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531B1 -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14531B1 KR101514531B1 KR1020130082124A KR20130082124A KR101514531B1 KR 101514531 B1 KR101514531 B1 KR 101514531B1 KR 1020130082124 A KR1020130082124 A KR 1020130082124A KR 20130082124 A KR20130082124 A KR 20130082124A KR 101514531 B1 KR101514531 B1 KR 101514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hock
- absorbing member
- hole
- elastic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2 water 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piezoelectric bender, e.g. bimorp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4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 B06B1/066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with an electrode on the sensitive surface
- B06B1/0681—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with an electrode on the sensitive surface and a damp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내부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진동되는 진동자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 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동발생장치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서, 휴대전화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음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휴대전화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발생장치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제품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휴대폰 중에서 스마트폰의 출시가 급증하면서 터치스크린 방식이 채택됨에 따라 터치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용도로 진동발생장치의 채용이 증가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시 발생되는 진동에 있어서, 특히 요구되는 성능은 첫째 착신시 진동발생에 비하여 사용횟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동작수명시간의 증가, 둘째 사용자가 터치시 진동을 체감하는데 있어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화면을 터치하는 속도에 맞추어 진동의 빠른 응답속도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피에조 햅틱 액추에이터(Piezo Haptic Actuator)가 사용되고 있다. 즉, 피에조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변위가 발생하는 역압전효과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발생된 변위로 가동자의 웨이트를 움직이도록 하여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진동자의 특징으로는, 일정수준 이상의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폭이 넓어서 안정적인 진동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과 일정한 주파수 범위에서 단일주파수가 아닌 낮고 높은 주파수의 진동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빠른 동작응답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서, 휴대폰 등 모바일기기의 햅틱 진동 구현에 접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피에조소자는 길이가 폭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경우 피에조소자의 길이가 길어야 변위 및 진동확보가 가능하므로, 진동발생장치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피에조소자가 낙하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댐퍼부재가 가동자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피에조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가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력을 감쇠시킬 뿐만 아니라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댐퍼부재에 의해 내부 공간이 좁아져 충분한 진동력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진동력의 감쇠를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진동되는 진동자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 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방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와,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중량체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와 상기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 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중량체의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시 상기 중량체에 형성된 돌기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되 양단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시 상기 탄성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저면 전영역을 덮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정상 작동 시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비접촉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와 진동부에 구비되는 돌기를 통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완화시켜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내부 간섭에 의한 진동력 감쇠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진동발생장치에 구비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1)는 일예로서, 하우징(10), 진동자(20) 및 충격완화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정육면체, 직육면체, 코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10)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어떠한 형상도 채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하우징(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홀(12)이 하나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홀(12)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진동자(20)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진동된다. 즉, 진동자(20)는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10) 내부에서 진동되는 구성이다.
다만, 도면에는 진동자(20)의 양단부가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동자(20)는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일단부)이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되어 진동될 수 있다.
한편, 진동자(20)에는 관통홀(12)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 시 관통홀(12)을 관통하여 충격완화부재(30)에 접촉되는 돌기(22)가 형성된다.
또한, 관통홀(12)은 외부 충격 시 돌기(22)과 원활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돌기(2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2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돌기(22)는 진동자(20)의 정상 작동 시 충격완화부재(3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돌기(22)는 외부 충격에 의해 진동자(20)가 비정상적으로 진동되는 경우 관통홀(12)을 관통하여 충격완화부재(30)에 접촉될 수 있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충격완화부재(30)는 하우징(10)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완화시킨다.
한편, 충격완화부재(30)는 하우징(10)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관통홀(12)은 하우징(10)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격완화부재(30)는 탄성을 가지며 방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충격완화부재(30)가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충격완화부재(30)가 하우징(10)의 외부면에 설치되며, 외부 충격시 진동자(20)에 구비되는 돌기(22)가 충격완화부재(30)에 접촉되어 외부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30)와 진동자(20)의 돌기(22)를 통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진동자(20)의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댐퍼부재가 진동자(20) 또는 하우징(10) 내부면에 설치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정상 구동 시에도 댐퍼부재가 다른 구성과 접촉이 발생되면서 비정상적으로 진동자가 진동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충격완화부재(30)가 하우징(10)의 외부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댐퍼부재가 진동자(20)에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댐퍼부재에 의한 진동량 감소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댐퍼부재의 생략에 의해 소형화를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자를 구성하는 부품의 두께를 상승시켜 진동발생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수성 재질을 가진 충격완화부재(30)를 통해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진동발생장치의 수명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충격완화부재(30)가 하우징(10)의 외부면에 설치됨으로써, 충격완화부재(30) 자체로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충격완화부재(30)가 하우징(1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격완화부재(30)는 하우징(10)의 상면, 저면, 측면, 양단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내부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진동발생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10), 탄성부재(120), 중량체(130), 압전소자(140), 충격완화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2a,114a)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상부 케이스(112)와 브라켓(1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2)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케이스(112)는 외관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112)의 하단부에 브라켓(114)이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2)의 상면에는 관통홀(112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2a)은 복수개가 상부 케이스(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길이방향은 도 4에서 X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은 도 4에서 Y 방향을 의미하며, 두께방향은 도 4에서 Z 방향을 의미한다.
브라켓(114)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양단부에는 탄성부재(1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14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114)에도 관통홀(11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114a)은 브라켓(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4a)은 브라켓(114)의 지지부(114b)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홀(114a)은 브라켓(114)의 양단부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양단부가 지지부(114b)에 고정 설치된다. 즉, 탄성부재(120)는 양단부가 브라켓(114)의 지지부(114b)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12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122)와 플레이트부(122)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122)의 양단부는 상기한 지지부(114b)에 지지되며,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플레이트부(122)가 상,하로 진동된다. 다시 말해,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플레이트부(122)가 Z 방향으로 진동된다.
또한, 플레이트부(122)에는 브라켓(114)의 관통홀(114a)에 대응되는 돌기(122a)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122a)는 플레이트부(122)가 정상적으로 진동되는 경우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되지 않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돌기(122a)는 관통홀(114a)을 관통하여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량이 압전소자(140)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돌기(122a)는 플레이트부(122)의 저면에 형성되되 양단부에 인접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2a)는 관통홀(114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돌기(122a)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연장부(124)는 중량체(130)의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량체(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연장부(12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중량체(130)는 탄성부재(120)의 연장부(124)에 양측면이 지지될 수 있다. 즉, 중량체(130)의 양측면이 연장부(124)에 지지되어 탄성부재(120)의 진동 시 탄성부재(120)와 함께 중량체(130)가 진동될 수 있다.
중량체(130)는 탄성부재(120)의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텅스텡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중량체(130)는 연장부(12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량체(130)가 연장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30)와 탄성부재(120)는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20, 도 1 참조)를 구성하며, 압전소자(140)의 변형에 따라 중량체(130)와 탄성부재(120)는 연동하여 진동될 수 있다. 한편, 진동자(20)에는 압전소자(140)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중량체(130)의 상면에는 상부 케이스(112)에 형성되는 관통홀(112a)에 대응되는 돌기(132)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32)는 상부 케이스(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132)가 세 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기(132)는 하나, 둘 또는 네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체(130)에 형성되는 돌기(132)도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돌기(132)의 형상은 관통홀(112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돌기(132)는 탄성부재(120)의 정상 작동 시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되지 않는 두께를 가지며, 외부 충격 시 탄성부재(120)가 비정상적으로 진동되는 경우 관통홀(112a)을 통과하여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될 수 있다.
압전소자(140)는 일예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압전소자(140)는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 변형되어 탄성부재(120)가 진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압전소자(140)는 탄성부재(120)의 상면 또는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압전소자(1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압전소자(140)는 길이방향으로 변형되고, 이에 따라 압전소자(140)가 설치되는 탄성부재(120)의 플레이트부(122)가 두께 방향으로 진동된다.
그리고, 플레이트부(122)의 진동에 의해 중량체(130)도 플레이트부(122)와 함께 진동된다.
충격완화부재(15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시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예로서, 충격완화부재(150)는 하우징(110)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완화부재(150)가 상부 케이스(112)의 상면과, 브라켓(114)의 저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충격완화부재(15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 중 측면과 양단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충격완화부재(150)는 탄성을 가지며, 방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충격완화부재(150)는 상부 케이스(112)의 상면 또는 브라켓(114)의 저면 전영역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격완화부재(150)는 관통홀(112a,114a)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150)와, 중량체(130) 및 탄성부재(120)에 설치되는 돌기(122a,132)를 통해 외부 충격 시 돌기(122a,132)가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한 충격량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140)로 전달되는 충격량이 감소되어 압전소자(140)가 파손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댐퍼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내부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 작동 시 댐퍼부재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야기되는 진동자(20, 도 1 참조)의 비정상적인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댐퍼부재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댐퍼부재에 의한 진동량 감소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진동자에 댐퍼부재가 설치되는 경우 댐퍼부재에 의한 진동량이 감소됨은 물론 공진 주파수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150)를 통해 진동량 감소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부재의 생략에 의해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공지 주파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120)의 플레이트부(122)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진동발생장치(1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더불어, 충격완화부재(150)가 방수성 재질을 가지는 경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수분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으므로 진동발생장치(100)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완화부재(150)가 하우징(10)의 외부면에 설치됨으로써, 충격완화부재(150) 자체로 외부 충격에 의해 하우징(110)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충격완화부재(150)가 하우징(110)의 상면과 저면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격완화부재(150)는 하우징(110)의 측면 또는/및 양단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돌기도 하우징(110)의 측면 또는/및 양단부면에 대향 배치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진동발생장치(100)가 정상 작동 시에는 돌기(122a,132)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다. 즉, 돌기(122a,132)는 도 5에 도시된 A-A'선과 B-B'선을 넘지 않도록 관통홀(114a,112a) 내로 삽입된다. 하지만, 정상 작동 시에 돌기(122a,32)는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되지 않는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발생장치(100)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돌기(122a,132)는 관통홀(114a,112a)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외부 충격 시 돌기(122a,132)가 충격완화부재(150)에 접촉됨으로써, 충격량을 완화시켜 압전소자(140)의 파손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100 : 진동발생장치
20 : 진동자
30, 150 : 충격완화부재
120 : 탄성부재
130 : 중량체
140 : 압전소자
20 : 진동자
30, 150 : 충격완화부재
120 : 탄성부재
130 : 중량체
140 : 압전소자
Claims (10)
- 내부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진동되는 진동자;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화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에는 상기 관통홀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 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탄성을 가지며, 방수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진동발생장치. - 내부공간을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변형되는 압전소자;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증폭시키는 중량체;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충격완화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중량체와 상기 탄성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외부 충격 시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접촉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중량체의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시 상기 중량체에 형성된 돌기에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저면에 형성되되 양단부에 인접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어 외부 충격 시 상기 탄성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에 접촉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저면 전영역을 덮는 크기를 가지는 진동발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돌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정상 작동 시 상기 충격완화부재에 비접촉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진동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2124A KR101514531B1 (ko) | 2013-07-12 | 2013-07-12 | 진동발생장치 |
US14/160,413 US9420073B2 (en) | 2013-07-12 | 2014-01-21 | Vibrator |
CN201410044874.7A CN104283454B (zh) | 2013-07-12 | 2014-02-07 | 振动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2124A KR101514531B1 (ko) | 2013-07-12 | 2013-07-12 | 진동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7730A KR20150007730A (ko) | 2015-01-21 |
KR101514531B1 true KR101514531B1 (ko) | 2015-04-22 |
Family
ID=52258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2124A KR101514531B1 (ko) | 2013-07-12 | 2013-07-12 | 진동발생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420073B2 (ko) |
KR (1) | KR101514531B1 (ko) |
CN (1) | CN10428345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0729A (ja) * | 2013-09-30 | 2015-04-13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情報端末処理装置及び振動発生装置 |
CN105450080B (zh) * | 2016-01-06 | 2018-07-27 | 苏州中触科工精密科技有限公司 | 一种薄膜片式压电手机振动马达 |
CN107661156A (zh) * | 2017-10-27 | 2018-02-06 | 温州米田机电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电动牙刷的振动器 |
KR102532801B1 (ko) * | 2020-12-31 | 2023-05-16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적층형 보강재 및 보강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0017A (ja) | 2002-04-10 | 2003-10-21 | Nec Tokin Corp | 振動アクチュエータ |
KR101157868B1 (ko)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JP5206011B2 (ja) | 2008-02-20 | 2013-06-12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振動発生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4880A (ja) * | 1999-10-08 | 2001-04-17 |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 振動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用端末機器、携帯用通信機器 |
KR20070040532A (ko) * | 2005-10-12 | 2007-04-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초소형 압전 리니어 모터 |
JP2009010864A (ja) | 2007-06-29 | 2009-01-15 | Daishinku Corp | 圧電振動デバイスの本体筐体部材、圧電振動デバイス、および圧電振動デバイスの製造方法 |
KR101250798B1 (ko) * | 2009-10-27 | 2013-04-04 | 주식회사 로브 | 자기-진동 증폭 기능을 갖는 구조로 된 압전진동장치 및 이를 진동수단으로 채용한 전기/전자기기 |
JP5930595B2 (ja) * | 2010-04-06 | 2016-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振動子及び振動子の製造方法 |
JP5506552B2 (ja) * | 2010-06-07 | 2014-05-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装置及び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方法 |
CN201718027U (zh) * | 2010-07-09 | 2011-01-19 | 精拓丽音科技(北京)有限公司 | 一种压电平板扬声器用的柔性配重结构 |
JP5665522B2 (ja) * | 2010-12-20 | 2015-02-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振動体及び振動型駆動装置 |
KR101569231B1 (ko) * | 2011-06-30 | 2015-11-1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진동모듈 |
KR101454071B1 (ko) * | 2012-05-08 | 2014-10-27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진동모듈 |
KR101569007B1 (ko) * | 2013-09-23 | 2015-11-1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진동발생장치 |
-
2013
- 2013-07-12 KR KR1020130082124A patent/KR1015145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4
- 2014-01-21 US US14/160,413 patent/US942007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2-07 CN CN201410044874.7A patent/CN10428345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0017A (ja) | 2002-04-10 | 2003-10-21 | Nec Tokin Corp | 振動アクチュエータ |
JP5206011B2 (ja) | 2008-02-20 | 2013-06-12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振動発生装置 |
KR101157868B1 (ko) | 2012-04-10 | 2012-06-22 | 주식회사 블루콤 | 피에조 진동 모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18054A1 (en) | 2015-01-15 |
CN104283454A (zh) | 2015-01-14 |
US9420073B2 (en) | 2016-08-16 |
KR20150007730A (ko) | 2015-01-21 |
CN104283454B (zh) | 2017-0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265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452055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41291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37722A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98584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14531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39249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04162A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629170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78293A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569007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343214B1 (ko) | 압전진동모듈 | |
KR102003372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200336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2030600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969439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35085A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1653641B1 (ko) | 진동발생장치 | |
US9827594B2 (en) | Vibration generating device | |
KR101645551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102059102B1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53644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50059018A (ko) |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39216A (ko) | 압전진동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발생장치 | |
KR20140146412A (ko) | 진동발생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