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451A - 비트 시퀀스들의 비-균일 맵핑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비트 시퀀스들의 비-균일 맵핑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7451A
KR20140117451A KR1020147021075A KR20147021075A KR20140117451A KR 20140117451 A KR20140117451 A KR 20140117451A KR 1020147021075 A KR1020147021075 A KR 1020147021075A KR 20147021075 A KR20147021075 A KR 20147021075A KR 20140117451 A KR20140117451 A KR 20140117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sequences
constellation
signal point
different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746B1 (ko
Inventor
바오밍 바이
린 저우
야주안 루오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riority claimed from PCT/IB2012/002923 external-priority patent/WO2013098640A2/en
Publication of KR20140117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5Iterative decoding, including iteration between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1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reducing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or the mean power of the constellation; Arrangements for increasing the shape gain of a signal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312Arrangements specific to the provision of output signals
    • H04L25/03318Provision of soft deci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04L25/067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providing soft decisions, i.e. decisions together with an estimate of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405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 H04L27/3416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 H04L27/3427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in which the constellation is the n - fold Cartesian product of a single underlying two-dimensional constellation
    • H04L27/3433Modifications of the signal spac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mission, e.g. reduction of the bit error rate, bandwidth, or average power in which the information is carried by both the individual signal points and the subset to which the individual points belong, e.g. using coset coding, lattice coding, or related schemes in which the constellation is the n - fold Cartesian product of a single underlying two-dimensional constellation using an underlying square conste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u)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x)에 맵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트 시퀀스들(u)의 수는 신호 포인트들(x)의 수보다 더 크고, 상기 방법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를 위해: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상기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u)의 수를 결정하는 동작 ― 비트 시퀀스들(u)의 수들은 성상도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discrete Gaussian distribution)에 따라 분포됨 ―,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u)에서,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maximal Hamming distance)를 최소화하는, 결정된 수의 비트 시퀀스들(u)을 포함하는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트 시퀀스들의 비-균일 맵핑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METHOD FOR NON-UNIFORM MAPPING OF BIT SEQUENCES AND A CORRESPONDING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격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network)들, 그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이용되는 디지털 신호들의 프로세싱에 관한 것이다.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에서, 변조는, 통신 채널을 통해 물리적으로 전송될 수 있는 다른 신호 내부에서 메시지 신호, 예를 들어, 디지털 비트 스트림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세스이다.
상이한 유형들의 변조 방식들이, 통신 채널을 통해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알려진 변조 방식들, 예를 들어, 8-PAM(8-Puls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16-QAM(16-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은 첫 번째로, 비트 시퀀스들로 지칭되는 복수의 상이한 이진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알파벳을 이용하여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비트 시퀀스들이 n개의 비트들 상에 코딩될 때, 알파벳은, 디지털 비트 스트림을 코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2n개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의 총수를 포함한다. 코딩된 메시지 신호의 각각의 비트 시퀀스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임베딩되는 심볼에 대응하는, 신호 포인트로 지칭되는 이산 값에 추가로 맵핑, 즉 연관 또는 할당된다. 결과적으로, n개의 비트들 상에 코딩된 비트 시퀀스와 신호 포인트 사이의 맵핑은, 대응하는 하나의 심볼만을 전송함으로써 정보의 n개의 비트들을 전송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맵핑에서, 2n개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은, M-관련 성상도(M-ary constellation)로 지칭되는 복수의 M개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된다. 예를 들어, 8-PAM에서, 2n개의 비트 시퀀스들이 8개의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되고, 16-QAM에서, 2n개의 비트 시퀀스들이 16개의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된다.
비트 시퀀스들의 수(2n)가 신호 포인트들의 수(M)와 동일한 경우, 각각의 비트 시퀀스는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 ― 단지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만 ― 맵핑된다. 이러한 경우, 맵핑은 균일 맵핑(uniform mapping)으로 지칭된다. 비트 시퀀스들의 수(2n)가 신호 포인트들의 수(M)보다 더 큰 경우, 하나의 또는 여러 비트 시퀀스들이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 ― 단지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만 ― 맵핑된다. 즉, 적어도 하나의 비트 시퀀스의 하나의 세트가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되고,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은 서로 상이하고 다른 세트들의 비트 시퀀스들과 상이하다. 이러한 경우, 맵핑은 비균일 또는 양자화 맵핑(non-uniform or quantization mapping)으로 지칭된다. 이러한 양자화 맵핑은, 동일한 수의 신호 포인트들을 이용한 균일 맵핑보다 더 많은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맵핑하는 것을 허용하며, 따라서, 변조 방식의 성능을 증가시키고, 결국 통신 채널의 용량의 이용을 최적화한다.
문서 "On the application of LDPC codes to arbitrary discrete-memoryless channels", 2004에서, A. Bennatan 및 D. Burshtein은, BICM-ID(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Iterative Decoding) 시스템으로 지칭되는 알려진 변조 시스템에서 양자화 맵핑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맵핑은 구체적으로, 통신 채널 상에서의 송신의 셰이핑 이득(shaping gain)을 개선하도록, 즉, 평균 전송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이는 첫 번째로,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상기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u)의 수(Nb)를 결정하는 것 ― 비트 시퀀스들(u)의 수들(Nb)은 신호 포인트들(x)의 성상도(constellation)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discrete Gaussian distribution)에 따라 분포되어 있음 ―, 및 두 번째로, 결정된 수(Nb)의 비트 시퀀스(들)(u)를, 자연 증가하는 또는 각각 감소하는 순서(natural increasing or respectively decreasing order)로,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맵핑하는 것 ― 모든 맵핑된 비트 시퀀스들(u)은 상이함 ― 을 포함한다. 이러한 맵핑은 자연 맵핑(natural mapping)으로 지칭된다. 도 1에 의해 예시된 10-PAM 변조 방식을 이용한 맵핑에서, 4개의 비트들 상에 코딩된 16개의 비트 시퀀스들(u)이 M=10 신호 포인트들 x={-9, -7, -5, -3, -1, 1, 3, 5, 7, 9}에 맵핑되는데: 0000 (Nb=1)이 x=-9에 맵핑되고, 0001 (Nb=1)이 x=-7에 맵핑되고, 0010 (Nb=1)이 x=-5에 맵핑되고, 0011 및 0100 (Nb=2)이 x=-3에 맵핑되고, 0101, 0110, 0111 (Nb=3)이 x=-1에 맵핑되고, 1000, 1001, 1010 (Nb=3)이 x=1에 맵핑되고, 1011 및 1100 (Nb=2)이 x=3에 맵핑되고, 1101 (Nb=1)이 x=5에 맵핑되고, 1110 (Nb=1)이 x=7에 맵핑되고, 1111 (Nb=1)이 x=9에 맵핑된다.
그러나, 이러한 솔루션에서, 비트 시퀀스들이 자연 순서(natural order)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되기 때문에, 셰이핑 이득은 최적이 아니다.
오늘날, 통신 채널을 통한 송신의 셰이핑 이득을 최적화하고, 따라서 이러한 원격통신 시스템들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을 허용하는,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을 복수의 신호 포인트들에 효율적으로 맵핑하는 어떠한 솔루션도 존재하지 않는다.
오늘날, 종래의 통신 기반구조들 상에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최적화된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시스템의 목적은 난점들을 극복하고 및/또는 종래 기술을 넘어서는 개선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한 정도로, 본 발명은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트 시퀀스들의 수는 신호 포인트들의 수보다 더 크고, 상기 방법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를 위해:
-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의 수를 결정하는 동작 ― 비트 시퀀스들의 수들은 성상도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에 따라 분포됨 ―,
-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에서,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maximal Hamming distance)를 최소화하는, 결정된 수의 비트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대응하는 결정된 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를 포함하는 선택된 세트는 따라서,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되고, 비트 시퀀스들의 알파벳의 각각의 비트 시퀀스는 맵핑에서 1회만 이용되고, 성상도의 오직 하나의(one and only one) 신호 포인트와 맵핑된다.
2개의 비트 시퀀스들 사이의 해밍 거리는, 상기 2개의 비트 시퀀스들 사이의 상이한 비트들의 수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0000 및 0001은, 단지 마지막 비트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1과 동일한 해밍 거리를 갖고, 0000 및 1111은, 4개의 비트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4와 동일한 해밍 거리를 갖는다. 비트 시퀀스들의 세트 내의 또는 비트 시퀀스들의 세트의 극대 해밍 거리는 세트의 임의의 2개의 비트 시퀀스들 사이의 가장 큰 해밍 거리에 대응한다.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가능한 세트 선택들의 모든 조합 가운데서, 비트 시퀀스들의 각각의 세트의 극대 해밍 거리가 최소화되는 맵핑을 달성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셰이핑 이득을 개선 및 최적화하도록 그리고 원격통신 시스템의 최대 채널 용량에 상당히 가까이 접근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결정하는 동작 다음에,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비트 시퀀스들의 제 1 세트를 선택하는 예비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해밍 거리는 2보다 더 작거나 또는 2와 동일하다.
예비 동작은, 제 1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제 1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추가로 선택된 비트 시퀀스는 제 1 비트 시퀀스와 1 비트만큼만 상이하다. 이는 비트 시퀀스들의 선택된 세트의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은, 성상도에서 제 1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제 2 비트 시퀀스와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제 1 세트 사이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2 세트의 상기 제 2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제 2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이웃 신호 포인트들에 의해, 성상도에서 신호 포인트 직전의 또는 직후의 신호 포인트는, 신호 포인트들의 2차원 매트릭스인 성상도에서 신호 포인트의 바로 좌측, 바로 우측,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의 일련의 연속적인 신호 포인트들 또는 신호 포인트라는 것이 의도된다.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세트 및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세트의 비트 시퀀스 사이의 평균 해밍 거리는, 제 2 세트의 상기 비트 시퀀스와 제 1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 각각 사이의 해밍 거리들의 평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은, 성상도에서 제 1 신호 포인트의 또는 제 2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3 신호 포인트에 대해,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제 1 세트와의, 또는 각각,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제 2 세트와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3 세트의 제 3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제 3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하는 동작은, 모든 비트 시퀀스들이 선택될 때까지, 성상도의 모든 신호 포인트들에 대해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하는 동작은, 선택된 세트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유도하기 위한 제 1 신호 포인트인, 성상도의 신호 포인트들 중 각각의 신호 포인트로부터 시작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하는 동작은, 각각의 선택된 세트들에서 최소 극대 해밍 거리를 갖는 선택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하는 동작은,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평균 해밍 거리들의 최소 평균을 갖는 선택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하는 동작은 각각의 세트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이산 가우스(discrete Gaussian)에 의해, 이산 값들의 가우스 분포에 가까이 접근하는 것이 여기서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결정하는 동작은, 성상도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신호 포인트들을, 상기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될 가장 큰 수들의 비트 시퀀스들과 연관시키는 동작, 및 성상도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신호 포인트들을, 상기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될 가장 작은 수들의 비트 시퀀스들과 연관시키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성상도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각각의 신호 포인트들은 3개의 비트 시퀀스들과 연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결정하는 동작은, 동일한 성상도에 대한 이산 값들의 가우스 분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비트 시퀀스들의 수들의 분포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결정하는 동작은, 비트 시퀀스의 수들의 모든 가능한 이산 가우스 분포들의 결정을 수행하는 동작, 각각의 결정된 분포에 대해, 부가 백색 가우스 잡음 채널(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channel)을 통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의 상호 정보를 계산하는 동작, 및 결정된 분포들 가운데서, 최대 계산 상호 정보(maximum calculated mutual information)를 갖는 분포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비트 시퀀스들의 수는 신호 포인트들의 수보다 더 크고, 상기 디바이스는:
-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 결정 유닛 ― 비트 시퀀스들의 수들은 성상도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에 따라 분포됨 ―,
-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에서,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결정된 수의 비트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구성된 선택 유닛을 포함한다.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이러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기지국, 단말, 서버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 유닛은,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비트 시퀀스들의 제 1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되고, 상기 제 1 세트의 해밍 거리는 2보다 더 작거나 또는 2와 동일하다.
선택 유닛은, 제 1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제 1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추가로 선택된 비트 시퀀스는 제 1 비트 시퀀스와 1 비트만큼만 상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 유닛은, 성상도에서 제 1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제 2 비트 시퀀스와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제 1 세트 사이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2 세트의 상기 제 2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제 2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 유닛은, 성상도에서 제 1 신호 포인트의 또는 제 2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3 신호 포인트에 대해,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제 1 세트와의, 또는 각각,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제 2 세트와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3 세트의 제 3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제 3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 유닛은, 각각의 선택된 세트들에서 최소 극대 해밍 거리를 갖는 선택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 유닛은,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평균 해밍 거리들의 최소 평균을 갖는 선택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선택 유닛은 각각의 세트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은, 성상도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신호 포인트들을, 상기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될 가장 큰 수들의 비트 시퀀스들과 연관시키기 위해, 그리고 성상도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신호 포인트들을, 상기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될 가장 작은 수의 비트 시퀀스들과 연관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은, 동일한 성상도에 대한 이산 값들의 가우스 분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비트 시퀀스들의 수들의 분포를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은, 비트 시퀀스의 수들의 모든 가능한 이산 가우스 분포들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결정된 분포에 대해, 부가 백색 가우스 잡음 채널을 통해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의 상호 정보를 계산하기 위해, 그리고 결정된 분포들 가운데서 최대 계산 상호 정보를 갖는 분포를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단지 예시로 그리고 단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서만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들에서, 같은 부분들은 대응하는 참조 번호들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16개의 비트 시퀀스들과 10개의 신호 포인트들 사이의 양자화 맵핑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2는 변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하고,
도 6은 거의 가우스 이산 결정(near Gaussian discrete determination)의 예를 예시하고,
도 7은 8-PAM 변조를 이용한 종래 기술 양자화 맵핑을 예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8-PAM 변조를 이용한 양자화 맵핑을 예시하고,
도 9는 16-QAM 변조를 이용한 종래 기술 양자화 맵핑을 예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16-QAM 변조를 이용한 종래 기술 양자화 맵핑을 예시하고,
도 11은 8-PAM 변조를 이용한 본 발명에 다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다음은 전형적인 실시예들의 설명들이고, 상기 전형적인 실시예들의 설명들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질 때, 상기 언급된 피쳐들 및 이점들을 증명할 것이고 추가의 것들을 소개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제한보다는 설명의 목적들로, 아키텍처, 인터페이스들, 기법들,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특정 세부사항들이 예시를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세부사항들로부터 벗어나는 다른 실시예들이 여전히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더욱이, 명료함을 위해, 잘-알려진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상세한 설명들은 본 시스템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된다. 더욱이,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라우터들, 서버들, 노드들, 게이트웨이들, 또는 다른 엔티티들은, 그들의 실시가 본 시스템 및 방법의 범주를 넘어서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전형적인 실시예는 이후에, 원격통신 디바이스의 변조 시스템에 대한 전형적인 실시예의 적용에서 기술될 것이다.
부가하여, 도면들은 예시 목적들을 위해 포함되고 본 시스템의 범주를 대표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확히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양자화 맵핑을 이용하여 BICM-ID(Bit-Interleaved Coded Modulation-Iterative Decoding) 방식을 동작시키기 위해 거기에 구성된 변조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데이터의 디지털 신호 스트림은 터보형 인코더(turbo-like encoder)(21)를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인코딩된 데이터(c)는 비트-인터리버(bit-interleaver)(22)에 의해 비트-인터리빙(bit-interleave)되는데, 즉, 통신 채널 상의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불연속 방식(non-contiguous way)으로 배열되고, 그 다음으로, 대응하는 u k 비트 시퀀스들이 양자화 맵핑 유닛(23)에 전송된다.
양자화 유닛(23)은 비트 시퀀스들을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 다음으로, 신호 포인트들에 대응하는 심볼들을 포함하는 신호(X)가 통신 채널(24)을 통해 전송된다.
디지털 비트 스트림에 대한 코딩, 비트-인터리빙, 맵핑을 수행하고, 그 다음으로 통신 채널 상에서 대응하는 심볼들을 전송하는 디바이스는 이미터(emitter)인 반면, 통신 채널로부터 심볼들을 수신하고, 그 다음으로 디코딩,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디맵핑(demapping)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는 수신기이다. 고유 디바이스가 이미터 및 수신기 양측 모두일 수 있다.
수신기에서, 디맵핑은 첫 번째로, 양자화 디맵핑 유닛(25)에 의해, 채널(24)로부터 수신된 신호(Y)에 대해 그리고 터보형 디코더(27)에 의해 출력된 인터리빙된 외부 정보(interleaved extrinsic information)(La)에 대해 수행된다. 외부 LLR(Log Likelihood Ratio) 정보로 지칭되는, 양자화 디맵핑 유닛(25)에 의해 출력된 정보는, 디-비트-인터리버(de-bit-interleaver)(26)에 의해 디-인터리빙되어, 입력 정보로서 터보형 디코더(27)에 전송된다. 터보형 디코더(27)에 의한 디코딩 후에, 출력 외부 LLR 정보가 비트-인터리빙되어, 양자화 디맵핑 유닛(25)에 전송된다. 이러한 반복(iteration) 동작은, 미리 결정된 반복 회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Figure pct00001
는 인코딩 후에 인터리빙된 비트 시퀀스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2
는 예를 들어, 이산-시간 무기억(memoryless) 부가 백색 가우스 잡음 (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AWGN) 채널일 수 있는 채널(24)을 통해 전송될, 양자화 맵핑 후의 심볼 시퀀스를 나타낸다.
양자화 디맵핑 유닛(25)에 의해 수신된 심볼 시퀀스
Figure pct00003
는 다음에 의해 기술될 수 있고:
Figure pct00004
여기서,
Figure pct00005
은 본 명세서에서,
Figure pct00006
에 독립적으로 그리고 동일하게 종속된 각각의 엘리먼트를 갖는 알려진 부가 가우스 잡음 벡터이다.
양자화 디맵핑 유닛(25)은, 수신된 심볼들
Figure pct00007
및 디코더로부터의 대응하는 다음의 선험적인 LLR을 프로세싱하고,
Figure pct00008
다음의 출력 LLR을 발생하고,
Figure pct00009
이는, 터보형 디코더(27)에 의해 외부 정보로서 취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도 3에 의해 예시된 양자화 맵핑 유닛(23)을 포함하고, 상기 양자화 맵핑 유닛(23)은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해 구성되고, 비트 시퀀스들의 수는 신호 포인트들의 수보다 더 크다.
신호 포인트들의 성상도는, 10-PAM 변조 방식에서 신호 포인트들의 1차원 세트, 예를 들어, x={-9, -7, -5, -3, -1, 1, 3, 5, 7, 9} 같은 값들의 시리즈, 또는 16-QAM 변조 방식에서, 각각의 신호 포인트가 x={(3,3),(1,3)(-1,3)(-3,3)(3,1)(1,1)(-1,1)(-3,1)(3,-1)(1,-1)(-1,-1)(-3,-1)(3,-3)(1,-3)(-1,-3)(-3-3)} 같은 값들의 커플에 의해 표현되는 신호 포인트들의 2차원 세트일 수 있다.
양자화 맵핑 유닛(23)은:
-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 결정 유닛(32) ― 비트 시퀀스들의 수들은 성상도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에 따라 분포됨 ―,
-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에서,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결정된 수의 비트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구성된 선택 유닛(34)을 포함한다.
양자화 맵핑이 기술될 것을 알 것이며, 여기서
Figure pct00010
는 크기 M의 신호 성상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는 맵핑과 연관된 확률 질량 함수(probability mass function)이다.
균일 맵핑에서, 비트 시퀀스들이 신호 포인트들에 동일 확률로(equally likely) 맵핑되고, 대응하는 맵핑 분포는
Figure pct00012
로 표현될 수 있다.
양자화 맵핑
Figure pct00013
은,
Figure pct00014
에 맵핑되는 벡터들의 수가
Figure pct00015
이도록, 길이
Figure pct00016
의 이진 벡터들
Figure pct00017
로부터
Figure pct00018
로의 맵핑이다. 간결함을 위해,
Figure pct00019
가 아래에서
Figure pct00020
을 위해 이용된다.
N의 길이를 갖는 벡터
Figure pct00021
에 대한 양자화 맵핑 분포는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Figure pct00022
결과적으로,
Figure pct00023
가 비균일 분포를 따르는 경우,
Figure pct00024
가 또한 비균일 분포를 따른다.
양자화 맵핑은 10-PAM 변조에 대해 도 1에 의해 예시되고,
Figure pct00025
,
Figure pct00026
, 및 맵핑 패턴은, 종래 기술에서 이용된 자연 오름 차순(natural ascending order)
Figure pct00027
을 보여준다.
이러한 예에서, 양자화 맵핑 분포 함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28
이러한 예에서, 신호 포인트 -3에 맵핑되는 벡터들, 즉 비트 시퀀스들의 수는 이고, 신호 포인트 1에 맵핑되는 비트 시퀀스들의 수는
Figure pct0003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것을 허용하며, 비트 시퀀스들의 수는 신호 포인트들의 수보다 더 크다.
동작(E10)에서,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의 수가 첫 번째로 결정된다. 비트 시퀀스들의 수들은 성상도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에 따라 분포된다.
동작(E20)에서,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대해, 비트 시퀀스들의 세트가,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 가운데서 선택되고, 상기 세트는,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되는 모든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결정된 수의 비트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모든 비트 시퀀스들을 각각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하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맵핑에서, 세트의 비트 시퀀스는 세트의 임의의 다른 비트 시퀀스와 상이하고, 비트 시퀀스들의 임의의 다른 세트의 임의의 다른 비트 시퀀스와 또한 상이하다. 일단 맵핑되면, 여러 비트 시퀀스들이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 연관될 수 있지만,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의 각각의 비트 시퀀스는 성상도의 오직 하나의 신호 포인트와 맵핑된다.
그러므로, 동작(E10)은, 이용되는 성상도의 신호 포인트들의 확률 질량 함수가 이산 가우스 분포에 접근하도록 허용하고, 동작(E20)은 신호 포인트와 연관된 각각의 세트에서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예시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2b개의 신호 포인트들을 갖는 1차원 성상도 세트가 이용된다. 8개의 비트 시퀀스들에 대해 b=2, 즉 4개의 신호 포인트들(A, B, C, D)을 갖는 성상도(61)의 예가 도 6 상에 예시된다.
첫 번째로, 동작(E11)에서, 확률 질량이 이들 포인트들에 대해 거의 없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도 6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1 비트 시퀀스가 성상도(62)의 주변(marginal) 신호 포인트들, 즉, 2개의 엔드들에 연관된다.
그 다음으로, 동작(E12)에서, 도 6에 의해 예시된 예에서, 연관된 비트 시퀀스들의 총수에 도달할 때까지, 즉, 8까지, 이들 중앙 포인트들에 대한 확률 질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 많은 수들의 비트 시퀀스들이 성상도의 중앙에 접근하는 신호 포인트들에 연관된다.
동작(E13)에서, 동작들(E11 및 E12)의 조건을 충족하는 모든 이산 확률 분포들이 탐색될 수 있다.
동작(E14)에서, 탐색된 모든 가능한 확률 분포들에 따라, 부가 백색 가우스 잡음(AWGN) 채널을 통해 입력 신호 X와 출력 신호 Y 사이의 상호 정보 I(X;Y)가 계산될 수 있다. 2개의 랜덤 변수들의 상호 정보는 2개의 랜덤 변수들의 상호 의존(mutual dependence)을 측정하는 양(quantity)이다.
그 다음으로, 극대 상호 정보를 갖는 분포가 동작(E15)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분포는 최근접 이산 가우스 분포(nearest discrete Gaussian distribution)이다.
예를 들어, 도 6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분포(63)는, 포인트들(A 및 D)이 Nb=1 비트 시퀀스에 추가로 맵핑될 수 있는 것 및 포인트들(B 및 C)이 Nb=3 비트 시퀀스들에 추가로 맵핑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일단 최적의 분포가 선택되었으면, 비트 시퀀스들은, 최적의 분포에서,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결정되었던 비트 시퀀스들(u)의 수들(Nb)에 따라 신호 포인트들에 추가로 맵핑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비트 시퀀스(들)의 세트가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다. 첫 번째로, 도 6과 관련하여, 동작(E21)에서, 제 1 비트 시퀀스가, 임의의 하나의 신호 포인트, 예를 들어, 포인트 B에 대해 선택된다. 그 다음으로, 필요한 경우, 동작(E22)에서, 동작(E15)에서 선택된 분포에 따라, 대응하는 제 1 신호 포인트와 연관된 세트에 대해 비트 시퀀스들의 결정된 수에 도달할 때까지 더 많은 비트 시퀀스들이 선택되며, 세트의 다른 선택된 비트 시퀀스들의 각각의 비트 시퀀스는 동작(E21)에서 선택된 제 1 비트 시퀀스와 단지 하나의 상이한 비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 6에 의해 예시된 예에서, 그 다음으로, 둘 또는 셋 이상의 비트 시퀀스들이 포인트 B와 연관된 비트 시퀀스들의 세트에 대해 선택되고, 그 각각은 동작(E21)에서 선택된 제 1 비트 시퀀스와 단지 하나의 상이한 비트를 갖는다. 동작(E22)은 세트 내의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단 비트 시퀀스들의 세트가 제 1 신호 포인트 ― 이러한 예에서는, 도 6과 관련하여, 포인트 B ― 에 대해 선택되었다면, 동작(E23)에서, 임의의 신호 포인트가 비트 시퀀스들의 세트에 아직 맵핑되지 않았는지가 체크된다. 그러한 경우, 비트 시퀀스들의 새로운 세트가, 제 1 신호 포인트에 이웃하는 제 2 신호 포인트 ― 예를 들어, 도 6과 관련하여, 포인트 C ― 에 대해 선택될 것이다.
이를 위해, 맵핑된 신호 포인트와 연관된 세트의 아직 선택되지 않았던 비트 시퀀스가, 동작(E21)에서, 제 2 신호 포인트(예를 들어, 도 6과 관련하여, 포인트 C)에 대해 선택된다. 세트가, 이웃 신호 포인트, 즉,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이전에 선택되었기 때문에, 동작(E22)은 여기서,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제 1 신호 포인트(도 6과 관련하여, B)에 대해 선택된 세트, 즉, 제 1 세트 내의 모든 각각의 비트 시퀀스와 선택된 상기 새로운 비트 시퀀스 사이의 상이한 비트들의 수, 즉,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동작(E22)은 여기서,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비트 시퀀스와 제 1 세트 사이의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비트 시퀀스와 세트 사이의 해밍 거리는, 비트 시퀀스와 제 1 세트의 각각의 비트 시퀀스 사이의 평균 해밍 거리에 대응한다.
존재하는 경우, 비트 시퀀스들의 모든 세트들이 성상도의 모든 신호 포인트들에 대해 선택될 때까지(동작(E23)), 예를 들어, 도 6에 의해 예시된 예에서, 4개의 세트들(즉, 8개의 비트 시퀀스들)이 4개의 신호 포인트들(A, B, B, D)에 대해 선택될 때까지, 동작들(E21 및 E22)이 제 3 신호 포인트에 대해, 그리고 그 다음으로, 성상도의 나머지 신호 포인트들에 대해 수행된다. 이는, 모든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포함하는 선택을 발생하는 것, 즉, 모든 신호 포인트들에 대한 모든 비트 시퀀스들의 맵핑을 발생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 다음으로, 각각의 세트 내의 그리고 고정된 성상도의 세트들 사이의 해밍 거리가 동작(E24)에서 계산될 수 있다.
동작들(E21 내지 E24)은, 복수의 발생된 세트 선택들을 달성하기 위해 성상도의 모든 각각의 신호 포인트가 제 1 신호 포인트로서 이용될 때까지(동작(E25)), 상이한 제 1 신호 포인트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도 6에 의해 예시된 예에서, 포인트 B보다는 포인트 A로부터 시작하여, 반복될 수 있다.
발생된 선택들 가운데서, 세트들 가운데서, 즉, 각각의 세트에서 가장 작은 극대 해밍 거리를 갖는, 또는 각각의 세트의 해밍 거리 평균들 중 가장 작은 평균을 갖는, 발생된 선택 하나, 또는 발생된 선택들 중 하나가 최적의 선택으로서 동작(E26)에서 선택될 수 있어서, 최적화된 선택이 대응하는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된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맵핑을 예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한 맵핑을 예시한다. 예들 양측 모두에서, 8-PAM 양자화 맵핑이 신호 포인트들 x={-7, -5, -3, -1, 1, 3, 5, 7}와 함께 이용되고, 신호 포인트들 x=-7, -5, 5 및 7이 하나의 비트 시퀀스(u)와 맵핑되고, 신호 포인트들 x=-3,-1, 1 및 3이 3개의 비트 시퀀스들(u)과 맵핑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시, 신호 포인트 x=-3과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1011은, 세트 1010 및 1001의 2개의 다른 비트 시퀀스들과 단지 1 비트 차이만을 갖는다.
이웃 신호 포인트 x=-5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1000이(및 단지 제 1 비트 시퀀스 1000만이), 2와 동일한, 선택된 세트(1011, 1010, 1001)와의 해밍 거리, 및 1과 동일한, 신호 포인트 x=-7에 연관된 세트의 비트 시퀀스 1100과의 해밍 거리를 갖는다.
신호 포인트 x=-1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1111은, 동일한 선택된 세트에 있는 1110 및 1101과 단지 1 비트 차이만을 갖고, 이에 대해 극대 해밍 거리는 Dmax=2이다(1101과 1110 사이의 해밍 거리). 신호 포인트 x=-1(신호 포인트x=-3의 이웃)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1111은, 1011과 단지 1 비트 차이만을, 1010과 2 비트들 차이를, 그리고 1001과 2 비트들 차이를 가지며, 즉, 선택된 세트(1011, 1010, 1001)와의 해밍 거리는 (1+2+2)/3=5/3와 동일하다.
이웃 신호 포인트 x=1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0111은, 동일한 선택된 세트에 있는 0110 및 0101과 단지 1 비트 차이만을 갖고, 이에 대해, 극대 해밍 거리는 Dmax=2이다(0101과 0110 사이의 해밍 거리).
신호 포인트 x=1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0111은, 1111과 단지 1 비트 차이만을, 1110과 2 비트들 차이를, 그리고 1101과 2 비트들 차이를 가지며, 즉, 선택된 세트(1111, 1110, 1101)와의 해밍 거리는 (1+2+2)/3=5/3과 동일하다.
이웃 신호 포인트 x=3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0011은, 동일한 선택된 세트에 있는 0010 및 0001과 단지 1 비트 차이만을 갖고, 이에 대해, 극대 해밍 거리는 Dmax=2이다(0010과 0001 사이의 해밍 거리).
신호 포인트 x=1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0011은, 0111과 단지 1 비트 차이만을, 0110과 2 비트들 차이를, 그리고 0101과 2 비트들 차이를 가지며, 즉, 선택된 세트(0111, 0110, 0101)와의 해밍 거리는 (1+2+2)/3=5/3과 동일하다.
이웃 신호 포인트 x=5에 연관된 세트의 제 1 비트 시퀀스 0000이(및 단지 제 1 비트 시퀀스 0000만이), 2와 동일한, 선택된 세트(0011, 0010, 0001)와의 해밍 거리, 및 1과 동일한, 신호 포인트 x=7에 연관된 세트의 비트 시퀀스 0100과의 해밍 거리를 갖는다.
이러한 세트들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된 선택들의 조합들 가운데서의 선택이고, 이는, 복수의 세트들 중 각각의 세트 내의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며, 각각의 세트는 성상도의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 연관되거나 또는 성상도의 하나의 신호 포인트에 맵핑된다.
도 7에 의해 예시된 종래 기술 양자화 맵핑을 이용시, 극대 해밍 거리(Dmax)는 비트 시퀀스들(u)의 세트들 가운데서 3이지만, 도 8에 의해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양자화 맵핑을 이용시, 극대 해밍 거리(Dmax)는 비트 시퀀스들(u)의 세트들 가운데서 2이다.
더욱이, 도 7에 의해 예시된 종래 기술 양자화 맵핑을 이용시, 평균 해밍 거리(Dave)는 2개의 세트들에 대해 2와 동일하고, 2개의 다른 세트들에 대해 4/3와 동일하지만, 도 8에 의해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양자화 맵핑을 이용시, 평균 해밍 거리(Dave)는 각각의 세트에 대해 4/3와 동일하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맵핑을 예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한 맵핑을 예시한다. 예들 양측 모두에서, 16-QAM 양자화 맵핑이 이용된다. 도 9에 의해 예시된 종래 기술 양자화 맵핑을 이용시, 극대 해밍 거리(Dmax)는 비트 시퀀스들(u)의 세트들 가운데서 3이지만, 도 8에 의해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양자화 맵핑을 이용시, 극대 해밍 거리(Dmax)는 비트 시퀀스들(u)의 세트들 가운데서 2이다.
도 11은 Eb/No(energy to noise ratio)의 BER(Bit Error Rate) 함수의 성능 시뮬레이션을 예시한다. 시뮬레이션에서, AWGN 채널 상에서 8-PAM 변조 방식과 함께, 이진 LDPD 레이트-1/2, [9216, 4608] 채널 코드가 이용된다. 시뮬레이션은 8-PAM 시그널링을 이용함으로써, 종래 기술 양자화 맵핑보다 약 0.5 ㏈의 이득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결국, 동일한 송신 파워를 이용하여 BER 성능이 개선되고, 더 높은 스펙트럼 효율성이, 동일한 또는 더 낮은-차수의 변조에 기초하여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u)을 성상도(constellation)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x)에 맵핑하는 방법으로서,
    비트 시퀀스들(u)의 수(Nb)는 신호 포인트들(x)의 수(M)보다 더 크고,
    상기 방법은,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를 위해,
    상기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상기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u)의 수(Nb)를 결정하는 동작 ― 상기 비트 시퀀스들(u)의 수들(Nb)은 상기 성상도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discrete Gaussian distribution)에 따라 분포됨 ―,
    상기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u)에서, 상기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maximal Hamming distance)를 최소화하는, 상기 결정된 수(Nb)의 비트 시퀀스들(u)을 포함하는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하는 동작 다음에,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비트 시퀀스들의 제 1 세트를 선택하는 예비 동작 ― 상기 제 1 세트의 해밍 거리는 2보다 더 작거나 또는 2와 동일함 ―
    을 더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은, 제 1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제 1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상기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추가로 선택된 비트 시퀀스는 상기 제 1 비트 시퀀스와 단지 1 비트만큼만 상이한,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성상도에서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제 2 비트 시퀀스와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상기 제 1 세트 사이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2 세트의 제 2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제 2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상기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성상도에서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의 또는 상기 제 2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3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상기 제 1 세트와의, 또는 각각, 상기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상기 제 2 세트와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3 세트의 제 3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제 3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상기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를 선택하는 동작은, 모든 비트 시퀀스들이 선택될 때까지, 상기 성상도의 모든 신호 포인트들에 대해 수행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동작은, 선택된 세트들의 복수의 선택들을 유도하기 위한 제 1 신호 포인트인, 상기 성상도의 상기 신호 포인트들 중 각각의 신호 포인트로부터 시작하여 수행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동작은 각각의 선택된 세트들에서 최소 극대 해밍 거리(minimum maximal Hamming distance)를 갖는 선택을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는 방법.
  9.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u)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x)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로서,
    비트 시퀀스들(u)의 수(Nb)는 신호 포인트들(x)의 수(M)보다 더 크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상기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맵핑될 비트 시퀀스들(u)의 수(Nb)를 결정하기 위해 구성된 결정 유닛(32) ― 상기 비트 시퀀스들(u)의 수들(Nb)은 상기 성상도 가운데서 이산 가우스 분포에 따라 분포됨 ―,
    상기 복수의 비트 시퀀스들(u)에서, 상기 성상도의 각각의 신호 포인트(x)에 대해, 선택된 세트들 가운데서 극대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상기 결정된 수(Nb)의 비트 시퀀스들(u)을 포함하는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구성된 선택 유닛(34)
    을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32)은,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비트 시퀀스들의 제 1 세트를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되는 ― 상기 제 1 세트의 해밍 거리는 2보다 더 작거나 또는 2와 동일함 ―,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32)은, 제 1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제 1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상기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되고,
    각각의 추가로 선택된 비트 시퀀스는 상기 제 1 비트 시퀀스와 단지 1 비트만큼만 상이한,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32)은, 상기 성상도에서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제 2 비트 시퀀스와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상기 제 1 세트 사이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2 세트의 제 2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제 2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상기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32)은, 상기 성상도에서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의 또는 상기 제 2 신호 포인트의 이웃 신호 포인트인 제 3 신호 포인트에 대해, 상기 제 1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상기 제 1 세트와의, 또는 각각, 상기 제 2 신호 포인트에 대해 선택된 상기 제 2 세트와의 평균 해밍 거리를 최소화하는, 제 3 세트의 제 3 비트 시퀀스를 선택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제 3 세트의 비트 시퀀스들의 상기 결정된 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많은 비트 시퀀스들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유닛(32)은, 각각의 선택된 세트들에서 최소 극대 해밍 거리를 갖는 선택을 선택하기 위해 더 구성되는,
    복수의 상이한 비트 시퀀스들을 성상도의 복수의 상이한 신호 포인트들에 맵핑하기 위한 원격통신 네트워크의 디바이스.
  15.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갖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47021075A 2011-12-27 2012-12-14 비트 시퀀스들의 비-균일 맵핑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KR102026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CN2011/084725 2011-12-27
PCT/CN2011/084725 WO2013097088A1 (en) 2011-12-27 2011-12-27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bit sequences
PCT/IB2012/002923 WO2013098640A2 (en) 2011-04-02 2012-12-14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bit seque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451A true KR20140117451A (ko) 2014-10-07
KR102026746B1 KR102026746B1 (ko) 2019-11-04

Family

ID=4869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1075A KR102026746B1 (ko) 2011-12-27 2012-12-14 비트 시퀀스들의 비-균일 맵핑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58157B2 (ko)
EP (1) EP2798807B1 (ko)
JP (1) JP6138153B2 (ko)
KR (1) KR102026746B1 (ko)
WO (1) WO2013097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394A (ko) * 2013-11-29 2016-07-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1918B2 (ja) * 2017-03-16 2019-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信号整形装置、整形終端装置、信号整形方法および光伝送方法
US10069519B1 (en) * 2018-01-23 2018-09-0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artition based distribution matcher for probabilistic constellation shaping
US10938485B2 (en) 2019-04-18 2021-03-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rror control coding with dynamic ranges
US10897315B2 (en) * 2019-04-18 2021-01-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based decoding of data received over an optical communication path
US10873393B2 (en) 2019-04-18 2020-12-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eiver training for throughput increases in optical communications
US10892847B2 (en) 2019-04-18 2021-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lind detection model optimization
US10998982B2 (en) 2019-04-18 2021-05-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ransmitter for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0951342B2 (en) 2019-04-18 2021-03-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0911155B2 (en) 2019-04-18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 for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0911152B2 (en) * 2019-04-18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based decoding of data received over an optical communication path
US10862591B1 (en) 2019-04-18 2020-1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equal decision regions for throughput increases for optical communications
US11018776B2 (en) 2019-04-18 2021-05-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based decoding of data received over an optical communication pat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1804A (ja) * 1997-06-19 2011-03-24 Qualcomm Inc 直交周波数分割多重通信方式によるデジタル信号の送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8784B2 (en) * 2003-10-02 2006-08-08 Nokia Corporation Coded modulation for partially coherent systems
JP3875693B2 (ja) * 2004-03-24 2007-01-31 株式会社東芝 Lpc符号を用いた符号化ビットのマッピング方法及び送信装置
JP4472473B2 (ja) * 2004-09-13 2010-06-02 富士通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7649956B2 (en) * 2004-10-27 2010-01-19 Nec Corporation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ystem, modulator, demodulator and phase modulation method and phase demodulation method used therefor
EP1931511A4 (en) * 2005-10-06 2013-12-04 Signext Wireless Ltd MULTIPLE ACCESS COMPRISING A COMMON CONSTELLATION
RU2384960C2 (ru) * 2005-10-21 2010-03-20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модуляции и демодуляции, устройство модуля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емодуляции
US7667747B2 (en) * 2006-03-15 2010-02-23 Qualcomm Incorporated Processing of sensor values in imaging systems
US8185811B2 (en) * 2007-08-17 2012-05-22 Kan Ling Capital, L.L.C. Robust joint erasure marking viterbi algorithm decoder
JP2011130152A (ja) * 2009-12-17 2011-06-30 Panasonic Corp 多値符号化装置および多値符号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61804A (ja) * 1997-06-19 2011-03-24 Qualcomm Inc 直交周波数分割多重通信方式によるデジタル信号の送信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mir Bennatan 외 1인, Design and Analysis of Nonbinary LDPC Codes for Arbitrary Discrete-Memoryless Channel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THEORY, VOL. 52, NO. 2, FEBRUARY 200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394A (ko) * 2013-11-29 2016-07-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7088A1 (en) 2013-07-04
US20140376665A1 (en) 2014-12-25
JP6138153B2 (ja) 2017-05-31
EP2798807B1 (en) 2019-05-01
KR102026746B1 (ko) 2019-11-04
US9258157B2 (en) 2016-02-09
JP2015506616A (ja) 2015-03-02
EP2798807A2 (en)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746B1 (ko) 비트 시퀀스들의 비-균일 맵핑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Valenti et al. Constellation shaping for bit-interleaved LDPC coded APSK
US8051355B2 (en) Multilevel low density parity-check coded modulation
JP5644011B2 (ja) 低密度パリティ検査符号を使用する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符号化の方法並びにその装置
TWI401892B (zh) 在使用低密度同位檢查碼的通訊系統中的通道編碼與解碼的方法及其裝置
WO2008034289A1 (en) Bit mapping scheme for an ldpc coded 32apsk system
US20090245432A1 (en) Communication system
İşcan et al. Probabilistic shaping using 5G new radio polar codes
KR100924526B1 (ko) 부분적 코히어런트 시스템을 위한 부호화 적용 변조기법
KR20220085049A (ko) 멀티-레벨 인코딩을 위한 장치
CN113508542A (zh) 使用pscm方案的发射机及传输方法
İşcan et al. Sign‐bit shaping using polar codes
CN108306714B (zh) 一种高阶调制下lt码解调译码方法
CN1770674B (zh) 一种度量值生成器、计算符号度量值的方法和通信设备
KR101503656B1 (ko) 저밀도 패리티 검사 부호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0100075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data for transmission channels
WO2019197037A1 (en) Multi-level encoder and decoder with shaping and methods for multi-level encoding and decoding with shaping
US20230155680A1 (en) Modulation and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Demodulation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3098640A2 (e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bit sequences
US83258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s with unbalanced codebooks
İşcan et al. Polar codes with integrated probabilistic shaping for 5G new radio
Valenti et al. Constellation shaping for bit-interleaved coded APSK
İşcan et al. Probabilistically shaped multi-level coding with polar codes for fading channels
CN104094572B (zh) 用于映射比特序列的方法和系统
WO2008034288A1 (en) Bit mapping scheme for an ldpc coded 16aps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