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8118A -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8118A
KR20140118118A KR1020130033469A KR20130033469A KR20140118118A KR 20140118118 A KR20140118118 A KR 20140118118A KR 1020130033469 A KR1020130033469 A KR 1020130033469A KR 20130033469 A KR20130033469 A KR 20130033469A KR 20140118118 A KR20140118118 A KR 2014011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ignal
unit
amplification
transmitt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종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8118A/ko
Publication of KR2014011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휴대 단말의 수신전계강도(RSSI) 정보를 수신받는 근거리 통신부; 및 RSSI 정보에 포함된 RSSI 값에 따라 증폭부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 장치가 제안된다. 또한,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REPEATING APPARATUS, REPEATING SYSTEM AND REPEATING METHOD}
본 발명은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3G/4G 기반 셀룰러 망 보급이 확산되면서 데어터를 이용한 여러 서비스가 나오고 있다. 휴대 단말 장치를 가지고 차량에 탑승하거나 전파 세기가 약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경우, 원활한 통신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휴대 단말 장치의 내부 전력증폭기(PA)의 출력을 높이게 되고, 이에 따라 전류 소모가 커져 휴대 단말의 배터리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이러한 열악한 통신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제품 자체에 내장된 안테나가 아닌 훨씬 큰 체적과 송/수신 효율이 좋은 외장형 안테나를 제품의 외장 안테나 연결구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외장형 안테나를 연결하면, 휴대 단말기 내부의 자체 안테나보다 물리적으로 크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통신 환경이 좋아지게 된다.
하지만, 외장형 안테나 사용할 때마다 휴대 단말 장치의 외부 안테나 연결용 커넥터에 연결해야하고, 반복적인 커넥터 연결은 제품에 스트레스를 주어 잠재적인 제품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또한, 외장형 안테나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품 내부로 ESD 등의 정전기 유입이 되어 치명적인 제품 파손이 우려되기도 한다.
예컨대, 휴대 단말을 차량에서 사용하는 경우 크레들이라는 거치 장치에 휴대 단말 제품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동시 더 나은 통신환경을 위해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치된 외장 안테나에 휴대 단말을 연결하고, 아울러 휴대 단말의 충전부에 전원 공급용 커넥터를 접속하게 된다. 이렇게 외부에서 휴대 단말에 별도의 커넥터를 꼽고 연결하는 행위 과정에서 사용자의 과실이 유발되어 연결부를 파손하거나, 정전기(ESD)의 유입으로 휴대 단말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휴대 단말의 외장 안테나 연결부는 회로적으로 휴대 단말의 RF라인에서 내장 안테나로 연결되는 회로에 위치하고 있어 해당 연결부가 물리적으로 파손될 시 휴대 단말 내부의 안테나를 아예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4612호 (2007년 04월 30일 공개)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예컨대 차량에서 또는 전계강도가 약한 약전계 지역에서 휴대 단말을 사용할 때, 수신신호의 저하에 따른 휴대 단말 내부의 송신 출력 증폭기인 전력증폭기의 출력 증가 및 이에 따른 배터리 소모 증가와 사용시간 감소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휴대 단말의 수신전계강도(RSSI) 정보를 수신받는 근거리 통신부; 및 RSSI 정보에 포함된 RSSI 값에 따라 증폭부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 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RSSI 값을 판단하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이면 증폭부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유지시키고 기준 범위보다 작으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키고 기준 범위보다 크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때, 하나의 예에 따른 중계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휴대 단말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부;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무선통신부; 및 근거리 통신부, 증폭부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증폭부는 제1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증폭하여 전달하는 업링크 증폭기 및 제2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다운링크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는 RSSI 값에 따라 다운링크 증폭기에서의 다운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고, 근거리 통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의 증폭에 관한 정보를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무선통신부는 휴대 단말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및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부로 전달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제1 안테나로 전달하는 제1 듀플렉스를 포함하고, 제2 무선통신부는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및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부로 전달하고 업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로 전달하는 제2 듀플렉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제1 듀플렉스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여파기 및 증폭부에서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여파기를 포함하는 업링크 필터부; 및 제2 듀플렉스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3 여파기 및 증폭부에서 증폭된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4 여파기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중계 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중계장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중계 장치 및 중계 장치와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중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휴대 단말은: 중계 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단말 무선통신부; 단말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중계 장치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받고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될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칩; 무선칩에서 생성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단말 무선통신부로 전달하는 전력 증폭기; 무선칩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 장치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분석하고 분석된 RSSI 값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RSSI 값을 포함하는 RSSI 정보를 단말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단말 제어부는 중계 장치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최소 범위의 신호세기를 갖도록 RSSI 값에 따라 전력 증폭기의 증폭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중계 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중계장치이고, 중계 장치는 휴대 단말을 무선 충전시키 무선전력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휴대 단말은 중계 장치에 거치되고 무선 전력 충전부를 통해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모습에 따라, 중계 장치에서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수신전계강도(RSSI)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중계 장치에서, RSSI 정보에 포함된 RSSI 값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중계 장치에서, 제어에 따라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이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RSSI 값을 판단하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이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유지시키고 기준 범위보다 작으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키고 기준 범위보다 크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휴대 단말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단계; 휴대 단말에서, RSSI 값에 따라, 중계 장치로 전송할 업링크 신호에 대한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휴대 단말에서,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중계 장치로 RSSI 값을 포함하는 RSSI 정보를 전송하고, 무선통신망을 통해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서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중계 장치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최소 범위의 신호세기를 갖도록 RSSI 값에 따라 업링크 신호에 대한 증폭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예컨대 차량에서 또는 전계강도가 약한 약전계 지역에서 휴대 단말을 사용할 때, 수신신호의 저하에 따른 휴대 단말 내부의 송신 출력 증폭기인 전력증폭기의 출력 증가 및 이에 따른 배터리 소모 증가와 사용시간 감소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열악한 통신 상황에서 휴대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고, 휴대 단말의 외부 장착물(외장 안테나 연결, 외부 충전용 연결)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에 외부 장착물의 접속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전기적 충격으로 인한 휴대 단말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라, 중계 장치 및 무선충전 모듈을 적용하여 거치대, 예컨대 크래들을 제작하는 경우 종래와 같은 외부 장착물 연결에서의 과실, 연결과정에서의 파손이나 정전기 유입 또는 연결과정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중계장치에 구비되는 안테나와 휴대 단말 장치 간에 별다른 행위없이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줄이고, 잠재적인 제품 파손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의 휴대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중계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2에서 도면부호 1의 휴대 단말과 도면부호 5의 기지국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된 것이고,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중계장치의 일부 구성이 아니다.
휴대 단말(1)을 예컨대 차량에서 이용하거나 또는 전계강도가 약한 약전계 지역에서 사용할 때, 수신신호의 저하(RSSI 값 낮음)에 따른 휴대 단말(1) 내부의 송신 출력 증폭기인 전력증폭기(PA : Power Amplifier)의 출력 증가 및 이에 따른 배터리 소모 증가와 사용시간 감소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도 1의 도면부호 3 참조)는 증폭부(30), 근거리 통신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장치(3)는 휴대 단말(1)과 기지국(5) 사이에서 휴대 단말(1)과 기지국(5)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중계 장치(3)는 제1 무선통신부(10), 제2 무선통신부(50) 및 전원부(도 3의 도면부호 90 참조)를 더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예에서, 중계 장치(도 1 및 6의 도면부호 3 참조)는 차량에 고정된 중계장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중계장치(3)는 크레들 형태로 제작되어 차량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중계장치(3)는 차량이 아닌 실내 공간에서 고정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계 장치의 증폭부(30)는 휴대 단말(1)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시킨다. 또한, 증폭부(30)는 기지국(5)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시킨다. 이때,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증폭부(30)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이 제어된다. 증폭부(30)는 휴대 단말(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기지국(5)으로 전송하기 위해 증폭하는 업링크 증폭부(30) 및 기지국(5)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휴대 단말(1)로 전송하기 위해 증폭하는 다운링크 증폭부(30)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업링크 증폭부(30)는 업링크 증폭기(31)를 포함하고, 다운링크 증폭부(30)는 다운링크 증폭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증폭부(30)는 업링크 증폭부(30)에 포함된 업링크 증폭기(31)와 다운링크 증폭부(30)에 포함된 다운링크 증폭기(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업링크 증폭기(31)는 휴대 단말(1)과 송수신하는 제1 무선통신부(10)에서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증폭하여 전달한다. 예컨대, 업링크 증폭기(31)는 전력 증폭기(PA)일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증폭기(33)는 기지국(5)과 송수신하는 제2 무선통신부(50)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한다. 예컨대, 다운링크 증폭기(33)는 LNA 증폭기일 수 있다.
계속하여, 도 2, 3 또는/및 6을 참조하면, 중계 장치(3)의 근거리 통신부(70)는 휴대 단말(1)로부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휴대 단말(1)의 수신전계강도(RSSI) 정보를 수신받는다. 예컨대,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면, 중계 장치(도 1의 도면부호 3 참조)의 근거리 통신부(70)는 휴대 단말(1)의 단말 근거리 통신부(도 4의 도면부호 170 참조)와 송수신하는 제3 안테나(71)와 제3 안테나(71)에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는 근거리 통신모듈(73)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근거리 통신모듈(73)은 와이파이(WiFi)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통신부(70)의 제3 안테나(71)는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휴대 단말(1)의 단말 근거리 통신부(170)로부터 전송된 휴대 단말(1)의 수신전계강도(RSSI) 값을 포함하는 RSSI 정보를 수신받고, 근거리 통신부(70)의 근거리 통신모듈(73)은 RSSI 정보를 제어부(8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2, 3 또는/및 6을 참조하면, 중계 장치(3)의 제어부(80)를 살펴본다. 중계장치(3)의 제어부(80)는 근거리 통신부(70)에서 수신된 휴대 단말(1)의 RSSI 정보에 포함된 RSSI 값에 따라 증폭부(3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0)는 증폭부(30)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한다. 예컨대, 휴대 단말(1)에서 다운링크 신호의 전계강도를 측정한 수신전계강도(RSSI)에 따라, 중계 장치(3)에서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RSSI 값에 따른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여 기지국(5)으로의 전송에 필요한 범위까지 충분히 증폭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1)에서는 중계 장치(3)로 전송하는데 필요 충분한 최소 설정범위 내에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면 족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휴대 단말(1)의 단말 전원부(190)의 전력소모, 즉 배터리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80)는 근거리 통신부(70)에서 수신된 휴대 단말(1)의 RSSI 값이 설정된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는 휴대 단말(1)의 RSSI 값이 설정된 기준 범위 내이면 증폭부(30)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1)의 RSSI 값이 기준 범위보다 작으면, 제어부(80)는 증폭부(30)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의 RSSI 값이 기준 범위보다 크면, 제어부(80)는 증폭부(30)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80)는 휴대 단말(1)의 RSSI 값에 따라, 기지국(5)으로의 전송에 필요한 범위까지 충분히 증폭될 수 있도록 증폭부(30), 예컨대 업링크 증폭기(31)에서의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1)에서는 RSSI 값에 따라 중계장치(3)로 전송되기에 필요 충분한 범위에서 최소 범위 세기 정도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1)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때, 중계장치(3)에서는 휴대 단말(1)과 공되는 통신정보를 토대로 휴대 단말(1)의 RSSI 값에 따른 업링크 신호의 중계 증폭량을 제어하여 기지국(5)으로 충분히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장치(3)의 전원부(90)의 전력으로 중계 증폭을 수행하는 대신에 휴대 단말(1)에서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어부(80)는 휴대 단말(1)의 RSSI 값에 따라 다운링크 증폭기(33)에서의 다운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중계 장치의 근거리 통신부(70)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의 증폭에 관한 정보를 휴대 단말(1)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이때, 중계 장치(3)로부터 다운링크 신호 증폭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1)은 다운링크 신호 증폭 정보를 반영하여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분석하고, 업링크 신호의 증폭 제어시 고려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서, 중계 장치(3)는 제1 무선통신부(10), 제2 무선통신부(50) 및 전원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중계 장치(3)는 업링크 필터부(20) 및 다운링크 필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면, 중계 장치의 제1 무선통신부(10)는 휴대 단말(1)과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에 대하여 송수신한다. 즉, 제1 무선통신부(10)는 휴대 단말(1)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휴대 단말(1)로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한다. 업링크 신호는 휴대 단말(1)에서 중계 장치를 거쳐 기지국(5)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말하고, 다운링크 신호는 기지국(5)에서 중계 장치를 거쳐 휴대 단말(1)로 전송되는 신호를 말한다.
휴대 단말(1)과 송수신하는 제1 무선통신부(10)에서 수신된 업링크 신호는 제어부(80)의 제어에 따라 증폭부(30), 예컨대 업링크 증폭기(31)에서 증폭되어 기지국(5)으로의 전송을 위해 제2 무선통신부(50)로 전달한다.
하나의 예에서, 제1 무선통신부(10)는 제1 안테나(11) 및 제1 듀플렉스(13)를 포함한다. 제1 안테나(11)는 휴대 단말(1)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고, 제1 듀플렉스(13)는 제1 안테나(11)에 연결되며 제1 안테나(11)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부(30)로 전달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제1 안테나(11)로 전달한다.
계속하여,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면, 중계장치의 제2 무선통신부(50)는 기지국(5)과 송수신한다. 제2 무선통신부(50)는 기지국(5)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부(30)에서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5)으로 전송한다.
이때,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2 무선통신부(50)는 제2 안테나(51) 및 제2 듀플렉스(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안테나(51)는 기지국(5)과 업링크 신호 및 다운링크 신호에 대하여 송수신을 수행한다. 제2 듀플렉스(53)는 제2 안테나(51)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부(30)로 전달하고 증폭부(30), 예컨대 업링크 증폭기(31)에서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제2 안테나(51)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도 2 또는/및 3을 참조하면, 중계장치의 전원부(90)는 근거리 통신부(70), 증폭부(30) 및 제어부(80)로 전원을 공급한다. 예컨대, 전원부(90)는 증폭부(30)의 업링크 증폭기(31) 및 다운링크 증폭기(33)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90)는 제1 무선통신부(10) 및 제2 무선통신부(50)로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중계 장치는 업링크 필터부(20) 및 다운링크 필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업링크 필터부(20)는 제1 여파기(21) 및 제2 여파기(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여파기(21)는 제1 무선통신부(10)의 제1 듀플렉스(13)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한다. 또한, 제2 여파기(23)는 증폭부(30)에서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한다. 제1 여파기(21) 및 제2 여파기(23)는 밴드패스필터이거나 더 높은 주파수 선택도를 갖는 SAW필터일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필터부(40)는 제3 여파기(41) 및 제4 여파기(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여파기(41)는 제2 듀플렉스(53)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한다. 또한, 제4 여파기(43)는 제3 여파기 및 증폭부(30)에서 증폭된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한다. 제3 여파기(41) 및 제4 여파기(43)는 밴드패스필터이거나 더 높은 주파수 선택도를 갖는 SAW필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근거리 무선망을 통하여 휴대 단말(1)의 RSSI 값을 획득하고, 중계 장치(3)의 제어부(80)에서 휴대 단말(1)의 RSSI 값에 따라 중계장치(3) 내부의 출력 신호 증폭기를 제어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에 필요한 송신 출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중계 장치(3)의 자체 전원을 사용함으로써 고출력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휴대 단말(1)의 내부 전원, 즉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들 및 도 2 및 3이 참조될 것이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의 휴대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4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른 중계 시스템을 살펴본다. 중계시스템은 중계 장치(3) 및 중계 장치(3)와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1)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휴대 단말(1)은 휴대폰, 스마트폰, 휴대용 라우터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중계 장치(3)는 차량에 고정된 중계장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중계 장치(3)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중계 장치(3)일 수 있다. 중계 장치(3)의 구체적인 설명은 중복되므로 전술한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은 단말 무선통신부(150), 무선칩(110), 전력 증폭기(130), 단말 제어부(180) 및 단말 근거리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단말(1)은 단말 무선통신부(150)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 예컨대 LNA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휴대 단말(1)은 단말 필터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말 필터부(120)는 무선칩(110)에서 생성된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5 여파기(121) 및 전력 증폭기(130)에서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여 단말 무선통신부(150)로 전달하는 제6 여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5 여파기(121) 및 제6 여파기(123)는 밴드패스필터이거나 더 높은 주파수 선택도를 갖는 SAW필터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단말 무선통신부(150)는 중계 장치(도 1의 도면부호 3 참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한다. 단말 무선통신부(150)는 중계장치(3)의 제1 무선통신부(10)와 무선 송수신하는 제4 안테나(151)를 포함하고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 무선통신부(150)는 제4 안테나(151)와 연결되며 송신라인, 즉 업링크 라인과 수신라인, 즉 다운링크 라인을 전환시키는 듀플렉스(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무선통신부(150)는 제4 안테나(151)와 연결된 연결 커넥터(15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무선칩(110)은 단말 무선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된 중계 장치(3)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받는다. 또한, 무선칩(110)은 단말 무선통신부(150)를 통해 전송될 업링크 신호를 생성한다. 예컨대, 무선칩(110)은 3G 또는 4G 무선칩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전력증폭기(130)는 무선칩(110)에서 생성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단말 무선통신부(150)로 전달한다. 전력증폭기(130)는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휴대 단말(1)은 다운링크용 증폭기를 더 포함하여 단말 무선통신부(150)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말 제어부(180)는 무선칩(110)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 장치(3)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분석한다. 단말 제어부(180)는 분석된 RSSI 값에 따라 전력증폭기(130)의 증폭량을 제어한다. 휴대 단말(1)은 RSSI 값 분석을 통해 통신 환경을 파악하고, 필요한 만큼의 전력증폭기(130)의 출력 증폭량을 산출할 수 있다.
계속하여, 단말 근거리 통신부(170)는 RSSI 값을 포함하는 RSSI 정보를 단말 제어부(180)로부터 전송받아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중계 장치로 전송한다. 예컨대, 휴대 단말(1)은 RSSI 값 분석을 통해 파악된 통신 환경에 대한 정보를 중계 장치(3)의 근거리 통신부(70)와 서로 공유할 있다. 이때, 중계 장치(3)는 휴대 단말(1)로부터 공유된 통신 환경, 예컨대 RSSI 값 분석을 통한 전력증폭기(130)의 증폭량 정보 등을 고려하여 중계장치(3)의 예컨대 업링크 증폭기(31)의 증폭량을 조절할 수 있고, 중계장치(3)에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예컨대 3G 또는 4G 셀룰라 통신망을 통해 기지국(5)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근거리 통신부(170)는 중계장치(3)의 근거리 통신부(70)와 근거리 무선망을 형성하는 제5 안테나(171) 및 제5 안테나(171)에 연결된 단말 근거리 통신모듈(1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의 단말 근거리 통신모듈(173)은 중계장치(3)의 근거리 통신모듈(73)과 대응될 수 있도록 와이파이(WiFi)모듈,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단말 제어부(180)는 중계 장치(3)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최소 범위의 신호세기를 갖도록 RSSI 값에 따라 전력증폭기(130)의 증폭량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1)은 자체의 전력증폭기(130)의 출력을 가능한 범위에서 최소로 줄여 중계장치(3)로의 접속 가능한 출력을 유지시켜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1)의 단말 전원부(190)의 소모전력, 즉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단말 제어부(180)는 휴대 단말(1)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수신전계강도(RSSI)를 측정/분석하여 중계 장치(3)로의 업링크 신호 전송에 필요한 증폭량을 제어할 수 있고, 이때, 단말 제어부(180)는 전력증폭기(130)에서 업링크 신호 증폭시 중계 장치(3)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범위의 최소 신호세기를 갖도록 증폭량을 제어함으로써, 휴대 단말(1)의 단말 전원부(190), 예컨대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이때, 중계 장치(3)에서는 필요한 범위에서 최소 세기 정도를 갖는 업링크 신호를 휴대 단말(1)로부터 수신하고 별도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수신된 휴대 단말(1)의 RSSI 값에 따라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조절하여 기지국(5)으로 충분히 전송될 수 있도록 중계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계 시스템의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중계 장치(3)는 차량에 고정된 중계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크레들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중계장치(3)의 제2 무선통신부(50)의 제2 안테나(51)는 크레듈의 안테나 커넥터에 연결된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안테나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중계장치(3)는 차량이 아닌 실내 공간에서 고정형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계 장치(3)는 휴대 단말(1)을 무선 충전시키는 무선전력 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1)은 예컨대 차량에 고정된 중계 장치(3), 예를 들어 크레들 장치에 거치되고 중계장치(3)의 무선 전력 충전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휴대 단말(1)의 단말 전원부(190)가 무선 충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중계 방법을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들, 중계 시스템들 및 도 1 내지 4가 참조될 것이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또는/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중계 방법은 RSSI 정보 수신 단계(S100), 중계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0) 및 기지국(5) 전송 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중계 방법은 RSSI 정보 수신 단계(S100) 이전에 RSSI 측정 및 분석 단계(S10), 단말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 및 RSSI 및 단말 업링크 신호 전송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SSI 정보 수신 단계(S100), 중계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0) 및 기지국(5) 전송 단계(S500)는 중계 장치(3)에서 수행되고, RSSI 측정 및 분석 단계(S10), 단말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 및 RSSI 및 단말 업링크 신호 전송단계(S50)는 중계장치(3)와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1)에서 수행된다. 이하에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휴대 단말(1)에서 수행되는 동작부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에서는, RSSI 측정 및 분석 단계(S10)에서,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 장치(3)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이때, 다운링크 신호는 기지국(5)으로부터 중계장치(3)를 거쳐 전송되고 휴대 단말(1)에서 수신된다.
다음, 휴대 단말(1)에서는, 단말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에서, 이전 RSSI 측정 및 분석 단계(S10)에서 측정/분석된 RSSI 값에 따라, 중계 장치(3)로 전송할 업링크 신호에 대한 증폭량을 제어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단말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에서, 중계 장치(3)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최소 범위의 신호세기를 갖도록 RSSI 값에 따라 업링크 신호에 대한 증폭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에서 업링크 신호 증폭시, 중계 장치(3)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범위의 최소 신호세기를 갖도록 증폭량이 제어됨으로써, 휴대 단말(1)의 배터리의 전력소모가 절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1)에서는 RSSI 및 단말 업링크 신호 전송단계(S50)가 수행된다. RSSI 및 단말 업링크 신호 전송단계(S50)에서는,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중계 장치로 RSSI 값을 포함하는 RSSI 정보를 전송하고(S51),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계장치(3)로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한다(S53).
계속하여, 도 5 또는/및 6을 참조하여, 중계장치(3)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 또는/및 6을 참조하면, 중계장치(3)는, RSSI 정보 수신 단계(S100)에서, 휴대 단말(1)로부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수신전계강도(RSSI) 정보를 수신받는다. 예컨대, 도 2 또는/3의 근거리 통신부(70)를 통해 휴대 단말(1)의 RSSI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 중계장치(3)는, 중계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0)에서, 이전의 RSSI 정보 수신 단계(S100)에서 수신된 RSSI 정보에 포함된 휴대 단말(1)의 RSSI 값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통해 휴대 단말(1)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할 수 있다. 중계 장치(3)에서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RSSI 값에 따른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여 기지국(5)으로의 전송에 필요한 범위까지 충분히 증폭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1)에서는 중계 장치(3)로 전송하는데 필요 충분한 최소 설정범위 내에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면 족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휴대 단말(1)의 배터리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중계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0)에서, 휴대 단말(1)의 RSSI 값을 설정 기준번위와 비교하여 판단한다. 이때, 휴대 단말(1)의 RSSI 값이 설정된 기준 범위 내이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유지시키고, 휴대 단말(1)의 RSSI 값이 기준 범위보다 작으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키고, 휴대 단말(1)의 RSSI 값이 기준 범위보다 크면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중계장치(3)는, 기지국(5) 전송 단계(S500)에서, 중계 업링크 증폭량 제어 단계(S300)에서의 제어에 따라 증폭된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 : 휴대 단말 3 : 중계 장치
5 : 기지국 10 : 제1 무선통신부
11 : 제1 안테나 13 : 제1 듀플렉스
20 : 업링크 필터부 21, 23 : 제1, 제2 여파기
30 : 증폭부 31 : 업링크 증폭기
33 : 다운링크 증폭기 40 : 다운링크 필터부
41, 43 : 제3, 제4 여파기 50 : 제2 무선통신부
51 : 제2 안테나 53 : 제2 듀플렉스
70 : 근거리 통신부 80 : 제어부
90 : 전원부 110 : 무선칩
120 : 필터부 130 : 전력 증폭기(PA)
150 : 단말 무선통신부 170 : 단말 근거리 통신부
180 : 단말 제어부 190 : 단말 전원부

Claims (17)

  1.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시키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의 수신전계강도(RSSI) 정보를 수신받는 근거리 통신부; 및
    상기 RSSI 정보에 포함된 RSSI 값에 따라 상기 증폭부에서의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SSI 값을 판단하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이면 상기 증폭부의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유지시키고 상기 기준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키고 상기 기준 범위보다 크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무선통신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무선통신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 증폭부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제1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증폭하여 전달하는 업링크 증폭기 및 상기 제2 무선통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다운링크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SSI 값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증폭기에서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증폭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증폭부로 전달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로 전달하는 제1 듀플렉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부는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상기 증폭부로 전달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로 전달하는 제2 듀플렉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듀플렉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여파기 및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여파기를 포함하는 업링크 필터부; 및
    상기 제2 듀플렉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3 여파기 및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4 여파기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7.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중계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8. 중계 장치 및 상기 중계 장치와 송수신하는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중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통신부는 상기 휴대 단말과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증폭부로 전달하고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상기 제1 안테나로 전달하는 제1 듀플렉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통신부는 상기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제2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상기 증폭부로 전달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상기 제2 안테나로 전달하는 제2 듀플렉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듀플렉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1 여파기 및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2 여파기를 포함하는 업링크 필터부; 및
    상기 제2 듀플렉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3 여파기 및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4 여파기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중계 장치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송수신하는 단말 무선통신부;
    상기 단말 무선통신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단말 무선통신부를 통해 전송될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칩;
    상기 무선칩에서 생성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단말 무선통신부로 전달하는 전력 증폭기;
    상기 무선칩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의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RSSI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및
    상기 RSSI 값을 포함하는 상기 RSSI 정보를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중계 장치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최소 범위의 신호세기를 갖도록 상기 RSSI 값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차량에 고정된 중계장치이고,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을 무선 충전시키 무선전력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중계 장치에 거치되고 상기 무선 전력 충전부를 통해 무선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시스템.
  14. 중계 장치에서 휴대 단말로부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수신전계강도(RSSI) 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중계 장치에서, 상기 RSSI 정보에 포함된 RSSI 값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 장치에서, 상기 제어에 따라 증폭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RSSI 값을 판단하여 설정된 기준 범위 내이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유지시키고 상기 기준 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증대시키고 상기 기준 범위보다 크면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계 장치로부터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전계강도(RSSI)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RSSI 값에 따라, 상기 중계 장치로 전송할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한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망을 통해 상기 중계 장치로 상기 RSSI 값을 포함하는 상기 RSSI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증폭된 상기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증폭량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계 장치로의 전송에 필요한 설정된 최소 범위의 신호세기를 갖도록 상기 RSSI 값에 따라 상기 업링크 신호에 대한 상기 증폭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방법.
KR1020130033469A 2013-03-28 2013-03-28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KR20140118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469A KR20140118118A (ko) 2013-03-28 2013-03-28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469A KR20140118118A (ko) 2013-03-28 2013-03-28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118A true KR20140118118A (ko) 2014-10-08

Family

ID=5199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469A KR20140118118A (ko) 2013-03-28 2013-03-28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8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72521A1 (it) * 2016-07-12 2018-01-12 Inst Rundfunktechnik Gmbh Mobilfunkkommunikation mit verbesserter sende- und empfangsqualitä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72521A1 (it) * 2016-07-12 2018-01-12 Inst Rundfunktechnik Gmbh Mobilfunkkommunikation mit verbesserter sende- und empfangsqualität
WO2018011293A1 (en) * 2016-07-12 2018-01-18 Institut für Rundfunktechnik GmbH Mobile radio communicat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quality
KR20190027792A (ko) * 2016-07-12 2019-03-15 인스티튜트 퓌어 룬트퐁크테크닉 게엠베하 개선된 송신 및 수신 품질을 갖는 모바일 라디오 통신
CN109644342A (zh) * 2016-07-12 2019-04-16 无线电广播技术研究所有限公司 具有改进的传输和接收质量的移动无线电通信
US20190349778A1 (en) * 2016-07-12 2019-11-14 Institut Fur Rundfunktechnik Gmbh Mobile radio communicat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quality
US11252580B2 (en) * 2016-07-12 2022-02-15 Institut Fur Rundfunktechnik Gmbh Mobile radio communication with improv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qu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09229B1 (en) Detection of line loss in signal booster system
US11303369B2 (en) Booster gain adjustment based on user equipment (UE) need
CA3002175A1 (en) Channelization for signal boosters
EP3378170A1 (en) Cellular signal booster with multiple signal chains
US10595287B2 (en) Frequency-division duplexing in a time-division duplexing mode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11223415B2 (en) Repeater with low power mode for mobile operations
US20200092947A1 (en) Signal booster with coaxial cable connections
JP2014222791A (ja) フィールド無線中継装置
CN105406907A (zh) 电子设备和该电子设备的控制方法
TW201820806A (zh) 對稱式中繼器及其測量天線隔離度的方法
CN106100685B (zh) 一种基于低功耗蓝牙技术的功率切换装置
KR20140118118A (ko) 중계 장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CN106561009B (zh) 无线通信系统中的信号中继放大系统和方法
US20190229765A1 (en) Communication signal compensator
KR101825418B1 (ko) 중계 장치
CN113950167A (zh) 一种大功率5g专网终端
JP7110790B2 (ja) 無線端末の位置特定装置、中継器、電波中継システム、位置特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8080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acilitating portable device communications
KR20100002997A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안테나 설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933647B1 (ko) 소형 기지국 장치 및 소형 기지국 장치의 전력 절감 방법
KR101530889B1 (ko) 듀얼 앰프 중계기
JP4886595B2 (ja) 移動通信リピータ装置、子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110111151A (ko) 중계기 신호 증폭 시스템 및 장치
KR20140052775A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20120006205A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송수신 분리도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