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1649A -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1649A
KR20140121649A KR20130038139A KR20130038139A KR20140121649A KR 20140121649 A KR20140121649 A KR 20140121649A KR 20130038139 A KR20130038139 A KR 20130038139A KR 20130038139 A KR20130038139 A KR 20130038139A KR 20140121649 A KR20140121649 A KR 20140121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fixed shaft
folding type
main body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6753B1 (ko
Inventor
서준
Original Assignee
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 filed Critical 서준
Priority to KR102013003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7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로서 구체적으로는 구부러지면서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는 TV 또는 노트북 또는 테블릿PC 또는 모바일폰 또는 게임기 또는 카메라 등의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에서 화면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받치며 지지하는 장치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식 또는 병풍처럼 지그재그로 접혀지는 병풍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었다가 펼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이 접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가 롤 형식으로 말리거나 지그재그로 병풍식으로 접혀져 고정축본체에 형성된 공간 속 안으로 들어가 사용자는 화면의 넓이를 조절하며 활용 할 수 있는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이면서 양쪽 고정축본체의 배면과 정면 하단에는 지지대와 받침대를 접고 펼 수 있도록 고정축본체와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Folding multi-purpose stand and portable fold-up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쉽게 구부러져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기기를 X자 자바라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보관장치를 통해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플렉서블 화면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요즘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13106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5212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9731호 등과 같이 전자통신기기 자체에서 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장착하지 않고 필요로 할 때 그 때 마다 메인서버에서 통신으로 지원받아 사용하는 클라우드 기술이 현실화 되고 있으며 전자통신기기 자체도 더 간단하고 축소화 되었으면 하는 욕구들이 존재하여 하드웨어 크기가 계속 얇아지면서 작아지고 있는 추세로 기기의 메모리 크기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기기의 구성이 가능해져 가고 있다. 이렇듯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휴대용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 출현에 대한 욕구가 높아져가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 대부분은 화면으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는데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있는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를 대표하는 것은 TV, 노트북, 테블릿PC, 스마트폰 등 모바일폰, 게임기, 카메라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과 통신기기들이 있다. 기존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제품들은 화면을 구부리거나 접을 수 없는 딱딱한 한 형태이다. 그 이유는 화면인 디스플레이가 구부러지거나 접을 수 없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항상 고정된 크기와 모양을 가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경우 디스플레이 크기나 부피만큼 크기나 모양을 가지게 되어 휴대와 보관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높은 곳에서 떨어뜨리면 디스플레이 화면이나 기기 자체가 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81556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4525호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연하게 구부러지거나 접힘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조 기술들이 연구개발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3107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0570호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의 구성요소인 메모리까지도 구부러지거나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메모리 제조 기술이 연구개발되고 있어 전자통신기기 자체도 유연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장치나 구조 또는 기기의 연구개발이 대두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전자통신기기 자체도 유연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는 장치나 구조 또는 기기의 연구개발이 대두 됨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부러지면서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플렉서블 메모리가 포함되어 있는 TV, 노트북, 테블릿PC, 모바일폰, 게임기, 카메라 등의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에서 화면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받치며 지지하는 장치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었다가 펼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이 접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거나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혀져 고정축본체 내부로 들어가 사용자는 화면의 넓이를 조절하며 활용할 수 있는 보관과 휴대가 편리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면서 양쪽 고정축본체의 배면과 정면 하단에는 지지대와 받침대가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되어 있어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자바라 프레임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을 원하는 길이만큼 펼쳐 원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만큼 보고 사용 후에는 지지프레임을 접어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 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면서 책이나 서류 또는 테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 까지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 절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절첩되면서 보관되도록 하는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절첩되어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판재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막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 절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절첩되면서 보관되도록 하는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절첩되어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판재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막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안테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제 1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으로 밀려들어간 후 측면이 상호 밀착되고,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나선형 스프링(605)에 의하여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610)과 상기 회전드럼(610)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단속수단(620)을 포함하는 자동고정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드럼(610)의 상면에 슬라이드홈(630)내에서 이동되는 보울(640)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궤도홈(650)을 형성하고, 상기 궤도홈(650)에는 단속수단 홈(660a)(660b)를 형성하여 보울(670)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회전드럼(610)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50)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5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연동하여 접히고 펼쳐지며,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위치하는 수단이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있는 고정프레임(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포개진 2개의 막대수단이 X자형으로 펼쳐지고 일자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막대수단의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X자 자바라 모듈의 기본 단위로 하여, 복수개가 힌지 결합되어 자바라 프레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는, 전자통신기기 제어구동수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구동수단은, CPU, GPU, SoC, RF 및 배터리, 마이크로마이크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고정축본체 내부 상단에 일정 깊이의 세로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고정축본체 내부 상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지고 펼쳐질 때 상기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상단 연결부(7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내부 하단에 일정 깊이의 세로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내부 하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지고 펼쳐질 때 상기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단 연결부(7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세로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30c)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30a)의 홀에 상기 X자 자바라 모듈 상호 간을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킨 힌지모듈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하여 텍스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출력기기(1a); 상기 제 1 장치(1a)로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입력메뉴항목이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입력기기(1b); 및 상기 출력기기(1a) 하단에 입력기기(1b)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기기결합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기기(1a) 및 상기 입력기기(1b)는,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고정축본체는, 고정축본체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내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결합고정되어 있는 접힘유도수단(30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기기(1a)는,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력기기(1a) 및 상기 입력기기(1b)는,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기기(1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상에 출력되는 복수의 입력메뉴항목은, 키보드, 프로그램 실행명령이 링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기기(1b)의 고정축본체(30) 하부면 각 끝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9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다리 연결수단(90a)이 더 포함되며, 대향하는 다리(90)에 구비된 다리 연결수단(90a) 상호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힌지 결합부 중 하나와 끼워져 결합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홀(110b)이 형성된 판형 보강부재(110b)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 보강수단(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X자 자바라 모듈의 중앙 힌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축본체(30) 하부면 및 상기 지지대(40)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부재로 이루어진 바닥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4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홀(100a);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축본체(30) 배면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홀(10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조절수단(100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힘유도수단(30a)은, 상기 고정축공간부(30a)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수단(R); 일단부는 상기 고정수단(R)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에 결합고정되는 탄성수단(C); 끝단부가 빗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수단(C)에 고정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상기 고정수단(R)에 밀착되도록 밀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수단(R)가 감겨지지 않도록 하고,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고정수단(R)에 공간이 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탄성수단(C)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R)에 감겨지도록 하는 눌림스위치수단(S); 및 상기 눌림스위치수단의 빗면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눌려지고,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빗면을 가지는 누름수단(T)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힘유도수단(30a)은, 상기 고정축본체(30) 중 제 1 고정축본체 공간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또는 제 2 고정축본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시키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는,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면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출하는 통신부(22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원스위치(230)와,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접이식 전자 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복수의 메뉴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부(210)로부터 읽어들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위치인식용 포인트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크기를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화면크기 감지부(25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영상출력화면 데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260)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소정 위치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하단부에는 위치인식용 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화면이 되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구부러지며 롤 식으로 말리든지 지그재그 접힐 수 있고,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받쳐주는 지지프레임은 X자 자바라 프레임 또는 지그재그 로 접히는 병풍식 프레임으로 되어 있어 접고 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 발명품을 사용 시에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펼쳐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상기 플렉서블디스플레이 및 상기 지지프레임을 접어둔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구부러지고 접고 펼 수 있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 자체 기능에 충실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로서 사용은 물론 접고 펼 수 있는 지지대 및 받침대 등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목적에 따라 책을 볼 때 사용하는 독서대나 워드 작업 또는 면접이나 강의 기타 회의 또는 연설 때 서류나 문서를 올려 활용하는 서류스탠드나 사진 액자나 그림 액자를 올려 사용하는 전시용품 거치대나 테블릿 PC나 노트북 및 전자계산기 등 전자제품 또는 통신기기를 거치하며 사용하는 접이식 스탠드로서의 기능 등 다목적 거치대 용도로도 사용 가능하다.
특히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든지 TV 및 노트북 및 테블릿PC 및 모바일폰 및 게임기 및 카메라 등의 각 기능을 갖추든 모든 기능을 갖추든지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구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자만 고정축본체공간부에는 각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를 구성하는 CPU 및 GPU 및 SoC 등과 전지나 RF 안테나 및 마이크로 마이크나 스피커 등 전자 및 통신기기 부품이나 시스템 구성 요소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어 멀티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기기로서 필요로 하는 기능에 필요한 발명 구성을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시 화면 넓이를 조절하며 사용 할 수 있는 멀티 전자기기 및 정보통신기기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하면서도 독서대 등 다용도 거치대로도 사용가능한 보관 또는 휴대에 있어서는 편리한 효과가 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제공 받는 효과가 있다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침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식으로 접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화면까지 표시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 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든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침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히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두 개를 기기결합부로 연결하여 구성한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 구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노특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에서 접힘과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지는 경우 자판 및 화면이 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 구조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단연결부와 하단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X자 자바라 방식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롤 방식으로 말리는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상단에서 접힘과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접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의 사시도 및 고정축본체공간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접힘에서 손으로 펼쳐지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정면도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펼쳐지는 경우 자판 및 화면이 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에서 경사조절부 및 고정걸이결합부 및 바닥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 기기의 회로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받친 상태로 지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지지프레임(20)과, 일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말리거나 접힌 상태로 보관되는 복수의 고정축본체(30)와, 상기 고정축본체(30)의 소정 영역에 힌지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대(40)와,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후면 양측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받침대(50)로 구성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외압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면서 접히거나 펼 수 있는 화면으로 TV 또는 노트북 또는 테블릿PC 또는 모바일폰 또는 게임기 또는 카메라 등의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기기의 화면을 의미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에는 플렉서블 메모리가 포함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X자 자바라 방식 또는 지그재그 병풍 방식으로 접고 펼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고정축본체(30)의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보관될 때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말리는 방식으로 접혀지고, 지지프레임(20)이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병풍처럼 절첩되는 방식으로 접혀진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히는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롤 방식으로 말리거나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로 절첩되어 고정축본체(30)에 형성된 공간부 내로 인입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의 일부는 공간부에 인입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어, 원하는 화면크기를 가지도록 조절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지지대(40) 및 복수의 받침대(50)는 복수의 고정축본체(30)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고정축본체(30)에 대해 접히거나 펼 수 있어, 본 발명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가 접이식 거치대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서 전자통신기기는 전자제품과 정보통신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자통신기기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도 5 및 도 20 및 도 26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TV나 노트북과 테블릿PC나 스마트폰 등 모바일폰과 게임기나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제품 및 통신기기의 화면으로 적용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 및 도 7 및 도 8 및 도 11 및 도 12 및 도 14 및 도 17 및 도 18 및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지며 말리거나 지그재그로 접혔다 일자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상기 도 1 및 도 2 및 도 6 및 도 15 및 도 16 및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며 접힘과 펼침이 되는 장치로서 포개진 2개의 막대가 X자형으로 펼쳐지고 일자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막대의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든지 또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힌지가 결합되지 않든지 자바라 모듈을 기본 단위로 하여 상기 자바라 모듈은 좌우로 자바라 프레임을 이루는 자바라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기도 하고 상기 도 9,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나 있듯이 여러 개의 막대가 일자형 수직으로 계속 붙여져 하나의 판자 형태로 되어 지그재그로 접혀지고 펼쳐 질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될 때는 결합방식으로 장석을 이용하는 방식과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 있다.
자바라 지지프레임을 구성할 때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개이상의 자바라 모듈을 결합시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결합되는 자바라 모듈의 수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0)이 펼쳐졌을 때의 넓이 또는 촘촘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보관 또는 휴대 시에는 접혀진 상태가 되며 본 발명의 요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구조 형태와 지그재그 병풍 구조로 이루어져 펼침과 접힘이 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다.
상기 도 1, 도 3, 도 6, 도 7, 도 10, 도 11, 도 13, 도 14, 도 16, 도 17, 도 22 및 도 23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좌우측단에 연결되고 도 4, 도 8, 도 12, 도 18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펼침과 접힘에 있어서 양 축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통신기기를 책 등의 거치대로 사용할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가해지는 도서 등의 무게를 나누어 담당한다.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는 형상을 달리함에 따라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통신기기의 전체적인 디자인이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 고정축본체(30)가 사각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자통신기기의 모양을 사각형상을 이루게 되고,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전자통신기기의 모양이 원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형상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이 되기도 하고 도서 한권 크기가 되기도 하는 등 본 발명의 전체적인 디자인도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양 고정축본체(30)는 각각 막대 하나 형태 구성 될 수도 있고 막대 2개 이상이 힌지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러 모양과 다자인으로 형상화 될 수 있다.
상기 도3, 도7, 도11, 도14, 도17 및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속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힘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병풍 방식이나 롤 방식으로 말려 접힐 수 있으며, 롤 방식으로 구현할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감을 수 있는 봉형상의 감김장치가 구성되고, 지그재그 병풍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접힘장치(30a)가 구성된다.
또한, 각 전자통신기기인 TV, 노트북, 테블릿PC, 모바일폰, 게임기,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제품 및 정보통신 기기를 구성하는 CPU 및 GPU 및 SoC 등 플렉서블 메모리인 플렉서플 PCB 및 RF 시스템인 안테나 및 마이크 및 스피커 및 배터리 등 각 전자통신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 요소가 필요한 기능에 따라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으로 고정축본체공간부(30b)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의 사용 시 경사를 확보주면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 도 5, 도 9, 도 15,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도면을 통해 상기 지지대(40)의 결합 형태와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 결합을 위해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배면에 고정블럭 형태의 결합을 시키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거나, 또는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에 홈을 형성시키고, 이 홈에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도록 구현한다.
상기 지지대(40)에는 고정블럭을 감싸며 고정핀 형태의 힌지에 의하여 결합 될 수 있도록 ‘ㄷ'자형의 결합부와 고정핀 힌지의 결합을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고정축본체(30)에 홈을 파고 힌지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대(40)는 다양한 형태와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받침대는(50)는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전면 하단에 도 1,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 전면 하단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블럭 형태의 결합구조물을 채용하고, 이 고정블록에 고정핀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50)는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거치대 용도로 사용 시 도서 등 물건을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그 결합의 형태는 상기 지지대(40)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홈을 파고 힌지로 결합 하든 고정블럭으로 튀어나오게 하여 결합을 하든 다양한 형태와 변형으로 실시를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60)은 도 1, 도 5 및 도 9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50)에 힌지로 연결되어 거치대로 사용 시 도서나 서류 또는 테블릿 PC 등을 오렸을 때 책 등이 뜨지 않고 책 등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더 편리하게 사용하게 위하여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텐션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 상단연결부(70a)는 도 2, 도6, 도 1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 프레임으로 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경우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의 상단에 가운데 형성된 가이드와 레이홈으로 파인 홈이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양 고정축본체(30)가 연결되도록 힌지로 결합을 이루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펼침과 접힘에 따라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의 상단 가운데 파인 홈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운동을 하며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이 펼쳐질 때에는 상기 상단 연결부(70a)는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상단에 파인 홈 내의 하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질 때에는 상기 상단 연결부(70a)는 위로 이동하여 상기 상단에 형성된 파인 홈 내의 상단에 걸리게 되는데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실시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하단 연결부(70b)는 도 2, 도6, 도 1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 고정축본체(30)의 하단 가운데에 형성된 가이드와 레이홈으로 파인 홈이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20)과 상기 양 고정축본체(30)가 연결되도록 힌지로 결합을 이루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펼침과 접힘에 따라 상기 고정축본체(30)의 하단 가운데 파인 홈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운동을 하며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즉, 첨부 도면 도 2, 도6, 도 16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펼쳐질 때에는 상기 하단 연결부(70b)는 위로 이동하여 상기 하단에 파인 홈 안의 상단에 걸리게 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질 때는 상기 하단 연결부(70b)는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하단에 형성된 파인 홈 내의 하단에 걸리게 된다.
중앙연결부(70c)는 도 1, 도 2, 도 6, 도 15, 도 16,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 X자 자바라 프레임을 더 촘촘하게 구성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중앙연결부(70c)는 X자 자바라 프레임 중앙에 수직으로 가이드를 형성시키고, 가이드에 레이홈을 길게 파서 형성시킨 프레임으로, 상기 중앙연결부(70c)는 X자 자바라 형태의 상기 지지프레임(20)의 X자 중앙과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본체(30)의 공간부(30a) 내측으로 인입되어 보관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이 병풍 처럼 지그재그 접히는 병풍식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연결부(70a) 및 상기 하단 연결부(70b) 및 상기 중앙 연결부(70c)가 구성되지 않고 X자 자바라 형태의 상기 지지프레임(20)의 경우만이 해당 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병풍식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본체(30)의 공간에 형성된 상기 접힘 장치(30a) 상기 지지프레임(20) 면이 접착 또는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도 4,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크기를 조절하며 전자통신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1,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후 보관 및 휴대의 간편성과 거치대로도 사용이 가능 하다는 것이 가장 큰 효과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는 상기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대(40), 상기 받침대(50) 등이 독립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각 부분의 접힘과 펼침을 통하여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가 소형 책 한권 크기나 프레임 모양으로 손안이나 호주머니에 넣고 다니며 휴대 가능한 크기가 되어 위에서 언급한 원하는 길이만큼 펼쳐 원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화면만큼 보고 사용 후에는 지지프레임을 접어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이면서 책이나 서류 또는 테블릿 PC 및 노트북 등 까지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거치대로도 사용 가능한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제공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의 간편성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도15 내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워드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제공을 위하여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 아래와 다른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양쪽 고정축본체(30) 위를 힌지로 연결하는 기기결합부(80)를 구성하여 노트북 형태의 또 다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구성할 수 있었다.
또한, 도21 내지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워드 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의 노트북형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아래 쪽 상기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의 상기 양 고정축본체(30) 밑면 상하에 프레임 네 개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로 연결한 다리(90)를 구성하고 상기 다리 중앙부에 접고 펼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는 프레임으로 일단에는 프레임끼리 끼움이 가능한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다리연결부(90a)를 구성하여 의자형태의 또 다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경사조절부(100)를 더 포함하고 있는데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사용 시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대(40)에 형성된 2개 이상의 고정홈(100a)과, 상기 고정축본체(30)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상기 고정홈(100a)에 끼움이 가능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조절수단(100b)으로 상기 고정축본체(30) 하단과 상기 경사조절수단(100b)과 연결구에 스프링이 구성되어 텐션 기능 가지는 경사조절부(10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멀티 전자통신기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자바라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구성하는 상기 자바라 모듈의 중앙 힌지 결합부 중 어느 한곳의 배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고정걸이(110a)와, 상기 고정걸이(110a)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기 자바라 모듈의 중앙 힌지 결합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걸이결합부(110b)가 있는 고정걸이연결부(11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더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사용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축본체(30) 바닥과 상기 지지대(40)과 상기 다리(90) 바닥에 고무; 또는 탄성소재; 형태의 미끄럼방지재료가 더 부착되는 바닥부(120)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를 더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20)이 X자 및 병풍식 형태를 갖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기 실시를 모두 포함하며 접힘과 펼침이 되는 X자 프레임과 병풍식 프레임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을 갖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라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8 내지 도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소정의 고정축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미도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고정축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미도시)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축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와,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과, 상기 고정축공간부(30a)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수단(310)과, 일단부는 상기 고정수단(3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에 결합고정되는 탄성수단(340)과, 끝단부가 빗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수단(340)에 고정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상기 고정수단(310)에 밀착되도록 밀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수단(310)가 감겨지지 않도록 하고,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고정수단(310)에 공간이 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탄성수단(340)에 의해 상기 고정수단(310)에 감겨지도록 하는 눌림스위치수단(330)과, 상기 눌림스위치수단(330)의 빗면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눌려지고,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빗면을 가지는 누름수단(3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당겨서 펼친 다음 눌림스위치수단(330)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현재의 위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다시 눌림스위치수단(330)을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탄성수단(340)에 복원력에 의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당겨지고 고정축본체(30) 내부로 자동으로 인입되어 보관된다.
상기 접힘유도수단(미도시)은 상기 고정축본체(30) 중 제 1 고정축본체 공간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또는 제 2 고정축본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시키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소정의 고정축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공간부에는 접힘유도수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고정축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와, 안테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제 1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으로 밀려들어간 후 측면이 상호 밀착되고,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이(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500)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형상으로 다수개의 몸체(510~5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몸체는 파이프 형상이며 내경이 각각 다르며, 내경이 큰 몸체(510)에 내경이 작은 몸체(520)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미는 힘에 의해 하나의 몸체가 내경이 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고, 당기는 힘에 의해 내경이 큰 몸체로부터 내경이 작은 몸체가 인출되어, 그 길이가 줄었다 커졌다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자동으로 고정축본체(30)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실시예로서,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와,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나선형 스프링(600)에 의하여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610)과 상기 회전드럼(610)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단속수단(62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드럼(610)의 상면에 슬라이드홈(630)내에서 이동되는 볼(640)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궤도홈(650)을 형성하고, 상기 궤도홈(650)에는 단속수단 홈(660a)(660b)를 형성하여 볼(640)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회전드럼(610)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작은 원에서 큰 원으로 즉, 회전드럼(610)의 정회전을 위한 단속수단 홈(660b)은 단턱(670b)에 의하여 역회전시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계속 감기도록 구성된 것이며, 정 회전시에만 단턱(670a)에 의하여 단속수단 홈(660b)을 타도록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손쉽게 풀리도록 한다.
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연결된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를 잡아당기면 궤도홈(650)에 있는 볼(640)이 작은 원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단속수단 홈(660b)을 따라 큰 원으로 미끄럼 운동되므로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관계없이 정회전을 수행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손쉽게 길게 할 수 있다.
이때 볼(640)은 케이스에 형성된 슬라이드홈(미도시) 내에서 상하로만 이동되므로 볼(640)의 위치에 관계없이 회전드럼(610)이 안정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즉, 플레시블 디스플레이(10)를 길게 한 상태에서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2 고정축본체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힘을 빼는 경우 회전드럼(610)에 장착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역회전을 수행하고 이때 단턱(670a)에 의하여 볼(640)이 단속수단 홈(660a)으로 미끄러지게 되면서 정점부(680)에 걸리게 되어 플레시블 디스플레이(10)가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살짝 잡아당기면 볼(640)은 작은 원으로 미끄럼 운동을 수행하게 되고 이때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2 고정축본체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힘을 빼면 볼(640)이 작은 원을 타고 계속 역회전을 실시하므로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자동으로 감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200)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면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출하는 통신부(22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원스위치(230)와,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접이식 전자 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복수의 메뉴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부(210)로부터 읽어들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위치인식용 포인트를 감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크기를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화면크기 감지부(25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영상출력화면 데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260)로 구성된다.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는 포토센서이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하단부에는 상기 포토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위치인식용 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제어부(240)에서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로부터 입력되는 화면크기를 인식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소정 위치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면에 나타난 실시 예 이외에도 예를 들어 각 부품과 각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바킹을 끼워 넣어 접힘에서 부드러움이나 고정기능을 높여 실시하든지, 스프링을 넣어 텐션 기능을 넣든, 어느 부분에 캐릭터를 디자인하여 실시하든지, 상기 고정축본체(30)나 상기 지지대(40) 등 어느 한 부분에 자 눈금을 그려 넣어 길이 측정 기능을 추가 하든지, 상기 양 고정축본체(30) 일부에 공간을 만들어 필통 등 저장 기능을 하는 형태로 실시하는 등 본 발명은 발명 요지에서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 청구항에 넣지 않더라도 본 발명가의 발명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 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0 : 플렉서블디스플레이 20 : 지지프레임
30 : 고정축본체 30a : 접힘장치
30b : 고정축본체공간부 40 : 지지대
50 : 받침대 60 : 고정프레임
70a: 상단연결부 70b: 하단연결부
70c: 중앙연결부 80 : 기기결합부
90 : 다리 90a : 다리연결부
100 : 경사조절부
100a : 고정홈 100b : 경사조절 프레임
110 : 고정걸이연결부
110a : 고정걸이 110b : 고정걸이결합부
120 : 바닥부

Claims (35)

  1.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 절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절첩되면서 보관되도록 하는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절첩되어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3.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판재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막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4.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병풍 방식으로 지그재그 절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지그재그 절첩되면서 보관되도록 하는 제 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절첩되어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판재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막대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지고 펼쳐질 수 있도록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5.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에 있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안테나 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는 제 1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미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 내측으로 밀려들어간 후 측면이 상호 밀착되고,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에 당겨지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가 상호 이격된 거리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나선형 스프링(605)에 의하여 탄력 지지토록 되는 회전드럼(610)과 상기 회전드럼(610)의 회전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단속수단(620)을 포함하는 자동고정수단(6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610)의 상면에 슬라이드홈(630)내에서 이동되는 보울(640)의 미끄럼 운동을 위한 궤도홈(650)을 형성하고, 상기 궤도홈(650)에는 단속수단 홈(660a)(660b)를 형성하여 보울(670)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회전드럼(610)이 정회전과 역회전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50)에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5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연동하여 접히고 펼쳐지며,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위치하는 수단이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도록 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있는 고정프레임(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포개진 2개의 막대수단이 X자형으로 펼쳐지고 일자형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막대수단의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X자 자바라 모듈의 기본 단위로 하여, 복수개가 힌지 결합되어 자바라 프레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2.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30b) 내측에는, 전자통신기기 제어구동수단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구동수단은, CPU, GPU, SoC, RF 및 배터리, 마이크로마이크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축본체 내부 상단에 일정 깊이의 세로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고정축본체 내부 상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지고 펼쳐질 때 상기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상단 연결부(7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내부 하단에 일정 깊이의 세로 방향으로 긴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내부 하단에 형성된 홈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이 접혀지고 펼쳐질 때 상기 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하단 연결부(7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세로방향으로 긴 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부재(30c)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30a)의 홀에 상기 X자 자바라 모듈 상호 간을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킨 힌지모듈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7.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응하여 텍스트,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출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출력기기(1a);
    상기 제 1 장치(1a)로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텐츠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복수의 입력메뉴항목이 화면상으로 출력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가지는 입력기기(1b); 및
    상기 출력기기(1a) 하단에 입력기기(1b)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기기결합부(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기(1a) 및 상기 입력기기(1b)는,
    소정의 공간부(30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30b)에는 접힘유도수단(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힙유도수단(30a)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고정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 내측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인입되어 상기 접힘유도수단에 감겨지도록 이루어지는 제1 고정축본체와, 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타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공간부로 인입완료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측면부에 밀착결합되는 제 2 고정축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축본체(30); 및
    한쌍의 막대수단이 각각의 중심부상에서 교차되도록 힌지 결합되며, 막대수단의 각 단부가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내측 상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를 지지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상기 공간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밀려들어가도록 하는 지지프레임(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축본체는, 고정축본체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내에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가 결합고정되어 있는 접힘유도수단(30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기(1a)는,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배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며, 펼쳐진 경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경사지도록 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기기(1a) 및 상기 입력기기(1b)는,
    상기 제 1 고정축본체 및 제 2 고정축본체의 전면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받침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기(1b)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상에 출력되는 복수의 입력메뉴항목은, 키보드, 프로그램 실행명령이 링크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아이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기(1b)의 고정축본체(30) 하부면 각 끝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다리(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90)의 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다리 연결수단(90a)이 더 포함되며,
    대향하는 다리(90)에 구비된 다리 연결수단(90a) 상호간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20)의 배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0)의 힌지 결합부 중 하나와 끼워져 결합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홀(110b)이 형성된 판형 보강부재(110b)로 이루어진 지지프레임 보강수단(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0)의 X자 자바라 모듈의 중앙 힌지 결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30.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본체(30) 하부면 및 상기 지지대(40)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부재로 이루어진 바닥부(1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31.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홀(100a); 및
    일단부는 상기 고정축본체(30) 배면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상기 홀(10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사조절수단(100b);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32.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유도수단(30a)은,
    상기 고정축본체공간부(30a)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말림유지수단(310);
    일단부는 상기 말림유지부재(3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일단부에 결합고정되는 탄성부재(370);
    상기 고정축본체 측면 일단부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넓어지는 빗면을 가지는 눌림제어수단(36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눌림제어수단(360)을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수단(340)에 고정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말림유지수단(310)에 밀착되도록 밀어주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말림유지수단(310)에 감겨지지 않도록 하고,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와 말림유지수단(310)에 공간이 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가 상기 탄성수단(340)에 의해 상기 말림유지부재(310))에 감겨지도록 하는 눌림스위치수단(320); 및
    하측으로 좁아지는 빗면을 가지며, 상기 눌림스위치수단(320)의 눌림제어수단(360)의 빗면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면 눌려지고,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누름수단(370)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33.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유도수단(30a)은, 상기 고정축본체(30) 중 제 1 고정축본체 공간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3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축본체의 공간부 또는 제 2 고정축본체에 공간부를 형성시킨 후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시키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도록 제어하는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통신기기 제어장치는,
    비디오 신호, 텍스트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10)와,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면 데이터를 수신받거나 송출하는 통신부(22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전원스위치(230)와, 상기 구동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210)로부터 접이식 전자 통신 기기의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복수의 메뉴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메뉴항목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메뉴항목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저장부(210)로부터 읽어들이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스피커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4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위치인식용 포인트를 감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크기를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화면크기 감지부(250)와, 상기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면크기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화면크기에 대응하는 영상출력화면 데이터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260)로 구성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는 터치스크린이며,
    상기 제어부(2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의 소정 위치가 외부로부터 가압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메뉴항목을 인식하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0) 하단부에는 위치인식용 포인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거치대 겸용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KR1020130038139A 2013-04-08 2013-04-08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KR10163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39A KR101636753B1 (ko) 2013-04-08 2013-04-08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139A KR101636753B1 (ko) 2013-04-08 2013-04-08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649A true KR20140121649A (ko) 2014-10-16
KR101636753B1 KR101636753B1 (ko) 2016-07-11

Family

ID=5199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139A KR101636753B1 (ko) 2013-04-08 2013-04-08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75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460A (zh) * 2017-10-27 2018-01-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的背板、背光模组及条形显示器
US10152086B2 (en) 2015-06-15 2018-12-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0289164B2 (en) 2016-06-09 2019-05-14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CN111720684A (zh) * 2020-06-29 2020-09-29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托架结构
WO2021188982A1 (en) * 2020-03-20 2021-09-23 Refliko,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tanding mechanisms for improved user experience
WO2021238433A1 (zh) * 2020-05-29 2021-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终端
US11421819B2 (en) 2019-12-30 2022-08-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3303A (ko) * 2021-09-23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911A (ko) * 2004-10-05 2007-06-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말아 감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00017284A (ko) * 2007-04-25 2010-02-16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20014872A (ko) * 2010-08-10 2012-02-2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911A (ko) * 2004-10-05 2007-06-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말아 감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00017284A (ko) * 2007-04-25 2010-02-16 폴리머 비젼 리미티드 에지 보호기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20014872A (ko) * 2010-08-10 2012-02-2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2086B2 (en) 2015-06-15 2018-12-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0289164B2 (en) 2016-06-09 2019-05-14 Samsung Display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CN107632460A (zh) * 2017-10-27 2018-01-2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的背板、背光模组及条形显示器
WO2019080382A1 (zh) * 2017-10-27 2019-05-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的背板、背光模组及条形显示器
US11421819B2 (en) 2019-12-30 2022-08-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188982A1 (en) * 2020-03-20 2021-09-23 Refliko,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tanding mechanisms for improved user experience
WO2021238433A1 (zh) * 2020-05-29 2021-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屏终端
US11966258B2 (en) 2020-05-29 2024-04-2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erminal provided with flexible screen
CN111720684A (zh) * 2020-06-29 2020-09-29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托架结构
CN111720684B (zh) * 2020-06-29 2021-06-15 深圳市理德铭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托架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6753B1 (ko) 2016-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53B1 (ko) 접이식 전자통신 기기
US10973144B2 (en) Electronic device
JP6067607B2 (ja) マルチパネル電子デバイスの画面サイズまたは画面解像度に基づくパラメータのサーバへの送信
US8737064B2 (en) Electronic device stand
JP5551167B2 (ja) 変更可能なインターフェースをもつマルチパネルデバイス
US20150268916A1 (en) Multiple Screen Arrangement for Mobile Device
CN210219168U (zh) 一种折叠式支架
JP2014123394A (ja) マルチパネル電子デバイス
KR20170087000A (ko) 연성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되는 모바일 통신장치용 힌지구조
CN107957746A (zh) 可防止荧幕倾倒的可携式电子装置
KR101480066B1 (ko) 접이식 거치대 겸용 휴대용 접이식 전자통신기기
KR20180097420A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WO2007078980A2 (en) Compressed workspace notebook computer
CN204229113U (zh) 投影屏及电子设备
WO2012134136A4 (ko) 접이식 독서대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CN111090301A (zh) 具有可隐藏屏幕的护眼平板
JP5383754B2 (ja) 無線入力装置
CN212677207U (zh) 动轴式折叠屏手机
KR20180100992A (ko) 연동형 힌지 및 이를 구비하는 디바이스
JP5285186B2 (ja) 画面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画面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
TWM410917U (en) Input device with a support function
CN212657464U (zh) 笔记本电脑折叠支架
CN113790357B (zh) 用于支撑移动终端的支架
US11865437B1 (en) Video gam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