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722A - Pulg connetor - Google Patents

Pulg conne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722A
KR20140124722A KR20140041139A KR20140041139A KR20140124722A KR 20140124722 A KR20140124722 A KR 20140124722A KR 20140041139 A KR20140041139 A KR 20140041139A KR 20140041139 A KR20140041139 A KR 20140041139A KR 20140124722 A KR20140124722 A KR 20140124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base
housing
contac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11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8123B1 (en
Inventor
야스유키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7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1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Provided is a plug connector which suppresses contact between a contact and an opposite housing. A plug contact interval guide (45) is shifted in a direction facing a rear surface of a plug-side circuit board (15) more than a plug contact (50), and a base housing (70) is provided between base contacts (80) and comprises a base contact interval guide (75) in which the guide (45) is disposed in an inserted state. With respect to a fitting reference line (CL) extending in a fitting direction (D11)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nserted state and with respect to a surface (66) of a base-side circuit board (65) which a substrate (15) faces in a state in which a plug housing (20) is inclined and/or an inserted state, when viewed in a thickness direction (D2), the housing (20) contacts the housing (70) or the board (65)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20) is inclined, when viewed in a cross-section cut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Therefore,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50) and the housing (60) is controlled, and the inserted state is formed while correcting a moving direction of the housing (20).

Description

플러그 커넥터 {PULG CONNETOR}Plug connector {PULG CONNETOR}

본원은 일본 출원(특원2013-086275, 2013년 4월 17일 출원)에 근거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based on Japanese applica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3-086275, filed April 17, 2013).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끼워맞춤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connector to be fitted with a base connector fixed to a circuit board.

종래부터, 평평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컨택트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3-338342호 공보 참조). 일본국 특개2003-338342호 공보에 기재한 커넥터에서는, 컨택트의 자유단 측은 하우징으로부터 개방되어 있다(노출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Conventionally, a connector having a flat housing and a plurality of contact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is known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38342). In the connecto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38342, the free end side of the contact is opened (exposed) from the housing.

이와 같은 컨택트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한 형태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를 상대방의 커넥터에 접속시킬 때, 노출한 컨택트가 상대방의 커넥터의 하우징 등에 접촉하여 변형하거나 파손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connector in which the contact is exposed from the housing, when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other side, the exposed contact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using or the like of the connector of the other connector, and may be deformed or damaged.

일본국 특개2003-338342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338342

본 발명은, 노출한 컨택트가 상대방의 커넥터의 하우징 등에 접촉하여 변형하거나 파손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ug connector in which exposed contacts are suppressed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ousing or the like of the connector of the other party.

본 발명은, 베이스 측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끼워맞춤함과 아울러 플러그 측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평면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베이스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받아들이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받아들여진 수입(受入)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컨택트로서,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평면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이면으로서 상기 수입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이면의 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이면의 측으로 개방시키는 이면 측 개방부와, 복수의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는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보다도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이면의 반대면인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베이스 컨택트의 사이에 마련되는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로서 상기 수입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가 배치되는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하는 끼워맞춤 기준선에 대해서,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봤을 때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기울어진 상태 및/또는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표면으로서 상기 수입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표면에 대해서,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시(斷面視)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기울어진 상태라도,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의 접촉을 규제함과 아울러,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면서, 상기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lug connector to be fitted to a base connector fixed to a base circuit board and to be fixed to a plug-side circuit board, wherein the base connector includes a base housing, a plurality Wherein the plug connector comprises: a plug housing for receiving the base housing; and a plug contac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in a receiving state in which the base housing is received by the plug housing, And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in a plane direction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wherein the plug housing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opposite to the base side circuit board in the imported state, The plug contact is connected to the plug side And a plug contact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ug contacts and extending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plug contact toward the distal end of the plug contact, Wherein the base housing is located between the plug contacts and the base contacts, and the base housing is located offset from the surfac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that is opposi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plug contact, And a base contact-side guide in which the plug-contact-side guide is disposed, wherei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mport state, with respect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Side circuit 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inclined when view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and / or on a surface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facing the plug- The plug housing contacts the base housing or the circuit board on the base even when the plug housing is tilted in a sectional view cut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plug contact and the base housing And regula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to form the importing state.

또,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는 상기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mport state, the plug-contact-side guide correc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또,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선단부보다도 돌출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guide between the plug contacts protrude from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lug contact.

또,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체의 단부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guide between the plug contacts is flush with the entire end portion of the plug housing.

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의 측에 마련되는 표면 측 개방부로서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의 측으로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개방시키는 표면 측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lug housing includes a surface-side opening portion for opening the plug contact to a side of the surfac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the surface-side opening portion being provid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본 발명에 의하면, 노출한 컨택트가 상대방의 커넥터의 하우징 등에 접촉하여 변형하거나 파손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g connector in which an exposed contact is suppressed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housing or the like of the connector of the other par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 및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에 대한 도 2에 나타내는 A-A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커넥터(60) 및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커넥터(60)에서의 베이스 컨택트(8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커넥터(60)에 대한 도 5에 나타내는 B-B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에 대한 도 10에 나타내는 C-C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8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0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이 평면방향 D1-D3에 교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이 우선 베이스 하우징(70)에 닿고 나서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이 두께방향 D2로 교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이 우선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닿고 나서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이 두께방향 D2로 교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폭이 좁은 다른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이 두께방향 D2로 교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A)의 길이가 짧은 제1 다른 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A)의 평면도(도 2 대응도)이다.
도 31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B)의 길이가 긴 제2 다른 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B)의 평면도(도 2 대응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10 and a plug-side circuit board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for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connector 60 and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contact 80 in the base connector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for the base connector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9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and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to Fig. 8;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and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to Fig. 10.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corrected in the planar direction D1-D3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libr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complet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after the plug housing 20 first contacts the base housing 70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is the thickness direction D2. ≪ / RTI >
19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1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after the plug housing 20 first contacts the base side circuit board 65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22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Fig. 2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5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6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housing 20 is mov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width of the base- And FIG.
2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8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9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is advanc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Fig. 30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plug connector 10A according to the first alternative form in which the length of the plug contact-side guide 45A is short.
Fig. 31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2) of the plug connector 10B according to the second alternative form in which the length of the plug contact-side guide 45B is long.

이하에,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 및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에 대한 도 2에 나타내는 A-A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커넥터(60) 및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커넥터(60)에서의 베이스 컨택트(8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관한 베이스 커넥터(60)에 대한 도 5에 나타내는 B-B단면도이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lu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10 and a plug-side circuit board 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3 is a front view of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for 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connector 60 and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e contact 80 in the base connector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for the base connector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8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킨 상태에 대한 도 10에 나타내는 C-C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8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0과는 반대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9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1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and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to Fig. 8;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and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opposite side to Fig. 10. Fig.

도 1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에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60)(도 5 ~ 도 10 참조)와 끼워맞춤한다. 도 5 ~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60)는 베이스 하우징(70)과 복수(2개)의 베이스 컨택트(80)를 구비한다(상세하게는 후술함). 복수(2개)의 베이스 컨택트(80)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평면방향 D1-D3로 병렬한다.1 to 4, the plug connector 10 of the embodiment is fixed to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and includes a base connector 60 (FIGS. 5 to 8) fixed to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See Fig. 10). 5 to 10, the base connector 60 includes a base housing 70 and a plurality of (two) base contacts 80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A plurality of (two) base contacts 8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planar direction D1-D3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도 1 ~ 도 4, 도 8 ~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는 베이스 하우징(70)을 받아들이는 플러그 하우징(20)과, 병렬하는 복수(2개)의 플러그 컨택트(50)와, 고정 탭(11)을 구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접근시키는) 방향을 「끼워맞춤 방향 D11」라고 정의하고, 끼워맞춤 방향 D11 및 플러그 커넥터(10)의 두께방향 D2와 직교하는 방향을 「폭방향 D3」라고 정의하며, 「끼워맞춤 방향 D11」의 반대 방향을 「떼어냄 방향 D12」라고 정의한다. 「끼워맞춤 방향 D11」 및 「떼어냄 방향 D12」를 모두 「깊이 방향 D1」라고 정의한다. 「두께방향 D2」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저부로 향하는 방향(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이면(17)을 향하는 방향)을 「아래쪽 방향 D21」라고 정의하고, 「아래쪽 방향 D21」와는 반대 방향을 「위쪽 방향 D22」이라고 정의한다.1 to 4 and 8 to 13, the plug connector 10 includes a plug housing 20 for receiving the base housing 70, a plurality (two) of plug contacts 50 arranged in parallel, And a fixing tab 11.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approach) to the base connector 60 is defined as " fitting direction D11 ", and the fitting direction D11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10 The direction orthogonal to D2 is defined as "width direction D3",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fitting direction D11" is defined as "detaching direction D12". The " fitting direction D11 " and the " peeling direction D12 " are both defined as the " depth direction D1 ". The direction toward the bottom of the plug connector 10 (the direction toward the back surface 17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is defined as the "downward direction D21"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ownward direction D21" Direction is defined as " upward direction D22 ".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은 그 끼워맞춤 방향 D11의 단부에 파냄부(18)(도 3, 도 4 참조)를 가진다. 파냄부(18)는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두께방향 D2으로 파내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냄부(18)는 끼워맞춤 방향 D11로 개방한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다.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이면(17)은 수입상태(후술함)에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대향하는 면이다.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has a pawl portion 18 (see Figs. 3 and 4) at the end of the fitting direction D11. The pawl portion 18 is pierc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eling section 18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pened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The back surface 17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is a surface facing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in an import state (to be described later).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파냄부(18)에 배치되어 실장(實裝)된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10)가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에 고정(실장)된 상태에서, 플러그 측 회로기판(15) 및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체로서의 저배화(低背化)가 실현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2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평평한 대략 상자 형상을 가진다. 플러그 하우징(20)은 플러그 하우징(20)의 기부(基部) 측을 형성하는 하우징 본체부(21)와, 상대방의 베이스 커넥터(60)가 수용되는 수용부(22)를 구비한다.The plug connector 10 is disposed and mounted on the detacher 18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 Therefore, in the state that the plug connector 10 is fixed (mounted) on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and the plug connector 10 can be realized as low- . The plug housing 20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has a flat box shape. The plug housing 20 has a housing main body portion 21 forming the base side of the plug housing 20 and a receiving portion 22 receiving the base connector 60 of the other side.

플러그 컨택트(50)는 베이스 하우징(70)이 플러그 하우징(20)에 받아들여진 상태(이하 「수입상태」라고도 함)에서,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택트이다. 복수(2개)의 플러그 컨택트(50)는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평면방향 D1-D3으로에병렬한다.The plug contact 50 is a contac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housing 70 is received in the plug housing 20 . A plurality of (two) plug contacts 50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planar direction D1-D3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

플러그 컨택트(50)는, 예를 들면, 도전성의 금속판에 타발(打拔)가공, 프레스 성형 가공 등이 시행되어, 소정 형상의 일체물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플러그 컨택트(50)는 선단부(51)의 측에서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에 접촉하고, 기단부(52)의 측에서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배선(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 컨택트(50)의 선단부(51)의 측은 평면방향 D1-D3으로 넓어지고 또한 깊이 방향 D1으로 연장하는 설편(舌片) 모양의 돌출부(53)를 형성하고 있다.The plug contact 50 is formed, for example, by a stamping process, a press forming process, or the like on a conductive metal plate as an integral piece of a predetermined shape. The plug contact 50 in this embodiment is in contact with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on the side of the tip end portion 51 and contacts the base contact 80 on the side of the proximal end portion 52 of the plug side circuit board 15 (Not shown). The tip 51 of the plug contact 50 forms a tongue-like protrusion 53 that widens in the planar direction D1-D3 and extends in the depth direction D1.

수용부(22)는 측벽부(25)와, 천벽부(26)와, 저벽부(27)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와, 표면 측 개방부(41)와, 이면 측 개방부(42)를 구비한다. 측벽부(25)는 수용부(22)의 폭방향 D3의 양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종단면 방향 D1-D2으로 넓어지고 있다. 천벽부(26)는 측벽부(25)의 상부로부터 폭방향 D3의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저벽부(27)는 측벽부(25)의 하부로부터 폭방향 D3의 내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측벽부(25)와 천벽부(26)와 저벽부(27)는 'コ'자 모양의 벽부를 형성한다.The accommodating portion 22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25, a top wall portion 26, a bottom wall portion 27, a plug contact guide 45, a front surface side opening portion 41, 42). The side wall portion 25 is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D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wid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1-D2. The ceiling wall portion (26) extend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D3)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25). The bottom wall portion 27 extends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D3 from the bottom of the side wall portion 25. [ The side wall portion 25, the ceiling wall portion 26, and the bottom wall portion 27 form a 'U' shaped wall portion.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수용부(22)의 폭방향 D3의 중앙부에 끼워맞춤 방향 D11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50)의 사이에 배치되고, 플러그 컨택트(50)의 기단부(52)로부터 선단부(51)을 향해서(끼워맞춤 방향 D11으로) 연장한다.The plug contact guide 45 is provided so as to extend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at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D3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2. [ The plug contact guide 45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ug contacts 50 and extends from the proximal end 52 of the plug contact 50 toward the distal end 51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표면 측 개방부(41)는 천벽부(26)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이다. 표면 측 개방부(41)는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표면(16)의 측에 마련되고, 플러그 컨택트(50)를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표면(16)의 측으로 개방시킨다(노출시킨다). 이면 측 개방부(42)는 저벽부(27)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부이다. 이면 측 개방부(42)는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이면(17)의 측에 마련되고, 플러그 컨택트(50)를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이면(17)의 측으로 개방시킨다(노출시킨다).The front surface side open portion 41 is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ceiling wall portion 26 and the plug contact guide 45. Side openings 41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rface 16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and open the plug contacts 50 toward the surface 16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 The back side open portion 42 is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bottom wall portion 27 and the plug contact guide 45. The back side open portion 42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ack surface 17 of the plug side circuit board 15 and opens the plug contact 50 to the back side 17 of the plug side circuit board 15 ).

측벽부(25)와, 천벽부(26)와, 저벽부(27)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와, 표면 측 개방부(41)와, 이면 측 개방부(42)는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을 형성한다.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은 끼워맞춤 방향 D11, 아래쪽 방향 D21 및 위쪽 방향 D22으로 개방하고 있다.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 가운데, 두께방향 D2으로 천벽부(26)와 저벽부(27)에 끼워진 공간(환언하면, 측벽부(25)와 천벽부(26)와 저벽부(27)로 이루어지는 'コ'자 모양의 벽부에 둘러싸인 공간)을 「가이드 리브 삽입공간(44)」이라고도 한다.The side wall portion 25, the ceiling wall portion 26, the bottom wall portion 27, the plug contact-side guide 45, the front surface side opening portion 41, and the back surface side opening portion 42, Thereby forming a space 43. The plug contact arranging space 43 is opened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the downward direction D21 and the upward direction D22. The plug contact arrangement space 43 is formed in a space D2 between the top wall portion 26 and the bottom wall portion 27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in other words, the side wall portion 25, the top wall portion 26, and the bottom wall portion 27) Shaped wall portion) is also referred to as " guide rib insertion space 44 ".

고정 탭(11)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판상부재로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10)를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표면(실장면)(16)에 고정할 때에 납땜에 의해 결합된다.The fixing tab 11 is formed of a rectangular plate-shaped member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coupled by soldering when the plug connector 10 is fixed to the surface (mounting surface) 16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플러그 컨택트(50)보다도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표면(16)으로부터 이면(17)을 향하는 아래쪽 방향 D21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의 하면이 플러그 컨택트(50)의 하면보다도 아래쪽 방향 D21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는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의 전체가 플러그 컨택트(50)의 하면보다도 아래쪽 방향 D21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와,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의 일부만이 플러그 컨택트(50)의 하면보다도 아래쪽 방향 D21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양쪽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자이다.The plug contact guide 45 is positioned to be offset from the plug contact 50 in the downward direction D21 from the surface 16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to the back surface 17 thereof. Means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contact guide 45 is displaced in the downward direction D2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contact 50. [ Contact between the plug contact 50 and the plug contact 50 is shif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D21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contact 50 and only a part of the plug contact- And the case of being located on the side of the lower direction D21 than both sid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ter is the latter.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의 선단부(46)는 플러그 컨택트(50)의 선단부(51)보다도 끼워맞춤 방향 D11으로 돌출해 있다.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의 선단부(46)는 플러그 하우징(20)의 전체의 단부(23)(도 2 참조)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체의 단부(23)는 측벽부(25), 천벽부(26) 및 저벽부(27) 각각에서의 끼워맞춤 방향 D11의 측의 단면(端面)에 의해서 형성된다.The tip end portion 46 of the plug contact guide 45 protrudes from the tip end portion 51 of the plug contact 50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The tip end portion 46 of the plug contact guide 45 is flush with the entire end portion 23 (see Fig. 2) of the plug housing 20. The entire end portion 23 is formed by the end face on the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25, the top wall portion 26 and the bottom wall portion 27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하우징 본체부(21), 천벽부(26) 및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 각각의 상면은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부(21), 저벽부(27) 및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 각각의 하면은 동일면으로 되어 있다.The upper surfaces of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21, the ceiling wall portion 26, and the plug contact-side guides 45 are the same. The bottom surfaces of the housing main body portion 21, the bottom wall portion 27, and the plug contact-side guides 45 are the same.

다음으로,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0)와 조합되어 사용되는 베이스 커넥터(60)로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60)에 대해서, 도 5 ~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 ~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커넥터(60)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고정되는 커넥터이다.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표면(66)은 수입상태에서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에 대향하는 면이다. 베이스 커넥터(6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하우징(70)과, 금속제의 베이스 컨택트(80)를 구비한다.Next, the base connector 60 fixed to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as the base connector 60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plug connector 10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3 do. As shown in Figs. 5 to 7, the base connector 60 is a connector fixed to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Fig.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surface 66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is a surface facing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in the imported state. The base connector 60 includes a base housing 70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base contact 80 made of metal.

베이스 하우징(70)은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와,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와, 연장 저부(低部)(74)를 구비한다.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는 베이스 컨택트(80)를 수용한다.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는 폭방향 D3으로 이간하여 복수(2개) 마련된다.The base housing 70 has a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 71, a guide 75 between the base contacts, and an extended bottom portion 74. The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 71 accommodates the base contact 80. A plurality (two) of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s 71 are provid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D3.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는 폭방향 D3으로 인접하는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 71)의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에는 수입상태에서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가 배치된다. 연장 저부(74)는 인접하는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 71)에 걸쳐 폭방향 D3으로 연장하고 있고,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의 하부로부터 떼어냄 방향 D12으로 연장하고 있다. 연장 저부(74)의 떼어냄 방향 D12의 측으로서 위쪽 방향 D22의 측의 모서리부에는 모따기가 마련되어 있다. 또, 연장 저부(74)의 폭방향 D3의 양 모서리부에는 모따기가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의 떼어냄 방향 D12의 측의 일부는 연장 저부(74)에도 마련되어 있다.The base contact guide 75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s 71, 71 adjacent in the width direction D3. The inter-base contact guide 75 is provided with the inter-plug contact guide 45 in the imported state. The extended bottom portion 74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D3 across the adjacent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s 71 and 71 and extends in the removing direction D12 from the bottom of the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 71. [ A chamfer is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on the side of the upward direction D22 as the side of the extending bottom portion 74 in the removing direction D12. Further, chamfering is provided at both corner portions of the extending bottom portion 74 in the width direction D3. A part of the side of the base contact-side guide 75 in the removal direction D12 is also provided in the extending bottom portion 74.

베이스 컨택트(80)는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에 끼워맞춤 방향 D11 및 떼어냄 방향 D12 각각의 측으로 노출하여 배치된다. 2개의 베이스 컨택트(80)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실장면인 표면(66)의 측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컨택트(8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소재로서의 금속판에 타발가공, 프레스 성형 가공 등을 시행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금속 일체물의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The base contacts 80 are disposed on the base contact housing part 71 of the base housing 70 so as to be exposed toward the fitting direction D11 and the removing direction D12, respectively. The two base contacts 80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urface 66, which is the mounting surface of the base side circuit board 65. The base contact 8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by performing punching, press forming, or the like on a metal plate as a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obtain a connector of a metal integral body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컨택트(80)는 베이스 컨택트 본체부(81)와, 가압부(82)와, 암부(83)를 구비한다. 베이스 컨택트 본체부(81)는 주로 베이스 컨택트(80)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위이며, 저부(811)와, 측벽부(813)와, 천부(天部)(815)와, 가압편(817)을 구비한다.6, the base contact 80 includes a base contact main body portion 81, a pressing portion 82, and an arm portion 83. As shown in Fig. The base contact main body portion 81 mainly forms a contour of the base contact 80 and includes a bottom portion 811, a side wall portion 813, a ceiling portion 815, a pressing piece 817, Respectively.

저부(811)는 베이스 컨택트 본체부(81)의 하부를 형성한다. 측벽부(813)는 저부(811)에서의 폭방향 D3의 외측 각각에 한 쌍 마련된다. 측벽부(813)는 저부(811)로부터 위쪽 방향 D22으로 기립하고 있고, 종단면 방향 D1-D2으로도 넓어지고 있다.The bottom portion 811 forms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contact main body portion 81.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813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D3 in the bottom portion 811. [ The side wall portion 813 rises in the upward direction D22 from the bottom portion 811 and wid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1-D2.

천부(815)는 한 쌍의 측벽부(813)의 상단부로부터 폭방향 D3의 내측 각각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천부(天部)(815)의 선단부끼리는 근접하고 있고, 대략 일체적인 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811), 측벽부(813) 및 천부(815)는 종단면 D2-D3에서 4각 틀 형상(「ロ」자 모양)을 가진다.The ceiling portion 815 is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813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D3. The tip portions of the pair of heights 815 are close to each other, and a substantially integrated heel portion is formed. The bottom portion 811, the side wall portion 813 and the ceiling portion 815 have a quadrangular frame shape (" b " shape) on the longitudinal sides D2-D3.

가압편(817)은 한 쌍의 천부(815) 각각에 마련되고, 아래쪽 방향 D21으로 돌출해 있다. 가압편(817)은 끼워맞춤 방향 D11 및 아래쪽 방향 D21를 향해서 연장하는 설편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편(817)은 수입상태에서 두께방향 D2로 천부(815)와 암부(83)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플러그 컨택트(50)를 가압한다.The pressing piece 817 is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ceiling portions 815 and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D21. The pressing piece 817 has a tongue-like shape extending toward the fitting direction D11 and the downward direction D21. The pressing piece 817 presses the plug contact 50 disposed between the ceiling portion 815 and the arm portion 83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in the imported state as shown in Fig.

가압부(82)는 천부(815)에 대해서 끼워맞춤 방향 D11 및 떼어냄 방향 D12의 측에 배치되고 있다. 암부(83)는 저부(811)에서의 떼어냄 방향 D12의 측의 단부와, 가압부(82)에서의 떼어냄 방향 D12의 측의 단부를 연결한다. 가압부(82)가 아래쪽 방향 D21의 측으로 가압되면, 암부(83)에는(나아가서는, 가압부(82)에도), 위쪽 방향 D22로 향하는 방향의 가압력이 발현(發現)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83)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맞물림 돌기부(84)를 구비한다.The pressing portion 8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xing portion 811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and the detaching direction D12. The arm portion 83 connects the end of the bottom portion 811 on the side of the releasing direction D12 and the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82 on the side of the releasing direction D12. When the pressurizing portion 82 is press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D21, a pressing forc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upward direction D22 is exerted on the arm portion 83 (and also on the pressurizing portion 82). As shown in Fig. 7, the arm portion 83 has an engaging projection 84 at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부(83)와 천부(815)는 수입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의 돌출부(53)를 두께방향 D2로 끼워넣는 형상을 가진다. 또, 가압편(817)은 플러그 컨택트(50)의 돌출부(53)를 가압한다(밀어붙인다). 또, 맞물림 돌기부(84)는 플러그 컨택트(50)의 맞물림부(54)에 맞물린다.11, the arm portion 83 and the ceiling portion 815 have a shape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53 of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fit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in the imported state. Further, the pressing piece 817 presses (pushes) the projection 53 of the plug contact 50. The engaging projection 84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54 of the plug contact 50.

상술의 구성을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60)는, 도 8 ~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합되고, 소켓-베이스 커넥터 한 쌍이 형성된다.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를 대향시킨다. 또,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과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를 대향시킨다. 또,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가이드 리브 삽입공간(44)과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가이드 리브(73)를 대향시킨다.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6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re combined as shown in Figs. 8 to 13, and a pair of socket-base connectors is formed.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oppos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The plug contact arranging space 43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tact housing portion 71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guide rib insertion space 44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guide rib 73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opposed.

도 8 및 도 9, 도 12, 도 10, 도 11 및 도 13에 차례차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를 향해서 끼워맞춤 방향 D11으로 접근시킨다. 그 과정에서,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에 삽입된다.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가이드 리브(73)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가이드 리브 삽입공간(44)에 삽입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의 돌출부(53)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에서의 암부(83)와 천부(815)와의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컨택트(80)는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plug connector 10 approaches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as shown in Fig. 8, Fig. 9, Fig. 12, Fig. 10, Fig. 11 and Fig. The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 71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is inserted into the plug contact arrangement space 43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in the process. The guide ribs 73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rib insertion spaces 44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The protruding portion 53 of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inserted and sandwiched between the arm portion 83 and the ceiling portion 815 in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 Thereby, the plug contact 50 and the base contact 80 ar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의 암부(83)의 맞물림 돌기부(84)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의 돌출부(53)의 맞물림부(54)와 맞물린다. 그 결과, 플러그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60)가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된 수입상태는 유지된다. 또,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에 배치된다.The engaging projection 84 of the arm portion 83 of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54 of the projecting portion 53 of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 As a result, the import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60 are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is maintained. In addition, the plug contact-side guide 45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disposed in the base-contact-contact guide 75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본 실시형태에 관한 플러그 커넥터(10)는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하우징(70)과의 접촉을 규제함과 아울러,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면서, 수입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10)와 베이스 커넥터(60)와의 끼워맞춤 방향 D11(깊이 방향 D1)으로 연장하는 기준선을 「끼워맞춤 기준선 CL」이라고도 한다.The plug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stricts the contact between the plug contact 50 and the base housing 70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mport state, and while corr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t can form an import status. Here, the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depth direction D1) between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nector 60 is also referred to as " fitting reference line CL ".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이 평면방향 D1-D3으로 교정되는 과정에 대해서, 도 14 ~ 도 17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 ~ 도 17에 나타내는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에 있어서는,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대해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두께방향 D2으로 봤을 때에 플러그 하우징(20)이 기울어진 상태라도, 플러그 하우징(20)(특히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은 베이스 하우징(70) 또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은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하우징(70)과의 접촉을 규제함과 아울러,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면서 수입상태를 형성한다.14 to 17 for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n the planar direction D1 to D3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 In the calibr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shown in Figs. 14 to 17, when the plug housing 2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The plug housing 20 (in particular, the plug contact guide 45) contacts the base housing 70 or the base side circuit board 65. Thus, the plug housing 20 regulates the contact between the plug contact 50 and the base housing 70, and forms an importing state while corr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저벽부(27)가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외측면에 접촉했을 경우, 이하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교정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가까워지도록 교정된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에 접촉한다. 그러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더욱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가까워지도록 교정된다.14, when the bottom wall portion 27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as described below,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member 20 is corrected. As shown in Fig. 15,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corrected so as to approach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Therefore, the plug contact-side guide 45 contacts the base contact-in-guide 75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Then, as shown in Fig. 16,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further corrected so as to be closer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그러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에 도입된다.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일치한다. 그러면, 도 12, 도 10,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70)의 가이드 리브(73)는 플러그 하우징(20)의 가이드 리브 삽입공간(44)에 도입되며, 그 결과,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는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에 도입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는 접속된다.Then, as shown in Fig. 17, the plug-contact inter-level guide 45 is introduced into the inter-base contact guide 75.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lug housing 20 coincides with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12, 10, and 13, the guide ribs 73 of the base housing 70 are introduced into the guide rib insertion space 44 of the plug housing 20, and as a result, 70 are introduced into the plug contact arrangement space 43 of the plug housing 20. [ 11,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다음으로,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베이스 커넥터(60)에 끼워맞춤시키는 과정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이 두께방향 D2로 교정되는 과정에 대해서, 도 18 ~ 도 20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8 ~ 도 20에 나타내는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의 교정에서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표면(66)에 대해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두께방향 D2으로 절단한 단면시(斷面視)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이 기울어진 상태라도, 플러그 하우징(20)(특히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은 베이스 하우징(70) 또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은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하우징(70)과의 접촉을 규제함과 아울러,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면서, 수입상태를 형성한다.18 to 20 and the like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in the process of fitting the plug connector 10 to th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In the calibr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shown in Figs. 18 to 20, the surface 66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is bent in the cross- The plug housing 20 (in particular, the plug contact guide 45) contacts the base housing 70 or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even when the plug housing 20 is tilted in a sectional view. Thus, the plug housing 20 regulates the contact between the plug contact 50 and the base housing 70, and forms an importing state while corr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천벽부(26)에서의 끼워맞춤 방향 D11의 측의 단부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의 천면(天面)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가까워지도록 교정된다. 그러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70)의 가이드 리브(73)는 플러그 하우징(20)의 가이드 리브 삽입공간(44)에 도입된다. 다음으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는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에 도입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는 접속된다.The end of the plug connector 10 on the side of the top wall 26 of the plug housing 20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is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70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And contacts the top surface of the pouring portion 71. There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corrected so as to approach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19, the guide ribs 73 of the base housing 70 are introduced into the guide rib insertion space 44 of the plug housing 20. As shown in Fig. 20, the base contact housing portion 71 of the base housing 70 is introduced into the plug contact arrangement space 43 of the plug housing 20. As shown in Fig.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connected.

다음으로, 도 18 ~ 도 20에 나타내는 예와는 달리,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이 최초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접촉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case where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first contacts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unlike the example shown in Figs. 18 to 20, will be described.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저벽부(27)에서의 끼워맞춤 방향 D11의 측의 단부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표면(66)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가까워지도록 교정된다. 다음으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75)에 접촉한다.The end of the plug connector 10 on the side of the bottom wall 27 of the plug housing 20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66 of the base circuit board 65 . There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corrected so as to approach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22, the plug contact side guide 45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the base contact side guide 75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Contact.

다음으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천벽부(26)에서의 끼워맞춤 방향 D11의 측의 단부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의 천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더욱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가까워지도록 교정된다. 다음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70)의 가이드 리브(73)는 플러그 하우징(20)의 가이드 리브 삽입공간(44)에 도입된다. 다음으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는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에 도입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는 접속된다.23, the end of the plug connector 10 on the side of the flange portion 26 of the plug housing 20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is connected to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se contact accommodating portion (71). There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further corrected so as to be closer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Next, as shown in Fig. 24, the guide ribs 73 of the base housing 70 are introduced into the guide rib insertion space 44 of the plug housing 20. As shown in Fig. 25, the base contact housing portion 71 of the base housing 70 is introduced into the plug contact arrangement space 43 of the plug housing 20. As shown in Fig.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connected.

다음으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폭 W1(도 9 참조)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한 쌍의 저벽부(27) 각각에서의 폭방향 D3의 내측 단부끼리의 사이의 폭 W2(도 3 참조)보다도 좁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하우징(20)의 저벽부(27)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연장 저부(74)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가까워지도록 교정된다.Next, the width W1 (see FIG. 9)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is set so that the inner ends of the inner ends in the width direction D3 of each of the pair of bottom wall portions 27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Is narrower than the width W2 (see FIG. The bottom wall portion 27 of the plug housing 20 of the plug connector 10 contacts the extended bottom portion 74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as shown in Fig. There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corrected so as to approach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그러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20)의 천벽부(26)는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의 천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더욱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가까워지도록 교정된다. 다음으로,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70)의 가이드 리브(73)는 플러그 하우징(20)의 가이드 리브 삽입공간(44)에 도입된다. 다음으로,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70)의 베이스 컨택트 수납부(71)는 플러그 하우징(20)의 플러그 컨택트 배치공간(43)에 도입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컨택트(80)는 접속된다.27, the ceiling wall portion 26 of the plug housing 20 contacts the surface of the base contact housing portion 71 of the base housing 70 of the base connector 60. As shown in Fig. There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is further corrected so as to be closer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Next, as shown in Fig. 28, the guide ribs 73 of the base housing 70 are introduced into the guide rib insertion space 44 of the plug housing 20. 29, the base contact housing portion 71 of the base housing 70 is introduced into the plug contact arrangement space 43 of the plug housing 20. As shown in Fig. The plug contact 50 of the plug connector 10 and the base contact 80 of the base connector 60 are connected.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0)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특히,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는 플러그 컨택트(50)보다도 플러그 측 회로기판(15)의 표면(16)으로부터 이면(17)을 향하는 방향 D21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또,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끼워맞춤 방향 D11로 연장하는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대해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두께방향 D2으로 봤을 때에 플러그 하우징(20)이 기울어진 상태 및/또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표면(66)에 대해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두께방향 D2으로 절단한 단면시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이 기울어진 상태라도, 플러그 하우징(20)은 베이스 하우징(70) 또는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20)은 플러그 컨택트(50)와 베이스 하우징(70)과의 접촉을 규제함과 아울러, 플러그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면서, 수입상태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노출한 플러그 컨택트(50)가 상대방의 베이스 커넥터(60)의 베이스 하우징(70) 등에 접촉하여 변형하거나 파손하거나 하는 것이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plug connector 10 of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particular, in the plug connector 10 of the embodiment, the plug-contact interposer 45 is displaced in the direction D21 from the surface 16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15 to the back surface 17 of the plug- have. When the plug housing 20 is incli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with respect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mport state and / Even when the plug housing 20 is inclined in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D2 of the base side circuit board 65 with respect to the surface 66 of the base side circuit board 65, And contacts the housing 70 or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Thus, the plug housing 20 regulates the contact between the plug contact 50 and the base housing 70, and forms an importing state while correc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20. Therefore, the exposed plug contact 50 is inhibited from being deformed or damag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ase housing 70 of the other party's base connector 60 or the like.

이상,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0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A)의 플러그 하우징(20A)에서는,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A)의 선단부(46)는 플러그 하우징(20)의 전체의 단부(23)보다도 떼어냄 방향 D12으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후퇴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도 31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0B)의 플러그 하우징(20B)에서는,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45B)의 선단부(46)는 플러그 하우징(20)의 전체의 단부(23)보다도 끼워맞춤 방향 D11으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돌출해 있어도 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lu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in the plug housing 20A of the plug connector 10A shown in Fig. 30, the tip end portion 46 of the plug contact guide 45A is separated from the entire end portion 23 of the plug housing 20 in the detaching direction It may be shifted to D12 (it may be retracted). In the plug housing 20B of the plug connector 10B shown in Fig. 31, the tip end portion 46 of the plug contact-side guide 45B is inserted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relative to the entire end portion 23 of the plug housing 20 (May be protruding).

「끼워맞춤 방향 D11으로 연장하는 끼워맞춤 기준선 CL에 대해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두께방향 D2으로 봤을 때에 플러그 하우징(20)이 기울어진 상태」 및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표면(66)에 대해서, 베이스 측 회로기판(65)의 두께방향 D2으로 절단한 단면시에서 플러그 하우징(20)이 기울어진 상태」가 병존하고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발휘된다.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플러그 커넥터(10)에 2개의 플러그 컨택트(50)가 마련되고, 1개의 베이스 커넥터(60)에 2개의 베이스 컨택트(80)가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1개의 플러그 커넥터(10)에 3개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50)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1개의 베이스 커넥터(60)에 3개 이상의 베이스 컨택트(80)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The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20 is inclined when view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D2 of the base side circuit board 65 and the stat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base side circuit board 65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CL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D11 & Even when the plug housing 20 is tilted in the cross section cut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D2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65 with respect to the base plate 66,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rted. Although two plug contacts 50 are provided in one plug connector 10 and two base contacts 80 are provided in one base connector 60 in th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ree or more plug contacts 50 may be provided in one plug connector 10. Three or more base contacts 80 may be provided on one base connector 60.

10 플러그 커넥터 15 플러그 측 회로기판
16 표면 17 이면
20 플러그 하우징 23 단부
41 표면 측 개방부 42 이면 측 개방부
45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 46 선단부
50 플러그 컨택트 51 선단부
52 기단부 60 베이스 커넥터
65 베이스 측 회로기판 66 표면
70 베이스 하우징 75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
80 베이스 컨택트 CL 끼워맞춤 기준선
D1-D3 평면방향 D11 끼워맞춤 방향
D2 두께방향 D21 아래쪽 방향
10 Plug connector 15 Plug side circuit board
16 Surface 17
20 plug housing 23 end
41 surface side opening portion 42,
45 Guide Between Plug Contacts 46 Tip
50 plug contact 51 tip
52 Base end 60 Base connector
65 base side circuit board 66 surface
70 Base housing 75 Guide between base contacts
80 Base contact CL fit baseline
D1-D3 Plane direction D11 Fitting direction
D2 thickness direction D21 downward direction

Claims (5)

베이스 측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베이스 커넥터와 끼워맞춤함과 아울러 플러그 측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상기 베이스 커넥터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평면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베이스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을 받아들이는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받아들여진 수입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컨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 컨택트로서,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평면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이면으로서 상기 수입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이면의 측에 마련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이면의 측으로 개방시키는 이면 측 개방부와, 복수의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서 연장하는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보다도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이면의 반대면인 표면으로부터 상기 이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은 복수의 상기 베이스 컨택트의 사이에 마련되는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로서, 상기 수입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가 배치되는 베이스 컨택트 사이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베이스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하는 끼워맞춤 기준선에 대해서,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봤을 때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기울어진 상태 및/또는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표면으로서 상기 수입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에 대향하는 표면에 대해서,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시(斷面視)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기울어진 상태라도,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베이스 측 회로기판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의 접촉을 규제함과 아울러,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면서 상기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플러그 커넥터.
A plug connector fixed to the plug-side circuit board and fitted to the base connector fixed to the base-side circuit board,
Wherein the base connector includes a base housing and a plurality of base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in a planar direction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Wherein the plug connector includes: a plug housing for receiving the base housing; and a plug contac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se contact in an import state in which the base housing is received in the plug housing, A plurality of plug contacts,
Wherein the plug housing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opposite to the base-side circuit board in the imported state, and the plug- And a plug contact inter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ug contacts and extending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plug contact toward the distal end,
Wherein the plug-contact-side guide is displaced from a surfac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which is opposite to the back surfac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in a direction toward the back surface,
Wherein the base housing includes a base contact-side guid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se contacts, and a base contact-side guide in which the guide is disposed between the plug contacts in the imported state,
Wherein a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inclined when view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and a state in which the plug housing is inclined in a state of being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itting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base connector, Side circuit board is cut off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with respect to a surface of the base-side circuit board facing the plug-side circuit board in the imported state, The plug housing contacts the base housing or the base circuit board to regulate the contact between the plug contact and the base housing and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to form the import state Plug connecto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는 상기 수입상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이동방향을 교정하는 플러그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lug contact guide correct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g housing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import state.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선단부보다도 돌출해 있는 플러그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tip end portion of the plug-to-contact guide protrudes from the tip end portion of the plug contact.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 사이 가이드의 선단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전체의 단부와 동일면으로 되어 있는 플러그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tip end portion of the guide between the plug contacts is flush with the entire end of the plug housing.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의 측에 마련되는 표면 측 개방부로서 상기 플러그 측 회로기판의 상기 표면의 측으로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개방시키는 표면 측 개방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g housing has a surface side open portion provided on a side of the surfac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the surface-side opening portion opening the plug contact toward the surface of the plug-side circuit board.
KR1020140041139A 2013-04-17 2014-04-07 Plug connector KR1021281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6275 2013-04-17
JP2013086275A JP6174360B2 (en) 2013-04-17 2013-04-17 Plug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722A true KR20140124722A (en) 2014-10-27
KR102128123B1 KR102128123B1 (en) 2020-06-29

Family

ID=5193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139A KR102128123B1 (en) 2013-04-17 2014-04-07 Plug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174360B2 (en)
KR (1) KR1021281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4286B2 (en) 2014-10-06 2019-08-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Plug connector, plug connector unit, and connector device
JP6687260B1 (en) * 2018-10-22 2020-04-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
JP6723567B2 (en) 2018-10-22 2020-07-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8342A (en) 2002-05-20 2003-11-28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board
JP2012049002A (en) * 2010-08-27 2012-03-08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WO2013037966A1 (en) * 2011-09-16 2013-03-21 Fci Hingeable connec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8342A (en) 2002-05-20 2003-11-28 Jst Mfg Co Ltd Connector for printed wiring board
JP2012049002A (en) * 2010-08-27 2012-03-08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WO2013037966A1 (en) * 2011-09-16 2013-03-21 Fci Hingeable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123B1 (en) 2020-06-29
JP6174360B2 (en) 2017-08-02
JP2014211957A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511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407391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799314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567356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KR101383455B1 (en) Electric connector
US7303438B2 (en) Plug connector with mating protection and alignment means
US7175444B2 (en) Plug connector and construction therefor
US8388364B2 (en) Joint connector and busbar
US2015004490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47518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196984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bstrate connector
US739019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
US9608347B2 (en) Right-angle electrical connector
US1019977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vice securing shielding plate and insulator together before molding
US8986020B2 (en) Inter-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792254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s each with free guiding end
KR20170042484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R20140124722A (en) Pulg connetor
US8277261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60071607A (en)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a fpc to printed circuit bboard
KR101617330B1 (en) Poke-in connector with improved separatiom performance of wire
US7686660B2 (en) Connector and receptacle therefor
TWM459585U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