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104A -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104A
KR20140120104A KR20130035778A KR20130035778A KR20140120104A KR 20140120104 A KR20140120104 A KR 20140120104A KR 20130035778 A KR20130035778 A KR 20130035778A KR 20130035778 A KR20130035778 A KR 20130035778A KR 20140120104 A KR20140120104 A KR 20140120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spring
pocket
guard
mattres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홍기
Original Assignee
(주) 비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비엠비 filed Critical (주) 비엠비
Priority to KR2013003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104A/ko
Publication of KR2014012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7Attaching, or interconnecting of, springs in spring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pring inlays
    • A47C27/06Spring inlays
    • A47C27/063Spring inlays wrapped or otherwise protected
    • A47C27/064Pockete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켓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포켓스프링이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 특성이 향상되고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이 외피에 의해 감싸진 복수의 포켓스프링이 배열된 포켓스프링구조체; 및 상기 포켓스프링구조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포켓스프링에 고정되는 포켓스프링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스프링 가드는 상기 포켓스프링구조체의 하단 둘레에 배치되는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와, 상기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는 상기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로부터 상기 포켓스프링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60 내지 75% 범위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가 포켓스프링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포켓스프링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포켓스프링이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취침자의 하중이 포켓스프링에 인가될 경우 돌출영역이 자유롭게 수축 및 팽창되므로 효과적으로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인체 부위별 하중에 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 자체가 신축되거나 신축성 결속부재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므로 매트리스의 상면으로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포켓스프링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의 움직임에 감섭받지 않고 수축되면서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CUSHING FUNCTION IS IMPROVED POCKET SPRING MATTRESS}
본 발명은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켓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포켓스프링이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 특성이 향상되고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의 현대화, 주거문화의 공동 주택화 등으로 인해 대부분의 가정에서 침구로서 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침대는 매트리스만으로 구성된 형태나 침대본체에 매트리스를 설치한 형태로 나누어진다.
매트리스는 적용되는 소재나 쿠션방식에 따라 스프링 매트리스, 라텍스 매트리스, 돌 매트리스, 황토 매트리스 등으로 나누어져 있으나, 쿠션 특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가볍고 취급이 용이한 스프링 매트리스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스프링 매트리스는 금속재 와이어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을 배열, 내장한 것으로 외부에는 직물지와 같은 마감재를 덧씌워 외피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게 된다.
그리고, 스프링 매트리스는 숙면은 물론이고 사용자에게 보다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해 소재, 구조 등 다양한 부분에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근래에는 매트리스 내부에 다수의 포켓스프링이 배열되어 단일의 매트리스에 복수의 사용자가 취침을 하게 되더라도 스프링이 독립적으로 수축 및 팽창됨에 따라 서로간에 취침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1은 종래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8881호에 개시된 것으로 상하를 구획하는 중간지(1)와, 봉합지(9)에 의해 일단이 중간지(1)와 재봉되어 측면을 감싸는 측면지(2)와, 봉합지(9)에 의해 측면지(2)의 타단과 재봉되어 상하측을 감싸는 상하 커버지(3,4)를 구비한다.
그리고, 중간지(1)와 상하 커버지(3,4)사이에는 복수의 스프링(탄성부재(5,5a))이 배열, 착설되어 상하 스프링구조물(6,7)로 구성된 후 내설된다. 이때 탄성부재(5,5a)는 각각의 코일스프링에 외피(8)에 감싸진 포켓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스프링구조물(6,7)은 포켓스프링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 둘레를 따라 강선 테두리(이하 포켓스프링 가드라 칭함)가 배치되어 각 포켓스프링의 상하단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따르면, 스프링이 외피에 감싸진 상태에서 상하로 수축 및 팽창되므로 사용시 금속마찰음과 같은 소음발생을 차단할 수 있고, 각각의 포켓스프링은 독립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므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할 수 있어서 복수의 취침자가 단일의 매트리스에서 취침하게 되더라도 어느 정도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상하 스프링구조물(6,7)에 측면 둘레를 따라 포켓스프링 가드가 배치되어 포켓스프링의 상하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첫째, 종래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 가드에 포켓스프링이 고정되어 수축 및 팽창동작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본연의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없게 되어 쿠션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둘째, 종래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 가드에 다수의 포켓스프링이 서로 구속되어 독립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 스프링구조물(6,7)이 전체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는 것이므로 인체 부위별 하중에 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셋째, 종래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의 최상단 부위에 포켓스프링 가드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포켓스프링의 수축범위가 작아 외력에 대한 완충작용이 제한되어 매트리스가 전체적으로 딱딱해지고, 이로 인해 편안한 안락감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포켓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포켓스프링이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쿠션 특성이 향상되도록 한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이 외피에 의해 감싸진 복수의 포켓스프링이 배열된 포켓스프링구조체; 및 상기 포켓스프링구조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포켓스프링에 고정되는 포켓스프링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스프링 가드는 상기 포켓스프링구조체의 하단 둘레에 배치되는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와, 상기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는 상기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로부터 상기 포켓스프링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60 내지 75% 범위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는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임계점을 넘게 되면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도록 신축성 선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를 상기 포켓스프링에 결속하기 위한 신축성 결속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축성 결속부재는 상기 포켓스프링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임계점을 넘게 되면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도록 신축성 선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의하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가 포켓스프링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이격, 배치되어 있으므로 포켓스프링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도 포켓스프링이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취침자의 하중이 포켓스프링에 인가될 경우 돌출영역이 자유롭게 수축 및 팽창되므로 효과적으로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인체 부위별 하중에 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 자체가 신축되거나 신축성 결속부재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므로 매트리스의 상면으로 외력이 작용되더라도 포켓스프링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의 움직임에 감섭받지 않고 수축되면서 효과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종래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2a는 매트리스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b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포켓스프링의 상부 돌출영역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3a는 포켓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3b는 매트리스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적용할 수 있는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확대부는 신축성 결속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a 및 도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2a는 매트리스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b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포켓스프링의 상부 돌출영역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구조체(1), 포켓스프링구조체(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포켓스프링(11)에 고정되는 포켓스프링 가드(2), 및 포켓스프링 가드(2)를 포함하는 포켓스프링구조체(1)에 덧씌워지는 매트리스커버(3)를 구비한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의 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3a는 포켓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3b는 매트리스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포켓스프링구조체(1)는 복수의 포켓스프링(11)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포켓스프링(11)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1a)의 외부에 외피(11b)가 감싸지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인접하는 코일스프링(11a)과 접촉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코일스프링(11a)은 완충효과가 우수한 스프링이라면 제한 없이 선택, 적용할 수 있고, 외피(11b)는 망사형 직물지를 이용하여 주머니 형태로 형성한 것을 적용한다.
포켓스프링 가드(2)는 포켓스프링구조체(1)의 하단 둘레에 배치되는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21)와, 이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21)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는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21)의 하단으로부터 포켓스프링(11)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60 내지 75% 범위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21) 및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는 다수의 포켓스프링(11)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선형부재라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강선의 외부에 보호용 외피층이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또한,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21)의 하단으로부터 포켓스프링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67% 지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포켓스프링(11)의 상부 자유단(11c,돌출영역이라 칭함)의 높이가 포켓스프링(11)의 전체 높이에 대해 1/3 정도일 경우 매트리스의 상면으로부터 인가되는 취침자(남성 평균 몸무게인 취침자)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매트리스커버(3)는 포켓스프링구조체(1)의 외부에 덧씌우지는 면상부재로서 인조 및 천연섬유나 발포폼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 면상체를 매트리스의 크기에 맞게 재단하고 박음질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매트리스커버(3)는 소재나 형태에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침자에게 통풍성을 확보하면서도 포근함과 안람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커버면상체(31), 완충재(32), 및 안감면상체(33) 순으로 배치된 면상의 소재가 하나의 몸체로 박음질 된 것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커버면상체(31)는 내부에 중공부(34)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34)와 연통되는 다수의 통기공(35)을 갖는 구조로서, 연결사(36)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고 통기성을 갖도록 직조된 상면직과 하면직으로 이루어진 이중 직물지 형태로 형성된다.
완충재(32)는 안감면상체(33)와 커버면상체(31) 사이에 개재되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인조 솜 또는 천연 솜 등으로 구성되고, 안감면상체(33)는 통기성을 갖도록 직조된 메쉬망 형태의 직물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매트리스커버(3)의 내면에는 완충성을 증대하기 위해 발포패드 등으로 형성된 완충패드(37)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그 외에도 포켓스프링구조체(1)의 상면 또는 하면, 매트리스커버(3)의 외표면에는 매트리스의 크기, 용도, 등에 따라 완충패드와 같은 별도의 부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첨부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적용할 수 있는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는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21)의 하단으로부터 포켓스프링(11)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60 내지 75% 범위에 해당하는 지점에 배치되되,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선형부재(2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성 선형부재(2a)는 포켓스프링(11)에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임계점을 넘게 되면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는 구조라면 제한 없이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신축성 선형부재(2a)는 신축성 폴리우레탄수지를 선형으로 성형한 것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신축성 폴리우레탄수지에 의해 형성된 호스(2a1)와, 이 호스(2a1)의 내부에 삽입되는 인장코일스프링(2a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인장코일스프링(2a2)은 포켓스프링(11)의 돌출영역(11c)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의 배치지점까지 수축될 정도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 늘어날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스프링강의 직경 및 권선수를 조정하여 제작된 것을 적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코일스프링(2a2)이 호스(2a1)에 내장된 신축성 선형부재(2a)를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로 배치하게 되면, 취침자의 하중에 의해 포켓스프링(11)의 돌출영역(11c)이 자유롭게 변형되므로 효과적으로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는 신축되는 구조여서 매트리스의 상면으로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임계점을 넘게 되면 늘어나게 되므로 포켓스프링은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에 움직임에 방해받지 않고 수축되면서 큰 하중을 흡수하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는 신축되는 구조이므로 매트리스의 일부 영역에만 하중이 인가될 경우 해당 영역의 포켓스프링(11)이 부분적으로 하강되므로 인체 부위별 하중에 맞게 인체공학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확대부는 신축성 결속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구조체(1), 포켓스프링구조체(1)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22,21)로 구성된 포켓스프링 가드(2)를 구비하되,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를 포켓스프링(11)에 결속하기 위한 신축성 결속부재(4)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신축성 결속부재(4)는 포켓스프링(11)으로부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에 외력이 인가될 경우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신축성 선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신축성 선형부재는 포켓스프링(11)에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임계점을 넘게 되면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는 구조라면 인장코일스프링 등으로 제한 없이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변형예에서는 고무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는 포켓스프링(11)의 돌출영역(11c)이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22)의 배치지점까지 수축될 정도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 신축성 결속부재(4)가 늘어나게 되므로 포켓스프링(11)의 수축 및 팽창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으므로 효과적으로 쿠션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포켓스프링구조체
11:포켓스프링
11a:코일스프링
11b:외피
11c:돌출영역
2:포켓스프링 가드
2a:신축성 선형부재
21:하부 포케스프링 가드
22:상부 포케스프링 가드
3:매트리스커버
4:신축성 결속부재

Claims (3)

  1. 포켓스프링 매트리스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이 외피에 의해 감싸진 복수의 포켓스프링이 배열된 포켓스프링구조체; 및
    상기 포켓스프링구조체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포켓스프링에 고정되는 포켓스프링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포켓스프링 가드는 상기 포켓스프링구조체의 하단 둘레에 배치되는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와, 상기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는 상기 하부 포켓스프링 가드로부터 상기 포켓스프링의 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60 내지 75% 범위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는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임계점을 넘게 되면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도록 신축성 선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포켓스프링 가드를 상기 포켓스프링에 결속하기 위한 신축성 결속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축성 결속부재는 상기 포켓스프링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의 크기가 임계점을 넘게 되면 늘어나고 외력의 해제시에 복원되도록 신축성 선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KR20130035778A 2013-04-02 2013-04-02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KR20140120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778A KR20140120104A (ko) 2013-04-02 2013-04-02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778A KR20140120104A (ko) 2013-04-02 2013-04-02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52U Division KR200489616Y1 (ko) 2019-02-28 2019-02-28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104A true KR20140120104A (ko) 2014-10-13

Family

ID=5199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5778A KR20140120104A (ko) 2013-04-02 2013-04-02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01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700A1 (en) 2015-06-05 2016-12-08 Sealy Technology, Llc Non-linear spring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KR20170028557A (ko) 2015-09-04 2017-03-14 이현섭 매트리스의 탄성력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700A1 (en) 2015-06-05 2016-12-08 Sealy Technology, Llc Non-linear spring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IL256057A (en) * 2015-06-05 2018-01-31 Sealy Technology Llc Non-linear spring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m
EP3302179A4 (en) * 2015-06-05 2019-01-23 Sealy Technology, LLC NONLINEAR SPRINGS AND MATTRESS COMPRISING THE SAME
US10905246B2 (en) 2015-06-05 2021-02-02 Sealy Technology, Llc Non-linear spring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US10986935B2 (en) 2015-06-05 2021-04-27 Sealy Technology, Llc Non-linear springs and mattresses including the same
KR20170028557A (ko) 2015-09-04 2017-03-14 이현섭 매트리스의 탄성력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616Y1 (ko)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JP6979116B2 (ja) スペーサ布を含むマットレス及び関係する方法
KR200462261Y1 (ko) 매트리스용 마이크로 스프링
KR20120039814A (ko) 매트리스용 포켓 스프링
KR101423565B1 (ko) 매트리스
KR101054454B1 (ko) 매트리스용 이중 완충 코일
JP5192287B2 (ja) ベッド用マットレス
KR200462262Y1 (ko) 마이크로 포켓스프링이 내장된 이중 쿳션 매트리스
WO2012027067A2 (en) Infant support device
KR20140120104A (ko) 쿠션 성능이 향상된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TW201938076A (zh) 彈簧構造連結體、床墊及椅子
KR20110125455A (ko) 침대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KR20160076615A (ko) 침구용 매트리스
KR102025896B1 (ko) 매트리스용 스프링 구조
JP2011024898A (ja) 敷寝具
KR101782124B1 (ko) 무조닝 스프링매트리스
JP2016123615A (ja) ウレタンフォームのクッション材
KR102248410B1 (ko) 매트리스
KR102416271B1 (ko) 매트리스
KR101653112B1 (ko) 층간소음 방지 기능을 갖는 통풍매트
KR102236443B1 (ko) 매트리스
JP3122662U (ja) 布団用中芯
KR102285166B1 (ko) 매트리스
KR200409963Y1 (ko) 침대용 매트리스
CN211242499U (zh) 一种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