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340A - 사용자 장비(ue) 중계기들을 위한 국부적 및 협대역 공통 기준 신호(crs)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ue) 중계기들을 위한 국부적 및 협대역 공통 기준 신호(c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340A
KR20140128340A KR20147023272A KR20147023272A KR20140128340A KR 20140128340 A KR20140128340 A KR 20140128340A KR 20147023272 A KR20147023272 A KR 20147023272A KR 20147023272 A KR20147023272 A KR 20147023272A KR 20140128340 A KR20140128340 A KR 20140128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resources
crs
transmitted
pdc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659B1 (ko
Inventor
완시 첸
알렉산다르 담자노빅
주안 몬토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2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사용자 장비(UE) 중계기들로부터의 공통 기준 신호(CRS) 송신들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로 CRS의 송신을 위한 최소한의 가능한 자원들을 이용하고, 채널 측정 및 복조를 위한 적절한 기준을 제공하면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기술들을 제공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노드(예를 들어, UE 중계국)는,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CRS를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UE) 중계기들을 위한 국부적 및 협대역 공통 기준 신호(CRS){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
본 특허 출원은, 2012년 1월 27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인 미국 가출원 제 61/591,828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히 통합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UE) 중계기들로부터의 공통 기준 신호(CRS) 송신들을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널리 배치되어 있다. 이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네트워크들 및 싱글 캐리어 FDMA(SC-FDMA)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기지국은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UE에 송신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들에 기인한 간섭을 관측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로부터의 송신은, 이웃 기지국들과 통신하는 다른 UE들로부터의 송신들에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간섭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모두 상에서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C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CRS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C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CRS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결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레임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롱 텀 에볼루션(LTE)에서 업링크에 대한 예시적인 포맷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UE)와 통신하는 노드 B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예시하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UE 중계기를 배치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오직 PDC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을 예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PDCCH가 아닌 PSS, SSS 또는 PB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을 예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PSS, SSS 또는 PBCH 중 적어도 하나 및 PDCCH 둘 모두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을 예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PDCCH, PSS, SSS 또는 PBCH 중 어떠한 것도 송신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을 예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UE 중계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용어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종종 상호교환하여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셜 지상 무선 액세스(UTRA),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용 범용 시스템(GSM)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볼브드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유니버셜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및 LTE-어드밴스드(LTE-A)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새로운 릴리스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전술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라디오 기술들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명확화를 위해, 이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LTE/LTE-A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되고, 하기 설명의 대부분에서 이러한 LTE/LTE-A 용어가 이용된다.
도 1은 LTE 네트워크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를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다수의 이볼브드 노드 B들(eNB들)(1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eNB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들(UE들)과 통신하는 스테이션일 수 있고,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eNB(110)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3GPP에서, 용어 "셀"은 이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eNB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지칭할 수 있다.
eNB는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비교적 큰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인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서비스에 가입된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고, 서비스에 가입된 UE들에 의한 제한 없는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 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집)을 커버할 수 있고, 그 펨토 셀과의 연관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의 UE들, 집 내의 사용자들에 대한 UE들 등)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매크로 셀에 대한 eNB는 매크로 eNB(즉, 매크로 기지국)로 지칭될 수 있다. 피코 셀에 대한 eNB는 피코 eNB(즉, 피코 기지국)로 지칭될 수 있다. 펨토 셀에 대한 eNB는 펨토 eNB(즉, 펨토 기지국) 또는 홈 eNB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eNB들(110a, 110b 및 110c)은 각각 매크로 셀들(102a, 102b 및 102c)에 대한 매크로 eNB들일 수 있다. eNB(110x)는 피코 셀(102x)에 대한 피코 eNB일 수 있다. eNB들(110y 및 110z)은 각각 펨토 셀들(102y 및 102z)에 대한 펨토 eNB들일 수 있다. eNB는 하나 또는 다수의(예를 들어, 3개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또한 중계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eNB의 일례일 수 있는 중계국은, 업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eNB 또는 UE)으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스테이션(예를 들어, UE 또는 eNB)으로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정보의 송신을 전송하는 스테이션이다. 중계국은 또한, 다른 UE들에 대한 송신들을 중계하는 UE(예를 들어, UE 중계국)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중계국(110r)은 eNB(110a)와 UE(120r)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eNB(110a) 및 UE(120r)와 통신할 수 있다. 중계국은 또한 중계 eNB, 중계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예를 들어,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중계기들 등과 같은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을 포함하는 이종 네트워크(HetNet)일 수 있다. 이 상이한 타입들의 eNB들은 무선 네트워크(100)에서 상이한 송신 전력 레벨들, 상이한 커버리지 영역들 및 간섭에 대한 상이한 영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eNB들은 높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20 와트)을 가질 수 있는 한편, 피코 eNB들, 펨토 eNB들 및 중계기들은 더 낮은 송신 전력 레벨(예를 들어, 1 와트)을 가질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동기식 동작의 경우, eNB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대략적으로 시간상 정렬될 수 있다. 비동기식 동작의 경우, eNB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 있고, 상이한 eNB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동기식 및 비동기식 동작들 모두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eNB들의 세트에 커플링할 수 있고, 이 eN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을 통해 eNB들(110)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110)은 또한,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UE들(120)(예를 들어, 120x, 120y)은 무선 네트워크(100)에 걸쳐 산재될 수 있고, 각각의 UE는 고정식이거나 이동식일 수 있다. UE는 또한, 단말, 이동국,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UE는 셀룰러 폰,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탑/노트북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태블릿, 넷북, 스마트북, 울트라북 등일 수 있다. UE는 매크로 eNB들, 피코 eNB들, 펨토 eNB들, 중계기들 등과 통신 가능할 수 있다.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들을 갖는 실선은 UE와 서빙 eNB 사이의 원하는 송신들을 표시하고, 서빙 eNB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 UE를 서빙하도록 지정된 eNB이다. 양방향 화살표들을 갖는 파선은 UE와 eNB 사이에서 간섭하는 송신들을 표시한다. 특정한 양상들의 경우, UE는 LTE 릴리스 10 UE를 포함할 수 있다.
LTE는 다운링크 상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 업링크 상에서 싱글-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SC-FDM)을 활용한다. OFDM 및 SC-FDM은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K개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며, 이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통상적으로 톤(tone)들, 빈(bin)들 등으로 지칭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에 대해서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및 SC-FDM에 대해서는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간격(spacing)은 고정될 수 있고, 서브캐리어들의 총 수(K)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쯔(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동일할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부대역(sub-band)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대역은 1.08 MHz를 커버할 수 있고, 1.25, 2.5, 5, 10 또는 20 MHz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개의 부대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는 LTE에서 이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다운링크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라디오 프레임 단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지속기간(예를 들어, 10 밀리초(ms))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볼 기간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L=7개의 심볼 기간들 또는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의 경우 L=6개의 심볼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의 2L개의 심볼 기간들은 0 내지 2L-1의 인덱스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이용가능한 시간 주파수 자원들은 자원 블록들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블록은 하나의 슬롯 내에 N개의 서브캐리어들(예를 들어,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커버할 수 있다.
LTE에서, eNB는 eNB 내의 각각의 셀에 대해 1차(primary) 동기화 신호(PSS) 및 2차 동기화 신호(SSS)를 전송할 수 있다. 1차 및 2차 동기화 신호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규의 사이클릭 프리픽스를 갖는 각각의 라디오 프레임의 서브프레임들 0 및 5 각각에서 심볼 기간들 6 및 5에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동기화 신호들은 셀 검출 및 획득을 위해 UE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eNB는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 내의 심볼 기간들 0 내지 3에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을 전송할 수 있다. PBCH는 특정한 시스템 정보를 반송(carry)할 수 있다.
eN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제 1 심볼 기간에서 물리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을 전송할 수 있다. PCFICH는 제어 채널들에 대해 이용되는 심볼 기간들의 수(M)를 전달할 수 있고, M은 1, 2 또는 3과 동일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마다 변할 수 있다. M은 또한, 예를 들어, 10개 미만의 자원 블록들을 갖는 작은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서는 4와 동일할 수 있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최초 M개의 심볼 기간들(도 2에는 미도시)에서 물리 HARQ 표시자 채널(PHICH)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PHICH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송 요청(HARQ)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PDCCH는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제어 정보 및 UE들에 대한 자원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 eNB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심볼 기간들에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전송할 수 있다. PDSCH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에 대해 스케줄링되는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반송할 수 있다. LTE의 다양한 신호들 및 채널들은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으로 명명된 3GPP TS 36.211에 설명되어 있고, 이는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다.
eNB는, eNB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 대역폭의 중심 1.08 MHz에서 PSS, SSS 및 PB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PCFICH 및 PHICH가 전송되는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전체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이 채널들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한 부분들에서 UE들의 그룹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시스템 대역폭의 특정한 부분들에서 특정한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eNB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모든 UE들에 PSS, SSS, PBCH, PCFICH 및 PHICH를 전송할 수 있고,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한 UE들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특정한 UE들에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다수의 자원 엘리먼트들이 이용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자원 엘리먼트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를 커버할 수 있고, 실수 또는 복소수 값일 수 있는 하나의 변조 심볼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심볼 기간에서 기준 신호에 이용되지 않은 자원 엘리먼트들은 자원 엘리먼트 그룹들(REG들)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REG는 하나의 심볼 기간에 4개의 자원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PCFICH는 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고, 이들은 심볼 기간 0에서 주파수에 걸쳐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PHICH는 3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고, 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성가능한 심볼 기간들에서 주파수에 걸쳐 확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HICH에 대한 3개의 REG들은 모두 심볼 기간 0에 속할 수 있거나, 심볼 기간들 0, 1 및 2에서 확산될 수 있다. PDCCH는 9, 18, 32 또는 64개의 REG들을 점유할 수 있고, 이들은, 최초 M개의 심볼 기간들에서, 이용가능한 REG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PDCCH에 대해 REG들의 오직 특정한 조합들이 허용될 수 있다.
UE는 PHICH 및 PCFICH에 대해 이용되는 특정한 REG들을 알 수 있다. UE는 PDCCH에 대해 REG들의 상이한 조합들을 탐색할 수 있다. 탐색할 조합들의 수는 통상적으로 PDCCH에 대해 허용되는 조합들의 수 미만이다. eNB는, UE가 탐색할 조합들 중 임의의 조합에서 UE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a는 LTE에서 업링크에 대한 예시적인 포맷(200A)을 도시한다. 업링크에 대한 이용가능한 자원 블록들은 데이터 섹션 및 제어 섹션으로 파티셔닝될 수 있다. 제어 섹션은 시스템 대역폭의 2개의 에지(edge)들에 형성될 수 있고, 구성가능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은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데이터 섹션은 제어 섹션에 포함되지 않은 모든 자원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의 설계는 데이터 섹션이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을 포함하게 하고, 이것은, 단일 UE가 데이터 섹션의 모든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을 할당받게 할 수 있다.
UE는 제어 정보를 eNB에 송신하기 위해 제어 섹션의 자원 블록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UE는 또한 데이터를 eNB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섹션의 자원 블록들을 할당받을 수 있다. UE는 제어 섹션의 할당받은 자원 블록들 상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210a, 210b)에서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UE는 데이터 섹션의 할당받은 자원 블록들 상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220a, 220b)에서 오직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데이터 및 제어 정보 모두를 송신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은 서브프레임의 두 슬롯들 모두에 걸쳐있을 수 있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에 걸쳐 홉핑(hop)할 수도 있다.
UE는 다수의 eNB들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수 있다. 이 eNB들 중 하나는 UE를 서빙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서빙 eNB는 수신 전력, 경로 손실, 신호대 잡음비(SNR) 등과 같은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잇다.
UE는, UE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간섭 eNB들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는 지배적(dominant) 간섭 시나리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지배적 간섭 시나리오는 제한된 연관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UE(120y)는 펨토 eNB(110y)에 근접할 수 있고, eNB(110y)에 대해 높은 수신 전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UE(120y)는 제한된 연관에 기인하여 펨토 eNB(110y)에 액세스가능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더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매크로 eNB(110c) 또는 또한 더 낮은 수신 전력을 갖는 펨토 eNB(110z)(도 1에는 미도시)에 접속할 수 있다. 그 다음, UE(120y)는 다운링크 상에서 펨토 eNB(110y)로부터 높은 간섭을 관측할 수 있고, 또한 업링크 상에서 eNB(110y)에 높은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지배적 간섭 시나리오는 또한 레인지 확장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고, 레인지 확장은, UE가, UE에 의해 검출된 모든 eNB들 중에서 더 낮은 경로 손실 및 더 낮은 SNR을 갖는 eNB에 접속하는 시나리오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UE(120x)는 매크로 eNB(110b) 및 피코 eNB(110x)를 검출할 수 있고, eNB(110b)보다 eNB(110x)에 대해 더 낮은 수신 전력을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eNB(110x)에 대한 경로 손실이 매크로 eNB(110b)에 대한 경로 손실보다 작으면, UE(120x)가 피코 eNB(110x)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UE(120x)에 대해 주어진 데이터 레이트에 대해 무선 네트워크에 더 적은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지배적 간섭 시나리오에서의 통신은, 상이한 eNB들이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게 함으로써 지원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고, (i)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 또는 (ii) 하한 주파수 및 상한 주파수로 주어질 수 있는 주파수들의 범위이다. 주파수 대역은 또한 대역, 주파수 채널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이한 eNB들에 대한 주파수 대역들은, 강한 eNB가 자신의 UE들과 통신하도록 허용하면서 UE가 지배적 간섭 시나리오의 더 약한 eNB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eNB는, UE에서 수신되는 eNB로부터의 신호들의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그리고, eNB의 송신 전력 레벨에는 기초하지 않고) "약한" eNB 또는 "강한" eNB로 분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기지국들/eNB들 중 하나 및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기지국 또는 eNB(110) 및 UE(120)의 일 설계의 블록도이다. eNB(110)는 또한 몇몇 다른 타입의 기지국일 수 있다. eNB(110)에는 T개의 안테나들(334a 내지 334t)이 구비될 수 있고, UE(120)에는 R개의 안테나들(352a 내지 352r)이 구비될 수 있고, 여기서 일반적으로 T≥1 및 R≥1이다.
eNB(110)에서, 송신 프로세서(320)는 데이터 소스(31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340)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PBCH, PCFICH, PHICH, PDC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는 PDSCH 등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3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프로세싱(예를 들어, 인코딩 및 심볼 맵핑)하여,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 심볼들을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320)는 또한, 예를 들어, PSS, SSS 및 셀-특정 기준 신호에 대해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프로세서(330)는, 적용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볼들, 제어 심볼들 및/또는 기준 심볼들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예를 들어,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고, T개의 출력 심볼 스트림들을 T개의 변조기들(MODs)(332a 내지 332t)에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332)는 각각의 출력 심볼 스트림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프로세싱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3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로 프로세싱(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변조기들(332a 내지 332t)로부터의 T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T개의 안테나들(334a 내지 334t)을 통해 각각 송신될 수 있다.
UE(120)에서, 안테나들(352a 내지 352r)은 eNB(110)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s)(354a 내지 3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3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컨디셔닝(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획득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354)는 입력 샘플들을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하여,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할 수 있다. MIMO 검출기(356)는 모든 R개의 복조기들(354a 내지 354r)로부터의 수신된 심볼들을 획득하고, 적용가능하다면 수신된 심볼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하고, 검출된 심볼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358)는 검출된 심볼들을 프로세싱(예를 들어,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고, UE(120)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360)에 제공하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380)에 제공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는, UE(120)에서, 송신 프로세서(364)가 데이터 소스(362)로부터의 (예를 들어, PUSCH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380)로부터의 (예를 들어, PUCCH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364)는 또한 기준 신호에 대한 기준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364)로부터의 심볼들은 적용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366)에 의해 프리코딩되고, 변조기들(354a 내지 354r)에 의해 (예를 들어, SC-FDM 등을 위해) 추가로 프로세싱되고, eNB(110)에 송신될 수 있다. eNB(110)에서, UE(120)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UE(12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334)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기들(332)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적용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3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338)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3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339)에 제공할 수 있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3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340 및 380)은 eNB(110) 및 UE(120)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340), 수신 프로세서(338) 및/또는 eNB(110)의 다른 프로세서들 및/모듈들은 도 9의 동작들(900)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380), 수신 프로세서(358), 송신 프로세서(364) 및/또는 UE(120)의 다른 프로세서들 및/모듈들은 도 10의 동작들(1000)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에 대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342 및 382)은 eNB(110) 및 UE(120)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344)는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상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eNB(110)는 정적 자원 파티셔닝 정보(SPRI)를 UE(120)에 송신할 수 있다. UE(120)는 사운딩 기준 신호들(SRS)을 eNB(110)에 송신할 수 있다.
UE 중계기들에 대한 예시적인 국부적 및 협대역 CRS
특정한 양상들에서, UE 중계기들은 셀 커버리지 및 스루풋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UE 중계기를 배치하는 예시적인 네트워크(400)를 예시한다. 네트워크(400)는, UE들(404, 406 및 408)과 통신할 수 있는 eNB(402)를 포함한다. eNB(402)는 캐리어 주파수 세트 F1을 이용하여 UE(404)와 직접 통신한다(직접 홉/단일 홉). eNB는 UE 중계기(408)를 통해 UE(406)와 통신한다. UE 중계기(408)는 eNB(402)와 UE(406)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함으로써 이 2개의 노드들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eNB(402) 및 UE 중계기(408)는 캐리어 주파수 세트 F3(백홀 홉)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추가로, UE 중계기(408)는 캐리어 주파수 세트 F2(액세스 홉)를 이용하여 UE(406)와 통신한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F2는 F3과 분리될 수 있고(대역외 중계기), 여기서 F1 및 F2는 허가된 주파수들이고 F3은 미허가된 주파수일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E 중계기(408)는, 배치 시나리오들에 따라, 예를 들어, F2 또는 F3 링크들 하에서 LTE 표준 설계를 활용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성능 관점에서 중계기 UE(408)가 실용적으로 타당하고 유리하게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네트워크(400)에는 잠재적으로 UE 중계기들로서 이용될 수 있는 매우 많은 수의 UE들이 존재해야 한다. 이는, UE들의 송신 전력이 일반적으로 낮고(UE들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전력으로 구동하기 때문임), 따라서 중계기들로서 이용될 수 있는 UE들의 밀도가 낮으면, 2개의 UE들 사이의 링크는 매우 약할 수 있고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은 영역 내에서 활성 송신하는 많은 수의 UE들은 eNB들에 대한 증가된 간섭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UE들과 정규의 eNB들 사이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추가로, 특정한 양상들에서, UE 중계기들은 통상적으로 배터리 전력의 이용으로 인해 전력이 제한되기 때문에, 중계기 UE들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필요성이 존재한다.
추가적으로, 특정한 양상들에서, 중계기 UE들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은, UE들과 이들을 서빙하는 UE 중계기들 사이의 링크(예를 들어, 제어 채널, PBCH 등)의 측정 및/또는 복조를 위해 적절한 기준 신호들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측정 및/또는 복조 목적들을 위해 UE들에 기준 신호를 제공할 필요성이 또한 존재한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UE 중계기(408)에 의한 공통 기준 신호(CRS)는, 예를 들어, PSS, SSS, PBCH 및 PDCCH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신호들의 송신과 결합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UE 중계기로부터 송신된 서브프레임에서 CRS의 양/구성은, CRS를 수신하는 UE에서의 CRS 및/또는 CRS의 이용량과 함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CRS의 송신 길이 및/또는 송신 대역폭을 제한함으로써,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가능한 CRS 자원들이 할당될 수 있다.
제 1 양상에서, UE 중계기(예를 들어, UE 중계기(408))로부터 송신될 서브프레임은 어떠한 PSS, SSS 또는 PBCH없이 오직 PDC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 UE는 어떠한 동기화 측정도 수행할 필요가 없을 수 있지만, PDCCH를 디코딩/복조하고 그리고/또는 UE 중계기와 UE 사이의 링크를 측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오직 PDC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500)을 예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510)은 일반적으로, 제어 영역(520) 및 데이터 영역(530)을 포함한다. PDCCH는 통상적으로, 제어 영역(520)의 처음 몇몇 심볼들에서 송신되고,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전체 대역폭에 걸쳐 분산된다. 따라서, CRS는 또한 PDCCH의 효과적인 디코딩을 위해, 실질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분산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CRS는 서브프레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있도록 요구되지는 않을 수 있는데, 이는, PDCCH가 제어 영역의 오직 처음 몇몇 심볼들에 걸쳐 송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양상에서, CRS는, 제어 영역(520)의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540)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RS 자원들(540)은 제어 영역(520)의 제 1 심볼에 걸친 광대역 자원들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의 경우, UE는 데이터(예를 들어, PDSCH)를 디코딩하기 위해 상이한 기준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CRS는, PDCCH의 디코딩, 및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UE 중계기와 UE 사이의 링크의 측정 모두를 위해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제 2 양상에서, UE 중계기(예를 들어, UE 중계기(408))로부터 송신될 서브프레임은 어떠한 PDCCH없이 PSS, SSS 또는 PB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UE는 PDCCH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을 수 있지만, PBCH를 디코딩하고 그리고/또는 UE 중계기와 UE 사이의 링크를 측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PDCCH가 아닌 PSS, SSS 또는 PBCH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600)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PBCH는 통상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전체 길이에 걸쳐 몇몇 중심 자원 블록들(RB들)에서 송신된다. 따라서, CRS는 또한, PBCH의 효과적인 디코딩을 위해, 실질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송신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CRS는 서브프레임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있도록 요구되지는 않을 수 있는데, 이는, PBCH가 오직 몇몇 중심 RB들에 걸쳐 송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양상에서, CRS는, 실질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협대역 자원들(610)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RS 자원들(610)은, 실질적으로 서브프레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있는 서브프레임의 몇몇 중심 RB들에 걸친 협대역 자원들일 수 있다. 일 양상에서, CRS는, PBCH의 디코딩, 및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UE 중계기와 UE 사이의 링크의 측정 모두를 위해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제 3 양상에서, UE 중계기(예를 들어, UE 중계기(408))로부터 송신될 서브프레임은 PSS, SSS 또는 PBCH, 및 PDCCH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 UE는 PDCCH 및 PBCH 둘 모두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PSS, SSS 또는 PBCH, 및 PDCCH 둘 모두를 송신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700)을 예시한다. 이 양상에서, CRS는 데이터 영역에서의 협대역 자원들(710) 및 제어 영역에서의 광대역 자원(720)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CRS는, PBCH 및 PDCCH의 디코딩, 및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UE 중계기와 UE 사이의 링크의 측정 모두를 위해 UE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제 4 양상에서, UE 중계기(예를 들어, UE 중계기(408))로부터 송신될 서브프레임은 PDCCH, PSS, SSS 또는 PBCH 중 어떠한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 UE는 PDCCH 또는 PBCH를 디코딩할 필요가 없을 수 있고, (예를 들어, 핸드오버 목적들을 위해) 오직 UE와 UE 중계기 사이의 링크를 측정하기만 하면 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에 따라, PDCCH, PSS, SSS 또는 PBCH 중 어떠한 것도 송신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예시적인 CRS 자원 구성(800)을 예시한다. 이 양상에서, CRS는, 데이터 영역(530)에서의 어떠한 CRS 송신없이 오직 제어 영역(520)에서의 협대역 자원들(810)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4개의 양상들은,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로 CRS의 송신을 위한 최소한의 가능한 자원들을 이용하고, 채널 측정 및 복조를 위한 적절한 기준을 제공하면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려 시도한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오직 채널 측정만이 요구되는 경우, UE 중계기는 더 작은 세트의 CRS 포트들(예를 들어, 오직 1 포트 CRS) 상에서 송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중계기는 오직 포트 0을 송신할 수 있다. 추가적 양상에서,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복조가 요구되는 경우, UE 중계기는 다수의 포트들(예를 들어, 2개의 포트들)을 송신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앞서 논의된 양상들은, CoMP 그린(green)(에너지 효율적인) 기지국들, 새로운 캐리어 타입들(예를 들어, 확장 캐리어들), 저비용 디바이스들,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통신들 등과 같은 다른 시나리오들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특정한 양상들에서, R/E-PDCCH를 복조하기 위해, 중계기 PDCCH(R-PDCCH) 또는 향상된 PDCCH(E-PDCCH)가 이용되고 UE-RS(기준 신호)가 이용되면, R/E-PDCCH 디코딩 목적을 위해 반드시 CRS가 송신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예를 들어, CRS 관리 관점에서 서브프레임을 PDCCH-없는 서브프레임으로 취급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예를 들어, 무선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900)을 예시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노드는 UE 중계국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들(900)은, 902에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904에서,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CRS가 송신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결정된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전체 대역폭의 협대역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서브프레임에서 PBCH, PSS 또는 SSS 중 적어도 하나가 송신되면, 협대역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일정 길이에 걸쳐 있고, 이 길이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 모두에 걸쳐 있다.
일 양상에서, 서브프레임에서 PBCH, PSS, SSS 및 PDCCH 중 어떠한 것도 송신되지 않으면, 협대역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다.
일 양상에서, 서브프레임에서 PDCCH가 또한 송신되면, 결정된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더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결정된 자원들은 제어 영역의 제 1 심볼 길이에 걸쳐 있다.
일 양상에서, 서브프레임에서 PDCCH가 송신되고 PBCH, PSS 및 SSS 중 어떠한 것도 송신되지 않으면, 결정된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노드는 저전력 클래스 노드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특정한 양상들에 따라, 예를 들어, U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동작들(1000)을 예시한다. 동작들(1000)은, 1002에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의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1004에서, 결정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은 CRS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결정된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전체 대역폭의 협대역 부분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 PBCH, PSS 또는 SSS 중 적어도 하나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면, 협대역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일정 길이에 걸쳐 있고, 이 길이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 모두에 걸쳐 있다.
일 양상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PBCH, PSS, SSS 및 PDCCH 중 어떠한 것도 디코딩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면, 협대역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다.
일 양상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된 PDCCH를 디코딩하는 것을 또한 포함하면, 결정된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더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PDCCH를 디코딩하고 PBCH, PSS 및 SSS 중 어떠한 것도 디코딩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면, 결정된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결정된 자원들은 제어 영역의 제 1 심볼 길이에 걸쳐 있다.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법들 및 기술들 중 임의의 기법 및 기술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상세한 설명 전체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계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 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추가로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앞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해 부과된 설계 제한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펌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펌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PCM(phase change memory),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리고/또는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서 예시되는 동작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대응하는 상응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펌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들을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요구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 또는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펌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이러한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조합들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전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해야 한다.

Claims (38)

  1.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CRS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전체 대역폭의 협대역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또는 2차 동기화 신호(SSS) 중 적어도 하나가 송신되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정 길이에 걸쳐 있고, 상기 일정 길이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 모두에 걸쳐 있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또한 송신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2차 동기화 신호(SSS)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중 어떠한 것도 송신되지 않으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송신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제어 영역의 제 1 심볼 길이에 걸쳐 있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는 사용자 장비(UE)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노드는 저전력 클래스 노드인, 무선 노드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10. 무선 통신 장치로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CRS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전체 대역폭의 협대역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또는 2차 동기화 신호(SSS) 중 적어도 하나가 송신되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정 길이에 걸쳐 있고, 상기 일정 길이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 모두에 걸쳐 있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또한 송신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2차 동기화 신호(SSS)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중 어떠한 것도 송신되지 않으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송신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제어 영역의 제 1 심볼 길이에 걸쳐 있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비(UE)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저전력 클래스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무선 통신 장치로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CRS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채널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결정된 자원들을 이용하여 상기 CRS를 송신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전체 대역폭의 협대역 부분을 포함하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은 상기 CRS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또는 2차 동기화 신호(SSS) 중 적어도 하나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정 길이에 걸쳐 있고, 상기 일정 길이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 모두에 걸쳐 있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디코딩하는 것을 또한 포함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더 포함하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2차 동기화 신호(SSS)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중 어떠한 것도 디코딩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디코딩을 포함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포함하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제어 영역의 제 1 심볼 길이에 걸쳐 있는, UE에 의한 무선 통신 방법.
  29. 무선 통신 장치로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전체 대역폭의 협대역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은 상기 CRS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또는 2차 동기화 신호(SSS) 중 적어도 하나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정 길이에 걸쳐 있고, 상기 일정 길이는 제어 영역 및 데이터 영역 모두에 걸쳐 있는, 무선 통신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송신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디코딩하는 것을 또한 포함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1차 동기화 신호(PSS), 2차 동기화 신호(SSS)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중 어떠한 것도 디코딩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면, 협대역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무선 통신 장치.
  35.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디코딩을 포함하면,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의 오직 일부에만 걸쳐 있는 광대역 자원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자원들은 상기 제어 영역의 제 1 심볼 길이에 걸쳐 있는, 무선 통신 장치.
  37. 무선 통신 장치로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8.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서브프레임을 참조하여 UE가 수행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들의 타입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공통 기준 신호(CRS)의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47023272A 2012-01-27 2013-01-26 사용자 장비(ue) 중계기들을 위한 국부적 및 협대역 공통 기준 신호(crs) KR102023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1828P 2012-01-27 2012-01-27
US61/591,828 2012-01-27
US13/750,735 2013-01-25
US13/750,735 US10791542B2 (en) 2012-01-27 2013-01-25 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
PCT/US2013/023325 WO2013112960A1 (en) 2012-01-27 2013-01-26 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340A true KR20140128340A (ko) 2014-11-05
KR102023659B1 KR102023659B1 (ko) 2019-09-20

Family

ID=4887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272A KR102023659B1 (ko) 2012-01-27 2013-01-26 사용자 장비(ue) 중계기들을 위한 국부적 및 협대역 공통 기준 신호(crs)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791542B2 (ko)
EP (1) EP2807887B1 (ko)
JP (1) JP6272782B2 (ko)
KR (1) KR102023659B1 (ko)
CN (1) CN104081852B (ko)
IN (1) IN2014MN01620A (ko)
WO (1) WO20131129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78A1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대역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물리 방송 채널 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542B2 (en) * 2012-01-27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
US9893854B2 (en) 2013-09-20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Sequence mapping for LTE/LTE-A with unlicensed spectrum
US10075270B2 (en) * 2014-10-16 2018-09-11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based signaling in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560235B2 (en) 2014-10-31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control channel decoding
US10143005B2 (en) * 2014-11-07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control resource allocation for dynamic time-division duplex systems
US10455544B2 (en) * 2015-01-30 2019-10-22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aging procedures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MTC)
US10491343B2 (en) * 2015-04-10 2019-11-26 Qualcomm Incorporated Simultaneous narrowband transmission/reception in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s
US10028260B1 (en) 2015-05-12 2018-07-17 Sprint Spectrum L.P. User equipment relay status reporting
US9860047B1 (en) 2015-05-12 2018-01-02 Sprint Spectrum L.P. User equipment relay selection
KR101865463B1 (ko) * 2015-05-22 2018-06-07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US10893520B2 (en) 2015-08-26 2021-01-12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and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narrowb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10560208B2 (en) 2015-09-15 2020-02-11 Lg Electronics Inc. Cell search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0099450B (zh) * 2015-10-30 2022-09-27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窄带通信中的方法和装置
US10476622B2 (en) * 2015-11-05 2019-11-12 Intel IP Corporation Synchronization signals for license assisted access
CN106900062B (zh) * 2015-12-18 2021-08-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通信系统的信号处理方法和设备
EP3381165B1 (en) 2016-01-09 2021-06-02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gen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278180B2 (en) * 2016-01-15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Raster design for narrowband operation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s
CN107046458A (zh) * 2016-02-05 2017-08-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参考信号的发送、接收方法、装置及传输系统
EP3422613B1 (en) * 2016-02-26 2022-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arrowband-iot, and device therefor
JP6938546B2 (ja) * 2016-05-26 2021-09-22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基準信号の伝送方法、ネットワーク設備及び端末設備
US10512046B2 (en) * 2016-06-09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reference signal and synchronization
US10419244B2 (en) 2016-09-30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anagement in new radio
US11115983B2 (en) * 2016-11-11 2021-09-07 Qualcomm Incorporated Data and control channels in synchronization bursts for millimeter wave new radio
US10588119B2 (en) * 2017-03-24 2020-03-10 Qualcomm Incorporated CRS bandwidth signaling
US10285147B2 (en) * 2017-04-10 2019-05-07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sche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560237B2 (en) * 2017-05-30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for evolv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EP4021110A4 (en) * 2019-10-04 2022-09-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ROL CHANNEL DETECTION CAPACITY, DEVICE AND MEDIA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8119A2 (en)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type ii relay
KR20110007986A (ko) * 2009-07-17 201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019330A (ko) * 2009-08-19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의 참조신호 이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국
US20110268101A1 (en) 2010-04-15 2011-11-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oximity detection signal for peer discovery
KR20120004460A (ko) * 2009-04-22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3467B2 (en) 2008-09-08 2015-02-10 Nokia Corporation Adaptive transmission modes for transparent relay
CN102186676B (zh) * 2008-10-20 2014-12-03 普拉斯蒂派克包装公司 具有改进的附着力和再循环能力的数字印刷塑料容器
US20100120442A1 (en) 2008-11-12 2010-05-13 Motorola, Inc. Resource sharing in relay operations with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274951B2 (en) 2009-03-17 2012-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ell selection and resource mapping for CoMP joint transmission
CN101873609B (zh) 2009-04-27 2013-03-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中继系统中的数据发送方法和装置
EP2514252A1 (en) * 2009-12-14 2012-10-24 Nokia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20110211595A1 (en) 2010-02-16 2011-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n early decoding of signals in relay backhaul links
US9083494B2 (en) 2010-03-23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resource utilization in TDD
US8712401B2 (en) 2010-04-16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monitoring (RLM) and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measurement for heterogeneous networks
US9237583B2 (en) 2010-05-03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vailability for PDSCH in relay backhaul transmissions
KR101901927B1 (ko) * 2010-09-28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조정 방법 및 장치
US9344246B2 (en) 2010-10-08 2016-05-17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and relay downlink control channel
EP3522579B1 (en) * 2011-02-14 2021-02-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system
US8369280B2 (en) * 2011-07-01 2013-02-05 Ofinno Techologies, LLC Control channels in multicarrier OFDM transmission
KR102087608B1 (ko) * 2011-08-11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의 확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827406B2 (ja) * 2011-08-12 2015-12-02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システムにおける柔軟な帯域幅オペレーションのための下りリンクリソースの割り当て
MY164105A (en) * 2011-08-12 2017-11-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terference measurement in wireless networks
WO2013044948A1 (en) 2011-09-28 2013-04-04 Nokia Siemens Networks Oy Configuring a communication with user equipments operating with a different system bandwidth
WO2013067694A1 (en) * 2011-11-09 2013-05-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lmost-blank subframe configuration detec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WO2013074462A1 (en) * 2011-11-14 2013-05-23 Kyocera Corporatio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using macrocell communication resources
US20150043520A1 (en) * 2011-11-17 2015-02-12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sion of Reference Signal Design for Downlink Tracking in Occupied Shared Band
US20130142138A1 (en) * 2011-12-05 2013-06-06 Esmael Hejazi Dinan Coordination of Control Channel Transmissions
WO2013089421A1 (ko) * 2011-12-12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3105811A1 (ko) * 2012-01-11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참조신호를 이용한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US10791542B2 (en) * 2012-01-27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
US10560235B2 (en) * 2014-10-31 2020-02-11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control channel decoding
CN106961315B (zh) * 2016-01-11 2020-03-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窄带pbch传输方法及装置
US11109372B2 (en) * 2016-01-11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physical control channel desig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4460A (ko) * 2009-04-22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0148119A2 (en)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type ii relay
US20100323684A1 (en) 2009-06-19 2010-12-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Downlink Reference Signal for Type II Relay
KR20110007986A (ko) * 2009-07-17 201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019330A (ko) * 2009-08-19 2011-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의 참조신호 이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중계국
US20110268101A1 (en) 2010-04-15 2011-11-0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proximity detection signal for peer discover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1 Meeting #58, R1-093357, 2009.08.1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878A1 (ko) * 2015-09-08 201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대역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물리 방송 채널 수신 방법 및 장치
US10790952B2 (en) 2015-09-08 2020-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physical broadcasting channel in radio access system that supports 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81852B (zh) 2019-02-05
US20200404627A1 (en) 2020-12-24
WO2013112960A1 (en) 2013-08-01
JP2015510723A (ja) 2015-04-09
EP2807887A1 (en) 2014-12-03
IN2014MN01620A (ko) 2015-05-15
JP6272782B2 (ja) 2018-01-31
US10791542B2 (en) 2020-09-29
CN104081852A (zh) 2014-10-01
US20130195043A1 (en) 2013-08-01
KR102023659B1 (ko) 2019-09-20
US11452075B2 (en) 2022-09-20
EP2807887B1 (en)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2075B2 (en) 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
KR101902419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KR101500585B1 (ko) 강화된 간섭 조정을 위한 자원 분할 정보
KR101812142B1 (ko) 강화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epdcch)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1904429B1 (ko) Lte에서의 트래픽 적응을 위한 향상된 간섭 관리(eimta)를 위한 채널 상태 정보(csi) 측정 및 리포팅
KR10146733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데이터 및 제어 채널들에 대한 레이트 매칭
EP2559283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s of a user equipment in a heterogeneous network
KR101447729B1 (ko) 이종 네트워크들에 대한 시스템 액세스
KR101508116B1 (ko) 업링크 공유 채널에서 프리코딩 벡터 스위칭의 이용
KR101598134B1 (ko) 이질적인 네트워크들에 대한 이벌브드 노드 b 채널 품질 표시자(cqi)프로세싱
KR101498477B1 (ko) 크로스-서브프레임 할당에 의한 전력 제어
KR101787674B1 (ko) 더 적은 수의 수신 체인들을 이용한 수신 안테나 선택/수신 안테나들의 결합
KR20130081296A (ko) 시간-도메인 파티셔닝된 셀들에 대한 셀-간 간섭 조정 액션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25399A (ko) 개선된 간섭 조정을 위한 기지국들 사이의 적응형 자원 협상
KR101708609B1 (ko) 블라인드 crs 검출
KR20160048219A (ko) 이종 네트워크들에서 트래픽-대-파일럿 전력 비들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15119751A1 (en) User equipment (ue) autonomous switching of simultaneous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an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trans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