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914A -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 Google Patents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914A
KR20140122914A KR20130039968A KR20130039968A KR20140122914A KR 20140122914 A KR20140122914 A KR 20140122914A KR 20130039968 A KR20130039968 A KR 20130039968A KR 20130039968 A KR20130039968 A KR 20130039968A KR 20140122914 A KR20140122914 A KR 20140122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block
truncated cone
blocks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9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2454B1 (en
Inventor
김갑부
Original Assignee
김갑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부 filed Critical 김갑부
Priority to KR102013003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454B1/en
Publication of KR2014012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Abstract

Disclosed are a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a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 Th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 includes: a step of grading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to be reinforced; a step of installing a plurality of truncated pyramid blocks to be close to the ground surface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of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is grading-processed,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is narrower from the upper surface towards the bottom surface; and a step of charging a space formed of side surfaces of the adjacent truncated pyramid blocks with filler. An upper structure can be supported since the ground is reinforced without forming a deep foundation such as a pile or the like on the ground which has insufficient support power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Description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및 뿔대블록 이용한 기초공법{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a truncated pyramid block,

본 발명은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및 뿔대블록 이용한 기초공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구조물을 지탱하기에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지반에 말뚝 등의 깊은 기초를 형성하지 않고 지반을 보강하여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dation method using a ground truss block and a tine block.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undation method using a truncated cone block to support an upper structure by reinforcing a ground without forming a deep foundation such as a pile on a ground where the support structure is not sufficient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건물 등의 구조물을 지반 상에 축조하는 경우, 구조물의 중량과 구조물에 가해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반에 전달하고, 허용치 이상의 침하, 경사, 이동, 변형, 진동 등의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When a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is built on the ground, the weight of the structure and the load applied to the structure are transmitted to the ground stably, and a foundation is form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obstacles such as subsidence, inclination, movement, .

기초의 형식은, 지반이 구조물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경우, 말뚝 등을 사용하지 않고 기초판으로 직접 지반에 전달하는 직접 기초(또는 얕은 기초)와, 지반의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침하가 과도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경우, 말뚝, 피어, 케이슨 등을 이용하여 지지력이 충분히 큰 하부지반에 구조물의 하중을 전달하는 깊은 기초로 대별할 수 있다.If the ground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load of the structure su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use a direct foundation (or shallow foundation) to transmit directly to the ground without using piles, The pile, the pier, the caisson, etc., can be used as the deep foundation to transmit the load of the structure to the lower ground having a sufficiently large bearing capacity.

한편,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지반에 지지말뚝을 형성하지 않고 팽이형태의 콘크리트 블록과 채움 쇄석으로 지반을 보강하여 보강된 지반상에 직접 기초를 형성하는 탑 베이스(top-base) 기초('팽이말뚝기초' 라고도 한다.)가 알려져 있다.On the other hand, a top-base foundation ('top pile') which forms a foundation directly on the reinforced ground by reinforcing the ground with a concrete block and a crushed stone in the form of a top without forming a supporting pile in the ground, Base ") is know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탑 베이스 기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탑 베이스 기초를 형성하는 방법을 살펴 보면, 보강하고자 하는 지반 상에 가로세로 등간격의 사각형 격자홀과 각각의 사각형 격자홀 내의 한쪽 모서리에 삼각형의 격자홀이 형성되도록 철근을 용접하여 위치고정틀(60)을 형성하고, 위치고정틀(60)의 각 삼각형의 격자홀을 통하여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10b)의 파일부(54)를 인입시키는 동시에 지면으로 압입하여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10b)을 가로세로 등가격으로 배열한다. 그리고, 팽이형 몸체부(52)의 상면으로 노출된 각각의 연결용고리(56)에 가로세로 방향으로 연결용철근(64)을 용접하여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10b) 전체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10b)의 팽이형 몸체부(52)의 저면과, 지면간의 사이 공간을 쇄석으로 채우면서 진동수단으로 다짐시키고, 각각의 팽이형 몸체(52)의 상면으로 올라와 있는 쇄석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지반기초공사를 완료한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se of a tow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forming a top base bas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In the method of forming a base base of a conventional art, a rectangular grid hole having an equal interval in the vertical and lateral directions and a grid hole having a triangular shape at one corner in each square grid hole And the pile portion 54 of the top type concrete pile 10b is pulled through the grid holes of each triangle of the position fixing frame 60 and the pile portion 54 of the top type concrete pile 10b is press- Type concrete piles 10b at a price such as a height and a widt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64 are welded to the respective connecting rings 56 expo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body 5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that all the topike concrete piles 10b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like body portion 52 of the top-shaped concrete pile 10b and the ground is filled with crushed stone while being compacted by the vibration means, and a crushed stone And the foundation foundation work using the top type concrete pile is completed.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지반에 종래 기술에 따른 깊은 기초를 적용할 경우 하부지반까지 말뚝, 피어 등의 근입에 따른 시공상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deep found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to the ground where the supporting force is insuffici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the construction due to the insertion of the pile and the peer increases to the lower ground.

또한, 상술한 탑 베이스 기초의 경우 복수의 팽이형 콘크리트 블록이 서로 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무리효과(group effect) 인해 팽이형 콘크리트 블록의 경사면에 의해 지중에 하중이 작용할 때 흙으로 전달되는 응력의 영향범위가 보다 더 깊고 또한 서로 겹쳐지게 되어 지지력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팽이형 콘크리트 블록의 설치, 연결용철근의 용접, 채움쇄석의 다짐 등의 필수 공정으로 인해 공정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top base foundation, since a plurality of top concrete blocks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influence of the stress transmitted to the soil when a load acts on the ground due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top concrete block due to the group effec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ange is deeper and overlaps with each other, and the supporting force is reduced. In addition, there are problems in that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necessity of the installation of the top type concrete block, the welding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the compaction of the filling crushed ston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21209호(2007.05.23)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721209 (2007.05.23)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을 지탱하기에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지반에 말뚝 등의 깊은 기초를 형성하지 않고 지반을 보강하여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undation method using a truncated cone block to support an upper structure by reinforcing a ground without forming a deep foundation such as a pile on a ground where the supporting structure is not sufficient for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또한, 무리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형상이 단순화된 뿔대블록을 사용하여 지반을 보강함으로써 지지력 증대와 침하량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undation method using a truncated cone block which can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and reduce the settlement amount by reinforcing the ground by using a truncated cone block having a simplified shape which can minimize the crowd effe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반면에 복수로 배치되어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윗면에서 밑면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의 블록으로 제작되며, 상기 밑면이 상기 지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ck for reinforcing a ground by being disposed on a plurality of ground surfaces, the block being made of a truncated cone block whose cross section is reduced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A prong block for ground reinforcement is provided.

상기 뿔대는, 상기 윗면 및 상기 밑면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정각뿔대일 수 있다.The horn can be a pyramid, which is any one of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 regular pentagon, and a regular hexagon.

상기 블록에는, 상기 윗면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두 변을 가로질러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 may be provided with an incision section that is cut across two sides forming each vertex of the upper surface.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밑면이 형성하는 외곽선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이상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a circle in contact with the out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상기 지반면과 상기 정각뿔대의 옆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45°내지 56.3°범위일 수 있다.The angle? 1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quare pyramid may be in the range of 45 ° to 56.3 °.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크기는,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b)와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s)가 동일 깊이가 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undersid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may be a value such that the depth of influence D b of the influence range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and the depth of influence D s of the influence range by the side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are the same depth hav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보강하고자 하는 지반 상부를 정지(整地)하는 단계; 윗면에서 밑면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의 뿔대블록의 상기 밑면이 정지된 상기 지반면에 접하도록 복수의 상기 뿔대블록을 상기 지반면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ground structure, comprising: grounding an upper portion of a ground to be reinforced;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the ground surface such that the truncated cone blocks having a reduced cross-section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is stopped; And filling the gap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the sid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filler.

상기 충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재로 충전된 상기 뿔대블록 상부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filling step, placing the uncured concrete on the torn block filled with the filler and curing the concrete to form a concrete foundation.

상기 뿔대는, 상기 윗면 및 상기 밑면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정각뿔대일 수 있다.The horn can be a pyramid, which is any one of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 regular pentagon, and a regular hexagon.

상기 정각뿔대에는, 상기 윗면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두 변을 가로질러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충전하는 단계는,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절개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충전재를 충전하여 수행될 수 있다.The prisms may be provided with incisions which are cut across two sides forming the respective vertexes of the upper surface. The filling may be performed by filling the filler through the openings formed by the cut- . ≪ / RTI >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밑면이 형성하는 외곽선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이상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a circle in contact with the out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상기 지반면과 상기 정각뿔대의 옆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45°내지 56.3°범위일 수 있다.The angle? 1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quare pyramid may be in the range of 45 ° to 56.3 °.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크기는,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b)와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s)가 동일 깊이가 되도록 하는 값일 수 있다.The size of the undersid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may be a value such that the depth of influence D b of the influence range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and the depth of influence D s of the influence range by the side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are the same depth have.

상기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지반 상부에 쇄석 및 사질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반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상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ing step may include the step of flattening the upper surface by laying and compaction of a base material including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and sandy soil on the ground.

상기 정각뿔대의 밑면의 등가직경(Bb,eq)은 다음의 식으로 산정될 수 있으며,The equivalent diameters (B b, eq )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quare pyramid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Ab는 밑면의 면적임Here, A b is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기반재의 포설 높이는, 상기 등가직경(Bb,eq)에 2를 곱한 값(2Bb , eq) 이상일 수 있다.The foundation height of the base material may be not less than the value (2B b , eq ) obtained by multiplying the equivalent diameter (B b, eq ) by 2.

상기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재로 충전된 상기 뿔대블록 상부에 기반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상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다시 평탄화된 상기 기반재 상부에 상기 밑면이 상기 기반재의 지반면에 접하도록 상기 뿔대블록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fter the step of filling with the filler, a base material is laid on the torn block filled with the filler and the top surface is planarized by compaction; Disposing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filling spaces between spaces formed by the sid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filler can be repeatedly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구조물을 지탱하기에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지반에 말뚝 등의 깊은 기초를 형성하지 않고 지반을 보강하여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by reinforcing the ground without forming a deep foundation such as a pile on the ground where the supporting force is not enough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또한, 지반을 보강하는데 무리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형상이 단순화된 뿔대블록을 사용하여 지반을 보강함으로써 지지력 증대와 침하량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and decrease the settlement volume by reinforcing the ground using the simplified truncated cone block which can minimize the crowding effect to reinforce the groun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탑 베이스 기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의 형상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의 순서도.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의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op base b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sion bar for a ground reinforce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 reinforcemen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ffect of a ground reinforcement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hape of a prong block for a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torsion bar for grou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of a basic method using a truncated pyramid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3 are flowcharts of a basic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runcated cone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및 뿔대블록 이용한 기초공법 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rsion bar truss b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형상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뿔대블록(10), 윗면(12), 밑면(14), 옆면(16), 절개부(18), 개구부(19), 사각형 블록(20), 영향계수분포(22)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 ground reinforcement blo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ound reinforcement blo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lo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ground reinforcement block for floor reinforc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lo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7, the truncated cone block 10, the top surface 12, the bottom surface 14, the side surface 16, the cutout 18, the opening 19, the rectangular block 20, (22) are shown.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은, 지반(24)면에 복수로 배치되어 지반(24)을 보강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윗면(12)에서 밑면(14)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의 블록으로 제작되며, 밑면(14)이 지반(24)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The ground reinforcement tine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block for reinforcing the ground 24 by being disposed on the ground 24 in a plurality of planes and having a cross section reduced from the top surface 12 toward the bottom surface 14 And the bottom surface 14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24 surface.

뿔대는, 원뿔이나 각뿔 같은 뿔을 밑면(14)에 평행인 두 평면을 잘라서 얻은 토막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10)은 윗면(12)에서 밑면(14)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으로 제작되며, 크기가 작은 밑면(14)이 지반면에 접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면에 복수로 설치된다.The truncated cone is obtained by cutting a cone or a pyramid into two plane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14.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ross section reduced from the top surface 12 toward the bottom surface 14 As shown in Fig. 7, a plurality of small-sized bottom surfaces 14 are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뿔대블록(10)으로는 삼각뿔대, 사각뿔대, 오각뿔대, 육각뿔대 등의 각뿔대 또는 원뿔대 형태의 블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윗면(12)과 밑면(14)이 정사각형인 정사각뿔대 형상의 뿔대블록(10)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may be a truncated pyramid or truncated pyramid block such as a pyramidal pyramid, quadrangular pyramid, pyramidal pyramid, and hexagonal pyramid.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pyramid block 10 may have a square pyramid shape with a top surface 12 and a bottom surface 14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of FIG.

원뿔대 형상의 뿔대블록의 경우, 밑면이 원형을 이루고 있고 옆면이 라운드져 있어 후술할 영향범위의 폭이 동일한 면적의 각뿔대의 영향범위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밑면(14)이 동일 면적이라고 가정할 때, 각뿔대 형상의 뿔대블록(10)은 밑면은 정다각형 형태이고 옆면이 일정한 각도 ?여 있어 원뿔대 형상의 뿔대블록(10)에 비해 영향범위의 중첩이 작기 때문에 원뿔대 형상의 뿔대블록(10) 보다 큰 지지력의 증가 및 침하량 감소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truncated cone-shaped truncated cone block, the bottom surface is round and the side surface is rounded, so that the width of the influence range described later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influence range of the truncated pyramid of the same area. Therefore, assuming that the bottom surface 14 has the same area, 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has a regular polygonal shape on the bottom surface and a constant angle of side surface, so that the overlapping of the influence rang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It is possible to expect an increase in the holding force and a reduction in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truncated cone-shaped truncated cone block 10.

뿔대블록(10)은 콘크리트, 합성수지, 강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현장에서 지반면에 뿔대블록(10)을 형성할 수 있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면에 뿔대블록(1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runcated cone block 10 can be made of concrete, synthetic resin, steel, etc., and a mold capable of forming the truncated cone block 10 on the ground surface is installed in the field, concrete is laid and the truncated cone block 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It is also possible.

뿔대블록(10)의 밑면(14)은 지반면에 접하는 접지면을 구성하며, 접지면을 통하여 상부하중이 지반(24)에 전달된다. 지반면에 복수의 뿔대블록(10)을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면,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 사이에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은 뿔대블록(10)을 설치한 후에 쇄석 및 사질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재를 충전하여 다짐한다. 이에 따라 뿔대블록(10)이 지반(24)에 매립된 상태가 되며 뿔대블록(10)의 밑면(14)과 더불어 뿔대블록(10)의 옆면(16) 또한 상부하중을 지반(24)에 전달하게 된다.The bottom surface 14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constitutes a ground surface tangent to the ground surface, and the upper load is transmitted to the ground 24 through the ground surface. When a plurality of tine blocks 10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a space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16 of the tine block 10 between adjacent tine blocks 10, A filling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and sandy soil is filled and filled. The truncated cone block 10 is buried in the ground 24 and the side surface 16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s well as the underside 14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lso transmit the upper load to the ground 24 .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술한 충전재(28)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뿔대불록이 윗면(12)의 각 꼭지점부를 절개하여 절개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12)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두 변을 가로질러 절개하여 절개부(18)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배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절개부(18)는 개구부(19)를 형성하게 되고 개구부(19)를 통해 충전재(28)를 충전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filling of the filling material 28 with the truncated cone block 10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the truncated cone portion of the top surface 12 may be cut to form the cutout portion 18.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incision portion 18 is formed by cutting across two sides forming the respective vertexes of the upper surface 12. 7, the adjacent cutouts 18 form the openings 19 and the filler 28 can be filled through the openings 19, as shown in FIG. have.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다수의 사각형 블록을 지반면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4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ground reinforcement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4 (a) shows that a plurality of rectangular block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4 (b) show that the truncated cone block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지표 또는 지중에 하중이 작용할 때 이 하중으로 말미암아 지반(24)내에 응력이 생기게 되는데, 작용하중에 대한 지중응력의 비를 지중응력 영향계수(Influence factor)라 한다. 이러한 영향계수의 분포(22)는, 지반면에 하중이 작용할 때 지반(24) 내에 응력이 발생하는 범위를 나타내고 이를 영향범위라 한다.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surface or the ground, this load causes stress in the ground 24. The ratio of the ground stress to the working load is called an underground stress factor. The distribution of the influence coefficients 22 indicates a range in which stress is generated in the ground 24 when a load acts on the ground surface, and this is called an influence range.

지중응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하위치에서 깊을수록, 모서리쪽으로 갈수록 감소하게 되며, 통상 하나의 직사각형 또는 원형기초는 기초폭(B)의 2배(2B)까지 작용하중의 약 10%하중이 미친다. 그런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각형 블록(20)을 서로 인접하여 지반면에 설치한 경우 각 사각형 블록(20)의 영향범위가 중첩되면서 영향범위가 확대되어(이를 '무리효과(group effect)'라 한다.) 지반면에서 기초폭(B)의 4배(4B)에서 5배(5B)까지 작용하중이 미치게 된다. 이러한 영향범위의 확대는 지지력이 감소를 가져오고 지지력의 감소는 보다 큰 침하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다수의 블록을 지반(24)에 설치하여 지반(24)을 보강하고자 하는 경우 각 블록의 영향범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다. As shown in FIG. 4, the underground stress is reduced toward the edge as it is deeper at the loading position. Typically, one rectangular or circular foundation has a load of about 10% of the working load up to 2 times (2B) This is crazy. 4 (a), when a plurality of rectangular blocks 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the influence range of each rectangular block 20 is overlapped and the influence range is enlarged (referred to as' (4B) to 5 times (5B) of the foundation width (B) on the ground surface. The expansion of this range of impacts leads to a decrease in bearing capacity and a decrease in bearing capacity causes a larger settlement. Accordingly, when the plurality of blocks are provided on the ground 24 and the ground 24 is to be reinforced, the influence range of each block is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도 4의 (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서로 인접하여 배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지반면에 접하여 상부하중을 전달하는 뿔대블록(10)의 밑면(14)이 서로 이격되어 있어 각 뿔대블록(10)의 밑면(14)의 하부에 형성되는 영향범위가 중첩되지 않아 상기의 사각형 블록(222)과 달리 지지력의 감소가 없으므로 상부하중을 지반(24)에 고루 분포시킬 수 있다.4 (b) shows that the tine block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The bottom surfaces 14 of the tine blocks 1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nd transmit the upper load, Since the influence rang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14 of each truss block 10 is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unlike the rectangular block 222, there is no reduction in the supporting force, and the upper load is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ground 24 .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형상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뿔대블록(10)의 원리를 바탕으로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형상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FIGS.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ground prism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ereinafter,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ground truss block 1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truss block 10 as described above.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밑면(14)의 하부에 형성되는 영향범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밑면(14)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밑면(14)이 형성하는 외곽선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이상으로 한다. 즉, 뿔대블록(10)이 정각뿔대 형상일 때, 밑면(14)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정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만큼 밑면(14)을 이격시켜 뿔대블록(10)을 배치함으로써 영향범위의 중첩을 피할 수 있다. First, as described above, the spacing distance of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djacent to each other is se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adjacent truncated cone blocks 10 Is set to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circle in contact with the out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14). That is, when the truncated cone block 10 is in the form of a regular truncated pyramid, the bottom surface 14 forms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 regular pentagon, and a regular hexagon. By separating the bottom surface 14 by the diameter of a circle, The overlapping of the influence range can be avoided by disposing the movable member 10.

한편, 다수의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설치하고,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를 충전재(28)를 충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뿔대블록(10)이 지반에 매립된 상태가 되며 뿔대블록(10)의 밑면(14)과 더불어 뿔대블록(10)의 옆면(16) 또한 상부하중을 지반(24)에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뿔대블록(10)의 옆면(16)에 의해 발생하는 지반(24) 내의 응력은 뿔대블록(10)의 밑면(14)에 의해 발생하는 지반(24)내의 응력과 응력의 작용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다수의 뿔대블록(10)을 서로 인접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뿔대블록(10)의 옆면(16)에 의한 지중응력의 영향범위가 서로 중첩되기 때문에,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뿔대블록(10)의 옆면(16)에 의한 영향범위를 옆면(16)의 도심에서 수직으로 옆면(16)의 등가직경(Bs , eq)의 5배(5Bs , eq)까지 미친다고 가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truncated cone blocks 10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ground to fill the spaces between the adjacent side surfaces 16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10 with the filling material 28,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tine block 10 and the side surface 16 of the tine block 10 also transmit the upper load to the ground 24. The stress in the ground 24 generated by the side surface 16 of the tine block 10 is different from the stress acting in the ground 24 caused by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tine block 10, Therefore, they do not affect each other. However, since the plurality of truncated cone blocks 10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range of influence of the underground stress due to the side surface 16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5B s , eq ) of the equivalent diameter (B s , eq ) of the side surface 16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of the side surface 16 by the side surface 16 of the torn block 10 Can be assumed.

여기서 등가직경이라 함은, 옆면(16)을 등가의 원형으로 환산하기 위한 직경으로 다음의 [식 1]로 결정될 수 있다.
Here, the equivalent diameter refers to a diameter for converting the side surface 16 into an equivalent circle, and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xpression (1).

[식 1][Formula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도 5는 지반면과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이루는 각도(θ1)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뿔대블록(10)의 상부에서 등분포하중이 가해진다고 가정할 때, 뿔대블록(10)의 옆면(16)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수직응력(σn)이 발생하고, 흙의 마찰로 인해 옆면(16)을 따라서는 전단응력(σs)이 발생한다.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angle? 1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16 of the torsion bar 10 for reinforcing the ground, assuming that a uniform distribution load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torsion bar 10 A normal stress σ n occur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16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nd a shear stress σ s occurs along the side surface 16 due to the friction of the soil.

수직응력(σn)과 전단응력(σs) 사이에는 다음의 [식 2]의 관계가 성립한다.
The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Equation 2] holds between the normal stress (? N ) and the shear stress (? S ).

[식 2][Formula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또한, 응력분산에 따른 뿔대블록(10)의 옆면(16)에 발생되는 전단응력(σs)에 의한 지중 수직응력의 위치별 크기(Δσz)는 다음의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urther, the position-dependent magnitude (Δσ z ) of the underground normal stress due to the shear stress (σ s ) generated in the side surface (16) of the warp block (10) due to stress dispersion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식 3]
[Formula 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의 마찰에 의한 전단응력(σs)에 따른 수직응력(σn)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지반면에 대한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이루는 각도(θ1)는 다음의 [식 4]의 범위를 만족하여야 하며,
The angle formed by the side surface 16 of the tine block 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in order to minimize the increase in the normal stress? N according to the shear stress? S due to the friction of the soil &thetas; 1 ) must satisfy the range of the following formula (4)

[식 4][Formula 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상기 [식 3]에 따라 옆면(16)의 수평방향의 길이(x)별 지중 수직응력의 위치별 크기(Δσz)를 산정하여 보면, Δσz 의 평균값이 x = 2bs 에서 나타난다. 이에 따라 뿔대블록(10)의 옆면(16)에 의한 영향범위를 10bs라 가정할 때,
The average value of Δσ z is found at x = 2b s by calculating the position-dependent magnitude (Δσ z ) of the vertical stress of the ground by the length (x)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16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xpression 3]. Thus, assuming that the range of influence by the side surface 16 of 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is 10b s ,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로서,
as,

흙의 마찰에 의한 전단응력(σs)에 따른 수직응력(σn)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지반면에 대한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이루는 각도(θ1)는 다음의 [식 5]를 만족하여야 한다.
In order to minimize the increase of the normal stress (? N ) according to the shear stress (? S ) due to the friction of the soil, the angle? 1 formed by the side surface (16) of the torn block (10) 5].

[식 5][Formula 5]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즉, 지반면과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이루는 각도(θ1)는 45°내지 56.3°범위이다.That is, the angle? 1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16 of the tine block 10 is in the range of 45 to 56.3.

이와 같이, 밑면(14)(또는 지반면)에 대한 옆면(16)이 이루는 각도(θ1)를 45°내지 56.3°범위 내에서 선택하고,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밑면(14)의 하부에 형성되는 영향범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밑면(14)의 이격 거리가 밑면이 형성하는 외곽선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이상 되도록 밑면(14)의 크기를 결정하여 뿔대블록(10)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Thus, the angle? 1 formed by the side surface 16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4 (or the ground surface ) is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45 to 56.3 degree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adjacent torn block 10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14 is determined so that the distance of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adjacent tine block 10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a circle in contact with the out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The shap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can be determined.

한편, 뿔대블록(10)의 형상과 크기는 다음의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도 6 참조). 즉, 뿔대블록(10)의 밑면(14)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b)와 뿔대블록(10)의 옆면(16)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s)가 동일 깊이가 되도록 뿔대블록(10)의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영향심도는 뿔대블록(10)의 윗면(12)에서 영향범위의 최하단까지의 지반면에서의 수직깊이를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method (see FIG. 6). That is, ppuldae block 10, the bottom 14 affect the impact range of the depth of the (D b) and ppuldae block 10, the side effects of the influence range by the 16 field of (D s) is such that the same depth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Here, the depth of influence means the vertical depth at the ground surface from the top surface 12 of the tine block 10 to the lowermost part of the influence range.

도 6을 참조하면, 밑면(14)의 영향심도(Db)는 지반(24)의 조건에 따라 아래의 [식 6]에 따른 Db1과 Db2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게 되는데, 지반(24)이 양호한 사질토 지반(24)의 경우에는 밑면(14)에 의한 영향심도를 Db1로 가정할 수 있고, 지반(24) 강도가 낮은 연약 지반(24)이나 점성토 지반(24)인 경우에는 Db2 로 가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epth of influence (D b ) of the bottom surface 14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24 by either of D b1 and D b2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6) If the case of the preferred Sands (24) can assume the effect of field by the bottom 14 to the D b1, the soil 24 strength is low soft ground (24) or a clay soil (24), the D b2 .

[식 6][Formula 6]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그리고, 옆면(16)의 영향심도(Ds)는 아래와 [식 7] 같으며,
The depth of influence (D s ) of the side surface 16 is expressed by Equation 7 below,

[식 7][Equation 7]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상기의 밑면(14)의 영향심도와 옆면(16)의 영향심도가 동일한 깊이가 되도록 하는 밑면(14)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To determine the shape and size of the bottom surface 14 such that the depth of influence of the bottom surface 14 and the depth of influence of the side surface 16 are the same.

보다 구체적으로, 밑면(14)(또는 지반면)에 대한 옆면(16)이 이루는 각도(θ1)를 45°내지 56.3°범위 내에서 선택하고, 밑면(14)의 영향심도와 옆면(16)의 영향심도가 동일한 깊이가 되도록 하는 밑면(14)의 등가직경(Bb,eq)을 결정하고, 이를 다시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등의 정다각형으로 다시 환산하여 밑면의 형상과 크기를 결정한다.More specifically, the angle? 1 formed by the side surface 16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4 (or the ground surface ) is selected within the range of 45 to 56.3 degrees, and the depth of influence of the bottom surface 14 and the depth The equivalent diameters B b and eq of the bottom surface 14 are determined such that the depths of influence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bottom surface are determined by converting the equivalent diameters B b and eq into regular polygons such as a regular triangle,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10)을 이용한 기초공법의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10)을 이용한 기초공법의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뿔대블록(10)을 이용한 기초공법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에는 뿔대블록(10), 윗면(12), 밑면(14), 옆면(16), 지반(24), 기반재(26), 충전재(28), 콘크리트 기초(30)가 도시되어 있다.FIG. 8 is a flowchart of a basic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runcated cone block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3 are flowcharts of a basic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runcated cone block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asic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14 show the trident block 10, the top surface 12, the bottom surface 14, the side surface 16, the ground 24, the base material 26, the filler 28 and the concrete foundation 30, .

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10)을 이용한 기초공법은, 보강하고자 하는 지반(24) 상부를 정지(整地)하는 단계; 윗면(12)에서 밑면(14)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의 뿔대블록(10)의 상기 밑면(14)이 정지된 상기 지반면에 접하도록 복수의 상기 뿔대블록(10)을 상기 지반면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충전재(28)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founda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leveling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24 to be reinforced; A plurality of tine blocks 10 are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so that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tine-like tine block 10 whose cross section is reduced from the top surface 12 toward the bottom surface 14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Adjacent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the side surfaces (16) of the adjacent truncated cone blocks (10) with a filler (28).

본 실시예에 따른 뿔대블록(10)을 이용한 기초공법은, 상부구조물을 지탱하기에 지지력이 충분하지 않은 지반(24)에 말뚝 등의 깊은 기초를 형성하지 않고 지반(24)을 보강하여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고, 무리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형상이 단순화된 뿔대블록(10)을 사용하여 지반(24)을 보강함으로써 지지력 증대와 침하량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The grounding method using the truncheon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inforces the ground 24 without forming a deep foundation such as a pile on the ground 24 where the supporting force is insufficient for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And the ground block 24 is reinforced by using the truncated cone block 10 whose shape is simplified so as to minimize the crowd effect, thereby increasing the supporting force and decreasing the settlement amount.

본 실시예에 따른 중뿔대블록(10)을 이용한 기초공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하고자 하는 지반(24) 상부를 정지(整地)한다(S100). 상부구조물에 대한 침하와 지지력의 부족이 우려되어 보강이 필요한 지반(24)을 평탄하고 고르게 정리한다. 본 단계에서 지반(24) 상부에 쇄석 및 사질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반재(26)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상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24 to be reinforced is grounded (step S100). Referring to FIG. Because of the lack of settlement and bearing capacity of the superstructure, the foundation 24 that needs reinforcement is flat and evenly organized. In this step, the base material (26) including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and sandy soil may be laid on the ground (24),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planarized.

지반(24) 강도가 양호한 사질토 지반(24)의 경우 원 지반(24) 상부에 대해서 정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지반(24) 강도가 낮은 연약 지반이나 점성토 지반의 경우 지반(24) 상부를 평탄하고 고르게 정리한 후 정지된 지반(24) 상부에 쇄석 및 사질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반재(26)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상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andy ground 24 having a good strength of the ground 24,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opping opera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24, and in the case of soft ground or clayey soil having low strength of the ground 24, The base material 26 including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and sandy soil may be laid on top of the stopped ground 24 after planar and evenly arranged, and the upper surface may be flattened by compaction.

시공하고자 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원 지반(24)을 정지하거나, 정지된 지반(24) 상부에 기반재(26)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지반(24) 상부를 양호한 지반(24)으로 개량할 수 있다. The ground 24 may be stoppe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be installed or the base material 26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opped ground 24 to improve the upper portion of the ground 24 to a good ground 24 .

기반재(26)로는, 각종 입도의 입자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입도분포가 좋은 쇄석, 지반 강도가 양호하게 나오는 사질토, 또는 상기 쇄석과 상기 사질토가 섞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반재(26)의 선정은 시공하고자 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As the base material 26, it is possible to use a crushed stone having good distribution of particl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a crushed stone having a good soil strength, or a mixture of the crushed stone and the crushed stone. The selection of the base material 26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be installed.

상부구조물은 건축물, 교각, 암거, 하수관로, 지하주차장, 옹벽 등 본 실시예에 따라 보강된 기초 상부에 축조되거나 놓여지는 구조물을 의미한다.The upper structure means a structure constructed or placed on a foundation reinforc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uch as a building, a pier, a culvert, a sewer line,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retaining wall, and the like.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12)에서 밑면(14)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의 뿔대블록(10)의 밑면(14)이 정지된 지반면에 접하도록 복수의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한다(S200).11, the bottom 14 of the truncated cone-shaped block 10 whose cross section is reduced from the top surface 12 toward the bottom surface 1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ationary ground surface, 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S200).

뿔대블록(10)으로는 삼각뿔대, 사각뿔대, 오각뿔대, 육각뿔대 등의 각뿔대 또는 원뿔대 형태의 블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윗면(12)과 밑면(14)이 정사각형인 정사각뿔대 형상의 뿔대블록(1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면에 설치한 형태를 제시한다. 복수의 뿔대블록(10)은 윗면(12)의 외주가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may be a truncated pyramid or truncated pyramid block such as a pyramidal pyramid, quadrangular pyramid, pyramidal pyramid, and hexagonal pyramid.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pyramid block 10 may have a square pyramid shape with a top surface 12 and a bottom surface 14 The torsion bar 10 of the torsion bar 10 is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truncated cone blocks 10 can be arranged such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surface 12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뿔대블록(10)의 형상은, 상술한 방법에 따라, 밑면(14)(또는 지반면)에 대한 옆면(16)이 이루는 각도(θ1)를 45°내지 56.3°범위 내에서 선택하고,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밑면(14)의 하부에 형성되는 영향범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밑면(14)의 이격 거리가 밑면이 형성하는 외곽선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이상 되도록 밑면(14)의 크기를 결정하여 뿔대블록(10)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is determined by selecting the angle? 1 formed by the side surface 16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14 (or the ground surface ) within the range of 45 to 56.3 degrees, The spacing of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adjacent truncated cone blocks 10 is set such that the contour of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does not overlap with that of the bottom surface 14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The shape of the tine block 10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14 so as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ine block 10.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충전재(28)로 충전한다(S300). 지반면에 복수의 뿔대블록(10)을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면,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 사이에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간을 쇄석 및 사질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재(28)를 충전하여 다짐한다. 이에 따라 뿔대블록(10)이 지반(24)에 매립된 상태가 되며 뿔대블록(10)의 밑면(14)과 더불어 뿔대블록(10)의 옆면(16) 또한 상부하중을 지반(24)에 전달하게 된다. 12, the filler 28 is filled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the side surfaces 16 of the adjacent truncated cone blocks 10 (S300). When a plurality of tine blocks 10 are provid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ground surface, a space is formed in the side surface 16 of the tine block 10 between adjacent tine blocks 10, And filling the filler 28 with the filler 28. The truncated cone block 10 is buried in the ground 24 and the side surface 16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s well as the underside 14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also transmit the upper load to the ground 24 .

한편,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술한 충전재(28)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뿔대불록이 윗면(12)의 각 꼭지점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뿔대블록(10)을 지반면에 배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절개부(18)는 개구부(19)를 형성하게 되고 개구부(19)를 통해 충전재(28)를 충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cilitate filling of the filling material 28 with the truncated cone block 10 being installed on the ground surface, truncated cones can be formed by cutting each vertex of the truncated cone 12. 7, the adjacent cutouts 18 form the openings 19 and the filler 28 can be filled through the openings 19, as shown in FIG. have.

충전재(28)로서는 기반재(26)와 동일하게 각종 입도의 입자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입도분포가 좋은 쇄석, 지반(24) 강도가 양호하게 나오는 사질토, 또는 상기 쇄석과 상기 사질토가 섞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재(28)의 선정은 기반재(26) 선정과 마찬가지로 시공하고자 하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충전과정에 충전재(28)가 복수의 뿔대블록(10)이 형성하는 공간에 잘 충전되도록 다짐을 가할 수 있다.As the filler 28, it is possible to use a crushed stone having good distribution of particles having various particle sizes distribu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e material 26, a crushed stone having a good strength of the crushed soil 24, or a crushed stone mixed with the crushed stone have. The selection of the filler 28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upper structure to be installed, as in the case of selecting the base material 26. It is possible to apply compaction so that the filling material 28 is well filled in the spaces formed by the plurality of truncated cone blocks 10 during the charging process.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재(28)로 충전된 뿔대블록(10) 상부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초(30)를 형성한다(S400). 상술한 단계를 거쳐 하부 기초가 형성되면 상부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충전재(28)로 충전된 뿔대블록(10) 상부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초(30)를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부구조물이 건축물의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초(30)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기초(30)에 건축물을 축조하게 된다. 13, unhardened concrete is laid on the torn block 10 filled with the filler 28 and cured to form the concrete foundation 30 (S400). When the lower foundation is 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uncured concrete is laid on the torn block 10 filled with the filler 28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structure, and cured to form the concrete foundation 30. For example, if the upper structure is a building, the concrete is laid and cured to form the concrete foundation 30, and the building is built on the concrete foundation 30. [

상부구조물이 암거 또는 박스 구조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기초(30)를 형성하지 않고 뿔대블록(10) 상부에 상부구조물을 직접 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mount the upper structure directly on the torn block 10 without forming the concrete foundation 30 when the upper structure is a cow or box structure.

한편, 지반(24) 상부에 기반재(26)를 형성하는 경우, 기반재(26)의 포설 높이는 등가직경(Bb,eq)에 2를 곱한 값(2Bb , eq)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높이로 기반재(26)가 지반면에 포설되면 뿔대블록(10)의 영향범위가 지반(24) 강도가 양호한 기반재(26) 내에 위치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e material 26 is formed on the ground 24, the height of the base material 26 can be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value (2B b , eq ) obtained by multiplying the equivalent diameter B b, eq by 2 . When the base material 26 is laid on the ground surface at the height, the influence rang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10 is located in the base material 26 having a good strength of the ground 24, so that a more stable foundation can be formed.

도 14는 본 실시예 따른 뿔대블록(10)을 이용한 기초공법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부구조물에 의한 하중이 크거나 지반(24)이 매우 연약한 경우,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하부기초를 다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founda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load due to the upper structure is large or the ground 24 is very soft, Can be constituted by multiple layers.

즉, 상기의 실시예의 충전재(28)로 충전하는 단계 이후에, 충전재(28)로 충전된 뿔대블록(10) 상부에 쇄석 및 사질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반재(26)를 다시 포설하고 다짐하여 상면을 평탄화하고, 다시 평탄화된 기반재(26) 상부에 밑면(14)이 기반재(26)의 지반면에 접하도록 뿔대블록(10)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한 후, 서로 인접한 뿔대블록(10)의 옆면(16)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충전재(28)로 충전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하부기초를 다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at is, after the step of filling with the filler 28 of the above embodiment, the base material 26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crushed stone and the sandy soil is laid over the torn block 10 filled with the filler 28, And the torsion blocks 10 are arranged adjacently to each oth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14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26 on top of the flattened base material 26 and then the adjacent torsion blocks 10 And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the side surfaces 16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10 and 20 with the filler 28. Thus, the lower b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Many embodiment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뿔대블록 12: 윗면
14: 밑면 16: 옆면
18: 절개부 19: 개구부
20: 사각형 블록 22: 영향계수분포
24: 지반 26: 기반재
28: 충전재 30: 콘크리트 기초
10: Trim block 12: Top surface
14: bottom surface 16: side surface
18: incision section 19: opening
20: square block 22: influence coefficient distribution
24: Ground 26: Base material
28: Filler 30: Concrete foundation

Claims (16)

지반면에 복수로 배치되어 지반을 보강하기 위한 블록으로서,
윗면에서 밑면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의 블록으로 제작되며, 상기 밑면이 상기 지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A plurality of blocks arranged on the ground surface to reinforce the ground,
Wherein the base block is made of a truncated cone block whose cross section is reduced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뿔대는,
상기 윗면 및 상기 밑면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정각뿔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n-
Wherei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square pyramids, which are any one of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 regular pentagon, and a regular hexag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에는,
상기 윗면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두 변을 가로질러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block,
Characterized in that a cut-out portion is formed which is cut across two sides forming the respective vertexes of the upp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밑면이 형성하는 외곽선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ac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torsion bar has a diameter equal to or larger than a diameter of a circle in contact with an out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면과 상기 정각뿔대의 옆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45°내지 56.3°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ngle? 1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quare pyramid is in the range of 45 to 56.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크기는,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b)와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s)가 동일 깊이가 되도록 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보강용 뿔대블록.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Effect of influence range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ppuldae block depth (D b) and, ppuldae block for ground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 of the ppuldae influence of impact range by the side of a block of field (D s) is such that the same depth .
보강하고자 하는 지반 상부를 정지(整地)하는 단계;
윗면에서 밑면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뿔대 형상의 뿔대블록의 상기 밑면이 정지된 상기 지반면에 접하도록 복수의 상기 뿔대블록을 상기 지반면에 서로 인접하게 설치하는 단계; 및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Grounding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to be reinforced;
Providing a plurality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the ground surface such that the truncated cone blocks having a reduced cross-section from the top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where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is stopped; And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the sid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 fill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재로 충전된 상기 뿔대블록 상부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the charging step,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asting and curing unhardened concrete on top of the trident block filled with the filler to form a concrete found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뿔대는,
상기 윗면 및 상기 밑면이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중 어느 하나인 정각뿔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rn-
Wherei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a square pyramid, which is any one of an equilateral triangle, a square, a regular pentagon, and a regular hexag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각뿔대에는,
상기 윗면의 각 꼭지점을 형성하는 두 변을 가로질러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충전하는 단계는,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절개부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충전재를 충전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quare pyramid,
Wherein a cut portion is formed to cut across two sides forming each vertex of the upper surface,
The step of charging comprises:
Wherein the filling is performed by filling the filler through an opening formed by a cut portion of the truncated cone block adjacent to the truncated cone block.
제9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밑면이 형성하는 외곽선에 내접하는 원의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pac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a diameter of a circle in contact with an out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diameter of a circle in contact with the outline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면과 상기 정각뿔대의 옆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45°내지 56.3°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angle? 1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quare pyramid is in the range of 45 to 56.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의 크기는,
상기 뿔대블록의 밑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b)와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에 의한 영향범위의 영향심도(Ds)가 동일 깊이가 되도록 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iz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Is a value such that the depth of influence (D b ) of the influence range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and the depth of influence (D s ) of the influence range by the side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block are the same depth.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하는 단계는,
상기 지반 상부에 쇄석 및 사질토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반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상면을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opping comprises:
And a step of flattening the upper surface by laying a foundation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crushed stone and sandy soil on the upper part of the ground and compac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각뿔대의 밑면의 등가직경(Bb,eq)은 다음의 식으로 산정되며,
Figure pat00010
여기서, Ab는 밑면의 면적임
상기 기반재의 포설 높이는,
상기 등가직경(Bb,eq)에 2를 곱한 값(2Bb , eq)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equivalent diameter (B b, eq )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quare pyramid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10
Here, A b is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The foundation height of the base material,
(2B b , eq ) obtained by multiplying the equivalent diameter (B b, eq ) by two.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전재로 충전된 상기 뿔대블록 상부에 기반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상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다시 평탄화된 상기 기반재 상부에 상기 밑면이 상기 기반재의 지반면에 접하도록 상기 뿔대블록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단계; 및
서로 인접한 상기 뿔대블록의 옆면이 형성하는 공간 사이에 충전재로 충전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대블록을 이용한 기초공법.
8. The method of claim 7,
After filling with the filler,
Disposing a base material on top of the truncated cone block filled with the filler and planarizing the top surface;
Disposing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And
And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spaces formed by the side surfaces of the truncated cone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filling material is repeatedly performed.
KR1020130039968A 2013-04-11 2013-04-11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KR1014524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68A KR101452454B1 (en) 2013-04-11 2013-04-11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968A KR101452454B1 (en) 2013-04-11 2013-04-11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914A true KR20140122914A (en) 2014-10-21
KR101452454B1 KR101452454B1 (en) 2014-10-23

Family

ID=5199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968A KR101452454B1 (en) 2013-04-11 2013-04-11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45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153B1 (en) * 2021-03-19 2021-10-22 장재완 Artificial Stone Stacking System and Method of Artificial Stone Stacking Using it
JP2023004769A (en) * 2021-06-28 2023-01-17 株式会社スペース二十四インフォメーション Vehicle stack prevention method in parking lot and disc-shaped reinforcing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183A (en) * 2008-08-06 2010-02-17 이창남 Varied depth independent footing method formed by tapering excavation
KR101327278B1 (en) * 2010-07-31 2013-11-08 김성필 Foundation constru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153B1 (en) * 2021-03-19 2021-10-22 장재완 Artificial Stone Stacking System and Method of Artificial Stone Stacking Using it
JP2023004769A (en) * 2021-06-28 2023-01-17 株式会社スペース二十四インフォメーション Vehicle stack prevention method in parking lot and disc-shaped reinforcing instrument
JP2023007303A (en) * 2021-06-28 2023-01-18 株式会社スペース二十四インフォメーション Parking lot ground reversible reinforcing method, parking lot, and disc-shaped reinforcing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454B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14173B (en) Foam light soil pouring table back structure in expressway reconstruction and extension projec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80084101A (en) Stable foundation ground formation method
CN110700291A (en)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U2392387C2 (en) Device and method for reinforcement of mast base
CN214497532U (en) Construction structure for treating local collapse or shallow layer slippage of foundation pit and side slope
KR101591812B1 (en)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steel rod grid reinforcing material is installed
JP2013167144A (en)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KR101452454B1 (en) Truncated pyramid block for reinforcing ground and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truncated pyramid blocks
KR20180021144A (en) Packaging method and packaging structure
KR101129678B1 (en) Mesh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hollow blocks
CN102493485A (en) Method for building slope protection retaining wall during filling
EP1382750A1 (en) Ground improvement
Solovyev et al. Improving of performance characteristics during mechanical stabilization of quarry haul roads with stiff polymeric Tensar TriAx hexagonal geogrid
CN114525808B (en) Deep foundation pit edge gantry crane ground beam construction method
JP5800546B2 (en) Precast foundation plates, foundations for precast st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earth retaining structures
KR102116085B1 (en) A Eco-friendly retain wall structure
CN212771789U (en) Road subgrade and pavement structure combined with overhanging structure
JP4968695B2 (en) Ground improvement structure
CN112227344A (en) Soft foundation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with good reinforcement effect
JP6698445B2 (en) Slop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lope reinforcement method
RU2256747C2 (en) Method for forming interface between bridge roadway and embankment
KR101579494B1 (en)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solid column blocks
JPH0765315B2 (en) Embankment structure
CN211006716U (en) Combined retaining structure
JP2013221347A (en) Ground structure and ground improv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