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957A -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957A
KR20140126957A KR1020130045287A KR20130045287A KR20140126957A KR 20140126957 A KR20140126957 A KR 20140126957A KR 1020130045287 A KR1020130045287 A KR 1020130045287A KR 20130045287 A KR20130045287 A KR 20130045287A KR 20140126957 A KR20140126957 A KR 20140126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smartphone
information
amount
exercis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디자인
Priority to KR1020130045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957A/ko
Priority to PCT/KR2014/003332 priority patent/WO2014175597A1/ko
Publication of KR2014012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0Athl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12Healthy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bjects of a marketing surv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ometry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장치가 내장된 스텝 운동장치와;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하루 운동량을 설정하는 운동량 입력 화면과 내장된 진동자 또는 가속계로 실제 운동량의 측정하여 상기 하루 운동량의 초과 달성 또는 부족량을 출력하는 출력 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력화면의 출력 정보를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매일 미리 설정된 일일 운동량의 달성 여부를 파악하고 부족한 운동량은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하루 운동량에 대한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데이터로 처리하며, 이를 하루 일일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정보값으로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운동을 유도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Smart stpe training device for achievement 10000 step per day}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장치가 내장된 스텝 운동장치와;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하루 운동량을 설정하는 운동량 입력 화면과 내장된 진동자 또는 가속계로 실제 운동량의 측정하여 상기 하루 운동량의 초과 달성 또는 부족량을 출력하는 출력 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력화면의 출력 정보를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매일 미리 설정된 일일 운동량의 달성 여부를 파악하고 부족한 운동량은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는 진동자 또는 가속 센서가 내장되어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만보기로 활용하게 해주는 만보기 어플리케이션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만보기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다양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선출원 특허 10-2010-0023868에서는 휴대폰 케이스에 만보기 정보를 출력시키고 있으며, 선출원 특허 10-2011-0074732에서는 운동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 아바타를 성장시켜 운동 동기를 유발시킨다.
한편, 선출원 특허 10-2010-0047333에서는 운동패턴 분석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산출장치를 개시하여 3차원 가속 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의 운동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분석하는 장치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방식들은 자기의 운동에 관한 결과값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며, 보다 적극적인 운동의 유도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방식에 의하면 사용자의 하루 운동량에 대한 분석과 그 결과값을 누적하여 데이터로 처리하는 등의 자료만을 생산하는데 그치고, 상기 산출된 정보값으로 적극적인 하루 일일 운동량을 실시하도록 유도하기에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하루 운동량에 대한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데이터로 처리하며, 이를 하루 일일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정보값으로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운동을 유도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장치가 내장된 스텝 운동장치와;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하루 운동량을 설정하는 운동량 입력 화면과 내장된 진동자 또는 가속계로 실제 운동량의 측정하여 상기 하루 운동량의 초과 달성 또는 부족량을 출력하는 출력 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력화면의 출력 정보를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매일 미리 설정된 일일 운동량의 달성 여부를 파악하고 부족한 운동량은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실제 운동량을 동작 횟수와 칼로리 소모량 정보로 해석하여 출력시키며, 운동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제 운동량에 따른 건강 상식을 출력하는 바이오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부족한 운동을 보충시키는 운동이 개시될 경우에 음원 또는 화상 정보로 운동 방법, 음악, 운동 부위와 몸매의 상관 관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여 스텝 운동장치의 사용을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의 하루 운동량에 대한 분석하여 그 결과값을 데이터로 처리하며, 이를 하루 일일 운동량을 달성할 수 있는 정보값으로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운동을 유도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초기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만보기 출력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결과값 출력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스템 운동장치 안내정보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스템 운동장치 안내정보화면에 따른 운동방법 동영상 출력화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초기 화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만보기 출력화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결과값 출력화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스템 운동장치 안내정보화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스템 운동장치 안내정보화면에 따른 운동방법 동영상 출력화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10)과 스텝 운동장치(20)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11, 12, 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텝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운동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행 운동장치인 런닝 머신, 스탭퍼, 또는 리듬 운동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과 스탭 운동장치 사이에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장치를 형성시킨다.
상기 전송장치는 상기 스텝 운동장치에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스텝 운동장치의 제어부로 연결시켜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형성시킨다.
상기 스마트폰에는 도 2와 같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는데,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도 3과 같은 만보기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하루 운동량을 설정하는 운동량 입력 화면과 내장된 진동자 또는 가속계로 하루 일과 중의 실제 운동량의 측정하여 그 결과값을 도 4와 같이 출력화면과 스텝 운동장치로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결과값을 상기 전송장치로 스텝 운동장치로 전송하는데, 상기 스텝 운동장치에도 상기 스마트폰에서 전송되어 온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 화면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텝 운동장치와 스마트폰에서는 매일 미리 설정된 일일 운동량의 달성 여부를 분석하고, 그 결과값을 출력하며 운동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스텝 운동장치에서 부족한 운동량 만큼의 운동이 실행되도록 안내시킨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음악과 운동 프로그램을 출력시키면서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실행하는 실제 운동량을 동작 횟수와 칼로리 소모량 정보로 해석하여 출력시키며, 운동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운동량에 따른 건강 상식을 바이오 피드백 정보로 출력시킨다.
즉,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부족한 운동을 보충시키는 운동이 개시될 경우에 음원 또는 화상 정보로 운동 방법을 안내한다.
특히,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착용 부위별 화상 정보 및 운동 정보를 출력하면서, 음악과 함께 운동 부위와 몸매의 상관 관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여 스텝 운동장치의 사용을 시청각 장치로 적극 유도하여 매일 규칙적인 운동이 실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화상 정보 및 운동 정보는 스마트폰과 연결된 서버를 통하여 갱신할 수 있게 하여, 새로운 운동 방법으로 사용자의 지속적인 흥미가 발생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장착 부위별로 다른 운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자세하게는, 허리, 허벅지, 엉덩이, 팔뚝, 근력운동에 관한 구분된 운동 방법이 화상과 함께 제공하고 실제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효과를 이미지로 출력시켜 사용자의 운동 의지를 고양시키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스마트폰 20 : 스텝 운동장치

Claims (3)

  1. 스마트폰과;
    상기 스마트폰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장치가 내장된 스텝 운동장치와;
    상기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하루 운동량을 설정하는 운동량 입력 화면과 내장된 진동자 또는 가속계로 실제 운동량의 측정하여 상기 하루 운동량의 초과 달성 또는 부족량을 출력하는 출력 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출력화면의 출력 정보를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전송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매일 미리 설정된 일일 운동량의 달성 여부를 파악하고 부족한 운동량은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실제 운동량을 동작 횟수와 칼로리 소모량 정보로 해석하여 출력시키며, 운동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제 운동량에 따른 건강 상식을 출력하는 바이오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텝 운동장치로 부족한 운동을 보충시키는 운동이 개시될 경우에 음원 또는 화상 정보로 운동 방법, 음악, 운동 부위와 몸매의 상관 관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여 스텝 운동장치의 사용을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
KR1020130045287A 2013-04-24 2013-04-24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KR20140126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287A KR20140126957A (ko) 2013-04-24 2013-04-24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PCT/KR2014/003332 WO2014175597A1 (ko) 2013-04-24 2014-04-17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287A KR20140126957A (ko) 2013-04-24 2013-04-24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57A true KR20140126957A (ko) 2014-11-03

Family

ID=5179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287A KR20140126957A (ko) 2013-04-24 2013-04-24 만보달성을 목표로 하는 보조용 트위스트 운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26957A (ko)
WO (1) WO20141755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505A (ko)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지오아이티 핸드센서 및 밸런스보드를 이용한 홈 휘트니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5376A (zh) * 2016-07-29 2016-12-14 芜湖广盈实业有限公司 一种智能健身器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905B1 (ko) * 2004-01-20 2006-05-12 박기철 접시형 운동기구
KR100784926B1 (ko) * 2005-06-21 2007-12-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 운동장치
KR200429842Y1 (ko) * 2006-08-07 2006-10-27 주식회사 리디자인 댄싱 트위스트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505A (ko) 2017-10-24 2019-05-03 주식회사 지오아이티 핸드센서 및 밸런스보드를 이용한 홈 휘트니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5597A1 (ko)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304B2 (en) Foot exercise motion analysis device during moving exercise
US11134893B2 (en) Limb movement gesture judgment method and device
US11321894B2 (en) Motion control via an article of clothing
KR20210010989A (ko) 수영하는 사람의 동작의 퍼포먼스 메트릭을 공식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5896240B2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US202001050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aring two motions
US11210834B1 (en) Article of clothing facilitating capture of motions
US20170221379A1 (en) Information terminal, motion evaluating system, motion evalua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085692B2 (en) Exercise support device, exercise suppor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exercise support program stored therein
KR102564269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367801B1 (ko) 손가락 재활 운동 장치 및 재활 운동 보조 방법
JP2015501700A5 (ko)
JP7209363B2 (ja) スタビリティ評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11426099B2 (en) Mobile device avatar generation for biofeedback to customize movement control
US20180015327A1 (e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ensors
US201802721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athing and core muscle training
US20220101588A1 (en) Techniques for establishing biomechanical model through motion capture
GB2588261A (en) Apparatus, use of the apparatus and arrangement
WO2016157217A3 (en) Technological device to assist user in workouts and healthy living
KR101880198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3076002A (zh) 基于多部位动作识别的互联健身竞技系统及方法
KR20140133373A (ko) 사용자 운동 패턴을 이용한 모션 인식 기반의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2166A (ko) 이용자 모션 분석에 따른 가상 줄넘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
JP6241488B2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方法及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JP2015123216A (ja) 移動運動状態表示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