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663A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663A
KR20140122663A KR20140040454A KR20140040454A KR20140122663A KR 20140122663 A KR20140122663 A KR 20140122663A KR 20140040454 A KR20140040454 A KR 20140040454A KR 20140040454 A KR20140040454 A KR 20140040454A KR 20140122663 A KR20140122663 A KR 20140122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weight
case
bracke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0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551B1 (ko
Inventor
오화영
김재경
이상진
문동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249,201 priority Critical patent/US9484521B2/en
Priority to CN201610858715.XA priority patent/CN107029972B/zh
Priority to CN201410142797.9A priority patent/CN104104266B/zh
Publication of KR2014012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브라켓과, 중앙측 하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며 일 방향에서 바라볼 때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진동부재와,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 중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진동발생장치{Vibrator}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휴대 전화 등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 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모바일 기기에 부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는 점점 더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진동발생장치 또한 기존 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나아가, 최근에는 휴대 전화가 스마트폰으로 대체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에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진동발생장치의 채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피에조 소자를 이용한 진동발생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발생장치는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여 변위를 발생시키는 역압전효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발생된 변위로 진동자의 중량체를 움직이도록 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킨다.
이 구조를 갖는 진동발생장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서 안정적인 진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피에조 소자의 길이가 길어야 변위 및 진동확보가 가능하므로, 진동발생장치의 길이가 길어지고 낙하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즉, 진동발생장치의 형상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길이가 길어져 소형화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길이가 긴 피에조 소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피에조 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7917호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피에조 소자의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브라켓과, 중앙측 하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며 일 방향에서 바라볼 때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진동부재와,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 중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량체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압전소자 설치부와, 상기 제1,2 압전소자 설치부로부터 상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와, 상기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변형량 증폭부 및 상기 제1,2 변형량 증폭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가 장착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제1,2 압전소자 설치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의 내부면에 양단부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진동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저면에 중앙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코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량체의 저면에는 상기 압전소자와의 접촉을 방지토록 압전소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에 조립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홈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략 코인 형상을 가지는 중량체를 통해 중량체의 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략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진동부재를 통해 진동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압전소자가 중량체에 형성되는 중량체 삽입홈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낙하 충격 시 중량체가 상,하부 케이스에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1선을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1선을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케이스(120), 브라켓(140), 진동부재(160), 압전소자(170), 중량체(180) 및 회로기판(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대략 코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에는 상기한 진동부재(160)의 양단부가 배치되는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2)는 코인 형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22)는 대략 18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스(120)는 돌출부(122)가 형성된 코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거의 같은 정육면체 형상[예를 들어, 돌출부(122)를 가지는 정육면체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는 브라켓(140)과 함께 진동발생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120)의 하단부에는 상기한 회로기판(190)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40)은 케이스(120)와 결합되며 케이스(1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14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케이스(120)의 돌출부(122)에 대응되는 돌출 대응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40)에는 회로기판(190)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설치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돌출 대응부(142)와 설치부(144)는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40)과 케이스(120)는 용접, 접착제에 의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40)과 케이스(120)의 결합에 의해 밀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밀폐공간에 진동부재(160), 압전소자(170), 중량체(180)가 배치될 수 있다.
진동부재(160)는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진동부재(160)는 제1 고정부(162),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 제1,2 변형량 증폭부(167,168) 및 제2 고정부(16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먼저 반경 방향은 도 1의 케이스(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케이스(12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또는 케이스(120)의 중심으로부터 케이스(120)의 외주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원주 방향은 케이스(1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높이 방향은 브라켓(140)으로부터 케이스(120)의 상면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 고정부(162)는 상기한 브라켓(140)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부(162)는 압전소자(170)의 폭 방향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는 상기한 제1 고정부(162)의 양측면 중앙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는 압전소자(170)의 길이 방향으로 압전소자(170)를 지지할 수 있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는 상기한 제1 고정부(16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압전소자(17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위 방향 변환부(165)의 일단에는 제1 압전소자 설치부(163)가 연장 형성되며, 제2 변위 방향 변환부(166)의 일단에는 제2 압전소자 설치부(16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압전소자(170)의 양단부와 접촉될 수 있으며, 압전소자(170)의 신축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상부 케이스(120)의 돌출부(1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돌출부(122)의 단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2 변형량 증폭부(167,168)는 상기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2 변형량 증폭부(167,168)가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가 압전소자(170)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 중량체(180)가 승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2 고정부(169)는 제1,2 변형량 증폭부(167,168)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량체(180)의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량체(180)의 상면 중앙부는 제2 고정부(169)에 접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진동부재(160)의 작동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압전소자(170)는 상기한 진동부재(160)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길이 방향, 즉 반경 방향으로 신장, 수축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170)는 상기한 제1 고정부(162),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며, 상기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70)가 신축되는 경우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압전소자(170)의 비작동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압전소자(170)에 의해 탄성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70)의 수축 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복원력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고, 압전소자(170)의 신장 시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압전소자(170)에는 회로기판(19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서, 압전소자(170)는 두께가 0.3 ~ 1mm, 폭은 1 ~ 4mm 정도이며, 길이는 5 ~ 15mm일 수 있다. 나아가, 압전소자(170)는 복수개의 압전체층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량체(180)는 상면 중앙부가 상기한 제2 고정부(169)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중량체(180)는 케이스(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중량체(180)는 대략 코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케이스(120)의 돌출부(122)에 대응되는 돌기부(18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80)의 저면에는 진동부재(140)에 설치 시 압전소자(170)가 삽입 설치되는 압전소자 삽입홈(18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전소자(170)는 압전소자 삽입홈(184)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압전소자(170)는 중량체(180)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전소자(170)의 외부면은 중량체(180)의 압전소자 삽입홈(184)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중량체(180)의 하강 시에도 압전소자(170)와 압전소자 삽입홈(184)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는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체(180)가 대략 코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바 형상을 가지는 중량체와 비교하여 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회로기판(190)은 일단이 압전소자(180)에 접합 설치되며, 타단이 상기한 브라켓(140)의 설치부(144)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회로기판(190)의 일단은 압전소자(180)의 저면에 접합 설치되며, 회로기판(190)의 타단은 케이스(120)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190)의 타단에는 전원연결단자(19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190)의 일단에는 상기한 진동부재(160)의 제1 고정부(162)와의 간섭을 방지토록 절개홈(19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00)에는 외부 충격시 소음 발생을 억제하며, 압전소자(17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댐퍼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상,하부 케이스(120,140)와 중량체(180)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부재가 채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중량체(180)와 압전소자(170)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진동부재(160)와, 상부 케이스(120)의 접촉 방지를 위한 댐퍼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다.
한편, 댐퍼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충돌 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댐퍼부재는 포론, 러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인 형상을 가지는 중량체(180)를 통해 중량체(180)의 질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진동부재를 통해 진동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압전소자(170)가 중량체(180)에 형성되는 압전소자 삽입홈(184)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낙하충격시 중량체(180)가 상,하부 케이스(120,140)에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전소자(170)가 중량체(180)에 형성되는 압전소자 삽입홈(184)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즉 중량체(180)가 압전소자(170)를 감싸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압전소자(170)가 상,하부 케이스(120,14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접적인 충격이 압전소자(170)에 가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단지 2차적 충격만이 압전소자(170)에 가해질 수 있어 외부 충격에 의한 압전소자(170)의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즉, 도 4는 중량체가 상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5는 중량체가 하강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회로기판(190)을 통해 압전소자(170)에 전압이 인가되면, 압전소자(170)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의 끝단이 하부측을 향하도록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가 휘어지고 결국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의 하단부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의 하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면,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5,166)의 상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회동될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2 변형량 증폭부(167,168)가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변형되어 중량체(180)가 상부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압전소자(170)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수축되면,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의 끝단이 상부측을 향하도록 제1,2 압전소자 설치부(163,164)가 휘어진다. 이에 따라,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4,165)의 하단부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4,165)의 상단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164,165)의 회동에 의해 제1,2 변형량 증폭부(167,168)는 정지된 상태에서 보다 더 큰 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중량체(180)는 하부 측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전소자(160)의 신축에 의해 중량체(180)가 상,하부로 이동되어 진동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진동부재(160)를 통해 압전소자(170)의 신축에 의한 중량체(180)의 이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코인 형상을 가진 중량체(180)에 의해 중량체(180)의 질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전소자(170)가 중량체(180)의 압전소자 삽입홈(184) 내에 삽입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시 압전소자(170)가 중량체(180)에 의해 보호되어 압전소자(17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진동발생장치
120 : 상부 케이스
140 : 하부 케이스
160 : 진동부재
170 : 압전소자
180 : 중량체
190 : 회로기판

Claims (10)

  1.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브라켓;
    중앙측 하단부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며 일 방향에서 바라볼 때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 중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는 중량체;
    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브라켓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압전소자 설치부;
    상기 제1,2 압전소자 설치부로부터 상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
    상기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2 변형량 증폭부; 및
    상기 제1,2 변형량 증폭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체가 장착되는 제2 고정부;
    를 구비하는 진동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제1,2 압전소자 설치부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1,2 변위 방향 변환부의 내부면에 양단부면이 지지되도록 상기 진동부재에 설치되는 진동발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저면에 중앙부가 고정 설치되는 진동발생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코인 형상을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의 저면에는 상기 압전소자와의 접촉을 방지토록 압전소자 삽입홈이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 조립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홈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10.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
    케이스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중앙측 하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일 방향에서 바라볼 때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 중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
    상기 압전소자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부재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중량체; 및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홈을 통해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KR1020140040454A 2013-04-10 2014-04-04 진동발생장치 KR101645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49,201 US9484521B2 (en) 2013-04-10 2014-04-09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CN201610858715.XA CN107029972B (zh) 2013-04-10 2014-04-10 振动产生设备
CN201410142797.9A CN104104266B (zh) 2013-04-10 2014-04-10 振动产生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80 2013-04-10
KR20130039080 2013-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663A true KR20140122663A (ko) 2014-10-20
KR101645551B1 KR101645551B1 (ko) 2016-08-05

Family

ID=5199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454A KR101645551B1 (ko) 2013-04-10 2014-04-04 진동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917A (ja) 1999-07-07 2001-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アクチュエータ、圧電バイブレータおよび携帯端末
CN201654740U (zh) * 2010-02-01 2010-11-24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触控反馈装置
KR20110045486A (ko) * 2009-10-27 2011-05-04 한 상 이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KR101241030B1 (ko) * 2012-07-11 2013-03-11 주식회사 로브 복수의 진동전달경로를 갖는 진동 증폭형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7917A (ja) 1999-07-07 2001-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アクチュエータ、圧電バイブレータおよび携帯端末
KR20110045486A (ko) * 2009-10-27 2011-05-04 한 상 이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US20120212100A1 (en) * 2009-10-27 2012-08-23 Han Sang Lee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having structure including self-amplification function of vibration and electric/electronic device using same as vibrating means
CN201654740U (zh) * 2010-02-01 2010-11-24 瑞声光电科技(常州)有限公司 触控反馈装置
KR101241030B1 (ko) * 2012-07-11 2013-03-11 주식회사 로브 복수의 진동전달경로를 갖는 진동 증폭형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551B1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65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452055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598584B1 (ko) 진동발생장치
US20140346926A1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12919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40137722A (ko) 진동발생장치
KR102138335B1 (ko) 진동발생장치
US9472746B2 (en) Vibrator
US9660172B2 (en) Vibrator
KR101629170B1 (ko) 진동발생장치
US9455648B2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10160794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580720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514531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569007B1 (ko) 진동발생장치
US9484521B2 (en) Vibration generating apparatus
KR101645551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343214B1 (ko) 압전진동모듈
KR102003372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63237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30600B1 (ko) 진동발생장치
KR102003369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653641B1 (ko) 진동발생장치
KR20140140408A (ko) 진동발생장치
KR20150053644A (ko) 진동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