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9973A -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9973A
KR20140119973A KR20130035072A KR20130035072A KR20140119973A KR 20140119973 A KR20140119973 A KR 20140119973A KR 20130035072 A KR20130035072 A KR 20130035072A KR 20130035072 A KR20130035072 A KR 20130035072A KR 20140119973 A KR20140119973 A KR 2014011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smetics
search
inform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3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이근동
나상일
제성관
정다운
오원근
서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3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9973A/ko
Publication of KR2014011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9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검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관련 정보를 이미지와 관련시켜 저장하는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화장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요청에 포함된 화장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색 요청된 화장품 관련 상세 정보를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고,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해당 화장품과 연계시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검색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METHOD FOR SEARCHING COSMETIC PRODUCTS, METHOD FOR PROVIDING COSMETIC PRODUCT INFORM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S}
본 발명은 화장품 검색 및 관련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을 검색하고 공유 및 추천하는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은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브로우, 아이섀도우, 립스틱, 볼터치,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를 사용해 얼굴의 결점을 감추고 장점을 살리면서 각 개인의 원하는 스타일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에 많이 이용되어 오고 있다.
관련하여, 메이크업을 위한 화장품 검색은 화장품의 사용 방법, 화장품 내의 성분 등의 확인이나 구매를 위한 가격 비교, 사용 전 기능 및 품질의 확인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상에서 텍스트 형식의 문서, 사진, 동영상 등의 이미지 데이터를 방대한 양의 이미지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검색 기능, 검색 싸이트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검색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검색 키워드를 입력받고, 입력된 키워드를 태그 정보로 포함하는 이미지 또는 입력된 검색 키워드가 포함된 웹 문서에 포함된 이미지들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경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단서들을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함으로써 해당 상품을 검색해야 한다.
또한, 화장품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서 검색은 주로 브랜드명이나 제품명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이름이 생소하거나 동일한 브랜드일지라도 기능에 따라 다양한 라인이 존재하고, 이름을 기억하기 어렵다.
구매 전에 기존의 온라인 상품몰 등의 평가나 추천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나, 이러한 평가나 추천은 불특정 다수에 의해 작성되어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품 검색 방법을 이용하는 화장품 검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검색 방법은, 화장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검색 요청에 포함된 화장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색 요청된 화장품 관련 상세 정보를 상기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는 단계,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해당 화장품과 연계시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품 검색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관련 정보를 이미지와 관련시켜 저장하는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화장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요청에 포함된 화장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색 요청된 화장품 관련 상세 정보를 상기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고,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해당 화장품과 연계시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검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단말 장치는 검색하고자 하는 화장품 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검색 요청을 상기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전송하고, 화장품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화장품에 대한 부가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의 이미지를 이용해 화장품을 검색하고 추천함으로써, 브랜드명과 제품명의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인한 텍스트 기반 검색의 부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지인 및 친구 등의 평가를 통한 추천을 통해 화장품의 검색 및 구매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검색 및 화장품 정보 제공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검색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장품 검색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서 다르게 호칭될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되는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이 인지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연이어 도시되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화장품을 검색하고, 화장품 정보를 공유하고 추천하는 데 있어 화장품 이미지의 특징을 이용하고, 본인이 소유한 화장품을 직접 표시, 평가하고, 이를 지인을 중심으로 공유하여 신뢰도 있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브랜드명, 제품명 등의 텍스트 정보 이외에 검색 대상이 되는 화장품의 이미지를 직접 촬영하여 화장품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 화장품의 브랜드 명, 제품명 및 기능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보유한 화장품 리스트 및 평가 정보를 지인들 간에 공개하는 본 발명의 기능을 활용하여 화장품을 추천하고, 광고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을 위한 시스템 구성은 단말(100)과 화장품 검색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화장품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구비하며, 카메라 구동 혹은 이미지 갤러리를 통해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응용환경에 따라 사진을 직접 전송하거나 특징을 추출하여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전송한다.
화장품 검색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관련 정보를 이미지와 관련시켜 저장하는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 및 화장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요청에 포함된 화장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색 요청된 화장품 관련 상세 정보를 상기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고,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해당 화장품과 연계시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검색 제어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 제어부(210)는 화장품 이미지 자체 혹은 화장품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특징 정보(색상 또는 지역 서술자 등)를 이용해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서 유사 화장품 또는 동일 화장품을 검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라는 용어는 관계형(relational), 객체지향형(objected-oriented)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엄밀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적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 베이스(file-base) 형태의 간단한 정보 저장 구성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화장품에 대한 카테고리, 브랜드명, 제품명, 기능, 사용 방법, 성분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의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검색 제어부(210)에 저장하고 있던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화장품은, 파운데이션, 파우더, 아이섀도우, 립스틱,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볼터치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는 사용자 간 추천을 위해 사용자가 보유한 화장품 리스트 및 사용자가 평가한 평점 정보를 구축하여 관리하며, 사용자간의 정보 공개 여부도 관리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검색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자는 화장품 검색을 통해서 자신이 보유한 제품에 대한 관리 및 평가를 할 수 있으며, 또는 부가 정보 및 다른 사용자의 평가를 검색하여 화장품의 구매 및 사용에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장품 검색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검색 및 화장품 정보 제공 개념도이다.
도 2는 단말 장치(100)를 통해 실행되는 화장품 검색 및 화장품 정보 제공 화면을 시간 순으로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말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로 해당 화장품을 사진으로 촬영하거나 혹은 영상을 입력받는다.
화장품 촬영에는 실물 혹은 지면의 잡지, 전단지 등이 활용될 수 있다. 단말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 및 화장품 정보 제공 관련 프로그램은 사진을 전송할 수도 있고, 이미지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 및 화장품 정보 제공 관련 프로그램은 이하 도 4를 통해 설명될 단말 장치(100)의 제어부(12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이 관련 화장품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수신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혹은 이미지의 특징 정보에 대한 검색 결과가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다중 검색을 요청한 경우, 사용자는 화장품 검색 장치로부터 수신한 결과들 중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택한다. 또한,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검색 결과로서 후보 리스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후, 선택된 결과에 대해서는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화장품 검색 결과로서 브랜드명, 제품명, 기능, 선호도 등이 제공되며, 부가 정보를 통해서 도 2의 (e)에 제공하는 것과 다양한 화장품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화장품에 대한 부가 정보는 동일 브랜드 유사상품, 타 브랜드 유사 기능 상품, 검색 결과 화장품을 쓰는 사람들의 추천 화장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도 2의 (c)에 나타낸 화면에서 등록을 선택하게 되면, 이후 (d)의 화면과 같이 본인의 해당 화장품 보유 여부와 평가 입력를 추가 선택할 수 있다.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부가 정보 등록를 선택한 경우, 도 2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색한 화장품에 대한 보유 여부 및 평가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보유 여부에서는 화장품의 보유 및 사용 여부 등을 등록할 수 있으며, 평가 입력을 통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화장품품에 대한 별점 및 점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개인의 체험평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의 공개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부가 정보를 선택한 화면에서는 도 2의 (e)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색한 부가 정보에 따라서 동일 브랜드 상품이나, 타브랜드 동일 기능 상품, 검색 화장품을 쓰는 사람들의 추천 화장품 등을 검색 결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세 정보를 클릭하면 해당 화장품의 브랜드 명, 상품명, 평가 및 지인의 사용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이 도 4를 통하여 설명되는 단말 장치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은 각 단계를 정의하는 기능 자체로서 한정되어야 한다. 즉,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된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각 단계의 수행주체가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우선, 화장품 관련 이미지를 획득한다(S310). 이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 장치의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단말은, 획득한 화장품 관련 이미지로부터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추출한다(S32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의 특징 정보가 아니라 이미지 전체를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특징 정보 추출 과정(S320)은 생략 가능하다.
추출된 특징 정보는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전송되고(S330),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단말은 화장품 검색 장치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S340). 단말은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50). 제공된 검색 결과를 보고 사용자가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요구한 경우, 단말은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S360).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해당 화장품에 대한 부가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S370), 입력된 화장품 부가 정보를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전송한다(S380).
이러한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독출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ROM, RAM, CD-ROM, DVD-ROM, 블루레이,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서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검색하고자 하는 화장품 관련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장품 검색 요청을 상기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전송하고, 화장품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화장품에 대한 부가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화장품 검색 장치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화장품 이미지 획득부(110), 제어부(120), 송수신부(13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화장품 이미지 획득부(110)는 통상적으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은 촬영된 화상 이미지를 영상 처리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카메라 모듈은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미도시) 및 영상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장품 이미지 획득부(1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이미지 데이터를 FAT16, FAT32 등의 파일 시스템에서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변환하여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미지 파일로부터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장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검색 요청을 송수신부(130)를 통해 화장품 검색 장치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어부(120)가 추출하는 화장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는, 화장품 이미지에서 화장품 관련 정보가 존재하는 영역, 예를 들어, 해당 화장품 관련 정보가 텍스트, 문자 형태로 표시되어 있는 영역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획득할 수 있다. 화장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는 또한, 화장품의 외관, 예를 들어 용기의 모양, 뚜껑의 형태 등에 대한 형태 정보, 화장품의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가 지원하는 응용 환경에 따라 획득한 이미지에 대한 편집 또는 특징 추출 작업을 거치지 않고 획득한 이미지 그대로를 화장품 제공 장치(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송수신부(130)는 통신망을 통해 검색 요청을 화장품 검색 장치(200)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100)의 송수신부(130)가 이용 가능한 통신망으로는 3GPP 계열의 이동통신망, IEEE 계열의 무선통신망을 비롯하여 밀리미터파를 이용한 무선/이동 통신망 등 무선/이동 통신이 가능한 기타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화장품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기능, 사용자의 화장품 선택 및 부가 정보 등록을 위한 텍스트 입력 등을 위한 입력 기능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단말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인 구분이 아니라 기능적인 구분에 의해서 정의되는 구성요소들로서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및/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및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기능이 하나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구성요소에 부여되는 명칭은 각각의 구성요소를 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대표적인 기능을 암시하기 위해서 부여된 것이며,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지 않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 검색 장치에서 수행되는 화장품 검색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 본 발명의 화장품 검색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이 도 1를 통하여 설명된 화장품 검색 장치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에서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방법을 구성하는 각 단계들은 각 단계를 정의하는 기능 자체로서 한정되어야 한다. 즉, 각 단계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된 구성요소의 명칭에 의해서 각 단계의 수행주체가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 장치는, 요청자로부터 화장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화장품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S510). 이때, 화장품 검색 요청은 이미지의 특징 정보가 화장품 이미지 자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화장품 검색 장치는, 수신한 화장품 이미지의 특징 정보에 근거하여 화장품 검색을 수행한다(S520). 이때 화장품 검색 장치는 자신이 보유한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화장품 관련 정보를 활용한다.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화장품에 대한 카테고리, 브랜드명, 제품명, 기능, 사용 방법, 성분 정보 등을 저장 관리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검색된 화장품 관련 상세 정보를 요청자에게 전송한다(S530). 이후 사용자로부터 추가로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S540), 화장품 검색 장치는, 수신한 정보를 해당 화장품과 연계시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S550). 화장품에 대한 부가 정보는 동일 브랜드 유사상품, 타 브랜드 유사 기능 상품, 검색 결과 화장품을 쓰는 사람들의 추천 화장품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검색 방법은,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독출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ROM, RAM, CD-ROM, DVD-ROM, 블루레이,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서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의 이미지를 이용해 화장품을 검색하고 추천함으로써, 브랜드명과 제품명의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인한 텍스트 기반 검색의 부정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지인 및 친구 등의 평가를 통한 추천을 통해 화장품의 검색 및 구매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단말 장치 110: 화장품 이미지 획득부
120: 제어부 130: 송수신부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화장품 검색 장치
210: 검색 제어부 210: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사용자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

  1. 적어도 하나의 화장품 관련 정보를 이미지와 관련시켜 저장하는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화장품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요청에 포함된 화장품 이미지에 기반하여 검색 요청된 화장품 관련 상세 정보를 상기 화장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공하고, 화장품 관련 부가 정보를 해당 화장품과 연계시켜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검색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검색 장치.
KR20130035072A 2013-04-01 2013-04-01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20140119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072A KR20140119973A (ko) 2013-04-01 2013-04-01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35072A KR20140119973A (ko) 2013-04-01 2013-04-01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9973A true KR20140119973A (ko) 2014-10-13

Family

ID=5199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35072A KR20140119973A (ko) 2013-04-01 2013-04-01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99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625A1 (ko) * 2017-02-08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품 검색 장치 및 방법
KR102041399B1 (ko) * 2019-04-10 2019-11-06 푸이완 리옹 화장품 가격 비교 장치 및 방법
KR20200092030A (ko) 2019-01-24 2020-08-03 선세리 색조화장품 발색사진 기반 제품분석 및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625A1 (ko) * 2017-02-08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제품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200092030A (ko) 2019-01-24 2020-08-03 선세리 색조화장품 발색사진 기반 제품분석 및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399B1 (ko) * 2019-04-10 2019-11-06 푸이완 리옹 화장품 가격 비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161B1 (ko) Ai 기반 개인 의류 토탈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236099A1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CN110059255B (zh) 一种浏览器导航方法、装置及介质
US10331730B2 (en) Attribute display system, attribute display method, and attribute display program
CN102215302A (zh) 一种联系人头像提供方法、管理平台及用户终端
CN106030578B (zh) 搜索系统以及搜索系统的控制方法
US201401642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urses
AU2012291476B2 (en)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program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same
CN104615639B (zh) 一种用于提供图片的呈现信息的方法和设备
KR102115364B1 (ko) 전자명함 플랫폼 및 전자명함 플랫폼을 이용한 정보공유방법
JP5695966B2 (ja) 興味推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85949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한 상품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19973A (ko) 화장품 검색 및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1691220B1 (ko) 콘텐츠 평가에 따른 개인화 된 콘텐츠 추천 시스템
CN10567770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一种用于信息处理的装置
CN108628988A (zh) 一种服饰搭配推荐方法、装置、智能衣柜及存储介质
KR20190010278A (ko) 관심 분야별 취향 검색안내 시스템
CN114491213A (zh) 基于图像的商品搜索方法和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520357B1 (ko) 감성 qr 코드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04137101A (zh) 用于管理媒体文件的方法、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CN106250541A (zh) 一种信息的推送方法及装置
KR101623523B1 (ko) 이미지 단어 해석에 기반한 사용자 니즈 파악 방법
CN104994119A (zh) 信息产生与分享方法
US11609918B2 (en) User augmented indexing and ranking of data
KR102496295B1 (ko) 미리 정의된 카테고리로 색조화장품 상품별 발색샷을 공유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