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624A -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624A
KR20140123624A KR1020130040205A KR20130040205A KR20140123624A KR 20140123624 A KR20140123624 A KR 20140123624A KR 1020130040205 A KR1020130040205 A KR 1020130040205A KR 20130040205 A KR20130040205 A KR 20130040205A KR 20140123624 A KR20140123624 A KR 20140123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ft
value
ship
trim
d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종
김현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3624A/ko
Publication of KR20140123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1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for indicating draught or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도크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진수 선박의 트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을 도크에서 진수할 때 트림으로 인한 선체 및 도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Monitoring Safety of Launching Ship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도크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진수 선박의 트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을 도크에서 진수할 때 트림으로 인한 선체 및 도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진수(進水, Launching)란 새로 만든 선박을 선대(船臺)나 도크에서 처음으로 물 위에 띄우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선대에서 선박을 만든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유(潤滑油)나 볼 베어링(ball bearing) 등을 사용해서 선대 위에서 선미쪽부터 물속으로 밀어보내고, 건조 도크에서 선박을 만든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 내에 해수를 주입하여 선체를 뜨게 한 다음에 밖으로 끌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진수 작업시 중요한 것은 선수(船首)-선미(船尾)간의 세로방향의 경사에 해당하는 트림(Trim)을 조정하여 선체 및 도막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트림(Trim)이라 하는 것은 선수와 선미간의 흘수(吃水)의 차이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선박에는 흘수와 트림을 조정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시스템(ballast system)이 구비되어 있으며, 만약 앞뒤의 흘수가 같으면 그 선박은 등흘수(等吃水)의 상태에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선박 진수시 트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선수부와 선미부에 흘수선을 설치하고 작업자가 흘수선의 레벨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탱크에 밸러스트 수(ballast water)를 채우거나 시멘트 블록을 선체에 탑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선박의 진수는 타 공정과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주로 주말 야간에 이루어지고, 태풍으로 인한 특별 기상조건이 아니면 강우 상황에서도 진수 작업을 계속하기 때문에, 우천시 또는 선체 측면 만곡부에 흘수선이 설치된 경우 흘수선을 눈으로 계측하는 것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선박 진수시 트림이 발생하여 선체가 반목과 부딪쳐 손상되거나 선체 하부의 도장에 밀림 현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진수 선박은 도크에서 선체와 일부 기장 장비가 설치된 상태라 독자적으로 이동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기도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며, 또한 도크에 물이 차기 시작하면 진수 선박에 승선이 어렵고, 선박 진수시 발생한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선체를 재도킹하거나 수중에서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지연과 작업에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선박 진수시 도크 밖에 위치한 작업자가 트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선체 트림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공개번호 10-2004-0101836호(2004.12.0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크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진수 선박의 트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을 도크에서 진수할 때 트림으로 인한 선체 및 도장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은, 진수 선박의 선수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의 흘수선에 각각 부착되어 주기적으로 흘수를 계측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흘수 계측 센서; 상기 각 흘수 계측 센서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진수 선박의 흘수값을 수신하여 트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 및 좌현-우현의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하는 트림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흘수 계측 센서는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일측면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선체의 흘수선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흘수 계측 센서는 액위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액체의 레벨을 계측하는 압력식 레벨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흘수 계측 센서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에 위치한 트림 모니터링 장치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노드,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는 IEEE 802.15.4의 근거리 저속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드,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는 진수시 독립적인 배터리로 장시간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저전력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선박의 모델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진수 선박에 설치된 상기 노드와 도크 외부에 설치된 상기 게이트웨이간에 안정적인 무선 통신 링크가 설정되도록 상기 라우터의 개수 및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흘수값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흘수값의 이동 평균값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진수 선박에 설치된 노드와 도크 외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간의 무선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 진수 선박의 선수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의 흘수선에 각각 부착된 하나 이상의 흘수 계측 센서에서 주기적으로 흘수를 계측하여 전송하는 단계; (b)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각 흘수 계측 센서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및 (c) 트림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진수 선박의 흘수값을 수신하여 트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 및 좌현-우현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과 좌현-우현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카운트를 1증가시킨 후, 상기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하여 임계치를 초과하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흘수값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흘수값의 이동 평균값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진수 선박에 설치된 노드와 도크 외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간의 무선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크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진수 선박의 트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을 도크에서 진수할 때 트림으로 인한 선체 및 도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선박의 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흘수 계측 센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트림 모니터링 장치에 설치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200)은, 진수 선박의 흘수를 계측하기 위한 흘수 계측 센서(210)와, 상기 흘수 계측 센서(210)를 통해 계측된 흘수값을 도크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와,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로부터 진수 선박의 흘수값을 수신하여 트림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흘수 계측 센서(210)는 진수 선박의 선수와 선미의 좌우현에 설치된 흘수선에 각각 부착되어 주기적으로 흘수를 계측하여 전송하며, 상기 흘수 계측 센서(21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흘수 계측 센서(21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흘수 계측 센서(21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211)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하우징(211)의 일측면에 구비된 영구자석(미도시)에 의해 선체의 흘수선에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11)은 진수시 예인선이 선체를 이동시킬 때 접촉 또는 기타 충격 등으로부터 상기 흘수 계측 센서(210)를 보호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흘수 계측 센서(210)가 해수에 의한 압력을 충분히 받아 흘수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진수 선박의 흘수를 계측하기 위한 흘수 계측 센서(210)로는 압력식, 부자식, 정전용량식, 초음파식, 마이크로웨이브식 레벨 센서를 이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실외의 강우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이 작고 선체의 흘수선과 비교가 용이한 압력식 레벨 센서를 채택하였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는 상기 흘수 계측 센서(210)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에 위치한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노드(230a), 라우터(230b) 및 게이트웨이(23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에 포함된 노드(230a), 라우터(230b) 및 게이트웨이(230c)는 선박 진수 작업이 도크에 주수를 시작한 후 최대 8시간 이상 진행되므로, 진수시 독립적인 배터리로 장시간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저전력 모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에 포함된 노드(230a), 라우터(230b) 및 게이트웨이(230c)는 추가적인 노드 확장이 용이하며 건조 중인 선박 내부뿐만 아니라 도크 외부에 위치한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까지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IEEE 802.15.4의 근거리 저속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는 선체에 설치된 곤돌라, 용접기, 변압기 등의 작업용 장비들로 인해 무선 통신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선박의 모델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진수 선박에 설치되는 노드(230a)와 도크 외부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230c)간에 안정적인 무선 통신 링크가 설정되도록 라우터(230b)의 개수 및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도시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선수 및 선미의 좌우 양현에 흘수 계측 센서(2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선박의 모델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노드(230a)와 게이트웨이(230c)간에 안정적인 무선 통신 링크가 설정되도록 라우터(230b)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LNG 운반선을 진수하는 경우, LNG 운반선은 일반 상선과 달리 화물창이 선체 중앙부에 돌출되어 화물창의 반대편에 설치된 노드에서는 무선 통신이 두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화물창 상부에 통신 중계기 역할을 하는 라우터(230b)를 설치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도 4b를 참조하면, 선체에 용접기, 곤돌라, 변압기 등이 설치된 상태에서 선박을 진수하는 경우, 양현의 갑판에 설치된 용접기, 곤돌라, 변압기 등의 큰 장비가 통신을 방해하여 라우터(230b)와 게이트웨이(230c)간에 통신 두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라우터(230b)를 갑판의 핸드레일을 이용하여 선체 외부로 돌출시켜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선체 상부에 용접기, 곤돌라, 변압기 등이 설치된 상태에서 LNG 운반선을 진수하는 경우, 선체에 설치된 장비들과 LNG 운반선의 돌출된 화물창으로 인해 무선 통신이 두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화물창 상단의 핸드레일에 라우터 설치 치구를 부착하고 그 치구에 라우터(230b)를 설치하여 선체에 설치된 장비들로 인한 통신 장애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로부터 진수 선박의 흘수값을 수신하여 트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 및 좌현-우현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하며, 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에 설치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진수 선박에 설치된 각 노드(230a)와 도크 외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230c)간의 무선 통신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맨 상단에 있는 미터 버튼은 각 노드(230a)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고, 가운데 있는 수직형 막대는 각 노드(230a)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며, 맨 아래의 램프 버튼은 진수 선박으로부터의 흘수값 수신 여부를 나타낸다.
그 다음,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각 흘수 계측 센서(210)의 설치 위치, 선수-선미 트림 경고 기준값, 좌현-우현 트림 경고 기준값, 계측 주기, 흘수값 이동 평균 주기(Moving average period)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초기 설정값으로 선수-선미 트림 경고 기준값은 30cm, 좌현-우현 트림 경고 기준값은 15cm, 계측 주기는 1초, 흘수값 이동 평균 주기는 60초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각 노드(230a)로부터 수신된 흘수값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흘수값의 이동 평균값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 및 좌현-우현의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각 노드(230a)로부터 수신된 흘수값은 시간 데이터와 함께 내부 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작업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에서 트림 경고 기준값, 계측 주기, 흘수값의 이동 평균 주기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진수 선박에 부착되어 있는 각 흘수 계측 센서(210)에서 주기적으로 흘수를 계측하여 전송한다(S610~S611).
그 다음,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에서는 상기 각 흘수 계측 센서(210)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에 위치한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로 무선 전송한다(S620~S621).
다음으로,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230)로부터 흘수값이 수신되면(S630),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흘수값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각 채널별로 흘수값의 이동 평균값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631).
여기에서,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흘수값 및 흘수값의 이동 평균값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 다음,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과 좌현-우현 흘수값을 계산하여(S632), 계산된 흘수값이 경고 기준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633).
만약 선수-선미 흘수값과 좌현-우현 흘수값이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250)는 카운트를 1증가시킨 후(S634),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하여(S635),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한다(S63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크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진수 선박의 트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을 도크에서 진수할 때 트림으로 인한 선체 및 도장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00 :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210 : 흘수 계측 센서
230 :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230a : 노드
230b : 라우터
230c : 게이트웨이
250 : 트림 모니터링 장치

Claims (10)

  1. 진수 선박의 선수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의 흘수선에 각각 부착되어 주기적으로 흘수를 계측하여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흘수 계측 센서;
    상기 각 흘수 계측 센서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 및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진수 선박의 흘수값을 수신하여 트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 및 좌현-우현의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하는 트림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흘수 계측 센서는 외부 충격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일측면에 영구자석이 구비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선체의 흘수선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흘수 계측 센서는 액위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액체의 레벨을 계측하는 압력식 레벨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흘수 계측 센서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에 위치한 트림 모니터링 장치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노드,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노드,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는 IEEE 802.15.4의 근거리 저속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라우터 및 게이트웨이는 진수시 독립적인 배터리로 장시간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저전력 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선박의 모델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진수 선박에 설치된 상기 노드와 도크 외부에 설치된 상기 게이트웨이간에 안정적인 무선 통신 링크가 설정되도록 상기 라우터의 개수 및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 모니터링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흘수값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흘수값의 이동 평균값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진수 선박에 설치된 노드와 도크 외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간의 무선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8. (a) 진수 선박의 선수와 선미의 좌현 및 우현의 흘수선에 각각 부착된 하나 이상의 흘수 계측 센서에서 주기적으로 흘수를 계측하여 전송하는 단계;
    (b)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각 흘수 계측 센서로부터 흘수값을 수신하여 도크 외부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및
    (c) 트림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진수 선박의 흘수값을 수신하여 트림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 및 좌현-우현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흘수값을 기초로 선수-선미 흘수값과 좌현-우현 흘수값을 계산하여 경고 기준값 이상이면 카운트를 1증가시킨 후, 상기 카운트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확인하여 임계치를 초과하면 작업자에게 트림 상태를 경고하여 선체 트림을 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무선 센서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된 흘수값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흘수값의 이동 평균값을 계산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진수 선박에 설치된 노드와 도크 외부에 설치된 게이트웨이간의 무선 통신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30040205A 2013-04-12 2013-04-12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23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05A KR20140123624A (ko) 2013-04-12 2013-04-12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05A KR20140123624A (ko) 2013-04-12 2013-04-12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624A true KR20140123624A (ko) 2014-10-23

Family

ID=5199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205A KR20140123624A (ko) 2013-04-12 2013-04-12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36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216A (zh) * 2014-10-31 2015-03-04 大连海事大学 一种船舶吃水检测系统及其工作方法
CN105416524A (zh) * 2015-12-09 2016-03-23 武汉理工大学 基于单波束侧扫技术的船舶吃水深度检测系统及方法
CN110077549A (zh) * 2019-05-06 2019-08-02 河海大学文天学院 船身稳定平衡系统及平衡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86216A (zh) * 2014-10-31 2015-03-04 大连海事大学 一种船舶吃水检测系统及其工作方法
CN105416524A (zh) * 2015-12-09 2016-03-23 武汉理工大学 基于单波束侧扫技术的船舶吃水深度检测系统及方法
CN110077549A (zh) * 2019-05-06 2019-08-02 河海大学文天学院 船身稳定平衡系统及平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6552B2 (en) Boat navigation assist system, and navigation assist apparatus and server of the system
KR20140123624A (ko) 진수 선박의 안정성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6518B1 (ko) 선박 및 항로표지 통신망과 연동되는 지피에스 무선조난경보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조난경보시스템
KR101633347B1 (ko) 위치식별 비콘과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자동 조난 신고 시스템
JP2009214042A (ja) 水質監視方法および水質監視システム
CN110737272A (zh) 一种智慧港区海事执法无人艇系统及其操作方法
KR101050709B1 (ko) 수중 작업자를 위한 스마트 웨어
WO2010129111A3 (en) Position monitoring system for a mobile machine
KR20110118491A (ko) 수질 모니터링 로봇
CN103661805A (zh) 一种多功能船模实验测量装置
CN105894859A (zh) 用于运行船舶和用于运行港口的方法和设备
KR20160089694A (ko) 어선 안전 조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997691A (zh) 一种船舶水上安全系统及其数据采集计算方法
JP2009543147A (ja) 深海ネットワークおよび配置装置
WO2020045798A1 (ko) 해상조난구조용 신호장치 및 해상조난구조용 감시장치
CN107229290B (zh) 无人机搜救系统及方法
KR102311085B1 (ko) 응급 ap 스마트 부이
CN108116642A (zh) 一种半潜式海洋剖面观测智能机器人
CN204428668U (zh) 一种盖子及监控系统
KR20220125398A (ko) 중소형 선박용 사고 감지 및 원인분석이 가능한 ai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50062550A (ko) 선박의 흘수 측정장치
JP2017181413A (ja) 波浪計測装置、波浪計測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浮体
KR20170062155A (ko) 소형 선박을 위한 화재 및 침수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003A (ko) 수중 인명 구조용 스마트 에어백
WO201216415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navigable pa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