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988A - 얼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얼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988A
KR20140126988A KR1020130045390A KR20130045390A KR20140126988A KR 20140126988 A KR20140126988 A KR 20140126988A KR 1020130045390 A KR1020130045390 A KR 1020130045390A KR 20130045390 A KR20130045390 A KR 20130045390A KR 20140126988 A KR20140126988 A KR 20140126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case
bypas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8913B1 (ko
Inventor
정휘동
김필규
유장현
허성환
문창모
Original Assignee
정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휘동 filed Critical 정휘동
Priority to KR2013004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91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물을 냉각하거나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 유닛, 및 제빙 유닛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를 포함하며, 얼음 저장고는,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어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케이스의 외부로 안내하는 얼음 배출구, 및 얼음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얼음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시킬 수 있어, 수위 감지 센서 또는 정수 급수 밸브의 고장 등의 경우에 얼음 배출구를 통해 얼음 공급 장치의 외부로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얼음 공급 장치{ICE-MAKING DEVICE}
본 발명은 얼음 배출구를 통해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얼음 정수기는 필터부, 필터부에서 정수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탱크, 얼음 또는 냉수를 제조하는 제빙 유닛과,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를, 제빙 유닛에서 제빙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로 안내하는 안내 그릴, 그리고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 탱크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얼음이나 냉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또한, 얼음 냉온수기는 얼음 정수기와 비교하여 필터부와 정수 탱크를 대신하여 정수통을 구비하는 차이점을 가지나, 나머지 구성은 얼음 정수기와 동일하게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얼음이나 냉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얼음 정수기, 얼음 냉온수기 등의 얼음 공급 장치에서는 제빙 유닛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고, 얼음의 배출 신호가 입력되면 얼음 이송 부재를 통해 얼음을 얼음 배출구로 이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냉수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나, 냉수 탱크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급수 밸브 등이 불량하여 냉수 탱크의 수위가 조절되지 못하면, 냉수 탱크의 수위가 증가하여 냉수 탱크의 물이 얼음 저장고로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냉수 탱크로부터 얼음 저장고로 유입된 물이 얼음 저장고의 얼음 배출구를 통해 얼음 공급 장치의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얼음 배출구의 냉기에 의하여 얼음 배출구 주변에서 결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로 현상에 의하여 생성된 물이 얼음 공급 장치의 외부로 흘러내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얼음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을 얼음 공급 장치의 케이스 내부로 우회시켜 얼음 배출구를 통해 얼음 공급 장치의 외부로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된 물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얼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된 물을 제거할 수 있는 얼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로 소정량 이상의 물이 유입되면 얼음 공급 장치로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할 수 있는 얼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물을 냉각하거나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 유닛, 및 제빙 유닛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를 포함하며, 얼음 저장고는,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어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케이스의 외부로 안내하는 얼음 배출구, 및 얼음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이패스 유로는, 배출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우회 슬롯, 및 우회 슬롯에 대응하여 얼음 저장고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우회 슬롯을 통과한 물을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내 브라켓은, 외관을 형성하는 브라켓 본체, 및 브라켓 본체에 형성되며,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되어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는, 그 바닥면에 마련되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안내 브라켓은,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리세스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제빙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안내된 물은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케이스의 바닥면에 물이 차오름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원수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수 차단 밸브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원수가 유출되는 유출구, 및 케이스의 바닥면에 차오른 물에 의해 상승하여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얼음 저장고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빙 유닛에서 냉각된 물이 저장되는 냉수 탱크를 더 포함하며, 얼음 저장고는, 그 바닥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녹아서 생성된 물을 냉수 탱크로 안내하는 물 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번째,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얼음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시킬 수 있어, 수위 감지 센서 또는 정수 급수 밸브의 고장 등의 경우에 얼음 배출구를 통해 얼음 공급 장치의 외부로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번째, 케이스의 내부에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되는 안내 브라켓을 마련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에 의해 우회된 물을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된 물이 케이스의 내부에 무작위로 유입되어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번째, 케이스의 바닥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리세스를 마련하고 바이패스 유로에 의해 우회된 물을 리세스에 우선적으로 유입시킴으로써, 바이패스 유로에 의해 우회된 물이 케이스의 내부에 차올라 부품들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네번째, 바이패스 유로에 의해 우회된 물을 압축기에서 발산되는 열을 통해 증발시킬 수 있으므로, 바이패스 유로에 의해 우회된 물이 케이스의 내부에 차올라 부품들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케이스의 내부에 물이 차오름에 따라 원수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원수 차단 밸브를 마련함으로써, 케이스의 내부에 소정량 이상의 물이 차오를 시에 케이스의 내부로 추가적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의 구성하는 얼음 저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안내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에 있어서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와 원수 차단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 물을 냉각하거나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 유닛(100) 및 제빙 유닛(100)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200)를 포함하며, 얼음 저장고(200)는, 케이스(20)의 외부와 연통되어 얼음 저장고(200)에 저장된 얼음을 케이스(20)의 외부로 안내하는 얼음 배출구(220), 및 얼음 배출구(220)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20)의 내부로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유로(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10)는 얼음 정수기, 얼음 냉온수기, 및 냉장고 기타 얼음을 제빙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1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스(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공급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공간은 이너 케이스(30) 및 기계실(40)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이너 케이스(30)는 케이스(20) 내부의 상부영역에 배치되며 그 외측면에 발포 수지층(32)이 형성되어 단열공간을 제공하고, 기계실(40)은 케이스(20) 내부의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제빙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30) 내부의 상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을 냉각하거나 제빙하는 부재로서 후술할 냉수 탱크(4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냉수를 생성하거나 얼음을 제빙할 수 있다.
또한, 제빙 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빙 유닛(100)은 침지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얼음 저장고(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유닛(1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빙 유닛(100)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얼음 저장고(200)는 제빙 유닛(100)에서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 용기(210), 얼음 저장 용기(210)에 저장된 얼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얼음 배출구(220), 그리고 얼음 저장 용기(210)에 저장된 얼음을 배출구를 향해 이송하는 얼음 이송 부재(230), 얼음 배출구(2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아이스 도어(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 저장 용기(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을 공급받기 위하여 상면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제빙 유닛(100)에서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기 위한 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얼음 저장 용기(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얼음 저장 용기(210)에 저장된 얼음이 녹아서 생성된 물을 후술할 냉수 탱크(400)로 안내하는 물 배출공(212)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 배출구(2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 용기(210) 전단의 하부에 마련되어 케이스(2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으며, 후술할 얼음 이송 부재(230)에 의하여 이송된 얼음이 케이스(2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얼음 이송 부재(230)는 얼음 저장 용기(210)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 배출구(220)를 향해 이송하며, 이를 위하여 모터(232), 회전축(234), 및 스크류(2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3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고(200)의 전면에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회전축(234)에 전달한다. 회전축(234)은 모터(232)와 축 결합되며, 스크류(236)는 회전축(234)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모터(232)가 구동되면 스크류(236)가 회전하면서 얼음 저장 용기(210)에 저장된 얼음을 얼음 배출구(220)를 향해 이송한다.
아이스 도어(2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배출구(2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얼음 배출구(220)와 인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얼음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아이스 도어(240)는 얼음 저장고(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스탭핑 모터(242)와 결합되어, 스탭핑 모터(242)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안내 그릴(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 유닛(100)과 얼음 저장고(200) 사이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제빙 유닛(100)으로부터 탈빙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200)로 안내한다. 여기서, 안내 그릴(300)은 상부 플레이트(310) 및 하부 플레이트(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10)는 얼음 저장고(200)를 향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제빙 유닛(100)에서 탈빙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200)로 안내한다. 여기서, 상부 플레이트(310)는 제빙 유닛(100)에서 생성된 냉수가 얼음 저장고(200)로 안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얼음은 통과시키지 않고 물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20)의 격자 구조를 통과한 물을 냉수 탱크(400)로 안내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3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 그릴(300)은 상부 플레이트(310)를 통해 제빙 유닛(100)에서 제빙된 얼음을 얼음 저장고(200)의 얼음 저장 용기(210)로 안내하고, 제빙 유닛(100)에서 냉각된 냉수는 냉수 탱크(400)로 안내할 수 있다.
냉수 탱크(400)는 안내 그릴(3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제빙 유닛(100)에 공급할 물, 제빙 유닛(100)에서 냉각되어 돌아온 물, 얼음 저장고(200)의 물 배출공(212)을 통해 유입된 물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냉수 탱크(400)는 정수 탱크와 정수 급수 밸브(미도시)에 의해 연결되어 정수 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순환 펌프(410)를 통해 제빙 유빙에 얼음 또는 냉수의 생성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바이패스 유로(250), 우회 슬롯(252), 우회 관(254), 안내 브라켓(500), 압축기(600), 원수 차단 밸브(700), 온수 탱크(800) 등이다.
여기서, 온수 탱크(800)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그 외의 바이패스 유로(250), 우회 슬롯(252), 우회 관(254), 안내 브라켓(500), 압축기(600), 원수 차단 밸브(700)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의 구성하는 얼음 저장고의 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얼음 저장고(200)에 마련되는 바이패스 유로(2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30)의 내부에 제빙 유닛(100), 얼음 저장고(200), 안내 그릴(300), 및 냉수 탱크(400) 등이 설치됨에 따라, 얼음 토출 신호가 입력되면 얼음 배출구(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얼음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냉수 탱크(400)의 수위 감지 센서(420) 또는 정수 급수 밸브(미도시)의 불량으로 인해 냉수 탱크(400)에 물의 수위가 증가하면, 얼음 저장고(200)의 물 배출공(212)이나 개구된 상면으로 냉수 탱크(400)의 물이 얼음 저장고(200)로 유입되면서 얼음 배출구(220)를 통해 케이스(20)의 외부로 넘칠 수 있다.
또한, 얼음 배출구(220)의 냉기에 의하여 얼음 배출구(220) 주변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얼음 배출구(220)를 통해 물이 흘러내리 수 있다. 즉, 얼음 배출구(220)를 통해 얼음뿐만 아니라 물이 유출되어 제품의 외부로 흘러내릴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10)는, 얼음 배출구(220)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20)의 내부로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패스 유로(250)는 얼음 배출구(220)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얼음 배출구(220)를 통과하는 물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우회 슬롯(252), 및 우회 슬롯(252)에 대응하여 얼음 저장고(200)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우회 슬롯(252)을 통과한 물을 케이스(20)의 외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관(2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우회 슬롯(25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구(220)의 경로 상에 형성되며, 얼음 저장 용기(210)에 저장되는 얼음의 크기를 고려하여 얼음은 유입되지 않고 물만을 선택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얼음 배출구(220)에 형성되는 우회 슬롯(252)의 갯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우회 슬롯(252)이 형성될 수 있다.
우회 관(25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 슬롯(252)과 연통되도록 얼음 저장고(200)의 외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얼음 배출구(220)의 저면에 형성되어 얼음 저장고(200)의 후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우회 관(254)은 케이스(2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1 참조).
여기서, 우회 관(25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후술할 안내 브라켓(500)의 결합 돌기(5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각진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얼음 저장고(200)에 바이패스 유로(250)가 마련됨에 따라, 우회 슬롯(252) 및 우회 관(254)을 통해 얼음 배출구(220)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20)의 내부로 우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얼음 배출구(220)를 통해 얼음 공급 장치(10)의 외부로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안내 브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에 있어서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안내 브라켓(5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바이패스 유로(250)을 통해 얼음 배출구(220)를 통과하는 물을 케이스(20)의 내부로 우회시킬 수 있지만, 케이스(20) 내부의 하부영역에는 각종의 부품들이 설치되는 기계실(40)이 마련되므로, 바이패스 유로(250)를 통해 기계실(40)로 무작위로 물이 유입되어 기계실(40)에 설치된 각종의 부품들을 훼손시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10)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마련되고, 바이패스 유로(250)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케이스(20)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 브라켓(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브라켓(5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브라켓 본체(510), 브라켓 본체(510)에 형성되며, 바이패스 유로(250)와 연결되어 바이패스 유로(250)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케이스(20)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홈(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본체(510)는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고(200)의 우회 관(254) 및 발포 수지층(32)에 대응하여 절곡된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본체(510)의 상부(510a)는 수평면을, 하부(510b)는 수직면을, 중간부(510c)는 절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브라켓 본체(51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회 관(254)과 발포 수지층(32)의 형상, 및 바이패스 유로(250)로부터 전달받은 물이 최종적으로 안내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510)의 일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510)를 기계실(40)의 내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플레이트(51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플레이트(512) 나사 결합을 위한 복수의 고정홀(51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홀(512a)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512)를 기계실(40)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510)의 상부(510a)가 얼음 저장고(200)의 우회 관(254)과 접하고, 브라켓 본체(510)의 하부(510b)가 기계실(40)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안내 브라켓(500)을 기계실(40)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510)의 상부(510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결합 돌기(5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결합 돌기(514)는 그 사이에 우회 관(254)을 끼울 수 있도록 우회 관(254)의 폭과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결합 돌기(514) 사이에 우회 관(254)을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우회 관(254)과 후술할 안내 브라켓(500)의 안내 홈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본체(510)의 하부(510b)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5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홀(516)은 리세스(42)에 고인 물을 후술할 원수 차단 밸브(700)로 안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안내홈(5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본체(510)의 상부(510a)로부터 하부(510b)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결합 돌기(514) 사이 영역으로부터 시작되어 기계실(40)의 바닥면과 접하는 브라켓 본체(510)의 최하단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안내 브라켓(500)을 기계실(40)에 설치하면 안내홈(520)과 우회 관(254)이 연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배출구(220)를 통과하는 물은 우회 슬롯(252)을 통해 우회 관(254)으로 유입하고, 우회 관(254)으로 유입된 물은 우회 관(254)과 연결된 안내홈(520)을 통해 이동하면서 기계실(40)의 바닥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런데, 기계실(40)에 바닥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리세스(42)가 마련되므로, 기계실(40)의 바닥면으로 안내된 물은 최종적으로 리세스(42)에 고이게 된다. 그 결과, 바이패스 유로(250)에 의해 우회된 물을 리세스(42)로 모을 수 있어, 바이패스 유로(250)에 의해 우회된 물에 의해 기계실(40)의 각종의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와 원수 차단 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압축기(600) 또는 원수 차단 밸브(700)를 이용하여 케이스(20)의 내부로 우회된 물을 제거하거나 얼음공급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원수 공급을 차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유로(250)와 안내 브라켓(500)에 의하여 얼음 배출구(220)를 통과하던 물은 기계실(40)의 리세스(42)에 고이게 되는바, 얼음 공급 장치(10)의 안전을 위하여 리세스(42)에 고인 물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10)는 케이스(20)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제빙 유닛(100)으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바닥면, 보다 구체적으로 기계실(40)의 리세스(42)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빙 유닛(100)의 증발기(미도시)로부터 저온 저압 상태의 기체 냉매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 상태의 기체 냉매로 토출한다.
즉, 얼음 공급 장치(10)의 냉매 사이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므로, 압축기(600)의 구동 시에는 발열이 수반된다. 따라서, 리세스(42)에 압축기(600)를 마련함으로써 압축기(600)에서 발산되는 열로 리세스(42)에 고인 물을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600)에 발산되는 열을 이용하여 리세스(42)에 고인 물을 제거하더라도 리세스(42)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수인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리세스(42)를 넘어 기계실(40) 내부로 물이 차올라 기계실(40)에 설치된 부품들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공급 장치(10)는 케이스(20)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케이스(20)의 바닥면에 물이 차오름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원수 차단 밸브(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712), 원수가 유출되는 유출구(714), 및 케이스(20)의 바닥면에 차오른 물에 의해 상승하여 유입구(712)와 유출구(714)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는 부력 부재(716)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 차단 밸브(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42)와 인접하여 기계실(40)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기계실(40)의 바닥면과 접하도록 그 하부에 마련되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부력에 의하여 상승함으로써 원수 차단 밸브(700)의 유입구(712)와 유출구(714) 사이의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부력 부재(716)를 가진다. 이러한 원수 차단 밸브(70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239324에서 공지된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원수 차단 밸브(700)가 마련됨에 따라, 기계실(40)의 리세스(42)를 넘어서 안내 브라켓(500)의 관통홀(516)을 지나 원수 차단 밸브(700)로 유입되면, 차오른 물에 의해 상승한 부력 부재(716)가 원수 차단 밸브(700)의 유입구(712)와 유출구(714) 사이의 유로가 차단함으로써, 얼음 공급 장치(10)로 원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정수 및 냉수의 추가적인 생성이 정지되어 얼음 배출구(220)를 통해 물이 추가적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기계실(40)로 물이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기계실(40)에 차오른 물에 의해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실(40)의 바닥면에 원수 차단 밸브(700)가 장착되기 위한 밸브 홈과, 리세스(42)와 밸브 홈을 연결하는 연결 수로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수 차단 밸브(700)를 밸브 홈에 장착하면 밸브 홈의 깊이만큼 부력 부재(716)로 물의 유입이 시작되는 리세스(42)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어, 얼음 공급 장치(10)에 공급되는 원수를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어 차오른 물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얼음 공급 장치 20 : 케이스
30 : 이너 케이스 40 : 기계실
42 : 리세스 100 : 제빙 유닛
200 : 얼음 저장고 210 : 얼음 저장 용기
220 : 얼음 배출구 230 : 얼음 이송 부재
240 : 아이스 도어 250 : 바이패스 유로
300 : 아이스 그릴 400 : 냉수 탱크
500 : 안내 브라켓 510 : 브라켓 본체
520 : 안내홈 600 : 압축기
700 : 원수 차단 밸브

Claims (9)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물을 냉각하거나 얼음을 제빙하는 제빙 유닛; 및
    상기 제빙 유닛에서 제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를 포함하며,
    상기 얼음 저장고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안내하는 얼음 배출구; 및
    상기 얼음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배출구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물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우회 슬롯; 및
    상기 우회 슬롯에 대응하여 상기 얼음 저장고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우회 슬롯을 통과한 물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우회시키는 우회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브라켓은,
    외관을 형성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안내하는 안내홈(5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바닥면에 마련되고,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 브라켓은,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상기 리세스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빙유닛으로부터 전달받은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으로 안내된 물은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증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물이 차오름에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원수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차단 밸브는,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원수가 유출되는 유출구, 및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차오른 물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고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빙 유닛에서 냉각된 물이 저장되는 냉수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얼음 저장고는,
    그 바닥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이 녹아서 생성된 물을 상기 냉수 탱크로 안내하는 물 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공급 장치.
KR20130045390A 2013-04-24 2013-04-24 얼음 공급 장치 KR10148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390A KR101488913B1 (ko) 2013-04-24 2013-04-24 얼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390A KR101488913B1 (ko) 2013-04-24 2013-04-24 얼음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88A true KR20140126988A (ko) 2014-11-03
KR101488913B1 KR101488913B1 (ko) 2015-02-02

Family

ID=5245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390A KR101488913B1 (ko) 2013-04-24 2013-04-24 얼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361A (ko) * 2016-09-08 2018-03-16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8242A1 (ko) * 2016-09-08 2018-03-15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KR101936748B1 (ko) * 2017-06-23 2019-04-09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43809B1 (ko) * 2020-12-31 2024-03-06 주식회사 현진금속 디스펜서형 제빙기의 저빙고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7750A (ja) 2010-12-01 2012-06-21 Hoshizaki Electric Co Ltd 氷放出路
JP5591678B2 (ja) 2010-12-15 2014-09-17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貯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361A (ko) * 2016-09-08 2018-03-16 코웨이 주식회사 제빙기
US10955180B2 (en) 2016-09-08 2021-03-23 Coway Co., Ltd Ice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913B1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700B1 (ko) 두 개의 물받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KR102051672B1 (ko) 제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08550B1 (ko) 제빙 장치
KR101488913B1 (ko) 얼음 공급 장치
CN102221276B (zh) 一种用于冰箱的制冰装置和具有其的冰箱
KR20080006427U (ko)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온수 공급기
KR101826875B1 (ko) 얼음저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장치
US2021013172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purifier
KR100846890B1 (ko) 제빙 시스템 및 제빙 방법
KR101443984B1 (ko) 얼음 정수기
KR101507037B1 (ko) 제빙기의 함체
KR20120105662A (ko) 냉수 및 얼음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30013475A (ko) 제빙 자화 육각 정수기
KR20140144575A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60012253A (ko) 냉수공급장치
KR20200078898A (ko) 먹는 물 공급기용 직냉장치
KR10151987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춘 냉장고
CN112460869B (zh) 制冰机的管路系统
KR20080061179A (ko) 제빙 장치 및 제빙 방법
KR102649978B1 (ko) 정수기의 제어 방법
WO2020143628A1 (en) Refrigerator appliance having an ice making assembly
US9506684B2 (en) Refrigerator appliance
RU2562947C2 (ru)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систему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фильтрующий картридж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KR101665138B1 (ko) 얼음정수기용 취수장치
WO2019192158A1 (zh) 净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