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652A -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652A
KR20140123652A KR20130040586A KR20130040586A KR20140123652A KR 20140123652 A KR20140123652 A KR 20140123652A KR 20130040586 A KR20130040586 A KR 20130040586A KR 20130040586 A KR20130040586 A KR 20130040586A KR 20140123652 A KR20140123652 A KR 20140123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perspective
adjusting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1227B1 (ko
Inventor
이상길
양성수
김봉기
Original Assignee
(주)이엠아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엠아이지 filed Critical (주)이엠아이지
Priority to KR102013004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227B1/ko
Priority to PCT/KR2014/001930 priority patent/WO2014168340A1/ko
Publication of KR2014012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시 기반에서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입체영상 전문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복잡한 프로그램이 아닌 플래시 기반에서 입체영상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3D영상플레이어나 3D모드 변환 없이 웹상에서도 입체영상을 구동시킬 수 있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좌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우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우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또는 우측영상의 시차(Parallax)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및 상기 우측영상이 픽셀 행단위로 번갈아 가면서 디스플레이되어 입체프레임을 형성하는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Method for generation 3D image based on Flash}
본 발명은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래시 기반에서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입체영상 전문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복잡한 프로그램이 아닌 플래시 기반에서 입체영상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3D영상플레이어나 3D모드 변환 없이 웹상에서도 입체영상을 구동시킬 수 있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물체를 볼 경우, 양쪽 눈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물체를 바라보게 되며,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영상을 뇌에서 합성하여 물체를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장치와, 사용자가 쓰는 입체영상전용 안경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사람이 좌측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좌측시야영상과, 우측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우측시야영상으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영상은 좌우측 눈을 대신하는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좌측시야영상과 우측시야영상을 번갈아가면서 디스플레이하고, 입체영상전용 안경을 이용하여 좌측시야영상은 좌측눈에 그리고, 우측시야영상은 우측눈에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입체영상 기술은 우선 디스플레이에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 시킨 액정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사용하여 시차에 따른 이미지를 시분할 방식으로 좌, 우 양안에 교차적으로 배분하는 액정셔터 안경 방식 즉 액티브 방식과, 편광필터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좌우영상을 표시하고 편광안경을 이용하여 좌, 우 양안에 배분하는 편광 안경 방식 즉 패시브 방식이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 모니터 장치를 비롯하여 PMP나 휴대용 게임기,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을 갖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보길 원하는 소비자가 늘어가고 있다.
이에 반해,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오토데스크(autodesk)사의 3DMAX 프로그램 등의 전문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복잡한 프로그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생성된 입체영상들을 웹상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3D영상플레이어나 3D모드 변환을 수행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영상 전문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복잡한 프로그램이 아닌 플래시 기반에서 입체영상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3D영상플레이어나 3D모드 변환 없이 웹상에서도 입체영상을 구동시킬 수 있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좌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우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우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또는 우측영상의 시차(Parallax)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및 상기 우측영상이 픽셀 행단위로 번갈아 가면서 디스플레이되어 입체프레임을 형성하는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은, 입체영상 전문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복잡한 프로그램이 아닌 플래시 기반에서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생성시킬 수 있으며, 편광방식의 3D모니터와 편광 안경만 있으면 별도의 3D영상플레이어나 3D모드 변환 없이 일반 인터넷창에서 입체화면을 보고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생성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측영상에 마스크를 적용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우측영상에 마스크를 적용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합친 예.
도 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차조정의 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생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생성 방법은, 플래시 기반에서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로딩한다(S110).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좌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고(S1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우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한다(S130).
이때, 좌측영상 마스크가 상기 좌측영상 픽셀의 홀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씌워지면, 우측영상 마스크는 상기 우측영상 픽셀의 짝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씌워진다. 이와 반대로, 좌측영상 마스크가 상기 좌측영상 픽셀의 짝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씌워지면, 우측영상 마스크는 상기 우측영상 픽셀의 홀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씌워진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 마스크와 우측영상 마스크는 영상 픽셀의 행단위로 교대로 배치되어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합쳐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또는 우측영상의 간격차이인 시차(Parallax)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 및 입체 정도를 다양하게 조절한다(S140). 이때,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은 사이즈(size)가 동일하며 좌측영상의 0번 라인과 우측영사의 0번라인의 위치가 일치하고, 좌측영상의 n번라인과 우측영상의 n번라인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조정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원근감을 가지지 않는다.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영상을 좌측영상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화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을 우측영상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화면보다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영상의 양단이 상기 좌측영상의 양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좌측은 화면보다 앞으로 튀어나와 보이고, 영상의 우측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양단이 우측영상의 양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우측은 앞으로 나와보이고, 좌측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영상의 우측단이 좌측영상의 우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우측만 화면보다 앞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영상의 좌측단이 좌측영상의 좌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좌측만 화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좌측단이 우측영상의 좌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좌측만 화면보다 앞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영상의 우측단이 좌측영상의 우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우측만 화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상단은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좌측영상의 하단은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고, 하단은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상단만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만 안쪽으로 들어가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하단만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하단만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상단은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좌측영상의 하단은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은 화면보다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고, 하단은 화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하단만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시차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만 화면보다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되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의 하단만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하단만 화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는 원근감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및 상기 우측영상이 픽셀 행단위로 번갈아 가면서 디스플레이되어 입체영상을 형성하는 플래시 파일을 생성한다(S150). 이때, 플래시 파일은 확장자가 *.swf인 쇽웨이브파일로 생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영상 생성 방법은 플래시 기반에서 단순히 좌측영상 또는 우측영상의 이미지 간격 차이인 시차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원근감 및 입체정도를 가지는 입체영상을 용이하게 생성시킬 수 있으며, 편광방식의 3D모니터와 편광 안경만 있으면 별도의 3D영상플레이어나 3D모드 변환 없이 일반 인터넷창에서 입체화면을 보고 컨트롤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Claims (17)

  1.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체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좌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우측영상의 픽셀 행단위에 대응되어 한줄 건너 한줄씩 마스크를 교대로 배치시켜 우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또는 우측영상의 시차(Parallax)를 조정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라인단위 마스크가 형성된 좌측영상 및 상기 우측영상이 픽셀 행단위로 번갈아 가면서 디스플레이되어 입체프레임을 형성하는 플래시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좌측영상 픽셀의 홀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마스크가 씌워질 경우,
    상기 우측영상 픽셀의 짝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마스크를 씌워 상기 우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좌측영상 픽셀의 짝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마스크가 씌워질 경우,
    상기 우측영상 픽셀의 홀수 번째의 행단위에 대응되도록 마스크를 씌워 상기 우측영상에 라인단위 마스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우측영상을 상기 좌측영상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을 상기 우측영상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좌측은 앞으로 나와보이고, 우측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우측영상의 양단이 상기 좌측영상의 양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우측은 앞으로 나와보이고, 좌측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양단이 상기 우측영상의 양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우측만 앞으로 나와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우측영상의 우측단이 상기 좌측영상의 우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좌측만 안쪽으로 들어가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우측영상의 좌측단이 상기 좌측영상의 좌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좌측만 앞으로 나와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좌측단이 상기 우측영상의 좌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우측만 안쪽으로 들어가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우측영상의 우측단이 상기 좌측영상의 우측단보다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고, 하단은 앞쪽으로 나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상단은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좌측영상의 하단은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만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상단만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하단만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하단만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은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고, 하단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상단은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좌측영상의 하단은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상단만 앞쪽으로 튀어나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하단만 우측영상보다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원근감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하단만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좌측영상의 하단만 우측영상보다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KR1020130040586A 2013-04-12 2013-04-12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KR101511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586A KR101511227B1 (ko) 2013-04-12 2013-04-12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PCT/KR2014/001930 WO2014168340A1 (ko) 2013-04-12 2014-03-10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586A KR101511227B1 (ko) 2013-04-12 2013-04-12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52A true KR20140123652A (ko) 2014-10-23
KR101511227B1 KR101511227B1 (ko) 2015-04-16

Family

ID=5168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586A KR101511227B1 (ko) 2013-04-12 2013-04-12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1227B1 (ko)
WO (1) WO20141683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8212A (ja) 2003-02-17 2004-09-02 Kazunari Era 立体視画像表示装置
JP2004249212A (ja) * 2003-02-20 2004-09-09 Kokusai Electric Alhpa Co Ltd 超音波洗浄装置
KR20040102846A (ko) * 2003-05-29 2004-12-08 주식회사 펜타브리드 플래시를 이용한 단일화면 내 원클릭 인터넷 쇼핑몰운용방법
RU2689191C2 (ru) * 2009-01-26 2019-05-24 Томсон Лайсенсинг Упаковка кадров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
KR101192314B1 (ko) * 2010-11-05 2012-10-17 전자부품연구원 실감형 3차원 게임 시스템
KR101028342B1 (ko) 2011-01-20 2011-04-11 (주)디지탈아리아 2차원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입체 3차원 플래시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227B1 (ko) 2015-04-16
WO2014168340A1 (ko)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0951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8058914A1 (zh) 裸眼3d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US9049435B2 (en)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image providing method based on user's location
US20120287252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US11310487B1 (en) Frustum change in projection stereo rendering
US9300950B2 (en) Entertainment displaying system and interactive stereoscopic displaying method of the same
US20140293024A1 (en) Foldable displa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20139455A (ko)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기능 훈련방법
Zhang et al. Depth of field affects perceived depth in stereographs
JP4634863B2 (ja) 立体視画像生成装置及び立体視画像生成プログラム
US20130155055A1 (en)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2724539B (zh) 一种3d显示方法及显示装置
TWI515457B (zh) 多視點三維顯示器系統及其控制方法
US201201882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WO2018028138A1 (zh) 裸眼3d显示设备及其显示方法
KR101320477B1 (ko) 카메라 간격 및 이동속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물 내비게이션 장치 및 방법
JP201503728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76538A1 (en)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TW201502586A (zh) 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場色序法液晶顯示器及配合軟體光柵來產生立體影像的方法
CN106851246B (zh) 用于确定三维图像或视频的视觉疲劳度的方法和设备
KR101511227B1 (ko) 플래시 기반 입체영상 생성 방법
WO2015035713A1 (zh) 立体显示装置
CN102970498A (zh) 菜单立体显示的显示方法及显示装置
JP2014053782A (ja) 立体画像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処理方法
JP201316878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