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309A -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309A
KR20140116309A KR1020130030804A KR20130030804A KR20140116309A KR 20140116309 A KR20140116309 A KR 20140116309A KR 1020130030804 A KR1020130030804 A KR 1020130030804A KR 20130030804 A KR20130030804 A KR 20130030804A KR 20140116309 A KR20140116309 A KR 2014011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door
key
touch
do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6214B1 (ko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주)리츠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츠엔 filed Critical (주)리츠엔
Priority to KR102013003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621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복합형으로 사용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는 표시부, 터치감지부, 터치시간 체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터치감지부는 표시부 위에 배치된다. 터치시간 체크부는 터치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시간과 기저장된 설정 터치시간을 비교한다. 제어부는 (i)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을 오픈한 후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고, (ii)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번호키 및 특수키가 표시부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iii)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특수키를 통해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하며 자동문을 오픈한 후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고, (iv)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특수키를 통해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자동문을 록킹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한다. 이에 따라,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자동문 모드로 설정되거나 도어락 모드로 설정되므로써, 자동문 개폐용 및 디지털 도어키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TOUCH SWITCH FOR AN AUTOMATIC DO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합형으로 사용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무실, 호텔 객실, 아파트 등의 도어 개폐 장치로는 금속 열쇠를 사용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기계식 도어락이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기계식 도어락은 인증 수단으로 사용되는 금속 열쇠가 분실 및 복제에 취약하여 보안성이 약한 편이었다. 요즈음에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이 지닌 취약성을 해결하고자 인증 수단으로 전자 키를 사용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PU: Microprocessor Unit)를 도어락에 탑재하여 도어락의 전반적인 열림 및 잠김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도어락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은 사전에 인증된 비밀 번호 또는 전자 키가 입력되면 잠금 모드를 해제하여 출입문을 열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인증되지 않은 비밀 번호가 입력되거나, 부적절한 방법에 의한 강제적인 잠금 모드 해제 시도가 있는 경우에는, 경고음을 울리며 일정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등의 보안 기능도 탑재되어 있다.
한편, 자동문은 사람들의 출입시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설치가 보편화되고 있다. 자동문은 주로 사람의 출입이 잦은 아파트, 호텔, 빌딩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건물뿐만 아니라 음식점, 슈퍼마켓 등의 일반상가에도 자동문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문은 설치 장소 및 사용 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개폐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적외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출입을 감지하거나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도어의 개폐를 위한 스위치는 도어에 직접 장착될 수 있고, 도어의 프레임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스위치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있으며, 스위치에 무선 통신 모듈을 장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방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에 무선으로 전달하게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9605호(발명의 명칭: 열림 유지기능이 부가된 자동문용 열림 버튼)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6141호(발명의 명칭: 보안기능이 내장된 무선 도어 잠금장치) 한국공개특허 제2012-0134608호(발명의 명칭: 자동 도어 개폐가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도어 개폐 방법)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문 개폐를 위한 용도뿐 아니라, 디지털 도어키를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는 표시부, 터치감지부, 터치시간 체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표시부 위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시간 체크부는 상기 터치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시간과 기저장된 설정 터치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는 (i) 상기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고, (ii)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가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iii)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고, (iv)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문을 록킹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자동문을 개폐하는 개폐부에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특수키는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도어락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표시부는 도어락 모드에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를 표시하고, 자동문 모드에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의 표시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에서, (a)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발생됨에 따라,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b)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한다. (c)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번호키 및 특수키를 표시한다. (d)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가 미입력되면, 단계(a)로 피드백한다. (e)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f)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면,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g)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미입력되면,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h) 상기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미입력되면 단계(c)로 피드백하고,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도어락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한 후 단계(a)로 피드백한다. (i)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특수키는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도어락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나머지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는 상기 도어락 모드에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는 상기 자동문 모드에서 표시가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에 의하면,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자동문 모드로 설정되거나 도어락 모드로 설정되므로써, 자동문 개폐용 및 디지털 도어키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가 채용된 자동문 개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a는 자동문 모드에 대응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b는 도어락 모드에 대응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가 채용된 자동문 개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a는 자동문 모드에 대응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b는 도어락 모드에 대응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는 출입문 등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는 개폐되는 유리문과 같은 자동문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자동문 인근의 도어 프레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는 자동문에 연결되어 자동문 개폐용 및 디지털 도어키용으로 사용되는 복합형 터치 스위치이다. 즉,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문 개폐용도로 설정되거나 디지털 도어키의 용도로 사용되는 터치 스위치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는 자동문 개폐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를 터치하면 자동문은 오픈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클로즈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는 디지털 도어키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에 표시되는 번호키 및 특수키를 터치하면 기저장된 비밀번호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하면 자동문을 오픈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자동문의 클로즈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는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자동문 모드로 설정되거나 도어락 모드로 설정되므로써, 복합형, 즉 자동문 개폐용 및 디지털 도어키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는 표시부(110), 터치감지부(120), 터치시간 체크부(130), 제어부(140) 및 무선송신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100)의 몸체부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표시부(110)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케이스의 표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키버튼을 누를 수 있도록 복수의 키버튼들을 표시한다. 상기 키버튼은 번호키들과 <*>나 <#>와 같은 특수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감지부(120)는 상기 표시부(110) 위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번호키나 특수키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시간 체크부(130)는 상기 터치감지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시간과 기저장된 설정 터치시간을 비교한다. 예를들어, 상기 설정 터치시간은 2초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터치시간이 2초 미만이라면 자동문을 오픈한 후 클로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가 상기 표시부(110)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터치시간이 2초 이상이라면 자동문을 오픈하지 않고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가 상기 표시부(110)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문을 록킹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한다.
상기 무선송신부(150)는 상기 제어부(14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자동문을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에 무선송신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자동문을 오픈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수 있고,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자동문에 대해 도어락 설정하는 신호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감지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0).
단계 S100에서 터치가 발생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터치시간 체크부(130)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02).
단계 S102에서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자동문을 오픈한 후(단계 S104), 일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동문을 클로즈한 후(단계 S106) 단계 S100으로 피드백한다. 상기 일정 시간은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생산하는 생산자 또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설치하는 설치자측 또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를 유지보수하는 관리자측에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102에서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큰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표시부(110)는 번호키 및 특수키를 표시한다(단계 S108). 상기 번호키 및 특수키는 평상시에는 표시되지 않다가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상기 터치감지부(12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0).
단계 S110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0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110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2).
단계 S112에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0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112에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4). 예를들어, 자동문 모드 설정치는 별(*) 표시에 대응하는 키일 수 있다.
단계 S114에서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6). 예를들어, 도어락 모드 설정키는 우물정자(#) 표시일 수 있다.
단계 S116에서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체크되면, 단계 S108로 피드백한다.
단계 S116에서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자동문을 록킹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한 후(단계 S118), 단계 S100으로 피드백한다.
한편, 단계 S114에서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 것으로 체크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한 후(단계 S120), 단계 S104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는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자동문 모드 설정 또는 도어락 모드 설정하므로써, 자동문 개폐용 및 디지털 도어키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번호키 및 특수키가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므로써, 자동문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문을 록킹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하므로써, 디지털 도어키 동작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는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 개폐 동작을 수행하고,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자동문 모드로 설정되거나 도어락 모드로 설정되므로써, 자동문 개폐용 및 디지털 도어키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110 : 표시부
120 : 터치감지부 130 : 터치시간 체크부
140 : 제어부 150 : 무선송신부

Claims (8)

  1. 표시부;
    상기 표시부 위에 배치된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시간과 기저장된 설정 터치시간을 비교하는 터치시간 체크부; 및
    (i) 상기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고, (ii)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가 상기 표시부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iii)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하며 상기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도록 제어하고, (iv)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와 상기 특수키를 통해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문을 록킹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를 자동문을 개폐하는 개폐부에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키는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도어락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나머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도어락 모드에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를 표시하고, 자동문 모드에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의 표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5. (a) 사용자에 의한 터치가 발생됨에 따라, 터치시간이 설정 터치시간보다 큰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작거나 같으면,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는 단계;
    (c) 상기 터치시간이 상기 설정 터치시간보다 크면, 번호키 및 특수키를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가 미입력되면, 단계(a)로 피드백하는 단계;
    (e) 상기 번호키를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f)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면,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g)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미입력되면,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h) 상기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미입력되면 단계(c)로 피드백하고, 도어락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도어락하고 도어락 모드를 설정한 후 단계(a)로 피드백하는 단계; 및
    (i)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가 입력되면, 설정된 도어락을 해제하고 자동문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자동문을 오픈한 후 상기 자동문을 클로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키는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문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도어락 모드 설정키는 상기 별표시 및 우물정자표시 중 나머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는 상기 도어락 모드에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키 및 상기 특수키는 상기 자동문 모드에서 표시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의 제어 방법.
KR1020130030804A 2013-03-22 2013-03-22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5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04A KR101456214B1 (ko) 2013-03-22 2013-03-22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804A KR101456214B1 (ko) 2013-03-22 2013-03-22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309A true KR20140116309A (ko) 2014-10-02
KR101456214B1 KR101456214B1 (ko) 2014-11-03

Family

ID=5199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804A KR101456214B1 (ko) 2013-03-22 2013-03-22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6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285B1 (ko) * 2016-12-06 2018-08-01 유정옥 자동문 무선터치 스위치를 이용한 자동문의 동작 모드 설정 방법
KR101884286B1 (ko) * 2018-04-16 2018-08-29 유정옥 자동문 무선터치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916B2 (ja) * 1999-03-30 2004-02-09 日本自動ドア株式会社 自動ドアの開閉制御システム
JP2005290732A (ja) * 2004-03-31 2005-10-20 Daihatsu Diesel Nhn Kk 動作モード切替装置および自動扉制御装置
KR200368538Y1 (ko) * 2004-08-23 2004-11-26 주식회사 두성하이텍 자동문 작동기 표시장치
JP2008008082A (ja) * 2006-06-30 2008-01-17 Nabtesco Corp 自動ドア及び自動ドア用リモコ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6214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9252A (zh) 一种全自动数控门禁系统
KR100894770B1 (ko) 주거 멀티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세대 설치기기들 및 그들을포함하는 세대편의 통합관리 시스템
CN205862394U (zh) 一种全自动数控门禁系统
US7772971B1 (en) Method for the proactive verification of alarm signals from the protected premise location
KR101570463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되는 도어락
TWI737708B (zh) 用於搭配一電子鎖具使用之輔助驗證輸入裝置、鎖具、及安裝或操作用於搭配一電子鎖具使用之一輔助驗證輸入裝置之方法
JP2006031712A (ja) インターネットを通じた共同住宅の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56214B1 (ko)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7002441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장치
KR20190036583A (ko) 도어락 앱을 구비한 휴대통신장치
KR10170604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방법 및 그의 도어락 장치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5179A (ko) 전자기기의 사용시간 제한을 위한 전원 제어장치
KR20160107577A (ko) 보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KR200407889Y1 (ko) 홈오토메이션의 모드선택기능이 구비된 전자식 도어록 장치
KR20090059586A (ko) 안전 도어락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0782561B (zh) 触摸面板的防误触控制方法、触摸面板及智能门锁
KR100682485B1 (ko) 생체인증 출입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26477A (ko) 지문인식용 전자식 도어록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JP6796804B2 (ja) 電気錠システム及び電気錠装置
EP1732050A1 (en) Apparatus control system
CN106548424B (zh) 一种灯具智能控制单元的实现方法及其门锁控制系统
KR101835619B1 (ko) 자동문용 제어 시스템
KR200313470Y1 (ko) 키의 해제를 위해 원격조정장치가 내장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