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777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777A
KR20140116777A KR1020130127773A KR20130127773A KR20140116777A KR 20140116777 A KR20140116777 A KR 20140116777A KR 1020130127773 A KR1020130127773 A KR 1020130127773A KR 20130127773 A KR20130127773 A KR 20130127773A KR 20140116777 A KR20140116777 A KR 2014011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isplay device
information
correction informa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범
정규훈
조봉제
박찬민
신진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6505392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6517037A/ja
Priority to EP14161358.8A priority patent/EP2784771A1/en
Priority to PCT/KR2014/002447 priority patent/WO2014157887A1/en
Priority to US14/224,946 priority patent/US20140285494A1/en
Priority to CN201410113567.XA priority patent/CN104077269A/zh
Publication of KR2014011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09G5/28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for enhancement of character form, e.g. smoot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자 출력 방법은 글자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입력된 글자 정보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며, 글자 정보 및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여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글자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text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글자를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로부터 글자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 저장된 폰트 파일로부터 한 개 이상의 글자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자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의 외곽선을 생성하고, 생성된 외곽선 내에 채워질 픽셀의 픽셀 값을 결정하며, 생성된 외곽선 및 픽셀 값을 바탕으로 글자를 렌더링하여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이나 입력된 글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출력되는 글자의 가독성이나 시인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작은 글자가 입력된 경우, 글자의 획이 겹쳐 글자 형태를 알아보기 힘든 현상, 글자의 외곽이 번져보이는 현상, 곡선이나 사선이 많은 글자에서 글자의 획이 끊겨 보이는 계단 현상, 한글 및 한자 등과 같이 2 바이트 언어에서 글자 크기나 글자 간의 간격이 불균일한 현상, 글자 색상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현상, 글자가 얇아 보이는 현상 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글자의 가독성과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 주 적어도 하나의 이용하여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출력하는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자 출력 방법은, 글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 정보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글자 정보 및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여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된 글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형,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글자 정보에 포함된 글자 크기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현재 밝기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은, 상기 입력된 글자의 크기,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 상기 입력된 글자의 스타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언어 종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유니코드(Unicode) 범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종류를 바탕으로 획 복잡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획 복잡도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농도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산-세리프(sans-serif) 타입인지 세리프(serif)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세리프 타입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계산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글자 보정 정보는, 글자 크기 보정 정보, 글자 두께 보정 정보, 글자 스타일 보정 정보, 힌팅(hinting) 보정 정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설정된 글자 보정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더링된 글자에 글자 색상을 보정하거나 계단 효과를 제거하거나 글자의 외곽을 처리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글자 정보를 획득 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글자 보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 정보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글자 정보 및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여 렌더링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렌더링된 글자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형,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글자 정보에 포함된 글자 크기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밝기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은, 상기 입력된 글자의 크기,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 상기 입력된 글자의 스타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언어 종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유니코드(Uni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종류를 바탕으로 획 복잡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획 복잡도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농도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산-세리프(sans-serif) 타입인지 세리프(serif)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세리프 타입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계산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글자 보정 정보는, 글자 크기 보정 정보, 글자 두께 보정 정보, 글자 스타일 보정 정보, 힌팅(hinting) 보정 정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설정된 글자 보정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글자에 글자 색상을 보정하거나 계단 효과를 제거하거나 글자의 외곽을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에 따라 글자를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는 출력하는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모듈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보정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자 보정 정보를 획득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a 내지 9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 글자 색상 및 배경 색상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 글자 색 및 배경색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글자의 폰트 타입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글자의 폰트 타입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자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폰, 스마트 TV,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이, 글자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글자 출력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글자의 글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한편,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펜, 마우스, 리모컨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특히, 출력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글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보정될 수 있다.
한편, 출력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TFT(thin film transistor), CRT(Cathode-Ray Tube)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글자의 글자 정보를 보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30)는 글자 정보를 보정하여 출력하기 위해,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베이스(205), 글자 보정 제어 모듈(210), 글자 크기 보정 모듈(215), 글자 두께 보정 모듈(220), 힌팅(hinting) 보정 모듈(225), 글자색 농도 보정 모듈(230), 글자 엣지 보정 모듈(235), 글자 정보 획득 모듈(240), 글자 획 복잡도 판단 모듈(245), 글자 외곽선 생성 모듈(250), 글자 렌더링 모듈(255) 및 글자 이미지 생성 모듈(260)을 포함한다.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베이스(20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글자 특성에 따라 글자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글자 보정 정보는 글로벌 보정 정보 및 로컬 보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글로벌 보정 정보는 기기 전체에 공용으로 적용되는 글자 보정 정보를 저장하며, 로컬 보정 정보는 글자 보정 정보를 특정 어플리케이션 단위, 특정 언어 단위, 특성 폰트 파일 단위, 특정 폰트 스타일 등에 따라 상이한 글자 보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글로벌 보정 정보 및 로컬 보정 정보를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 로컬 보정 정보가 우선적으로 적용되어 글자가 보정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보정 정보 및 로컬 보정 정부의 내부에 명시되는 정보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 보정 정보의 메타데이터 구조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글자 보정 제어 모듈(210)은 글자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정보를 보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글자 보정 제어 모듈(210)은 공용으로 글자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글자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글자 보정 정보는 특정 폰트에서만 글자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글자 크기 보정 모듈(215)은 글자의 가로, 세로의 외곽선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글자 두께 보정 모듈(220)은 글자의 가로획, 세로획의 두께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힌팅 보정 모듈(225)은 글자에 포함된 획 보정정보를 글자 크기별, 언어별로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글자 색 농도 보정 모듈(230)은 글자 렌더링 단계가 실행된 후 생성되는 글자 이미지에 대해 글자를 구성하는 픽셀 값을 보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글자 엣지 보정 모듈(235)은 글자 렌더링 단계가 실행된 후 생성된 글자 이미지의 외곽선을 부드럽게 하거나 날카롭게 하는 보정을 수행하여 계단 효과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글자 정보 획득 모듈(240)은 폰트 파일로부터 글자 정보를 추출 및 분류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글자 획 복잡도 판단 모듈(245)은 글자의 유니코드 범위를 확인하여 글자의 복잡도를 판단할 수 있다.
글자 외곽선 생성 모듈(250)은 글자 정보에 포함된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를 이용하여 글자의 외곽선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글자 렌더링 모듈(255)은 글자의 외곽선 정보, 힌팅 정보 및 글자 보정 정보에 따라 래스터화(rasterization)룰 수행하여 로우 글자 이미지(raw glyph image)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글자 이미지 생성 모듈(260)은 로우 글자 이미지를 기반으로 글자의 색상 정보 및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비트맵을 생성하여 출력부(120)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를 보정하여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해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를 저장부(130)에 저장된 모듈을 이용하여 보정 작업을 수행하고, 보정된 글자를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를 통해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글자 정보는 글자 고유의 ID, 글자의 형태 정보와 관련된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 정보, 컨트롤 포인트의 연결 속성을 정의하는 연결 정보, 복수 개의 글자 배치와 연관된 메트릭(metric) 정보, 글자의 외곽선을 그리드(Grid)에 정렬하기 위한 힌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 정보에 포함된 정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정보(예를 들어, 글자의 색 정보 등)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글자 정보가 획득된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10)의 특성 및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입력된 글자 정보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터리 잔량,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된 글자의 특성은 입력된 글자의 크기,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 입력된 글자의 스타일,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 입력된 글자의 언어 종류, 입력된 글자의 유니코드(Unicode) 범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글자 정보에 포함된 글자 크기 정보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정보 및 PPI(Pixel Per Inch) 정보를 획득하고, 글자 크기, 해상도 정보, PPI 정보에 따라 글자의 X Scale(가로 크기) 과 Y Scale(세로 크기)을 조절할 수 있는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현재 밝기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입력된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밝기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글자를 진하게 표현하도록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밝기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글자를 연하게 표현하도록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밝기에 따른 글자 보정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전력 모드를 설정한 경우, 제어부(140)는 전반적으로 글자의 색상이 연하게 표현하도록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남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색상을 전반적으로 연하게 표현하도록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글자 표현을 중요시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메일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전송 어플리케이션 등)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의 색을 진하게 표현하도록 글자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의 종류를 바탕으로 획 복잡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획 복잡도에 따라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의 종류를 획 복잡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한문의 경우 획 복잡도가 상(上)이라 판단하며, 한글의 경우 획 복잡도가 중(中)이라 판단하며, 영어의 경우 획 복잡도가 하(下)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획 복잡도가 높을수록 글자의 획 두께를 얇게 표현하도록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획 복잡도가 낮을수록 글자의 획 두께를 두껍게 표현하도록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판단하고,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비교하여 입력된 글자의 색 농도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색 및 배경색의 픽셀 정보를 확인하여 글자색과 배경색을 비교할 수 있다. 입력된 글자색이 배경색에 비해 밝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색을 더욱 밝게 표현하도록 글자의 색 농도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입력된 글자색이 배경색에 비해 어둡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색을 더욱 어둡게 표현하도록 글자의 색 농도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의 타입을 판단하고, 입력된 글자 타입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산-세리프(sans-serif) 타입인지 세리프(serif)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세리프 타입이라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계산하여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는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두 개 이상의 실시예가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밝기, 글자의 타입 및 글자의 획 복잡도를 동시에 판단하여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글자 보정 정보가 결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결정된 글자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메트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글자 메트릭은 글자 사이의 간격, 줄 간격, 오른쪽 여백, 왼쪽 여백 등과 같은 정보이다. 즉, 글자 보정 정보로 인해 글자가 보정된 경우, 글자가 겹쳐 보이거나, 줄 간격, 글자 간격이 불균일해 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140)가 글자 메트릭을 업데이트하여 글자가 겹쳐 보이는 현상, 줄 간격, 글자 간격이 불균일해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결정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획득된 글자 정보를 보정하여 글자 외곽선 정보를 생성하고, 글자 외곽선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글자 외곽선 정보를 이용하여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여 로우 글자 이미지(Raw glyph)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로우 글자 이미지에 후처리 보정 작업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후처리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글자 보정 정보(특히,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정보 등)를 바탕으로 로우 글자 이미지에 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의 밝은 부분을 더욱 밝게 보정하고, 어두운 부분은 더욱 어둡게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글자 엣지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사선이 많은 글자의 경우 계단 현상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글자의 외곽을 부드럽게 혹은 날카롭게 처리하여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후처리된 글자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글자 출력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다양한 글자 보정 정보를 획득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를 로딩한다(S405). 이때,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는 파일 형태이며, 파일 구조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XML 구조 혹은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를 파싱한다(S4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보정 기능별로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로딩된 글자 보정 정보가 글로벌 보정 정보 및 로컬 보정 정보를 확인하여 파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크기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41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크기 보정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글자 크기 보정 정보가 필요한 경우,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글자 크기 보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두께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4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두께 보정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글자 두께 보정 정보가 필요한 경우,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글자 두께 보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스타일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42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스타일(예를 들어, 고딕체 등)별로 보정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글자 스타일체에 보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글자 스타일 보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힌팅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4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에 힌팅 보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힌팅 보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힌팅 보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힌팅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글자 크기를 가지는 글자만을 보정할 것인지 모든 글자 크기의 글자를 보정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특정 크기 이상을 가지는 글자의 경우, 힌팅 정보를 이용하여 렌더링을 수행하더라도 보정 전후의 차이점을 인지하기 어려운 바, 특정 크기 이상을 가지는 글자를 보정하는 불필요한 작업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43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가 필요한 경우,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엣지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4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엣지 보정 정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글자 엣지 보정 정보가 필요한 경우, 파싱된 글자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글자 엣지 보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정보를 보정한다(S44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모듈을 이용하여 글자 크기 보정 정보, 글자 두께 보정 정보, 힌팅 보정 정보 등에 따라 컨트롤 포인트 등과 같은 글자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렌더링한다(S45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정된 글자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의 외곽선을 생성하고, 생성된 글자 외곽선을 이용하여 렌더링 작업을 수행하여 로우 글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이미지를 보정한다(S45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및 글자 엣지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로우 글자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출력한다(S46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를 획득한다(S50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의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글자 정보에는 글자 고유의 ID, 글자의 형태 정보와 관련된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 정보, 컨트롤 포인트의 연결 속성을 정의하는 연결 정보, 복수 개의 글자 배치와 연관된 메트릭(metric) 정보, 글자의 외곽선을 그리드(Grid)에 정렬하기 위한 힌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를 로딩한다(S51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보정 정보 데이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글자 렌더링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515).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ID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글자 보정 정보 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한편,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글자가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메일 어플리케이션, 문자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ID와 글자 보정 정보 ID가 일치하는 경우(S5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글자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525).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크기 보정 정보, 글자 두께 보정 정보, 힌팅 보정 정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글자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정보를 보정한다(S53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정된 글자 정보에 따라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고(S540), 글자를 렌더링한다(S55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렌더링 이후에 생성된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56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글자 보정 정보에 글자 이미지 보정 정보(예를 들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정보 등)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없는 경우(S56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출력한다(S570).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 경우(S56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이미지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이미지를 보정하고(S565), 보정된 글자를 출력한다(S570).
한편, 현재 어플리케이션 ID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글자 보정 정보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S52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글로벌 보정 정보를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535). 글로벌 보정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S53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로벌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정보를 보정한다(S530). 글로벌 보정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S535-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를 보정하지 않고, 바로 글자 출력을 위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할 수 있다(S540).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글자가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글자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글자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는 글자가 중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 향상된 가독성과 시인성을 가지는 글자를 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를 획득한다(S60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의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상도 정보를 획득한다(S61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PPI 등과 같이, 다양한 해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보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5).
글자 보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61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글자 보정 정보를 획득하고(S650), 획득된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정보를 보정한다(S645).
글자 보정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S615-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에 저장된 글자 크기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크기가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크기가 16 픽셀 이하인 경우 글자 크기가 작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글자 크기가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S6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X Scale에 제1 범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정값을 계산한다(S625). 구체적으로, 글자 크기가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X Scale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PPI 정보에 따라 2~5%의 가중치를 두어 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글자 크기가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S62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X Scale에 제2 범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정값을 계산한다(S630). 구체적으로, 글자 크기가 큰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X Scale 값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PPI 정보에 따라 6% 이상의 가중치를 두어 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Y scale의 보정값을 계산한다(S640). 이때, Y scale의 보정값 역시 X scale의 보정값을 계산하는 방법과 대응되도록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언어 가중치를 반영하여 최종 보정값을 계산한다(S640).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언어의 획 복잡도에 따라 언어 가중치를 반영하여 최종 보정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 복잡도가 높은 언어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표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X scale 및 Y scale에 높은 가중치를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된 최종 보정값을 이용하여 글자 정보를 보정한다(S645).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된 최종 보정값을 이용하여 글자의 X scale 및 Y scale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X scale 및 Y scale의 보정으로 인해 글자 메트릭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간격, 줄 간격, 좌/우 여백 등과 같은 글자 메트릭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정된 글자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고(S655), 글자를 렌더링한다(S66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렌더링 이후에 생성된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66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크기 및 해상도 정보에 따른 글자 보정 정보에 글자 이미지 보정 정보(예를 들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정보 등)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없는 경우(S665-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출력한다(S675).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 경우(S66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이미지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이미지를 보정하고(S670), 보정된 글자를 출력한다(S675).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 크기 및 해상도 정보에 따라 글자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에 따라 적절하게 보정된 글자를 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7a는 종래의 기술을 통해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h"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본 발명을 통해 글자 크기를 조절하여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h"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살펴보면, 도 7b는 도 7a에 비해 글자의 획을 구성하는 중심 픽셀들의 색 농도가 진한 특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글자의 크기에 따라 글자 크기를 보정함으로써,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를 획득한다(S80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의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언어 정보를 포함하는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를 판단한다(S81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언어 정보에 따라 글자의 획 복잡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한자의 획 복잡도를 상(上)으로 판단하고, 한글의 획 복잡도를 중(中)으로 판단하며, 영어의 획 복잡도를 하(下)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가 상(上)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15).
글자의 획 복잡도가 상(上)으로 판단된 경우(S81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획 두께 보정값을 제1 값으로 보정한다(S820). 이때, 제1 값은 50%일 수 있다.
글자의 획 복잡도가 상(上)이 아닌 경우(S815-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가 중(中)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5).
글자의 획 복잡도가 중(中)인 경우(S82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획 두께 보정값을 제2 값으로 보정한다(S835). 이때, 제2 값은 80%일 수 있다.
그러나, 글자의 획 복잡도가 중(中)이 아닌 경우(S825-N), 글자의 획 복잡도를 하(下)라고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 보정값을 제3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값은 100%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결정된 글자 획 두께 보정값에 따라 글자 정보를 보정한다(S84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정된 글자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고(S845), 글자를 렌더링한다(S85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렌더링 이후에 생성된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5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보정된 글자 보정 정보에 글자 이미지 보정 정보(예를 들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정보 등)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없는 경우(S855-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출력한다(S865).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 경우(S855-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이미지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이미지를 보정하고(S860), 보정된 글자를 출력한다(S865).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글자의 획 두께를 보정함으로써, 글자의 획 복잡도가 높은 언어에 대해 두께를 얇게 하여, 글자의 획들이 서로 겹쳐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9a 내지 9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종래 기술을 통해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영어의 "R"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b는 종래 기술을 통해 볼드체의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영어의 "R"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종래 기술을 통해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한글의 "를"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d는 종래 기술을 통해 볼드체의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한글의 "를"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e는 본 발명을 통해 볼드체의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한글의 "를"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f는 종래 기술을 통해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한자의 "
Figure pat00001
"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g는 종래 기술을 통해 볼드체의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한자의 "
Figure pat00002
"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h는 본 발명을 통해 볼드체의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한자의 "
Figure pat00003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 복잡도가 낮은 영어를 볼드체로 표현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하더라도 글자의 획이 겹쳐 보이는 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도 9c 및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 복잡도가 영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한글을 볼드체로 표현한 경우, 글자의 획이 겹쳐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글의 경우, 획 두께를 80%로 보정함으로써,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의 획이 겹쳐 보이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도 9f 및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 복잡도가 영어 및 한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한자를 볼드체로 표현한 경우, 글자의 획이 겹쳐 보이는 현상이 한글에 비해 두드러진다. 글자의 획이 겹쳐 보이는 현상이 심한 경우, 사용자는 어떠한 한자가 입력되었는지 확인을 못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한자의 경우, 획 두께를 50%로 보정함으로써,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자의 획이 겹쳐 보이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어,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서는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글자의 획 두께만을 보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분, 글자의 획 복잡도에 따라 다양한 글자 보정 정보(예를 들어, 글자 크기, 색 농도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 글자 색상 및 배경 색상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를 획득한다(S1005).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의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색 및 배경색 정보를 포함하는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 정보를 획득한다(S1010). 한편, S1005 단계 및 S1010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으며, S1010 단계가 S1005 단계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글자의 글자색 및 배경색의 계조값(grayscale)을 계산한다(S1015)
그리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색이 배경색 대비 어두운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0). 글자색이 배경색 대비 어두운 경우(S10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색 중 획의 어두운 부분의 색 농도를 강조하는 색상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1025).
글자색이 배경색 대비 어둡지 않은 경우(S102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색이 배경색 대비 밝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0). 글자색이 배경색 대비 밝은 경우(S103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색 중 획의 밝은 부분의 색 농도를 강조하는 색상 보정 정보를 획득한다(S1035). 글자색이 배경색과 밝기가 동일한 경우(S103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저장된 색상 보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를 바탕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획득된 색상 보정 정보를 보정한다(S1040). 구체적으로, 사용자 명령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저전력 모드로 설정한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획의 밝기값을 전체적으로 낮추도록 색상 보정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낮은 밝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잘 보이게 하기 위하여, 글자 획의 밝기값을 전체적으로 높이도록 색상 보정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 및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고(S1045), 생성된 외곽선을 바탕으로 글자를 렌더링한다(S105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색상 보정 정보를 통해 글자 색상을 보정한다(S1055).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출력한다(S1060).
상술한 바와 같이, 글자색, 배경색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밝기를 바탕으로 글자의 색상을 보정함으로써, 사용자는 더욱 선명한 글자를 볼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 글자색 및 배경색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종래 기술을 통해 밝은 배경에서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R"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을 통해 밝은 배경에서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R"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에서 살펴보듯이 밝은 색을 가지는 배경과 어두운 색을 가지는 글자의 색 대비가 크지 않아 글자 획 부분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그에 반해, 도 11b는 글자색을 더욱 어둡게 보정하여 배경색 대비 글자색이 더욱 진하게 보이게 함으로써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c는 종래 기술을 통해 어두운 배경에서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R"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d는 본 발명을 통해 어두운 배경에서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R"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들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c에서 살펴보듯이 어두운 색을 가지는 배경과 밝은 색을 가지는 글자의 색 대비가 크지 않아 글자 획 부분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게 된다. 그에 반해, 도 11d는 글자색을 더욱 밝게 보정하여 배경색 대비 글자색이 더욱 밝게 보이게 함으로써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글자의 폰트 타입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를 획득한다(S12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의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타입이 산 세리프(sans-serif)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0).
글자 타입이 산 세리프인 경우(S12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 및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한다.(S1230).
글자 타입이 산 세리프가 아닌 경우(S1220-N), 즉, 글자 타입이 세리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계산한다(S124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정보 및 글자 크기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엣지 부분이 눈에 잘 띄지 않아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저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의 엣지 부분이 눈에 잘 띄므로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 및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한다(S123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생성된 글자 외곽선을 바탕으로 글자 렌더링을 수행한다(S125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렌더링된 글자 이미지가 보정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60).
글자 이미지의 보정이 필요없는 경우(S126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를 출력한다(S1280).
글자 이미지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S126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엣지 보정 정보에 따라 글자 이미지를 보정한다(S1270).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1240 단계에서 산출된 글자 엣지 보정 강도에 따라 글자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보정된 글자를 출력한다(S1280).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계단 효과가 자주 발생할 수 있는 세리프 타입의 글자에 대해 글자 엣지 보정을 수행하여 세리프 타입의 글자에 대한 시인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된 글자의 폰트 타입에 따라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여 글자를 보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종래 기술에 의해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세리프 타입의 "W"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의해 글자를 렌더링했을 경우, 세리프 타입의 "W" 글자를 구성하는 각 픽셀의 색 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해 "W"을 렌더링했을 경우, 획 농도가 글자 획을 따라 변화가 심해 계단 효과가 발생하여 획이 단절되어 보이고 거칠어 보이게 된다. 그러나,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W"을 렌더링했을 경우, 획 농도가 글자 획을 따라 변화가 심하지 않아 글자 획이 부드럽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글자의 시인성 및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자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를 획득한다(S14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글자의 글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글자 정보는 글자 고유의 ID, 글자의 형태 정보와 관련된 컨트롤 포인트(control point) 정보, 컨트롤 포인트의 연결 속성을 정의하는 연결 정보, 복수 개의 글자 배치와 연관된 메트릭(metric) 정보, 글자의 외곽선을 그리드(Grid)에 정렬하기 위한 힌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글자 정보에 포함된 정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글자 정보는 다른 정보(예를 들어, 글자의 색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입력된 글자 정보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한다(S142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성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해상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밝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유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된 글자의 특성은 입력된 글자의 크기,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 입력된 글자의 스타일,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언어 종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유니코드(Unicode) 범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글자 정보 및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여 렌더링 작업을 수행한다(S1430). 렌더링 작업 후, 글자 이미지에 보정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렌더링된 글자에 글자 색상을 보정하거나 계단 효과를 제거하는 후처리 보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렌더링된 글자를 출력한다(S1440).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에 따라 글자를 보정하여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하는 글자의 가독성 및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글자 출력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자 출력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저장부 140: 제어부

Claims (24)

  1.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자 출력 방법에 있어서,
    글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 정보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글자 정보 및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여 렌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렌더링된 글자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자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형,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글자 정보에 포함된 글자 크기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현재 밝기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은,
    상기 입력된 글자의 크기,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 상기 입력된 글자의 스타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언어 종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유니코드(Unicode) 범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종류를 바탕으로 획 복잡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획 복잡도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농도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산-세리프(sans-serif) 타입인지 세리프(serif)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세리프 타입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계산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자 출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보정 정보는,
    글자 크기 보정 정보, 글자 두께 보정 정보, 글자 스타일 보정 정보, 힌팅(hinting) 보정 정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설정된 글자 보정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자 출력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더링된 글자에 글자 색상을 보정하거나 계단 효과를 제거하거나 글자의 외곽을 처리하는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글자 출력 방법.
  13.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글자 정보를 획득 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글자 보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 정보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글자 정보 및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바탕으로 글자 외곽선을 생성하여 렌더링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렌더링된 글자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형,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터리 잔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글자 정보에 포함된 글자 크기 정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밝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현재 밝기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상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은,
    상기 입력된 글자의 크기,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복잡도, 상기 입력된 글자의 스타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언어 종류, 상기 입력된 글자의 유니코드(Uni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종류를 바탕으로 획 복잡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획 복잡도에 따라 상기 입력된 글자의 획 두께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및 배경색을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의 색 농도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산-세리프(sans-serif) 타입인지 세리프(serif)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글자의 타입이 세리프 타입이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해상도 및 글자 크기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글자 엣지 보정 강도를 계산하여 상기 입력된 글자에 대한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글자 보정 정보는,
    글자 크기 보정 정보, 글자 두께 보정 정보, 글자 스타일 보정 정보, 힌팅(hinting) 보정 정보, 글자 색 농도 보정 정보, 글자 엣지 보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상기 입력된 글자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설정된 글자 보정 정보가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글자 보정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글자에 글자 색상을 보정하거나 계단 효과를 제거하거나 글자의 외곽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27773A 2013-03-25 2013-10-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 KR20140116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05392A JP2016517037A (ja) 2013-03-25 2014-03-24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文字出力方法
EP14161358.8A EP2784771A1 (en) 2013-03-25 2014-03-2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text thereof
PCT/KR2014/002447 WO2014157887A1 (en) 2013-03-25 2014-03-2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text thereof
US14/224,946 US20140285494A1 (en) 2013-03-25 2014-03-25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text thereof
CN201410113567.XA CN104077269A (zh) 2013-03-25 2014-03-25 显示设备及其输出文本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4857P 2013-03-25 2013-03-25
US61/804,857 2013-03-25
US201361812890P 2013-04-17 2013-04-17
US61/812,890 2013-04-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777A true KR20140116777A (ko) 2014-10-06

Family

ID=5199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773A KR20140116777A (ko) 2013-03-25 2013-10-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6517037A (ko)
KR (1) KR20140116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400A1 (en) * 2016-04-06 2017-10-1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video coding using an image data correction mask
KR20190016868A (ko) * 2017-08-09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958B1 (ko) * 2017-11-03 2021-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장치에 의한 오류 표시 검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6400A1 (en) * 2016-04-06 2017-10-1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video coding using an image data correction mask
US10771786B2 (en) 2016-04-06 2020-09-0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video coding using an image data correction mask
KR20190016868A (ko) * 2017-08-09 2019-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7037A (ja)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47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text thereof
JP2020511726A (ja) 電子文書からのデータ抽出
US8959431B2 (en) Low resolution placeholder content for document navigation
US8416243B2 (en) Approximating font metrics for a missing font when substituting an available replacement
US9870484B2 (en) Document redaction
US9880990B2 (en) Leveraging previous instances of handwriting for handwriting beautification and other applications
US20110043528A1 (en) Cache management for glyph display
US9934422B1 (en) Digitized handwriting sample ingestion systems and methods
US11687704B2 (e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annotating information of structured document
US202202222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ogram character analysis
US20070279418A1 (en) Remoting sub-pixel resolved characters
US20140362104A1 (en) Layered z-order and hinted color fonts with dynamic palettes
US10311060B2 (en) Glyph management in texture atlases
KR201401167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출력 방법
US8824806B1 (en) Sequential digital image panning
US10163004B2 (en) Inferring stroke information from an image
TWI544476B (zh) 顯示器之字型產生系統
US107333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stores metrics information with edited form information, and related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40320527A1 (en) Hardware glyph cache
US20200311059A1 (en) Multi-layer word search option
CN111178002A (zh) 字符显示方法、系统及装置
CN111414728B (zh) 数值数据展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8504916B2 (en) Managing presentation and storing of multi-language fonts
US9483443B2 (en) Tiled display list
US7598954B2 (en) Adapting and rendering graphic ef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