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574A -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574A
KR20140125574A KR20130043518A KR20130043518A KR20140125574A KR 20140125574 A KR20140125574 A KR 20140125574A KR 20130043518 A KR20130043518 A KR 20130043518A KR 20130043518 A KR20130043518 A KR 20130043518A KR 20140125574 A KR20140125574 A KR 2014012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tion
control signal
user mo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891B1 (ko
Inventor
유문호
양윤석
김제남
최호림
유승현
이동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4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891B1/ko
Publication of KR2014012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사용자 모션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가 제공하는 사용자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모션과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사용자 모션 판별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모션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모바일 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모바일 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Television)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검색 기능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이에 모바일 단말들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키패드 이외에 단말 모션 인식 센서(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를 구비하고, 모바일 단말 자체의 모션(즉, 3차원 움직임 및 기울임)에 따른 조작 방법으로 사용자 제어값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모바일 단말은 상하로 두 번 움직이면 스팸 전화나 스팸 메시지를 삭제하고, 모바일 단말로 숫자를 그리는 동작을 하면 해당 숫자의 단축 다이얼이 작동해 전화를 걸 수 있으며, 특히, 온라인 게임이나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경우에, 모바일 단말로 '○'를 그리면 "OK", 'X'를 그리면 "NO"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밖에 MP3 기능 사용 중 모바일 단말을 좌우로 간단히 움직이면 다른 음악을 선곡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말 모션을 감지하여 사용자 입력값을 획득하도록 하더라도, 모바일 단말의 활용 범위가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편이성 및 요구 사항을 충분히 반영하기가 어려운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이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발전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사용자 모션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가 제공하는 사용자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모션과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사용자 모션 판별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터치스크린, 모니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입력받거나, 단말 동작 상태 또는 단말 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와 상기 사용자 모션 판별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사용자의 요청 하에 사용자 모션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설정 및 변경하는 사용자 모션 정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가 제공하는 사용자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기울기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단말 모션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말 모션 인식 센서;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을 융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융합 모션 판별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터치스크린, 모니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입력받거나, 단말 동작 상태 또는 단말 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와 상기 사용자 모션 판별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융합 모션 판별부는 사용자의 요청 하에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의 조합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설정 및 변경하는 사용자 모션 정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모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선택 및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인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 모션을 파악하고, 그를 기반으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활성화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어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이 손이 닿지 않는 거리에 있거나 손가락을 움직여 터치스크린 또는 각종 버튼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 종류, 그리고 각각 모션의 발생 시점까지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켜 줄 수도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하,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마이크로소프트 및 아수스는 키넥트(kinect) 및 엑스모션(Xtion) 등과 같이 사용자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여 사용자 모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 후, 다른 외부 장치에 이를 제공하는 장치를 개발 및 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단말이 키넥트(kinect) 및 엑스모션(Xtion)와 같은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 요구 사항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20)은 외부 장치인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를 활용하여 자신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부(21), 사용자 모션 판별부(22), 제어부(2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는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와 동일한 통신 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이 제공하는 사용자 모션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모션 판별부(22)는 사용자 모션과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상관관계에 따라 사용자 모션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취한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 모션 판별부(22)를 통해 발생되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 및 이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터치 신호, 드래그 신호, 버튼 신호 등과 같이 모바일 단말이 기존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제어 신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3)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뿐 만 아니라 사용자 모션 판별부(22)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도, 모바일 단말(2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어부(2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와 사용자 모션 판별부(22)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두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4)와 사용자 모션 판별부(22)에 의해 제어 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는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제어 신호하나만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4)와 사용자 모션 판별부(22)가 동시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동작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4)는 터치스크린, 모니터, 버튼 등과 같은 각종 휴먼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입력받거나,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동작 상태 또는 결과를 출력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모바일 단말(20)은 현재의 제어 모드가 사용자 모션 감지 모드인지 일반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
만약, 사용자 모션 감지 모드이면,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를 통해 사용자 모션을 감지한 후(S12), 사용자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S13), 제어부(23)가 사용자 모션을 기반으로 특정 기능을 선택 및 수행하도록 한다(S15).
반면, 일반 모드이면,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가 아닌 기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고(S14),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을 선택 및 수행하도록 한다(S15).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이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 동작에 이용될 제어 신호의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나, 필요시에는 제어 동작에 이용될 제어 신호의 개수를 달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 모션 감지 모드에서는 사용자 모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값 모두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나, 일반 모드 시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값만을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20)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또는 각종 버튼을 조작하는 대신에, 특정 모션을 취해 모바일 단말(2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20)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한쪽 손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션을 취하여 어플 리스트가 표시된 메인 화면의 페이지를 순방향으로 넘기거나, 한쪽 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션을 취하여 상기 메인 화면의 페이지를 역방향으로 넘기거나, 양손을 앞으로 내미는 모션을 취함으로써 특정 어플이 선택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때의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가 자신의 모션에 응답하여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20)은 도1의 구성 이외에 사용자가 사용자 모션과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를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모션 정의부(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2의 모바일 단말(20)은 사용자 개인의 필요 및 기호에 맞게 사용자 모션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용자 모션 정의부(25)는 사용자에 의해 모션 정의 동작이 요청되면, 우선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를 활성화시켜 사용자 모션을 획득한 후, 제어 신호 입력창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취한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 신호 설정이 완료되면, 도1의 사용자 모션과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 정보에 이를 반영하여, 차후 사용자가 해당 모션을 취할 때 마다 동일 제어 신호가 호출 및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모션 정의부(25)의 모션 정의 동작을 통해 활용하여, 사용자 모션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취하는 일련의 모션에 모바일 단말 잠금 해제 신호를 매핑함으로써, 차후 사용자가 비밀 번호 또는 터치 패턴을 입력하는 대신에 일련의 모션을 연달아 취하여,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비밀번호를 한손으로 허공에다 쓰는 모션을 취한 후, 해당 모션에 잠금 해제 신호를 매핑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차후 잠금 해제 화면에서 비밀 번호 또는 터치 패턴을 입력하는 대신에 자신이 원하는 비밀번호를 한손으로 허공에다 쓰는 모션을 취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잠금 상태를 손쉽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뿐 만 아니라, 본 발명은 표1에서와 같이 모바일 단말의 동작 상태별로, 모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달리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일 모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제어 신호의 종류를 보다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 화면 상태 음악 재생 어플 게임 어플
(ex, 달리기 게임)
한쪽 손을 아래서 위로 올리는 모션 상측 방향 스크롤 신호 재생 리스트 열기 신호 점프 신호
한쪽 손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모션 하측 방향 스크롤 신호 재생 리스트 닫기 신호 포복 신호
한쪽 손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션 좌측 방향 스크롤 신호 다음 곡 재생 요청 신호 좌측 이동 신호
한쪽 손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모션 우측 방향 스크롤 신호 이전 곡 재생 요청신호 우측 이동 신호
양쪽 손을 동시에 내미는 모션 오브젝트 선택 신호 재생 일시 중지, 재생 상태 유지 신호
도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4의 모바일 단말(30)은 통신부(31), 단말 모션 인식 센서(32), 융합 제스처 판별부(33), 제어부(3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5)를 포함하여, 제어 신호 발생시, 사용자 모션뿐만 아니라 단말 모션까지도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을 동시에 고려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입력 동작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제어 동작의 종류 및 수준이 보다 다양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31)는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와 동일한 통신 방식(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10)이 제공하는 사용자 모션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모션 인식 센서(32)는 기울기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어, 모바일 단말(30)의 모션(즉, 3차원 움직임 및 기울임)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융합 모션 판별부(33)는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을 융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융합 제스처 판별부(33)는 표2에서와 같이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 종류, 더 나아가 모션 발생 시점까지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융합 모션 제어 신호
단말 모션1 수행 후 사용자 모션1 수행시 제어 신호1
단말 모션1 수행 후 사용자 모션2 수행시 제어 신호2
단말 모션1과 사용자 모션1 동시 수행시 제어 신호3
단말 모션1과 사용자 모션2 동시 수행시 제어 신호4
단말 모션2 수행 후 사용자 모션1 수행시 제어 신호5
단말 모션2 수행 후 사용자 모션2 수행시 제어 신호6
단말 모션2과 사용자 모션1 동시 수행시 제어 신호7
단말 모션2과 사용자 모션2 동시 수행시 제어 신호8
또한 이때의 융합 모션 판별부(33)도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의 조합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사용자가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도 사용자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34)는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5) 뿐 만 아니라 융합 제스처 판별부(33)를 통해 제어 신호에 따라서도, 모바일 단말(3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때의 제어부(34)도 사용자 인터페이스(35)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와 융합 제스처 판별부(33)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두어, 사용자 인터페이스(24)와 사용자 모션 판별부(22)가 동시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동작 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 종류, 그리고 각각 모션의 발생 시점까지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가 제공하는 사용자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모션과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에 대한 정보를 구비하고, 상기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모션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사용자 모션 판별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모니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입력받거나, 단말 동작 상태 또는 단말 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와 상기 사용자 모션 판별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 하에 사용자 모션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설정 및 변경하는 사용자 모션 정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5.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가 제공하는 사용자 모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기울기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단말 모션 정보를 생성 및 출력하는 단말 모션 인식 센서;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을 융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융합 모션 판별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모니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을 입력받거나, 단말 동작 상태 또는 단말 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와 상기 사용자 모션 판별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모션 판별부는
    사용자의 요청 하에 사용자 모션과 단말 모션의 조합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설정 및 변경하는 사용자 모션 정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9. 사용자 모션 인식 센서를 통해 사용자 모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모션에 대응되는 기능을 선택 및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KR20130043518A 2013-04-19 2013-04-19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8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518A KR101481891B1 (ko) 2013-04-19 2013-04-19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3518A KR101481891B1 (ko) 2013-04-19 2013-04-19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574A true KR20140125574A (ko) 2014-10-29
KR101481891B1 KR101481891B1 (ko) 2015-01-26

Family

ID=5199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3518A KR101481891B1 (ko) 2013-04-19 2013-04-19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312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얍컴퍼니 모바일 단말의 비콘 수신기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102207510B1 (ko) * 2020-04-30 2021-01-27 (주)콕스스페이스 모션 신호와 마우스 신호를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3038195A1 (ko) * 2021-09-12 2023-03-16 주식회사 콕스스페이스 사용자의 반복 동작에 기반한 사용자 정의 제스처 프로파일 생성 및 제스처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832B1 (ko) * 2016-02-23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090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와 모션을 통해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312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얍컴퍼니 모바일 단말의 비콘 수신기 활성화 장치 및 방법
KR102207510B1 (ko) * 2020-04-30 2021-01-27 (주)콕스스페이스 모션 신호와 마우스 신호를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2035027A1 (ko) * 2020-04-30 2022-02-17 주식회사 콕스스페이스 모션 신호와 마우스 신호를 사용하여 호스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US11797112B1 (en) 2020-04-30 2023-10-24 Cox Space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host device by using motion signal and mouse signal
WO2023038195A1 (ko) * 2021-09-12 2023-03-16 주식회사 콕스스페이스 사용자의 반복 동작에 기반한 사용자 정의 제스처 프로파일 생성 및 제스처 인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891B1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3142B2 (en) Device-level authorization for viewing content
KR10236462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7006053B (zh) 点对点自组织语音通信
US9210459B2 (en) Operation terminal, electronic unit, and electronic unit system
KR101922310B1 (ko) 미러 틸트 작동
RU264453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сообщения
US116045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KR101786537B1 (ko) 공유 시청각 리소스의 제어를 협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0162A (ko) 비-접촉 제스처들을 통한 제스처 인식 모드 및 디바이스 페어링 및 공유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방법들, 장치들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8476339B (zh) 一种遥控方法和终端
KR101481891B1 (ko) 모바일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70364197A1 (en) Touch operating methods, touch operati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2017001924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A2873555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CN106959834A (zh) 分屏方法及装置
KR102198175B1 (ko) 모바일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키 패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3190162A (zh)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2660695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KR2016004128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99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8003123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92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308043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70059684A (ko) 이동 단말기
KR101624799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