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492A -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492A
KR20140127492A KR1020130045867A KR20130045867A KR20140127492A KR 20140127492 A KR20140127492 A KR 20140127492A KR 1020130045867 A KR1020130045867 A KR 1020130045867A KR 20130045867 A KR20130045867 A KR 20130045867A KR 20140127492 A KR20140127492 A KR 2014012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assembly
electronic circui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석
이성수
신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로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로보
Priority to KR102013004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7492A/ko
Publication of KR2014012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492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은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 및 숙련도에 따라 복수의 실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에 따른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로정보 제공부;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회로 지식에 대하여 사용자가 숙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립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조립체가 완성되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최종 조립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EDUCATIONAL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OBOT}
본 발명은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회로의 기초가 부족한 어린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용 블록 완구 분야의 경우, 최근 들어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TV 등 직관적으로 어린이의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매체들과 경쟁하며 어린이의 흥미 및 관심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단순한 블록의 조립 외에, 완성된 조립체가 전기적, 기계적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전기적, 기계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블록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전기적, 기계적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블록들을 이용하여 로봇을 조립하는 경우, 로봇에 포함된 전기적, 기계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기회로 및 기계요소 등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로봇 조립 매뉴얼에는 로봇 조립을 위한 각 단계에 대한 설명은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나, 전기적, 기계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회로 및 기계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도로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있지는 않은 현실이다.
그리하여,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들은 로봇을 완성하고 전기적, 기계적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경험을 할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전기적, 기계적 원리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게 되어, 로봇 조립의 교육적 효과는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회로의 기초가 부족한 어린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로봇 조립을 통한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은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 및 숙련도에 따라 복수의 실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에 따른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로정보 제공부;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회로 지식에 대하여 사용자가 숙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립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조립체가 완성되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최종 조립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상기 실험 세트들이 포함하는 전자회로도의 회로 구성의 복잡성에 따라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의 순서에 따라 낮은 난이도의 실험 세트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종 조립체가 완성되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회로에 대한 이해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과제 및 문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과제는상기 최종 조립체가 포함하는 전자회로의 구성을 변경하여 출력의 내용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문제는 특정한 출력을 얻기 위해 변경해야하는 회로 구성에 대한 문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제는 전자회로 구성 중 저항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문제는 특정한 출력을 얻기 위해 변경해야하는 저항값에 대한 문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험 세트들은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 순으로 상기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1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새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스위치, 마일러 콘덴서(0.1㎌, 0.047㎌), 광센서(CdS), 트랜지스터(D227), 입력 트랜스(IPT), 출력 트랜스(OPT), 전해 콘덴서, 저항(4.7kΩ, 10kΩ), 스피커, 모터 및 모터드라이브 보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2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나팔소리를 스피커로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전원스위치, 전해콘덴서(100㎌), 누름스위치, 저항(4.7kΩ, 10kΩ, 5.1kΩ, 5.6kΩ), 마일러 콘덴서(0.1㎌, 0.047㎌), 적외선 센서, 집적회로(IC 555), 및 스피커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3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바이올린 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스위치, 트랜지스터(D227), 멜로디IC, 전해콘덴서(10㎌), 적외선 센서, 저항(4.7kΩ), 가변저항(10kΩ), 스피커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조림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억세스(access)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 및 숙련도에 따라 복수의 실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에 따라 회로정보 제공부가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회로 지식에 대하여 사용자가 숙지한 경우, 조립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조립체가 완성되어 동작하는 경우, 최종 조립체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상기 실험 세트들이 포함하는 전자회로도의 회로 구성의 복잡성에 따라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의 순서에 따라 낮은 난이도의 실험 세트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실험 세트들은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 순으로 상기 난이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1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새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스위치, 마일러 콘덴서(0.1㎌, 0.047㎌), 광센서(CdS), 트랜지스터(D227), 입력 트랜스(IPT), 출력 트랜스(OPT), 전해 콘덴서, 저항(4.7kΩ, 10kΩ), 스피커, 모터 및 모터드라이브 보드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봇 조립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 및 숙련도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실험 세트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도가 점차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조립된 로봇이 전자 블록을 이용한 기본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본 조립체가 전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로봇조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기본적인 전자 회로의 소자 및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회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켜 교육적 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로봇조립에 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의 습득 정도를 고려하여 다음 단계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로봇조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각 단계에서 조립된 로봇의 동작 여부를 별도로 검증하고,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참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로봇조립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교육적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전용 단말기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및 문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이해도를 테스트해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도 2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2a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c는 도 2b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소자 정보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b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전자 회로도 정보의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c는 도 3b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전자블록 연결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d는 도 3c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구조체 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소자 정보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b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전자 회로도 정보의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c는 도 3b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전자블록 연결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d는 도 3c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구조체 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소자 정보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b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전자 회로도 정보의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c는 도 3b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전자블록 연결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d는 도 3c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구조체 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은 로봇 조립 서비스 구조체(100), 전용 단말기(200), 로봇 조립체(400) 및 동작 검증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로봇 조립 서비스 구조체(100)는 전용서버(110), 사용자 인증부(120), 회로정보 제공부(130), 조립정보 제공부(140),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 및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를 포함하며, 참조 조립정보 제공부(141) 및 참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용서버(110)는 상기 사용자 인증부(120),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 및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와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받아 이를 관리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정보들 중 필요한 정보를 상기 전용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상기 전용서버(110)는 본 실시예에 의한 로봇 조립 서비스 시스템에만 사용할 수 있는 전용회선을 통해 상기 전용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인터넷 망이나 근거리 지역 네트워크(LAN) 망 등을 통해 상기 전용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로봇 조립 서비스 구조체(100)는 상기 전용 단말기(200)에 직접 내장되거나 탈부착이 가능한 외장하드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20)는 상기 전용서버(11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판단하고, 새로운 사용자가 접근(access)하는 경우 신규 등록 프로그램을 통해 신규 등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단계의 전자 회로 및 로봇 조립 정보가 제공되므로, 상기 사용자 인증부(120)는 등록 사용자의 경우, 이전에 제공된 전자 회로 및 로봇 조립 정보를 바탕으로 등록 사용자에게 적합한 단계의 전자 회로 및 로봇 조립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들은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실험 세트들은 서로 다른 전자회로 및 로봇 조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험 세트는 새 로봇을 조립하기 위한 전자회로 및 로봇 조립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실험 세트는 나팔 로봇을 조립하기 위한 전자회로 및 로봇 조립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실험 세트는 바이올린 로봇을 조립하기 위한 전자회로 및 로봇 조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는 회로의 구성의 복잡성에 따른 서로 다른 난이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제3 실험 세트 순으로 점차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120)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실험 세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 순으로 난이도를 상승시키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는 상기 전용서버(110)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인증부(120)에서 사용자로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전자 회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기본 전자 회로에 관한 정보는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저항기, 발광 소자, 전원부, 콘덴서 등 전자 회로를 구성하는 각종 전자 소자를 모두 포함하며, 해당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는 전자 회로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들 및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회로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실험 세트들이 포함하는 전자회로도의 회로 구성의 복잡성에 따라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의 순서에 따라 낮은 난이도의 실험 세트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 실험 세트들에 대한 구체적인 전자 소자 및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는 도 4a, 도4b,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를 우선 제공받아 이를 습득한 이후에, 상기 전자 소자가 적용되는 전자 회로에 관한 지식을 습득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용 단말기(200)는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모두 습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가 모두 습득된 경우 상기 회로 정보 제공부(130)는 전자 회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 블록을 통한 로봇을 조립하기 전에, 기본적인 전자 소자 및 전자 회로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소자에 관한 지식을 모두 습득한 경우에만 전자 회로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므로, 단계별 맞춤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전용서버(110)와 연결되어, 상기 기본 전자 회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회로 지식에 대하여 사용자가 숙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 블록을 이용한 기본 전자회로 조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에서 제공한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를 모두 이해한 경우,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를 통해, 전자 블록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자 블록이란 일반적인 블록 완구에 사용되는 블록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단위 블록으로, 내부 또는 외부에 도전체가 고정되어 있어, 다른 전자 블록 또는 별도의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경우 도전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블록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은, 예를 들어, 저항기에 대응되는 저항기용 전자 블록, 발광 소자에 대응되는 발광 소자용 전자 블록, 전원부에 대응되는 전원부용 전자 블록 등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각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은 전자 소자가 직접 블록에 실장된 구조를 갖거나, 전자 소자가 블록과 동시에 형성된 인서트(insert)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 연결구조는 상기 전자 블록들이 서로 연결되어 전자 회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회로도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험 세트들에 대한 구체적인 전자 블록 및 전자 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는 도 4c, 도4d, 도 5c, 도 5d, 도 6c 및 도6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를 우선 제공받아 이를 습득한 이후에, 상기 전자 블록들의 연결구조에 관한 지식을 습득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용 단말기(200)는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모두 습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조립 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전자 블록 및 전자 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조립체(440)를 완성한다.
한편, 상기 참조 조립정보 제공부(141)는 상기 조립 정보 제공부(14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완성한 상기 기본 조립체(44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기본 조립체(440) 완성의 참조 조립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참조 조립정보는 상기 기본 조립체(440)를 완성하는 하나하나의 전자 블록 연결방법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기본 조립체(440)의 완성을 위한 단계적 조립 방법을 다시 습득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자 블록을 통한 로봇을 조립하기 전에, 기본적인 전자 블록 및 전자 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블록에 관한 지식을 모두 습득한 경우에만 전자 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므로, 단계별 맞춤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기본 조립체(44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전자 블록 연결방법에 관한 참조 조립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해가 늦는 사용자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는 상기 전용서버(110)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모두 습득한 사용자가 상기 기본 조립체(440)를 완성하여 상기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450)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일반블록이란 전자블록과 구분되어 도전체로서 기능하지 않으며 단순히 특정 형상만 가지며 서로 연결되는 블록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상기 기본 조립체(440)를 완성하고, 상기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동작하면, 사용자는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에서 제공되는 상기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통해,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가 제공하는 정보는 구체적으로,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블록화하고,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적용되는 최종 조립체(450)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전자블록 또는 일반블록들이 확장적으로 연결 및 조립되어 완성된 조립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험 세트의 경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새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라면,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새소리가 스피커로 구현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포함한 새 로봇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스위치를 작동하면 새소리가 스피커로 구현되는 새 형상의 로봇으로, 사용자에게 관심과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험 세트의 경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나팔소리를 스피커로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라면,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누름 스위치들에 의해서 스피커로 나팔 소리가 구동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포함한 나팔 로봇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누름 스위치들의 누름에 따라 다른 소리는 내는 나팔 로봇으로, 사용자에게 관심과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실험 세트의 경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바이올린 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라면,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활 블록의 움직임에 따라 바이올린 소리가 구동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포함한 바이올린 로봇일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사용자가 움직이는 활 블록에 따라 바이올린 소리가 구동되는 바이올린 로봇으로, 사용자에게 관심과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경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는 분리 및 재결합이 불가능하도록 연결된 일체형 연결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최종 조립체(450) 내에서 위치를 달리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전자 회로를 구현하기 위한 필수 전자블록들의 연결구조는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취지에서 단위블록화라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상기 최종 조립체(450) 내부에서 연결되는 구조에 관한 예는 도 4d, 도 5d 및 도 6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에서 제공되는 상기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참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1)는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완성한 상기 최종 조립체(45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최종 조립체(450) 완성을 위한 참조 조립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참조 조립정보는 상기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하기 위한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와 기타 전자블록들 또는 일반블록들의 연결방법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최종 조립체(450)의 완성을 위한 단계적 조립 방법을 다시 습득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위 블록이 적용되는 상기 최종 조립체(450)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단위 블록이 여타의 전자 블록 또는 일반 블록들과 확장적 결합을 하면서 최종 조립체(450)로 완성하는 정보를 습득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실제로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조립체(45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참조 조립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해가 늦는 사용자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는 상기 전용서버(110)와 연결되어,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모두 습득한 사용자가 상기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하고 상기 최종 조립체(450)가 올바르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정보들에 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테스트하기위한 과제 및 문제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상기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하고, 상기 최종 조립체(450)가 올바르게 작동하면, 사용자는 상기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에서 제공되는 이해도 테스트를 위한 과제 및 문제에 관한 정보를 통해,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에서 제공되는 정보는 구체적으로, 회로 구성을 변경하여 출력의 내용을 변경해 보는 과제 및 특정한 출력을 얻기 위해 변경해야하는 회로 구성에 대한 문제 등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의 정답을 사용자가 맞히는 경우 충분한 이해도를 얻은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문제의 정답을 맞히지 못하는 경우 상기 문제에 대한 풀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용 단말기(200)는 상기 로봇 조립 서비스 구조체(100)의 상기 전용서버(110)와 연결되어, 사용자와 상기 로봇 조립 서비스 구조체(100)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상기 전용 단말기(200)는 일반 컴퓨터용 모니터, 태블릿 PC, 또는 본 실시예에 의한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만 사용되는 전용 모니터일 수 있다. 상기 전용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전용서버(110)로 전달되는 상기 사용자 인증부(120)의 사용자 인증정보, 상기 회로 정보 제공부(130)의 기본 전자 회로에 관한 정보,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에 관한 정보,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제공부(150)의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의 과제 및 문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봇 조립체(4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완성되는 조립체로서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완성된 상기 기본 조립체(440),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제공부(150)에서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완성된 상기 최종 조립체(450)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 검증부(500)는 상기 사용자가 완성한 상기 로봇 조립체(400)의 기본 조립체(440), 최종 조립체(450) 및 복합 조립체(460)가 올바르게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동작 검증부(500)는 상기 기본 조립체(440) 및 상기 최종 조립체(450)가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참조 조립정보 제공부(141) 및 상기 참조 최종조립체 정보제공부(151)로부터 각각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상기 기본 조립체(440) 및 상기 최종 조립체(450)의 참조 조립정보를 제공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에서, 우선, 상기 로봇 조립 서비스 구조체(100)의 사용자 인증부(120)는 사용자의 억세스(access)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한다(단계 S100).
이후,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는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10). 이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에서 제공하는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전자회로 지식에 대하여 숙지한 경우,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자 블록을 이용한 기본 전자회로 조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20). 이 경우, 조립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하는 기본 전자회로 조립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동작 검증부(500)는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완성한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작동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130). 만약, 상기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참조 조립정보 제공부(141)는 참조 조립정보를 제공하며, 이 경우 상기 참조 조립정보는 상기 기본 조립체(440)를 완성하는 하나하나의 전자 블록 연결방법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기본 조립체(440)의 완성을 위한 단계적 조립 방법을 다시 습득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상기 참조 조립정보가 제공된 이후에,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에 의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에 관한 정보가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작동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최종 조립체 정보제공부(150)는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40). 이 경우,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제공부(150)에서 제공하는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동작 검증부(500)는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제공부(150)에서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완성한 최종 조립체(450)가 올바르게 작동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150). 만약, 상기 최종 조립체(450)가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참조 최종조립체 정보제공부(151)는 참조 조립정보를 제공하며, 이 경우, 참조 조립정보는 상기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하기 위한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와 기타 전자블록들 또는 일반블록들의 연결방법에 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최종 조립체(450)의 완성을 위한 단계적 조립 방법을 다시 습득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상기 참조 조립정보가 제공된 이후에, 상기 최종조립체 정보 제공부(150)에 의해 상기 최종 조립체 조립에 관한 정보가 다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최종 조립체(460)가 올바르게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과제 및 문제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다(단계 S160). 사용자가 과제 및 문제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정보들에 관한 사용자의 이해도를 테스트하기위한 과제 및 문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70). 이 경우, 상기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에서 제공하는 과제 및 문제 정보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문제 정보에 대한 정답을 사용자가 입력하여(단계 S180), 정답이 아닌 경우 상기 문제에 대한 풀이를 제공하고(S190), 다시 과제 및 문제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 받을 지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S160 반복).
다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최종 조립체(450) 내에는 복수의 기본 조립체(440)들이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복수의 기본 조립체(440)들에 관한 정보를 습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미 습득한 기본 조립체(440)에 관한 정보 외에, 상기 최종 조립체(450)에 포함되는 다른 기본 조립체(440)에 관한 정보를 습득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회로 정보 제공부(130)로부터 기본 전자 회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야 한다(단계 S110).
이후,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되는 기본 전자회로 조립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단계 S120) 다른 기본 조립체(440)를 완성하여 작동여부를 검증받고(단계 S130), 필요한 경우, 상기 다른 기본 조립체(440)가 적용되는 최종 조립체 조립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단계 S140) 최종 조립체(450)를 완성하여 작동여부를 검증받을 수 있다(단계 S150).
도 3a는 도 2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가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10)는,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11) 및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1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전용 단말기(200)는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모두 습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가 모두 습득된 경우 상기 회로 정보 제공부(130)는 전자 회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130)에서 제공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b는 도 2a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가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20)는,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21)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22)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도 사용자는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를 우선 제공받아 이를 습득한 이후에, 상기 전자 블록들의 연결구조에 관한 지식을 습득 받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전용 단말기(200)는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모두 습득하였는지를 확인하는 메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정보 제공부(140)에서 제공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c는 도 2b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최종 조립체 정보 제공부(150)가 상기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40)는, 상기 전자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블록화하는 단계(단계 S141) 및 상기 단위블록들이 적용되는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단계 S14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최종 조립체 정보제공부(150)에서 제공하는 단위블록화 및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한 실시예인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소자 정보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단계 S110)에서는 제1 실험 세트의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11). 예를 들어, 스위치, 마일러 콘덴서(0.1㎌, 0.047㎌), 광센서(CdS), 트랜지스터(D227), 입력 트랜스(IPT), 출력 트랜스(OPT), 전해 콘덴서, 저항(4.7kΩ, 10kΩ), 스피커, 모터 및 모터드라이브 보드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개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 드라이브 보드는 상기 광센서가 빛을 감지하여 출력하면 모터를 작동시키는 보드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소자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예를 들어, 저항의 정의 저항의 단위, 저항과 전류의 관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통해 사용자는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저항 소자의 일반적인 정의뿐만 아니라 저항 소자의 형상을 통해 저항값을 환산하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소자는 상기 소자들 외에 발광 소자 등 다양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b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전자 회로도 정보의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단계 S110)에서는 사용자가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에 관한 정보를 모두 이해한 경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12).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새소리를 구현하고, 광센서의 빛 감지에 따라 모터를 작동 시키는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a에 나타난 소자들을 이용하여 도 4b에 나타난 회로를 구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새소리를 구현하고, 광센서의 빛 감지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 4a에서 제공된 저항 소자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각종 소자들이 전자 회로도에 연결되는 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 회로도는 다양한 기능 및 종류의 회로도를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c는 도 3b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전자블록 연결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가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정보를 모두 습득한 경우, 전자 회로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21).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각의 전자 회로용 소자들이 전자 블록으로 어떻게 대응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주어진 블록 키트 내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블록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전자블록에 관한 정보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블록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블록들은 전원 블록(610), 제1 블록(620), 제2 블록(630), 스피커 블록(640), 모터드라이브보드 블록(650) 및 모터 블록(6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록(62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삽입구들(620a), 및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삽입구들(620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삽입구들에 각각의 전자 소자들을 결합하거나, 이웃하는 다른 전자 블록들과 연결선(602)을 상기 삽입구들에 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블록(630)은 상기 제2 블록(630)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서고 폭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삽입구들(630a), 복수의 제2 삽입구들(630b) 및 복수의 제3 삽입구들(630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블록(620)과 유사하게 상기 삽입구들에 전자 소자 혹은 연결선(602)을 결합하여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의 종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들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회로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블록에 관한 정보를 모두 이해한 경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22).
예를 들어, 도 4b의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는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결국 상기 전자블록 연결 구조는 기본 조립체(44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는 도시된 회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4c에서는 각 전자 블록들 사이를 연결선들에 의해 연결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전선들은 이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들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d는 도 3c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1 실험 세트의 구조체 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40)에서는 사용자가 완성한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 블록화하여 상기 단위블록이 적용되는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41 및 S142).
예를 들어, 도 4c에서 완성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 블록화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조립체로서 로봇을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블록화한다는 의미는 도 4c에 도시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그대로 상기 최종 조립체로서의 로봇에 포함된다는 뜻이다. 즉, 도 4d에서 완성된 최종 조립체로서의 로봇은 도 4c의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그대로 포함하면서,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추가적으로 일반 블록들이 결합되면서 로봇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예를들면, 상기 제1 실험 세트의 경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새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라면,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새소리가 스피커로 구동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포함한 새 로봇일 수 있다. 상기 새 로봇은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그대로 포함하며, 일반블록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일반 블록을 이용하여 새 형상을 갖출 수 있다.
도 5a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소자 정보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단계 S110)에서는 제2 실험 세트의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11). 예를 들어, 전원스위치, 전해콘덴서(100㎌), 누름스위치, 저항(4.7kΩ, 10kΩ, 5.1kΩ, 5.6kΩ), 마일러 콘덴서(0.1㎌, 0.047㎌), 적외선 센서, 집적회로(IC 555), 및 스피커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개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물체를 인식하여 나팔 소리를 출력하는 보드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소자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b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전자 회로도 정보의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단계 S110)에서는 사용자가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에 관한 정보를 모두 이해한 경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12). 예를 들어, 누름 스위치들 및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스피커로 나팔 소리가 구현되는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나타난 소자들을 이용하여 도 5b에 나타난 회로를 구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나팔 소리를 구현하고, 적외선 센서 및 누름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다양한 나팔 소리를 출력하는 전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 5a에서 제공된 소자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각종 소자들이 전자 회로도에 연결되는 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c는 도 3b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전자블록 연결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가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정보를 모두 습득한 경우, 전자 회로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21).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각의 전자 회로용 소자들이 전자 블록으로 어떻게 대응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주어진 블록 키트 내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블록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전자블록에 관한 정보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블록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블록들은 전원 블록(710), 제1 블록(720), 제2 블록(730), 제3 블록(740), 스피커 블록(750), 적외선 센서 블록(7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블록(710), 상기 제1 블록(720), 상기 제2 블록(730) 및 상기 스피커 블록(750)은 도 4c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3 블록(620)은 특정한 전기적인 연결을 포함하는 복수의 삽입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같은 행에 배치되는 삽입구들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의 종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들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회로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블록에 관한 정보를 모두 이해한 경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22).
예를 들어, 도 5b의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는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결국 상기 전자블록 연결 구조는 기본 조립체(44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는 도시된 회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5c에서는 각 전자 블록들 사이를 연결선들에 의해 연결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전선들은 이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들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d는 도 3c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2 실험 세트의 구조체 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40)에서는 사용자가 완성한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 블록화하여 상기 단위블록이 적용되는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41 및 S142).
예를 들어, 도 5c에서 완성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 블록화하여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조립체로서 로봇을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블록화한다는 의미는 도 5c에 도시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그대로 상기 최종 조립체로서의 로봇에 포함된다는 뜻이다. 즉, 도 5d에서 완성된 최종 조립체로서의 로봇은 도 5c의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그대로 포함하면서,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추가적으로 일반 블록들이 결합되면서 로봇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예를들면, 상기 제2 실험 세트의 경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나팔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라면,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나팔 소리가 스피커로 구동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포함한 나팔 로봇일 수 있다. 상기 나팔 로봇은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그대로 포함하며, 일반블록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일반 블록을 이용하여 나팔 형상을 갖출 수 있다.
도 6a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소자 정보의 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단계 S110)에서는 제3 실험 세트의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11). 예를 들어, 스위치, 트랜지스터(D227), 멜로디IC, 전해콘덴서(10㎌), 적외선 센서, 저항(4.7kΩ), 가변저항(10kΩ), 스피커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개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물체를 인식하여 바이올린 소리를 출력하는 보드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소자들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b는 도 3a의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전자 회로도 정보의 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정보 제공단계(단계 S110)에서는 사용자가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소자에 관한 정보를 모두 이해한 경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12).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에 의해서 스피커로 바이올린 소리가 구현되는 회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나타난 소자들을 이용하여 도 6b에 나타난 회로를 구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바이올린 소리를 구현하고, 적외선 센서에 의해 다양한 바이올린 소리를 출력하는 전자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 6a에서 제공된 소자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각종 소자들이 전자 회로도에 연결되는 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6c는 도 3b의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전자블록 연결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가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정보를 모두 습득한 경우, 전자 회로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21).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각의 전자 회로용 소자들이 전자 블록으로 어떻게 대응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으며, 주어진 블록 키트 내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블록을 용이하게 찾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전자블록에 관한 정보는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전자블록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블록들은 전원 블록(810), 제1 블록(820), 제2 블록(830), 적외선 센서 블록(840), 스피커 블록(8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블록(810), 상기 제1 블록(820), 상기 제2 블록(830) 상기 적외선 센서 블록(840) 및 상기 스피커 블록(850)은 도 5c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의 종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들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기본 전자회로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20)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회로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블록에 관한 정보를 모두 이해한 경우,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22).
예를 들어, 도 6b의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는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결국 상기 전자블록 연결 구조는 기본 조립체(44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는 도시된 회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5c에서는 각 전자 블록들 사이를 연결선들에 의해 연결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전선들은 이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들로 대체될 수 있다.
도 6d는 도 3c의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에서 제공되는 제3 실험 세트의 구조체 정보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단계 S140)에서는 사용자가 완성한 기본 조립체(440)가 올바르게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최종 조립체 조립정보 제공단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 블록화하여 상기 단위블록이 적용되는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41 및 S142).
예를 들어, 도 6c에서 완성된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단위 블록화하여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조립체로서 로봇을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블록화한다는 의미는 도 5c에 도시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그대로 상기 최종 조립체로서의 로봇에 포함된다는 뜻이다. 즉, 도 5d에서 완성된 최종 조립체로서의 로봇은 도 5c의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그대로 포함하면서,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추가적으로 일반 블록들이 결합되면서 로봇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
예를들면, 상기 제3 실험 세트의 경우, 상기 단위블록화된 전자블록 연결구조가 바이올린 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라면, 상기 최종 조립체(450)는 바이올린 소리가 스피커로 구동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포함한 나팔 로봇일 수 있다. 상기 바이올린 로봇은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를 그대로 포함하며, 일반블록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일반 블록을 이용하여 바이올린 형상을 갖출 수 있다.
물론, 단위 블록화되는 기본 조립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일반 블록들의 연결관계도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로봇 조립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 및 숙련도에 따라, 적절한 난이도의 실험 세트의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이해도가 점차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조립된 로봇이 전자 블록을 이용한 기본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기본 조립체가 전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로봇조립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기본적인 전자 회로의 소자 및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전자 회로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켜 교육적 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로봇조립에 관한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사용자의 습득 정도를 고려하여 다음 단계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로봇조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각 단계에서 조립된 로봇의 동작 여부를 별도로 검증하고,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참조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로봇조립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교육적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전용 단말기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과제 및 문제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이해도를 테스트해 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교육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
100 : 로봇 조립 서비스 구조체 120 : 사용자 인증부
130 : 회로 정보 제공부 140 : 조립정보 제공부
150 : 최종조립체 정보제공부 160 :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

Claims (14)

  1.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 및 숙련도에 따라 복수의 실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에 따른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회로정보 제공부;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회로 지식에 대하여 사용자가 숙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립정보 제공부; 및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조립체가 완성되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최종 조립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상기 실험 세트들이 포함하는 전자회로도의 회로 구성의 복잡성에 따라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의 순서에 따라 낮은 난이도의 실험 세트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최종 조립체가 완성되어 동작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전자회로에 대한 이해도를 테스트하기 위한 과제 및 문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 및 문제 정보 제공부에서 제공하는 상기 과제는상기 최종 조립체가 포함하는 전자회로의 구성을 변경하여 출력의 내용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문제는 특정한 출력을 얻기 위해 변경해야하는 회로 구성에 대한 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제는 전자회로 구성 중 저항값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문제는 특정한 출력을 얻기 위해 변경해야하는 저항값에 대한 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세트들은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 순으로 상기 난이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1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새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조립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스위치, 마일러 콘덴서(0.1㎌, 0.047㎌), 광센서(CdS), 트랜지스터(D227), 입력 트랜스(IPT), 출력 트랜스(OPT), 전해 콘덴서, 저항(4.7kΩ, 10kΩ), 스피커, 모터 및 모터드라이브 보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조립 서비스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2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나팔소리를 스피커로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전원스위치, 전해콘덴서(100㎌), 누름스위치, 저항(4.7kΩ, 10kΩ, 5.1kΩ, 5.6kΩ), 마일러 콘덴서(0.1㎌, 0.047㎌), 적외선 센서, 집적회로(IC 555), 및 스피커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조립 서비스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3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바이올린 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하고,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스위치, 트랜지스터(D227), 멜로디IC, 전해콘덴서(10㎌), 적외선 센서, 저항(4.7kΩ), 가변저항(10kΩ), 스피커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조립 서비스 시스템.
  11. 사용자의 억세스(access)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요구 및 숙련도에 따라 복수의 실험 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에 따라 회로정보 제공부가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회로 지식에 대하여 사용자가 숙지한 경우, 조립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소자에 대응되는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 회로도에 대응되는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블록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블록 연결구조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본 조립체가 완성되어 동작하는 경우, 최종 조립체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전자 블록 및 일반 블록을 이용한 최종 조립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상기 실험 세트들이 포함하는 전자회로도의 회로 구성의 복잡성에 따라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의 순서에 따라 낮은 난이도의 실험 세트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실험 세트들은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험 세트, 제2 실험 세트 및 제3 실험 세트 순으로 상기 난이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에서 상기 제1 실험 세트를 선택한 경우, 상기 회로정보 제공부는 새소리를 스피커로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 및 이를 위한 전자 회로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소자에 관한 정보는 스위치, 마일러 콘덴서(0.1㎌, 0.047㎌), 광센서(CdS), 트랜지스터(D227), 입력 트랜스(IPT), 출력 트랜스(OPT), 전해 콘덴서, 저항(4.7kΩ, 10kΩ), 스피커, 모터 및 모터드라이브 보드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조립 서비스 방법.
KR1020130045867A 2013-04-25 2013-04-25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7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67A KR20140127492A (ko) 2013-04-25 2013-04-25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867A KR20140127492A (ko) 2013-04-25 2013-04-25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492A true KR20140127492A (ko) 2014-11-04

Family

ID=5245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867A KR20140127492A (ko) 2013-04-25 2013-04-25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74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88A1 (ko) * 2016-03-03 2017-09-08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KR20180001038U (ko) * 2016-10-06 2018-04-16 김기완 조립 가능한 교육용 이동 로봇
CN109859586A (zh) * 2019-03-12 2019-06-07 冯涛 一种全电子化的电路实验教学方法和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88A1 (ko) * 2016-03-03 2017-09-08 전석주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전자블록 시스템
US10585649B2 (en) 2016-03-03 2020-03-10 Seok Ju CHUN Electronic block kit system for scratch programming
KR20180001038U (ko) * 2016-10-06 2018-04-16 김기완 조립 가능한 교육용 이동 로봇
CN109859586A (zh) * 2019-03-12 2019-06-07 冯涛 一种全电子化的电路实验教学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nzi et al. Getting started with Arduino
US20180212358A1 (en)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Serrano Pérez et al. An ultra‐low cost line follower robot as educational tool for teaching programming and circuit's foundations
US10890897B2 (en) Assembly of a modular structure
RU2336560C2 (ru) Диалоговое управление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060031058A1 (en) Virtual model generation via physical components
CN101290508B (zh) 自动创建软件接口的系统
Wu et al. Proxino: enabling prototyping of virtual circuits with physical proxies
US1130160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totyping virtual circuits with physical proxies
KR20200076169A (ko) 놀이 컨텐츠를 추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7507759A (ja) ブロック玩具
KR20140127492A (ko)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evine et al. Plug-and-play physical computing with Jacdac
Rossmy et al. COMB--Shape as a Meaningful Element of Interaction
Williams Microcontroller projects using the Basic Stamp
KR101506906B1 (ko) 창의력 증진을 위한 교육용 전자블록 키트
KR101502270B1 (ko) 교육용 보드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17922B1 (ko) 조립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모듈 어셈블리
KR101287002B1 (ko) 교육용 로봇조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4556457A (zh) 电路仿真方法、用于实现系统和模拟部件
Suriyaarachchi et al. Primary school students programming with real-time environmental sensor data
KR102479950B1 (ko) Ar을 통한 모듈 조립이 가능한 코딩 교육용 시스템
KR102463835B1 (ko) 미션 해결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코딩 교육용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734Y1 (ko) 교육용 회로실습장치와 원격제어가 가능한 회로실습시스템
KR20050018894A (ko) 전자상거래에서의 조립 구성품에 대한 시뮬레이션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