되면 된다. 상기 드레인보드(59)는 상기 토양층(56)이 모두 형성되었을 때, 토양층(56) 최상단의 상부사면(58)에 반대쪽 단부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보드(59)는 지반 내에 있는 수분만을 흡수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물이 흘러갈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상기 유로가 드레인보드(59)의 표면으로 개방되어 있는데, 이 개방되어 있는 부분으로는 수분만이 통과하여 유로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드레인보드(59)는 높은 곳에 설치된 쪽에서 낮은 것에 설치된 쪽으로 상기 유로를 통해 물이 흘러가므로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보드(59)를 통해 물이 상부 사면(58)에서 상기 포켓내부공간(18)으로 공급된다.
도 7에는 절토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수직벽 녹화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절토부에서는 상기 고정구(60)와 체결구(62)를 토양층 내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록볼트와 같은 네일을 체결구(62')로 사용한다. 즉, 예를 들면 록볼트를 상기 패널(10)의 전면에서부터 관통하여 토양층(56)에 박아 넣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결구(62')인 록볼트의 선단은 상기 식생포켓(16)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식생포켓(16)에 심어진 식물에 의해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이는 도 7의 확대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용 패널(10)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수직벽(54)에 자연 강수가 내려서 식생포켓(16)들에 공급되는 것을 설명한다. 수직벽(54)에서 상단에서부터 1단과 2단에 있는 패널(10)의 식생포켓(16)에는 자연 강수가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상부에서 평면도로 볼 때, 1단에 배치된 패널(10)의 식생포켓(16)의 사이 사이에 2단에 배치된 패널(10)의 식생포켓(16)이 위치하기 때문에, 자연 강수는 2단까지는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수직벽(54)에서 2단 이후의 패널(10)들에는 상기 패널(10)의 외면에 형성된 강수 안내구조를 통해서 수분이 전달된다. 즉, 제1안내경사면(24)에 떨어진 강수 중 일부는 제1안내경사면(24)의 하부로 전달되어 식생포켓(16)의 내부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안내경사면(24)에 떨어진 대부분의 강수는 상기 제1채널안내경사면(30)과의 경계로 안내되고 상기 제2채널안내경사면(32)쪽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2채널안내경사면(32)은 그 하단에 있는 패널(10)의 공급채널(22)로 강수를 안내하므로 상기 공급채널(22)을 통해서 상기 식생포켓(16)의 포켓내부공간(18)으로 강수가 안내되어 공급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패널(10)의 외면에 공급된 강수는 하단의 패널(10)에 있는 공급채널(22)로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자연 강수가 수직벽(54) 전체에서 안내되어 각각의 패널(10)의 식생포켓(16)의 내부로 공급되어 식생포켓(16)에 있는 식물에게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보드(59)는 상부사면(58)에 해당되는 내부의 토양층(56)에 있는 수분을 상기 식생포켓(16)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보드(59)는 그 내부의 유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을 전달하는데, 토양층(56) 내부에서 물만을 흡수하여 유로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레인보드(59)가 상기 상부사면(58)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식생포켓(16)의 내부로 공급하므로 상부사면(58)의 사면활동파괴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식생포켓(16)으로의 수분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포켓(16)의 포켓내부공간(18)은 연통부(20)를 통해 토양층(56)과 연결되므로, 식생포켓(16)에서 자라는 식물의 뿌리가 토양층(56)으로까지 뻗어서 토양층(56)으로부터 영양과 수분 등을 공급받을 수 있어 식생포켓(16에 있는 식물이 보다 잘 자랄 수 있고, 자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직벽 녹화장치를 성토부에 설치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성토부는 지면(50) 상에 흙을 쌓아서 토양층(56)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토양층(56)은 전체를 한번에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높이만큼씩 적층하여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패널(10)의 높이 정도씩 토양층(56)을 형성하면서 성토부를 만들고 그 토양층(56)의 선단에 수직벽(54)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기초부(52)에 패널(10)을 일렬로 안착시키고, 그 배면에 흙을 채워넣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60)를 먼저 토양층(56)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구(60)와 상기 패널(10)의 멀티앵커(34) 사이를 체결구(62)로 연결한다. 상기 체결구(62)는 토양층(56)을 보강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패널(10)을 상기 고정구(60)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널(10)의 포켓내부공간(18)의 내부로 연통부(20)를 통해 드레인보드(59)의 일단이 연장되게 설치한다. 상기 드레인보드(59)의 타단부는 토양층(56)의 외부로 두었다가, 성토부가 완성되었을 때, 토양층(56) 상단의 상부사면(58)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하나의 층의 패널(10) 높이에 해당되는 토양층(56)을 형성한 후에는, 또 한층의 패널(10)을 설치하고, 그 높이에 해당되는 만큼의 토양층(56)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계속하여 반복함에 의해 원하는 높이의 성토부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수직벽(54)이 만들어진다. 상기 수직벽(54)의 상단에 해당되는 토양층(56)에는 상부사면(58)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사면(58)의 내부에는 드레인보드(59)의 단부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절토부의 경우에는 토양층(56)의 선단에 패널(10)들을 설치함에 있어서 패널(10)을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하는 체결구(62')가 토양층(56)의 내부로 소정 길이만큼 박히도록 하여 패널(10)을 토양층(56)에 고정한다. 그 외의 구성들은 성토부에 설치되는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수직벽(54)에서 패널(10)의 전면에 내린 강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안내되어 각각의 식생포켓(16)으로 공급되므로 전체 수직벽(54)의 각각의 식생포켓(16)으로의 물 공급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보드(59)를 통해서 상부사면(58)에 내린 강수가 각각의 식생포켓(16)으로 공급될 수 있어 식생포켓(16) 내부로의 물공급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패널(10)에서 하부의 패널(10)로 강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경사면(24,26,30,32)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례의 경우와 달리될 수도 있다. 즉, 이들 안내경사면(24,26,30,32)은 상기 식생포켓(16)을 피해서 패널몸체(10)의 하부로 강수를 안내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10)에는 반드시 연통부(2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안내경사면(24,26,30,32)을 통해서 패널(10)의 전면에 공급된 강수가 안내되어 식생포켓(16)에 공급됨에 의해 식물이 충분히 자랄 수 있다면, 연통부(20)를 두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패널(10)에 형성되는 연결안내경사면(28)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안내경사면(28)은 하부에 있는 패널(10)의 제1안내경사면(24)과 연결되는 것이나, 제1안내경사면(24)이 하나의 패널(10)의 상부에서부터 시작하도록 설계한다면, 연결안내경사면(28)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10: 패널 12: 전면안착단
14: 배면안착단 16: 식생포켓
18: 포켓내부공간 20: 연통부
22: 공급채널 24: 제1안내경사면
26: 제2안내경사면 28: 연결안내경사면
30: 제1채널안내경사면 32: 제2채널안내경사면
34: 멀티앵커 35: 걸이부
50: 지면 52: 기초부
54: 수직벽 56: 토양층
58: 상부사면 59: 드레인보드
60: 고정구 62: 체결구
62': 체결구
14: 배면안착단 16: 식생포켓
18: 포켓내부공간 20: 연통부
22: 공급채널 24: 제1안내경사면
26: 제2안내경사면 28: 연결안내경사면
30: 제1채널안내경사면 32: 제2채널안내경사면
34: 멀티앵커 35: 걸이부
50: 지면 52: 기초부
54: 수직벽 56: 토양층
58: 상부사면 59: 드레인보드
60: 고정구 62: 체결구
62': 체결구
Claims (15)
- 패널몸체와,
상기 패널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식물이 심어지는 포켓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식생포켓과,
상기 패널몸체의 상단에서 전달된 강수를 상기 식생포켓의 내부로 전달하는 공급채널과,
상기 패널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식생포켓을 피해 상기 패널몸체의 하부로 강수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을 포함하는 수직벽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내부공간이 상기 패널몸체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수직벽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는 사각형 판상으로 일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안착단이 형성되고, 타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배면안착단이 형성되어 일측 패널몸체의 배면안착단이 인접하는 패널몸체의 전면안착단에 안착되는 수직벽용 패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걸이부를 가진 멀티앵커가 구비되는 수직벽용 패널.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에는 상기 공급채널을 중심으로 양단에 패널몸체의 양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패널몸체 하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제1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경사면의 하부에 있는 식생포켓의 양단에서 패널몸체의 양단과 패널몸체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2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수직벽용 패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의 상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1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1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의 하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2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하부에 위치되는 패널몸체의 공급채널과 연결되는 제2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수직벽용 패널.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경사면과 제2채널안내경사면의 사이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패널몸체의 제1안내경사면과 연결되는 연결안내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수직벽용 패널.
- 토양층의 선단에 지면에서부터 적층되어 설치되고 골격을 형성하는 패널몸체의 전면에 토양층과 연결된 포켓내부공간이 있는 식생포켓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의 전면에 상기 식생포켓을 피해 패널몸체의 하부로 강수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을 가진 패널과,
상기 토양층중에서 상부 사면에 일단부가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포켓내부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상부 사면에서 흡수된 물을 포켓내부공간쪽으로 공급하는 드레인보드와,
상기 패널을 상기 토양층에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수직벽 녹화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성토부에서는 상기 패널의 배면에 있는 멀티앵커와 상기 토양층 내에 있는 고정구 사이를 연결하는 띠형 스트랩이 사용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절토부에서는 상기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토양층에 박혀지는 수직벽 녹화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을 관통하는 체결구의 선단은 상기 패널의 외부에 노출되는데, 상기 식생포켓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식생포켓에서 자라는 식물에 의해 차폐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에는 상기 식생포켓을 향해 패널몸체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공급채널이 형성되어 강수가 상기 식생포켓의 내부로 전달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에는 상기 공급채널을 중심으로 양단에 패널몸체의 양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패널몸체 하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제1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경사면의 하부에 있는 식생포켓의 양단에서 패널몸체의 양단과 패널몸체의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2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의 상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1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제1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몸체의 하반부 양단에는 상기 제2안내경사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하부에 위치되는 패널몸체의 공급채널과 연결되는 제2채널안내경사면이 형성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몸체는 사각형 판상으로 일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안착단이 형성되고, 타측 세로방향 가장자리와 이에 연결되는 가로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배면안착단이 형성되어 일측 패널몸체의 배면안착단이 인접하는 패널몸체의 전면안착단에 안착되는 수직벽 녹화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7717A KR101485181B1 (ko) | 2013-04-29 | 2013-04-29 |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47717A KR101485181B1 (ko) | 2013-04-29 | 2013-04-29 |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803A true KR20140128803A (ko) | 2014-11-06 |
KR101485181B1 KR101485181B1 (ko) | 2015-01-23 |
Family
ID=5245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47717A KR101485181B1 (ko) | 2013-04-29 | 2013-04-29 |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5181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92897A (zh) * | 2016-07-27 | 2016-12-07 | 温州大学瓯江学院 | 一种具有导风结构的抗风墙块 |
KR20190122294A (ko) * | 2018-04-20 | 2019-10-30 | 주식회사동림이엔지 |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
EP3468344A4 (en) * | 2016-06-14 | 2020-02-19 | Freight Farms, Inc. | VERTICAL ASSEMBLY FOR CULTIVATION OF PLANTS |
KR20210155627A (ko) * | 2020-06-16 | 2021-12-23 | 서정훈 | 셀구조체의 적층에 의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6151B1 (ko) * | 2018-03-19 | 2018-08-07 | 주식회사 동림이엔지 |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9588Y1 (ko) * | 2000-02-25 | 2000-07-15 | 이영대 | 조립식 옹벽 배수판 및 배수공법 |
KR20080108863A (ko) * | 2007-06-11 | 2008-12-16 | 이정수 | 보강토 옹벽 지지를 위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형태유지구 및이를 이용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
KR100908994B1 (ko) * | 2007-10-23 | 2009-07-22 | 주식회사 한설그린 | 벽면 녹화용 식생(植生)장치 |
KR20100100093A (ko) * | 2009-03-05 | 2010-09-15 | 오성훈 | 식생 옹벽패널 |
-
2013
- 2013-04-29 KR KR20130047717A patent/KR10148518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68344A4 (en) * | 2016-06-14 | 2020-02-19 | Freight Farms, Inc. | VERTICAL ASSEMBLY FOR CULTIVATION OF PLANTS |
CN106192897A (zh) * | 2016-07-27 | 2016-12-07 | 温州大学瓯江学院 | 一种具有导风结构的抗风墙块 |
KR20190122294A (ko) * | 2018-04-20 | 2019-10-30 | 주식회사동림이엔지 | 식생 및 조경용 프리캐스트 패널 옹벽 구조물 |
KR20210155627A (ko) * | 2020-06-16 | 2021-12-23 | 서정훈 | 셀구조체의 적층에 의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5181B1 (ko) | 2015-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5181B1 (ko) | 수직벽용 패널 및 이를 사용한 수직벽 녹화장치 | |
US20090038214A1 (en) | Golf course bunker boundary protection system | |
KR20100053270A (ko) | 인장재와 프리캐스트 패널 및 프리캐스트 보강구를 구비한 절토부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US6764252B2 (en) | Retaining wall system | |
KR20120051345A (ko) |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 |
JP2007159484A (ja) | 植栽基盤の固定構造 | |
US20180220594A1 (en) | Interlocking modular planting system for roof applications | |
JP4987294B2 (ja) | 植栽設備、植栽コンテナ及び敷設方法 | |
KR20090016226A (ko) | 초박형 옥상녹화 시스템 | |
KR20110006585A (ko) |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 |
KR100631379B1 (ko) |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 |
KR20080097595A (ko) |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지붕 녹화 시스템 | |
KR100998674B1 (ko) | 물저장공간이 구비된 식생보강토블록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794221B1 (ko) | 친환경 식생옹벽 | |
KR20150114449A (ko) |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 |
KR101914763B1 (ko) |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190101950A (ko) | 식생 절토부 패널로 이루어지는 절토부 옹벽 | |
KR101138192B1 (ko) |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반조립체 | |
KR100938140B1 (ko) |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927290B1 (ko) | 식생 옹벽블록 | |
KR101009915B1 (ko) |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 |
CN218291994U (zh) | 一种岩石边坡的生态防护结构 | |
CN215165722U (zh) | 新型风景园林设计绿化防护坡 | |
KR100517315B1 (ko) | 공동주택 단지 비탈면 결속틀을 이용한 잔디식재 조경 방법 | |
KR200420342Y1 (ko) |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