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616A -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616A
KR20140116616A KR1020130031373A KR20130031373A KR20140116616A KR 20140116616 A KR20140116616 A KR 20140116616A KR 1020130031373 A KR1020130031373 A KR 1020130031373A KR 20130031373 A KR20130031373 A KR 20130031373A KR 20140116616 A KR20140116616 A KR 20140116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character
scale
shape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0566B1 (ko
Inventor
임현정
Original Assignee
임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현정 filed Critical 임현정
Priority to KR1020130031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566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4Non-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7Non-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using disc-shaped boards
    • G09B15/008Non-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using disc-shaped board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6Non-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음악 교육, 즉, 관악기를 가르침에 있어서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시켜 해당 관악기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Recovering medium for teaching music}
본 발명은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이 관악기의 운지법에 맞게 상기 관악기를 효과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릴 때의 음악 교육은 학습 능력을 높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은 다양한 소리와 리듬으로 구성된 음악을 들으면서 감정이 미세하게 분화되어 감수성이 예민해지고 상상력도 발달하는 것에 기인된다.
또한, 음악 교육은 두뇌 발달을 돕게 되어 음악을 듣는 것이 우뇌 개발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며, 음악과 친숙한 유아기를 보낸 아이들은 그렇지 못한 아이들보다 지능이 높고 언어 능력이 발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특히, 유아기는 언어, 인지, 사회, 정서, 신체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므로, 음악 감각력이 급속히 발달하여 음악교육의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로서 중요하며, 유아기의 음악적 특성을 살펴보면 그 음악적 인격은 성인의 그것과 다르므로 유아들에게 적합한 음악활동이 제공될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 교육은 학습측면에서 시각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학습 동기를 효과적으로 부여하려고 하고 있으며, 추상적인 개념의 정립이 아직 확실히 되어 있지 않은 유아들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추상적인 의미를 구체화시킴으로써, 학습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보다 빠르게 이해시키도록 하고 있다.
즉, 악보를 해독하기 위하여 오선지 표시되는 음표는 유아들이 인식하여 어느 한 곡을 전체적으로 이해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곡을 전체로서 인식시키기 위한 음표와 대체 가능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유아들에게 음악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유아들에게 친숙한 동물 등의 캐릭터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를 제공하여 음악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해당 음악과의 관련성이 떨어져 제대로 된 음악 교육을 실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결국,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악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과는 달리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는 개선된 교육방식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음악 교육, 즉, 관악기를 가르침에 있어서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시켜 해당 관악기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는 특정 곡과 관련된 리듬 또는 멜로디가 표시된 기록매체로, 상기 리듬 또는 멜로디를 표시하는 음표를 대체하기 위한 음표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표대체부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의 상기 음표대체부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의 상기 음표대체부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보고 연상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의 상기 캐릭터에 의해 반영되는 손의 형상은 상기 음계에 따른 운지법에 따라 상기 관악기를 쥐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손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의 상기 음표대체부는 상기 캐릭터의 크기 또는 배치간격에 의해 음의 길이 또는 쉼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의 상기 캐릭터는 컬러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음표대체부는 상기 컬러의 영역의 크기에 의해 음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의 상기 음표대체부는 해당 음계의 발음 또는 해당 음계와 대응되는 가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는 악보를 구현하기 위해 오선이 표현된 오선표현부; 및 상기 오선표현부에 착탈 가능하며, 리듬 또는 멜로디를 표시하는 음표를 대체하기 위한 음표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표대체부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에 의하면, 관악기의 운지법과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해당 관악기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에게 친숙한 캐릭터에 의해 음의 높낮이, 길이 및 쉼의 길이 등을 습득하도록 함으로써 음악과 친숙한 유아기를 보내도록 하여 지능이 높고 발달된 언어 능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에게 친숙한 캐릭터를 통해 음악을 접하게 함으로써 정서적으로도 안정된 유아기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에 제공되는 음표대체부와 관악기의 운지법과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에 제공되는 음표대체부와 관악기의 운지법과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100, 이하 기록매체)는 특정 곡과 관련된 리듬 또는 멜로디가 표시되어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에게 음악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록매체로, 관악기의 운지법과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상기 관악기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교구의 일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록매체(100)는 리듬 또는 멜로디를 표시하는 음표를 대체하기 위한 음표대체부(110~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표대체부(110~180)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기록매체(100)는 음의 높낮이, 음의 길이 및 쉼의 길이를 일반적인 악보에 제공되는 음표에 의해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인 음표대체부(110~180)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상기 관악기를 배우는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에게 음표를 시각적 이미지로 대체하여 습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설, 만화 또는 연극 등에서 등장하는 독특한 인물이나 동물 또는 작품 내용에 의하여 독특한 개성과 이미지가 부여된 존재(도 3 및 도 4 참조)일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 즉, 사용자가 상기 관악기를 음계에 따른 운지법에 따라 쥐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손의 형상 그 자체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캐릭터는 사용자가 상기 관악기를 음계에 따른 운지법에 따라 쥐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이 아닌 제3자 입장, 즉, 상기 관악기의 연주법을 가르치는 선생님의 입장 또는 주변 사람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손의 형상 그 자체일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캐릭터의 의미는 캐릭터의 사전적 의미 뿐만 아니라,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살펴보기로 한다.
관악기는 나무나 금속으로 된 관에 바람을 불어 진동으로 소리내는 악기로, 만드는 재료에 따라 목관악기와 금관악기로 나뉠 수 있다.
목관악기는 가장 높은 소리를 내는 피콜로(Piccolo), 하모닉스를 연주할 수 있는 플루트(Flute), 독특한 음색으로 애수 띤 선율에 어울리는 오보에(Oboe), 폐관식의 음진동을 일으키는 클라리넷(Clarinet), 바순(Bassoon) 및 잉글리쉬 호른(English Horn) 등이 있으며, 금관악기는 트럼펫(Trumpet), 트롬본(Trombone) 및 튜바(Tuba) 등이 있다.
또한, 교육용 관악기로 오카리나(Ocarina), 리코오더 및 탄휘슬 등이 있으며, 상기 관악기들은 대체로 운지법이 유사한 측면이 있다.
여기서, 도 2는 관악기 중 일례로 서양의 8음계에 따른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음계에 따른 손의 형상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보를 구현하기 위해 오선이 표현된 오선지(10)에 음표를 대체하는 구성요소인 음표대체부(110~180)로 구현하여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에게 음표를 시각적 이미지로 대체하여 습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0)는 음표 대신 관악기인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한 캐릭터인 음표대체부(110~180)로 구현함으로써,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시켜 오카리나(Ocarina)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100)를 보면서 오카리나(Ocarina)를 연주하는 경우, 각 음계에 표시된 손의 형상을 보고 그대로 오카리나(Ocarina)를 쥐어 소리를 낼 수 있으므로, 상기 오카리나(Ocarina)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단시간에 습득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200)는 음표대체부(210~2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표대체부(210~280)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표대체부(210~280)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정 음계에 해당되는 캐릭터는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의 입장에서 바라볼 때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표대체부(210~280)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보고 연상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각 음계를 나타내는 캐릭터인 음표대체부(210~280)는 특정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서양의 8음계에 따른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도 2 참조)을 보고 떠올린 캐릭터이며, 동일한 음계라도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을 바라보는 대상에 따라 다른 캐릭터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음계를 바라보는 대상에 따라 다른 캐릭터로 표현될 수는 있더라도 표현되는 캐릭터 모두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을 반영한 캐릭터인 것이다.
도 3은 특정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서양의 8음계에 따른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을 반영한 캐릭터의 일례로, "도"는 "돌멩이", "레"는 "잠수함", "미"는 "여우", "파"는 "꽃게", "솔"은 "거미", "라"는 "대포", "시"는 "나비", "도"는 "왕관"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서양의 8음계에 따른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을 반영한 캐릭터인 음표대체부(210~280)는 다음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음계 음표대체부(210~280)
주먹, 숫자 0, 찐빵, 바둑알, 야구공, 축구공, 도넛, 얼굴 등
꼬리를 치켜든 강아지, 안테나를 구비하는 휴대폰, 스토로우가 삽입된 음료팩, 약속을 상징하는 손의 형상, 굴뚝이 있는 지붕, 엄지손가락 또는 검지손가락을 치켜든 손의 형상, 손가락을 펼친 상태의 손바닥 형상, 깃발을 쥔 손의 형상 등
코뿔소, 귀가 엇갈린 강아지, 사슴, 토끼, 공룡 등
시계 바늘, 달팽이, 부채, 조개 등
나뭇가지, 글러브, 장갑 등
주전자 등
곤충 등의 더듬이, 토끼 귀 등
조류의 발, 포크, 공룡 발자국 등
상기 표 1에 언급된 음표대체부(210~280), 즉,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을 반영한 캐릭터는 오카리나(Ocarina)의 운지법에 의한 손의 형상을 바라보는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표 1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함을 밝혀둔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200)는 리듬 또는 멜로디를 일반적인 악보에 제공되는 음표에 의해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인 음표대체부(210~280)에 의해 구현함으로써, 관악기의 운지법과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해당 관악기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에게 친숙한 캐릭터를 통해 음악을 접하게 함으로써 정서적으로도 안정된 유아기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음표대체부(210~280)는 음의 길이 또는 쉼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캐릭터의 크기 또는 배치간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캐릭터로 구현되는 음표대체부(210~280)의 크기를 크게 하여 오선이 표현된 오선지(20)에 표시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결국, 특정한 곡에 대하여 음의 길이와 상기 캐릭터의 크기를 비례시켜 표현함으로써 상기 음표대체부(210~280)에 의해 음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쉼의 길이는 오선지(20)에 배치되는 상기 음표대체부(210~280)의 배치간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음표대체부(210~280)의 배치간격과 쉼의 길이를 비례시켜 표현함으로써 상기 음표대체부(210~280)에 의해 쉼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캐릭터로 구현되는 음표대체부(210~2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컬러의 영역의 크기는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수단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음표대체부(210~280)는 상기 컬러의 영역의 크기에 의해 음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음의 길이와 상기 컬러의 영역은 비례관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표대체부(210~280)가 컬러의 영역을 포함하는 이유는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으로,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은 흑백보다는 컬러에 대하여 보다 큰 관심도를 보인다는 점에 착안한 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컬러의 영역을 포함하는 음표대체부(210~280)로 인하여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은 관악기의 연주법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동시에 음악과 친숙한 유아기를 보내도록 하여 지능이 높고 발달된 언어 능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표대체부(210~280)는 해당 음계의 발음 또는 해당 음계와 대응되는 가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200)는 관악기의 연주법 뿐만 아니라, 특정 곡에 대한 이해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300)는 오선이 표현된 대상물 및 음표대체부(310~380)를 제외하고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2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오선이 표현된 대상물 및 음표대체부(310~38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기록매체(300)는 악보를 구현하기 위해 오선이 표현된 오선표현부(30) 및 상기 오선표현부(30)에 착탈 가능하며, 리듬 또는 멜로디를 표시하는 음표를 대체하기 위한 음표대체부(310~3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선표현부(30)는 자성에 반응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일종의 금속판일 수 있으며, 상기 음표대체부(310~380)는 자석 등을 포함하여 상기 오션표현부(30)의 표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관악기의 연주법을 가르치는 선생님은 다양한 특정 곡에 대하여 유연하게 상기 음표대체부(310~380)를 탈부착하여 구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한 곡을 유아(또는 초등 저학년 또는 특수아동 등)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200, 300: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110~180, 210~280, 310~380: 음표대체부

Claims (8)

  1. 특정 곡과 관련된 리듬 또는 멜로디가 표시된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리듬 또는 멜로디를 표시하는 음표를 대체하기 위한 음표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표대체부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대체부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과 대응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를 표시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대체부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보고 연상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를 표시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에 의해 반영되는 손의 형상은 상기 음계에 따른 운지법에 따라 상기 관악기를 쥐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바라본 손의 형상인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대체부는 상기 캐릭터의 크기 또는 배치간격에 의해 음의 길이 또는 쉼의 길이를 표시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컬러의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음표대체부는 상기 컬러의 영역의 크기에 의해 음의 길이를 표시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표대체부는 해당 음계의 발음 또는 해당 음계와 대응되는 가사를 포함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8. 악보를 구현하기 위해 오선이 표현된 오선표현부; 및
    상기 오선표현부에 착탈 가능하며, 리듬 또는 멜로디를 표시하는 음표를 대체하기 위한 음표대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표대체부는 음계에 따라 달라지는 관악기의 운지법에 따른 손의 형상을 반영하는 캐릭터에 의해 상기 음계가 표시되도록 하는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KR1020130031373A 2013-03-25 2013-03-25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KR101570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73A KR101570566B1 (ko) 2013-03-25 2013-03-25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73A KR101570566B1 (ko) 2013-03-25 2013-03-25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342A Division KR20150053890A (ko) 2015-04-29 2015-04-29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616A true KR20140116616A (ko) 2014-10-06
KR101570566B1 KR101570566B1 (ko) 2015-11-19

Family

ID=5199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373A KR101570566B1 (ko) 2013-03-25 2013-03-25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5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272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잼이지 악기 연주음 인식 기반의 연주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249097B1 (ko) * 2019-12-16 2021-05-07 한송이 현악기 운지 학습용 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과 학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45A1 (ko) * 2016-06-22 2017-12-28 권오인 악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KR102106620B1 (ko) 2017-12-14 2020-06-02 오승섭 초음파센서의 거리감지 기능을 이용한 멜로디 연주 교구 및 그의 멜로디 출력 방법
KR102583825B1 (ko) 2021-07-28 2023-09-26 도정연 유아동용 음악 학습 교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971B2 (ja) * 1991-05-31 2000-12-11 株式会社リコー 可逆性感熱記録材料
CA2199567C (en) * 1996-03-20 2003-01-14 Volker Rheinberger Functionalized and polymerizable polym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2272A1 (ko) * 2016-09-19 2018-03-22 주식회사 잼이지 악기 연주음 인식 기반의 연주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9983534A (zh) * 2016-09-19 2019-07-05 才美智有限公司 基于识别乐器演奏音的演奏导引信息提供系统、装置、方法及电脑可解读记录媒介
KR102249097B1 (ko) * 2019-12-16 2021-05-07 한송이 현악기 운지 학습용 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과 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566B1 (ko) 2015-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dam The sounding symbol: Music education in action
KR101570566B1 (ko)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Beament How we hear music: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the hearing mechanism
Hazen An introduction to language
CN112424802A (zh) 一种乐器教学系统及其使用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Millican Starting out right: Beginning band pedagogy
Zhang et al. ChinAR: facilitating Chinese Guqin learning through interactive projected augmentation
Maconie Other Planets: The Complete Works of Karlheinz Stockhausen 1950–2007
Pardue Violin augmentation techniques for learning assistance
CN110930815A (zh) 一种智能器乐辅助学习器及其使用方法
Taylor Teaching extended techniques on the saxophone: A comparison of methods
Qobilova TECHNOLOGIES OF FORMING MUSICAL CREATIVITY OF SCHOOL CHILDREN
GUCLU et al.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in music education
KR20150053890A (ko) 음악교육을 위한 기록매체
Watson Gesture as Communication: The Art of Carlos Kleiber
Sanborn Airflute: a virtual flute and tutoring system
JP6034262B2 (ja) 音楽色聴絵画指導法。
Mugovhani The Relationship between Tshivenda Linguistic Vocabulary and Musical Trajectories as Encapsulated in mirero, maambele and dzithai
Southcott The seeking attitude: Ideas that influenced Satis N. Coleman
Fashun Developing musicianship from the podium: Adapting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to the instrumental rehearsal
Chen et al. Chinese Folk Song Lesson Plan of Clarinet For Thai students
Popham Sonorous Movement: Cellistic Corporealities in Works by Helmut Lachenmann, Simon Steen-Andersen, and Johan Svensson
Dodson Finding the Technique in the Music: Conceptual Teaching Strategies That Last
Martinson Tone Development Through Non-Traditional Techniques: A Pedagogical Resource for Trombonists
Gan et al. Smart Portable Musical Simulation System Based on Unified Tempera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29

Effective date: 201510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