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046A -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046A
KR20140126046A KR20130044059A KR20130044059A KR20140126046A KR 20140126046 A KR20140126046 A KR 20140126046A KR 20130044059 A KR20130044059 A KR 20130044059A KR 20130044059 A KR20130044059 A KR 20130044059A KR 20140126046 A KR20140126046 A KR 20140126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application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4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6046A/ko
Publication of KR2014012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채팅방을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이용자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서버;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사용자로부터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무선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한 무선단말과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SYSTEM,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CHATTING SERVICE}
본 발명은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TV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채팅한 내용을 시청중인 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채팅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크게 늘게 되었다. 채팅 서비스는 웹상에 구현된 채팅 서비스 프로그램에 특정 주제 또는 이용자들의 모임에 관심이 있는 이용자가 등록함으로써 채팅 참가자격을 얻게 되고, 이러한 자격이 있는 사용자들이 그룹을 형성하여 특정한 관심사를 토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의 지인을 채팅 목록상에 추가할 수 있으며 목록상에 추가된 특정한 지인을 선택하여 채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자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글을 게시하거나 채팅을 하려면 인터넷을 통해 관련 사이트에 접속해야 한다. 하지만, 방송 프로그램 시청 중에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에 집중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채팅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TV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채팅한 내용을 방송 화면과 함께 출력함으로 사용자가 TV를 보면서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채팅방을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이용자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서버;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사용자로부터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무선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한 무선단말과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채팅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를 채팅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채팅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팅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무선단말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는,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위한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채널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탱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접속하고 상기 채팅방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채팅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각각의 채팅 애프리케이션과 채팅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연동 정보 DB; 및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동 정보 DB에 저장된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대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되도록 처리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선택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단말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무선단말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등록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여기서, 연동 요청 명령은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임-을 입력받아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연동기기 리스트-여기서. 연동기기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을 목록화한 리스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통신망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가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단말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TV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연동시켜 사용자가 무선단말을 통해 채팅한 내용을 방송 화면과 함께 출력된 채팅창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TV 방송을 시청하면서 채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TV에 설치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 정보를 인식하여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시청중인 채널에 관련된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문자 입력이 불편한 리모컨을 대신하여 사용자가 익숙한 무선단말의 키패드 또는 키입력화면을 통해 채팅 내용을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무선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입력된 TV 정보에 대한 연동기기 정보 DB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로부터 입력된 무선단말 정보에 대한 연동기기 정보 DB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무선단말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에서의 연동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TV와 제1사용자 무선단말의 채팅창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TV와 제1사용자 무선단말의 채팅창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TV의 채팅창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TV 방송을 시청중인 사용자가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무선단말로부터 입력된 TV 정보에 대한 연동기기 정보 DB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로부터 입력된 무선단말 정보에 대한 연동기기 정보 DB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단말(100), TV(300) 및 채팅 서비스 서버(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가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하,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과 제1 TV(310)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하,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이라 칭함)을 연동시키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통신망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단말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접속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통신망은 무선방식으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이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의 범위를 근거리에서 장거리로 변경하거나 또는 이동식 네트워크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에 대한 정보인 TV 정보를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여기서, TV 정보는 도 5의 '등록 연동기기 정보'와 같이 표시명, 영상 출력 장치의 기기명, 시리얼번호, 맥주소(Mac Address) 및 IP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로,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서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시명은 도 5와 같이 표시된 '01012345678-TV1'과 같이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무선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사용자가 등록하는 영상 출력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임의로 기재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TV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다수의 TV를 각각 쉽게 식별하기 위해 '안방TV', '침실TV' 등과 같은 부가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채팅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TV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한다.
여기서, 연동기기 리스트는 사용자가 사전에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정보를 목록화한 리스트이다.
또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사용자가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TV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통신망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채팅 내용을 제1 TV(310)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하,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채팅창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접속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과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된 채팅창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는 제1 TV(310)에 출력된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된다.
또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가능한 안드로이드 OS, IOS 또는 윈도우모바일 중 적어도 하나의 OS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TV(310)는 통신망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접속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TV(310)가 스마트TV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TV로 방송 신호를 출력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셋톱박스와 같은 영상 출력 장치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TV(310)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접속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때, 제1 TV(3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과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된 채팅창을 통해 출력한다. 이때, 제1 TV(310)에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 출력된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된다.
또한, 제1 TV(310)는 둘 이상의 무선단말의 연동 요청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둘 이상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독립된 채팅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연동될 수 있도록 하나의 채팅 메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TV(31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상에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 채널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제1 TV(310)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공받게 되며,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접속하고 채팅창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한다.
또한, 제1 TV(31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인 무선단말 정보를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여기서, 무선단말 정보는 도 6의 '등록 연동기기 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에 가입시 생성한 아이디, 사용자 무선단말의 전화번호, 사용자 무선단말의 시리얼번호, 맥주소 또는 IP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로,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서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TV(31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채팅 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한다.
여기서, 연동기기 리스트는 사용자가 사전에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 정보를 목록화한 리스트이다.
또한, 제1 TV(310)는 사용자가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제1 TV(310)는 채팅창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통신망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 이때,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TV(310)로부터 수신된 채팅 내용을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채팅창과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사전에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과 제1 TV(310)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채팅방에 입장한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통신망을 통해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과 제1 TV(310)로 전송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또는 제1 TV(310))로부터 각각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연동기기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또는 제1 TV(310))의 정보와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또는 제1 TV(310))의 정보에서 전송한 연동기기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또는 제1 TV(310))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또는 제1 TV(310))의 정보와 매칭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또는 제1 TV(3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또는 제1 TV(310))로부터 사용자가 특정한 연동기기를 선택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한 연동기기로 연동 요청을 전송하여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무선단말(110)에 출력된 채팅창과 제1 TV(310)에 출력된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하게 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TV(310)로부터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을 검색하고, 검색된 채팅방 정보를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과 제1 TV(310)로 전송하여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채팅방에 접속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사용자가 사전이 등록한 친구목록에 해당하는 지인들에게 사용자의 입장 알림과 함께 사용자가 현재 입장한 채팅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무선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저장부(111), 키 입력부(112), 디스플레이부(113), 채팅 제공부(115), 무선단말측 송수신부(117),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118) 및 무선단말측 제어부(119)를 포함한다.
저장부(111)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을 동작시키기 위한 OS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장부(111)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키 입력부(112)는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장치이다. 여기서, 키 입력부(112)는 물리적 키패드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의 키패드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서 제공하는 메뉴 화면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작동 화면을 출력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채팅 메뉴 또는 채팅창을 출력한다.
채팅 제공부(115)는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채팅 메뉴와 채팅창을 제공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 설치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접속하고 채팅 서비스 서버(500)와 송수신되는 채팅 내용을 채팅창에 출력한다. 여기서, 채팅 제공부(115)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채팅창에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접속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채팅 제공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정보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출력하고, 등록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또한, 채팅 제공부(115)는 사전에 등록한 TV와의 연동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한다.
무선단말측 송수신부(117)는 통신망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채팅 서비스 서버(500)와 채팅 내용 또는 채팅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채팅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118)는 사용자가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제1 TV(310)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채팅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118)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제1 TV(310)에서 방송중인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공받아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접속하고, 접속한 채팅방의 채팅창을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한다.
무선단말측 제어부(119)는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부(111)에 저장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무선단말측 제어부(119)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사용자 TV(310)는 저장부(311), 방송신호 수신부(312), 디스플레이부(313), 채널 인식부(314), 채팅 제공부(315), TV측 송수신부(317),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318) 및 TV측 제어부(319)를 포함한다.
저장부(311)는 제 TV(310)를 동작시키기 위한 OS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장부(311)는 제 TV(3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312)는 방송국에서 출력하는 방송신호와 같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313)는 방송신호 수신부(312)를 통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따라 선택된 채널의 방송 영상을 출력한다.
채널 인식부(314)는 디스플레이부(313)에서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313)의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를 인식한다.
또한, 채널 인식부(314)는 제1 TV(310)에서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를 인식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모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이 입력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무선단말 리스트에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디스플레이부(313)의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를 인식한다.
채팅 제공부(315)는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채팅 메뉴와 채팅창을 제공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TV(310)에 설치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접속하고 채팅 서비스 서버(500)와 송수신되는 채팅 내용을 채팅창에 출력한다. 여기서, 채팅 제공부(135)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정상적으로 접속된 경우 채팅창에 채팅 서비스 서버(500)에 접속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채팅 제공부(315)는 사용자로부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 정보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출력하고, 등록 메뉴를 통해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또한, 채팅 제공부(315)는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무선단말과의 연동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부(313)에 출력한다.
TV측 송수신부(317)는 통신망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채팅 서비스 서버(500)와 채팅 내용 또는 채팅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채팅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318)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13)에 출력된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영상 출력 장치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
또한, 채팅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318)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방에 대한 채팅방 정보를 제공받아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접속하고, 접속한 채팅방의 채팅창을 디스플레이부(313)에 출력한다.
TV측 제어부(319)는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서버측 송수신부(510), 채팅 DB(520), 연동 정보 DB(530), 채팅 서비스 제공부(540) 및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측 제어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측 송수신부(51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제 TV(310)와 채팅 내용 또는 채팅 서비스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서버측 송수신부(510)는 제 TV(310)로부터 채팅 서비스 요청과 함께 채널 정보, 제1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채팅 DB(520)는 채팅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로, 채팅방 정보, 채팅방에서 발생한 채팅 내용 등을 저장한다.
연동 정보 DB(530)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 서버측 송수신부(510)를 통해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한다.
또한, 연동 정보 DB(530)는 서버측 송수신부(510)를 통해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 TV(310)의 정보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 및 저장한다.
채팅 서비스 제공부(540)는 채팅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에 대하여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과 제1 TV(310)에 각각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제공부(540)는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연동 정보 DB(530)에 저장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제1 TV(310)를 선택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제1 TV(310)로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및 연동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제공부(54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연동 정보 DB(530)에 저장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을 선택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및 연동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제공부(54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TV(310)에서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채팅방에 접속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제공부(540)는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각각 출력되는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제공부(540)는 제1사용자가 채팅방에 입장하면 채팅방에 입장한 다른 이용자들에게 사용자가 입장하였음을 알려주거나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친구목록에 해당하는 지인들에게 제1사용자의 입장 알림과 함께 사용자가 현재 입장한 채팅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무선단말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사용자가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제1 TV(310)를 선택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710).
이어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채팅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TV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S720), 디스플레이부(113)에 TV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TV 등록 메뉴를 출력한다(S730).
이어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TV 등록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에 대한 정보인 TV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S740). 이때,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수신된 TV 정보와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S750),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연동기기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한다(S760).
이어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연동기기 리스트중 사용자가 제1 TV(310)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S770),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한다(S780). 여기서, 채팅방 정보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방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이거나 제1 TV(310)에서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의 채팅방 정보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TV(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810).
이어서, 제1 TV(310)는 사용자로부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무선단말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S820), 디스플레이부(313)에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무선단말 등록 메뉴를 출력한다(S830).
이어서, 제1 TV(310)는 무선단말 등록 메뉴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인 무선단말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S840). 이때,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수신된 무선단말 정보와 제1 TV(310)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어서, 제1 TV(310)는 사용자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S850),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연동기기 리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313)에 출력한다(S860).
이어서, 제1 TV(310)는 사용자가 연동기기 리스트중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하고(S870),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제공받은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한다(S880). 여기서, 채팅방 정보는 사용자가 채팅 메뉴를 통해 선택한 채팅방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이거나 채널 인식부(314)에서 인식한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의 채팅방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제1 TV(310)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 또는 동일한 채팅방에 입장한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채팅창에 출력한다(S890). 여기서, 제1 TV(310)는 사용자가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채팅 내용을 채팅창에 출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 TV에서의 연동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TV(310)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S910),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920). 이때, 제1 TV(310)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1 TV(310)는 채널 인식부(314)를 이용하여 제1 TV(310)에서 방송중인 채널 정보를 확인하고(S930), 확인된 채널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 전송한다(S940).
이어서, 제1 TV(310)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수신하고(S950), 수신된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널방의 채팅창을 디스플레이부(313)에 출력한다(S96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010).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정보와 단계 S1010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TV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한다(S1020).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S1030), 제1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전송한다(S1040). 예를 들어, 도 11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 출력된 채팅 메뉴에서 연동 실행 아이콘 'a'를 선택하면, 도 11의 (b)와 같이 제1 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연동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연동기기 리스트중 제1 TV(310)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S1050),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제1 TV(310)로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요청한다(S1060). 이때,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이 성공했다는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도 11의 (c)와 같은 연결성공 알림창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 요청 명령을 수신한 제1 TV(31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도 11의 (d)와 같이 방송이 출력된 디스플레이부(313)에 도 11의 (e)의 'd'와 같이 채팅 애플리케이션의 채팅 메뉴를 출력한다.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S1070),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S1080).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과 사용자와 동일한 채팅방에 입장한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S1090). 여기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한 채팅방에 접속한 경우 채팅 내용을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단계 S1070에서 채널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방에 대한 채팅방 정보를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제1 TV(310)에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의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방에 해당하는 채팅창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른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의 채팅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210).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TV(310)의 정보와 단계 S1210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한다(S1220).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S1230),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연동기기 리스트를 전송한다(S1240). 예를 들어, 도 13의 (a)와 같이 사용자가 제1 TV(310)에 출력된 채팅 메뉴에서 연동 실행 아이콘 'a'를 선택하면, 도 13의 (b)와 같이 제1 TV(310)는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수신한 연동기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313)에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1 TV(310)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연동기기 리스트중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를 선택한 선택 정보와 채널 정보를 수신하면(S1250),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로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요청한다(S1260).
이때, 제1 TV(310)는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이 성공했다는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도 13의 (c)와 같은 연결성공 알림창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채팅 서비스 서버(500)로부터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 요청 명령을 수신한 제1사용자 무선단말(110)은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도 13의 (d)와 같은 대기화면에 도 11의 (e)의 'd'와 같이 채팅 애플리케이션의 채팅 메뉴를 출력한다.
이어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된 것으로 확인되면,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1 TV(310)와 제1사용자 무선단말(310)로 전송한다(S1270).
이어서, 채팅 서비스 서버(500)는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과 사용자와 동일한 채팅방에 입장한 다른 사용자가 입력한 채팅 내용을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S1280).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1사용자 TV의 채팅창 출력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TV(310)는 도 14의 (a)와 같이 채팅 메뉴 'a'를 디스플레이부(313)에 출력중인 방송 화면과 별도의 레이드로 처리하여 방송 화면 위에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4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13)에 채팅 메뉴 'b'와 방송 화면을 별개의 영역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1 TV(3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채팅 메뉴 크기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TV(310)는 도 14의 (a)와 같이 출력중인 방송 화면 위에 두 개 이상의 채팅 메뉴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각각의 채팅 메뉴에는 서로 다른 무선단말의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접속될 수 있다.
110 : 제1 사용자 무선단말 111: 저장부
112 : 키 입력부 113 : 디스플레이부
115 : 채팅 제공부 117 : 무선단말측 송수신부
118 : 채팅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
119 : 무선단말측 제어부
310 : 제1 TV 311: 저장부
312 : 키 입력부 313 : 디스플레이부
314 : 채널 인식부 315 : 채팅 제공부
317 : TV측 송수신부 318 : 채팅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
319 : TV측 제어부
500 : 채팅 서비스 서버 510 : 서버측 송수신부
520 : 채팅 DB 530 : 연동 정보 DB
540 : 채팅 서비스 제공부 570 : 서버측 제어부

Claims (4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채팅방을 생성하고, 상기 채팅방을 통해 적어도 둘 이상의 이용자간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 서버;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사용자로부터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무선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특정한 무선단말과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는,
    영상 출력 장치의 표시명, 영상 출력 장치의 기기명, 시리얼번호, 맥주소 또는 IP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무선단말의 시리얼번호, 맥주소, IP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에 가입시 생성한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는,
    상기 특정한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TV 방송의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 상기 특정한 무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는,
    채팅 내용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 상기 특정한 무선단말에 각각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각각 출력되는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스마트TV 또는 TV와 연결되는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채팅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채팅 서비스를 채팅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채팅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채팅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무선단말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여기서, 연동 요청 명령은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임-을 입력받아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연동 요청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연동기기 리스트-여기서. 연동기기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을 목록화한 리스트임-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동기화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연동할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는,
    영상 출력 장치의 표시명, 영상 출력 장치의 기기명, 시리얼번호, 맥주소 및 IP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채팅 제공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를 인식하는 채널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팅 제공부는,
    상기 채널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제공부는,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제공받아 상기 채팅창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는,
    스마트TV 또는 TV와 연결되는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5.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위한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채널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단말의 사용자가 선택한 채팅방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탱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에 접속하고 상기 채팅방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채팅 제공부;
    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제공부는,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서 방송중인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스마트TV 또는 TV와 연결되는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1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각각의 채팅 애프리케이션과 채팅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연동 정보 DB; 및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동 정보 DB에 저장된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대한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되도록 처리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특정한 영상 출력 장치에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동일한 채팅방에 접속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 제공하는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한 정보는,
    영상 출력 장치의 표시명, 영상 출력 장치의 기기명, 시리얼번호, 맥주소 또는 IP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무선단말의 시리얼번호, 맥주소, IP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에 가입시 생성한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스마트TV 또는 TV와 연결되는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25. (a)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선택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단말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f)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특정한 무선단말에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f)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 제공하는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는,
    영상 출력 장치의 표시명, 영상 출력 장치의 기기명, 시리얼번호, 맥주소 또는 IP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스마트TV 또는 TV와 연결되는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0. (a)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무선단말 등록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등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c) 상기 등록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로부터 연동 요청 명령-여기서, 연동 요청 명령은 상기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특정한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을 요청하기 위한 명령임-을 입력받아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연동기기 리스트-여기서. 연동기기 리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사전에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을 목록화한 리스트-를 제공받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정보를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g)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h) 상기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의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무선단말의 시리얼번호, 맥주소, IP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에 가입시 생성한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스마트TV 또는 TV와 연결되는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4. 제 30 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5. (a) 통신망을 통해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애플리케이션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무선단말에 구비된 채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b)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채팅방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창을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d)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로부터 채팅 내용을 제공받아 상기 채팅창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7. (a) 영상 출력 장치에 구비된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가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를 매칭시킨 연동기기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연동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에서 특정한 무선단말을 선택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팅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선택 정보에 해당하는 무선단말에 구비된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d)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서 출력중인 방송의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팅방 정보를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은,
    (d)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팅 내용을 상기 제1 채팅 애플리케이션과상기 제2 채팅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 제공하는 채팅창에 동일한 채팅 내용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무선단말의 전화번호, 상기 무선단말의 시리얼번호, 맥주소, IP주소 또는 상기 사용자가 채팅 서비스에 가입시 생성한 아이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정보는,
    영상 출력 장치의 표시명, 영상 출력 장치의 기기명, 시리얼번호, 맥주소 또는 IP주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스마트TV 또는 TV와 연결되는 셋톱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44059A 2013-04-22 2013-04-22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40126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059A KR20140126046A (ko) 2013-04-22 2013-04-22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4059A KR20140126046A (ko) 2013-04-22 2013-04-22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046A true KR20140126046A (ko) 2014-10-30

Family

ID=5199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4059A KR20140126046A (ko) 2013-04-22 2013-04-22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60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603B1 (ko) 2015-05-06 2016-10-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송 채널별 채팅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채팅 서버
CN111836057A (zh) * 2019-04-17 2020-10-27 Jvc建伍株式会社 聊天服务器、聊天系统、聊天显示方法以及影像数据处理程序
WO2023128132A1 (ko) * 2021-12-27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챗봇 참여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3163501A1 (ko) * 2022-02-22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채팅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62545B2 (en) 2021-12-27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hatbot participating chat ser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603B1 (ko) 2015-05-06 2016-10-1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송 채널별 채팅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채팅 서버
CN111836057A (zh) * 2019-04-17 2020-10-27 Jvc建伍株式会社 聊天服务器、聊天系统、聊天显示方法以及影像数据处理程序
WO2023128132A1 (ko) * 2021-12-27 2023-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챗봇 참여 채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962545B2 (en) 2021-12-27 2024-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hatbot participating chat service
WO2023163501A1 (ko) * 2022-02-22 202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채팅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874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900651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thereof
US9807345B2 (en) Method for displaying EPG information including buddy information and receiver applying the same
JP5944920B2 (ja) 端末、電子機器のログイン設定情報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電子機器
KR20140126046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US201403378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ing media content consumption status in a group of users
CN10802895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14236391A (ja) 表示制御装置、文書管理サーバ、及び放送送出装置
KR20180017389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201503344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event messages related to subscribed video channels
KR101379760B1 (ko) 저장된 사용자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수신장치
US201403312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ing media content consumption status in a group of users
CN111213373B (zh) 电子设备、音频输出设备以及电子设备的操作方法
KR20140110664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KR20140126044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40111203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279746B2 (ja) 携帯情報端末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09143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unit using a portable processing unit
JP6612805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キャッシュ制御方法
KR20140110666A (ko)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
US2023026920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hat room ser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40060091A (ko) 디스플레이 유닛의 시청자 인식 시스템
KR102284025B1 (ko) 방송 스위칭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EP4297367A1 (en) Messenger connection method in multi-messenger service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