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531A -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531A
KR20140126531A KR20130044800A KR20130044800A KR20140126531A KR 20140126531 A KR20140126531 A KR 20140126531A KR 20130044800 A KR20130044800 A KR 20130044800A KR 20130044800 A KR20130044800 A KR 20130044800A KR 20140126531 A KR20140126531 A KR 2014012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iver
hours
surge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지웅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4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531A/ko
Publication of KR2014012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5Oxytocins; Vasopressins;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16Oxytocins; Vasopressins; Related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를리프레신 또는 테를리프레신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수술 후 합병증, 즉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테를리프레신 또는 테릴리프레신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간 절제수술 후의 간부전 또는 간이식 후 생길 수 있는 과소이식편 증후군의 치료 및 간 기능의 회복 또는 회복의 촉진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on for the treatment of posthepatectomy liver failure and disorder symptom comprising terlipressin or the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간 수술 후 합병증, 즉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수술 후의 간 기능 저하 또는 이상증의 치료 및 간 기능의 회복 또는 회복의 촉진에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많은 물질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장기이다. 생체조절계에 의해 간은 당 및 지질의 혈중 수치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여, 생체의 전체 조직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또한, 간은 많은 펩티드를 합성하여 혈중 및 조직에 내보내고 있다. 이와 같이, 간은 당 대사, 아미노산/단백질 대사, 지질 대사 등의 생체 신진 대사, 대사산물의 배출, 암모니아 등의 화학 물질 해독, 비타민류의 저장 등, 생명 유지에 매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간은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 순환계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들어온 생체 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일단 생체 내로 들어온 생체 외 물질이 간을 통과하는 까닭에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커서 그만큼 손상될 확률도 다른 장기에 비해 높다.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에도 충분히 정상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손상된 경우 간 조직의 일부가 파괴되면서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결합조직이 과다 축적되게 된다. 간 손상이 만성이 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결국에 간섬유화 및 간경화가 초래된다.
간섬유화 및 간경화는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과다섭취 또는 약물 섭취 등의 원인으로 발생되며, 사망율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 질환의 치료 요법은 약물 치료 이외에도, 에탄올 주입법, 초음파 소작법 또는 간동맥 색전술(hepatic artery embolization) 등의 내과적 처치가 실시되거나, 또는 간 적제술 또는 생체 간이식과 같은 외과적 처치가 실시되는 치료가 있다. 일반적으로 간 질환의 치료는 내과적 처치가 선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외과적 처치가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잔류성 간 기능이 유지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내과적 처치나 외과적 처치 후에 간 기능의 저하 또는 이상이 초래되는 경우가 많다.
외과적 수술기법의 발전으로 인하여 간암 등의 적응증에 간절제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량 간절제술 후 남은 간조직의 부피가 적어 생길 수 있는 간부전 (posthepatectomy liver failure, PHLF)을 초래할 수 있으며, 8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약 12%에서 간부전이 발생하였으며, 그로 인한 사망률은 65%나 된다고 한다 (Rahbari, N.N. et al., Annals of Surgical Oncology, 18(13), 3640-3649, 2011). 또한 간이식술은 말기 간질환 환자에게 널리 행하여지고 있으나, 이로 인해 이식편 공급의 부족을 초래하고 있어 분할 간이식이나 생체 공여 간이식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수혜자가 받는 간의 부피가 작은 경우 과소이식편 증후군 (small-for-size syndrome,SFSS)과 같은 간 기능 이상증의 위험이 있다.
과소이식편 증후군(SFSS)은 이식 후 1주일 안에 총 빌리루빈 증가, 혈액 응고 장애, 복수, 심한 경우 위장관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더욱 심한 경우에는 산혈증, 저혈당, 간성 뇌병증, 신부전까지도 생길 수 있다. 이식편의 크기가 작고 과역동 순환(hyperdynamic circulation)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경우 간재생에 문제가 생기고 간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간 기능 저하, 즉 간부전을 줄이기 위해 정상간의 경우 간조직의 25% 이상을 남기는 것이 중요하고 질병이 있는 경우나 고령에서는 그 이상을 남겨야 한다고 하며, 과소이식편 증후군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recipient standard liver volume의 35%이상 또는 graft-recipient weight ratio 0.8% 이상이 되어야 한다 (Clavien PA, P.H. et al., N Engl J Med,, 356, 1545-1559, 2007). 과소이식편 증후군(SFSS)은 이식 후 증가한 간문맥압으로 인해 전단응력(shear stress)이 증가하게 되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식 전 또는 후에 문맥정맥봉쇄(portal vein banding), 비장 동맥 색전술, 장간막 정맥 대정맥 문합(mesocaval shunt 혹은 portocaval shunt), 비장 절제 등의 침습적 시술을 사용하고 있다 (Salvatore Gruttadauria, D.P. et al., World J Gastroenterol, 16(40), 5011-5015, 2010)
그러나 수술 후 간 부피가 다시 증가하게 되어 문맥 혈류의 필요량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문맥 혈류량은 감소될 수 있으며, 션트 처치(Shunt procedure) 후에 자연적으로 션트(shunt)가 막혀야 하지만 일부에서는 션트(shunt)가 유지되어 필요한 만큼의 문맥 혈류량이 유지되지 않을 수도 있어 간의 허혈 손상이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또 다른 시술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비장절제술이나 비장동맥 색전술 후 봉합된 세균(encapsulated bacteria)에 의한 패혈증의 가능성도 있다.
특히, 생체 간이식의 경우, 제공자와 피이식자 쌍방에서 이식수술 후에 간 기능의 저하 또는 이상이 종종 관찰된다. 현재, 이러한 간 수술 이후의 간 기능 저하 또는 이상에 대하여, 영양 상태 관리 등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를 방지하지는 못하므로, 특히 간 수술 이후에 간 기능의 저하 또는 이상을 방지하거나 또는 줄일 수 있는 유효한 치료가 시급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간 수술 후 간 기능의 저하 또는 이상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는 약물은 정립되어 있지 않고 그 효과를 입증할 만한 환자-대조군에 대한 자료도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할 때,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또는 이상 증후군에 효과적인 약물 치료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또는 이상 증후군의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간경변증 환자의 간문맥 고혈압 약물 중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가 투여 시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또는 이상 증후군의 치료 효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간기능 이상 증후군의 치료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를리프레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간기능 이상 증후군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테를리프레신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간기능 이상 증후군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절제술 후 간부전 또는 간이식 후의 과소편이식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제로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사용하여 간 수술후 합병증을 막을 수 있으며, 과소편이식 증후군의 경우 침습적 방법에 비하여 필요로 하는 문맥혈류량을 테를리프레신 또는 복합제 투여량 조절로 용이하게 조절하고, 간문맥압의 조절로 간의 손상을 막아 간 기능 개선 및 회복을 촉진한다.
도 1은 대조군, 가짜 수술군(sham opration군), 실험군에서 쓰인 쥐의 개체수를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90% 부분 간절제술 전후의 쥐의 간에 대한 사진이다.
도 3은 Kaplan-Meier 생존 분석에 대한 결과이다.
도 4는 간 절제술 후 10분, 30분, 60분 24시간 후의 간문맥압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4a: 프로프라노놀군, 4b: 소마토스타틴군 , 4c: 테를리프레신군).
도 5는 간 절제술 후 1, 6, 24시간 생화학적 검사 수치의 변화 결과이다 (5a: AST의 변화, 5b: ALT의 변화, 5c: 총 빌리구빈의 변화).
도 6은 90% 부분 간 절제술 후 조직학적 변화 관찰에 대한 결과이다 ((1)small vacuolar transformation of the cytoplasm of hepatocytes (2)activated Kupffer cell (3)confluent necrosis (4)small cell necrosis (5)sinusoidal dilatation (6)eosinophilic globuli in the cytoplasm of hepatocytes)).
도 7은 각 군에서의 간 절제술 후 6시간, 24시간 후의 조직학적 변화를 점수화하여 나타낸 결과이다.
도 8은 각 군에서의 Ki-67 면역화학염색 결과이다 (M6=6시간 군, M24=24시간 군).
도 9는 수술 6시간, 24시간 후 대조군과 약물투여군의 Ki-67 염색결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 p<0.05).
도 10은 각 군에서 수술 후 6시간, 24시간 후 간조직의 TUNEL INDEX 결과이다 (M6=6시간 군, M24=24시간 군).
도 11은 수술 6시간, 24시간 후 대조군과 약물투여군의 TUNEL 염색 분석 결과이다 (* p<0.05).
도 12는 각 군에서 수술 후 6시간(12a)과 24시간(12b)에서 ET-1의 발현 결과이다 († : sham operation군과 비교(p<0.05)).
도 13은 각 군에서 수술 후 6시간(13a)과 24시간(13b)에서 eNOS의 발현 결과이다 († : sham operation군과 비교 (p<0.05)).
도 14는 각 군에서 수술 후 6시간(14a)과 24시간(14b)에서 HGF의 발현 결과이다 († : sham operation군과 비교 (p<0.05)).
도 15는 각 군에서 수술 후 6시간(15a)과 24시간(15b)에서 TGF-β1 수용체의 발현 결과이다 († : sham operation군과 비교(p<0.05)).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또는 이상증과 같은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간 수술 후 간 기능 이상 증후군, 즉 과소이식편 증후군에서 테를리프레신의 투여는 간문맥압을 조절하고, 간재생 후 문맥혈류량의 증가가 필요할 때에는 테를리프레신의 투여를 중단하여 간의 허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비침습적인 방법인 테를리프레신의 투여는 과소이식편 증후군에서 션트(shunt) 후 발생할 수 있는 문맥혈류 감소와 같은 부작용을 줄일 수 있고, 비장 절제와 같은 침습적 시술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들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테를리프레신의 복합제를 투여함으로 인하여 간문맥압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테를리프레신의 복합제는 알부민 또는 헤타스타치(hetastarch)와 같은 혈액량확장제, 아드레날린, 이뇨제 및 혈압수축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물을 함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거듭한 결과, 간수술 후 간 기능 저하의 저지, 간 기능 이상의 방지 또는 간재생 및 간 기능의 회복에 간문맥압 조절제인 테를리프레신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테를리프레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수술후 간 기능 저하 또는 이상 증후군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테를리프레신은 혈관을 수축시키는 호르몬인 바소프레신의 유도체이며 식도 정맥류 출혈에 지혈제로 사용되는 약물로, 본 발명의 일양태에 의하면, 간 절제술 이후 테를리프레신(50 ug/kg, 0.1ml, intravenous)은 장간막 혈관의 직접적이고 강력한 혈관 수축 작용을 통하여 간문맥류를 감소시겼으며, 90% 부분 간 절제술을 시행한 쥐에서 유의하게 생존율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테를리프레신(테를리프레신)의 염(salt)으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상기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수소, 황산, 황산수소나트륨, 인산, 탄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또는 개미산, 초산, 옥살산, 벤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글루콘산, 게스티스산, 푸마르산, 락토비온산, 살리실릭산, 또는 아세틸살리실릭산 (아스피린)과 같은 유기산과 함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의 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소듐, 포타슘 등의 알칼리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이들의 금속염을 형성하거나, 또는 암모늄 이온과 반응하여 또 다른 형태의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담체, 보조제 및 비히클을 포함하며 총괄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온 교환,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 여러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차단 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양모지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 기술을 포함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서 멸균 주사용 제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이 현탁액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 트윈 80)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본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될 수 있다. 멸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중의 멸균 주사용액 또는 현탁액(예, 1,3-부탄디올중의 용액)일 수 있다. 허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비히클 및 용매로는 만니톨, 물, 링겔 용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이 있다. 또한, 멸균 불휘발성 오일이 통상적으로 용매 또는 현탁화 매질로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합성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자극성이 적은 어떠한 불휘발성 오일도 사용할 수 있다. 올레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와 같은 지방산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 오일(예, 올리브유 또는 피마자유), 특히 이들의 폴리옥시에틸화된 것과 마찬가지로 주사 제제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캡슐, 정제 및 수성 현탁액 및 용액을 포함하여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어떠한 용량형으로도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흔히 사용되는 담체로는 락토즈 및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가 또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형으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유용한 희석제로는 락토즈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은 유화제 및 현탁화제와 배합된다. 필요한 경우, 감미제 및/또는 풍미제 및/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실온에서 고형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상인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경구 투여는 목적하는 치료가 국소 적용으로 접근이 용이한 부위 또는 기관과 관련이 있을 때 특히 유용하다.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약학적 조성물은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성분을 함유한 적합한 연고로 제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국소 투여하기 위한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유, 유동 파라핀, 백색 와셀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 왁스 및 물이 포함된다. 다른 방도로서, 약학적 조성물은 담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적합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제형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광유, 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솔베이트 60, 세틸 에스테르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카놀, 벤질 알코올 및 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또한 직장 좌제에 의해 또한 적합한 관장제로 하부 장관으로 국소 적용할 수 있다. 국소 적용된 경피 패치가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내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의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에 따라 제조하며 벤질 알코올 또는 다른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율을 증강시키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카본 및/또는 기타 본 분야에 알려진 가용화제 또는 분산제를 사용하여 염수중의 용액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항염증제와 혼합하거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억제제, 리폭시게나제 억제제 및 IL-1β사이토킨의 억제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염증과 같은 IL-1β 매개된 질환 증세를 예방 또는 퇴치하기 위해 면역조절제(예, 브로피리민, 항-사람 알파 인터페론 항체, IL-2, GM-CSF, 메티오닌 엔케팔린, 인터페론 알파, 디에틸디티오카바메이트, 종양 괴사 인자, 날트렉손 및 rEPO) 또는 프로스타글란딘과 배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다른 치료 제제와 배합하여 투여될 때 이들은 환자에게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다른 방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테를리프레신과 상기된 다른 치료 또는 예방제와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은 사람의 경우 상기 증세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일일당 체중 60kg 성인 기준 약 1 mg 내지 약 100 mg의 용량 수준이며, 바람직한 범위는 1 내지 10 mg이다.
그러나, 특정 환자에 대한 특정 유효량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규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구강내 투여를 위한 의약 조성물은 고체상의 부형제와 함께 활성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정제 또는 당의정 형태로 제조하기 위해 과립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로는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및 소비톨과 같은 슈가 형태 또는 옥수수, 밀가루, 쌀, 감자 또는 다른 식물로부터 전분,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로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또는 나트륨 카복시메틸세룰로스와 같은 세룰로스, 아라빅 검, 타가칸쓰 검을 포함하는 검류와 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 또는 젤라틴,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교차결합된 폴리비닐피롤리돈, 아가 및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긴산과 같은 각각의 염 형태의 붕해제 또는 용해제를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비경구적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수용성 용액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스 용액 (Hank's solution), 링거 용액 (Ringer's solution) 또는 물리적으로 완충된 염수와 같은 물리적으로 적절한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주입 (injection) 현탁액은 소디움 카복시메틸 셀루로스, 솔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이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질을 첨가할 수 있다. 덧붙여서, 활성 성분의 현탁액은 적합한 유질의 주입 현탁액 (oily injection suspensions)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친지성 용매 또는 담체는 참기름과 같은 지방산 또는 에틸 올레이트,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리포솜과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복수양이온성 비지질 아미노 폴리머(polycationic amino polymers)도 운반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 현탁액은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고농도의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적합한 안정화제 또는 약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비경구 투여용으로 투여된다. 이는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테를리프레신의 멸균성 수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성 조성물은 적합한 분산제, 습윤제 및 현택제를 이용하여 공지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 제형의 예는 주사가능한 수성 제형인 Remesty(테르리프레신)이다. 또한 수성 조성물은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멸균 주사약 또는 현탁액, 예컨대, 1,3-부탄 디올의 용액일 수 있다. 허용가능한 희석제의 예로는, 물, 링거액 및 등장성 소듐 클로라이드 용액이 있다. 멸균, 고정화된 오일(Sterile, fixed oil)은 용매 또는 현택성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합성 모도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혼합 고정화된 오일(Bland fixed oil) 및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간문맥압 조절제의 간문맥압 저하 효과 및 잔존간 또는 이식편 생존률
간 절제술 후 간부전이나 간이식 후 과소이식편 증후군에 대한 간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쥐에서 90% 부분 간절제술 모델을 사용하였다. 간문맥압 조절제로 프로프라노놀, 소마토스타틴, 테를리프레신을 사용하여 간문맥압 저하 효과와 생화학 검사, 조직학적 변화 및 간 손상 및 재생과 관련한 유전자의 발현을 비교분석하고 생존율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1-1: 실험동물의 사육 및 식이
본 발명에서 실험동물은 8주령 수컷 Sprague-Dawley 쥐를 사용하였고, 실험 시 무게는 약 250-300g 이었다. 실험쥐는 12시간 간격으로 빛을 주어 낮/밤 환경을 주기적으로 조절하였고 실험쥐가 물과 쥐사료를 마음대로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수술 전 6시간 동안은 사료를 먹이지 않았으며 모든 수술은 clean condition에서 시행하였다. 수술 후 1일간은 20% 포도당 용액을 마음대로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1-2: 실험 방법
실험동물은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 (N=6), 대조군 (N=20), 소마토스타틴 (소마토스타틴 , Ferring, Switzerland) 군(N=20), 프로프라노놀(Indenol , 동광제약, Korea) 군(N=20), 테를리프레신(Glypressin , Ferring, Switzerland) 군(N=20)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각 군의 20마리는 다시 S군(N=10), M6군(N=5), M24군(N=5)로 나뉘어졌으며, S군은 일주일 생존율 측정, M6군은 수술 후 1시간, 6시간 후의 혈액 검사, 수술 후 10분, 30분, 60분 후의 간문맥압 측정 및 수술 6시간 후의 문맥압 측정, 혈액 검사, 조직 검사에 사용되었고, M24군은 수술 후 24시간의 혈액검사, 간문맥압 측정 및 조직 검사에 사용되었다 (도 1).
간절제술 후 간부전(PHLF) 또는 과소이식편 증후군(SFSS)의 상태를 만들기 위해 쥐에서 90% 부분 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마취를 위해 ketamine(60mg/kg, Ketamine HCLㄾ, Huons, Korea)과 xylazine (10mg/kg, Rompunㄾ, Bayer, German)을 복강 내 투여하였다. 정중 개복 후 retractor를 이용하여 간을 노출시켰다. 겸상인대와 정맥인대, 간 주변의 인대들을 결찰한 뒤 left lobe, median lobe, right inferior lobe, right superior lobe의 순서로 절제를 하였다 (도 2).
간절제는 vessel-oriented technique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간엽을 절제하기 전에 간문맥과 간동맥을 먼저 6-0 polypropylene(Prolene, Ethicon, USA)으로 결찰한 뒤 5-0 polypropylene(Prolene, Ethicon, USA)으로 piercing suture를 통해 간실질의 절제를 하면서 동시에 간정맥의 결찰을 시행하였다.
가짜 수술군(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 군))은 수술 전 처치를 동일한 방법으로 하고, 수술 시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에서 시행한 복강 내 마취를 동일한 약제와 용량으로 한 후 같은 크기의 절개창으로 복강을 노출한 뒤 간절제술을 시행하지 않고 폐복하였다. 각각의 약물군의 M6와 M24군에서 부분 간절제술 시행 5분 후에 약물을 투여하였고 대조군에서는 같은 양의 생리 식염수를 주사하였다. 7일 생존율 측정을 위한 S군에서는 테를리프레신군과 소마토스타틴군에서 수술 1일째부터 매일 1회 같은 양의 약물을 피하 주사 하였고, 프로프라노놀 군에서는 매일 같은 양을 경구 투여 하였다. 수술 후 모든 쥐에 10% 포도당 용액을 5cc 피하 주사하고, 수술 후 1일 간 20% 포도당 용액을 마음대로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수술 후 간문맥압 측정은 간문맥에 26G 주사 바늘을 삽입하여 측정하였으며, 수술 후 혈액 채취는 하대정맥에서 시행하였다.
1-3: 생존율, 간문맥압 , 생화학검사, 조직학적 변화의 점수화, Ki -67 면역조직화학염색, TUNEL assay 및 유전자 발현의 측정
*통계적 분석에 있어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student t-test와 Mann-Whitney 평균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p value 0.05이하인 경우 통계적으로 의미 있다고 해석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0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① 7일 생존율 측정 :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 각각의 10마리씩을 이용하여 7일간 쥐의 생존 여부를 관찰하여 Kaplan-Meier 생존분석 통계를 이용하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7일 생존율은 0% 이었으며, 프로프라노놀, 소마토스타틴, ㅌ테테를리프레신 군에서의 생존율은 각각 20%, 10%, 40%였다. 대조군의 평균 생존 기간은 39.6 시간이었으며 각각의 실험군에서의 평균 생존기간은 프로프라노놀 군 71.9 시간(p=0.189), 소마토스타틴 군 52.9 시간(p=0.817), 테를리프레신 군은 128.9 시간(p<0.01)으로 테를리프레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존 향상을 보였다(도 3).
② 간문맥압 측정 : 가짜 수술군(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 군))에서 6마리, 대조군과 각각의 약물 투여 군에서 10마리씩 사용하였다. M6 군에서는 간절제술 후 10분, 30분, 60분의 간문맥압을, M24군에서는 24시간 후의 간문맥압을 측정하였다. 간문맥압 측정은 침습적 혈압 측정기(Vigileo Monitor, Edwards Lifesciences, Irvine, California, USA)를 사용하였고, 26 guage 바늘을 간문맥에 삽입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수술 후 10분, 30분, 60분, 24시간 후의 간문맥압(mmHg)을 측정하였다.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 군)에서는 각각 4.67, 6.0, 5.33, 5.33이었고, 대조군에서는 각각 11, 11, 10.8, 11.2로 측정되었으며 프로프라노놀군에서는 각각 8.8(p=0.114), 7.4(p=0.014), 7(p=0.009), 7.8(p=0.011)로 수술 후 10분을 제외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소마토스타틴군에서는 9.4(p=0.045), 8.4(p=0.014), 7.6(p=0.008), 6.8(p=0.009)로 대조군에 비해 모두 감소하였고, 테를리프레신군에서는 각각 7.6(p=0.008), 7.6(p=0.008), 7.2(p=0.008), 6.8(p=0.044)로 역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도 4).
③ 생화학 검사: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군)에서 6마리,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에서 각각 10마리씩 혈청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을 측정하였다. M6군 5마리는 1시간과 6시간 후에 혈액 검사를 하며, M24군 5마리에서는 24시간 후에 혈액 검사를 하였다. 채혈은 하대정맥에서 26 guage 주사기를 사용하였고, 혈액검사는 생화학 분석기(TBA-200FR NEO, Toshiba Medical Systems, Japan)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수술 1시간, 6시간, 24시간 후의 AST, ALT, 총 빌리구빈 수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가짜수술군(Sham opeartion군)에서의 부분 간절제술 1, 6, 24시간 후의 AST(IU/L) 평균값은 각각 87, 139, 110이었고 대조군에서 AST(IU/L) 평균값은 각각 396.2, 1469.8, 3844.8, 프로프라노놀군에서는 437.2(p=0.347), 1269(p=0.602), 2142.4(p=0.028)로 24시간 후의 AST값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소마토스타틴 군에서도 360.6(p=0.465) 1231.8(p=0.754), 1832.2(p=0.016)로 24시간 후의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테를리프레신 군에서는 460.4(p=0.251), 1259.2(p=0.754), 2536.4(p=0.076)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는 않았다(도 5A).
ALT를 보면 sham opeartion군에서의 부분 간절제술 1, 6, 24시간 후의 ALT 평균값(IU/L)은 52, 95.7, 57.7, 대조군에서의 ALT 평균값(IU/L)은 각각 229.4, 1102.8, 3213으로 나왔으며, 프로프라노놀군에서는 278.4(p=0.465), 1062.2(p=0.602), 1981.4(p=0.117)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테를리프레신군에서도 330.4(p=0.175), 1180.8(p=0.465), 2133.8(p=0.117)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소마토스타틴군에서는 213(p=0.465), 1076.8(p=0.251), 1249.6(p=0.016)으로 수술 후 24시간 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도 5B).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을 보면 가짜 수술군(Sham opeartion군)에서의 부분 간절제술 1, 6, 24시간 후의 평균값(mg/dL)은 0.05, 0.05, 0.06, 대조군에서는 평균값이 각각 0.114, 0.214, 1.18로 측정되었고 프로프라노놀군에서는 0.194(p=0.012), 0.422(p=0.017), 0.492(p=0.050)로 수술 후 1, 6 시간 후에는 증가한 후 24시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총 빌리구빈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테를리프레신군에서도 각각 0.158(p=0.046), 0.3(p=0.018), 0.644(p=0.173)로 1시간, 6시간 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24시간 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소마토스타틴군에서는 각각 0.158(p=0.207), 0.252(p=0.168), 0.492(p=0.016)로 1시간, 6시간 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24시간 후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도 5C).
④ 조직학적 변화의 점수화 : 가짜 수술군(sham opearation 군)에서 6마리와 대조군과 네 가지 약물 투여군의 10마리를 M6군과 M24군으로 다시 나누어 수술 후 6시간, 24시간 후에 sacrifice하여 간생검을 시행하고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Hemotoxylin & eosin staining을 시행하여 관찰했고, 병리 소견을 바탕으로 간의 조직학적 변화의 차이를 관찰한 후 Dahmen, U., et al., J Surg Res, 149(1), 15-26, 2008)에 기재된 조직학적 검사를 위한 점수화 기준을 사용하여 0, 1, 2로 점수화하였다 .
각각의 군에서 수술 후 6시간, 24시간 후 간조직을 채취하여 H&E 염색을 한 후 조직학적 소견을 바탕으로 점수화하였다 (도 6). 항목별 점수의 차이를 보면, 간세포 내에 eosinophilic globuli가 각각의 약물 투여군에서 대체적으로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고, 모든 약물 투여군에서 수술 후 24시간에 sinusoidal alteration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upffer cell의 활성화는 프로프라노놀군의 경우 수술 후 6시간에 감소하였지만 소마토스타틴 군과 테를리프레신 군의 경우 수술 후 24시간에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Table 2). 대조군에서 수술 후 6시간, 24시간에서 점수의 평균은 각각 5.4, 6.8이었고 프로프라노놀군에서는 각각 1.8(p=0.011), 2.8(p=0.017), 소마토스타틴군에서는 4.4(p=0.390), 4(p=0.043)점이었고, 테를리프레신군에서는 4.2(p=0.461), 3.2(p=0.017)점으로 24시간 후에는 모든 군에서 점수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도 7).
⑤ Ki-67 면역 조직 화학 염색 : 간재생을 확인하기 위해 ki-67 양성인 간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포르말린에 고정 후 파라핀 포매 조직을 4um 간격으로 자른다. 항원 복구를 위해 10mM 시트로산염 완충액(citrate buffer)를 이용하였다. 비특이적 염색을 감소시키기 위해 과산화수소 블록(Hydrogen peroxide Block)(polink 2 detection kit, GBI, USA)에서 슬라이드를 10분간 처리하였다. 슬라이드를 Tris-buffered saline (TBS, pH7.6)으로 5분간 3회 수세한 후 다시 상온에서 과산화수소 블록(Hydrogen peroxide Block)(polink 2 detention kit, GBI, USA)으로 5분간 처리하였다. 항체는 anti-Ki-67(1:100, SP6 clone, Diagnostic biosystems, USA)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60분간 처리 후 TBS로 5분간 3회 수세하였다. 일차 항체 증폭기(polink 2 detection kit, GBI, USA)를 처리한 후 HRP polymer(polink 2 detection kit, GBI, USA)로 2차 항체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 후 조직을 DAB chromogenic reaction으로 염색 후 Mayer's hematoxylin(Sytec, USA)으로 대조 염색하였다. M6군에서는 수술 후 6시간, M24군에서는 수술 24시간 후에 5마리씩,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군)에서는 3마리씩 sacrifice하여 간생검을 시행하였다. 이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4개의 high power field에서 각각 염색에 양성인 세포 수를 세어 평균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수술 후 6시간, 24시간 후 간조직을 채취하여 Ki-67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하였다. 각각 4개의 high power field당 염색된 간세포 수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하여 세포 분화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도 8). 대조군에서는 수술 후 6시간, 24시간 후 각각 3.4, 9 이었으며, 프로프라노놀군에서는 10(p=0.009), 26.8(p=0.028), 소마토스타틴군에서는 7.4(p=0.059), 84.8(p=0.009), 테를리프레신군에서는 12.4(p=0.036), 47.4(p=0.009)로 소마토스타틴 군에서 수술 후 6시간을 제외하고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 (도 9).
⑥ TUNEL assay : 각각의 조직에서 세포 자멸사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eoxyuridine triphosphate nick-end labeling) assay를 시행하였다.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에서 M6군에서는 수술 후 6시간, M24군에서는 수술 24시간 후에 5마리씩 sacrifice하여 간생검을 시행하였다. 10% 중성 완충 포름알데하이드(neutral buffered formaldehyde) 고정과 파라핀 포매 과정을 거친 조직을 4~5um로 박절하여 슬라이드 제작 후 크실렌으로 5분 3회 탈 파라핀 과정을 거친 후 계열별로 함수하여 수세하였다. PBS(pH7.4)로 5분 1회 수세한 후 조직에 프로테이나제 K(DAKO, Carpinteria, CA, USA)로 8분간 처리한 후 내인성 페록시다제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5분간 3.0% 과산화수소로 처리하였다. PBS 세척 후 equilibration buffer처리를 하고 Working strength TdT enzyme(Apoptosis detection kit, Chemicon, USA) 으로 370C에서 1시간 인큐베이션시켰다. Working strength stop wash buffer에 10분 처리후 PBS로 수세하고 Anti-digoxigenin conjugate로 30분 처리후 PBS로 반복 수세 후 chromogen으로 발색시켰다. 검경 하에서 발색과정 후 Mayer`s hematoxylin으로 대조 염색을 시행하였다. 이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4개의 high power field에서 각각 TUNEL staining 양성인 세포 수를 세어 평균을 비교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수술 후 6시간, 24시간 후 간조직을 채취하여 TUNEL index를 측정하였다(도 10).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4개의 high power field에서 염색된 세포수를 세어 평균값을 사용하여 apoptosis 정도를 측정하였다. Sham operation군과 대조군, 약물 투여군을 비교하였을 때, 수술 후 6시간에서는 소마토스타틴 군에서 apoptosis의 증가를 보였고(p=0.015), 대조군과 프로프라노놀군에서도 경계 유의성을 보이며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각각 p=0.06) 대조군에서는 수술 후 6시간, 24시간의 TUNEL 양성 세포 수의 평균값은 2.8, 7.8이었고, 프로프라노놀군에서는 4.8(p=0.292), 13.4(p=0.136), 소마토스타틴군에서는 3(p=0.670), 7.6(p=0.382), 테를리프레신군에서는 2.4(p=0.243), 5.6(p=0.906)으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도 11)
⑦ 유전자 발현 측정 : 실시간 역전사 효소 연쇄 중합 반응(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al-time RT-PCR) 검사를 이용하여 endothelin-1(ET-1),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eNOS), hepatocyte growth factor(HGF),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TGF-β1) 수용체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쥐의 간을 분리해서 RNA 추출 전까지 -80℃에 보관하였다. Total RNA를 (GeneAll, Hybrid-R kit, Korea)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cDNA를 cDNA synthesis kit(TOYOBO, FSQ-301, Japan)로 합성하였다. Real-time RT-PCR 반응을 Bio-Rad iCycler iQ system(Bio-Rad, USA)으로 측정하였고 TaqMan probe master mix는 iQ Supermix(Bio-Rad, USA)를 사용하였다. Probe와 Primer는 ET-1(Rn00561129_m1), eNOS(Rn02132634_s1), HGF(Rn00566673_m1), TGF-β1 receptor (Rn00572010_m1), GAPDH(Rn99999916_s1) (Applied Biosystems, USA)을 사용하였다. 모든 샘플은 4번 반복 실험 하였고 normalization은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를 사용하였다. PCR 조건은 95℃: 3min, 95℃: 15sec, 60℃: 1min(50cycle)으로 하였다. 유전자 발현 양상의 차이는 GAPDH의 C(t) 값에 대한 각각의 유전자의 C(t) 값의 차이를 구하여
Figure pat00001
로 발현의 비율을 통하여 상대적인 발현양을 구하였다. real-time RT-PCR 후 유전자 발현에 대한 통계 분석은 log 변환 후 least square mean 값을 이용하여 nested ANOV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ET-1의 발현은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 군)에 비해 대조군과 각각의 약물 투여군에서 수술 후 6시간과 24시간에 모두 증가하였지만 소마토스타틴군에서 24시간 후 발현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 비교하였을 때는 프로프라노놀 군과 테를리프레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마토스타틴을 투여한 군에서는 약물 투여 후 24시간에서 경계 유의성을 보이며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68) (도 12). eNOS의 경우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군)에 비해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에서 수술 후 6시간의 발현량의 증가를 보였지만 24시간 후에는 대조군과 프로프라노놀군만이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발현량의 증가를 보였다.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을 비교하였을 때는 모든 약물 투여군에서 6시간, 24시간 후 발현의 차이가 없었지만 소마토스타틴의 경우 24시간에서 경계 유의성을 보이며 감소하였다(p=0.058) (도 13). HGF의 경우 수술 후 6시간에서 가짜 수술군(Sham operation 군)과 비교하여 대조군과 모든 약물 투여군에서 유의한 발현량의 증가를 보였지만, 24시간 후에는 프로프라노놀군과 테를리프레신군에서만 차이를 보였고,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을 비교했을 때, 모든 약물 투여군에서 수술 후 6시간과 24시간에서 발현량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14). TGF-β1 수용체의 발현은 프로프라노놀과 테를리프레신 투여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소마토스타틴의 경우 약물 투여 후 6시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45) (도 15)
따라서, 본 발명에서 대조군에서 7일 생존율이 0%, 평균 생존 시간이 39.6 시간이었고, 생존율에서 간문맥압조절제 중 테를리프레신(테를리프레신)만이 유의한 생존율 증가를 나타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싱양태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기능 저하 또는 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복합제에 알부민, 헤타스타치(hetastarch), 아드레날린, 이뇨제 및 혈압수축제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술 후 간기능 저하 또는 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술 후 간기능 저하 또는 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주사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수술 후 간기능 저하 또는 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30044800A 2013-04-23 2013-04-23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126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800A KR20140126531A (ko) 2013-04-23 2013-04-23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800A KR20140126531A (ko) 2013-04-23 2013-04-23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531A true KR20140126531A (ko) 2014-10-31

Family

ID=5199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800A KR20140126531A (ko) 2013-04-23 2013-04-23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5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0795A (zh) * 2018-09-12 2018-12-18 南京康舟医药科技有限公司 醋酸特利加压素注射液以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0795A (zh) * 2018-09-12 2018-12-18 南京康舟医药科技有限公司 醋酸特利加压素注射液以及其制备方法
CN109010795B (zh) * 2018-09-12 2021-10-22 南京康舟医药科技有限公司 醋酸特利加压素注射液以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tinovis et al. Glomerular hyperfiltration
Wu et al. Ghrelin attenuates sepsis-induced acute lung injury and mortality in rats
US5599844A (e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athologies associated with abnormally proliferative smooth muscle cells
Gerbes et al. Renal effects of transjugular intrahepatic portosystemic shunt in cirrhosis: comparison of patients with ascites, with refractory ascites, or without ascites
Vincenzi et al. Small volume resuscitation with 3% hypertonic saline solution decrease inflammatory response and attenuates end organ damage after controlled hemorrhagic shock
Kuzu et al. Effect of ischemia/reperfusion as a systemic phenomenon on anastomotic healing in the left colon
AU652992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reperfusion injury
EP1471930B1 (en) Use of erythropoietin for the preventive or curative treatment of cardiac failure
JP2006506321A (ja) 血管透過性亢進を阻害する方法
Zeng et al. Impairment of Cardiac Function and Remodeling Induced by Myocardial Infarction in Rats are Attenuated by the Nonpeptide Angiotensin‐(1–7) Analog AVE 0991
AU2012340670B2 (en) Cysteamine and/or cystamine for treating ischemic injury
BR122013019534A2 (pt) Uso de um antagonista do receptor da angiotensina ii para produção de uma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prevenção ou tratamento de doenças cardiovasculares em gatos
JP6144775B2 (ja) 腎臓病の治療に使用されるアーテミシニンおよびその誘導体
Sun et al. Preconditioning of mesenchymal stem cells with ghrelin exerts superior cardioprotection in aged heart through boosting mitochondrial function and autophagy flux
KR20140126531A (ko) 테를리프레신 또는 이의 복합제를 함유하는 간 수술 후 간 기능 저하 및 이상증의 치료용 약학 조성물
Du et al. Effects of modified splenocaval shunt plus devascularization on esophagogastric variceal bleeding: a comparative study of this treatment and devascularization only in cirrhotic portal hypertension
WO2007050585A2 (en) Use of a nitric oxide synthase modulator for the treatment of cardiac indications
JP4686704B2 (ja) 動脈瘤予防および/または治療剤
WO2008060949A2 (en) Compounds with anti-androgenic activity and the use thereof
Gulati et al. Centhaquine citrate
Bouvy et al. Laparoscopic vs conventional bowel resection in the rat: Earlier restoration of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 1 levels
Shimoda et al. Protective effect of Sivelestat in a porcine hepatectomy model prepared using an intermittent Pringle method
RU2798721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ой панкреатической фистулы при резекционных вмешательствах на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е
Reichle et al. Serine metabolism after portacaval shunt
KR101530019B1 (ko) 혈관성형술 또는 동맥내막절제술 후 재협착 및 장기 섬유증으로 인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5베타, 14베타-안드로스테인 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