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6048A -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6048A
KR20140116048A KR1020140119396A KR20140119396A KR20140116048A KR 20140116048 A KR20140116048 A KR 20140116048A KR 1020140119396 A KR1020140119396 A KR 1020140119396A KR 20140119396 A KR20140119396 A KR 20140119396A KR 20140116048 A KR20140116048 A KR 20140116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groove
piston
storage space
fl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3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5991B1 (en
Inventor
용석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Priority to KR102014011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991B1/en
Publication of KR20140116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18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annular, spherical, tube-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2Shape cylind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using hydraulic pressure to reduce vibrations, noise, and shocks associated with operating a mass in various industrial machin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er includes: a body formed with cylindrical space formed with a length groove wherein fluid can flow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pace; an inner tube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space which can rotate and in which operation space is formed, wherein the fluid is stored in the operation space formed with a plurality of orifices linked with the operation space; a piston capable of being sliding in the operation space by an external force; and a passage groove linked with the orifices, which form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to be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of which a cross 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Description

완충기{Shock absorber}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각종 산업기계에서 질량체의 작동에 따른 진동, 소음, 충격 등을 저감하도록 유압을 사용하는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that uses hydraulic pressure to reduce vibrations, noise, shocks, and the like due to the operation of a mass body in various industrial machines.

완충기는 기계장치나 작업대상물 등 질량체의 진동, 소음, 충격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The shock absorber is used to eliminate vibrations, noise, shocks, etc. of masses such as machinery and workpieces.

일반적인 충격 완충기는 오일이 담긴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측은 견고한 구조물 등에 고정되고, 피스톤이 충격 등이 전달되는 입력단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보다 큰 충격을 완만하게 저감시키기 위하여 실린더는 이중 구조를 이루고 내측 실린더나 피스톤에 오일이 유동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하기도 한다. A typical shock absorber consists of an oil-filled cylinder and a piston, the cylinder side is fixed to a rigid structure, and the piston forms an input through which impacts are transmitted. At this time, the cylinder has a double structure and forms an orifice through which the oil flows to the inner cylinder or the piston, in order to reduce a larger impact gently.

더욱 개선된 완충기로 오리피스로 대표되는 오일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여 완충기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있다. 이는 유로의 단면적 조절에 따른 감쇄 정도가 변경되므로 한 제품의 범용성을 증대시킨다. 즉 한 종류의 완충기를 다량 구매한 다음에 충격량이 서로 다른 각 장소에서 요구되는 감쇄 정도에 따라 완충기를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소품종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게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오고, 구매자에게는 사용의 편리함을 주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 further improved shock absorber which can control the flow path cross-sectional area of the oil represented by the orifice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shock absorber. This increases the versatility of a product because the degree of attenuation due to the control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is changed. That is, after a large amount of one kind of buffer is purchased, the buffer can be set and u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attenuation required in each place where the amount of the buffer is different. This leads to improved productivity for manufacturers producing small items, and for convenience to the purchas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4028호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감쇄 가변식 완충기는 그 구조상 감쇄의 설정 가능 범위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복잡한 형상으로 완충기의 제조가 쉽지 아니하여 생산성이 그리 좋지 못한 것이었다.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064028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ttenuation variable buff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limited configurable range of attenuation due to its structure. In addition, since the buffer is not easily manufactured in a complicated structure, the productivity is not so good.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감쇄의 가변 범위를 증대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제조가 용이하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has an object to increase the variable range of attenuation. It also has an object of facilitating the production.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원통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공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유체가 이동 가능한 길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 상기 원통공간에 접하며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 형성된 작동공간에는 유체가 저장되며,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된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이너튜브 그리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하고, 각 상기 오리피스에 연통되며, 상기 이너튜브의 원주 방향에 따라 상기 이너튜브의 외주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유로홈이 형성되어 있는 완충기를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comprising: a body having a cylindrical space formed with a longitudinal groove through which fluid can mov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pace; An inner tube in which a fluid is stored in the working space, a plurality of orifices communicating with the working space are formed, and a piston slidable in the working space by an external force, the piston communicating with each of the orifices,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is depressed in accordance with a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여기서, 상기 유로홈은 상기 오리피스에서 멀어질수록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상승하여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Here,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gradually increases as the flow path is further away from the orific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can be reduced.

다른 실시예로, 상기 유로홈을 형성하는 양 측면은 상기 오리피스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져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both side surfaces of the flow path groove may become closer to each other as they are away from the orific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may be reduced.

한편, 상기 유로홈은 상기 작동공간의 원형 단면 중심에서 상기 이너튜브의 원주 방향에 따라 60도 내지 350도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low channel may be formed in a range of 60 to 35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working space.

여기서, 상기 바디의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공간의 내경을 줄이는 단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튜브의 삽입단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단턱부에 걸려, 상기 바디에 대하여 상기 이너튜브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Wherein the one end of the body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tep portion for reducing an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space, and a latching portion formed outside the insertion end of the inner tube is caught by the stepped portion, Can be rotatably supported.

또한, 상기 단턱부를 통과하여 상기 바디에서 돌출된 상기 이너튜브의 돌출부에는 상기 이너튜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 주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홀은 상기 이너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홀과 연통될 수 있다. An injec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inner tube protruding from the body through the stepped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the injection hole may be communicated with the extension hol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have.

또한, 피스톤, 상기 피스톤의 전방과 후방에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구획되며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하여 체적이 변경되는 제1유체저장공간과 제2유체저장공간이 형성된 이너튜브 그리고 상기 이너튜브가 내주면에 접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유체저장공간과 상기 제2유체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길이홈이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체저장공간 또는 상기 제2유체저장공간과 연결된 오리피스와 연통된 유로홈이 상기 이너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이너튜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길이홈으로 이동되는 유량이 조절되는 완충기를 제시한다.The inner tube has a first fluid storage space defined by the piston and a second fluid storage space defined by the piston, the volume of which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The inner tub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a body having a longitudinal groove for communicating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wherein the fluid groov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or the orifice connected to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And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to the longitudinal groov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body.

이때,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기 바디에 삽입되는 구조체의 외주면에 결합된 C링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바디에 삽입된 상기 이너튜브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case, an engagement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ed one side of the body, and a C-ring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opened body is inserted into the engagement groove, Deviation can be prevented.

또 다른 실시예로, 원통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공간의 길이 방향에 따라 유체가 이동 가능한 길이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 상기 원통공간에 접하며 회전 가능하고, 내부에 형성된 작동공간에는 유체가 저장되며,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된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는 이너튜브 그리고 외력에 의하여 상기 작동공간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들에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이너튜브의 원주 방향에 따라 상기 이너튜브의 외주면에서 함몰된 유로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로홈의 함몰 깊이는 상기 오리피스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를 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ody having a cylindrical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longitudinal groov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pace, a rotatable body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space, An inner tube having a plurality of orifices formed therein communicating with the working space, and a piston slidable in the working space by an external force, the piston communicating with the orifices, Wherein a flow path groove recess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is formed and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flow path groove gradually becomes shallower from the orif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튜브의 외주면 둘레에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유로홈을 길게 형성할 수 있기에 미세한 유량의 제어를 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처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감쇄 성능으로 완충기를 정밀 세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path groo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can be formed lo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inute flow rate, an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setting can be made.

더하여, 원통형 바디의 내부 가공을 줄이고, 복잡한 형상은 이너튜브의 외주면에 가공하도록 함으로써 완충기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working of the cylindrical body is reduced, and the complicated shape is machi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buff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완충기에 채용된 바디의 일부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완충기에 채용된 이너튜브와 피스톤 등을 분해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4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완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완충기의 사용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완충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완충기의 다른 사용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의 사용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에 채용된 이너튜브의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employed in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ube, a piston, and the like employed in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8 is a conceptual view of the state of use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Fig. 7;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use state of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1. FIG.
FIG. 10 conceptually illustrates another use state of the shock absorber shown in FIG. 9; FIG.
1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tube employed in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는 유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이너튜브와 바디의 이중 실린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너튜브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력 또는 진동 등을 이너튜브에 저장된 유체에 전달하는 피스톤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피스톤부재의 일부분은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dual cylinder structure of an inner tube and a body forming a space in which a fluid is stored. Inside the inner tube, a piston member for transmitting impact force or vibration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fluid stored in the inner tube is coupled. A part of the piston member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ody.

피스톤부재의 한 구성요소이며 이너튜브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하는 피스톤은 이너튜브 내부에서 슬라이딩 됨에 따라 이너튜브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The piston sliding on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iston member,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ube as it slides inside the inner tube.

이하 설명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인 이너튜브의 내부 공간 중 피스톤에 의하여 구획되는 양 공간을 각각 제1유체저장공간, 제2유체저장공간이라 한다. 특히, 피스톤부재가 가압됨에 따라 체적이 점차 줄어드는 피스톤 전방에 형성된 공간을 제1유체저장공간으로 하고, 이때 피스톤 후방에 형성된 공간을 제2유체저장공간이라 한다. 또한, 이너튜브의 외주면에는 제1유체저장공간과 제2유체저장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리피스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공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paces defined by the pistons among the inner spaces of the generally cylindrical inner tubes are referred to as a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a second fluid storage space, respectively. Particularly, a space formed in front of the piston in which the volume gradually decreases as the piston member is pressed is used as a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a space formed behind the pist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fluid storage space. Further, an orifice for communicating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t least one of the orifices is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pace in which the piston reciprocates.

바디는 이너튜브의 외주면이 접하면서 삽입되는 내부공간을 가진다. 더하여 바디의 내주면에는 제1유체저장공간과 제2유체저장공간을 연통시키는 길이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의 왕복 이동에 따라 이너튜브에 형성된 각 오리피스와 길이홈을 경유하여 제1유체저장공간의 유체는 제2유체저장공간으로 유동되거나, 반대로 제2유체저장공간의 유체가 제1유체저장공간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The body has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is inserted while being in contact therewith. In add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 longitudinal groove communicating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is formed. Accordingly, the fluid in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flows into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via the respective orifices and the longitudinal grooves formed in the inner tube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piston, or conversely, the fluid in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flows into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피스톤의 가압에 따라 피스톤에 밀려 제1유체저장공간에서 제2유체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점이다. 이는 제1유체저장공간, 제1유체저장공간의 오리피스, 길이홈, 제2유체저장공간의 오리피스 및 제2유체저장공간으로 형성되는 일련의 유로에서 단면적의 크기 조절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One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mount of flow that moves from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to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can be finely adjusted by being pushed by the pist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piston. This is accomplishe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the orifices of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the longitudinal grooves, the orifices of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ries of flow passages formed by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1유체저장공간의 오리피스와 길이홈의 연결부분의 유로 단면적의 크기를 물리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유량을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의 변경은 결국 충격량에 대한 감쇄 정도를 달리하게 된다. 결국 제1유체저장공간의 오리피스와 길이홈 연결부분의 단면적을 미세하게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완충기의 감쇄 성능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flow rate to be changed by physically adjusting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rifice and the longitudinal groove of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Such a change in flow rate eventually results in a different degree of attenuation of the impact quantity. As a resul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rifice and the longitudinal groov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is minutely changed, so that the damping performance of the buffer can be finely adjusted.

제1유체저장공간의 오리피스와 길이홈 연결부분의 단면적 조절은 바디에 대한 이너튜브의 회전 각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너튜브에 형성된 오리피스는 원형 단면을 가진 관통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이 오리피스에 연통된 유로홈을 이너튜브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유로홈은 원주 방향에 따라 단면적이 달라지게 형성됨으로써, 이너튜브의 외주면을 향하여 개방된 길이홈과 맞추어져 상부가 개방되는 유로홈 위치에 따라 유로의 단면적이 달라지게 된다. The adjustment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rifice and the longitudinal groov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is made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body. The orifice formed in the inner tube is formed as a through h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channel groove communicated with the orific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tube.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grooves is vari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ssages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low grooves that are aligned with the longitudinal grooves opened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이때, 유로의 단면적 변경은 유로홈 자체의 면적 변화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길이홈과 연통된 유로홈의 면적 변화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유로홈 자체의 면적 변화 및 길이홈과 연통된 유로홈의 면적 변화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하여 유로의 단면적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may be changed by the change of the area of the flow path groove itself or by the change of the area of the flow path that is communicated with the length groove. Furthermore, the area change of the channel groove itself and the area change of the channel groove communicated with the length groove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reby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hannel.

본 발명의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이러한 완충기의 가공 용이성에 있다. 일반적으로, 절삭 가공이나 연마 가공 등에서 툴(tool)의 접근 용이성에 의하여, 원통형 부재의 내부 공간에 홈을 형성하는 것보다는 외주면에 가공하는 것이 용이하다.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길이홈은 바디의 길이 방향에 따른 단순 직선형으로 가공하기에 가공에 큰 어려움이 없다. 또한, 오리피스나 유로홈은 이너튜브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것이기에 가공성이 좋다. 즉 유로홈의 깊이나 폭을 점차 달라지게 가공하더라도 가공부재나 가공 툴의 위치 설정이 쉽기 때문에, 원통의 내부를 가공하는 것에 비하여 가공의 난이도가 줄어든다. 결국, 가공의 용이성은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제조 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고, 가공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불량품이 줄어 들어 최종 완충기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ides in the ease of processing of such a buffer. In general, it is easier to proc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than to form a groove in the inner space of the cylindrical member, due to the ease of access of the tool in cutting or polishing. The longitudinal groove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dy are processed in a simple linear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so that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processing. Further, the orifice and the flow path groove are formed by machin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That is, even if the depth and width of the flow channel are gradually changed, positioning of the machining member and the machining tool can be easily performed. Therefore, machining difficulty is reduced compared to machining the inside of the cylinder. As a result, the ease of fabrication leads to an improvement in productivity,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and an increase in machining accuracy, thereby reducing defective products and improving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final shock absor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operation of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rawing numbers for similar or identical components are used in unison.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10)는 바디(1), 피스톤부재(3) 및 다이얼(4)이 외형을 이루고 있다. 바디(1)는 원통 형상이나 외형은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바디의 내부에는 실린더와 같은 밀폐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shock absorb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dy 1, a piston member 3, and a dial 4. The body 1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shape and a hexahedron shape. A sealable space such as a cylinder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dy.

바디(1)의 일단에는 피스톤부재(3)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 피스톤부재(3)는 바디(1)의 일단에서 인장된 것으로, 이 상태가 일반적인 사용 상태가 된다. 추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돌출된 피스톤부재(3)의 끝단부는 충격, 진동 등이 전달되는 입력단이 된다. A piston member (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1). In the figure, the piston member 3 is tensioned at one end of the body 1, and this state is in a general use stat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nd of the projected piston member 3 becomes an input end through which impact, vibration,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한편, 바디(1)의 타단에는 다이얼(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다이얼(4)의 외주면은 널링 가공되어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기 용이한 것이다. 또한, 바디(1)와 다이얼(4)의 표면에는 다이얼의 회전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지시수단이 구비된다. 이 지시수단은 인쇄, 스티커, 돋음 가공 등 다양한 구성이나 방식을 통하여 형성 가능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1, a dial 4 is rotatably mount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al 4 is knurled so that it can be easily grasped by the user. Further, on the surfaces of the body 1 and the dial 4, instruction means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ial is provided. This indicating means can be formed through various configurations or methods such as printing, stickers, embossing, and the like.

도 2 내지 도 4에는 완충기의 단면, 각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2 to 4 show the cross section of the shock absorber, each component.

먼저, 바디(1)의 내부에는 원통공간(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공간(11)의 내주면에는 원통공간(11)의 길이방향, 즉 피스톤부재의 이동 방향에 따른 길이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바디와 길이홈(12)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길이홈(12)은 바디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한 폭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길이홈은 도시된 바와 달리 원통공간의 내주면에서 바디의 길이방향에 따른 전후 길이를 가지면서, 원통공간의 원주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First, a cylindrical space 11 is formed in the body 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pace 11, a longitudinal groove 1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pace 11,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member. In Fig. 3, the body and length groove 12 are schematically shown. The longitudinal grooves 12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wever, the longitudinal grooves may be formed eccentrical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pace, having a longitudinal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space, as shown.

더하여,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바디의 원통공간에는 길이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함몰형성된 유체이동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유체이동홈은 후술되는 이너튜브의 리턴홀과 연통되는 것으로, 바디에 대한 이너튜브의 회전 각도 변화와 무관하게 길이홈과 리턴홀을 연결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fluid movement groove may be formed in the cylindrical space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groove and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luid moving groove is communicated with a return hole of an inner tube to be described later, and connects the length groove and the return hole regardless of the rotational angle change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body.

원통공간(11)에 이너튜브(2)와 피스톤부재(3)가 장착되고, 원통공간(11)에는 추가로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13), 실링부재가 구비된 구조체(14)가 더 삽입 고정된다. 특히 구조체(14)에는 피스톤로드(32)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에는 유체의 누설을 막기 위한 오링 등 밀폐수단이 구비된다. The inner tube 2 and the piston member 3 are mounted in the cylindrical space 11 and the structure 14 further equipped with an accumulator 13 and a sealing member is further inserted and fixed in the cylindrical space 11 . Particularly, a hole through which the piston rod 32 passes is formed in the structure 14, and an o-ring or the like sealing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fluid is provided in the hole.

또한, 구조체(14)는 이너튜브(2), 어큐뮬레이터(13)가 바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Further, the structure 14 prevents the inner tube 2 and the accumulator 1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이때, 바디(1)에는 걸림홈(16)이 형성되어 있고, 구조체(14)의 외주면에 결합된 C링(27)이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바디(1)에 구조체(14)가 결합된다. 즉, 걸림홈(16)에 걸리는 C링(27)이 바디(1)에 대한 이너튜브(2), 어큐뮬레이터(13) 및 구조체(14)의 이탈을 방지한다. At this time, the body 1 is formed with the latching groove 16 and the structure 14 is coupled to the body 1 while the C-ring 27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ructure 14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 That is, the C-ring 27 caught in the engagement groove 16 prevents the inner tube 2, the accumulator 13, and the structure 14 from escaping from the body 1.

이러한 C링(27)은, 종래의 기술에서 구조체가 바디와 나사 결합되는 구성을 대체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체와 바디의 나사 결합은 오랜 사용 기간 중에 반복된 진동 등에 의하여 구조체의 나사 결합이 풀릴 염려가 있는 것이나, 본 출원에 따른 C링(27)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C링(27)에 의한 구조체의 조립은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C-ring 27 replaces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ructure is screwed to the body in the prior art. The screw connec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bod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may loosen the screw connection of the structure due to the repeated vibration during the long use period, but the C ring 27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solves this problem. Also, the assembly of the structure by the C ring 27 can be carried out very easily and quickly.

또한, 이너튜브(2), 구조체(14) 등이 삽입되도록 일단이 개방된 바디(1)의 타단은 원통공간의 내경을 줄이는 단턱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턱부(15)가 바디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타단의 개구된 홀을 좁히기 위한 별도의 캡 부재가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캡 부재를 별도로 형성하는데 드는 수고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캡 부재와 바디를 조립하여야 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The other end of the body 1, which is opened at one end to insert the inner tube 2 and the structure 14,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tep portion 15 for reduc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space. As the step portion 15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portion of the body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cap member for narrowing the hole at the other end is not requir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abor and cost of separately forming the cap member, and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ap member and the body.

이너튜브(2)는 원통공간(11)과 외주면이 접하는 원통 부재로 일단은 피스톤(31)의 삽입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막혀 있다. 이너튜브(2)의 타단부 외주면은 걸림부(25)가 단턱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25)가 단턱부(15)에 지지대며 이너튜브(2)가 바디(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inner tube 2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cylindrical space 11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end of the inner tube 2 is opened for insertion of the piston 31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losed. The inner tube 2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other end which is formed with a stopper 25 in a stepped manner and the inner tube 2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ody 1 Lt; / RTI >

또한, 이너튜브(2)에는 단턱부(15)에 의하여 좁아진 바디(1)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너튜브(2)가 원통공간에 삽입되면 돌출부(21)는 바디(1)의 타단에서 돌출되고, 이 돌출된 부분에 다이얼(4)이 결합된다. 다이얼(4)은 무두나사에 의하여 돌출부(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The inner tube 2 is formed with a protruding portion 21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body 1 narrowed by the step portion 15. That is, when the inner tube 2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space, the protruding portion 21 protrudes from the other end of the body 1, and the dial 4 is engaged with the protruded portion. The dial (4) is firmly fixed to the projection (21) by a tongue screw.

한편, 돌출부(21)에는 이너튜브(2)의 길이방향에 따라 주입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입홀(211)은 이너튜브(2)의 내부에 형성된 연장홀(212)과 연통되어 있다. 이때, 연장홀(212)은 이너튜브(2)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홀(212)은 바디(1)의 원통공간과 연통된다. 이 주입홀(211)과 연장홀(212)은 작동을 위한 유체가 주입되는 유로로 사용된다. 유체의 주입이 완료된 다음에 주입홀(211)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된 수단에 의하여 기밀된다.On the other hand, an injection hole 211 is formed in the projecting portion 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e injection hole 21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extension hole 212 formed in the inner tube 2. At this time, the elongated hole 212 is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Further, the extension hole 212 communicates with the cylindrical space of the body 1. The injection hole 211 and the extension hole 212 are used as a flow path for injecting fluid for operation. After the injection of the fluid is completed, the injection hole 211 is sealed by generally known means.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너튜브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주입홀이 이너튜브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것이다. 이로써 작동을 위한 유체가 주입된 이후에 완충기를 사용함에 있어 피스톤에 의하여 가압된 유체가 주입홀에까지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압력을 높게 받은 주입홀의 유체가 외부로 누설될 염려가 있게 된다. In the prior art, the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tube. This causes the fluid pressurized by the piston to be pushed to the injection hole in using the shock absorber after the fluid for operation is injected. Therefore, the fluid in the injection hole having a high pressure may leak to the outside.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너튜브(2)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연장홀(212)에 의하여 피스톤(31)에 의하여 유체가 가압되더라도 피스톤(31)의 가압력이 연장홀(212)을 우회하여 주입홀(211)에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이 우회된 유로는 피스톤(31)의 가압력이 바로 주입홀(211)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게 함으로써 주입홀(211)에서 유체의 누출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luid is pressurized by the piston 31 by the extension hole 212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e pressing force of the piston 31 bypasses the extension hole 212, ). The flow path bypassed in this way does not affect the injection hole 211 directly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piston 31, so that leakage of the fluid in the injection hole 211 can be minimized.

한편, 원통공간(11)과 이너튜브(2)가 원형 단면을 가짐에 따라 다이얼의 회전시, 바디(1)에 대하여 이너튜브(2)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길이홈(12)의 개방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이너튜브(2)의 외주면은 바디(1)의 내주면과 서로 접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the cylindrical space 11 and the inner tube 2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the inner tube 2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body 1 when the dial is rotated. 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except for the open portion of the longitudinal groove 12.

한편, 이너튜브(2) 내부에는 유체가 채워지는 작동공간(24)이 형성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작동공간(24)의 단면은 원형이다. 작동공간에는 피스톤(3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피스톤(31)에 의하여 작동공간(24)이 나뉘어 전술한 제1유체저장공간(241) 및 제2유체저장공간(242)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nner tube 2, an operation space 24 filled with a fluid is formed. Although not necessarily, the working space 24 is circular in cross section. The piston 31 is slidably coupled to the working space and the working space 24 is divided by the piston 31 into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and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242 described above.

이너튜브(2)에는 작동공간(24)과 연통되는 복수의 오리피스(2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4개의 오리피스(22)와 리턴홀(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리피스(22)의 수와 리턴홀(28)의 수는 적어도 제1유체저장공간(241)과 연통되는 하나의 오리피스와, 제2유체저장공간(242)에 연통되는 하나의 리턴홀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그 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inner tube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rifices 22 communicating with the working space 24. In the drawing, four orifices 22 and return holes 28 are formed. The number of the orifices 22 and the number of the return holes 28 are set such that at least one orifi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and one retur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242 But is not limited to that number.

만일 오리피스(22)가 길이홈(12)과 만나도록 이너튜브(2)가 회전된 상태(도 2 참고)라면, 제1유체저장공간(241), 길이홈(12), 제2유체저장공간(242)은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피스톤부재(3)가 이너튜브(2)의 내부로 이동되어 피스톤(31)이 제1유체저장공간(241)을 가압하면 유체는 오리피스(22)를 경유하여 길이홈(12)으로 이동되고, 길이홈(12)의 유체는 리턴홀(28)을 거쳐 제2유체저장공간(242)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너튜브의 회전각과 상관 없이 길이홈(12)의 공간과 어큐뮬레이터(13)는 서로 연통되어 있다. If the inner tube 2 is rotated (see FIG. 2) so that the orifice 22 meets the longitudinal groove 12,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the longitudinal groove 12, (24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piston member 3 is moved into the inner tube 2 and the piston 31 presses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the fluid is moved to the longitudinal groove 12 via the orifice 22 , The fluid in the longitudinal groove 12 is moved to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242 via the return hole 28. [ At this time, regardless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inner tube, the space of the longitudinal groove 12 and the accumulator 13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더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튜브(2)의 외주면에는 오리피스(22)에 연통되며 이너튜브(2)의 원주 방향에 따라 함몰되게 형성된 유로홈(23)이 형성되어 있다. 4 to 6, a flow channel 23 communicating with the orifice 22 and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로홈(23)은 오리피스(22)에서 시작된다. 유로홈(23)은 오리피스(22)의 외주면 일측이 절개되어 오리피스(22)와 연통된다. 이로써 오리피스(22)를 통과한 유체는 유로홈(23)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오리피스와 유로홈의 연결은 유로홈의 중간 부분일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groove 23 starts at the orifice 22.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fice (22) is cut off and communicated with the orifice (22). Thus, the fluid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rifice (22) can flow into the flow path groove (23). Although not shown, the connection between the orifice and the channel groove may be the middle portion of the channel groove.

한편, 도면에서는 유로홈(23)은 바닥면(231)과 양 측면(232)으로 이루어진 사각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단면은 영문자 'U' 자 형상, 반원형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In the meantime, although the channel grooves 23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231 and both side surfaces 232 in the figure, the cross-section may be variously changed in the shape of an alphabet letter U, a semicircle,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유로홈(23)은 일정한 폭을 가지며 바닥면(231)이 오리피스(22)에서 멀어질수록, 즉, 이너튜브(2)의 외주면을 따라 상승하여 유로홈(23)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점차 작아진다. The flow path groove 23 has a constant width and increases as the bottom surface 231 moves away from the orifice 22, that i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23 gradually decreases gradually.

이러한 유로홈(23)은 작동공간(24)의 원형 단면 중심에서 이너튜브(2)의 원주 방향에 따라 60도 내지 350도의 범위로 형성된다. The flow grooves 23 are formed in the range of 60 to 35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working space 24. [

만일 유로홈(23)의 시작과 끝이 형성하는 각도가 60도 미만인 경우에는 유로홈(23)에 의하여 조절되는 유로의 단면적 변화가 너무 급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미세한 감쇄 조절이 거의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If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flow path groove 23 is less than 60 degrees,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controlled by the flow path groove 23 is too rapid.

더하여 상기 각도가 35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로홈(23)의 끝과 오리피스(22)의 사이가 지나치게 가까워져 길이홈에 유로홈(23)의 끝과 오리피스(22)의 일부분이 동시에 걸쳐질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정확한 유량의 세팅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게 된다. 상기 각도가 60도 이상인 때에 완만한 유로 단면의 확장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유량의 미세한 제어가 효과적으로 발휘된다. When the angle exceeds 350 degrees, the end of the flow path groove 23 becomes too close to the orifice 22 so that the end of the flow path groove 23 and a part of the orifice 22 can be simultaneously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et the flow rate. As the angle becomes 60 degrees or m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expand the cross-section of the flow path, thereby finely controlling the flow rate effectively.

본 발명에서 유로홈(23)은 홀로 형성하지 아니함에 따라, 위와 같이 이너튜브(2)의 외주면 둘레를 거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유로홈을 폭이 점차 좁아지는 홀로 형성하였다면 원주방향에 따라 절개된 홀이 이너튜브의 구조적 강성에 직접 영향을 주게 되므로, 작동공간이 중심에서 이너튜브의 원주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홀의 각도가 상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홈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너튜브의 구조적 강성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유로홈의 형성 길이를 이너튜브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path groove 23 is not formed as a hole,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2 can be almost used as described above. If the channel groove is formed into a gradually narrowed hole, the hole cu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irectly affects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inner tube, so that the angle of the hol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from the center of the working space is considerably large It is bound to be limit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fear of deterioration of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inner tube by forming the groove, and the length of the flow channel can be made sufficiently long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피스톤부재(3)는 이너튜브(2)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31), 일단이 피스톤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로드(32) 및 피스톤로드의 타단에 장착되는 범퍼헤드(33)를 포함한다. 범퍼헤드(33)는 탄성고무 등이 감싸고 있을 수 있다. The piston member 3 includes a piston 31 slidably mounted in the inner tube 2, a piston rod 3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ston, and a bumper head 33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piston rod . The bumper head 33 may be surrounded by an elastic rubber or the like.

도 2를 참고하면 피스톤(31)에는 가해진 충격 등이 해소되어 피스톤부재(3)가 원래의 바디(1)에서 돌출된 위치로 복귀할 때에, 제2유체저장공간(242)에 머무는 유체를 신속하게 제1유체저장공간(241)으로 이동시키는 밸브수단(34)이 구비된다. 이 밸브수단(34)은 피스톤의 내부에 형성된 통로(341)를 유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개방하거나 밀폐시키는 구체(3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밸브수단(34)는 다양한 다른 공지된 구성으로 대체 가능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when the impact applied to the piston 31 is released and the piston member 3 returns to the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original body 1, the fluid staying in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242 is quickly To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The valve means 34 may comprise a sphere 342 which opens or closes the passage 341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pist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luid. Such valve means 34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other known configurations.

더하여, 피스톤(31)의 전단에는 코일스프링(5)이 더 구비된다. 이 코일스프링(5)은 이너튜브(2)의 막힌 내벽과 피스톤(31) 사이에 개재되어 항시 피스톤(31)을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외력에 의하여 피스톤부재가 이너튜브의 내부로 수축된 다음, 외력이 해소되면 코일스프링이 피스톤부재를 원래의 돌출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In addition, a coil spring 5 is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piston 31. The coil spring 5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tube 2 and the piston 31 to push the piston 31 at all times. That is, when the piston member is contract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tube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coil spring returns the piston member to the original protruded position.

다시 도 2와 도 4를 참고하면, 오리피스(22)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피스톤(31)에 의하여 점차 폐쇄되도록 복수가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완충기의 작동 초기에는 피스톤(31)의 이동에 따라 제1유체저장공간(241)에 머물던 유체가 오리피스들(22)을 통하여 일제히 길이홈(12)으로 배출된다. 즉, 오리피스(22)의 수만큼 제1유체저장공간(241)에서 유체가 빠져나가는 단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충격이 가해진 초기에 약한 댐퍼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는 완충기가 질량체의 속도를 저감하는 데 사용될 경우, 질량체의 초기 속도에 대응하여 완충기의 수축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데 주요한 것이다. 2 and 4, a plurality of orifices 22 are formed so as to be gradually closed by a piston 31 moving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at the beginning of operation of the shock absorber, the fluid staying in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is discharg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s 12 through the orifices 22 as the piston 31 moves. That is, sin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that escapes from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is increased by the number of the orifices 22, a weak damper performance is exhibited at the initial stage of the impact. This is important in that when the buffer is used to reduce the speed of the mass, the shrinkage of the buffer rapidly in response to the initial velocity of the mass.

피스톤(31)이 이너튜브(2)의 내부로, 즉 작동공간(24)의 내부로 더욱 전진함에 따라 일부 오리피스는 피스톤(31)의 외주면에 가려진다. 그에 따라, 제1유체저장공간(241)에서 길이홈(12)으로 유체가 빠져나가는 통로의 면적이 가려진 오리피스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의 감소로 인하여 완충기의 감쇄 성능이 증가된다. As the piston 31 further advances into the interior of the inner tube 2, that is, into the working space 24, some orifices are obscur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ston 31. As a result, the area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fluid exits from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12 is reduced by the obturated orifice. This reduction in flow rate increases the damping performance of the buffer.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오리피스(22)에 의하여 충격이 전달된 초기에는 약한 감쇄가 이루어지고, 추가로 피스톤부재가 더 이동함 따라 상승된 감쇄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단계에 걸친 감쇄 성능의 증대는 취성을 가지는 질량체의 속도 저감 등에서 주요한 것이다. At the initial stage of the impact transmitted by the orifices 22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weak attenuation is achieved, and further, the attenuating performance as the piston member moves further can be obtained. The increase in attenuation performance over such a multistage system is a major factor in speed reduction of a mass having brittleness.

한편, 오리피스들(22)의 단면적은 제2유체저장공간(242)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게 형성함으로써, 완충기의 감쇄 성능의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질량이 큰 물체의 속도 저감시에 완충기에 의하여 질량체에 전달되는 반력을 줄이면서, 움직이는 물체의 에너지를 일정한 비율로 분산하거나 흡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rifices 22 is made smaller as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242 increases, so that the damping performance of the buffer can be increased. It disperses or absorbs the energy of a moving object at a constant rate while reducing the rea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mass by the buffer when the speed of a mass object is reduced.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한다. 다만, 도 7과 도 9에서 이너튜브(2)나 바디(1)의 두께는 과장된 것이다. 또한 도 8과 도 9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너튜브를 펼쳐 상태의 오리피스(22)와 유로홈(23) 그리고 유로홈(23)과 만나는 길이홈(12)만을 나타내었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FIG. However, in Figs. 7 and 9, the thicknesses of the inner tube 2 and the body 1 are exaggerated. 8 and 9, only the longitudinal grooves 12 are shown in which the inner tube 22 is opened and the flow grooves 23 and the flow grooves 23 meet.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동일한 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7 and 8 show the same usag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 다이얼을 회전시킴에 따라 바디(1)에 대하여 이너튜브(2)가 회전되어 있다. 이너튜브(2)의 오리피스(22)는 바디(1)의 내주면에 의하여 막힌 상태이다. 다만, 유로홈(23)은 바디(1)의 내주면에 의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제1유체저장공간(241)에 머물던 유체는 피스톤이 가압함에 따라 오리피스(22)와 유로홈(23)을 차례로 통과하여 길이홈(12)으로 유입된다. 이후 길이홈(12)으로 들어간 유체는 제2유체저장공간(242)으로 유입된다. 이때, 길이홈(12)의 일부 유체는 어큐뮬레이터(13)에 수용될 수 있다. 7, the inner tube 2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dy 1 by rotating the dial. The orifice 22 of the inner tube 2 is block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However, the flow path groove 23 is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 The fluid staying in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passes through the orifice 22 and the flow path groove 23 in turn and flows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12 as the piston is pressed. The fluid which has entered the longitudinal grooves (12) then flows into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242). At this time, some of the fluid in the longitudinal grooves 12 may be received in the accumulator 13.

도 8에는 유로가 도시되어 있다. 길이홈(12)은 유로홈(23)의 길이 방향과 수직된다. 길이홈(12)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너튜브(2)의 회전에 따라 유로홈(23)은 유로홈(2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오리피스(22)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는 길이홈(12)과 만나는 유로홈(23)의 지점에서 형성하는 수직 단면(V)을 통과하게 된다. 만일 길이홈(12)의 폭과 유로홈(23)의 폭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평 단면(H)의 넓이가 상기 수직 단면(V)의 넓이보다 크다면, 수직 단면(V)이 제1유체저장공간부터 제2유체저장공간 사이에 형성된 유로 중에서 가장 작은 단면적이 된다. 따라서 수직 단면(V)이 유체 흐름의 병목 현상을 가져오므로 전체 유량을 제한하게 된다. 8 shows a flow path. The longitudinal grooves 12 a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grooves 23. The flow path groove 23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groove 23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ner tube 2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long groove 12 is fixed.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orifice 22 passes through the vertical section V formed at the point of the flow path groove 23 which meets the longitudinal groove 12. If the width of the horizontal section H formed by the width of the longitudinal grooves 12 and the width of the channel grooves 23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section V, Sectional area between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Therefore, the vertical cross section (V) is a bottleneck of the fluid flow, which limits the total flow rate.

도 9와 도 10은 다른 사용 상태에 대한 도면들이다. 9 and 10 are diagrams for different use states.

이너튜브(2)는 바디(1)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도 9와 같이 유로홈(23)의 끝단 가까이에서 길이홈(12)과 연통된다. 이 경우, 피스톤의 가압에 의하여 제1유체저장공간(241)의 유체는 오리피스(22)와 유로홈(23)의 대부분을 통과하여 길이홈(12)으로 유입된다. The inner tube 2 further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body 1 and communicates with the longitudinal groove 12 near the end of the flow path groove 23 as shown in Fig. The fluid in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241 flows through the orifices 22 and the flow grooves 23 and flows into the longitudinal grooves 12 by the pressure of the piston.

도 10에는 이 경우의 길이홈(12)과 유로홈(23)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너튜브의 추가 회전에 따라 길이홈(12)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길이홈(12)과 만나는 유로홈(23)의 지점에서 수직되게 형성된 수직 단면(V)의 면적은, 도 8에 비하여 바닥면(231)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크게 줄어든 상태가 된다. 따라서 줄어든 수직 단면(V)의 면적만큼 이를 통과하는 유량이 줄어들게 되어, 완충기의 감쇄 성능은 증가된다. Fig. 10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itudinal grooves 12 and the flow grooves 23 in this case. And is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grooves 12 in accordance with the further rotation of the inner tube. The area of the vertical section V formed vertically at the point of the flow path groove 23 that meets the longitudinal groove 12 is greatly reduced because the bottom surface 231 is elevated as compared with FIG. Therefore, the flow rate passing through the reduced vertical section (V) is reduced, and the damping performance of the buffer is increased.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오리피스, 유로홈 및 길이홈을 간략히 나타낸 것으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유로홈은 이너튜브를 가상적으로 펼쳐 도시하였다. 11 is a view showing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chematically shows the orifices, the flow grooves and the longitudinal grooves.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inner grooves are virtually unfolded by the inner groov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는 바디, 이너튜브 및 피스톤부재를 포함하는 것이고, 그 구성 및 작용은 아래에 설명되는 내용과 저촉되지 아니하는 한도 내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고,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것이다.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n inner tube, and a piston member, an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o the extent that they do not conflict with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includes the technical features shown in Figs. 1 to 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튜브에 형성된 유로홈(23)의 양 측면(232)은 오리피스(22)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져 유로홈(23)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것이다. 도면에서 오리피스(22)와 가깝게 길이홈(12)이 위치되는 경우에 길이홈(12)과 만나는 유로홈(23)의 1지점(P1)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단면의 면적에 의하여 오리피스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의 유량이 한정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 surfaces 232 of the flow path groove 23 formed in the inner tube are closer to each other as the distance from the orifice 22 increases,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groove 23 gradually decreases. When the length groove 12 is positioned close to the orifice 22 in the drawing, the flow path is formed through the orifice through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vertically formed at one point P1 of the flow path groove 23, The flow rate of the fluid is limited.

또한, 같은 도면에 함께 표시한 오리피스(22)와 멀게 길이홈(12)이 위치되는 경우에는 길이홈(12)과 만나는 유로홈(23)의 2지점(P2)에서 수직으로 형성된 단면의 면적에 의하여 유량이 한정된다. In the case where the orifice 22 and the long groove 12 shown in the same drawing are positioned together,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ly formed at two points P2 of the flow grooves 23, which meet with the longitudinal groove 12, The flow rate is limited.

이와 같이, 유로의 면적을 줄이는 방식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유로홈을 형성하는 양 측면이 서로 가깝게 이동됨에 따라 오리피스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감쇄 성능이 점차 증대되는 점은 전술된 실시예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s the side surfaces forming the flow path are moved closer to each other and further away from the orifice. This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at the attenuation performance is gradually increased.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가공의 정도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바닥면이 점차 상승되어야 하므로 원통형 이너튜브에 유로홈을 형성함에 있어 바닥면을 편심 가공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의 깊이는 일정하고 대신 양 측면이 점차 가까워지게 경사면으로 가공하여야 하는 것이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ree of processing differ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bottom surface is to be gradually raised, the bottom surface must be eccentric in forming the channel groove in the cylindrical inner tub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is constant, and instead, both sides need to be machined into an inclined surface so as to be closer to each other.

더하여 유로홈의 수직 단면의 넓이가 오리피스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작게 하는 유로홈의 형상은 바닥면의 상승 및 양 측면의 근접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hannel groove, which gradually becomes smaller as the width of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hannel groove is away from the orifice, can be achieved by simultaneously raising the bottom surface and proximity of both sides.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에 채용된 이너튜브가 도시되어 있다. 12 shows an inner tube employed in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에는 바디, 이너튜브 및 피스톤을 포함한다. 바디와 피스톤의 구성과 작용은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너튜브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된 실시예들의 이너튜브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갖는다.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n inner tube, and a piston. Sin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body and the pist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urther, the inner tube ha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tub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s it is,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e following descrip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튜브(2)에는 내부의 작동공간과 연통된 복수의 오리피스(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오리피스(22)에 연통된 유로홈(23)이 이너튜브(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orifices 22 communicating with an internal working space are formed in the inner tube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flow path groove 23 communicating with a plurality of orifices 22 is formed in the inner tube 2. [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유로홈(23)의 바닥면(231) 일단부는 오리피스들(22)과 연통된다. 이때, 유로홈(23)은 오리피스들의 전부를 포함하는 폭으로 형성된다. 단일의 유로홈(23)의 바닥면(231)에 오리피스들(22)이 연통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와 달리, 일부의 오리피스들(22)이 단일의 유로홈(23)의 바닥에 연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Concretely,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231 of the flow path groove 23 communicates with the orifices 22. At this time, the flow path groove 23 is formed to have a width including all of the orifices. So that the orifices 22 communicate with the bottom surface 231 of the single flow path groove 23. Alternatively, some of the orifices 22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bottom of the single flow path groove 23.

또한, 유로홈(23)은 이너튜브(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다. 유로홈은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동공간의 원형 단면 중심에서 상기 이너튜브의 원주 방향에 따라 60도 내지 350도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low path groove 23 is recess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The flow grooves can be formed in the range of 60 to 35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working spac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유로홈(23)의 함몰 깊이는 오리피스들(22)과 연통된 바닥면(231)의 일단부에서 이너튜브(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오리피스들(22)과 멀어질수록 점차 얕아진다. The recess depth of the flow path groove 23 gradually becomes shallow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2 at the one end of the bottom surface 231 communicating with the orifices 22 from the orifices 22.

이로써 바디에 대하여 이너튜브가 회전된 상태에서 오리피스로 유입된 유체가 유로홈의 바닥면과 바디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좁은 채널을 통과한 후 바디의 길이홈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너튜브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채널의 단면적의 크기가 조절되며, 오리피스로부터 길이홈까지의 길이가 변경되어 유체의 유량이 조절되고, 결국 완충기의 감쇄 성능이 조절된다. As a result,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orifice in the state where the inner tub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ody is moved to the longitudinal groove of the body after passing through the narrow channel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path groov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inner tube,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hannel is adjusted, and the length from the orifice to the length groove is changed to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thereby controlling the attenuation performance of the buff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튜브는 단일의 유로홈을 형성할 수 있게 하므로, 이너튜브의 가공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을 갖는다. The inner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ingle flow path groove, which has an advantage that the processing convenience of the inner tube is increased.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복수의 오리피스들 중 일부의 오리피스는 각 오리피스마다 개별적인 유로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오리피스들에는 하나의 유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홈들은 전술된 실시예들과 같이 바닥면의 점진적인 상승이나 측벽 거리의 조절을 통하여 유체의 유량이 제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part of the orifi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orifices may have an individual channel groove for each orifice, and a channel groove may be formed for the remaining orifices. These flow grooves can be design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luid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gradual rise of the bottom surface or the adjustment of the sidewall distanc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 : 완충기
1 : 바디
11 : 원통공간 12 : 길이홈 13 : 어큐뮬레이터
14 : 구조체 15 :단턱부 16 : 걸림홈
2 : 이너튜브
21 : 돌출부 211 : 주입홀 212 : 연장홀
22 : 오리피스 23 : 유로홈
231 : 바닥면 232 : 측면 24 : 작동공간
241 : 제1유체저장공간 242 : 제2유체저장공간
25 : 걸림부 27 : C링 28 : 리턴홀
3 : 피스톤부재
31 : 피스톤 32 : 피스톤로드 33 : 범퍼헤드
34 : 밸브수단 341 : 통로 342 : 구체
4 : 다이얼 5 : 코일스프링
V : 수직 단면 H : 수평 단면
10: Shock absorber
1: Body
11: cylindrical space 12: longitudinal groove 13: accumulator
14: structure 15: step portion 16:
2: Inner tube
21: protrusion 211: injection hole 212: extension hole
22: Orifice 23: Euro groove
231: bottom surface 232: side surface 24: working space
241: first fluid storage space 242: second fluid storage space
25: engaging portion 27: C-ring 28: return hole
3: piston member
31: piston 32: piston rod 33: bumper head
34: valve means 341: passage 342: sphere
4: dial 5: coil spring
V: Vertical section H: Horizontal section

Claims (4)

피스톤,
내부에 상기 피스톤이 위치하며, 상기 피스톤의 전방과 후방에 상기 피스톤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하여 체적이 변경되는 제1유체저장공간과 제2유체저장공간이 형성된 이너튜브, 그리고
상기 이너튜브가 내주면에 접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유체저장공간과 상기 제2유체저장공간을 연결하는 길이홈이 형성된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체저장공간 또는 상기 제2유체저장공간과 연결된 복수의 오리피스와 각각 연결된 복수의 유로홈이 상기 이너튜브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유로홈은 서로 간격을 둔 채 배열되어 있고, 각기 상기 이너튜브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변화하며,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이너튜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홈의 특정 부분이 상기 길이홈과 마주할 수 있고, 상기 길이홈과 마주하는 상기 유로홈의 특정 부분이 변경됨에 따라 완충력이 조절되는
완충기.
piston,
An inner tube having a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a second fluid storage space defined by the piston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piston, the volume of which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piston,
Wherein the inner tub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 longitudinal groove connecting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and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Lt; / RTI >
A plurality of flow groove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fluid storage space or the plurality of orifices connected to the second fluid storage space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the plurality of flow grooves are arranged with a gap therebetween Sectional are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a specific portion of the flow path groove can face the longitudinal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nner tube with respect to the body, As the specific part of the groove is changed, the buffering force is adjusted
buffer.
제1항에서,
상기 유로홈은 상기 이너튜브의 원주면을 따라 바닥면의 깊이가 점차 상승하여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거나 또는 상기 유로홈을 형성하는 양 측면이 상기 오리피스에서 멀어질수록 서로 가까워져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완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low path groove is formed such that the depth of the bottom surface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tube so that the sectional area becomes gradually smaller or both sides forming the flow path groove become closer to each other as the distance from the orifice becomes smaller, buffer.
제1항에서,
상기 이너튜브에는 상기 이너튜브의 길이 방향에 따라 주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홀은 상기 이너튜브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홀과 연통되어 있는 완충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tube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and the injection hole is in communication with an extension hol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제1항에서,
상기 바디의 개방된 일측의 내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고, 개방된 상기 바디에 삽입되는 구조체의 외주면에 결합된 C링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바디에 삽입된 상기 이너튜브의 이탈이 방지되는 완충기.
The method of claim 1,
A C-ring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structure to be inserted into the opened body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nd the detachment of the inner tube inserted into the body Buffer prevented.
KR1020140119396A 2014-09-05 2014-09-05 Shock absorber KR1016759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96A KR101675991B1 (en) 2014-09-05 2014-09-05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96A KR101675991B1 (en) 2014-09-05 2014-09-05 Shock absorb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006A Division KR101505864B1 (en) 2013-07-18 2013-07-18 Shock 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048A true KR20140116048A (en) 2014-10-01
KR101675991B1 KR101675991B1 (en) 2016-11-14

Family

ID=5199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396A KR101675991B1 (en) 2014-09-05 2014-09-05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99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39A (en)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Shock absorber
KR20210125628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20210125630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20210125629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20210125627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4216A (en) * 1989-04-17 1990-11-08 Nifco Inc Damper device and open/close device for seat using same damper device
KR200311426Y1 (en) * 2002-12-30 2003-04-30 용석필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isassembling of cylindrical equipment
KR100502470B1 (en) * 2003-01-09 2005-07-20 용석필 Shock absorber
US8205729B2 (en) * 2007-06-27 2012-06-26 Smc Corporation Shock absor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74216A (en) * 1989-04-17 1990-11-08 Nifco Inc Damper device and open/close device for seat using same damper device
KR200311426Y1 (en) * 2002-12-30 2003-04-30 용석필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isassembling of cylindrical equipment
KR100502470B1 (en) * 2003-01-09 2005-07-20 용석필 Shock absorber
US8205729B2 (en) * 2007-06-27 2012-06-26 Smc Corporation Shock absorb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239A (en) * 2017-06-02 2018-12-12 주식회사 케이오비에이 Shock absorber
KR20210125628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20210125630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20210125629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20210125627A (en) * 2020-04-08 2021-10-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991B1 (en)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991B1 (en) Shock absorber
US6814338B2 (en) Two-port vacuum valve capable of adjusting valve-opening
CN102913503B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0768868B1 (en) Fluid pressure cylinder apparatus having throttle valve
KR200487180Y1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1889342B1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1866813B1 (en) Fluid pressure cylinder
EP1731791B1 (en) Rotary damper
KR101505864B1 (en) Shock absorber
CN104903610A (en) Dashpot
KR100502470B1 (en) Shock absorber
KR20130013690A (en) Shock absorber
JP6198926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10288142B2 (en) Shock absorber
KR102151124B1 (en) Relief valve apparatus
CN111927848A (en) Hydraulic buffer oil cylinder
EP1661629A2 (en) Vibratory apparatus for ejecting items
JPH02163531A (en) Shock absorber
US8807462B2 (en) Variable fluid flow in air-operated two component gun applicator
TWM460182U (en) Coaxial type damping adjustment and switching shock absorber structure
JP2005083512A (en) Fluid-hydraulic cylinder
KR20140080177A (en) Shock absorber
KR101505862B1 (en) Shock absorber
JPH09303465A (en) Shock absorber
JP6374415B2 (en) Air cylinder, grinding wheel holding device and super finis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