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701A -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 Google Patents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701A
KR20140124701A KR1020130042891A KR20130042891A KR20140124701A KR 20140124701 A KR20140124701 A KR 20140124701A KR 1020130042891 A KR1020130042891 A KR 1020130042891A KR 20130042891 A KR20130042891 A KR 20130042891A KR 20140124701 A KR20140124701 A KR 20140124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disposed
yarn
wearable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옥
Original Assignee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실버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701A/ko
Publication of KR20140124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4Panti-hose; Body-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4Gloves with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94Protective gloves with accessories, e.g. tools,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적으로 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발열체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보온할 수 있으며, 하중이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물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착용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있어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구 본체; 및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구 본체는, 발 또는 손을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면상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면상체; 및 상기 제1 면상체의 둘레에 덧씌워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 상기 상직부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 및 상기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구비한 제2 면상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사에 의해 이격공간을 갖도록 직조된 착용구 본체에 발열선이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완충작용을 통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력 등을 흡수, 완충할 수 있고, 열기의 보온작용을 수행하여 온열효과가 상승되고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을 절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마찰작용에도 발열선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열선이 가요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구성되므로 자수기나 직기를 통해 공급하여 자동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과 공수를 줄일 수 있어서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DEVICE WEARING FOOT AND HAND}
본 발명은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체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적으로 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발열체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보온할 수 있으며, 하중이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 완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물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착용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동절기나 혹한의 환경에서 방한을 위한 용도, 발의 보온 및 보호 기능, 및 땀을 흡수하여 건강을 증진하는 용도, 예의나 개성의 표현 등 다양한 기능과 용도로 착용하게 된다.
양말은 발을 덮어 감싸는 발커버부, 발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발목을 덮어주는 발목커버부, 및 발목커버부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발목커버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양말은 다양한 기능성 소재의 개발로 인해 보온, 수분흡수성, 탈취,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제품이 출시 또는 개발되고 있으나, 보온 소재를 이용하여 기대할 수 있는 양말의 보온력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으므로 혹한의 환경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여전히 동상과 같은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98787호에 개시된 발열양말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979557호에 개시된 자체 발열기능을 갖는 양말 등과 같은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다.
아울러, 인체의 손 부분에는 동절기나 저온환경에서 냉기로부터 손을 보온하기 위한 용도, 또는 작업시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장갑에도 별도의 발열장치를 장갑몸체에 구성한 것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6584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등 부분과 손가락 부분이 두 겹으로 형성된 장갑 본체의 손등 부분과 손가락 부분에 삽입 설치되고, 한 쌍의 불연성 부직포 사이에 일정한 저항값을 갖는 텅스텐 또는 스테인리스(SUS) 재질의 박막 또는 와이어 형태의 발열선(240)이 배선된 다수의 면상발열체(200); 내부에 충전지 또는 건전지를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면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320)와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홈 형태의 출력단자(340)가 형성된 전원공급부(300); 상기 전원공급부(300)의 출력단자에 결합하도록 핀 형태로 형성된 연결단자(420)와, 상기 연결단자(420)로부터 각 면상발열체의 발열선(240)으로 병렬 연결되면서 그 외면은 절연성 피복으로 감싸진 전선으로 구성되는 연결부(400)를 구비한 발열식 방한장갑이 제안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열양말이나 발열장갑은 기존의 양말이나 장갑에 발열선을 배치하고, 이 발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필요시에 발열작용을 통해 온열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었으나, 잦은 세탁을 필요로 하는 양말이나 장갑의 본체에 발열선이 배치, 구성되어 있으므로 쉽게 손상되고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 발열양말 및 발열장갑은 홑 겹의 직물지로 형성된 본체에 발열선이 배치된 것이므로, 반복적인 마찰작용으로 인해 본체가 손상될 경우 발열선 또한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발열양말 및 발열장갑은 홑 겹의 본체에 발열선이 배치된 것이므로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서 발열선으로부터 생성된 열기가 쉽게 외부로 발산되고 이로 인해 전기 에너지의 소모량이 과다한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발열양말은 홑 겹의 본체에 발열선이 배치된 것이므로 보행시 발로 인가되는 신체 하중이나 노면과의 접촉시 발 부분으로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할 수 없어서 불편하고 피로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발열체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적으로 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발열체로부터 발산되는 열기를 보온할 수 있도록 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중이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물감이 발생되지 않으며 착용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있어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구 본체; 및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구 본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 상기 상직부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 및 상기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상직부, 상기 하직부 및 상기 이격공간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있어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구 본체; 및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구 본체는, 발 또는 손을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면상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면상체; 및 상기 제1 면상체의 둘레에 덧씌워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 상기 상직부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 및 상기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구비한 제2 면상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면상체와 상기 제2 면상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 면상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 상기 상직부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 및 상기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면상체의 상직부, 하직부, 및 이격공간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착용구 본체는 덧신양말 형상, 발목양말 형상, 양말 형상, 스타킹 형상, 타이츠 형상, 손가락장갑 형상, 벙어리장갑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착용구 본체에 설치되는 신축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구 본체는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지압 기능을 수행하는 지압부재,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기에 의해 가열되고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수행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 및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는 마사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시지장치는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공기의 주입시에 팽창되는 공기주입체, 또는 전원의 공급시에 진동되는 진동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구 본체에는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수행하거나 조명작용을 수행하는 램프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구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변위 감지수단; 조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는 조도 감지수단; 및 상기 변위 감지수단 또는 상기 조도 감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구 본체는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서 광섬유사가 포함되어 직조되고, 상기 광섬유사의 일단은 상기 램프의 광이 입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착용구 본체의 변위나 상기 착용구 본체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도록 구성되는 자가발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상기 GPS 모듈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에 연결된 수신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구 본체는 덧신양말 형상, 발목양말 형상, 양말 형상, 스타킹 형상, 타이츠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 착용구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신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구 본체와 상기 보조 신발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또는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GPS 모듈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된 수신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 신발은, 조명작용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램프; 및 상기 착용구 본체의 안착시에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램프구동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또는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신발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신발의 변위나 상기 보조 신발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도록 구성되는 자가발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상기 이격공간을 밀봉시켜 내부에 보온을 위한 유체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직부 및 상기 하직부에 형성되는 밀봉층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의 공급시 일측으로 냉기가 방출되고 타측으로 열기가 방출되는 열전모듈; 또는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발의 피로를 풀고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저주파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열체는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형성된 발열선으로 구성되어 바느질 방식, 자수 방식, 직조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착용구 본체에 지그재그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섬유기반 도전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에 도전사가 엮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중심사는 비신축성 섬유사 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가 다수 가닥 엮여져 구성되며,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겨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직부에는 피접촉면과의 접촉시 미끄럼 방지작용을 수해하는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하직부에 일체로 배치되어 마찰작용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마찰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선재는 상기 기재층의 표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마찰돌부를 갖는 선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 부분 또는 손 부분과 접촉되는 상기 상직부는 위사 및 경사로서 기모사 또는 천연 섬유사를 포함하는 선사가 포함되어 직조되고, 피접촉면과 접촉되는 상기 하직부에는 방수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의하면,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사에 의해 이격공간을 갖도록 직조된 착용구 본체에 발열선이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완충작용을 통해 인체에 가해지는 충격력 등을 흡수, 완충할 수 있고, 열기의 보온작용을 수행하여 온열효과가 상승되고 전기에너지의 소모량을 절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마찰작용에도 발열선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의하면, 발열선이 가요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구성되므로 자수기나 직기를 통해 공급하여 자동적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과 공수를 줄일 수 있어서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의하면 발열선이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구성되어 섬유사 고유의 장점인 가요성, 신축성, 부드러운 촉감 등이 제공되고 이물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착용감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에 이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수행하는 부가장치나, 사용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부가장치 등을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채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b 내지 도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8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9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10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a 내지 도1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1a 내지 도13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b 내지 도1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1b는 도1a의 A부 확대 사시도, 도1c는 도1a의 A부 단면도, 도1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발열선의 다른 배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상직부만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1e는 도1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a 내지 도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구 본체(1)와, 이 착용구 본체(1)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면서 발에 온열을 제공할 수 있는 발열체(2)를 구비한다.
상기 착용구 본체(1)는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면상의 직조층이 배치된 2겹 구조의 복층직물(11)로 구성되고, 이러한 복층직물은 경편기 또는 벨벳직기 등으로 호칭되는 직기에 의해 직조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구 본체(1)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111), 상기 상직부(111)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112), 및 상직부(111)와 하직부(112) 사이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사(11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착용구 본체(1)가 복층직물로 구성되면 외력의 인가시 연결사(113)가 수축되면서 충격 등의 외력을 흡수하는 작용을 수행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므로 쿠션층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발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 완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조시에 쿠션을 부여하기 위한 발포폼 형태의 쿠션층을 별도로 어렵게 덧대어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착용구 본체(1)는 발가락의 삽입을 위한 부분을 각각의 발가락을 별도로 삽입할 수 있는 발가락 양말과 유사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면에서는 발가락 전체를 삽입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다.
아울러, 발 부분과 직접 접촉되는 상직부(111)는 위사 및 경사로서 기모사(섬유사몸체에 다수의 기모(털)가 형성된 섬유사) 또는 천연 섬유사를 포함하는 선사가 포함되어 직조되고, 바닥면과 접촉되는 하직부(112)는 위사 및 경사로서 내마모성, 인장강도 등이 우수한 아라미드사(상품명), 케브라사(상품명), 벡트란(상품명), 세라믹사 등으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면과 같은 피접촉면에 접촉되는 하직부(112)에는 방수물질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방수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발열체(2)는 전원의 공급시에 가열되면서 열기를 방출할 수 있다면 도전성폴리머를 천과 같은 기재에 코팅한 면상체를 적용하는 등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선(21)을 착용구 본체(1)에 배치하여 구성한다.
한편, 발열선(21)은 바늘질 방식으로 착용구 본체(1)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므로 자수 방식으로 배치되거나, 직조 방식으로 배치된다.
자수 방식으로 발열선을 배치하는 방식은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널리 알려진 자수방식과 유사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복층직물로 형성된 착용구 본체(1)를 자수기의 배드에 배치하고 자수기(미도시)의 자수사 공급부를 통해 발열선(21)을 공급하게 되면 밑실(22)에 의해 착용구 본체(1)에 발열선이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직조 방식으로 발열선을 배치하는 방법은, 도1d 및 도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구 본체(1)를 구성하는 복층직물지(11)의 직조과정에서 상직부(111) 또는 하직부(112)를 형성하는 위사(a) 및 경사(b)의 일부로 발열선(21)을 공급하여 일체로 직조하거나, 연결사(113)의 일부로 발열선을 공급하여 일체로 직조할 수 있다. 도1d에서는 발열선(21)이 상직부(111)의 위사(a)의 일부로 공급되어 직조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구 본체(1)에 발열선(21)을 배치하는 방식은 직조방식이나 자수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착용구 본체(1)의 크기가 비교적 작고 형상이 복잡한 발 모양 또는 손 모양으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을 고려하여 자수 방식을 적용하여 발열선(21)을 배치, 고정한다.
그리고, 발열선(21)은 상직부(111), 하직부(112), 및 이격공간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직부(111)의 표면에 배치되면서 밑실(22)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발열선(21)은 인장력이나 충격력이 착용구 본체(1)로 인가될 경우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지그재그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열선(21)이 지그재그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면 착용구 본체에 상하방향이나 좌우방향에서 변형력이나 인장력이 작용되더라도 발열선이 펼쳐지거나 수축될 수 있으므로 단선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선(21)은 섬유기반 도전선(21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발열선이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구성되면 착용구 본체(1)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가벼우면서도 변형이나 충격력, 인장력과 같은 외력에 쉽게 손상되지 않는 장점을 갖게 된다.
특히, 발열선(21)이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구성되면 자수기나 직기를 통해 공급할 수 있고, 섬유사 고유의 장점(가요성, 신축성, 부드러운 촉감 등)을 발휘함으로써 조립성, 착용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발열선(21)은 도1b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211)와, 이 중심사(211)에 엮어지는 복수 가닥의 도전사(212)를 구비한다. 아울러, 도전사(212)의 외주면에는 절연기능이나 보호용 외피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213)가 감겨져 배치된다.
중심사(211)는 다양한 종류의 천연 및 인조 섬유사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사(211)는 절연 특성이 뛰어나고 내열특성을 갖는 고장력 섬유사, 세라믹 섬유사, 유리섬유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고장력 섬유사가 선택, 적용될 경우에는 내열 특성이 뛰어나고 인장강도가 큰 것으로 알려진 아라미드사(상품명)나 케브라사(상품명)가 적용된다.
그리고, 중심사(211)는 스판사 또는 폴리우레탄사와 같이 인장력의 작용시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사가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면 발열선(21)에 인장력이 작용될 경우 전체적으로 늘어날 수 있으므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중심사(211)가 신축 가능한 신축성 고분자사로 적용되고, 그 외부에 배치되는 도전사(212) 및 외피사(213) 또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감김구조로 배치되므로 인장력이 작용될 경우 전체적으로 늘어날 수 있게 된다.
도전사(212)는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직경을 갖는 금속사로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정도의 직경을 갖는 스텐레스선, 티타늄선, 동선 등에 절연 피복층이 형성된 금속사 중에서 선택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도전사(212)의 가닥 수는 희망하는 발열량,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값에 따라 5 내지 50 가닥을 배치하여 구성하고, 섬유기반 도전선의 전체 직경은 직조시 직기의 바늘에 꿰어질 수 있도록 1mm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적용하되, 100 내지 500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열선(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공급부는 접속구가 형성된 케이블이 마련되어 착용구 본체(1)에 설치된 커넥터(12,도1a 참조)에 접속됨으로써 발열선(21)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상용전원인 AC 전원을 직접 발열선에 공급하는 AC 전원공급장치나, 상용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AC 전원공급장치나 직류전원공급장치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지만 전압을 발열체의 열용량에 맞게 다운시키는 전압 강하모듈이나 회로가 설계된 것을 적용한다.
그 외에도, 전원공급부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야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1차 전지나 2차 전지(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진 배터리가 적용되어 착용구 본체(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덧신양말 형상으로 형성된 형태 외에도 발을 삽입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구 본체는 도2의 A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목 부분까지 보온 할 수 있는 발목양말 형상, 도2의 B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부분까지 보온할 수 있는 통상의 양말(socks) 형상, 도2의 C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적다리 부분 까지 보온할 수 있는 스타킹(stocking) 형상, 허리 부분에서 하나로 모아지는 타이츠(tights)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구 본체(1)는 착탈의 편의성과, 다양한 발 사이즈에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신축밴드(13)가 설치되어 있다. 신축밴드는 인장력을 인가할 경우 늘어날 수 있도록 제조된 신축성 고분자사(통상 스판사나 폴리우레탄사라고 호칭됨)를 이용하여 직조한 직물지 형태의 부재를 발등 부분 등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양말 형상, 스타킹 형상, 타이츠 형상과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착용의 편의성을 위해 착용구 본체(1)에 절개부(14)가 형성되고, 착용 및 분리시에 절개부(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벨크로 화스너(151)나 지퍼(152)와 같은 결속수단(15)이 설치되어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보온성과 완충성의 향상을 위해 유체층(c)이 형성되어 있다.
유체층(c)은 착용구 본체(1)의 상면직(111)과 하면직(112) 사이의 이격공간 내부 형성되는 것으로, 이격공간을 밀봉시킬 수 있도록 상직부 및 하직부에 밀봉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층(16)은 가요성을 갖는 얇은 시트를 부착하거나 도포, 분사 등의 방식으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변형예에 따른 착용구 본체(1)는 이격공간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유체층(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열선(21)으로 발산된 열기가 하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유체층(c)이 보온층의 기능을 수행하여 열기가 장시간 지속 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체층(c)은 보행시에 발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층(c)에는 냉기를 갖는 액체가 주입되어 냉찜질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확대부는 요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2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의 이격공간 내부에 지압 기능을 수행하는 지압부재(17)가 구비되어 있다.
지압부재(17)는 실리콘 구슬이나, 합성수지 알갱이 등을 이격공간 내부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17)가 구비되면 보행시에 발바닥 부위에 지압작용을 수행하므로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때, 지압부재(17)에는 탈취 및 항균 작용을 수행하는 은이나 숯 분말을 투입하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착용구 본체(1)의 이격공간 내부에는 전술한 가압부재(17)와 유사한 방식으로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수행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미도시)가 투입될 수도 있다. 예컨대 원적외선 방사부재는 황토반죽을 성형하여 소성한 황토구슬, 맥반석이나 토르말린 알갱이 등과 같이 발열선의 열기에 의해 가열되고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것을 투입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3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바닥 위치에 해당하는 착용구 본체(1)의 이격공간 내부에 완충부재(18)가 구성되어 있다.
완충부재(18)는 외력의 인가시에 수축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면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격공간 내부에 탄성고무, 합성수지폼 등이 주입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완충부재(18)는 신발과 같이 발의 하중이 집중되는 뒤꿈치와 같은 부분은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소재를 선택하여 형성하고, 발바닥의 아치 부분(발바닥 중앙의 오목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충격흡수성이 낮은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발바닥을 전체적으로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6a는 공기주입체로 구성된 마시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6b는 진동기로 구성된 마시지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확대부는 요부의 확대 사시도다.
도6a를 참조하면, 제4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 부위에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착용구 본체(1)에 마사지장치(3)가 구비되어 있다.
마사지장치(3)는 착용구 본체(1)에 배치되어 보행시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발목이나 발등 부분 등을 지압하듯이 반복적으로 눌러줄 수 있는 장치라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마사지장치(3)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주입시에 팽창되고, 공기의 배기시에 수축되는 공기주입체(31)로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주입체(31)는 착용구 본체(1)의 이격공간에 해당되는 부분에 매립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공기펌프나 소형콤프레셔와 같은 공기주입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기가 주입되면 내측인 발 부분으로 팽창되면서 가압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공기주입체(31)는 주름부를 갖는 벨로우즈 형상의 몸체(311)로 형성되고, 발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에 지압효과의 향상을 위한 복수의 가압돌기(3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사지장치(3)는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의 공급시에 진동되는 진동기(32)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기(32)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진동력을 생성하는 진동모터(321), 및 진동모터(321)의 진동력을 전달받아 인체에 전달하는 진동부재(322)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모터(321)는 전원의 공급시에 진동되는 장치로서, 공지된 다양한 진동모터를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서는 도6b의 확대부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인형으로 형성된 공지의 진동모터(321)가 적용된다. 코인형 진동모터(321)는 밀봉부재(케이스)의 내부에 마그네트, 유도코일, 바이브레이터, 등이 내장된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속단자(323)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7a 및 도7b를 참조하면, 제5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에 전원공급부(4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42)가 배치되어 있다.
램프(42)는 착용구 본체(1)의 유해균을 살균하거나 악취의 제거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외선 파장대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LED) 및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광속 백색 발광다이오드(LED)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착용구 본체(1)에는 램프의 온/오프 조작을 위한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5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심신이 미약한 환자의 경우 램프의 온/오프 동작을 쉽게 수행할 수 없으므로 램프의 점등이 필요한 시점(야간 등), 또는 장소(병원 등의 장소)에서 자동적으로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착용구 본체(1)에는 착용자의 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변위 감지수단(43)으로서, 착용구 본체(1)가 피접촉면에 접촉될 경우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압력감지센서, 촉각감지센서 등이 설치되고, 광센서와 같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수단(4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변위 감지수단(43) 및 조도 감지수단(44)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45)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램프(4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선(23)과, 변위 감지수단(43) 및 조도 감지수단(44)과 제어부(45)와의 전기신호의 전달을 위한 전기신호 전달선(미도시)은 착용시에 이물감을 유발하지 않도록 착용구 본체(1)에 경사 또는 위사의 일부로서 배치된 섬유기반 도전선(21a, 도1b의 확대부)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도11b에서는 섬유기반 도전선(21a)을 발열선(21)으로 적용하였으나 본 변형예에서는 전원공급선 및 전기신호 전달선으로 적용하는 것이므로 섬유기반 도전선의 도전사 배치 수량을 추가하여 전기저항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한 것을 적용한다.
아울러, 착용구 본체(1)는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서 광섬유사(미도시)가 포함되어 직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구 본체(1)에 배치되는 광섬유사의 일단이 상기한 램프(42)에 배치될 경우 광을 착용구 본체(1)를 통해 전달할 수 있어서 다양한 광(光)적 연출이 가능하므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5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의 변위나 착용구 본체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는 자가발전장치(46)가 구성될 수 있다.
자가발전장치(46)는 보행시에 발의 움직임이나 바닥면과의 접촉시 충격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영구자석 및 이 영구자석의 둘레에 유도코일이 배치된 자석식 자가발전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구 본체(1)와 같이 제한된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부피가 작아 보행이나 착용감을 해치지 않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장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장치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기계적 에너지와 전기적 에너지가 상호 변환되는 압전재료로 구성된 압전소자를 적용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작용되는 외력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재에 압전소자층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압전소자층은 압전재료로 형성된 박판을 보강재에 덧대거나 코팅, 도포, 부착 등의 방식으로 구성하고, 전원공급선의 접속을 위한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5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에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발의 피로를 풀고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착용구 본체(1)에 저주파 발생기(47)가 구성될 수 있다. 저주파 발생기(47)는 저주파발생장치와, 이 저주파발생장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자극패드로 구성된 통상적인 저주파 발생모듈을 착용구 본체에 설치하는 것이므로 세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제5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유아나 치매 환자가 착용한 경우 보호자가 착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48)과, 이 GPS 모듈(48)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에 연결된 수신부나 외부 단말(어린이집 단말, 병원 단말, 보호자의 스마트폰 등)로 송신하는 통신부(49,공지의 무선통신모듈을 적용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착용구 본체(1)에는 착용자가 설정된 영역을 이탈할 경우 점등되는 경보등이나, 스피커와 같은 경보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6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요부의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제6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에 전원의 공급시 일측으로 냉기가 방출되고 타측으로 열기가 방출되는 열전모듈(24)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때, 열전모듈(24)가 설치되는 착용구 본체(11)는 이격공간을 갖는 복층직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열전모듈의 설치부위를 용융시키거나 도려내어 손쉽게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열전모듈(24)은 공지된 바와 같이 펠티어 소자라고도 호칭되는 P형 및 N형 열전반도체소자(241) 양측에 기판(242,243)이 형성된 것으로, 전원의 공급시 일측 기판으로 열기가 방출되고 타측 기판으로 냉기가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열전모듈은 전원의 공급방향을 변경할 경우 기존 발열측 기판으로 냉기가 방출되고 냉각측 기판으로 열기가 방출되므로 착용구 본체(1)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방향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전원의 공급방향을 제어함으로써 발의 특정 부위에 온열작용과 냉각작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7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제7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신발(6)이 더 구비되어 있다.
보조 신발(6)은 밑창(61)에 착용구 본체(1)의 앞쪽 부분이 삽입되도록 삽입주머니(62)가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신발(6)은 장착시 착용구 본체(1)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간이 신발로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제7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와 보조 신발(6)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수단(63)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 감지수단(63)은 유아나 치매 환자가 착용구 본체(1)를 보조 신발에 부착할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경보장치(LED램프로 구성된 경고등이나 스피커 등)로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신발(6)이나 착용구 본체(1)에는 상기한 접촉 감지수단(63)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외부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와,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GPS 모듈의 위치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된 외부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이를 인지한 보호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보조 신발(6)은 야간에 보행시 조명작용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램프(42)와, 착용구 본체(1)의 안착시에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램프구동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그 외에도, 보조 신발(6)은 램프(42) 또는 발열선(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식 배터리와 같은 전원공급부(미도시)와, 보조 신발의 변위나 보조 신발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도록 구성되는 자가발전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10a 및 도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8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10a는 분리 사시도, 도10b는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0a 및 도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구 본체(1)와, 이 착용구 본체(1)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면서 발에 온열을 제공할 수 있는 발열선(21)를 구비하되, 착용구 본체(1)는 발 부분이 직접적으로 밀착되는 제1 면상체(1a)와, 이 제1 면상체(1a)의 둘레에 근접하여 덧씌워지게 배치되는 제2 면상체(1b)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면상체(1a)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면상체로 형성되고 발열선(21)이 자수 방식에 의해 지그재그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직물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2 면상체(1b)는 도10a의 확대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면상체(1a)의 둘레에 덧씌워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111), 상직부(111)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112), 및 상직부(111)와 하직부(11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1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면상체(1a)는 홑겹 직물지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10a의 확대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제2 면상체(1b)와 마찬가지로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111), 상직부(111)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112), 및 상직부(111)와 하직부(112)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113)로 구성되어 있다.
발열선(21)은 제1 면상체(1a)의 상직부, 하직부, 및 이격공간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선(21)이 상직부(111)의 표면에 배치되면서 밑실(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1 및 제2 면상체(1a,1b)는 일 부분을 박음질하여 서로 고정하거나, 벨크로 화스너와 같은 결착수단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제8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발열선(21)이 배치되는 제1 면상체(1a)의 둘레에 복층직물 구조의 제2 면상체(1b)가 별도로 추가 배치됨에 따라 발열선(21)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보온 및 충격 흡수작용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9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확대부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변형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제1 면상체(1a)와 제2 면상체(1b)의 사이에 배치되어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보온 면상체(1c)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보온 면상체(1c)는 직물지로 형성되어 제1 면상체(1a)의 저면에 덧대어지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보온 면상체(1c)는 열전도율이 낮고 열의 반사 특성이 우수한 섬유사에 의해 직조된 직물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면상체(1a)의 저면에 보온 면상체(1c)가 덧대어져 부착되면, 발열선(21)으로부터 발산되는 열기가 하부로 방출되지 않게 차단하므로 발 부분으로 열기가 집중되어 온열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보온 면상체(1c)는 전술한 직물지를 덧대는 방식 외에도 에어로겔 시트와 같이 단열 특성이 우수한 면상체를 제1 면상체(1a)와 제2 면상체(1b) 사이에 개재하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의 제10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구 본체(1)에는 바닥면과 같은 피접촉면과 접촉되는 하직부(112)에 미끄럼방지수단(19)이 구비되어 있다.
미끄럼방지수단(19)은 양말 등에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리콘 수지로 형성된 마찰돌기나 마찰패드를 하직부(112)에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하직부(112)에 일체로 배치되어 마찰작용을 수행하는 마찰 선재(191)가 구성되어 있다.
마찰 선재(191)는 하직부(112)의 표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마찰돌부를 갖는 선재로 형성된 것으로, 하직부의 직조시에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 공급, 배치된다.
그리고, 마찰 선재(191)는 미끄러운 피접촉면과 접촉시 마찰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선재라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부를 갖도록 코일 형태로 권취된 중공코일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중공코일선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로 감김된 다수의 원형 감김부가 마찰돌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마찰 선재(191)는 용도, 목적, 적용물품의 특성 등의 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 선상 부재를 합사하여 구성한 것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찰 선재(191)는 금속사로라도 구성될 수 있지만 발이나 손 등에 착용하는 것이므로 피부 손상이나 침구나 양탄자와 같은 물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모노사(모노필라멘트사(monofilament yarn)라고도 호칭되고 한 가닥의 필라멘트 섬유로 이루어진 실을 의미하는 것으로 낚시줄 등으로 사용되고 있음)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와 그 변형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와, 이 착용구 본체(1)에 배치되고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면서 온열을 제공할 수 있는 발열체(2)를 구비하되, 상기 착용구 본체(1)의 형상이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착용구 본체(1)는 도13의 (A)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손가락을 별도로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장갑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13의 (B)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은 별도의 삽입부가 마련되고 나머지 4개의 손가락을 하나의 삽입부에 모두 삽입되는 벙어리 장갑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착용구 본체(1)는 도13의 (C)부와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이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어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는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2)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섬유기반 도전선을 이용한 발열선(21)을 적용하되, 발열선(21)은 손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손바닥 부분을 제외한 손등이나 손가락 부분에 해당되는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는 착용구 본체(1)를 손에 착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한 점이 제1 실시예와 주요한 차이점이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 유사하므로 구성요소에 대한 세부 구조나 작용효과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나타난 세부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착용구 본체의 외관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세부 구조가 서로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착용구 본체 1a:제1 면상체
1b:제2 면상체 1c:보온 면상체
11:복층직물 111:상직부
112:하직부 113:연결사
12:커넥터 13:신축벤드
14:절개부 15:결속수단
17:지압부재 18:완충부재
19:미끄럼방지수단 2:발열체
21:발열선 21a:섬유기반 도전선
211:중심사 212:도전사
213:외피사 22:밑실
24:열전모듈 3:마시지장치
31:공기주입체 32:진동기
41:전원공급부 42:램프
43:변위 감지수단 44:조도 감지수단
45:제어부 46:자가발전장치
47:저주파 발생기 48:GPS 모듈
49:통신부 50:경보장치
6:보조 신발 a:위사
b:경사 c:유체층

Claims (29)

  1.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있어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구 본체; 및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구 본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 상기 상직부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 및 상기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상직부, 상기 하직부 및 상기 이격공간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에 있어서,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착용구 본체; 및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전원의 공급시 발열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구 본체는,
    발 또는 손을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면상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체가 배치되는 제1 면상체; 및
    상기 제1 면상체의 둘레에 덧씌워지는 형태로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 상기 상직부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 및 상기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구비한 제2 면상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상체와 상기 제2 면상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보온 면상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상체는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상직부, 상기 상직부의 하방에 이격공간을 갖도록 배치되고 위사 및 경사에 의해 직조된 하직부, 및 상기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사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면상체의 상직부, 하직부, 및 이격공간 중에서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는 덧신양말 형상, 발목양말 형상, 양말 형상, 스타킹 형상, 타이츠 형상, 손가락장갑 형상, 벙어리장갑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착용구 본체에 설치되는 신축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지압 기능을 수행하는 지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기에 의해 가열되고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수행하는 원적외선 방사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는 마사지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시지장치는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어 공기의 주입시에 팽창되는 공기주입체, 또는 전원의 공급시에 진동되는 진동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에는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수행하거나 조명작용을 수행하는 램프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변위 감지수단;
    조도를 감지하도록 상기 착용구 본체에 배치되는 조도 감지수단; 및
    상기 변위 감지수단 또는 상기 조도 감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는 위사 및 경사의 일부로서 광섬유사가 포함되어 직조되고, 상기 광섬유사의 일단은 상기 램프의 광이 입사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의 변위나 상기 착용구 본체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도록 구성되는 자가발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상기 GPS 모듈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에 연결된 수신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는 덧신양말 형상, 발목양말 형상, 양말 형상, 스타킹 형상, 타이츠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이 착용구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신발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구 본체와 상기 보조 신발의 탈,부착 상태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 또는 상기 접촉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알려주기 위한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GPS 모듈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된 수신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신발은,
    조명작용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램프; 및
    상기 착용구 본체의 안착시에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위칭 동작이 수행되는 램프구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또는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보조 신발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신발의 변위나 상기 보조 신발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힘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하도록 구성되는 자가발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을 밀봉시켜 내부에 보온을 위한 유체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직부 및 상기 하직부에 형성되는 밀봉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의 공급시 일측으로 냉기가 방출되고 타측으로 열기가 방출되는 열전모듈; 또는
    저주파 자극을 인가하여 발의 피로를 풀고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저주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섬유기반 도전선으로 형성된 발열선으로 구성되어 바느질 방식, 자수 방식, 직조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착용구 본체에 지그재그 구조 또는 파형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기반 도전선은 중심에 배치되는 중심사와, 상기 중심사에 도전사가 엮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중심사는 비신축성 섬유사 또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고분자사로 구성되고,
    상기 도전사는 10 내지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절연피복된 금속사가 다수 가닥 엮여져 구성되며,
    상기 도전사의 외면에 감겨지는 복수 가닥의 외피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직부에는 피접촉면과의 접촉시 미끄럼 방지작용을 수해하는 미끄럼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은 상기 하직부에 일체로 배치되어 마찰작용을 수행하도록 배치되는 마찰 선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 선재는 상기 기재층의 표면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마찰돌부를 갖는 선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2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 부분 또는 손 부분과 접촉되는 상기 상직부는 위사 및 경사로서 기모사 또는 천연 섬유사를 포함하는 선사가 포함되어 직조되고,
    피접촉면과 접촉되는 상기 하직부에는 방수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KR1020130042891A 2013-04-17 2013-04-17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KR20140124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891A KR20140124701A (ko) 2013-04-17 2013-04-17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891A KR20140124701A (ko) 2013-04-17 2013-04-17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701A true KR20140124701A (ko) 2014-10-27

Family

ID=5199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891A KR20140124701A (ko) 2013-04-17 2013-04-17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7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13B1 (ko) * 2017-06-02 2018-09-11 유준수 졸음운전 방지구
KR20190113003A (ko) * 2018-03-27 2019-10-08 주식회사 이지 발열 인쇄층을 갖는 발열 방한구
KR20210100849A (ko) * 2020-02-07 2021-08-18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신축성 발열패드를 가지는 야외용 신발커버
KR20220088269A (ko) *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포켓이 구비된 스마트 의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13B1 (ko) * 2017-06-02 2018-09-11 유준수 졸음운전 방지구
KR20190113003A (ko) * 2018-03-27 2019-10-08 주식회사 이지 발열 인쇄층을 갖는 발열 방한구
KR20210100849A (ko) * 2020-02-07 2021-08-18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신축성 발열패드를 가지는 야외용 신발커버
KR20220088269A (ko) * 2020-12-18 2022-06-2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 포켓이 구비된 스마트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1172B2 (ja) 半導体装置
JP5199888B2 (ja) 体カバー、眼鏡および/または少なくとも部分的なヘッド・カバー、人体の少なくとも一部を放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体カバーの使用法
US20120023785A1 (en) Wireless remote controlled massaging footwear system
KR20140124701A (ko) 발 또는 손에 착용할 수 있는 착용구
KR100389056B1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찜질 팩
KR20210092209A (ko) 혈액순환을 개선하기 위한 시스템
KR101401627B1 (ko) 깔창이 구비된 양말
KR20170011923A (ko)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인너 착용구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극 전달과 생체신호 감지를 위한 시스템
AU2004311573B2 (en) Heated garment system
KR20130014281A (ko) 발열 덧신양말
KR20170074720A (ko) 다기능 매트
KR101751618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휴대용 발목 보온기
KR200436801Y1 (ko) 배꼽 단전 온열용 벨트
KR102568158B1 (ko) 편물 발열체를 포함하는 스마트 발열의복
US20140200492A1 (en) Foot orthosis
CN110227021A (zh) 一种脑梗死患者用下肢康复装置
JP3148659U (ja) 膝用サポーター
KR200471556Y1 (ko) 위생 패드
CN111658290A (zh) 多功能理疗鞋裤
KR200381535Y1 (ko) 관절용 온열 보호대
KR200497426Y1 (ko) 웨어러블 마사지 장치
ES2617929T3 (es) Artículo de calzado
KR20150001988U (ko) 발열 기능을 갖는 발 커버
KR20170074721A (ko) 욕조 기능을 갖는 매트
KR200318270Y1 (ko)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지지대가 내장된 온열 척추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