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398A -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398A
KR20140122398A KR1020130038994A KR20130038994A KR20140122398A KR 20140122398 A KR20140122398 A KR 20140122398A KR 1020130038994 A KR1020130038994 A KR 1020130038994A KR 20130038994 A KR20130038994 A KR 20130038994A KR 20140122398 A KR20140122398 A KR 20140122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ear field
data
smartphon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성훈
장명석
양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3003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2398A/ko
Publication of KR2014012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3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 단말기로 NFC와 Bluetooth로 구성되어지며,
2. 각각의 기술의 단점을 상호보완을 위한 장치로써 사용자와 장치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호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해당 행위를 마치고 자리를 이동하거나 잠시 현장을 이탈 시 이를 감지하여 보안과 편의를 위한 조치를 자동으로 실행한다.
3. 이때, 사용의지가 없는 사람의 접근으로 무선통신 가능 거리에서의 자동실행 방지와 실사용자의 구별을 위한 직관적인 행동인 Tagging을 통하여 확실한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Near field departure prevention system}
NFC 기술(Card Emulator, Read/Write, P2P), NFC Tag 기술, Bluetooth 활용기술, 무선통신 기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구현기술, Antenna 기술
NFC 기술은 유통관리, 출입시스템, 교통카드, 결제 시스템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발전 가능성이 많은 시스템으로 최근 스마트폰에 NFC 시스템의 내장으로 파급 효과가 증대하고 있다.
기존의 RFID의 시스템은 유통관리 측면에서 많은 부분 적용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NFC의 기술로 대체되고 있다, 최근 NFC의 환경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사용자의 사용범위가 증가하게 되었으며, 사용자들의 편의성 및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을 위하여 두 기술의 조합을 시도하였다.
본 발명은 NFC의 기본기능에 Bluetooth를 접목하여 특정 지역이나 제품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어플리케이션의 자동화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NFC의 사용상 편리함과 광범위한 분야의 적용을 위함이지만 단일 기술만의 사용은 한계점과 단점을 가지게 되며, 최근에는 보안이라는 이슈가 부각되는 상황에서 정보유출 및 개인의 정보 보호, 제품의 분실방지를 위한 기술의 포함은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지며, Tagging이라는 간단한 행동으로 자동 실행과 종료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정보 획득 및 이탈 감지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 전원부, 제어부, Antenna부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는 NFC와 Bluetooth로 구성되는데, NFC 태그 정보(어플리케이션 자동 실행관련 데이터, 서버의 서비스 이용시 필요한 웹주소, Bluetooth 자동 페어링을 위한 데이터), 사용자의 스마트폰과의 통신 데이터 처리,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관련 필요 데이터 및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송 및 수신을 담당한다. 제어부는 무선 통신부의 컨트롤 및 데이터 관리를 통하여 시스템을 제어한다. 전원부는 NFC, Bluetooth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 및 분배를 하게 되며, Antenna부는 본 발명품과 사용자의 스마트폰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수단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품의 구조를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품은 특정 위치(식당, 학교, 영화관, 관광지, 박물관 등)에 설치가 가능한데, 정보를 제공하거나 좌석이 배치된 식당 등에 특화 할 수 있다.
주문 시스템이나 보안을 위한 시스템에 특화 가능한 장치로,
Tagging을 통한 간단한 동작으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시스템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Bluetooth를 이용하여 데이터 공유와 시스템의 종료도 가능하게 된다.
본 장치는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시스템으로 편리하게 사용자의 정보와 제품을 보호할 수 있다
본 장치는 간단하면서도 다양한 분야에 최적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주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NFC Tagging을 함으로써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자동으로 전자 메뉴판의 서버로 이동하여 주문 및 결제를 편리하게 실행하고 식당을 나가게 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자동 종료하게 된다.
2. 자동차 리모컨의 대체도 가능하게 된다. 자동차에 상기의 장치가 장착될 경우 처음 Tagging을 통해서 자동차 문열림, 시동, 네비게이션 ON 등과 같이 설정 내용에 따라 여러 기능을 한번에 자동으로 실행이 가능하며, 차에서 내려서 멀어지게 되면 자동잠김, 시동 STOP기능을 실행 시킬 수 있다.
3. 공개된 장소의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 시에도 잠시 자리를 비울 시 자동종료 및 보호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특히 공용 PC의 사용에서는 자신의 확인 자료에 대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4. 편의 기능을 강조되는 예로는 학교나 영화관 공공시설에서의 스마트폰 매너모드 실행에 활용할 경우 강의실내에 상기의 장치를 장착하고 입실 시 Tagging을 통하여 자동으로 매너 모드로 실행을 하고 퇴실 시 매너 모드 실행을 중지할 수 있다.
도 1 :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과 스마트폰 간의 연결
도 3 :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의 순서도
도 4 :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자동 실행 및 종료가 가능한 특징을가지고 있는 장치로 연동을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연결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상기의 장치에 Tagging이라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행동으로 모든 실행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게 활용하며, 적용분야에 따라서 Host와 Slave 역할로 변경이 가능한 장치로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PC, Tab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을 참고 하여 시스템의 실행 과정 및 순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다음의 내용에서 확인해 보겠다.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에 Tagging(S110)을 하게 되면
상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달(S120) 받게 되는데, 데이터의 종류는 다양하며 데이터에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서비스의 종류는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여부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상기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상기 장치의 NFC 데이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S210)되게 되며, 서비스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그밖에 서비스를 실행하게 된다. NFC의 데이터에 URL을 연결하는 데이터를 추가하게 되면 해당 서비스 서버로 이동이 가능하고 그 밖의 편의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 시킬 수 있다.
상기 장치의 NFC 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 스마트폰과 상호간의 Bluetooth 페어링(S130)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 지고 데이터 공유와 RF 통신 데이터(RSSI)를 체크하게 된다.
상기의 작업이 Tagging을 통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는 서비스 활동(S220)을 하게 된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도 가능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메일, 통화, 메시지 등을 연동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마치고 자리를 뜨거나 서비스를 받는 도중 잠시 자리를 비울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Bluetooth의 RF 통신 데이터(RSSI)를 체크하여 설정 값을 비교, 분석, 판단(S240)하여 설정 값을 벗어나면 보안 및 편의성을 위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중단하거나 NFC로부터 받은 정보의 설정을 근거로 설정 사항을 실행하며,
서비스의 활동이 완전히 끝난 것으로 판단 되면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자동으로 종료(S250)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 보통의 무선기기들은 통신거리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기기간의 연결이 되거나, 기기간의 연결을 위해 여러 과정을 거쳐야만 연결이 가능해지는 불편함을 줄이고, 보안과 편의성이 강조되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여러 모드(Reader 모드 or Tag 모드)로 제어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며,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모드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성도 확보하였다.
100 : 근거리 이탈 감지 장치
110 : NFC 통신 시스템
120 : Bluetooth 통신 시스템
130 : 전원부
140 : Antenna부
150 : 제어부

Claims (3)

  1. 사용자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페어링, 필요 시 활성화 가능한 ULR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NFC(110)와 데이터 공유와 보안을 위한 Bluetooth(120)의 무선 통신부, 무선 통신부 제어 및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제어부(150), 장치간 통신을 위한 Antenna부(130), 시스템 구동을 위한 전원부(140)로 구성된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100)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본 장치(100)와 사용자의 스마트폰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3. 청구항 1하에 대하여
    상기의 시스템(100)은 Tagging이라는 확실한 의지와 직관적인 행동을 통하여 기기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며, Tagging 만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자동실행 및 서비스를 완료하거나 특정 위치 이탈을 감지하여 자동 종료하는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KR1020130038994A 2013-04-10 2013-04-10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KR201401223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94A KR20140122398A (ko) 2013-04-10 2013-04-10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94A KR20140122398A (ko) 2013-04-10 2013-04-10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398A true KR20140122398A (ko) 2014-10-20

Family

ID=51993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994A KR20140122398A (ko) 2013-04-10 2013-04-10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23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7433A (ko) 2022-01-07 2023-07-17 유재창 거리 이탈 모니터링 방법 및 거리 이탈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7433A (ko) 2022-01-07 2023-07-17 유재창 거리 이탈 모니터링 방법 및 거리 이탈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5820B2 (en) Secure elements broker (SEB) for application communication channel selector optimization
US9042817B2 (en)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establish NFC link between NFC enabled electronic devices based on proximate distance
US8670712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contactless communication using contactless module
KR101151470B1 (ko)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장치 및 방법
US86305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interface device using contactless
KR101389208B1 (ko)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
US8526885B2 (en) Peer-to-peer host station
EP2736021A2 (en) Access control system
EP2704517B1 (en) Mobile terminal application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ystem
US2015003808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160044472A1 (en) Mobile entry for hotel guest rooms
EP2833330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1402131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Two Devices
JP2018536329A (ja) 電子装置、関連するモバイル端末、及びこの制御方法
KR20230006001A (ko) 근거리 무선통신(nfc) 통신 방법, 장치 및 전자 장비
KR20150141321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시스템
CN103327478A (zh) 一种防止信息泄露的方法、nfc安全装置和移动终端
KR20140063987A (ko) 엔에프씨 태그, 엔에프씨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기기, 복수 작동 명령어 데이터 저장방법 및 실행방법
JP2015023450A (ja) 近距離無線通信をする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200087783A (ko) 서비스 단말에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장치의 조기 활성화
KR20140122398A (ko) 근거리 이탈 감지 시스템
EP2858334A1 (en) NFC-capable holder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795248B1 (ko)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방법
KR20130120298A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산업용 공장 자동화 장치, 이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20130017720A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영상 신호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