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251A -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251A
KR20140116251A KR1020130029617A KR20130029617A KR20140116251A KR 20140116251 A KR20140116251 A KR 20140116251A KR 1020130029617 A KR1020130029617 A KR 1020130029617A KR 20130029617 A KR20130029617 A KR 20130029617A KR 20140116251 A KR20140116251 A KR 20140116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dia
interest
setting information
scale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희동
김형곤
안상철
유병현
박호건
서대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2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6251A/ko
Priority to US14/215,137 priority patent/US20140285526A1/en
Publication of KR20140116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2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7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using user history, behaviour, conditions or preferences, e.g. predicted or inferred from previous use or current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단계;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media}
실시예들은 콘텐츠 미디어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강조한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지도를 포함한 콘텐츠 미디어 관련 정보들이 스마트 기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콘텐츠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콘텐츠 미디어에서는 관심 장소(Point of Interest; POI)가 표현된다. 예를 들어, 부분의 지도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관심 장소는 하나의 위도, 경도 좌표에 대응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글 맵(Google Map) 어플리케이션에서 서울 지역의 Restaurant라는 키워드를 통해 검색한 화면이다. 화면을 보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듯이, 너무나 많은 관심 장소를 한 번에 표현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Restaurant에 대한 키워드로 의사결정을 하기 어렵다. 자기가 원하는 장소로 지도를 확대하여, 근처의 Restaurant를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도2a는 구글맵에서 표현된 경복궁을 하나의 관심 장소로 표현한 도면이며, 도2b는 경복궁 내의 경회루를 하나의 관심 장소로 표현한 도면이다. 그러나, 경회루는 경복궁에 포함되어 있지만, 관심 장소 별 포함 관계를 표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같은 레벨(level) 상에서 표현하고 있을 뿐이다. 즉,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축척 정보에 적합한 관심 장소를 표현하지 못하고, 관심 장소 별 포함관계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지도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0053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도 축척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복수의 관심장소와의 상호 포함 관계를 나타낼 수 있어서, 입체적으로 지도 내의 관심장소를 사용자에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부;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가 지도를 얼마나 세밀하게 보는 지에 따라, 즉, 지도의 축척 정보에 적합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도를 확대 또는 축소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얻게 된다.
또한, 하나의 축척 정보 내에서 표현된 복수의 관심장소 중 일부가 서로에 포함되는 지, 그렇지 아니한 지를 파악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지도 내의 관심장소를 입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b는 종래의 지도 애플리케이션 기술에서 관심 장소를 표현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와 클라이언트 단말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해시(GEOHASH)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에 의해 표시된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의 일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와 클라이언트 단말(10)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1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클라이언트 단말(10)가 콘텐츠 미디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서버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의 상세한 내용은 도 3b를 통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여 콘텐츠 미디어를 확인할 수 있다. 콘텐츠 미디어에는 전술한 관심 장소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미디어는 지도, 사진, 동영상 등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 미디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도인 콘텐츠 미디어를 중심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로 콘텐츠 미디어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축척 설정 정보는 콘텐츠 미디어를 표시할 축척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지도 애플리케이션에서 축척 설정 정보가 낮으면 낮을수록 상세한 지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는 수치적으로 축척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지만, 클라이언트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영역을 입력(터치 또는 드래그)함으로써, 축척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면 내에서 표시되는 일부 영역을 선택함으로서 해당 영역이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표시될 수 있도록 축척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10)의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 가로 및 세로 길이 등에 관한 정보이다. 동일한 축척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해상도 내지,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상이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를 전달하기 때문에, 축척 설정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고려하여, 이에 적절한 콘텐츠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여야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가동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단말(1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즉 임의의 프로그램이 작동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카메라기능, 저장기능, 연산기능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10)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기반의 단말기 등을 비롯한 핸드헬드(Handheld) 기반 무선 단말기를 전부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10)은 프로세서,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갖춰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운영 체제간에 통신을 제공하는 처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클라이언트 단말(10)의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다른 객체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통신을 할 수 있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유선/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부(110),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120), 디스플레이부 정보 관리부(130), 표시 형태 결정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를 전술한 요소로 제한하려는 취지는 아니다.
콘텐츠 미디어 관리부(110)는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콘텐츠 미디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에는 전술한 관심 장소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지도, 사진, 동영상 등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콘텐츠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콘텐츠 미디어는 저장부(160)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외부의 객체(미도시)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것일 수도 있다. 통신 방법은 일반적인 통신 형태를 모두 포함하며, 특별히 제한하지는 아니한다.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120)는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축척 설정 정보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 또는 다른 외부 객체로부터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본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축척 설정 정보로 콘텐츠 미디어를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12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수치적으로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으로 인한 영역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적절하게 표시할 수 있는 축척 설정 정보를 계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 정보 관리부(13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 정보 관리부(130)는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된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 가로 및 세로 길이 등에 관한 정보이다. 동일한 축척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해상도 내지,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상이한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상이한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를 전달하기 때문에, 축척 설정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고려하여, 이에 적절한 콘텐츠 미디어 정보를 표시하여야 한다.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클라이언트 단말(10) 디스플레이부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미디어가 사진인 경우(도4a),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표현되어 있는 관심 장소인 광화문 광장에 대하여 텍스트와 함께 표현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4a의 이미지에 포함된 광화문을 확대하도록 축척 설정 정보를 조정한 경우(4b),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광화문에 부착된 현판에 대하여 텍스트와 함께 표현되도록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즉,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클라이언트 단말(10)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콘텐츠 미디어가 가장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콘텐츠 미디어의 표시 형태를 가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을 통해, 표시 형태 결정부(140)에서 결정된 형태로 콘텐츠 미디어를 확인할 수 있다. 도2a, 2b의 경우에서처럼, 경복궁이 경회루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경복궁이라는 관심 장소는 그 하부에 경회루라는 관심 장소를 포함한다는 정보를 갖도록 설정되고,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축척 설정 정보가 높은 경우, 하부의 관심 장소는 생략되거나, 간단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도 2a에는 도2b의 경회루가 표시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상부 관심 장소가 포함하고 있는 하부 관심 장소를 숫자 형태로 표현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오해시(GeoHash) 정보를 통해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를 결정할 수 있다. 지오해시 코드는 지구 상의 어떠한 지역을 32진수의 고유한 아이디 체계로 표현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WYDMC8를 GeoHash로 가진 관심장소는 WYDMC8A, WYDMC8B 를 지오해시로 가진 관심 장소의 상위 관심 장소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a와 6b는 9개의 지오해시를 표현해 보았다. 도 5a는 WYDMC0, WYDMC1, WYDMC2, WYDMC3, WYDMC4, WYDMC6, WYDMC8, WYDMCD의 9개의 지오해시를 나타낸다. 도 6b는 WYDMC3K, WYDMC3M, WYDMC3Q, WYDMC3H, WYDMC3J, WYDMC3N, WYDMC2U, WYDMC2V, WYDMC2Y의 9개의 지오해시를 나타낸다. 도 6b의 WYDMC3K, WYDMC3M, WYDMC3Q, WYDMC3H, WYDMC3J, WYDMC3N는, 도 6a의 WYDMC3의 하부 지오해시이고, 도 6b의 WYDMC2U, WYDMC2V, WYDMC2Y는 WYDMC2의 하부 지오해시가 된다.
통신부(150)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와 외부 객체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콘텐츠 미디어 관리부(110),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120), 디스플레이부 정보 관리부(130), 표시 형태 결정부(140)는 외부 객체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지만, 통신부(150)의 지원을 받아 외부 객체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통신기능이 있다면 유선/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후의 방법의 종류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저장부(160)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 내부의 정보 및 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미디어 관리부(110),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120), 디스플레이부 정보 관리부(130), 표시 형태 결정부(140)의 기능 수행 과정 중 또는 기능 수행 과정을 통해 얻어진 제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의 일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하거나 외부 객체로부터 수신한다(S1). 콘텐츠 미디어는 지도, 이미지, 영상 등 종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아니한다.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한다(S2).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10)에서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수신한다(S3). 디스플레이부 정보는 클라이언트 단말(10)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해상도, 가로 및 세로 길이 등에 관한 정보이다. 이후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 척 설정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S4). 이 과정에서,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100)는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오해시(GeoHash) 정보를 통해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를 결정하고, 클라이언트 단말(10)이 이를 표시하도록 표시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10)은 상기 과정을 통해서 제공 받은 콘텐츠 미디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경험을 전달한다(S5).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클라이언트 단말
100: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110: 콘텐츠 미디어 관리부
120: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정보 관리부
140: 표시 형태 결정부
150: 통신부
160: 저장부

Claims (11)

  1.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단계는,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오해시(GeoHash) 정보를 통해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
  6.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방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콘텐츠 미디어를 생성 또는 수신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부;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 형태 결정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형태 결정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콘텐츠 미디어에 관심 장소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는,
    클라이언트 단말로부터 상기 콘텐츠 미디어가 표시되는 축척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는,
    상기 축척 설정 정보에 기반하여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결정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척 설정 정보 관리부는,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지오해시(GeoHash) 정보를 통해 관심 장소에 해당하는 영역이 포함하고 있는 다른 관심 장소를 결정하는,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KR1020130029617A 2013-03-20 2013-03-20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16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17A KR20140116251A (ko) 2013-03-20 2013-03-20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4/215,137 US20140285526A1 (en) 2013-03-20 2014-03-1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evel of detail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17A KR20140116251A (ko) 2013-03-20 2013-03-20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2522A Division KR20150099695A (ko) 2015-08-10 2015-08-10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251A true KR20140116251A (ko) 2014-10-02

Family

ID=5156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617A KR20140116251A (ko) 2013-03-20 2013-03-20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85526A1 (ko)
KR (1) KR201401162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742A (ko) * 2014-06-02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029170B1 (en) * 2018-02-01 2021-06-08 Facebook, Inc. Predicting user intent in navigation information
US11054270B1 (en) 2018-02-01 2021-07-06 Facebook, Inc. Generating catalogs of navigation information
US10907983B1 (en) 2018-02-01 2021-02-02 Facebook, Inc. Navigation information on an onlin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8496B2 (en) * 2003-10-06 2015-12-08 Yellowpages.Com Ll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a communication reference in a representation of a geographical region
US20150205499A1 (en) * 2008-07-03 2015-07-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anipulat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Data
US9195953B2 (en) * 2011-08-16 2015-11-24 Walk Score Manage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 calculation and use of travel times in search and other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85526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3954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 constant level of information in augmented reality
US9535586B2 (en) Geo-fence creation on touch-enabled devices
US9910866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suggested information layers in augmented reality
KR102325495B1 (ko) 관심 지점 정보를 푸싱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9884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labels based on occlusion testing for label visibility
KR102609823B1 (ko) 미디어 컬렉션 생성 및 프라이버시 메커니즘들
US20120075341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roup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US20150317057A1 (en) Navig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service based on augmented reality, metadata processor, and metadata processing method in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system
US11670025B2 (en) Mobile-based cartographic control of display content
CN107430632B (zh) 根据用户信号动态地控制地图视口
JP6491783B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10178116B (zh) 辅助截屏
US20230169729A1 (en) Tile three-dimensional mapping tool
US98056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map in client
KR20140116251A (ko)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6530119B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804749B2 (en) Context aware commands
KR101870423B1 (ko) 지오태깅 정보를 이용한 지도 정보 제공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2015090718A (ja) 検索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8026684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navig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50099695A (ko) 콘텐츠 미디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4049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0021258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021218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6948A (ko) 지오태깅 정보를 이용한 지도 정보 제공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