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7103A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17103A KR20140117103A KR1020130032062A KR20130032062A KR20140117103A KR 20140117103 A KR20140117103 A KR 20140117103A KR 1020130032062 A KR1020130032062 A KR 1020130032062A KR 20130032062 A KR20130032062 A KR 20130032062A KR 20140117103 A KR20140117103 A KR 201401171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elastic
- container body
- coupling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6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 B65D2543/00074—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 B65D2543/00101—Shape of the outer periphery curved square-like or rectangular-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는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가 그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커버플레이트와, 탄성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용기본체에 결합할 때, 탄성부는 탄성 변형되어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킹을 삽입하기 위한 홈을 구비하지 않아서 단순한 구조를 갖는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음식물의 보관 기간을 늘리고 위생적인 보관을 위해서 밀폐용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밀폐용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2) 및 용기본체(16)로 구성되어 있으며, 커버(12)의 둘레에는 결합날개(14)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본체(16)의 둘레에는 네 개의 결합날개(14)가 걸리게 되는 걸림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날개(14)가 걸림단턱(18)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된다.
그리고 밀폐용기(10)는 커버(12)의 내부에 패킹(20)을 구비하고 있다. 패킹(20)은 커버(12)가 용기본체(16)에 결합하는 경우, 양자 사이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패킹(20)은 커버(12)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패킹홈에 삽입된다.
밀폐용기(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패킹(20)과, 패킹(20)이 삽입되는 홈(도면부호 없음) 부분이 가장 오염이 심하게 발생한다. 특히, 밀폐용기(10)에 음식물을 보관하는 경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액체 등이 패킹(20)이 삽입되는 홈 부분으로 유입되어서 굳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밀폐용기(10)는 패킹(20)을 커버(12)에서 분리해서 패킹(20) 및 패킹(20)이 삽입되는 패킹홈을 세척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용기(10)는 커버(12)에서 패킹(20)을 분리하거나 결합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다. 즉, 종래의 밀폐용기(10)의 커버(12)에서 패킹(20)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분리해야 하고, 패킹(2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좁게 형성된 패킹홈에 패킹(20)을 끼워 맞춰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패킹 및 패킹홈은 그 폭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도 어렵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특히, 패킹홈은 커버(12)의 가장자리 전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20)의 결합 및 분리가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패킹을 삽입하는 패킹홈을 구비하지 않아서 단순한 구조를 갖는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의 커버는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가 그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커버플레이트와, 탄성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용기본체에 결합할 때, 탄성부는 탄성 변형되어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부는 커버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에 비해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는 탄성홈 및 탄성면을 포함하고, 탄성면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부의 하면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고 테두리부와 이중 사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 전체는 탄성부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날개를 추가로 포함하고, 테두리부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는 커버외측면 및 커버내측면을 구비하며, 커버외측면 및 커버내측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결합날개가 용기본체에 결합할 때, 탄성부재는 가압되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결합날개가 구비된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저장용기는 상기의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밀폐력을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패킹 및 패킹홈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구성이 간소한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장용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가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저장용기의 커버가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그리고 내측, 외측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는 각각 도 2의 AA선에 따른 커버(120) 및 저장용기(10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커버(120) 및 용기본체(160)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별도의 패킹(도시하지 않음) 및 패킹을 삽입하기 위한 패킹홈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커버(12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부(1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탄성부(124)가 용기본체(160)와의 결합시에 탄성 변형되면서 패킹을 대신하여 밀폐력을 제공한다. 탄성부(124)는 커버(120)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별도의 패킹 및 패킹홈을 구비하지 않고, 자체의 형상에 의해서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그 구성이 간소하여 사용 및 세척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는 커버플레이트(122) 및 테두리부(132)를 갖는다.
커버플레이트(122)는 커버(122)의 상면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용기본체(16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커버플레이트(122)는 일정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그 가장자리 부분에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124)는 커버플레이트(122)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서 일정한 탄성을 갖는 부분에 해당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2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할 때, 탄성부(124)는 용기본체(160)의 상단부(162)를 가압하면서 탄성 변형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탄성부(124)는 탄성홈(126) 및 탄성면(128)을 포함한다.
탄성홈(126)은 커버플레이트(122)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테두리부(132)와 연결된다. 커버플레이트(122)의 다른 부분과 테두리부(132)는 탄성홈(126)을 형성하는 탄성면(128)에 비해 다소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플레이트(122) 및 테두리부(132)는 동일한 재질을 갖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다만 탄성부(124) 부분만 그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탄성을 부여할 수 있다.
탄성면(128)은 커버플레이트(122) 및 테두리부(132)에 비해서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하면, 탄성면(128)은 용기본체(160)의 상단부와 접하면서 탄성 변형되어 밀폐력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는 탄성면(128)이 하향 돌출된 원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탄성면(128)은 탄성 변형되어 밀폐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탄성면(128)은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향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132)는 커버(120)의 가장자리 부분 및 테두리 부분을 형성한다. 테두리부(132)는 일정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탄성부(124)가 용기본체(160)와의 결합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어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테두리부(132)의 측면에는 결합날개(13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결합날개(136)는 그 내측면에 결합돌기(138)를 갖는다. 결합돌기(138)는 용기본체(16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64)와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120)가 용기본체(160)에 결합하게 된다.
용기본체(160)는 일정한 부피의 내부공간을 갖고, 그 내부공간에 음식물, 약품, 액세서리, 각종 부품 등 다양한 물건이 수납된다. 용기본체(160)의 측면에는 결합돌기(164)가 형성되어, 커버(120)의 결합날개(136)에 구비된 결합돌기(138)와 결합한다. 그리고 용기본체(160)의 상단부(162)는 커버(120)의 탄성부(124)에 의해 하향 가압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는 사각 형상을 갖고, 커버(120)가 그 네 개의 측면에 결합날개(136)를 구비하여 용기본체(160)와 결합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저장용기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의 커버는 용기본체에 다수 개의 결합날개에 의한 결착 방식이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드(slide) 방식에 의해 용기본체와 결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224)가 두께가 얇은 홈 형상을 갖는 것이 아니라,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에 의해 커버플레이트(222)의 다른 부분 및 테두리부(232)와 이중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커버(22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탄성부(224)는, 커버(220)가 용기본체(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할 때 탄성 변형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도 패킹 및 패킹을 삽입하기 위한 패킹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세척이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커버(220)는 커버플레이트(222) 및 테두리부(232)를 갖는다.
커버플레이트(222)는 커버(220)의 중앙 부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용기본체(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커버플레이트(222)는 일정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플레이트(22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224)는 커버플레이트(222)의 다른 부분(즉, 일정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등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에 비해 탄성이 높은 재질 즉, 실리콘 또는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부(224)는, 커버(220)가 용기본체와 결합할 때, 용기본체의 상단부와 접촉하면서 탄성 변형되어 밀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224)는 커버플레이트(222)의 다른 부분 및 테두리부(232)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이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232)는 커버(220)의 가장자리 부분 및 테두리 부분을 형성한다. 테두리부(232)는 일정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탄성부(224)가 용기본체(도시하지 않음)와의 결합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어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거나 미세하게 탄성 변형된다.
테두리부(232)의 측면에는 결합날개(23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결합날개(236)는 그 내측면에 결합돌기(238)를 갖는다. 결합돌기(238)는 용기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도시하지 않음, 도 4의 도면부호 164 참조)와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커버(220)가 용기본체에 결합하게 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220)의 커버플레이트(222)는, 용기본체의 상단부(도 4의 도면부호 162 참조)와 접하는 탄성부(224) 부분만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플레이트 전체가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을 갖는 커버플레이트는 일정한 강성을 갖는 테두리부(232)와 이중 사출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3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32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3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와 유사하고 다만, 탄성부(324)의 탄성면(328)의 하면에 탄성부재(329)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탄성부재(329)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이 높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용기본체(도시하지 않음)의 상단부(도 4의 도면부호 162 참조)와 접하면서 탄성부(324)와 함께 탄성 변형되어 강화된 밀폐력을 제공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320)는 커버플레이트(322) 및 테두리부(332)를 갖는다.
커버플레이트(32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탄성면(328)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홈(3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332)는 그 측면에 결합날개(336)를 포함한다. 또한, 결합날개(336)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33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커버플레이트(322) 및 테두리부(33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의 커버플레이트(122) 및 테두리부(132)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320)의 테두리부(332)는 커버측면(334)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측면(334)은 커버(320)의 둘레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탄성면(328)의 하면에는 탄성부재(329)가 결합되어 있다. 탄성부재(329)는 실리콘 패드를 융착시키거나 또는 실리콘 코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탄성부재(329)는 커버(320)의 밀폐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 및 커버(4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예시된 저장용기(400)의 커버(420)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는, 도 2 내지 도 4에 예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00) 및 커버(120)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다만 결합날개(436) 부분에 탄성부재(435)를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는 커버(420) 및 용기본체(460)를 포함한다.
커버(420)는, 탄성부(424)를 갖는 커버플레이트(422)와, 결합날개(436)를 갖는 테두리부(432)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120)에서 탄성부(124)를 갖는 커버플레이트(122)와 결합날개(136)를 갖는 테두리부(132)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420)의 테두리부(432)에는 탄성부재(435)를 삽입할 수 있는 커버외측면(433) 및 커버내측면(434)을 구비한다.
커버외측면(433) 및 커버내측면(434)은 테두리부(432)의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하향 돌출된 것으로, 그 사이에 형성되는 홈(도면부호 없음)에는 탄성부재(435)가 삽입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35)는, 커버(420)가 용기본체(460)와 결합할 때, 용기본체(460)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464)와 접하면서 탄성적으로 수축된다. 수축된 탄성부재(435)는 결합돌기(438)와 결합돌기(464)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435)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과 같이 일반적인 플라스틱 수지에 비해 탄성이 높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외측면(433) 및 커버내측면(434)은 커버(420)의 가장자리 중에서, 결합날개(436)가 형성된 부분에 한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용기본체(460)의 결합돌기(464)와 결합하는 결합날개(436)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420)의 탄성부재(435)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460)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탄성부재(435)가 결합날개(436)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탄성부재(435)는 커버(420)의 둘레 전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 및 커버(5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저장용기(500)의 커버(52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용기본체(56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의 커버(520)는, 용기본체(560)에 다면(예를 들면, 4면) 결착 방식에 의해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슬라이드(slide) 방식에 의해 결합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커버(520)에는 하나의 결합날개(536)가 구비되어 있고, 결합날개(536)의 회전에 의해 커버(520)가 측방향(도 10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반대편에 형성된 걸림부(542)가 걸리게 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500) 및 커버(520)는, 도 7 내지 도 8에 예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400) 및 커버(42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다만 커버(520)의 측면에 하나의 결합날개(536) 및 걸림부(542)를 구비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커버(520)는, 탄성부(524)를 구비하는 커버플레이트(522) 그리고 하나의 결합날개(536)를 구비하는 테두리부(532)를 포함한다.
커버플레이트(52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두께가 얇게 형성된 탄성부(524)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524)는 두께가 얇아서 탄성 변형이 용이한 탄성면(528) 및 탄성홈(526)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면(528)에는, 용기본체(560)의 상단부(562)의 형상에 대응하는 함몰면(53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함몰면(539)는 밀폐력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테두리부(532)의 측면에는 하나의 결합날개(53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결합날개(536)는 그 내측에 결합돌기(538) 및 가압돌기(540)를 갖는다. 결합돌기(538)는 용기본체(56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564)와 결합하여, 커버(520)가 용기본체(560)에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가압돌기(540)는,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해서 결합돌기(564)와 접하면서 커버플레이트(522)를 측방향(도 9에서는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는 지렛대의 중심 역할을 하고, 이때 결합날개(536)는 지렛대 역할을 한다.
테두리부(532)에는 커버외측면(533) 및 커버내측면(53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외측면(533) 및 커버내측면(534)의 사이에는 높은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535)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535)는 커버(52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결합날개(536)가 형성된 부분에 위치하고 결합돌기(564)를 가압하면서 결합날개(536)의 결합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542)는 결합날개(536)에 대향하는 커버(520)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그 단부에는 걸림돌기(544)가 형성되어 있다. 도 9와 같이 결합날개(536)의 가압돌기(540)가 결합돌기(564)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커버플레이트(522)를 측방향으로 당기면, 걸림부(542)도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결합돌기(564)에 걸리게 된다.
커버(520)의 가장자리 부분 중에서, 결합날개(536) 및 걸림부(542)가 형성된 부분에는 탄성부재(535)가 위치하고 있다. 탄성부재(535)는 결합날개(536)가 용기본체(560)의 결합돌기(564)와 결합하는 경우, 탄성 수축하면서 결합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520)의 탄성부재(535)는 도 9 내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560)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내용물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리고 탄성부재(535)가 결합날개(536)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520)의 결합날개(536) 내측에는 가압돌기(5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가압돌기(540)를 구비하지 않고 결합과정에서 커버(520)를 측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즉, 결합날개(536)의 내측면이 결합돌기(564)과 접하면서 커버플레이트(522) 및 테두리부(532)를 측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400, 500: 저장용기
120, 220, 320, 420, 520: 커버
124, 224, 324, 424, 524: 탄성부
160, 460, 560: 용기본체
120, 220, 320, 420, 520: 커버
124, 224, 324, 424, 524: 탄성부
160, 460, 560: 용기본체
Claims (9)
- 용기본체와 결합하는 저장용기의 커버로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가 그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탄성부의 둘레에 형성되고 일정한 강성을 갖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할 때, 상기 탄성부는 탄성 변형되어서 밀폐력을 제공하는 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다른 부분에 비해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홈 및 탄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면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하면에는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정한 탄성력을 갖고 상기 테두리부와 이중 사출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 전체는 상기 탄성부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날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는 커버외측면 및 커버내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외측면 및 커버내측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결합날개가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할 때, 상기 탄성부재는 가압되어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날개가 구비된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커버를 포함하는 저장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2062A KR102068721B1 (ko) | 2013-03-26 | 2013-03-26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2062A KR102068721B1 (ko) | 2013-03-26 | 2013-03-26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7103A true KR20140117103A (ko) | 2014-10-07 |
KR102068721B1 KR102068721B1 (ko) | 2020-01-21 |
Family
ID=5199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2062A KR102068721B1 (ko) | 2013-03-26 | 2013-03-26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8721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35819A1 (en) * | 1996-10-11 | 1998-04-15 | Dart Industries Inc. | Canister with sealing lid |
KR200324152Y1 (ko) * | 2003-05-15 | 2003-08-21 | 이찬조 | 용기뚜껑 |
KR200380071Y1 (ko) * | 2004-12-28 | 2005-03-28 | 주식회사 옥봉화학 |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
KR20120082532A (ko) | 2011-01-14 | 2012-07-24 | 김권 |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
KR20120007211U (ko) * | 2011-04-11 | 2012-10-19 | (주)효성피엔지 | 밀폐 용기 |
-
2013
- 2013-03-26 KR KR1020130032062A patent/KR1020687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35819A1 (en) * | 1996-10-11 | 1998-04-15 | Dart Industries Inc. | Canister with sealing lid |
KR200324152Y1 (ko) * | 2003-05-15 | 2003-08-21 | 이찬조 | 용기뚜껑 |
KR200380071Y1 (ko) * | 2004-12-28 | 2005-03-28 | 주식회사 옥봉화학 |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
KR20120082532A (ko) | 2011-01-14 | 2012-07-24 | 김권 |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
KR20120007211U (ko) * | 2011-04-11 | 2012-10-19 | (주)효성피엔지 | 밀폐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8721B1 (ko) | 2020-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67142B2 (ja) | 化粧品容器キャップ | |
WO2016015372A1 (zh) | 喷液瓶及喷液瓶盖 | |
US10501308B2 (en) | Beverage feeder and beverage feeder assembly | |
US8813991B1 (en) | Container cover | |
US9919848B2 (en) | Method for assembling a packaging device | |
JP6485818B2 (ja) | 閉鎖体装置 | |
JP2014511317A (ja) | 容器、特に化粧製品用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414379B1 (ko) | 화장품 용기 | |
CN114728731A (zh) | 真空塞子以及塞子与容器的组合件 | |
CN101932263A (zh) | 手动滴瓶 | |
KR20140115535A (ko)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
KR101651929B1 (ko) |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 |
JP2005319275A (ja) | 流体を噴出させるための装置と組立体 | |
CN111491868B (zh) | 可密封的容器系统 | |
CN111433132B (zh) | 具有可密封盖的容器 | |
JP2015006671A (ja) | ポンプ付容器用ストッパー | |
KR20140117103A (ko)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
KR101468504B1 (ko) | 음용수병에 장착되는 캡슐장치 | |
KR101863707B1 (ko) | 밀폐부재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
KR20140122984A (ko) |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 |
JP2013230838A (ja) | キャップ付き容器 | |
US20110198364A1 (en) | Container | |
KR200398596Y1 (ko) | 액체용기 토출밸브 | |
US20140190966A1 (en) | Container lid | |
KR20180004415A (ko) | 저장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