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629A -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629A
KR20140124629A KR20130042388A KR20130042388A KR20140124629A KR 20140124629 A KR20140124629 A KR 20140124629A KR 20130042388 A KR20130042388 A KR 20130042388A KR 20130042388 A KR20130042388 A KR 20130042388A KR 20140124629 A KR20140124629 A KR 20140124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using
locking
double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603B1 (ko
Inventor
이수진
김원희
Original Assignee
이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진 filed Critical 이수진
Priority to KR20130042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60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히터장치에 의하여 가열되어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어를 건조장치의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세탁물 건조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 중심이 낮아져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단부와 중앙부, 하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에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전면도어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드럼으로 열기를 공급하는 히터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후면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기유로와 연통하여 건조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Laundry Drier With External Blower}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히터장치에 의하여 가열되어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드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어를 건조장치의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세탁물 건조장치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 중심이 낮아져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 등을 이용하여 의류나 각종 침구류 등과 같은 섬유제품을 세탁, 탈수한 후에는 세탁물을 건조대에 거치하여 태양광선과 자연풍을 이용하여 건조하게 되는데, 근래 들어서 특히 세탁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 등에서는 별도의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세탁장치와 건조장치를 하나의 장치에서 구현한 세탁건조장치도 이용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 건조장치 중에서 히터에서 가열된 공기를 세탁물이 수용된 드럼에 송풍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도록 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배기식 건조장치가 대표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와 다른 방식의 응축식 건조장치 등도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배기식 건조장치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0730호(2006년 07월 06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0730호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설치된 히터와, 상기 드럼 내의 공기가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기되도록 설치된 배기유로와, 상기 흡입유로와 배기유로 중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종래의 기술로 소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0730호는 배기유로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폐열을 회수하여 흡입유로에서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가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 상에 설치된 히터와,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배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을 회수하여 상기 흡입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로 전달되도록 설치된 폐열 회수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건조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드럼과 연통된 흡입유로와 배기유로는 물론, 히터와 송풍팬, 폐열 회수 열교환기 등 모든 장치가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드럼의 하부 공간에 위치하고 있어 드럼이 설치되는 높이가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건조장치에서 드럼이 설치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드럼의 회전중심 또한 자연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진동에 취약하게 되고, 건조장치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드럼 내부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가 드럼 내부에서 충분히 머무르지 못하고 송풍팬 등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급된 가열된 공기가 세탁물의 수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드럼에서 빠져나가게 되어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다른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0730호(2006년07월06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세탁물 건조장치에 있어서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드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흡입유로를 생략할 수 있고,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블로우어를 세탁물 건조장치의 외부에 장착할 수 있어 드럼이 장착되는 높이를 낮추어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 중심이 낮아져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는, 상단부와 중앙부, 하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에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전면도어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드럼으로 열기를 공급하는 히터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후면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기유로와 연통하여 건조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로우어 모듈은,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되어 건조장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배기팬과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의 중심부에 한 쌍의 격벽에 의하여 좌우측 공간부와 격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격벽 사이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르막 경사지게 장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유로와 블로우어 모듈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유로 측에서 블로우어 모듈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배기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드럼의 전단부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드럼의 내외부를 관통하며 형성된 미세타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에는 상기 제1드럼의 후면에 상기 제1드럼의 중심축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1드럼을 내포하며, 전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상기 제1드럼의 중심축과 상기 풀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드럼과, 상기 제1드럼에 형성된 풀리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동력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전면에 결착하는 상단전면패널과, 중앙부 전면에 결착하는 중앙전면패널과, 하단부 전면에 결착하는 하단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상하 단부에는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후면에서 상하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전면패널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전면과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상측의 연장결합부를 함께 폐쇄하며, 상기 하단전면패널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전면과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하측 연장결합부를 함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전면도어는, 중심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 테두리를 따라 후면에서 전면으로 돌출된 유리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유리안착부에 접착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장착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투명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면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이중 후크부재와, 상기 이중 후크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중 후크부재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레버를 구비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설치 브라켓 하부에 형성된 잠금 공간을 가지는 잠금 몸체와, 상기 잠금 몸체의 잠금 공간 일단에 고정 구비되는 제1걸림돌기와 잠금 공간 타단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걸림돌기로 이루어진 이중 잠금부재를 구비하는 잠금유닛;으로 구성되는 이중잠금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중 후크부재는, 외관을 형성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 선단의 제1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1걸림 돌기와 제1걸림 결합을 형성하는 제1후크부와, 상기 절곡부 선단의 제2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2걸림 돌기와 제2걸림 결합을 형성하는 제2후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1걸림 돌기와 제1걸림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에서 상기 절곡부 선단 측으로 갈수록 완만한 곡률을 가져 상기 제1걸림홈과 제1걸림 돌기의 제1걸림 결합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2걸림 돌기와 제2걸림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제2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 돌기의 제2걸림 결합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중 후크부재는, 상기 절곡부 중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힌지 구멍과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절곡부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레버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2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2걸림 돌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 돌기가 출몰 가능하도록 하는 스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드럼에 열기를 공급하는 히터장치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제1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블로우어 모듈을 상기 하우징 내부가 아니라 후면 바깥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때와 비교하여 상기 제1드럼이 장착되는 높이를 최대한 낮춘 안정적인 세탁물 건조장치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블로우어 모듈을 이루는 배기팬 등의 크기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중심부에 한 쌍의 격벽으로 배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드럼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가열된 공기가 충분히 머무르다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 하면 중심부를 통해 배기유로로 빠져나가게 되어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중심부의 배기유로 좌우측 공간이 격벽에 의하여 분리되므로 상기 좌우측 공간부를 신발 등을 수납하여 건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기유로에 필터를 구비하되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르막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섬유 보풀 등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에 의하여 걸러진 이물질이 경사에 의하여 하부로 모아지도록 하고, 수평이나 수직으로 필터를 장착하였을 때보다 필터의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드럼의 전단부에만 내외부를 관통하는 미세타공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제1드럼의 전단부 미세타공에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후면으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배기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제1드럼의 전체에 미세타공을 형성하였을 때보다 장기간 제1드럼 내부에 머무르면서 세탁물의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후크부재를 구비한 레버유닛과 이중 잠금부재를 구비한 잠금유닛으로 구성된 이중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전면도어를 하우징에 고정하고 해제함으로써, 보다 견고함 잠금이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수동에 의한, 또는 실수에 의한 전면도어 잠금장치의 임의 해제를 최대한 방지하여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면도어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장치가 적용된 세탁물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장치의 레버유닛과 잠금유닛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장치의 레버유닛과 잠금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는 상단부(120)와 중앙부(110), 하단부(130)의 내부 공간으로 나누어지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후면 하단에 장착되는 블로우어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인 박스형 케이스와 유사하게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에, 상판과 하판, 우측판과 좌측판,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착하여 형성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판을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부(120)를 폐쇄하는 상단전면패널(121)과, 중앙부(110)를 폐쇄하는 중앙전면패널(111)과, 하단부(130)를 폐쇄하는 하단전면패널(131)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상기 중앙전면패널(111)에는 건조장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전면도어(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전면패널(111)의 상단과 하단에는 연장결합부(112)가 각각 상하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결합부(112)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00)을 이루는 프레임에 고정볼트(113)로 상기 중앙전면패널(111)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앙전면패널(111)을 상기 고정볼트(113) 등으로 고정 장착시킨 경우 건조장치의 전면에 상기 고정볼트(113) 등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볼트(113)가 끼워지는 상기 연장결합부(112)는 상기 중앙전면패널(111)의 후면에서 상하로 박판 형태로 상단과 후단에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단전면패널(121)은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부(120)의 높이보다 아래로 더 길게 형성하고, 상기 하단전면패널(131)은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130)의 높이보다 위로 더 길게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먼저 상기 중앙전면패널(111)의 연장결합부(112)를 상기 하우징(100)의 프레임에 상기 고정볼트(113)로 결합하여 상기 중앙전면패널(111)을 중앙부(110)에 장착한 후, 상기 상단전면패널(121)과 하단전면패널(131)을 각각 상단부(120)와 하단부(130)에 장착하여 상기 상단전면패널(121)의 하부가 상기 중앙전면패널(111) 상단의 연장결합부(112)를, 상기 하단전면패널(131)의 상부가 상기 중앙전면패널(111) 하단의 연장결합부(112를 각각 가려주어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단전면패널(121)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서 고정볼트 등으로 체결할 수도 있지만, 상기 상단전면패널(121)의 좌우측 양단에 사이드결합부(122)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이루는 측판이나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결합부(122)를 고정볼트 등으로 결착하여 상기 상단전면패널(121)을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관을 해칠 염려가 있는 부분을 시각이 잘 미치지 않는 측면에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전면패널(131)도 상기 상단전면패널(121)과 유사한 방식으로 고정볼트 등으로 결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상기 하단전면패널(131)은 유지 보수를 위해서, 또는 기타 이유로 자주 탈착하여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번거롭게 고정볼트 등을 풀거나 하는 일이 없이 도어 형태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하단전면패널(131)의 후면 좌우측에 끼움결합부(132)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130)에 간단하게 끼워서 결착하고 필요할 때는 작은 힘으로 빼서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제1드럼(140)과, 상기 제1드럼(140)을 내포하고 있는 제2드럼(1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드럼(140)과 제2드럼(150)의 전면은 개구되어 있어 상기 전면도어(20)를 통해 세탁물이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드럼(140)의 후면은 폐쇄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회전축이 돌출되어 있고 회전축의 단부에는 풀리(1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드럼(150)의 후면에는 일정 크기의 원형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드럼(140)의 후면에서 돌출된 회전축이 상기 제2드럼(150)의 후면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드럼(140)의 후면에 형성된 풀리(142)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도면에는 미도시)와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도면에는 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140)이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와 같이 상기 제1드럼(140)이 회전함으로써 세탁물을 뒤집어 주고 상기 제1드럼(140) 내부 및 외부의 공기가 잘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제1드럼(140)의 외주면에는 일반적으로 내외부를 관통하는 미세통공(141)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미세통공(141)을 상기 제1드럼(140)의 전단부, 예를 들면 상기 제1드럼(140)의 앞부분 30~40% 정도에만 형성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미세통공(141)이 상기 제1드럼(140)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드럼(140)의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으로 상기 제1드럼(140) 내부의 공기가 상기 미세통공(141)을 통해 바깥으로 바로 빠져나가게 되지만, 상기 미세통공(141)을 상기 제1드럼(140)의 전단부에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드럼(140) 내부의 공기가 충분히 머물면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한 후 전단의 상기 미세통공(141)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드럼(14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부(120)에 히터장치(50)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히터장치(50)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전기를 이용한 가열장치로 구성하도록 하며, 상기 히터장치(5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제1드럼(14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장치(50)와 제1드럼(140) 사이에 공급덕트 등을 구비하여 상기 히터장치(50)에서 가열된 공기를 직접 상기 제1드럼(140)으로 공급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공급덕트 등을 구비하는 경우 세탁물 건조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내부 배관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장치(50)에서 방사된 열기로 상기 제1드럼(140) 내부의 공기를 직접 가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히터장치(5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1드럼(140)으로만 열기가 잘 방사되도록 상기 히터장치(50)의 하부에는 하단으로 효율적으로 열기가 방사되도록 하는 방열판(도면에는 미도시)을, 상기 히터장치(50)의 상부에는 상단으로 열기가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재(도면에는 미도시)를 구비하여 주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장치(50)에서 방사된 열기에 의하여 상기 제1드럼(140)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고 온도가 높아진 공기는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가 높아지게 되며, 습도가 높아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제1드럼(140) 내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세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가 높아진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130)에 배기유로(133)를 형성하여 상기 제1드럼(140)이 위치한 중앙부(110)와 하단부(130)의 후면 외측을 연통하여 주도록 한다.
상기 배기유로(133)을 형성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형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단부(13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13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격벽(136)에 의하여 세 부분의 공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우측과 좌측공간부(134, 135) 상면은 막혀 있는 반면, 중심 부분에 형성된 공간부의 상면 전체 또는 일부는 개방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상면의 전체 또는 일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상기 하단부(130)의 중심 공간부가 상기 배기유로(133)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하단부(130)의 중심부 후면에 일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전체 또는 일부가 개방된 상면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중앙부(110)와 연통되고 후면의 통공으로 상기 하단부(130) 외측과 연통하게 된다.
상기 격벽(136) 한 쌍으로 공간을 나누어 상기 하단부(130)의 중심부만을 상기 배기유로(133)로 이용함으로써 상기 하단부(130) 전체와 상기 중앙부(110) 전체가 연결되는 것에 비하여 가열된 공기가 중심부로 집중될 수 있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격벽(136) 한 쌍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우측과 좌측공간부(134, 135)에는 신발 등과 같은 소규모 제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중앙부(110) 및 배기유로(133)에서 전달되는 열을 활용하여 신발 등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부(110)에 위치하는 제1드럼(140) 후면의 풀리(142)를 구동하는 동력발생장치나 배수를 위한 펌프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배기유로(133)를 이루는 상기 격벽(136) 사이에 금속망 등과 같은 필터(137)를 장착하여 섬유 보풀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하여 주는데, 상기 필터(137)를 상기 하단부(130)의 개방된 상면에 수평으로 설치하거나, 상기 하단부(130)의 후면 통공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것 보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오르막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상기 필터(137)를 탈부착하기에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137)에 걸러진 이물질이 경사를 따라 앞쪽으로 모이게 되어 청소를 하기에도 용이할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기유로(133)를 이루는 상기 하단부(130) 중심부 후면 통공에는 상기 블로우어 모듈(200)이 구비되어 상기 배기유로(133)를 통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로우어 모듈(200)은 상기 배기유로(133)를 통해 상기 블로우어모듈(200) 측으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배기팬(210)과, 상기 배기팬(2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210)와, 상기 배기팬(210)과 외부를 연통하여 공기를 내보내기 위한 배기덕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기팬(210)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팬을 채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시로코 팬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속으로 안정적으로 구동되는 다익형 팬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블로우어 모듈(200)의 배기팬(210)과 상기 하단부(130)의 중심부 후면 통공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겠지만, 상기 배기유로(133)와 상기 배기팬(210)을 배기노즐(240)로 연결하여 배기 효율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배기노즐(240)을 상기 배기팬(21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구성하여 상기 배기노즐(240)을 통과하면서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함으로써 작은 크기의 상기 배기팬(210)과 작은 용량의 상기 구동모터(220)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배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대체적으로 상기 배기노즐(240)의 직경이 350파이에서 300파이로 줄어드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블로우어 모듈(200)을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130) 내부에 구성하지 않고 외부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중앙부(110)의 제1드럼(140)이 설치되는 높이를 최대한으로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드럼(140)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회전 중심이 낮아져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조장치에는 상기 제1드럼(14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전면도어(20)에 투명유리(310)를 구비하여 두게 된다.
상기 전면도어(20)에 투명유리(310)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종래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도어(20)를 이루는 도어프레임(300)의 외측에 고정프레임(320)과 고정볼트(330)를 이용하여 투명유리(310)를 결착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정프레임(320)과 고정볼트(330)로 상기 투명유리(310)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부속품이 잡다하여 소요되는 비용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면도어(20)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고정볼트(330)로 상기 투명유리(310)를 고정하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도 보기가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도어(20)를 이루는 도어프레임(300)을 후면에서 전면으로 절곡하여 돌출시켜 상기 투명유리(31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유리안착부(340)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유리안착부(340)와 투명유리(310) 사이를 아크릴 폼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부재(350)를 이용하여 결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고정하도록 하여, 소요되는 비용을 줄임과 동시에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여 준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장치가 적용된 세탁물 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도어(20)는 우측에 구비된 힌지장치를 통하여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면도어(20)를 열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30)를 통해 상기 제1드럼(140)에 세탁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고, 건조시에는 상기 전면도어(20)를 닫은 후 잠금하여 내부의 열기가 상기 개구부(30)를 통해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전면도어(20)의 잠금 또는 해제는 이중잠금장치(40)를 통하여 구현되는데, 상기 전면도어(2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중잠금장치(40)를 잠금 해제시킨 후 전면도어(20)를 열림 상태로 하고, 전면도어(20)를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도어(20)를 닫힘 상태로 한 후 이중잠금장치(40)를 잠금 시키면 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장치의 레버유닛을 도시한 것이고, 도 8(b)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장치의 잠금유닛을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장치의 레버유닛과 잠금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잠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잠금장치(40)는, 상기 전면도어(20)에 설치되되 이중 후크부재(420)를 구비한 레버유닛(400)과, 하우징(10)의 전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가 이중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제1걸림 돌기(531) 및 제2걸림 돌기(532)로 이루어지는 이중 잠금부재(530)를 구비한 잠금유닛(500)을 구비한다.
상기 레버유닛(400)은 전면도어(2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410)과, 상기 고정 브라켓(410)에 힌지 결합되는 이중 후크부재(420)와, 상기 고정 브라켓(410)과 이중 후크부재(420)를 힌지 결합시키기 위한 힌지축(430)과,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중 후크부재(420)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레버(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410)은 전면도어(20)의 좌측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형상으로, 이러한 고정 브라켓(410)은 전면도어(20)의 좌측 단부에서 일부가 돌출되도록 고정 배치되되 후술하는 이중 후크부재(420)가 삽입 체결되는 힌지 구멍을 가지는 힌지 몸체(41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힌지 몸체(411)는 전면도어(20)의 좌측 단부에서 돌출되는 고정 브라켓(410)의 일단부에서 내부에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가 삽입 체결되는 힌지 구멍을 가지는 구성으로 정의된다.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는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힌지 구멍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힌지축(430)이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힌지 몸체(411)에 삽입되면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는 상기 힌지축(43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절곡부(421)와, 상기 절곡부(421) 선단의 제1면에 구비되어 잠금유닛(500)과 제1걸림 결합을 형성하는 제1후크부(422)와, 상기 절곡부(421) 선단의 제2면에 구비되어 잠금유닛(500)과 제2걸림 결합을 형성하는 제2후크부(423)와, 상기 절곡부(421) 중단에 구비되어 고정 브라켓(410)의 힌지 구멍과 힌지축(430)으로 결합되는 제1체결부(424)와, 상기 절곡부(421) 후단에 구비되어 개폐레버(440)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2체결부(4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후크부(422)는 이중 후크부재(420)의 절곡부(421) 선단 제1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제1후크부(422)는 후술하는 잠금유닛(500)의 제1걸림 돌기(531)와 결합되어 레버유닛(400)과 잠금유닛(500)의 제1걸림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후크부(422)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530)의 제1걸림 돌기(531)와 제1걸림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제1걸림홈(422A)과, 상기 제1걸림홈(422A)에서 절곡부 선단으로 갈수록 완만한 곡률을 가져 상기 이중 잠금부재(530)의 제1걸림 돌기(531)와의 제1걸림 결합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면(422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후크부(423)는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절곡부(421) 선단 제2면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제2후크부(423)는 상기 잠금유닛(500)의 제2걸림 돌기(532)와 결합되어 레버유닛(400)과 잠금유닛(500)의 제2걸림 결합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2후크부(423)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530)의 제2걸림 돌기(532)와 제2걸림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제2걸림홈(423A)과, 상기 제2걸림홈(423A)에서 절곡부(421) 선단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이중 잠금부재(520)의 제2걸림 결합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면(423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체결부(424)는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절곡부(421) 중단에서 제1 및 제2후크부(422, 423)가 돌출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힌지 구멍과 힌지축(430)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부(425)는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절곡부(421)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레버(4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는 상기 제1후크부(422)와 제2후크부(423)에 의해 이중으로 잠금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소정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보다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개폐레버(440)는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바깥쪽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개폐레버(440)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제2체결부(425)가 삽입 체결되는 제1결합부(441)와,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타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42)와, 상기 제1결합부(441)와 손잡이부(442)를 연결하기 위한 제2결합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441)는 상기 개폐레버(440)의 좌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제2체결부(425)가 삽입 체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결합부(441)는 상기 고정 브라켓(410)의 힌지 몸체(4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제2체결부(425)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 구멍(441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442)는 상기 개폐레버(440)의 우측 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힘을 전달할 수 있는 부분으로 정의되며, 상기 제2결합부(443)는 상기 제1결합부(441)와 손잡이부(442)를 제외한 부분으로 상기 제1결합부(441)와 손잡이부(442)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정의된다.
한편, 상기 잠금유닛(500)은 하우징(10)의 전면부에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고정구(미도시)를 통하여 설치 브라켓(510)이 하우징(10)에 체결되는데, 이러한 잠금유닛(500)은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510);과, 상기 설치 브라켓(510) 하부에 형성된 잠금 공간(520A)을 가지는 잠금 몸체(520);와, 상기 잠금 몸체(520)의 잠금 공간(520A) 일단에 고정 구비되는 제1걸림 돌기(531)와, 상기 잠금 몸체(520)의 잠금 공간(220A) 타단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걸림 돌기(532)로 이루어진 이중 잠금부재(530);와, 상기 제2걸림 돌기(53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2걸림 돌기(532)와 일체로 형성된 스틱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치 브라켓(510)은 상부 일측에서 제1두께로 형성된 제1부분(511)과, 상부 타측에서 제1두께에 비해 두꺼운 제2두께로 형성된 제2부분(512)과, 하부 일측 및 타측에서 제1두께로 형성된 제3부분(5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 브라켓(510)의 제1부분(511)에는 설치 브라켓(510)의 상부를 하우징(10)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1나사공(511A)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2부분(512)에는 상기 스틱부(540)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제2걸림 돌기(53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게 되고, 제3부분(513)에는 설치 브라켓(510)의 하부를 하우징(10)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2나사공(511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잠금 몸체(520)는 잠금 공간(520A)을 형성하도록 상기 설치 브라켓(510)의 제3부분(513)에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521)와 제2플레이트(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521)는 상기 설치 브라켓(510)의 제3부분(513)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이며, 상기 제2플레이트(522)는 상기 설치 브라켓(510)의 제3부분(513)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인데, 이러한 제1플레이트(521)와 제2플레이트(522)의 사이에는 상기 레버유닛(400)의 이중 후크부재(420)가 걸려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공간(520A)이 형성된다.
상기 이중 잠금부재(530)의 제1걸림 돌기(531)는 상기 잠금 몸체(520)의 잠금 공간(520A) 앞쪽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걸림 돌기(531)는 제1플레이트(521)와 제2플레이트(522)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레버유닛(400)의 이중 후크부재(420)의 제1후크부(42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 잠금부재(530)의 제2걸림 돌기(532)는 상기 잠금 몸체(520)의 잠금 공간(520A) 뒷쪽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걸림 돌기(532)는 제1플레이트(521)와 제2플레이트(522)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궤적을 가지고 가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레버유닛(400)의 이중 후크부재(420)의 제2후크부(423)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걸림 돌기(532)는 제2걸림 돌기(532)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스틱부(540)에 의해, 제2걸림 돌기(53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여 제2걸림 돌기(532)가 잠금 몸체(520)의 잠금 공간(520A) 상으로 나타나거나 사라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틱부(540)를 아래로 밀어 넣는 것으로 인하여 상기 제2걸림 돌기(532)는 상기 잠금 몸체(520)의 잠금 공간(520A)으로 출현하게 되고, 상기 스틱부(540)를 위로 잡아당기는 것으로 인하여 상기 제2걸림 돌기(532)는 상기 잠금 몸체(520)의 잠금 공간(520A)에서 사라지게 되어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제2후크부(423)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상기 스틱부(540)를 통하여 상기 이중 잠금부재(530)의 제2걸림 돌기(532)와 상기 이중 후크부재(420)의 제2후크부(423)는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어 상기 이중 잠금부재(530)와 이중 후크부재(420)가 제1걸림 결합만을 형성하거나 제1 및 제2걸림 결합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치환 등에 의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100 - 하우징 20 - 전면도어
30 - 개구부 40 - 이중잠금장치
50 - 히터장치
110 - 중앙부 111 - 중앙전면패널
112 - 연장결합부 113 - 고정볼트
120 - 상단부 121 - 상단전면패널
122 - 사이드결합부
130 - 하단부 131 - 하단전면패널
132 - 끼움결합부 133 - 배기유로
134 - 우측공간부 135 - 좌측공간부
136 - 격벽 137 - 필터
140 - 제1드럼 141 - 미세타공
142 - 풀리
150 - 제2드럼
200 - 블로우어 모듈 210 - 배기팬
220 - 구동모터 230 - 배기덕트
240 - 배기노즐
300 - 도어프레임 310 - 투명유리
320 - 고정프레임 330 - 고정볼트
340 - 유리안착부 350 - 접착테이프
400 - 레버유닛
410 - 고정브라켓 411 - 힌지몸체
420 - 이중후크부재 421 -절곡부
422 - 제1후크부 423 - 제2후크부
424 - 제1체결부 425 - 제2체결부
430 - 힌지축
440 - 개폐레버 441 - 제1결합부
442 - 손잡이부 443 - 제2결합부
500 - 잠금유닛
510 - 설치브라켓 511 - 제1부분
512 - 제2부분 513 - 제3부분
520 - 잠금몸체 521 - 제1플레이트
522 - 제2플레이트
530 - 이중잠금부재 531 - 제1걸림돌기
532 - 제2걸림돌기
540 - 스틱부

Claims (14)

  1. 상단부와 중앙부, 하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앙부에 전면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전면도어를 통해 세탁물이 수용되는 제1드럼;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드럼으로 열기를 공급하는 히터장치;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후면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배기유로와 연통하여 건조장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어 모듈은,
    상기 배기유로와 연통되어 건조장치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배기팬과 연통되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의 중심부에 한 쌍의 격벽에 의하여 좌우측 공간부와 격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를 형성하는 상기 한 쌍의 격벽 사이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르막 경사지게 장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로와 블로우어 모듈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유로 측에서 블로우어 모듈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배기노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의 전단부 외주면을 따라 상기 제1드럼의 내외부를 관통하며 형성된 미세타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드럼의 후면에 상기 제1드럼의 중심축에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풀리와,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1드럼을 내포하며, 전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상기 제1드럼의 중심축과 상기 풀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드럼과,
    상기 제1드럼에 형성된 풀리와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드럼을 회전 구동하는 동력발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전면에 결착하는 상단전면패널과, 중앙부 전면에 결착하는 중앙전면패널과, 하단부 전면에 결착하는 하단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상하 단부에는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후면에서 상하로 각각 연장되는 연장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단전면패널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 전면과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상측의 연장결합부를 함께 폐쇄하며,
    상기 하단전면패널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 전면과 상기 중앙전면패널의 하측 연장결합부를 함께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도어는,
    중심부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 테두리를 따라 후면에서 전면으로 돌출된 유리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유리안착부에 접착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장착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투명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는 이중 후크부재와, 상기 이중 후크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이중 후크부재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개폐레버를 구비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설치 브라켓 하부에 형성된 잠금 공간을 가지는 잠금 몸체와, 상기 잠금 몸체의 잠금 공간 일단에 고정 구비되는 제1걸림돌기와 잠금 공간 타단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걸림돌기로 이루어진 이중 잠금부재를 구비하는 잠금유닛;으로 구성되는 이중잠금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중 후크부재는,
    외관을 형성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 선단의 제1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1걸림 돌기와 제1걸림 결합을 형성하는 제1후크부와,
    상기 절곡부 선단의 제2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2걸림 돌기와 제2걸림 결합을 형성하는 제2후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1걸림 돌기와 제1걸림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에서 상기 절곡부 선단 측으로 갈수록 완만한 곡률을 가져 상기 제1걸림홈과 제1걸림 돌기의 제1걸림 결합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이중 잠금부재의 제2걸림 돌기와 제2걸림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제2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홈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걸림홈과 상기 제2걸림 돌기의 제2걸림 결합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중 후크부재는,
    상기 절곡부 중단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의 힌지 구멍과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절곡부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레버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제2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제2걸림 돌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 돌기가 출몰 가능하도록 하는 스틱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KR20130042388A 2013-04-17 2013-04-17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KR101507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388A KR101507603B1 (ko) 2013-04-17 2013-04-17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2388A KR101507603B1 (ko) 2013-04-17 2013-04-17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29A true KR20140124629A (ko) 2014-10-27
KR101507603B1 KR101507603B1 (ko) 2015-04-06

Family

ID=5199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2388A KR101507603B1 (ko) 2013-04-17 2013-04-17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3548A1 (en) * 2018-06-04 2019-12-12 Electrolux Laundry Systems Sweden Ab Tumble dryer
CN112323424A (zh) * 2020-11-13 2021-02-05 浙江好易点智能科技有限公司 下置式的烘干装置及晾衣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753A (ko) * 2004-09-10 200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JP4545566B2 (ja) 2004-11-25 2010-09-15 株式会社アサヒ製作所 業務用乾燥機
JP2008301941A (ja) 2007-06-06 2008-12-18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3548A1 (en) * 2018-06-04 2019-12-12 Electrolux Laundry Systems Sweden Ab Tumble dryer
CN112323424A (zh) * 2020-11-13 2021-02-05 浙江好易点智能科技有限公司 下置式的烘干装置及晾衣系统
CN112323424B (zh) * 2020-11-13 2023-09-08 浙江好易点智能科技有限公司 下置式的烘干装置及晾衣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603B1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7117B1 (en) Clothing dryer
US20080271336A1 (en) Lint Filter Assembly of Laundry Dryer
KR100664507B1 (ko) 의류건조기
CN106868827B (zh) 微波干衣机
CN206752162U (zh) 微波干衣机
EP2829653B1 (en) Laundry drying apparatus
EP1634984A1 (en) Combined drying-washing machine with heating pump
KR101507603B1 (ko) 외장 블로우어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EP1584732B1 (en) Clothes dryer
CN101096816A (zh) 具有出风口装置的干衣机门结构
JP3973807B2 (ja) 浴室用乾燥機
US10570559B2 (en) Laundry drying apparatus
WO2014020845A1 (ja) 衣類乾燥機
CN214959087U (zh) 一种干衣机电机的降噪散热装置
KR101094548B1 (ko) 건조기의 필터 구조
KR100898928B1 (ko) 건조기
CN211716663U (zh) 多功能风扇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100700792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WO2024065942A1 (zh) 衣物护理设备的箱体组件和具有其的衣物护理设备
CN217052775U (zh) 干衣机
WO2018188333A1 (zh) 干衣机
RU2664371C1 (ru) Машина для сушки белья с осушающим воздушным фильтром
CN114318803B (zh) 干衣机
WO2024065930A1 (zh) 衣物护理设备的箱体组件以及衣物护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