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00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001A
KR20140123001A KR20140029458A KR20140029458A KR20140123001A KR 20140123001 A KR20140123001 A KR 20140123001A KR 20140029458 A KR20140029458 A KR 20140029458A KR 20140029458 A KR20140029458 A KR 20140029458A KR 20140123001 A KR20140123001 A KR 2014012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access
access point
identifier
resour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556B1 (ko
Inventor
원성환
조성연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9214933.4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41397A1/en
Priority to PCT/KR2014/003148 priority patent/WO2014168450A1/en
Priority to CN201480006408.8A priority patent/CN104956722B/zh
Priority to US14/251,481 priority patent/US10111143B2/en
Priority to JP2015555935A priority patent/JP6077140B2/ja
Priority to ES14782574T priority patent/ES2764411T3/es
Priority to EP14782574.9A priority patent/EP2939465B1/en
Publication of KR2014012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001A/ko
Priority to US16/167,356 priority patent/US10390265B2/en
Priority to US16/544,803 priority patent/US106312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556B1/ko
Priority to US16/852,258 priority patent/US1085619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갖는 자원의 일부 혹은 전체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라디오 접속점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으로,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보고에 따라, 핸드오버 제한 목록(Handover Restriction List; HRL)을 기초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빙 중인 단말을 협력하여 서빙할 다른 라디오 접속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상기 단말의 서빙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갖는 자원의 일부 혹은 전체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더욱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00), 무선 접속망(130, Radio Access Network, RAN), 코어 망(140, core network), 그리고 그 밖의 요소들로 나눌 수 있다. 무선 접속망(130)은 다시 몇 가지 구성 요소들로 나뉠 수 있는데, 단말(100)과 상호 작용하는 무선 접속망의 구성 요소(120)는 단말(100)과 무선 인터페이스(110)를 쓰고, 무선 통신 시스템의 나머지 요소들은 주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말(100)과 무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상호 작용하는 무선 접속망 구성 요소(120)의 보기로는, 진화된 노드 비(evolved Node B, eNB), 노드 비(Node B, NB) 혹은 이를 포함하는 무선 망 하위 조직(Radio Network Subsystem, RNS),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혹은 이를 포함하는 기지국 하위 조직(Base Station Subsystem, BSS), 무선 접속점(wireless access point), 홈 eNB, 홈 NB, 홈 eNB 게이트웨이(GateWay, GW), X2 GW 등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이들 혹은 무선 접속망 그 자체를 라디오 접속점(120, radio access point)이라고 일컫겠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라디오 접속점(120)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되어 있고, 셀은 특정 범위를 관장하며, 단말(100)은 셀의 범위 내에서 서비스를 받는다. 여기서, 셀은 일반적인 셀룰러(cellular) 시스템의 셀을 의미하고, 라디오 접속점(120)은 상기 셀을 관리, 제어하는 장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를 위해 셀과 라디오 접속점(120)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것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주목받는 주제 중 하나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몇몇 예외 상황을 제외하고는 한 단말(100)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100)과 연결을 맺은 하나의 라디오 접속점(120)에만 있거나 상기 라디오 접속점(120)만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예외 상황의 보기로는, 핸드오버 직후의 상황이 있다; 한 단말이 라디오 접속점 A로부터 라디오 접속점 B로 핸드오버 된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라디오 접속점 A는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의 자원 관리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통해 행해질 수 있다. 즉, 자원 관리와 이동성 관리를 따로 구분 지어 고려할 필요가 없다.
단말이 연결된(connected) 상태로 접어들 때 혹은 단말이 연결된 상태일 때는 위치 등록(Location Registration) 과정을 통하여 또는 핸드오버 허락에 대한 결정을 통하여 이동성 관리를 할 수 있다. 단말이 아이들(idle) 상태일 때는 단말이 주도하여 이동성 관리를 할 수 있다.
단말이, 이동성이 허락된 라디오 접속점으로 위치 등록 과정을 시도한다면 (다른 면에서 문제가 없다면) 상기 위치 등록 과정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코어 망은 라디오 접속점으로 이동성 관리 정보를 보내줄 수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라디오 접속점은 핸드오버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일부 핸드오버 시에는 소스 라디오 접속점은 타겟 라디오 접속점으로 이동성 제한 정보를 보내줄 수 있다. 이동성 관리 정보의 예로는 핸드오버 제한 정보(Handover Restriction List, HRL)를 들 수 있다.
단말이, 이동성이 허락되지 않은 라디오 접속점으로 위치 등록 과정을 시도한다면 상기 과정은 거절된다. 이렇게 이동성이 허락되지 않은 까닭으로 거절이 된 경우에, 단말로 전달되는 거절을 알리는 메시지에는 이동성이 허락되지 않은 까닭(cause)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까닭을 바탕으로 단말은 관리하고 있던 이동성 관리 정보를 수정, 생성 혹은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이동성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단말은 아이들 상태에서의 이동성 관리를 할 수 있다.
종래의 이동성 관리를 통한 자원 관리 방식을 쓰면, (한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연결을 맺은 하나의 라디오 접속점에만 있거나, 상기 라디오 접속점만을 거칠 수 있는 종래의 경우에) 특정 라디오 접속점은 특정 단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성 관리를 통한 자원 관리 방식이 유용하게 쓰이는 보기를 들어 보겠다. 소형 라디오 접속점은 대형 라디오 접속점보다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렇게 다양해진 소형 라디오 접속점을 일일이 확인하는(verify) 데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확인되지 않은 소형 라디오 접속점들은 보안 및 안정성을 온전히 검증받지 못한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상기 미확인된 소형 라디오 접속점들에는 특정 정보를 따로 설정해두어 일괄적으로 자원 관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되지 않은 소형 라디오 접속점에는 정부 관계자의 단말에게 제한된 위치 정보를 지정하여 상기 정부 관계자의 단말이 상기 미확인된 소형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점점 요구되는 단말의 송수신 데이터 양이 늘어남에 따라 자원 사용 방식도 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들어, 자원 사용 방식에 큰 변화가 생기고 있다. 종래에 한 단말은 한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한 단말이 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이 가능할 수도 있게 된 것이 바로 그 변화다. 상기 변화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라디오 접속점 수준의 협력(cooperation)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기로, 3세대 동업자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에서는 eNB 간 반송파 집적(inter-eNB carrier aggregation) 및 eNB 간 조직화된 여러 점 송수신(inter-eNB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표준화하는 아이템들을 12차 출시(Release 12)의 정식 아이템으로 다룰 예정이다. 앞으로 본격적으로 진행될 12차 출시 표준화를 통해 상기 두 기술(eNB 간 반송파 집적, eNB 간 CoMP)이 표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우선 eNB 간 반송파 집적은 하나의 단말이 일반적으로 다른 주파수 영역을 가진 반송파를 쓰는 둘 이상의 eNB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ENB 간 반송파 집적에서는, 단말에 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Primary Cell, PCell)을 포함하는 eNB(Master eNB, MeNB)가 있고, 상기 단말에 보조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Secondary Cell, SCell)을 포함하는 eNB(Secondary eNB, SeNB)가 하나 이상 있을 수 있다. 상기 SCell을 포함하는 eNB도 상기 PCell을 포함하는 eNB와 함께 상기 단말과 상호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SCell은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을 수 있거나,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가 상기 SCell을 거칠 수 있다. ENB 간 반송파 집적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주파수 영역을 가진 반송파를 쓰는 둘 이상의 eNB와 단말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했으나,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을 가진 반송파를 쓰는 둘 이상의 eNB와 단말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eNB 간 CoMP는 일반적으로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을 가진 반송파를 쓰는 둘 이상의 eNB가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eNB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해, 조직화하여 단말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ENB 간 반송파 집적과 마찬가지로 eNB 간 CoMP에서도, 여러 eNB가 한 단말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한 단말에 대한 정보가 여러 eNB에 있거나,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가 여러 eNB를 거칠 수 있다.
요약하여 말하자면, eNB 간 반송파 집적과 eNB 간 CoMP는 서로 차이가 있지만, 한 단말에 대한 정보가 여러 eNB에 있거나,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가 여러 eNB를 거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처럼 자원 사용 방식에 변화가 생김에 따라, 자원 관리 방식에도 변화가 생겨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는 새로운 자원 관리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하였듯, 자원 사용 방식이 변함에 따라, 한 단말에 대한 정보가 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에 있거나,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가 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을 거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원 관리 방식은 한 라디오 접속점과의 상호 작용만을 고려하여 이동성 관리를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단말에 알맞은 새로운 자원 관리 방식이 필요하다.
덧붙여 설명하자면, 종래의 이동성 관리를 통한 자원 관리 방식은 한 단말이 한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할 때 효율적일 수 있다. 한 단말이 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하면, 주로(primarily) 상호 작용하는 라디오 접속점에 대한 자원 관리는 이동성 관리를 함으로써 관리할 수 있으나, 부차적으로(secondarily) 상호 작용하는 라디오 접속점에 대한 자원 관리는 이동성 관리만으로는 관리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이동성 관리를 통한 자원 관리 방식은 주로 라디오 접속점의 자원, 즉,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데 한정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점차 다양화될 수 있음에 따라, 라디오 접속점뿐만 아니라 그 밖의 구성 요소들의 자원을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가입자 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 단말, 라디오 접속점 및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RAN control entity)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이 참여하며 단말이 하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할 때에 무선 자원 혹은 그 밖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의 예로는, 이동성 관리 요소(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및 서빙 일반 패킷 라디오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지원 요소(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를 들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루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가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은 가입자 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하여 만든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송신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는 자원을 관리하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는 가입자 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 수신한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저장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수신한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할 수 있는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루는 라디오 접속점이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은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 단말, 다른 라디오 접속점 혹은 네트워크 관리 기능군(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으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또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송신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는 자원을 관리하는 라디오 접속점은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 단말 혹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수신한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할 수 있는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루는 단말이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은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한 자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 및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송신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실시 예에 따르는 자원을 관리하는 단말은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 상기 수신한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수신한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할 수 있는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은,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으로,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제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은, 라디오 접속점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으로,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제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에 대한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은, 단말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으로,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 제한 정보를 기초로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는,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로,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생성하고, 상기 자원 제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접속점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라디오 접속점으로,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자원 제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에 대한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단말로,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자원 제한 정보를 기초로 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말이 하나 이상의 라디오 접속점과 상호 작용할 때에 무선 자원 혹은 그 밖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공용 지역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망 관리 요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접속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3GPP가 규격을 정한 무선 접속망, 코어 망인 엘티이(Long Term Evolution, LTE)와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가 가입자 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230)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받아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210) 및 단말(20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요소로 보내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가입자 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230),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 라디오 접속점(210), 및 단말(200) 중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요소는 자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가입자 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230)는 자원 관리를 위해 쓰일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를 위해 쓰일 정보는 기존에 정의된 정보일 수도 있고, 새로이 정의될 정보일 수도 있다. 기존에 정의된 정보의 예로는 접근 제한 데이터(Access-Restriction-Data)를 들 수 있다.
단계 250에서 가입자 정보를 갖고 있는 서버(230)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로 상기 자원 관리를 위해 쓰일 정보가 담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기존의 Insert Subscriber Data Request 메시지일 수도 있고, 새로이 생성된 메시지일 수도 있다. 상기 자원 관리를 위해 쓰일 정보는 PLMN 식별자,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TA) 식별자, 위치 지역(Location area, LA) 식별자, 루팅 지역(Routing Area, RA) 식별자,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 명, 주파수 대역, 공유 망 지역(Shared Network Area,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LTE용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 CGI), CGI, 중앙 집중형 스케줄링 유닛(central scheduling unit, CSU) 식별자. 향상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 식별자, 및 위치 측정 유닛(Location Measurement Unit, LMU)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 예로 들었던 식별자, 코드, RAT 명 및 주파수 대역을 전달할 때, 비트 열 혹은 인덱스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달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전달에 효율적일 수 있다. 비트 열로 전달될 때 각 비트는 특정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뜻할 수 있다. 이때, 1은 제한하고자 하는 항목, 0은 허용하고자 하는 항목을 뜻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인덱스로 전달될 때 송신하는 쪽과 수신하는 쪽에 공통으로 각 인덱스가 뜻하는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바탕으로 인덱스를 보낼 수 있다.
단계 253에서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는 상기 자원 관리를 위해 쓰일 정보를 그대로 혹은 가공한 다음, 저장한다. 이후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가 자원을 관리할 때, 상기 저장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는 Location Registration 과정에서 나스(Non Access Stratum, NAS) 프로토콜로 허락(accept) 및 거절(reject)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자원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한 정보에서 허락한 자원에 대한 Location Registration은 허락하거나 상기 저장한 정보에서 제한하는 자원에 대한 Location Registration은 거절하는 방식으로 자원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는 라디오 접속점(210)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 단계의 상기 자원 관리 정보는 상기 단계 253에서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가 저장한 정보일 수도 있고, 상기 저장한 정보를 가공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가 생성해낸 정보일 수도 있고,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요소, 예를 들어 OAM이,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로 보낸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단계 260에서 전달될 수 있는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편의상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이라고 일컫겠다;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반드시 RRL이라 칭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RRL은 반드시 제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며, 허락하는 자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RRL은 단말의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서 쓰일 자원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에서 쓰일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 혹은 허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RRL은 단말이, RRL에 포함된 무선 자원을 통해서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혹은 RRL에 포함된 무선 자원만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RL은 S1AP 메시지 혹은 RANAP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RRL은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 HANDOVER REQUEST 메시지,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 PAGING 메시지, RELOCATION REQUEST 메시지, 및 COMMON ID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위의 RRL을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 명을 통해 알 수 있듯,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는 RRL을 Location Registration 과정, Service Request 과정, 및 핸드오버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통해 라디오 접속점(210)에 전달할 수도 있고, 상기 과정을 통하지 않더라도 상기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가 저장하고 있던 자원 관리 정보에 변경이 생겼을 때 등의 경우에 보낼 수 있다.
이하에서 표 1은 RRL이 HRL에 포함될 경우, HRL의 예를 나타낸 표이고, 표 2는 RRL이 HRL과 같은 레벨의 IE에 포함되었을 때 메시지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IE / Group Name Presence
Serving PLMN M
... ...
Forbidden TAs for Resource Access O
Forbidden inter RATs for Resource Access O
... ...
IE / Group Name Presence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YES reject
... ... ... ...
Handover Restriction List O YES ignore
... ... ... ...
Resource Restriction List O YES ignore
상기 단계 260에서 보내어지는 RRL은 기존에 있던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정보인 HRL, SNA Access Information 및 NAS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 PDU) 중 하나 이상에 담겨 있을 수 있으며(표1 참고), 혹은 HRL 혹은 SNA Access Information과 같은 레벨의 정보 원소(Information Element, IE)일 수도 있다(표 2 참고). 상기 RRL은 제한하고자 하는 자원 및 허용하고자 하는 자원 중 하나 이상을 담고 있을 수 있다. 혹은 RRL은 허용하고자 하는 자원을 나타내는 독립적인 IE 및 제한하고자 하는 자원을 나타내는 독립적인 IE로 따로 나뉘어 표현될 수도 있다. 표 3은 RRL이 허용하고자 하는 자원을 나타내는 독립적인 IE 및 제한하고자 하는 자원을 나타내는 독립적인 IE로 따로 나뉘어 표현된 예를 보여준다. 표 3에서는 RRL(허용하고자 하는 자원 및 제한하고자 하는 자원을 나타내는 IE들)이 HRL과 같은 레벨의 IE인 경우를 보였으나, 이미 말한 바 있듯, HRL과 같은 다른 레벨의 IE로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 RRL은 PLMN 식별자, RAT 명, TA 식별자, LA 식별자, RA 식별자, 주파수 대역,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LTE용 CGI, CGI, CSU 식별자. E-SMLC 식별자, 및 LMU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표 3은 RRL이 둘 이상의 IE로 나뉘어 메시지로 표현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 표이다.
IE / Group Name Presence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YES reject
... ... ... ...
Handover Restriction List O YES ignore
... ... ... ...
Allowed Resource List O YES ignore
Restricted Resource List O YES ignore
상기에 예로 들었던 식별자, 코드, RAT 명 및 주파수 대역은 비트 열 혹은 인덱스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달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전달에 효율적일 수 있다. 비트 열로 전달될 때 각 비트는 특정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뜻할 수 있다. 이때, 1은 제한하고자 하는 항목, 0은 허용하고자 하는 항목을 뜻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식별자, 코드, RAT 명 및 주파수 대역이 인덱스로 전달될 때 송신하는 쪽과 수신하는 쪽은 공통으로 각 인덱스가 뜻하는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바탕으로 인덱스를 보낼 수 있다.
상기 RRL은 또한 단순한 표식자(indication)로 표현될 수 있다. RRL이 indication으로 표현되는 경우에, 상기 indication은 RRL과 HRL 혹은 SNA Access Information과의 연관성을 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ndication은 RRL이 HRL 혹은 SNA Access Information과 같다는 것을 뜻할 수 있다.
단계 263에서 라디오 접속점(210)은 상기 RRL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걸쳐 일반적으로, 라디오 접속점(210)은 저장한 RRL을 바탕으로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는 이동성 관리 밖의 자원 관리를 뜻할 수도 있고, 이동성 관리를 포함한 총괄적 자원 관리를 뜻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RRL과 HRL의 관계 원칙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시스템은 HRL이 제한하는 자원의 집합은 RRL이 제한하는 자원의 집합의 부분 집합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RRL이 제한하는 자원의 집합이 HRL에서 제한하는 자원의 집합의 부분 집합이 되도록 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동성 관리 밖의 자원 관리의 예로는 반송파 집적 설정, CoMP 설정, 및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 선택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의 하나의 예인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 선택 시 PLMN 식별자, MME 코드, 및 MME 그룹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RRL이 특정 MME 코드를 제한하도록 되어있으면 라디오 접속점(210)이 MME를 고를 때, 상기 MME 코드를 가진 MME는 고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NAS 노드를 고르는 기능(NAS Node Selection Function, NNSF)을 수행할 때 상기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RRL이 HRL 혹은 SNA Access Information과 같다는 것을 뜻하는 경우에는, 다시 말해서, 자원 관리에 쓰이는 정보가 기존의 이동성 관리를 위해 쓰이는 정보와 같음을 뜻하는 경우(보기를 들어 RRL이 indication으로 표현되는 경우)에는, 라디오 접속점(210)은 이동성을 허락했던 자원에 대해서 이동성뿐만 아니라 그 밖의 자원 접근을 허락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 라디오 접속점(210)은 이동성을 제한했던 자원에 대해서 이동성뿐만 아니라 그 밖의 자원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간단히 유추할 수 있듯,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걸쳐, RRL이 HRL을 뜻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265에서 라디오 접속점(210)은 단말(200)로 자원 관리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 정보는 RRL 혹은 이를 가공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정보는 D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및 RRCConnectionReestablishment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단계 275에서 단말(200)은 라디오 접속점(210)으로부터 받은 상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단말(200)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에 저장될 수도 있고, 단말(200)의 그 밖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단말(200)은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원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들 상태의 단말(200)은 PLMN 선택을 하거나 캠핑할 라디오 접속점을 고를 때, 상기 저장된 정보를 쓸 수 있다.
단말(200)로 자원 관리 정보가 DLInformationTransfer 메시지를 통해 전해지는 경우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와 단말(200) 간 NAS 메시지를 통해 자원 관리 정보가 전달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NAS 메시지의 예로는 Attach accept 메시지, Attach reject 메시지, Tracking area update accept 메시지, Tracking area update reject 메시지, Routing area update accept 메시지 및 Routing area update reject 메시지가 있다.
상기 단말(200)이 받은 정보가 USIM에 저장되는 경우에는 기본 파일(Elementary File, EF)에 저장될 수 있다. 기존의 EF에 추가로 저장될 수도 있고, 새로운 EF를 생성하여 그곳에 알맞은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보기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210)으로부터 받은 정보에 접속이 제한된 TA 식별자가 들어있는 경우에 단말(200)은 USIM에 새로운 EF(예를 들어, EFFTAC)를 생성하여 상기 TA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공용 지역 이동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식별자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단말이 PLMN 식별자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최대 저장 가능한 PLMN 식별자 개수와 같은 숫자의 PLMN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을 때, 새로운 PLMN 식별자를 받으면, 이미 저장된 PLMN 식별자 중 하나를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골라 선택적으로 버린 다음, 상기 새로이 받은 PLMN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LMN 식별자는 제한된 PLMN 식별자일 수도 있고 허락된 PLMN 식별자일 수도 있다.
단계 300에서 단말(200)은 새로운 PLMN 식별자를 받는다. 이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220)가 NAS 메시지를 통해 전달한 것일 수도 있고, 라디오 접속점(210)이 직접 전달한 것일 수도 있고, 혹은 그 밖의 경로를 통해 단말로 전달된 것일 수 있다.
단계 310에서 단말(200)에 이미 저장할 수 있는 최대 개수의 PLMN 식별자가 저장돼 있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단말(200)이 저장할 수 있는 최대 PLMN 식별자 개수를 편의상 n이라고 하자.
만약 n개의 식별자가 이미 저장돼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30으로 진행한다. 단말(200)에 새로이 받은 PLMN 식별자를 저장할 여유가 있으므로, 일반적인 경우에는 저장하지 않을 PLMN 식별자를 고를 필요가 없다.
만약 n개의 PLMN 식별자가 이미 저장돼 있는 경우에는 단계 320으로 진행한다. 총 (n+1) 개의 PLMN 식별자(이미 저장된 n개의 PLMN 식별자와 새로이 받은 PLMN 식별자) 가운데, 하나의 PLMN 식별자를 고른다. 상기 골라진 하나의 PLMN 식별자는 보호되지(protected) 않은 PLMN 식별자, 이미 저장된 보호되지 않은 PLMN 식별자 중 가장 상위에 있는 PLMN 식별자, 이미 저장된 보호되지 않은 PLMN 식별자 중 가장 하위에 있는 PLMN 식별자, 이미 저장된 PLMN 식별자 중 가장 상위에 있는 PLMN 식별자, 및 이미 저장된 PLMN 식별자 중 가장 하위에 있는 PLMN 식별자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 320 혹은 단계 330을 거쳐 단계 340에서, 고르지 않은 PLMN 식별자 중 이미 저장된 PLMN 식별자는 계속 저장한다. 이때, 저장하는 자리가 변경될 수 있다. 새로이 받은 PLMN 식별자가 골라지지 않았다면, 새로이 받은 PLMN 식별자를 저장한다. 새로이 받은 PLMN 식별자를 저장할 때, 골라진 PLMN 식별자의 자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반드시 PLMN 식별자를 저장할 때가 아니더라도, RAT 명, TA 식별자, LA 식별자, RA 식별자, 주파수 대역,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LTE용 CGI, CGI, CSU 식별자. E-SMLC 식별자, 및 LMU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데에도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단말(400)이 라디오 접속점(410)으로 혹은 라디오 접속점(410)이 다른 라디오 접속점(440)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400)은 라디오 접속점(410)으로 자원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라디오 접속점(410)은 자원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다른 라디오 접속점(440)도 자원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 자원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단말(40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통해 자원 관리 정보를 받을 수 있다. 혹은 다른 경로를 통해 자원 관리 정보를 받을 수도 있다.
단계 420에서, 단말(400)은 라디오 접속점(410)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 정보는 PLMN 식별자, RAT 명, TA 식별자, LA 식별자, RA 식별자, 주파수 대역,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LTE용 CGI, CGI, CSU 식별자. E-SMLC 식별자, 및 LMU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 정보는 RRCConnectionRequest 메시지 및 RRCConnectionSetupComplete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상기에 예로 들었던 식별자, 코드, RAT 명 및 주파수 대역을 전달할 때, 비트 열 혹은 인덱스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달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전달에 효율적일 수 있다. 비트 열로 전달될 때 각 비트는 특정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뜻할 수 있다. 이때, 1은 제한하고자 하는 항목, 0은 허용하고자 하는 항목을 뜻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인덱스로 전달될 때 송신하는 쪽과 수신하는 쪽에 공통으로 각 인덱스가 뜻하는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바탕으로 인덱스를 보낼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라디오 접속점(410)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 혹은 이를 가공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걸쳐 일반적으로, 상기 저장한 자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라디오 접속점(410)은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는 이동성 관리 밖의 자원 관리를 뜻할 수도 있고, 이동성 관리를 포함한 총괄적 자원 관리를 뜻할 수도 있다.
이동성 관리 밖의 자원 관리의 예로는 반송파 집적 설정, CoMP 설정, 및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 선택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의 하나의 예인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 선택 시, PLMN 식별자, MME 코드, 및 MME 그룹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상기 자원 관리 정보가 특정 MME 코드를 제한하도록 되어있으면 라디오 접속점(410)이 MME를 고를 때, 상기 MME 코드를 가진 MME는 고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NNSF을 수행할 때 상기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라디오 접속점(410)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440)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보내어지는 정보는 PLMN 식별자, RAT 명, TA 식별자, LA 식별자, RA 식별자, 주파수 대역,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LTE용 CGI, CGI, CSU 식별자. E-SMLC 식별자, 및 LMU 식별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편의상 RRL이라 부르겠다. 이 단계에서 전달되는 RRL은 라디오 접속점(410)이 이전에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로부터 받은 정보를 뜻할 수도 있다.
상기에 예로 들었던 식별자, 코드, RAT 명 및 주파수 대역을 전달할 때, 비트 열 혹은 인덱스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달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전달에 효율적일 수 있다. 비트 열로 전달될 때 각 비트는 특정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뜻할 수 있다. 이때, 1은 제한하고자 하는 항목, 0은 허용하고자 하는 항목을 뜻할 수 있다 (혹은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인덱스로 전달될 때 송신하는 쪽과 수신하는 쪽에 공통으로 각 인덱스가 뜻하는 식별자, 코드, RAT 명 혹은 주파수 대역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바탕으로 인덱스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단계 450에서 보내어지는 정보는 INITIAL UE MESSAGE 메시지, HANDOVER REQUEST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통해 보내어질 수 있다. 특히, 라디오 접속점(410)이 NNSF를 지원하지 않을 때, 상기 정보를 INITIAL UE MESSAGE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NNSF를 지원하지 않는 라디오 접속점의 예로는, HeNB를 들 수 있다. 상기 보내어지는 정보는 기존에 정의되지 않았던 새로운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새로운 메시지의 예로는, SCell을 더하는 과정 및 재설정(reconfiguration)하는 과정에서 보내어지는 메시지를 들 수 있다.
단계 460에서, 라디오 접속점(440)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410)이 단계 430에서 했던 작업 중 일부 혹은 전체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라디오 접속점(440)이 상기 단말(400)에 대한 SCell일 때, 라디오 접속점(440)은 상기 단말(400)의 이후 SCell 설정에 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Cell 설정은 primary 라디오 접속점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secondary 라디오 접속점이 추가적인 SCell 설정에 관여할 수 있는 경우에, secondary 라디오 접속점(440)은 라디오 접속점(410)으로부터 받은 자원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S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OAM(500)에서 라디오 접속점(510)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보내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515에서, OAM(500)은 자원 관리 정보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OAM은 단말 단위의 정보보다는 좀 더 큰 단위,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 TA, 혹은 PLMN 단위의 정보를 지니고 있다. 보기를 들어 OAM은 어떤 PLMN으로 접속하는 단말은 특정 PLMN의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정보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특정 라디오 접속점(510)은 특정 PLMN을 쓰는 라디오 접속점의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정보를 지니고 있을 수도 있다. 물론, OAM은 단말 단위의 정보를 지니고 있을 수도 있다. OAM이 단말 단위의 정보를 지닐 경우, 상기 정보는 제 1 실시 예의 RRL과 비슷한 정보일 수 있다.
단계 520에서, OAM(500)은 라디오 접속점(510)으로 자원 관리 정보를 보낸다. 이때, 보내어지는 정보는 상기 단계 515에서 OAM(500)이 지니고 있던 정보일 수 있다.
단계 530에서, 라디오 접속점(510)은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원 관리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520을 통해 수신된 정보가 임의의 PLMN A로 접속하는 단말은 특정 PLMN B의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상기 PLMN A로 접속하는 단말은 PLMN B로의 이동성도 허락하지 않을 수 있으며 PLMN B의 자원도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는, PLMN B가 PLMN A의 동등한 PLMN (equivalent PLMN, ePLMN)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primary 라디오 접속점(910)의 자원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단말(900)과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라디오 접속점(920)을 추가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950에서, 단말(900)은 라디오 접속점(910)으로 Measurement Report를 보낼 수 있다. 상기 Measurement Report는 MeasurementReport 메시지를 통해 보내어질 수 있다. Measurement Report를 보낼 때, 단말(900)이 갖고 있을 수 있는 자원 관리 정보를 바탕으로, 이 자원 관리 정보에서 제한하는 자원에 관한 내용의 전체 혹은 일부를 Measurement Report에 담지 않을 수 있다.
보기를 들어 단말(900)은 제한하도록 정해진 무선 자원에 대한 내용 전체를 일절 보내지 않을 수도 있고, 제한하도록 정해진 무선 자원에 대해서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측정 세기 없이 식별자만 보낼 수도 있다. 상기 기준 신호 측정 세기의 예로는 RSRP - RangeRSRQ - Range를 들 수 있다. 상기 식별자는 PhysCellId, CellGlobalIdEUTRA, TrackingAreaCode, PLMN - Identity 중 적어도 하나를 뜻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단말(900)은 Measurement Report에 자원 관리 정보에서 제한하는 자원에 대하여 지시자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지시자를 받은 라디오 접속점(960)은 지시자가 포함된 무선 자원에 대해서는 단말(200)이 무선 자원 사용을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단계 960에서, 라디오 접속점(910)은 단말(900)과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할 라디오 접속점 추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이때, 단말(900)의 Measurement Report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상기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할 라디오 접속점은 SCell을 비롯한 단말(900)과 부차적으로 제어면(control plane) 및/혹은 사용자면(user plane)을 형성하는 라디오 접속점을 뜻할 수 있다. CoMP 등의 기술에서는 한 단말과 여러 개의 라디오 접속점이 user plane을 형성할 수 있는데 (Joint Processing: Joint Transmission, Dynamic Point Selection, dual connectivity), 이 여러 개의 라디오 접속점 중 단말을 주로 서빙하는 라디오 접속점을 제외한 라디오 접속점이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라디오 접속점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의 예로는, eNB를 들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910)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920)이 단말(900)과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할 라디오 접속점으로 적합한지 결정할 때, 다음의 조건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만족시키는지 고려할 수 있다.
- 라디오 접속점(920)은 RRL 및 HRL 중 적어도 하나가 제한하는 자원에 속하지 않는다;
- 라디오 접속점(920)은 RRL 및 HRL 중 적어도 하나가 허용하는 자원에 속한다;
- 라디오 접속점(920)은 단말(900)의 가입자 프로필 식별자(Subscriber Profile Identity, SPID)가 허락하는 자원에 속한다;
- 라디오 접속점(920)은 primary 라디오 접속점(910)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상기 같은 특성은 같은 PLMN 식별자, 동등한(equivalent) PLMN 식별자, 같은 TA 코드, 같은 TA 식별자, 같은 RAT 명, 같은 MME 코드, 같은 MME 그룹 식별자, 같은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PCI) 범위 중 하나 이상을 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910)은 라디오 접속점(910)과 같은 TA 식별자를 갖는 라디오 접속점만을 단말(900)의 SCell이 되도록 자원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RRL과 HRL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RRL은 HRL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라디오 접속점(920)이 단말(900)과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할 라디오 접속점으로 적합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계 970에서 라디오 접속점(910)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920)에게 단말(900)과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해주기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라디오 접속점(910)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HANDOVER REQUEST 메시지, 새로이 정의될 메시지(메시지 이름의 예: SECONDARY CELL ADDITION REQUEST)일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HRL,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LTE용 CG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HRL이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제한 또는 허용된 TA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920)은 상기 메시지에 담긴 정보의 전체 혹은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각 정보는 라디오 접속점(920)의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920)이 닫힌 가입자 그룹(Closed Subscriber Group) 라디오 접속점인 경우, 라디오 접속점(920)은 서빙 PLMN을 이용하여 해당 단말(900)이 라디오 접속점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상기 메시지에 CSG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라디오 접속점(920)은 서빙 PLMN을 라디오 접속점 간 혹은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의 과부하, 부하 균형 조절 및/혹은 공공 경고 메시지 전달에 사용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받은 라디오 접속점(920)은, 요청 메시지에 담긴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정보를 단말(900)에 대한 상호 작용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를 받은 라디오 접속점(920)은, 요청 메시지에 담긴 정보 중에 지원할 수 없는 항목이 있으면 요청을 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920)이 요청 메시지에 담긴 TA 식별자를 지원하지 않으면, 요청 메시지를 거절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920)이 요청 메시지에 담긴 equivalent PLMN 식별자가 사용될 수 없다고 판단되면, 라디오 접속점(920)은 요청 메시지를 거절할 수 있다. 이렇듯, 요청 메시지에 담긴 어떤 정보라도 라디오 접속점(920)이 지원할 수 없는 경우에 요청 메시지는 거절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요청 메시지를 받은 라디오 접속점(920)은 요청 메시지가 HRL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단말(900)에 대하여 접속 제한이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975에서 라디오 접속점(920)은 요청에 대한 답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답 메시지는 상황에 따라 수락 메시지 혹은 거절 메시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라디오 접속점(920)은 답 메시지에 라디오 접속점(920) 내에서 단말(900)과 상호 작용하게 될 셀의 LTE용 CGI 및 PCI 중 하나 이상을 포함시킬 수 있다. 거절 메시지는 적절한 거절 까닭(Cause)을 포함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910)은 수신한 Cause 정보를 추후 이동성 및/혹은 부차적으로 사용할 라디오 접속점 선택 시 고려하거나 이웃 관계 표를 수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910)은 수신한 Cause 정보를 기초로, 이웃 관계 표에서 해당 라디오 접속점(920)의 셀에 대하여, 예를 들어, No SCell 항목(attribute)을 체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No SCell 항목이 체크된 셀은 SCell로 쓰이지 않음을 뜻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920)은 라디오 접속점(910)이 요청했던 셀(단계 970에서 보낸 셀 식별자로 식별되는 셀)과 다른 셀을 단말(900)이 부차적으로 사용할 셀로 지정하여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975에서 전달되는 라디오 접속점(920)의 셀 식별자는 단계 970에서 보낸 셀 식별자와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요청받은 라디오 접속점(920)의 셀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라디오 접속점(920) 내 다른 셀을 추천해주는 용도로 쓰일 수 있다.
단계 980에서, 답 메시지가 수락 메시지인 경우에, 라디오 접속점들(910, 920)과 단말(900)은 라디오 접속점(920)을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할 라디오 접속점으로 추가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라디오 접속점들(910, 920) 중 하나 이상은 단말(900)에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로 라디오 접속점(920)을 부차적으로 상호 작용할 라디오 접속점으로 두기로 한 결정을 알릴 수 있다. 단말(900)은 이에 대한 답을 하고, 라디오 접속점(920)으로 무작위 접근(Random Access) 과정을 행할 수 있다.
단계 990에서 라디오 접속점들(910, 920)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930)에 라디오 접속점(920) 추가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930)는 라디오 접속점들(910, 920) 중 적어도 하나에 RRL을 보낼 수 있다.
이때, 라디오 접속점(910)이 RRL로부터 허락되지 않는 라디오 접속점을 SCell로 두려고 하거나 두었다면, 상기 답 메시지는 거절 혹은 실패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답 메시지가 거절 메시지인 경우에, 상기 답 메시지는 HANDOVER PREPARATION FAILURE 메시지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답 메시지는 거절 혹은 실패의 원인에 관한 정보(cause), wrong data inform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930)가 자원 관리하는 방식의 한가지 예라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 라디오 접속점(910)은 소스 eNB로, 다른 라디오 접속점(920)은 타겟 eNB로 명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 6 실시 예를 따르면, 라디오 접속점(1000, 1010)은 라디오 접속점(1000, 1010)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상대방이 부차적인 라디오 접속점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릴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X2AP, NBAP를 들 수 있다. 제6 실시 예에 따르면, X2AP 혹은 NBAP를 통해 주고 받는 메시지에는 이미 라디오 접속점(1000, 1010) 사이의 유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무선 자원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계 1020에서 라디오 접속점(1000)은 라디오 접속점(1010)에게 해당 라디오 접속점을 부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 정보는 정보를 보내는 라디오 접속점이 정보를 받는 라디오 접속점의 부차적인 라디오 접속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정보를 뜻할 수도 있고, 정보를 받는 라디오 접속점이 보내는 라디오 접속점의 부차적인 라디오 접속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정보를 뜻할 수도 있다. 나아가, 앞서 라디오 접속점이 셀을 뜻할 수도 있다고 설명한 바에 의하면, 상기 정보가 기지국보다 더 낮은 레벨의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정보는 지시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는 X2 SETUP REQUEST, ENB CONFIGURATION UPDATE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000)은 라디오 접속점(1010)의 PLMN 식별자, 동등한(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RAT 명,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PCI) 범위, HRL, RRL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라디오 접속점(1010)은 라디오 접속점(1000)에게 해당 라디오 접속점을 부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보내졌던 정보와 비슷한 정보가 이 단계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전해지는 정보는 X2 SETUP RESPONSE, ENB CONFIGURATION UPDATE ACKNOWLEDGE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한 라디오 접속점(1000)이 다른 라디오 접속점(1010)을 부차적인 라디오 접속점으로 사용할 수 없으면(반대의 경우, 있으면), 다른 라디오 접속점(1010)도 라디오 접속점(1000)을 부차적인 라디오 접속점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반대의 경우, 있는 것으로) 라디오 접속점의 부차적 사용 원칙이 정해지면, 단계 1020에서 전달되는 정보와 단계 1030에서 전달되는 정보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제 7 실시 예에서, 라디오 접속점(1110)은 단말(1100) 및/혹은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이웃 관계(Automatic Neighbor Relation)를 알맞게 설정하여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110)은 ANR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ANR은 라디오 접속점(1110)이 이웃 관계 표(Neighbor Relation Table; 이하 NRT)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110)은 NRT에 부차적 라디오 접속점 사용에 대한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1110)은 NRT에 No SCell과 같은 항목을 추가하여, No SCell 항목에 체크가 된 셀은 라디오 접속점(1110)의 부차적인 라디오 접속점으로 쓰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예로 든 NRT에 No SCell 항목이 추가된 경우, 라디오 접속점(1110)에서 관리되는 이웃 관계 표(Neighbor Relation Table)의 가능한 예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아래의 표 4는 NRT에 새로운 항목이 추가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Neighbor cell Relation Target Cell identifier ... No SCell
1 TCI#1 ...
2 TCI#2 ...
3 TCI#3 ...
... ... ... ...
단계 1120에서 라디오 접속점(1110)은 단말(1100)로부터 인접 라디오 접속점에 대한 정보를 받고, 해당 인접 라디오 접속점이 미리 인지하지 못했던 라디오 접속점이면 단말(1100)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더 읽어올 것을 지시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단계 1130에서 라디오 접속점(1110)은 NRT를 적절하게 편집할 수 있다. NRT를 편집할 때, 라디오 접속점(1110)은 정보가 제공된 라디오 접속점의 PLMN 식별자, 동등한(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RAT 명,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물리적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ty, PCI) 범위, HRL, RRL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접속점(1110)은 HRL에서 제한하는 영역에 속하는 셀의 No Scell 항목에 체크 표시를 할 수 있다. 상기 No Scell 항목 체크 여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제 5 실시 예)에서 보인 바처럼, 다른 라디오 접속점과의 정보 교환을 통해 결정될 수 있고, 또한 OAM에 의해 설정되는 정보를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자원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제 8 실시 예에서, 라디오 접속점(1200)은, 라디오 접속점(1200)이 주로 서빙하는 단말에 대한 새로운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새로운 자원 관리 정보를 기초로 단말을 부차적으로 서빙하는 라디오 접속점(1210)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 1250에서 라디오 접속점(1200)은 라디오 접속점(1200)에 속한 셀이 주로 서빙하는 단말에 대한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자원 관리 정보는 HRL을 뜻할 수 있다. 도 12에는 라디오 접속점(1200)이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1220)로부터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1220)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예를 들어, OAM, 혹은 제 3 라디오 접속점)일 수 있다.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전달하는 메시지의 예로, S1: INITIAL CONTEXT SETUP REQUEST 메시지, S1: HANDOVER REQUEST 메시지, S1: DOWNLINK NAS TRANSPORT 메시지, X2: HANDOVER REQUEST 메시지를 들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00)은 상기 자원 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미 자원 관리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라디오 접속점(1200)은 이미 있던 자원 관리 정보를 새로이 받은 자원 관리 정보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수신한 자원 관리 정보가 기존에 라디오 접속점(1200)이 수행하던 로밍 및 지역 제한 메커니즘에 변화를 가하는 경우, 이미 단말을 부차적으로 서빙하던 라디오 접속점(1210)을 해제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단말을 부차적으로 서빙하던 라디오 접속점(1210)의 셀은 상기 단말에게 허락되는 영역에 속하였으나, 상기 단말을 주로 서빙하는 라디오 접속점(1200)이 새로 상기 단말에 대한 자원 관리 정보를 수신해서 확인한 결과, 상기 라디오 접속점(1210)의 셀이 더 이상 단말에게 허락되는 영역에 속하지 않는 경우, 라디오 접속점(1210)과 단말의 연결을 해제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단계 1260에서 라디오 접속점(1200)은 더 이상 허락되지 않는 영역에 속한 라디오 접속점에 대하여, SCell로서의 역할을 해제할 것을 요청 혹은 명령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예를 들어, SCELL RELEASE REQUEST 혹은 SCELL RELEASE COMMAND라고 이름 지어질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해제 까닭(Caus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ause는 로밍 및 지역 제한으로 인해 해제됨을 뜻하는 내용을 담을 수 있다. 라디오 접속점(1210)은 단계 1270을 통해 해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라디오 접속점(1200)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라디오 접속점(1200)은 단말에게 라디오 접속점(1210)에 속한 셀이 더 이상 단말을 부차적으로 서빙하지 않도록 알리는 혹은 설정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일 수 있다. 단말은 상기 라디오 접속점(1210)의 셀에 대한 SCell 해제를 수행하고 답 메시지(예를 들어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망 관리 요소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접속망 관리 요소(600)는 통신부(610), 제어부(620) 및 저장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6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생성하고, 자원 제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610)를 제어한다. 이때, 자원 제한 정보는 단말의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서 쓰일 자원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에서 쓰일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 혹은 허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자원 제한 정보는, PLMN 식별자,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명,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TA) 식별자, 루팅 지역(Rooting Area; RA) 식별자, 주파수 대역, 공유망 지역(Shared Network Area;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 CGI), 중앙 집중형 스케줄링 유닛(Central Scheduling Unit; CSU) 식별자, 향상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 식별자, 위치 측정 유닛(Loaction Measurement Unit; LMU)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620)는 수신된 RRL 또는 RRL을 가공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부(6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수신된 RRL 또는 RRL을 가공하여 생성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무선 접속망 관리 요소(6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접속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라디오 접속점(700)은 통신부(710), 제어부(720) 및 저장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710)는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710)는 무선 접속망 제어 요소 및 다른 라디오 접속점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수신할 수 있다.
자원 제한 정보는 단말의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서 쓰일 자원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에서 쓰일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 혹은 허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자원 제한 정보는, PLMN 식별자,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명,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TA) 식별자, 루팅 지역(Rooting Area; RA) 식별자, 주파수 대역, 공유망 지역(Shared Network Area;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 CGI), 중앙 집중형 스케줄링 유닛(Central Scheduling Unit; CSU) 식별자, 향상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 식별자, 위치 측정 유닛(Loaction Measurement Unit; LMU)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720)는 수신된 자원 제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에 대한 자원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20)는 자원 제한 정보에 포함된 자원을 통하여 단말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720)는 수신된 자원 제한 정보 또는 자원 제한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부(7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20)는 수신된 자원 제한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다른 라디오 접속점 또는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라디오 접속점(7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800)은 통신부(810), 제어부(820) 및 저장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810)는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무선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자원 제한 정보(Resource Restriction List; RRL)를 수신한다. 자원 제한 정보는 단말의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서 쓰일 자원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에서 쓰일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 혹은 허락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자원 제한 정보는, PLMN 식별자,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명, 트래킹 지역(Tracking Area; TA) 식별자, 루팅 지역(Rooting Area; RA) 식별자, 주파수 대역, 공유망 지역(Shared Network Area; SNA) 코드,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 CGI), 중앙 집중형 스케줄링 유닛(Central Scheduling Unit; CSU) 식별자, 향상된 서빙 모바일 위치 센터(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E-SMLC) 식별자, 위치 측정 유닛(Loaction Measurement Unit; LMU)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820)는 수신된 자원 제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800)의 자원 관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820)는 자원 제한 정보에 포함된 자원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도록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820)는 자원 제한 정보에 포함된 자원에 대한 내용의 전체 혹은 일부를 Measurement Report에 담지 않도록 자원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수신된 자원 제한 정보 또는 자원 제한 정보를 가공하여 생성된 정보를 저장부(83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20)는 수신된 자원 제한 정보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라디오 접속점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8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모든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의 대상이 되거나 생략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에서 단계들은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날 필요는 없으며, 뒤바뀔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단말 110: 무선 인터페이스
120: 무선 접속 망의 구성 요소 130: 무선 접속망
140: 코어 망

Claims (24)

  1. 라디오 접속점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으로,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 보고에 따라, 핸드오버 제한 목록(Handover Restriction List; HRL)을 기초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빙 중인 단말을 협력하여 서빙할 다른 라디오 접속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상기 단말의 서빙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은,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제한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허용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필 식별자가 허용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프라이머리 라디오 접속점과 동일한 특성을 지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제한되는지 여부에 따라, 수락 메시지 또는 거절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은,
    상기 단말의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서 쓰일 자원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에서 쓰일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라디오 접속점의 무선 자원 관리 방법으로,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서빙 중인 단말을 협력하여 서빙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핸드오버 제한 목록(Handover Restriction List; HRL)을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은,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제한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허용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필 식별자가 허용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프라이머리 라디오 접속점과 동일한 특성을 지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락 메시지이면, 상기 단말과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거절 메시지이면 거절 원인(caus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라디오 접속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단말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면, 상기 측정 보고에 따라, 핸드오버 제한 목록(Handover Restriction List; HRL)을 기초로,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서빙 중인 단말을 협력하여 서빙할 다른 라디오 접속점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상기 단말의 서빙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은,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제한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허용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필 식별자가 허용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프라이머리 라디오 접속점과 동일한 특성을 지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되,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제한되는지 여부에 따라, 수락 메시지 또는 거절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은,
    상기 단말의 반송파 집적(Carrier Aggregation)에서 쓰일 자원 및 CoMP(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에서 쓰일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19. 무선 자원을 관리하는 라디오 접속점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부터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이 서빙 중인 단말을 협력하여 서빙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핸드오버 제한 목록(Handover Restriction List; HRL)을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빙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다른 라디오 접속점으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은,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 서빙 PLMN 식별자, equivalent PLMN 식별자, TA 코드, TA 식별자, MME 코드, MME 그룹 식별자, PC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제한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핸드오버 제한 목록에 의하여 허용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상기 단말의 가입자 프로필 식별자가 허용하는 자원에 속하는지 여부, 상기 라디오 접속점이 프라이머리 라디오 접속점과 동일한 특성을 지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에 대한 서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락 메시지이면, 상기 단말과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가 거절 메시지이면 거절 원인(cause)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접속점.
KR1020140029458A 2013-04-11 2014-03-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9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3148 WO2014168450A1 (en) 2013-04-11 2014-04-11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480006408.8A CN104956722B (zh) 2013-04-11 2014-04-11 无线通信系统中使用的资源管理方法和装置
US14/251,481 US10111143B2 (en) 2013-04-11 2014-04-11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5555935A JP6077140B2 (ja) 2013-04-11 2014-04-11 無線通信システムでリソース管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9214933.4A EP3641397A1 (en) 2013-04-11 2014-04-11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14782574T ES2764411T3 (es) 2013-04-11 2014-04-11 Procedimiento y aparato de gestión de recursos para su uso e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EP14782574.9A EP2939465B1 (en) 2013-04-11 2014-04-11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167,356 US10390265B2 (en) 2013-04-11 2018-10-22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544,803 US10631212B2 (en) 2013-04-11 2019-08-19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6/852,258 US10856190B2 (en) 2013-04-11 2020-04-17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0090 2013-04-11
KR1020130040090 2013-04-11
KR20130050118 2013-05-03
KR1020130050118 2013-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001A true KR20140123001A (ko) 2014-10-21
KR102092556B1 KR102092556B1 (ko) 2020-03-24

Family

ID=5199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458A KR102092556B1 (ko) 2013-04-11 2014-03-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10111143B2 (ko)
EP (2) EP3641397A1 (ko)
JP (1) JP6077140B2 (ko)
KR (1) KR102092556B1 (ko)
CN (1) CN104956722B (ko)
ES (1) ES2764411T3 (ko)
WO (1) WO201416845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696B2 (en) 2011-12-19 2016-08-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085165B2 (en) 2011-09-23 2018-09-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KR20210015844A (ko) * 2018-05-09 2021-02-10 지티이 코포레이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556B1 (ko) * 2013-04-11 2020-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3241384B1 (en) * 2014-12-30 2019-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er-menb handover without senb chan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530461B2 (en) * 2015-03-25 2020-01-07 Qualcomm Incorporated Relay discovery and association messages
CN106304060B (zh) * 2015-05-22 202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支持封闭成员组的双连接系统中的切换方法及系统
ES2778688T3 (es) * 2015-11-04 2020-08-11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s y aparatos para la configuración de restricciones de medición
MX2018014508A (es) 2016-05-26 2019-05-23 Nec Corp Sistema de comunicacion, dispositivo de control, terminal de comunicacion, dispositivo de comunicacion y metodo de comunicacion.
CN110062417B (zh) * 2018-01-19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协作传输控制的方法、装置及系统
US10588062B2 (en) 2018-03-09 2020-03-10 T-Mobile Usa, Inc. Automatically modifying cell definition tables within networks
CN110545560B (zh) * 2018-05-29 2020-11-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2022521821A (ja) * 2019-03-27 2022-04-12 オフィノ, エルエルシー アクセス管理のためのセル情報
WO2021207596A1 (en) * 2020-04-09 2021-10-14 Ofinno, Llc Service area of wireless device
WO2021232420A1 (en) * 2020-05-22 2021-11-25 Qualcomm Incorporated Disabling dual connectivity at a multi-subscriber identity module user equipment
CN111654885B (zh) * 2020-05-27 2023-03-24 中国铁塔股份有限公司山西省分公司 5g共享基站的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5473A2 (en) * 2008-12-23 2010-07-01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handover control based on closed subscriber group subscription information
US20120002643A1 (en) * 2009-03-13 2012-01-05 Lg Electronics Inc Handover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uplink/downlink component carrier setup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710B2 (en) 2001-02-13 2007-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of filtering/filtered information over the lur interface
CN1231094C (zh) * 2001-02-13 2005-12-0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通过iur接口传输过滤信息或已过滤信息
KR100689508B1 (ko) * 2003-09-04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US20050095051A1 (en) * 2003-10-29 2005-05-05 Alexis Walby Coated writing apparatus
CN1671240A (zh) 2004-03-19 2005-09-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网络接入限制的方法
CN100584093C (zh) * 2006-08-15 2010-01-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移动通信系统中转移用户设备的方法及系统
US8265033B2 (en) * 2007-08-13 2012-09-11 Telefonaka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osed subscriber group cell handover
EP2235970B1 (en) * 2008-01-25 2016-07-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access restriction in cellular communications
US20110261786A1 (en) 2008-04-22 2011-10-27 Chandra Bontu Restrict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US8401480B2 (en) 2009-03-04 2013-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CoMP operation and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04415B2 (en) 2009-10-30 2015-12-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tatus dependent mobile services
US8812001B2 (en) * 2010-05-25 2014-08-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ual mode terminal for supporting access in different network, network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GB2490968A (en) * 2011-05-20 2012-11-21 Nec Corp Sharing radio access networks fairly between multiple operators
JP2012249132A (ja) * 2011-05-30 2012-12-13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ハンドオーバ最適化方法、ハンドオーバ方法
US20130005340A1 (en) * 2011-06-30 2013-01-03 Nokia Siemens Networks Oy Handover Between Different Closed Subscriber Groups
US9002361B2 (en) * 2011-07-11 2015-04-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lecommunications handover when Handover Restriction List is missing
JP5756571B2 (ja) * 2011-08-30 2015-07-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端末の音声セッションをハンドオーバするためのターゲットのコアネットワークを選択する方法及びノード
WO2013031791A1 (ja) * 2011-09-01 2013-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管理方法、管理ノード、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US20140094174A1 (en) * 2012-10-01 2014-04-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ntrolling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from e-utran to utran/geran circuit switched in a multi-operator core network
EP3641484A1 (en) * 2012-12-24 2020-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fast recovery of user equipment
EP2944110B1 (en) * 2013-01-11 2019-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70311B1 (ko) * 2013-01-30 2016-10-28 이노베이티브 소닉 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노드 접속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92556B1 (ko) * 2013-04-11 2020-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370894A1 (en) * 2013-06-14 2014-12-18 Nokia Siemens Networks Oy Public land mobile network resolution in a shared network and a dedicated network
KR101623395B1 (ko) * 2013-06-25 2016-05-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반송파 집성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5473A2 (en) * 2008-12-23 2010-07-01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 handover control based on closed subscriber group subscription information
US20120002643A1 (en) * 2009-03-13 2012-01-05 Lg Electronics Inc Handover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uplink/downlink component carrier setup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5165B2 (en) 2011-09-23 2018-09-2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1871262B2 (en) 2011-09-23 2024-01-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1611897B2 (en) 2011-09-23 2023-03-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1432180B2 (en) 2011-09-23 2022-08-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917807B2 (en) 2011-09-23 2021-02-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667164B2 (en) 2011-09-23 2020-05-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306506B2 (en) 2011-09-23 2019-05-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ulti-cell signals in OFDM wireless networks
US10601476B2 (en) 2011-12-19 2020-03-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9680544B2 (en) 2011-12-19 2017-06-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9917624B2 (en) 2011-12-19 2018-03-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181883B2 (en) 2011-12-19 2019-0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193605B2 (en) 2011-12-19 2019-01-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236956B2 (en) 2011-12-19 2019-03-1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826442B2 (en) 2011-12-19 2017-11-21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530438B2 (en) 2011-12-19 2020-01-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530439B2 (en) 2011-12-19 2020-01-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419696B2 (en) 2011-12-19 2016-08-1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9788244B2 (en) 2011-12-19 2017-10-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715228B2 (en) 2011-12-19 2020-07-1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0804987B2 (en) 2011-12-19 2020-10-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917625B2 (en) 2011-12-19 2018-03-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Handover signaling for beamforming communications
US11950145B2 (en) 2011-12-19 2024-04-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0966124B2 (en) 2011-12-19 2021-03-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0966125B2 (en) 2011-12-19 2021-03-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11082896B2 (en) 2011-12-19 2021-08-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11375414B2 (en) 2011-12-19 2022-06-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9455775B2 (en) 2011-12-19 2016-09-2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Handover signaling for beamforming communications
US11510113B2 (en) 2011-12-19 2022-11-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1516713B2 (en) 2011-12-19 2022-11-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9450656B2 (en) 2011-12-19 2016-09-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handover messaging in a wireless network
US11647430B2 (en) 2011-12-19 2023-05-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9444535B2 (en) 2011-12-19 2016-09-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forming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KR20210015844A (ko) * 2018-05-09 2021-02-10 지티이 코포레이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9465B1 (en) 2019-12-11
JP6077140B2 (ja) 2017-02-08
EP3641397A1 (en) 2020-04-22
US20200245203A1 (en) 2020-07-30
US10390265B2 (en) 2019-08-20
EP2939465A1 (en) 2015-11-04
US20140308955A1 (en) 2014-10-16
US10856190B2 (en) 2020-12-01
US10111143B2 (en) 2018-10-23
CN104956722A (zh) 2015-09-30
WO2014168450A1 (en) 2014-10-16
EP2939465A4 (en) 2016-02-24
US10631212B2 (en) 2020-04-21
US20190373518A1 (en) 2019-12-05
ES2764411T3 (es) 2020-06-03
US20190059028A1 (en) 2019-02-21
CN104956722B (zh) 2019-05-28
JP2016509431A (ja) 2016-03-24
KR102092556B1 (ko)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212B2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00029255A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1564855B1 (ko) Apn에 따라 구체화되는 정보 또는 apn에 따라 구체화되지 않는 정보를 기초로 수행되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한 트래픽 오프로드
US90079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irect interface between access network nodes
EP3300432B1 (en) Terminal, base station, cell access method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CN104349374A (zh) 异构通信系统中保持业务连续性的方法
CN106211248A (zh) 移动通信系统中的基站的处理方法及相应基站
CN103716885A (zh) 一种本地承载管理方法及设备
US1044770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positioning a UE in a small cell system
US201702804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Multi-Cell Service on Base Station Device
KR10147736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게이트웨이 장치, 기지국,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16188360A1 (zh) 支持封闭成员组的双连接系统中的切换方法及系统
US8755801B2 (en) Method and access nod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N102958094B (zh) 一种实现家庭基站无线接入网络共享的方法及系统
CN102917434A (zh) 一种家庭基站支持多小区场景下的接入控制方法和系统
CN102131258A (zh) 向csg小区切换的接入控制方法及系统
CN103702421A (zh) 一种本地公共资源管理方法及设备
CN104378843B (zh) 一种支持承载建立的方法、基站及移动性管理实体
WO2024001531A1 (zh) 通信方法及装置
KR20150084240A (ko) 펨토 기지국에 접속 불가한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KR20150061857A (ko) 호 설정 방법 및 장치와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