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060A -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060A
KR20140124060A KR1020130041138A KR20130041138A KR20140124060A KR 20140124060 A KR20140124060 A KR 20140124060A KR 1020130041138 A KR1020130041138 A KR 1020130041138A KR 20130041138 A KR20130041138 A KR 20130041138A KR 20140124060 A KR20140124060 A KR 20140124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onsumer
product
carbon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4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060A/ko
Publication of KR2014012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 Y02P90/84Greenhouse gas [GHG]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자 가상 스토어를 입점시키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한 아바타를 가상 마켓에 표시하는 가상 경제 관리부와 소비자가 상품을 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에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센터를 검색한 후에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거나 검색된 센터에 상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공유 경제 관리부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에 따른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녹색 경제 활성화를 위한 탄소 경제 관리부와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공동으로 영업 및 홍보를 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 경제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Web 4.0 Mobile Open Platform for National Economy & Captialism}
본 발명은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첨단 녹색 도시에서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가상 마켓, 가상 경제에서 종래의 현실세계의 오프라인 마켓이 위치기반의 가상서비스로 보완되어 생산, 판매, 지불, 유통, 택배, a/s, 후기피드백 등의 일련의 경제행위가 이루어지는 모바일 경제 생태계 플랫폼인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 2.0이란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말한다.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모아 보여주기만 하는 웹 1.0에 비해 웹 2.0은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다룰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정보를 더 쉽게 공유하고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블로그(blog), 위키피디아(wikipedia), 딜리셔스(del.icio.us) 등이 이에 속한다.
웹의 발전 주기를 분석한 연구에 의하면 웹 1.0, 웹 2.0 그리고 웹 3.0 및 웹 4.0으로 나뉜다. 학자에 따라 의견이 분분하지만 웹 3.0을 시맨틱웹으로 보고, 웹 4.0은 유비쿼터스 웹이라고 한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컴퓨터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말한다. 즉,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디바이스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나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웹 4.0 기반의 신개념 모바일 경제 생태계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첨단 녹색 도시 또는 국가(organic city & korea)에서 첨단 무선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경제 주체인 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가 웹 2.0에서의 수평적인 관계로 발전하였고, 아울러 접점인 시장의 개념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PC on-line)을 거쳐,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웹(web) 또는 앱(app.)에서 현실세상(현실도시)를 묘사한 3D-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가상현실(가상도시)로 변화하는데 주목하고 이에 적응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즉, 가상현실(가상도시)에서 가상인간(아바타)을 통하여 오감(五感) 정보를 활용하고 가상시장(마켓), 가상경제를 운용하기 위해 오프라인의 현실 마켓이 위치기반의 가상 서비스로 보완되었고, 이로 인해 최적의 상품이 신속, 정확하게 거래될 수 있고, 무한한 잠재고객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사회적 윤리, 나눔과 소통을 공유할 수 있게 되며,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상품구매가 가능해지고, 생산, 판매, 지불, 유통, 택배, 세금, a/s, 후기피드백 등의 일련의 경제행위가 국가별, 지역별, 업종별로 제공될수 있는 웹 4.0 기반의 신개념 모바일 경제 생태계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필요성이 제기된 방안을 고안하기 위하여,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자 가상 스토어를 입점시키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한 아바타를 상기 가상 마켓에 표시하는 가상 경제 관리부; 상기 소비자가 상품을 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가장 가까운 센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검색된 센터에 상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공유 경제 관리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에 따른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녹색 경제 활성화를 위한 탄소 경제 관리부; 및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영업 및 공동홍보를 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 경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상 경제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의 관심상품에 따라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하는 상기 가상 스토어 중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상점을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별로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경제 관리부는, 상기 아바타의 속성 정보로서 상기 소비자의 신체, 기호, 오감(五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하고,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관심상품을 구매할 때 오감 센싱을 통하여 구매 결정을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상 경제 관리부는, 3D 입체형상으로 표시되는 가상 스토어 내에 판매상품을 기능별로 배치하고, 소비자 아바타가 특정 상품을 구매 및 지불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상점으로부터 상기 구매한 상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유 경제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가 사용한 상품을 수리하는 경우에 상기 상품을 직접 수리하는 센터 또는 수리를 알선하는 업체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여 위치를 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유 경제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가 사용한 상품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현재 소비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재활용 센터를 선택하면 오프라인의 상기 재활용 센터에서 상품을 수거하고, 수거된 상품은 상기 재활용 센터의 가상 스토어 내에서 신규 재활용 상품으로 등록되어 다른 구매 희망자에게 배송하거나 오프라인에서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 경제 관리부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녹색인증제품 구매, 재활용품 구매, 대중교통이용, 에너지절약을 포함하는 소정의 녹색활동을 함에 따라 획득된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 및 관리하고, 상기 누적된 양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상기 사용자에게 재정적인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 경제 관리부는,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으로 영업 및 홍보를 하고, 상기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컨소시엄에 참여한 복수의 생산자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가장 가까운 상점으로부터 상품을 배송하거나 오프라인으로 판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랫폼 경제 관리부는, 상기 가상 마켓에서 경제 행위를 하는 생산자의 활동 중 사회봉사, 불우이웃성금, 지식기부, 기술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하여 데이터를 지수화한 후에 상기 지수화된 데이터를 기초로 등급에 따라 해당 생산자를 사회적 윤리기업으로서 상기 전자지도상에 별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에 적용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자 가상 스토어를 입점시키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기반서비스(LBS)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한 아바타를 상기 가상 마켓에 표시하는 가상 경제 관리단계; 상기 소비자가 상품을 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가장 가까운 센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검색된 센터에 상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공유 경제 관리단계;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에 따른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녹색 경제 활성화를 위한 탄소 경제 관리단계; 및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영업 및 공동홍보를 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 경제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자 가상 스토어를 입점시키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기반서비스(LBS)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한 아바타를 상기 가상 마켓에 표시하는 가상 경제 관리기능; 상기 소비자가 상품을 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가장 가까운 센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검색된 센터에 상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공유 경제 관리기능;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에 따른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녹색 경제 활성화를 위한 탄소 경제 관리기능; 및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영업 및 공동홍보를 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 경제 관리기능;를 포함하는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에 적용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접할 수 있는 가상 마켓에서 기본적인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아나바다 운동과 같은 공유 경제 관리, 온실가스 감축운동에 따른 탄소 경제 관리, SNS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소셜 플랫폼 경제 관리까지 모두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로서 본 발명을 웹 4.0 기반의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경제 생태계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의 환경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로서 가상 경제 관리부, 공유 경제 관리부, 탄소 경제 관리부, 플랫폼 경제 관리부의 핵심 키워드를 분류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어떤 방식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상품을 수리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절차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상품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절차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어떤 방식으로 탄소포인트(또는 탄소마일리지)를 지급할 수 있으며, 생산자의 사회공헌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어떤 방식으로 복수의 생산자가 협업하여 공동으로 영업, 홍보, 광고를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의 환경을 도시한 그림이다.
먼저, 가상도시(102)를 보면, V-CITY(virtual city)로서 현실도시를 웹 또는 앱상에서 3D-GIS 기반으로 만들어 놓은 것을 말한다.
이 때, 가상도시는 인공현실(artificial reality), 사이버 공간(cyberspace), 가상세계(virtual worlds), 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 합성환경(synthetic environment), 인공환경(artificial environment) 등으로 부를 수도 있다.
이제까지 개발된 가상현실 시스템들은 창문형 시스템(window systems), 거울형 시스템(mirror systems), 탑승형 시스템(vehicle-based systems), 동굴형 시스템(cave systems), 몰입형 시스템(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s), 그리고 증강현실 시스템(augmented reality systems)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도 증강현실 시스템을 대표적으로 살펴본다.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이라고도 한다.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템(hybrid VR system)인 것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3차원 가상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화면과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한다는 뜻이다.
증강현실을 실외에서 실현하는 것이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이다. 특히 머리에 쓰는 형태의 컴퓨터 화면장치는 사용자가 보는 실제환경에 컴퓨터 그래픽·문자 등을 겹쳐 실시간으로 보여줌으로써 증강현실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증강현실에 대한 연구는 착용컴퓨터 개발이 주를 이룬다. 개발된 증강현실시스템으로 비디오방식과 광학방식 등의 HMD(head mounted display)가 있다. 최근에는 구글에서 나온 스마트 안경(구글 글래스(google glasses))도 있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는 이와 같은 착용식 컴퓨터(wearable computer)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용어적인 측면에서 가상도시(102)는 현실도시와는 반대되는 개념이나, 본 발명에서는 104와 같이 위치기반 LBS(location based service)의 오프라인 상점을 반영하는 가상도시이므로, 현실도시에서의 불편함(공간상의 제약, 시간상의 제약, 날씨 등의 외부제약조건 등)은 보완하고, 아울러 현실의 환경과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상도시(102) 상에서 웹 2.0 기반의 수평적, 오픈형 관계에서 존재하는 U-생산자(101)와 U-소비자(103)가 서로 만나게 된다.
이 때, 경제 생태계에 주요 영향을 끼치는 공유 경제(110), 탄소 경제(120), 가상 경제(130), 플랫폼 경제(140)와 관련하여 여러 경제 행위를 하게 되는데, 위와 같은 4가지 경제 부문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200)의 관리 장치로서 가상 경제 관리부(210), 공유 경제 관리부(220), 탄소 경제 관리부(230), 플랫폼 경제 관리부(240)의 핵심 키워드를 분류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에서는 크게 4가지의 경제 부문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각에 대해서 그리고 서로에 대해서도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먼저 가상 경제 관리부(210)을 보면, 키워드로서 가상 마켓, 가상 스토어, 아바타, 전자지도, 위치기반, 최단배송을 포함하고 있다.
즉, 위치기반의 가상 마켓상에서 생산자가 등록한 가상 스토어에서 소비자인 아바타가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최단거리를 산정하여 오프라인으로 배송하는 경제 행위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공유 경제 관리부(220)을 보면, 키워드로서 상품수리, 재활용, 상품수거, 재판매를 포함하고 있다.
즉, 수리를 한다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고장난 상품에 대해서 수리를 의뢰하거나, 폐품을 다른 용도로 바꾸거나 가공하는 등의 재활용을 하고자 할 때, 가상 마켓에 있는 수리센터 또는 재활용센터에서 오프라인으로 상품을 수거해 가거나, 수거 후 다른 사람에게 재판매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탄소 경제 관리부(230)을 보면, 키워드로서 탄소포인트, 탄소마일리지, 녹색활동, 인센티브를 포함하고 있다.
탄소포인트 제도란, 온실가스 감축 실적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발급하고,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즉, 국민 개인이 기후변화의 주범인 온실가스(온실기체) 감축 활동에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이다. 가정과 상업시설에서 전기, 수도, 도시가스 및 지역난방 등의 사용량 절감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면 그 실적에 따라 탄소포인트를 발급받고, 이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지방자치체로부터 제공받게 된다.
여기서 온실가스란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하거나 재방출하여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 물질인데, 탄소포인트 제도는 이산화탄소(CO2)만을 대상으로 한다.
탄소포인트는 전기 등의 사용량 절감을 통하여 발생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을 배출계수를 통해 이산화탄소 감축량으로 환산한 후 감축된 이산화탄소 일정량에 대한 수치를 정수로 나타낸 값을 말한다.
탄소포인트 산정 방법은 기준사용량(과거 2년) 대비 현재의 사용량 절감분에 배출계수를 곱하여 환산하는데 절감분 10g CO2 당으로 환산된다.
탄소포인트제 참여자에게 제공되는 인센티브는 지역에 따라 그 종류, 규모, 지급횟수 및 지급시기 등이 서로 다른데 보통 현금 또는 교통카드, 상품권, 탄소캐시백, 종량제 쓰레기봉투, 공공시설 이용 바우처, 기념품 중에서 선택하여 지급받을 수 있다.
탄소포인트를 탄소캐시백으로 전환하는 경우 캐시백 가맹점과 탄소캐시백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탄소마일리지 제도는 가정이나 기업, 학교 등이 전기, 가스, 수도 등 에너지 사용량을 줄여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킬 경우 절약한 만큼 에너지를 포인트로 적립해 주는 제도이다.
적립된 포인트는 세금 납부, 복지, 문화 및 체육 시설과 대중교통 이용, 기부금 기탁시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하다.
녹색활동이란, 환경을 파괴하는 행동에 반대하며 에너지 절약 등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힘쓰는 활동을 말하며, 상품구매에 있어서 이러한 소비자를 녹색소비자라고 한다. 즉, 환경을 고려한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제품을 선호하고 구매하는 사람들을 녹색소비자라고 한다.
다음으로 플랫폼 경제 관리부(240)을 보면, 키워드로서 소셜 네트워크, 컨소시엄, 공동영업, 공동홍보, 사회공헌 지수화, 사회적 윤리기업 등 사람과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어떤 방식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웹 GIS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열어 놓고(S300), 생산자의 기본 정보(행정주소, 홈페이지 주소,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을 IP로 식별하여 각 생산자를 3D-CAD로 도시 가능한 가상 스토어를 구축한다. 아울러, 판매상품들도 3D로 만들고 기능별로 배치한다(S310).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하여 소비자 아바타가 표시되고(S320), 이러한 아바타가 가상 스토어를 방문하여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정상적으로 지불(ex.스마트 월렛 원 클릭)되었다면, 이 때 생산자는 가상 가계부에 순서별, 내용별로 가상 영수증을 기록한 후 현재 소비자의 실제 위치(GPS위치)와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상점을 통해서 해당 상품을 택배운송 시키거나, 소비자가 관심 있어 하는 특정상품이 있어서 검색하는 경우에, 해당 재화나 용역을 제공하는 여러 가상 스토어 중에 소비자의 위치와 가장 가가운 상점을 전자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S330).
또는 이 때, 이동수단별(ex.대중교통,자가용,도보,고속도로,국도 등)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산정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S340).
아울러, 소비자를 나타내는 아바타는 상품의 실재감(sense of being)을 오감(五感) 센싱을 통하여 결정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S350). 오감 정보 처리 기술(five senses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는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인간의 오감 정보를 센싱하고 전달하여 재현하는 기술이다.
인간의 오감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보고 듣는 것뿐만 아니라 이러한 감각을 증강시키기 위해 컴퓨터를 통해 만지고, 맛보고, 향기를 맡는 등 오감 정보를 실제와 같이 느낄 수 있도록 실감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간 중심의 기술이다.
여기에는 인간과 컴퓨터 간의 자연스러운 일체감 제공을 위한 오감 정보 기반의 멀티모달 인터페이스 기술, 인간과 컴퓨터와의 대화(HCI) 기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상점으로부터 구매한 상품이 배송된다(S36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상품을 수리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절차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GIS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하여 열어 놓는다(S400).
그런 다음 생산자의 가상 스토어를 3D(입체형상)으로 표시하여 입점시키고 가상 스토어 내에 판매상품을 기능별로 배치한다(S410).
그리고 소비자의 실제 오프라인의 GPS 위치를 이용하여 소비자 아바타를 가상 마켓에 표시한다(S420).
이 때, 소비자가 공유 경제 행위로서 자신이 사용하던 상품을 수리하는 경우에 수리센터 또는 알선업체를 검색하여 전자지도상에 표시해 준다(S430).
마찬가지로 이 때 이동수단별(ex.대중교통,자가용,도보,고속도로,국도 등)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산정하여 함께 표시할 수 있다(S440).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상점에서 해당 상품을 수리하면 된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상품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절차의 예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먼저 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하여 놓는다(S500).
그런 다음 생산자의 가상 스토어를 3D(입체형상)으로 표시하여 입점시키고 가상 스토어 내에 판매상품을 기능별로 배치한다(S510). 물론 동작 환경에 따라 2D나 기타 텍스트로 처리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실제 오프라인 위치(즉, GPS상의 위치)를 이용하여 소비자 아바타를 가상 마켓에 표시한다(S520).
이 때, 자신의 상품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현재 소비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재활용 센터를 선택하면 오프라인의 상기 재활용 센터에서 상품을 수거해가고, 수거된 상품은 상기 재활용 센터의 가상 스토어 내에서 신규 재활용 상품으로 등록되어 다른 구매 희망자에게 배송하거나 오프라인에서 판매할 수도 있다(S5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어떤 방식으로 탄소포인트(또는 탄소마일리지)를 지급할 수 있으며, 생산자의 사회공헌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하여 놓고(S600), 생산자의 가상 스토어를 3D-CAD로 표시하여 입점시키고, 가상 스토어 내에 판매상품도 기능별로 배치한다(S610). 물론 앞서 언급한대로 구동 환경에 따라 2D나 기타 텍스트로 처리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의 실제 오프라인 위치(즉, GPS상의 위치)를 이용하여 소비자를 나타내는 아바타를 가상 마켓에 표시한다(S620).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으로서 사용자가 녹색인증제품 구매, 재활용품 구매, 대중교통이용, 에너지절약 등의 녹색활동을 함에 따라 획득되는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는 누적되고 및 관리되며, 이렇게 누적된 양을 계산해서 등급을 나누어 시상하고, 사용자에게 재정적인 인센티브 또한 지급할 수 있다(S630).
한편, 가상 마켓에서 경제 행위를 하는 생사자의 활동 중 사회봉사, 불우이웃성금, 지식기부, 기술기부, 중소기업상생 등의 소정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해서는 이를 지수화하여 데이터를 만든 다음에, 지수화된 데이터를 기초로 등급에 따라 해당 생산자를 사회적 윤리기업으로서 전자지도상에 별도 표시(ex.하이라이트 표시, 천사기업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S64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마켓에서 어떤 방식으로 복수의 생산자가 협업하여 공동으로 영업, 홍보, 광고를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하여 놓고(S700), 생산자의 가상 스토어를 3D-CAD로 표시하여 입점시키고, 가상 스토어 내에 판매상품도 기능별로 배치한다(S710). 그리고 소비자의 실제 오프라인 위치(즉, GPS상의 위치)를 이용하여 소비자를 나타내는 아바타를 가상 마켓에 표시한다(S720).
그리고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협업차원에서 소셜 네트워크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가상 마켓에서 공동으로 영업 및 홍보를 할 수 있는데(S730), 이 때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면 컨소시엄에 참여한 여러 생산자의 여러 오프라인 상점들 중에서 소비자의 위치와 가장 가까운 상점으로부터 상품이 배송되거나 아니면 소비자가 직접 상점으로 찾아간다면 오프라인으로 판매할 수도 있다(S74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접할 수 있는 가상 마켓에서 기본적인 경제활동뿐만 아니라, 아나바다 운동과 같은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공유 경제 관리, 온실가스 감축운동에 따른 녹색 경제 관리, SNS 서비스 활성화에 따른 사회적 윤리와 나눔과 소통을 공유하는 소셜 플랫폼 경제 관리를 포함하여 모두에 대해 종합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이로서 새로운 웹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시대의 모바일 경제 생태계 플랫폼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경제적 상생을 위한 활동, 사회 봉사, 지식 기부, 기술 기부 등과 같은 사회적 재화를 국민이 공유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자 가상 스토어를 입점시키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한 아바타를 상기 가상 마켓에 표시하는 가상 경제 관리부;
    상기 소비자가 상품을 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센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검색된 센터에 상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공유 경제 관리부;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에 따른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녹색 경제 활성화를 위한 탄소 경제 관리부; 및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으로 영업 및 홍보를 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 경제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제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의 관심상품에 따라 재화 또는 용역을 제공하는 상기 가상 스토어 중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상점을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수단별로 이동경로와 소요시간을 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제 관리부는,
    상기 아바타의 속성 정보로서 상기 소비자의 신체, 기호, 오감(五感)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하고,
    상기 아바타를 이용하여 관심상품을 구매할 때 오감 센싱을 통하여 구매 결정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제 관리부는,
    3D 입체형상으로 표시되는 가상 스토어 내에 판매상품을 기능별로 배치하고, 소비자 아바타가 특정 상품을 구매 및 지불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오프라인 상점으로부터 상기 구매한 상품이 배송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경제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가 사용한 상품을 수리하는 경우에 상기 상품을 직접 수리하는 센터 또는 수리를 알선하는 업체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여 위치를 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경제 관리부는,
    상기 소비자가 사용한 상품을 재활용하는 경우에 현재 소비자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재활용 센터를 선택하면 오프라인의 상기 재활용 센터에서 상품을 수거하고,
    수거된 상품은 상기 재활용 센터의 가상 스토어 내에서 신규 재활용 상품으로 등록되어 다른 구매 희망자에게 배송하거나 오프라인에서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경제 관리부는,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녹색인증제품 구매, 재활용품 구매, 대중교통이용, 에너지절약을 포함하는 소정의 녹색활동을 함에 따라 획득된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 및 관리하고,
    상기 누적된 양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상기 사용자에게 재정적인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경제 관리부는,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으로 영업 및 홍보를 하고
    상기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면 상기 컨소시엄에 참여한 복수의 생산자에 해당하는 오프라인 상점들 중 가장 가까운 상점으로부터 상품을 배송하거나 오프라인으로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경제 관리부는,
    상기 가상 마켓에서 경제 행위를 하는 생산자의 활동 중 사회봉사, 불우이웃성금, 지식기부, 기술기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하여 데이터를 지수화한 후에 상기 지수화된 데이터를 기초로 등급에 따라 해당 생산자를 사회적 윤리기업으로서 상기 전자지도상에 별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장치.
  10.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에 적용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자 가상 스토어를 입점시키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기반서비스(LBS)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한 아바타를 상기 가상 마켓에 표시하는 가상 경제 관리단계;
    상기 소비자가 상품을 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센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검색된 센터에 상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공유 경제 관리단계;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에 따른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녹색 경제 활성화를 위한 탄소 경제 관리단계; 및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으로 영업 및 홍보를 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 경제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방법.
  11.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한 인터넷 수치 전자지도상에 가상 마켓을 구축한 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산자 가상 스토어를 입점시키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위치기반서비스(LBS)에 기반하여 소비자의 GPS상의 위치를 이용한 아바타를 상기 가상 마켓에 표시하는 가상 경제 관리기능;
    상기 소비자가 상품을 수리하거나 재활용하는 경우에 상기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센터를 검색한 후에 상기 전자지도상에 표시하거나 상기 검색된 센터에 상품의 수거를 요청하는 공유 경제 관리기능;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활동에 따른 탄소포인트 또는 탄소마일리지를 누적하고 사용자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녹색 경제 활성화를 위한 탄소 경제 관리기능; 및
    동종업종에 속한 복수의 생산자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마켓에서 공동으로 영업 및 홍보를 함으로써 수익을 극대화하는 플랫폼 경제 관리기능;를 포함하는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에 적용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41138A 2013-04-15 2013-04-15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KR20140124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38A KR20140124060A (ko) 2013-04-15 2013-04-15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138A KR20140124060A (ko) 2013-04-15 2013-04-15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060A true KR20140124060A (ko) 2014-10-24

Family

ID=5199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138A KR20140124060A (ko) 2013-04-15 2013-04-15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40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061A (ko) * 2016-08-24 2019-04-23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개인 탄소 발자국의 계산
CN110689469A (zh) * 2019-09-25 2020-01-14 苏州安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网格化管理平台
CN114266586A (zh) * 2020-09-16 2022-04-01 广州天维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营销的方法和系统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2061A (ko) * 2016-08-24 2019-04-23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개인 탄소 발자국의 계산
KR20210072830A (ko) * 2016-08-24 2021-06-17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개인 탄소 발자국의 계산
KR20210072829A (ko) * 2016-08-24 2021-06-17 어드밴스드 뉴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개인 탄소 발자국의 계산
US11392476B2 (en) 2016-08-24 2022-07-19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Calculating individual carbon footprints
US11467941B2 (en) 2016-08-24 2022-10-11 Advanced New Technologies Co., Ltd. Calculating individual carbon footprints
CN110689469A (zh) * 2019-09-25 2020-01-14 苏州安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网格化管理平台
CN114266586A (zh) * 2020-09-16 2022-04-01 广州天维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营销的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e et al. Designing ranking systems for hotels on travel search engines by mining user-generated and crowdsourced content
Wang et al. How smart is your tourist attraction?: Measuring tourist preferences of smart tourism attractions via a FCEM-AHP and IPA approach
Curty et al. Website features that gave rise to social commerce: a historical analysis
CN103415865A (zh) 为用于显示给观看用户的广告选择社交认可信息
Wa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framework design for online tourism: know you better than yourself
Pradana et al. Moderating of SERVQUAL on E-WOM, product quality, and brand image on and E-commerce purchase intention
Lee et al. Defining online to offline (O2O): a systematic approach to defining an emerging business model
KR102137653B1 (ko) 관광지 상품 판매 및 개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정보제공시스템
KR20140124060A (ko) 양방향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모바일 경제 생태계를 구성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그리드의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기록매체
Whitehead Identifying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in online consumer reviews: the case study of ‘TripAdvisor’
Li Current and future years of e-commerce
Zainol et al. Exploring Digitalization-Driven in Innovative Eco-Tourism Sector
Awasthi et al. Handbook of research 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decision making for sustainable supply chains
Uğurlu Technology in tourism marketing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Negi et al. The role of online marketing in the travel & tourism industry
KR20170106133A (ko) 온실가스 배출과 상쇄 정보공유 지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von Reischach et al. The design space of ubiquitous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s
Sigala Technology and tourism: Themes, concepts and issues
KR101676302B1 (ko) 객체의 코드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05096153A (zh) 一种基于三维扫描仪的网上商店营销方法
Schifferes Shopping for shared value
KR20200110943A (ko) 온라인 쇼핑몰 임대 및 유무형 가치 거래를 위한 쇼핑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hen et al. Online to offline business model
Shi E-tourism evolutionary effect: studying e-tourism in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