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235A -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제조 용도의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 Google Patents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제조 용도의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235A
KR20140122235A KR1020147020789A KR20147020789A KR20140122235A KR 20140122235 A KR20140122235 A KR 20140122235A KR 1020147020789 A KR1020147020789 A KR 1020147020789A KR 20147020789 A KR20147020789 A KR 20147020789A KR 20140122235 A KR20140122235 A KR 2014012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vocado
aliphatic
unsaponifiabl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909B1 (ko
Inventor
필립 므시까
쟉끄 르그랑
Original Assignee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filed Critical 라보라토이레즈 익스펜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4012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4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non-specific disorders of the connective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2Pretreatment
    • C11B1/04Pretreatment of vegetable raw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11B1/08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by hot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 C11B1/102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in counter-current; utilisation of an equipment wherein the material is convey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획득하기 위하여 연화 아보카도를 통째로 이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상기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일의 산가는 3 mgKOH/g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은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로부터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에 의해 획득 가능한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 또는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약물 용도의, 바람직하게는 결합조직 질환 예컨대 관절증, 관절병 예컨대 류마티스, 또는 치주질환, 예컨대 치은염 또는 잇몸염 예방 및/또는 치료 용도의 상기 아보카도 오일에서 획득되는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또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제조 용도의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USE OF WHOLE SOFT AVOCADOS FOR PREPARING AVOCADO OIL RICH IN UNSAPONIFIABLES}
본 발명은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획득하기 위한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오일은 전형적으로 3 mgKOH/g 이하의 낮은 산가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에서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획득되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 또는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제조 용도의 아보카도 오일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아보카도 오일에서 획득되고, 약물 용도, 바람직하게는 결합조직 질환 예컨대 관절증, 관절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또는 치주질환, 예컨대 치은염 또는 잇몸염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도의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또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재배 면적이 넓어지고 해마다 접근성이 증가하고, 1인당 국내총생산 및 식품 및 영양학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아보카도 소모는 세계적인 수준이 되었다. 따라서 아보카도 시장은 주로 직접 과실을, 또는 가공품, 예컨대 과카몰리 또는 오일을 섭취하기 위한 과실 판매에 기반한다.
아보카도 시장 성장은 본 과일 및 이의 가치, 특히 영양학적 즉 건강에 대한 이점 관심 집중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세계적 시장은 생산국가에서 소비국가로 대량 수출에 기반하고, 이러한 원재료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아보카도의 산업적 생산 및 국제적 판매는 보관 및 저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본 과일의 독특한 생리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직접-소비 과일에 대한 시장 변동에 따라 수확된 후 과일들을 관리하는 것은, 농가 생산성 및 손실 조절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인자 (견본 및 개화)이다.
발육 및 성숙 과정에서, 아보카도는 나무에서, 수확 및 보관 과정에서 여러 상이한 생리 단계들을 거친다.
따라서, 과일은 나무에서 성장기를 거쳐, 성숙되고 마지막으로 노화에 이른다.
과일 성장기에서, 식물은 물질들, 예컨대 단백질, 지질 또는 녹말을 축적하고, 후자의 두 물질은 탄소 자원으로 유사한 물질들이다. 이들 물질로 인하여 수확 후에도 계속적인 동화작용이 보장된다. 이후 이러한 자원들은 저장 조건 및 시간에 따라, 다소의 시간에 걸쳐 대사된다.
과일의 생리적 성숙은 과일의 생체 성장을 완성하는 자연적 과정이 진행되는 기간을 통해 이루어진다.
과일 성숙은 생화학적 및 생리적 변화 과정이고 성숙 상태에 이르러 과일의 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예컨대 향, 색, 경도를 제공하여 과일은 판매 및 식용 가치를 가진다.
과일이 거치는 생화학적 변화 중, 일부는 가시적이고, 예컨대 성숙 과정에서 엽록소는 분해되고 이는 흡수되어 다른 색소를 나타낸다. 과일 색채는 세포질 또는 액포에 있는 안료로부터 발색된다.
과일 숙성과 연관되는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견고함을 잃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무엇보다도 셀룰로오스 지지 분자인 펙틴 분해에 기인한다. 이는 주로 세포벽의 점진적 분해로 특정되고 셀룰로오스 섬유를 이완 및 과일의 단단함 및 견고함 상실을 유발한다. 이는 특히 셀룰라제 및 폴리갈락투로나제로 대표되는 특정 효소 작용의 결과이다. 과일 내부 구조 변질로 과일의 다른 기관들 사이 세포 교환이 가능하고 오일의 방출 및 확산이 초래된다. 성숙 상태를 넘으면, 과일은 노화기로 들어가고 생물학적 및 생리적 변화, 이어 세포 탈조직화 즉 이화작용이 일어난다. 이러한 상이한 단계들에서, 아보카도 조성물은 변질된다. 특히, 수분, 오일, 불검화물 및 자유 지방산 함량들에 대한 변화가 관찰된다.
이들 과일이 시작에 출하될 때, 이들은 더 이상 견고하지 않고 연화 과정이 이미 개시되었다. 과일 판매 가능 시기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제한적이다.
이러한 과일로부터 지질이 풍부한 오일을 추출하는 것은 특히 시판 가치가 떨어지고 아보카도 부산물로 평가되는 이러한 과일을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이다.
아보카도 오일 생산을 위하여 이러한 과일을 이용하려면 구현 방법 및 기술 선택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아보카도 오일 제조에 있어서 성숙 단계 및 품질은 중요한 인자들이고 이러한 오일 제조 방법, 생성 오일의 품질 및 조성, 특히 산도 수준, 불검화물 함량 및 조성을 결정한다.
과일들로부터 오일을 추출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개발되었고, 예시적인 추출기술로는 원심분리, 압착 또는 용매 추출이 제시된다. 사용 과일들 품질, 처리 방법, 적용 기술, 분쇄 조건들 및 보전 조건들은 생성 오일, 조성, 추출 수율, 특성 및 용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아보카도 오일 제조방법은 원심분리에 의한 추출방법이다. 껍질 및 속이 (kernel)이 제거된 아보카도를 분쇄하고 물과 혼합한다. 두 단계 원심 분리들로 오일을 추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획득되는 오일 품질은 주로 사용되는 과일들 품질, 실질적으로 숙성도 및 노화 근접 연화 수준에 따라 달라지고: 이러한 조건은 다량의 물 사용 및 세포 분리로 인한 과일의 천연 리파아제 활성 및 자유수 및/또는 오일 중 유화액의 존재로 인하여 높은 산가를 유발시킨다.
또한, 식품 또는 화장품 분야의 아보카도 오일 제조에 있어서 흥미로운 이러한 방법 다른 분야에서는 큰 결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선택적이고 과일에 존재하는 불검화물을 완전히 추출하지 못한다. 특히, 불검화물의 극성 화합물들, 예컨대 지방족 푸란 전구체인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 또는 페르신 유형의 지방족 아세토게닌은, 이러한 방법으로 과일에서 추출되지 않는다. 실제로, 과일의 기질에 고정된 상대적으로 안정한 결합들은 이러한 유형의 방법으로 절단되지 않는다.
신선한 과육을 제3 조제 (플랜트 실리카 …) 또는 스팀과 함께 압착시키는 방법 역시 개발되었지만, 이 역시 불검화물이 풍부한 오일을 얻을 수 없다..
추출 전 과일들을 저온에서 건조시키는 (냉동건조) 단계를 통합하는 방법 역시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예를들면 가압 또는 용매추출과 같은 추출단계들을 포함하지만, 페르신 유형의 지방족 아세토게닌이 풍부한 오일을 제조하지 못하고 따라서 주로 스테롤로 구성된상대적으로 낮은 불검화물 함량의 오일을 생성한다.
더욱 일반적으로, 신선하거나 예비 탈수 처리된 아보카도에 대한 방법들이 특정 극성의 용매들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보카도 오일들을 제조하거나 아보카도로부터 화장품, 식품, 영양학적 또는 약학적 분야용 활성 성분들을 추출할 목적이다. 그러나, 산업적 개발에 있어서, 사용 용매 또는 용매들의 독성 및 화학적 안정성뿐 아니라, 경제적 및 환경적 관점에서, 이러한 방법의 적용 가능성은 문제가 많다.
또한, 더욱 고온에서 건조하고 탈수 처리된 아보카도를 압착하는 아보카도 오일제조 방법은 이러한 품질의 과일들에 대한 역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연화 아보카도에 직접 적용될 수 없다. 실제로, 연화 과일들은 통상 적용되는 썰기 (slicing) 및 건조 공정의 통상 조건들에서 적합하지 않다. 기술자는, 연화 및 말랑말랑한 (pasty), 축축한, 반-건조 또는 건조된 유기물을 오일 압착 추출기술로 처리될 것이라고 전혀 예상하지 못할 것이다.
한편, 아보카도 오일의 높은 소매 가격과 관련된 경제적 요구로 압착 수율에 대한 완전한 제어 및 사용되는 산업적 공정에 대한 기술적 신뢰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식용 아보카도의 부산물인 연화 과일로부터, 특히 양호한 수율로 잠재적 불검화물을 최적화하는 오일 획득의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보카도 오일들로부터 특히 분자증류에 의한 불검화물 분획물 농축단계를 포함한 불검화물을 추출방법은 낮은 산가의 오일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한다. 본 출원인은 극성 화합물들 예컨대 지방족 아세토게닌을 추출함으로써, 리파아제 유형의 효소 작용을 제한시킴으로써, 특히 글리세리드 예컨대 오일의 트리글리세리드 가수분해를 제한 또는 제거함으로써 연화 아보카도로부터 만족할 수율로 높은 불검화물 함량 및 낮은 산가를 가지는 오일을 획득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따라서 높은 함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 이의 유도체를 가지는 오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고수율로,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생산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동물용 화장품, 피부과학적, 약학적 조성물들 또는 의료 기구들 (devices), 또는 식품 조성물들, 식품 또는 영양학적 보충제들에 통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오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이 추출되고, 이는 다시 인간 또는 동물용 화장품, 피부과학적, 약학적 조성물들 또는 의료기구들, 또는 식품 조성물들, 식품 또는 영양학적 보충제들에 조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획득하기 위하여 무른 (soft) 아보카도를 통째로 이용하는 것이고, 상기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오일 중 불검화물 함량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이고, 오일 중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 함량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중량%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 압력으로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 불검화물을 함유하는 아보카도 오일을 획득하기 위하여 연화 아보카도를 통째로 이용하는 것이고, 상기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을 함유하고, 오일 중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의 함량은 적어도 2% m/m이고, 연화 아보카도는 관입시험기로 측정되는 과육 (flesh)에서의 관입내력은 3 kg/cm2 이하이다.
정성적 및 정량적 특정 화합물들을 포함한다면 대부분의 아보카도 품종들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는 오일을 생산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성장 품종이고 거의 세계 수준의 수출 및 시장의 품종인, 바람직하게는 하스 (hass) 및 푸에르토 (fuerte) 품종들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통째의" 아보카도란 과피, 과육 및 속이 일체로 분포된 아보카도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른 아보카도는 즉시 아보카도를 소비할 수 있는 정도의 연화 정도를 가지고, 기계적 썰기 전-처리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연화 아보카도는 관입시험기로 측정되고 관입내력으로 정의되는 과육의 경도로 특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연화 아보카도의 과육 관입내력은 3 kg/cm2 이하, 전형적으로 2 kg/cm2 이하, 예를들면 1 kg/cm2 이하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관입력은 PCE-PTR 200 또는 FT 327 타입의 관입시험기로 측정되고, 이는 눈금 노즐이 과일을 관통하기 위하여 필요한 킬로그램의 힘을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과피 (외피) 저항 및 피-측정 아보카도 품종의 다양성과 관련된 변수들을 없애기 위하여 측정 전에 과일 껍질을 벗긴다. 로드, 또는 이러한 측정에 사용되는 소위 지지대 또는 노즐의 명목상 직경은 6 내지 11.3 mm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획득되는 오일은 불검화물이 풍부하다. 용어 '불검화물이 풍부한'이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전형적으로 적어도 3중량%의 불검화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중량%의 불검화물을 함유하는 오일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2중량%의 불검화물, 특히 5 내지 12%, 특히 8 내지 12중량%의 불검화물을 포함한다.
불검화물은 강알칼리 매질에서 비누화 후 물에 잘 용해되지 않거나 또는 불용성이고, 유기용매들 예컨대 에틸 에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염소화 용매들에 용해성인 모든 지방 성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불검화물은 모든 비-가수분해성 지방 성분들, 및 주로 지방산들의 비-글리세리드 에스테르들 비누화에서 유래하는 것들 (스테롤 에스테르들, 왁스, 토코페롤 에스테르들 …)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식물성 오일들의대부분의 불검화물에 4종의 주요 물질 군들 또는 패밀리가 존재한다. 중량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군은 스테롤과 유사한 것으로 5환 트리테르펜 알코올 및 4-메틸 스테롤을 포함한다. 두 번째 군은 토코트리에놀을 조합하는 토코페롤로 구성된다. 기타 2종의 군들은 지방족 알코올 및 포화 및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이다.
아보카도 불검화물 조성은 특정 아보카도 성분들을 주로 포함하므로 식물성 오일들에서 통상 발견되는 조성과는 차별된다. 대부분의 아보카도 불검화물 분획물은 지방족 푸란 군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분자 패밀리는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을 포함한다. 3차 군은 5환 트리테르펜 알코올 및 4-메틸 스테롤을 포함한 스테롤로 구성된다. 기타 군들은 소량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에 포함되는 불검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 이의 유도체는 특히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및/또는 '페르신' 유형의 1,2-디히드록시-4-옥소-지방족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및/또는 지방족 푸란,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은 분획물 I이라고도 부른다. 이들은 특히 장쇄 아세틸렌 및 올레핀 1,2,4-트리히드록시 타입의 트리올들이다.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의 아세틸화 유도체는 전형적으로 1, 2 또는 4 위치이다.
1,2-디히드록시-4-옥소-지방족 알코올은 페르신이라고도 부르며, 분획물 H의 전구체이다. 이들은 특히 장쇄 아세틸렌 및 올레핀 1-2-디히드록시-4-옥소 타입의 케톤 디올들이다. 이들 화합물의 아세틸화 유도체는 전형적으로 1 위치이다.
아보카도의 경우 페르신은 전형적으로 이형, 지방세포들에서 발견된다.
예를들면, 다음 구조의 페르신이 특히 언급된다:
Figure pct00001
지방족 푸란은 푸란 지질, 또는 더욱 통상적으로는 아보카도 푸란 또는 분획물 H라고도 부른다. 이들은 특히 푸란기를 가지는 페르신 유도체이고, 특히 아보카도에서 추출된 페르신의 탈수 및 분자 내 환화에 의한 화학적 변형 결과이다. 예시로, 2-알킬 푸란이 언급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의 불검화물에는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가 풍부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오일은 전형적으로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 전형적으로 적어도 3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10%, 특히 3 내지 10%, 특히 5 내지 8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실시태양에서,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불검화물을 함유하고,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특정 실시태양에서,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중량%의 불검화물을 함유하고,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오일의 불검화물은 스테롤을 함유한다. 예를들면, 주로 4-데스메틸스테롤로는 β-시토스테롤, 4-모노메틸스테롤 패밀리에 대하여는 시트로스타디에놀, 및/또는 4,4-디메틸스테롤 패밀리로는24-메틸렌 시클로아르테놀이 발견된다.
본 발명의 특정 특성에 따르면,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5중량%의 스테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8중량%의 스테롤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가 분쇄된 후, 고온에서, 전형적으로 60 내지 150℃에서 건조되어, 기계적 압력에 의한 오일 획득 전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잔류 습도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특정 특성에 따르면, 아보카도 분쇄 및 건조 후, 기계적 압력에 의한 오일 획득 전 분쇄 건조된 아보카도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의 물 또는 수증기가 첨가된다.
물 또는 수증기 분사 단계가 건조된 아보카도와 통합될 때,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이 고수율로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은, 일반적으로 5 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3 mgKOH/g 이하, 전형적으로 1 mgKOH/g 이하의 낮은 산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로부터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다음 연속 단계들로 구성된다:
- 연화 아보카도 분쇄,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mm, 특히 2 내지 10 mm의 입도를 가지는 분쇄물을 획득,
- 분쇄물을 고온,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특히 65 내지 120℃, 예를들면 70 내지 100℃, 전형적으로 80 내지 100℃에서 건조,
-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압력으로 오일 추출.
(1)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로부터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3 중량%의 불검화물을 가지는 아보카도 오일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다음 연속 단계들로 구성된다: 연화 아보카도 분쇄, 이로써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mm, 특히 2 내지 10 mm의 입도를 가지는 분쇄물을 획득
(2) 잔류 습도 5 % 이하를 달성하기 위하여 분쇄물을 고온,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특히 65 내지 120℃, 예를들면 70 내지 100℃, 전형적으로 80 내지 100℃에서 건조.
(3) 건조된 아보카도에 분쇄 건조된 아보카도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의 물 또는 수증기 첨가 후, 압착 전에 바람직하게는 블렌딩에 의한 균질화.
(4) 기계적 압력으로 오일 추출.
단단한 아보카도에 대하여 수행되는 통상의 썰기 또는 건조 조작 조건들에서 연화 과일이 수행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실제로, 차별적인 과일의 3가지 구성부위들, 과피, 과육 및 속으로 인하여, 썰기 조작에서의 이들의 거동은 과육 및 과피의 숙성도 (degree of maturity) 및 경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수확 후 제1기에서, 과일은 3 부위들 간 구조 및 경도의 균질성을 가지고, 썰기에 유리하다. 과육이 연화되기 시작하면, 과일 (과육, 과피, 속)의 경도는 매우 이질화되고 매우 단단하게 유지되는 속 및 과피 및 과육의 일관성 상실로 인하여 어떠한 공업적 썰기 방식도 방해된다.
또한, 연화 과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불검화물 분획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추출하기 위하여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을 구현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다.
전처리 없이 연화 과일을 건조시키면 기생생물 출현 및 오일과 불검화물의 이질적 반응들, 분해 인자들에 유리한 자유수가 잔류되는이질적 건조로 인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주지 못한다.
조절되지 않은 조건들에서 연화 과일을 분쇄 및 건조하면 동일 현상이 발생되고 품질이 크게 변한 오일이 생성되어 사용이 제한되고 불리하다.
본 발명은 처리에 대한 해결책으로, 연화 아보카도에 대한 가능한 컨디셔닝 (conditioning) 및 건조를 제공하여, 아보카도 오일 품질을 보장한다. 이러한 오일은 특히 낮은 산가, 높은 불검화물 함량 및 이러한 불검화물의 조성으로 특정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연화 아보카도는 바람직하게는 제1 분쇄 단계 (1)가 수행된다. 이러한 단계는 효과적으로 연화 아보카도의 다른 부위들을 분리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실시태양에서, 분쇄 (1)는 과피, 과육 및 속으로 구성되는아보카도 통째에 대하여 수행된다. 분쇄 (1)는 바람직하게는 과피를 조각화하고, 속을 연질화하고 혼합물을 혼합하여 균질 분산 및 아보카도 과육 분쇄물의 입도 (입자들 및 조각들)을 달성한다.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분쇄기는 아보카도를 이루는 다른 부위들: 과피, 과육 및 속의 크기, 조직 및 경도의 큰 차이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적용되는 분쇄기 기술은 매우 단단한 부위 (속) 및 더 연약한 부위 (과피), 또는 매우 무른 부위 (과육)를 가지는 재료를 처리하여야 한다.
분쇄 (1)는 바람직하게는 톱날칼 또는 롤러 유형의 분쇄기로 수행된다.
그러나 구조 및 배열은 일반적으로 과일들 크기, 숙성도 및 품질 (속, 과육 및 과피 생체)에 따라 적용되어 바람직한 입도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특정 실시태양에서, 연화 과일에 대하여 다른 부위들을 분리한 후 분쇄 (1) 단계가 진행된다. 아보카도의 과육과 속 및 과피를 분리하는 효과적인 기술이 존재한다. 다른 부위들은 적합한 장비로 독립적으로 분쇄 처리된 후 혼합 및 건조된다.
전형적으로, 연화 아보카도는 먼저 과육과 속 및 과피를 전제하는 유형의 기계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이후 과피 및 속 혼합물이 칼날 유형 또는 모든 기타 적합한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재된 기대 사양에 충족되는 입도를 획득한다.
이후 분쇄물을 과육과 혼합기에서 적합한 비율로 다시 혼합하여 과육 중 과피 및 속 입자들이 균일하게 분산된 균질 혼합물을 획득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다음의 연속 단계들이 수행된다:
- 아보카도 과육으로부터 속 및 과피를 분리,
- 연화 아보카도에서 분리된 다른 부위들을 분쇄,
- 과육 중 과피 및 속 입자들이 균일하게 분산된 균질 혼합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다른 분쇄물과 블렌딩.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분쇄 (1) 단계는 분쇄물이 신속 건조에 적합한 조직을 가지는 입도 범위에 해당되는 특정 크기의 입자들 및 조각들을 생산하도록 진행되다. 이러한 조직은 육안으로 비-연속적이고, 조각들은 일반적으로 덩어리 상태로 광학 도구 없이도 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분쇄물 표면은 평탄하지 않고 속 및 과피 입자들에 의해 거칠기를 보인다. 건조 과정에서, 분쇄물은 단단한 덩어리가 아닌 쉽게 부서지는 덩어리를 형성한다.
상세하게는, 입자들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mm, 및 특히 2 내지 10 mm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분쇄된 후 혼합물은, 최대 효율로 건조 (2) 균일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분배되어야 한다. 여러 기술들, 예컨대 블렌딩 및 특정한 잠재적 컨디셔닝 (conditioning), 예컨대 박층으로 분산, 버스들 (buses) 또는 콤들 (combs)을 이용하여 더미로 페이스트를 적층, 다이들(dies) 또는 압출로 덩어리 형상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균질화 분쇄물은 바람직하게 및 조심스럽게 분배되어 다음 건조 단계 (2)에서 신속한 수분 증발, 제품 온도에 대한 제어된 상승, 균질 건조 및 건조 지지체 (support)에 최소한 부착을 달성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 특정 실시태양에서, 분쇄 (1) 이후 및 건조 (2) 이전에, 분쇄물 컨디셔닝이 진행되어 바람직하게는, 전형적으로 0.5 내지 5 cm, 특히 1 내지 2 cm의 최소 두께 필름을 생성하도록 박층으로 분산시키거나, 재차 압출 또는 다이를 통과시켜 표면 증발을 극대화하도록 형상화하여 피-건조 분쇄물 표면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컨디셔닝 조작은 다음과 같은 상이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 트레이, 다공판, 건조 격자 또는 이송벨트 상에, 예를들면 두 개의 롤러 사이로 이동시켜 평탄한 두께 필름으로 분산,;
- 계량기 또는 다이를 통과시켜 '페이스트'를 적층;
- 압출;
- 또는 균등하고 재생 가능한 건조에 적합한 평탄 구조체를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기계.
분쇄물에 대한 하기 조절된 탈수화 또는 건조 단계 (2)의 목적은 매체에서 물을 추출하는 것이지만, 또한 불검화물에서 극성 화합물들을 추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특정 기술 및 에너지 극대화 및 부반응들 최소화 온도에서 수행된다. 실제로, 너무 낮은 온도는 수분 증발 속도에 한계가 있고 리파아제 작용에 유리하여, 글리세리드 가수분해 및 산가 증가로 이어진다. 너무 높은 온도는 각질화 현상 및 약하고 반응성의 불검화물 또는 오일 중 불포화 화합물들의 열적 또는 산화 또는 비-산화적 분해 (메일라드 반응)을 초래한다.
바람직한 조성의 오일을 획득할 목적으로, 제어된 온도에서 건조 단계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아보카도의 매우 높은 수분 (≒ 75%)으로 인하여 신속한 증발을 보장하면서도 과일 특유한 성분들이 파괴되지 않는 매우 효율적이고 특정한 건조 기술이 필요하다.
실제로, 특정한 전처리 없이 선행기술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것과 같이 연화 아보카도를 건조하면, 만족스러운 품질의 아보카도 오일을 얻을 수 없다. 아보카도 과피 및 조직으로 표면으로의 수분 이동이 매우 어려워 증발에 지장이 된다. 이러한 온도 조건들에서, 과육 내의 강하게 수화된 매체는 리파아제 작용을 매우 유리하게 하여 추출된 오일의 산가는 높아지고 불검화물은 분해된다.
또한, 속 및 과피 제거에 의한 과육 분리 후, 박층 형태의 혼합된 과육을 건조하면 건조는 개선되지만, 바람직한 품질의 오일들로 이어지지 않는다. 건조 과정에서 표면 각질 (crust)이 형성되어 증발 프로세스를 방해하고 페이스트 내부에 잔류 습도를 유지시켜 리파아제 작용에 유리하게 된다. 건조 과정에서 층의 두께를 변경시키는 것은 이러한 기생생물 작용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
매우 놀랍게도, 본 발명에서 수행된 바와 같이 아보카도를, 과육, 속 및 과피를 포함한 분쇄 혼합물로 건조시키면, 리파아제 작용이 매우 제한되는 신속 및 최적 탈수화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3 부위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건조 트레이에 부착이 억제되는 건조 과정에서의 중요한 이점이 있다. 실제로, 아보카도 통째로부터 얻은 분쇄물은 건조 후 트레이로부터 매우 쉽게 탈리되지만 과육 분쇄물은 금속판에 부착되어 신속하게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놀랍게도 분쇄 (1) 과정에서 획득된 입도는 건조 (2) 속도 및 오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분쇄에 의해 획득된 입자들 크기로 인하여 바람직하게는 건조 과정에서 표면으로의 수분 이동을 방해하고 표면 증발을 억제하는 단단한 덩어리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질적 혼합물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이질적 조직으로 덩어리 내에서 공기 유동이 개선되고 수분 증발이 향상된다. 이로써 건조 트레이 표면에 접촉하는 평탄 표면이 형성되지 않고, 두 표면들 사이에 부착력이 제한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하면, 분쇄물 건조 (2)는 제어된 온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특히 65 내지 120℃, 예를들면 70 내지 100℃, 전형적으로 80 내지 10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정 특성에 따르면, 분쇄물 건조 (2) 는 8 내지 78 h,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4 h에 걸쳐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2) 단계는 특히 고온 공기 흐름 중 또는 제어된 분위기 (예를들면 질소) 중, 대기압 또는 진공 중, 또는 마이크로파에 의한 건조로 진행된다.
본 방법의 범위에서, 용이한 공업적 구현 및 비용 이유로, 환기 건조기에서, 박층으로 고온 공기 중에, 80 내지 100℃에서, 8 내지 72 시간 동안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2) 완료 후, 건조된 분쇄물은 5% m/m 이하의 잔류 습도를 가진다.
잔류 습도는 전형적으로 IR 건조에 의한 열중량법으로 측정된다. 다른 방법들, 예컨대 열 챔버에서의 건조 상실 방법 또는 Karl Fischer 역가 방법 역시 적용될 수 있다.
건조 과정에서, 전형적으로 연속적인 3 구간들이 관찰된다:
- 건식 공기의 습윤온도로의 생성물 온도 상승 구간,
- 과일 표면 증발 및 생성물 내부로부터 주변부로의 자유수 이동에 상응하는 일정 속도의 건조구간,
- 과일 내부로부터 이동 속도 제한으로 인한 표면에서의 가용 수분 감소에 해당되는 감속 건조구간. 이러한 건조 단계에서는, 더 이상 자유수는 없고, 그러나 주로 결합수는 증발되지 않는다. 그러나 잔류 함량을 최대로 낮추어 과일을 안정화시키고 미생물 발육을 억제하고 잔류 효소 작용에 의한 내부 변형을 제한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보카도의 경우, 잔류 함량 5%는 전형적으로 최대한으로 고려된다.
5% 이하의 잔류 습도 역시 건조된 아보카도 점조성 (consistency)에 중요하고, 이에 따라 기계적 압축 과정에서 물리적 응력에 대한 저항에 유리한 취성 고체 조직이 생성된다. 5% 습도 이상에서는, 건조된 아보카도는 무른 점조성을 가져, 압축할 때, 효과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충분한 점조성이 없는 퓨레 (puree)로 형성된다.
5% 이하의 잔류 습도 및 압축에 적합한 점조성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조건들은 오일의 높은 추출 수율을 위한 압축 조건들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놀랍게도 아보카도 건량에 대하여 1 내지 5%의 물 또는 수증기, 예를들면 1 내지 3%의 물 또는 수증기를 첨가하여 잔류 습도 (3)를 재조절하면, 오일 추출률, 및 따라서 압축 효율이 크게 높아진다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재조절 /수첨 조작 (3)은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과일들을 압착기에 도입하기 전에 딱딱하고 바삭바삭한 점조성을 상실하지 않고 따라서 연화되지 않게 건조 아보카도의 표면에서 습기로 포화되도록 순수 또는 수증기를 첨가하여 수행된다.
효과적으로는, 이러한 잔류 습도 수준은 아보카도의 이전 탈수화 (2), 이후 수첨 (3) 재조절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실제로, 부분적이고 조절된 직접 탈수화는 전기된 바와 같이 압착에 적합한 조직을 만들지 못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 아보카도에 대한 수첨 (3)은 건조되고 분쇄된 아보카도에 제어된 물 또는 수증기를 첨가하고, 이후 자전 공전식 혼합기에서, 바람직하게는 1/2h 내지 1h 균질 혼합하여 수행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된 아보카도에 대한 수첨 (3)은 연속적으로 무한 스크루의 컨베이어에서 수행된다. 컨베이어 헤드에서 아보카도에 물 또는 수증기가 첨가되고 생성물이 이동할 때 컨베이어에서 요동되어 균질화가 달성된다. 컨베이어 치수는 전형적으로 건조된 아보카도의 최소 체류 시간 1/2h이 보장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는 추출 압착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오일 추출 단계 (4)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건조 아보카도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물 또는 수증기의 건조 아보카도에 대한 수첨 단계 (3)에 이어 진행된다.
오일 추출 단계 (4)는 바람직하게는 수첨 후 건조 재료에 대한 기계적 압착으로 완성된다. 통상, 효율적으로 가동하기 위하여, 추출 압착기는 압착 수율이 보장되도록 압착기 헤드에서 고압에 이를 수 있는 오일 케이크를 생산하기 위하여 섬유 및 유기재료가 포함된 재료를 수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 단계 (4)는 일반적으로 고체 입자들을 제거하여 투명 오일이 생산되도록 여과를 통하여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특정한 조성을 가지는, 특히 낮은 산가 및 높은 함량의 불검화물을 가지고 특정한 조성의 불검화물을 포함하는 양질의 아보카도 오일을 생산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불검화물, 전형적으로 적어도 5중량%의 불검화물을 함유한다. 예를들면,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3 내지 12중량%의 불검화물, 특히 5 내지 12%, 특히 8 내지 12중량%의 불검화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특성에 따르면,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고, 상기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 이의 유도체는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고 바람직하게는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및/또는 '페르신' 타입의1,2-디히드록시-4-옥소-지방족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및/또는 지방족 푸란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오일은 전형적으로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예를들면,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10%, 특히 3 내지 10%, 특히 5 내지 8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특정 실시태양에서,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불검화물을 가지고,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특정 실시태양에서,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중량%의 불검화물을 가지고,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가진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오일의 불검화물은 스테롤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특정 특성에 따르면,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5중량%의 스테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8중량%의 스테롤을 함유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은 낮은 산가, 일반적으로 5 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3 mgKOH/g 이하, 전형적으로 1 mgKOH/g 이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9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의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포함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 제조용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아보카도 오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용어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이란 본 발명 관점에서 높은 함량의 불검화물, 전형적으로 농축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0%, 예를들면 30 내지 60중량%의 불검화물을 함유하는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의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제조용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아보카도 오일 또는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농축물 제조를 위한 불검화물을 가지는 오일의 농축단계, 및 오일 또는 농축물로부터의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푸란 지질) 제조가 이하 기재된다.
농축물은 일반적으로 냉각 결정화 또는 분자증류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오일 농축물은 분자증류에 의해, 전형적으로 180 내지 260℃에서 10-2 내지 10-3 mmHg 압력을 유지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아보카도 오일의 분자증류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원심분리 타입의 분자증류기 및 스크랩 필름 타입의 기구들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오일 또는 농축물로부터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80 내지 150℃에서의 오일 또는 농축물의 열처리, 이어 비누화 및 예를들면 용매에 의한 불검화물 추출 단계를 포함한다.
불검화물 추출에 이어, 추가적인 정제 또는 분획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로부터 제조되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로부터 제조되는 총 불검화물 또는 불검화물 분획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 또는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농축물에서 제조되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9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중량%의 불검화물, 전형적으로 총 불검화물 또는 불검화물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총 불검화물은 본래 오일의 불검화물에 전형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패밀리를 포함한다.
불검화물 분획물은 전형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순수한 분획물 형태로 불검화물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불검화물을 포함하는 일군의 화합물들을 생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획화 조작의 결과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본 발명에 의한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및/또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오일에서 제조되는 농축물 및/또는 전형적으로 아보카도 오일 또는 본 발명에 의한 농축물에서 제조되는 불검화물, 전형적으로 총 불검화물 또는 불검화물의 분획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기타 활성성분들을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일 및/또는 농축물 및/또는 불검화물에 조합되는 성분들 중에서, 식물성 추출물들이 특히 언급된다:
- 식물성 오일들 또는 버터들 예컨대 소야 (soya) 오일들 및/또는 평지씨 오일, 루핀 오일, 바람직하게는 소프트 화이트 루핀 오일, 또는 이들 오일 또는 버터의 혼합물;
- 올레오 증류물 (oleodistillate) 또는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농축물, 특히 해바라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놀레성 해바라기 오일 농축물, 예컨대 Laboratoires Expanscience에서 판매하는 불검화물 농축 해바라기 오일 (Soline®), 소야, 평지씨, 옥수수 또는 팜오일 유형의 불검화물 농축 오일들;
- 식물성 불검화물 또는 식물성 오일, 바람직하게는 아보카도 푸란 (아보카도furan®), 아보카도 및/또는 소야 불검화물,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 약 1/3-2/3 (예컨대 Piascledine®300) 비율의 아보카도푸란 불검화물 및 소야 불검화물의 혼합물, 소야 불검화물, 스테롤 불검화물 (전형적으로 불검화물 총 중량에 대하여 스테롤 함량, 메틸 스테롤 및 트리테르펜 알코올 함량이 20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45-65중량%인 불검화물), 피토 스테롤, 스테롤 에스테르들 및 비타민 유도체.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본 발명에 의한 아보카도 불검화물와 소야 불검화물을, 바람직하게는 소야 약 2/3의 소야 및 1/3의 아보카도 (예컨대 Piascledine®300)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또는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아보카도 농축물 또는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불검화물 또는 예컨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인간 또는 동물용 의료기구, 피부과학적 조제 (agent), 화장제, 또는 영양제로서 바람직하게는 결합조직 질환 예컨대 관절증, 관절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치주질환 예컨대 치은염 또는 잇몸염 예방 및/또는 치료, 또는 피부 및/또는 피하조직 질환 예컨대 피부노화, 임신선 및 봉소직염, 또는 표피장벽 질환 예컨대 피부염증, 아토피성 피부염 및 자극 및/또는 염증성 피부염 예방 및/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에서 획득되는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또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 상기 불검화물 또는 상기 농축물의 약물로서의 바람직하게는 결합조직 질환 예컨대 관절증, 관절질환 예컨대 류마티스, 또는 치주질환, 예컨대 치은염 또는 잇몸염 예방 및/또는 치료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기구란 장비, 장치, 설비, 재료, 인간에서 유래한 것을 제외한 제품, 또는 기타 물품 단독 또는 조합물을 의미하고, 이들은 제조업자에 의해 인간에게 적용되도록 제조되되 약리학적 또는 면역적 또는 대사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수단에 의해 조력되어 작동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들은 구강투여에 적합한, 예컨대 약학 조성물 또는 약물, 식품 보충재 또는 영양학적 조성물이다.
변형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들은 국소적으로 투여 가능하고 특히 크림, 에멀션, 밀크, 포마드, 로션, 오일들, 수성 또는 수성-알코올 또는 글리콜 용액, 분말, 패치, 스프레이, 샴푸, 에나멜 또는 임의의 다른 외용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들이 제시된다:
실시예 1: 연화 아보카도 과일로부터 오일 추출: 분쇄 (1)에 따른 입도 및 건조된 아보카도 압착 (4) 전 수첨 (3) 효과
케냐산 크기 (calibre)의 18의 hass 품종으로 관입시험기로 측정된 경도가 0.1 내지 0.3 kg/cm2인3 kg의 연화 (soft) 아보카도를, 개구들이 20 mm, 10 mm 또는 1 mm인 체와 함께 바람직한 입도측정기가 구비된SM 100 타입의 RETSCH 칼날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물을 두께 2 cm로 0.158 m2의 트레이에 적층하였다.
트레이를 환기 열 챔버에 두고 공기 순환 방식으로 80 ± 5℃에서 72 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분쇄물을 회수하고 개구들이 20 mm인 체가 구비된 SM 100 타입의 RETSCH 칼날 분쇄기로 분쇄하여 균질화 하였다.
잔류 습도를 IR 건조에 의한 열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평가 후, 분쇄물을 수화하거나 또는 물이 증발되지 않도록 하고, 자전 공전식 혼합기로 균질화 후 바로 압착기에 투입하였다.
Komet 타입의 실험실용 스크루 압착기로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아보카도 오일을 추출하였다.
오일 및 오일 케이크을 계량하고 다음 식에 따라 추출 수율을 계산하였다:
회수 오일 중량 x100 / (회수 오일 중량 + 오일 케이크 중량)
오일들에 대한 물리화학적 및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을 통해 획득된 오일들의 조성을 비교하였다.
평가번호 스크린 메쉬 건조 후 RH % 첨가수 추출 수율 아세토게닌 함량 불검화물 함량 AI
mm % % % m/m m/m mgKOH/g
1 1 6.0 0 17.2 3.24 3.99 3.1
2 10 1.5 0 16.6 3.67 4.40 0.9
3 10 1.5 3.6 43.3 3.71 4.30 1.7
4 20 1.4 3.9 41.6 3.56 4.43 1.4
평가번호 1은 스크린 크기 1 mm로 분쇄된 입자는 건조72h 후 건조 아보카도 저장 품질을 효과적으로 보장하는 잔류 습도 (RH)를 5% 이하로 유지하지 못하였고, 매우 낮은 압착 수율을 보이고 아세토게닌 및 불검화물이 약하게 포함된 오일을 생산하였다. 또한 획득된 아보카도 오일의 산가 (AI)는 3 보다 크다.
압착 평가번호 2 및 3은 압착 전 과일들에 대한 수첨으로 수첨 조작이 적용되는 않은 평가번호 2와 비교하여 평가번호 3의 경우 높은 압착 수율을 보였다.
평가 3 및 4는, 평가 1과 비교할 때, 입자 크기가 10 내지 20 mm인 경우 오일 조성, 특히 아세토게닌 및 불검화물 함량에 대한 이점을 보인다.
실시예 2: 특히 아보카도의 다른 부위들에 대한 개별 분쇄 단계 (1)를 포함하는 연화 아보카도 과일로부터의 오일 추출 및 건조 아보카도 (2) 압착 (4) 전 수첨 (3) 효과
케냐산 크기 (calibre)의 18의 hass 품종으로 관입시험기로 측정된 경도가 0.1 내지 0.3 kg/cm2인3 kg의 연화 (soft) 아보카도를, 속을 과육과 분리한 후 두 부위들 (과육 및 속+과피 모두)을 개구들 10 mm인 체와 함께 바람직한 입도측정기가 구비된SM 100 타입의 RETSCH 칼날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과육 일부를 분쇄된 해당 속 + 과피와 원래 비율로 다시 혼합하였다 (평가번호 7). 과육의 다른 부분들은 단독 건조하였다 (평가번호 6).
달리 분쇄된 생성물들을 두께 2 cm로 0.158 m2의 트레이에 펼쳐놓았다. 트레이를 환기 열 챔버에 두고 공기 순환 방식으로 80 ± 5℃에서 72 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분쇄물을 회수하고 개구들이 20 mm인 체가 구비된 SM 100 타입의 RETSCH 칼날 분쇄기로 분쇄하여 균질화 하였다.
잔류 습도를 IR 건조에 의한 열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평가 후, 분쇄물을 수화하거나 또는 물이 증발되지 않도록 하고 자전 공전식 혼합기로 균질화 후 바로 압착기에 투입하였다.
평가번호 부위 스크린 메쉬 건조 후 RH % 첨가수 추출 수율 아세토게닌 함량 불검화물 함량 AI
mm % % % m/m m/m mgKOH/g
5 아보카도 통째 10 1.5 3.6 43.3 3.71 4.30 1.7
6 과육만 10 5.7 0 58.2 2.89 3.99 3.3
7 과육,

및 과피
재혼합
10 1.6 1.9 43.7 3.67 4.40 1.0
Komet 타입의 실험실용 스크루 압착기로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아보카도 오일을 추출하였다.
오일 및 오일 케이크을 계량하고 다음 식에 따라 추출 수율을 계산하였다:
회수 오일 중량 x100 / (회수 오일 중량 + 오일 케이크 중량)
오일들에 대한 물리화학적 및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을 통해 획득된 오일들의 조성을 비교하였다.
평가번호 6은 과육만을 분쇄하면, 메쉬가 10 mm이라도, 72 h 건조 후 건조된 아보카도 저장 품질을 보장하는 잔류 습도 (RH)를 5% 이하로 유지하지 못하고, 오일에는 아세토게닌 및 불검화물이 적게 포함된다는 것을 보인다. 또한 획득된 아보카도 오일 산가 (AI)는 3보다 크다.
평가번호 5 및 7을 비교하면 아보카도 다른 부위들을 별개로 분쇄한 후 건조 건 분쇄 혼합물을 균질화한 것, 및 아보카도를 통째로 분쇄한 것은 건조된 과일들에 대한 수첨 후 압착 수율 및 획득된 오일 조성 관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건조된 과육, 과피 및 속의 혼합물에 대한 수첨 과정에서 첨가수를 높여 추가로 평가하면 최고의 추출 수율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방법의 이러한 핵심 단계를 이해할 수 있다.
평가번호 부위 스크린 크기 건조 후 RH % 첨가수 추출 수율
mm % % %
8 과육,

및 과피
재혼합
10 1.6 0 9.1
9 1.9 43.7
10 4.4 42.2
평가번호 9 내지 10에 따르면 압착 전 건조된 과일들에 대한 수첨으로 수첨 조작이 적용되지 않은 평가번호 8과 비교할 때 높은 압착 수율이 달성된다.
비교 실시예 3: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과일의 원심분리에 의한 오일 추출
멕시코산 hass 품종의100 kg 연화 아보카도를 회전식 스크린 타입의 분쇄기에서 처리하여 과피 및 속을 분리하고, 과육을 다음 조작으로 처리하였다:
- 얻어진 과육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0℃로 가열,
-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여 고상으로부터 오일 및 물을 포함하는 액상을 분리,
- 원심분리에 의해 오일을 수상에서 분리,
- 얻어진 오일에 대하여 최종 여과 처리하여 포장.
이러한 오일에 대한 물리화학적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으로 다음 결과가 제시된다:
- 산가: 2.7 mg KOH/g,
- 지방족 아세토게닌및/또는 이의 유도체 함량: 0.55 g/100 g,
- 스테롤 함량: 0.52 g/100 g,
- 불검화물 함량: 1.19 g/100 g.
획득 오일은 만족스러운 산가를 가지나, 매우 낮은 함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이로써 불검화물로부터 극성 화합물들을 추출하기 위한 원심분리는 비효율적이라는 것을 보인다.

Claims (20)

  1.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불검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불검화물은 오일 중 적어도 2% m/m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아보카도 오일을, 기계적 압력으로 획득하기 위한, 관입시험기로 측정될 때 과육 관입내력이 3 kg/cm2 이하인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관입시험기로 측정될 때 연화 아보카도의 과육 관입내력은 2 kg/cm2 이하, 예를들면 1 kg/cm2 이하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는 분쇄된 후, 기계적 압력에 의해 오일을 획득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잔류 습도 5% 이하를 달성하도록, 고온, 전형적으로 60 내지 150℃에서 건조되는, 용도.
  4. 제3항에 있어서, 아보카도의 분쇄 및 건조 이후, 기계적 압력에 의해 오일을 획득하기 전에, 분쇄 건조된 아보카도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의 물 또는 수증기가 첨가되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오일 중 불검화물 함량은 적어도 5% m/m이고 및/또는 오일 중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 함량은 적어도 3% m/m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오일의 산가는 5 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3 mgKOH/g 이하 전형적으로 1 mgKOH/g 이하인, 용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오일 중 불검화물은 스테롤을 함유하고 오일 중 스테롤 함량은 적어도 0.5% m/m인, 용도.
  8. 선행 항들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 이의 유도체는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페르신' 타입의 1,2-디히드록시-4-옥소-지방족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및 지방족 푸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도.
  9. 다음 단계들로 이루어진,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불검화물을 함유하고, 상기 불검화물은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보카도 오일을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로부터 획득하는 방법.
    - 2 내지 20 mm, 특히 2 내지 10 mm의 분쇄물 입도를 가지도록 연화 아보카도를 분쇄하는 단계,
    - 잔류 습도 5% 이하를 달성하도록 분쇄물을 고온에서,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특히 65 내지 120℃, 예를들면 70 내지 100℃, 전형적으로 80 내지 100℃에서 건조하는 단계,
    - 분쇄 건조된 아보카도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의 물 또는 스팀을 건조 아보카도에 수첨하는 단계, 및
    - 기계적 압력으로 오일을 추출하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분쇄 (1)는 바람직하게는 톱날칼 또는 롤러 타입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과피를 벗기고, 속을 분쇄하고 분쇄물의 균질 분산물을 달성하도록 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과피, 과육 및 속으로 이루어진 아보카도 통째 (whole)에 수행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분쇄 (1)는 다음 단계들로 수행되는, 방법.
    - 아보카도 속 및 과피를 과육으로부터 분리,
    - 연화 아보카도의 다른 부위들을 분쇄, 및
    - 균질 분산물을 획득하도록 다른 분쇄 부위들을 혼합.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쇄 (1) 후 및 건조 (2) 전, 바람직하게는 박층으로, 전형적으로 0.5 내지 5 cm, 특히 1 내지 2 cm 두께의 필름으로 펼치거나, 압출 타입 또는 다이를 통과시켜 증발 표면이 극대화 되도록 형상화 시킴으로써 건조 대상 분쇄물 표면을 활성시키기 위하여 분쇄물 컨디셔닝이 수행되는,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분쇄물 건조 (2)는 8 내지 78 h,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4 h 진행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획득되는 아보카도 오일에 있어서,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불검화물, 및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고, 상기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 이의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지방 폴리히드록시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및/또는'페르신' 타입의 1,2-디히드록시-4-옥소-지방족 알코올 및 이의 아세틸화 유도체, 및/또는 지방족 푸란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5중량%의 불검화물을 함유하고, 및/또는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3중량%의 지방족 아세토게닌 및/또는 이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산가는 5 mgKOH/g 이하, 바람직하게는 3 mgKOH/g 이하, 전형적으로 1 mgKOH/g 이하인,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불검화물은 스테롤을 함유하고 상기 오일은 오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0.5중량%의 스테롤을 함유하는, 방법.
  18.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 제조를 위한 예컨대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 용도.
  19.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제조를 위한 예컨대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 또는 상기 오일에서 획득되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의 용도.
  20. 약물 용도의, 바람직하게는 결합조직 질환 예컨대 관절증, 관절병 예컨대 류마티스, 또는 치주질환, 예컨대 치은염 또는 잇몸염 예방 및/또는 치료용도의 예컨대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아보카도 오일에서 획득되는 지방족 푸란이 풍부한 아보카도 불검화물 또는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농축물.
KR1020147020789A 2011-12-26 2012-12-26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제조 용도의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KR101879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62461A FR2984748B1 (fr) 2011-12-26 2011-12-26 Utilisation d'avocats mous entiers pour obtenir une huile d'avocat riche en insaponifiable
FR1162461 2011-12-26
PCT/EP2012/076903 WO2013098293A1 (fr) 2011-12-26 2012-12-26 Utilisation d'avocats mous entiers pour obtenir une huile d'avocat riche en insaponifi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235A true KR20140122235A (ko) 2014-10-17
KR101879909B1 KR101879909B1 (ko) 2018-07-18

Family

ID=4747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0789A KR101879909B1 (ko) 2011-12-26 2012-12-26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제조 용도의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9422504B2 (ko)
EP (1) EP2797612B1 (ko)
KR (1) KR101879909B1 (ko)
CN (1) CN104125833B (ko)
AR (1) AR089472A1 (ko)
AU (1) AU2012360885B2 (ko)
BR (1) BR112014015652B1 (ko)
CA (1) CA2861005C (ko)
CL (1) CL2014001721A1 (ko)
ES (1) ES2864285T3 (ko)
FR (1) FR2984748B1 (ko)
IL (1) IL233374A0 (ko)
MX (1) MX351336B (ko)
PE (1) PE20141514A1 (ko)
PL (1) PL2797612T3 (ko)
RU (1) RU2621631C2 (ko)
TW (1) TWI593795B (ko)
WO (1) WO2013098293A1 (ko)
ZA (1) ZA20140518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95B1 (ko) * 2014-12-03 2015-05-04 주식회사 제이앤케이 글로벌리소스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치주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48348B (es) 2010-08-09 2017-04-24 Inst Tecnologico Estudios Superiores Monterrey Extracto de aguacate enriquecido en compuestos bioactivos con actividad antimicrobiana, antibacteriana e inhibidora de la germinacion de esporas bacterianas.
FR2985666B1 (fr) * 2012-01-13 2015-01-09 Expanscience Lab Utilisation de noyau d'avocat pour obtenir une huile d'avocat enrichie en alkyls polyols et/ou en leurs derives acetyles
FR2985665B1 (fr) * 2012-01-13 2015-10-02 Expanscience Lab Utilisation de peau d'avocat pour obtenir un insaponifiable d'avocat enrichi en hydrocarbures aliphatiques satures et en sterols
US10800561B2 (en) 2012-01-20 2020-10-13 Koffeefruit Pte. Ltd. Preparation of coffee-based extracts and powders
CN108347957A (zh) 2015-09-04 2018-07-31 寇菲福瑞特私人有限公司 咖啡果实提取物和粉末的制备
WO2017039706A1 (en) * 2015-09-05 2017-03-09 Bella Vado, Inc. Recovery of avocado paste from avocado oil milling process or guacamole processing
US9894908B2 (en) 2015-09-05 2018-02-20 Bella Vado, Inc. Recovery of avocado paste from avocado oil milling process or guacamole processing
US10493057B2 (en) * 2015-09-23 2019-12-03 Instituto Tecnologico Y De Estudios Superiores De Monterrey Acetogenin molecules having antiplatelet and/or antithrombic activities,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thereof
US10932484B2 (en) 2016-10-19 2021-03-02 Instituto Tecnologico Y De Estudios Superiores De Monterrey Inhibitory activity of acetogenin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FR3086508B1 (fr) 2018-09-27 2021-10-08 Expanscience Lab Procede de preparation d'avocats deshydrates par sechage micro-ondes
CN110868609B (zh) * 2019-12-02 2021-08-13 杭州当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直播监控及规范的方法
CN113046170B (zh) * 2021-03-26 2022-03-11 大连奥川生物科技有限公司 富含呋喃类脂不皂化物的鳄梨油制备方法和应用
MX2021008603A (es) * 2021-07-15 2021-09-21 Univ Autonoma De Nayarit Metodo extrusor de extraccion de aceites de la pulpa de frutos de persea spp.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0106B2 (en) * 1999-07-09 2010-08-11 BSP Pharma A/S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of butyrospermum parkii and the use as medicament
FR2798667B1 (fr) 1999-09-22 2001-12-21 Pharmascience Lab Procede d'extraction des composes furaniques et alcools gras polyhydroxyles de l'avocat, composition a base de et utilisation de ces composes en therapeutique, cosmetique et alimentaire
CN1204238C (zh) * 2000-10-18 2005-06-01 李大鹏 从核桃仁中提取的核桃仁油组合物及其药物制剂
WO2004016106A1 (fr) 2002-07-29 2004-02-26 Laboratoires Expanscience Procede d'obtention d'un insaponifiable d'avocat riche en lipides furaniques
FR2893628B1 (fr) * 2005-11-18 2008-05-16 Expanscience Laboratoires Sa Procede d'obtention d'une huile d'avocat raffinee riche en triglycerides et huile susceptible d'etre obtenue par un tel procede
EP2340089A2 (en) * 2008-09-08 2011-07-06 Polyol Biotech Ltd.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hydroxylated fatty alcohols and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95B1 (ko) * 2014-12-03 2015-05-04 주식회사 제이앤케이 글로벌리소스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치주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16088996A1 (ko) * 2014-12-03 2016-06-09 주식회사 제이앤케이 글로벌리소스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치주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5652B1 (pt) 2021-08-24
US9422504B2 (en) 2016-08-23
KR101879909B1 (ko) 2018-07-18
BR112014015652A8 (pt) 2017-07-04
PL2797612T3 (pl) 2021-06-28
EP2797612B1 (fr) 2021-01-20
CN104125833A (zh) 2014-10-29
CA2861005C (fr) 2020-03-24
BR112014015652A2 (pt) 2017-06-13
CN104125833B (zh) 2018-07-03
AU2012360885A1 (en) 2014-07-24
CL2014001721A1 (es) 2014-10-03
TWI593795B (zh) 2017-08-01
MX351336B (es) 2017-10-10
US20140357879A1 (en) 2014-12-04
ZA201405186B (en) 2015-11-25
FR2984748B1 (fr) 2017-02-10
AR089472A1 (es) 2014-08-27
IL233374A0 (en) 2014-08-31
PE20141514A1 (es) 2014-11-05
CA2861005A1 (fr) 2013-07-04
ES2864285T3 (es) 2021-10-13
EP2797612A1 (fr) 2014-11-05
MX2014007918A (es) 2014-07-30
RU2621631C2 (ru) 2017-06-06
RU2014131062A (ru) 2016-02-20
WO2013098293A1 (fr) 2013-07-04
TW201333184A (zh) 2013-08-16
FR2984748A1 (fr) 2013-06-28
AU2012360885B2 (en) 201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9909B1 (ko) 불검화물이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 제조 용도의 통째의 연화 아보카도
KR100827937B1 (ko) 스핑고당지질을 함유하는 생리학적 기능성 식품 또는화장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2144980B1 (ko) 알킬 폴리올 및/또는 이의 아세틸화된 유도체가 풍부한 아보카도 오일을 수득하기 위한 아보카도 피트의 용도
JP3845923B2 (ja) 食品用ビタミンk補給組成物の製造方法
US9439938B2 (en) Use of avocado skin for obtaining an avocado unsaponifiable material enriched with 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and with sterols
DE102021116922A1 (de) Ballaststoffpräparat aus Macaubafrüch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