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651A - 밀폐용기용 압착판 - Google Patents

밀폐용기용 압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651A
KR20140115651A KR1020130030470A KR20130030470A KR20140115651A KR 20140115651 A KR20140115651 A KR 20140115651A KR 1020130030470 A KR1020130030470 A KR 1020130030470A KR 20130030470 A KR20130030470 A KR 20130030470A KR 20140115651 A KR20140115651 A KR 2014011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ealed container
hermetically sealed
compression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철
김종관
Original Assignee
홍성철
김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철, 김종관 filed Critical 홍성철
Priority to KR102013003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651A/ko
Publication of KR2014011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용기 내에 압착판이 삽입되어 압착될 때,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확실하게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밀폐용기용 압착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와;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 설치되어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원판(106)과;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와;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밀폐용기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1고무패킹(112)을 포함하되,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함과 아울러 압착판의 높이를 줄여 밀폐용기 내에 음식물을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밀폐용기용 압착판{COMPRESSION PLATE FOR AIRTIGHT BOX}
본 발명은 밀폐용기용 압착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용기 내에 압착판이 삽입되어 압착될 때,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확실하게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밀폐용기용 압착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착판은 밀폐용기 내에 삽입하여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외부공기를 차단함과 동시에 밀폐용기의 진공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음식물의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고, 음식맛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며, 음식물 냄새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용기와 밀폐용기의 내에 삽입되는 압착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밀폐용기(10)는 각종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본체(14)와, 상기 용기본체(14)를 개·폐하는 뚜껑(12)과, 내부에 음식물을 압착하되, 관통된 중앙부위에 별도의 보조뚜껑(30)을 삽입·탈거가능하도록 압착판(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착판(20)의 외주연부에는 삽입홈(21)을 갖는 수용부(도시는 생략함)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삽입홈(21)의 내측에는 밀폐용기(10)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고무패킹(35)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뚜껑(30)의 외주연부에는 압착판(20) 외주연부에 형성한 삽입홈(21)과 동일한 형태의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1) 내에는 제 2고무패킹(25)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압착판은 사용도중 압착판에 연결·설치된 고무패킹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2002년 12월 17일자 출원번호 제20-2002-0037589호(고안의 명칭 : 밀폐용기용 압착판)를 특허청에 출원한바 있으며, 청구의 범위는 " 청구항 1. 각종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본체(14)와, 상기 용기본체(14)를 개·폐하는 뚜껑(12)과, 외주연부에는 별도의 고무패킹(15)을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용기본체(14) 내부에 삽입되어 음식물을 압착할 수 있되, 관통된 중앙 부위에는 별도의 보조 뚜껑(30)을 삽입·탈거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압착판(20)을 갖는 밀폐용기(10)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21)의 내측에는 제 1걸림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21)과 제 1걸림홈(23) 내에는 내주 연부에 제 1걸림돌조(27)가 형성된 제 1고무패킹(25)이 삽입·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압착판 구조.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뚜껑(30)의 외주연부에는 압착판(20) 외주연부의 삽입홈(21) 내측에 형성한 제 1 걸림홈(23)과 동일한 형태의 제 2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1)과 제 2 걸림홈(33) 내에는 내주연부에 제 2걸림돌조(37)가 형성된 제 2고무패킹(35)이 삽입·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용 압착판 구조.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밀폐용기용 압착판은 압착판의 단부 저면에 삽입홈을 갖는 수용부가 하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있는바, 밀폐용기 내에 삽입된 압착판으로 음식물을 압착할 때,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국물(예를 들어, 김치 국물 등)의 표면 장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판(20)의 단부 저면 일측과 수용부(50)의 외면 일측 그리고 제 1고무패킹(35)과 수용부(50)의 외면 일측에 공기방울(기포)(55)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밀폐용기용 압착판은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확실하게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방울(기포)에 의해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빨리 상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밀폐용기용 압착판은 압착판의 단부 저면에 삽입홈을 갖는 수용부가 하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용기 내에 음식물을 많이 담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용기 내에 압착판이 삽입되어 압착될 때,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이 확실하게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밀폐용기용 압착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와;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 설치되어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원판(106)과;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와;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밀폐용기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1고무패킹(112)을 포함하되,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함과 아울러 압착판의 높이를 줄여 밀폐용기 내에 음식물을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은 삽입홈을 갖는 수용부가 압착판의 단부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밀폐용기 내에 압착판이 삽입되어 압착될 때,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확실하게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바, 음식이 상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삽입홈을 갖는 수용부가 압착판의 단부 상면에 설치됨으로써, 종래의 압착판의 높이보다 압착판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바, 밀폐용기의 내부에 음식물을 많이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밀폐용기와 밀폐용기의 내에 삽입되는 압착판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밀폐용기용 압착판에서의 공기방울이 생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분해도,
도 5b는 도 5a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종래의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높이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높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분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와;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 설치되어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원판(106)과;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와;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밀폐용기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1고무패킹(112)과;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관통공(102)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되, 몸체의 내부 일측에 통공(도시는 생략함)을 가지면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보조뚜껑(114)과;
상기 보조뚜껑(114)의 외면 일측을 따라 설치된 체결홈(116)과;
상기 보조뚜껑(114)의 체결홈(116)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2고무패킹(118)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조립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를 위치시킨 후,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원판(106)을 연장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을 연장 설치한 후,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제1고무패킹(112)을 끼운다.
그리고, 몸체의 내부 일측에 통공을 가지면서 일측 외면을 따라 체결홈(116)이 설치된 보조뚜껑(1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보조뚜껑(114)의 체결홈(116)에 제2고무패킹(118)을 끼운다.
그리고, 제2고무패킹(118)이 끼워진 보조뚜껑(114)을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관통공(102)에 끼운다. 이때,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내벽에 제2고무패킹(118)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을 밀폐용기(200) 내에 삽입한다. 이때, 밀폐용기(200)의 내벽에 원판(106)의 수용플렌지(110)의 단부가 닿을 듯 말듯 하고, 밀폐용기(200)의 내벽에 제1고무패킹(112)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밀폐용기(200)의 내벽에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이 삽입되면, 사용자는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을 국물을 포함한 음식물이 있는 곳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을 가압할 때, 원판(106)의 저면에 공기방울이 생성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가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폐용기 내에 압착판이 삽입되어 압착될 때,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확실하게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바,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가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의 높이가 종래의 밀폐용기용 압착판(20)의 높이 보다 낮 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압착판의 높이보다 압착판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바, 밀폐용기의 내부에 음식물을 많이 담을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와;
상기 링 형상의 플랜지(104)의 내벽 일측을 따라 설치된 밀착돌기(105)와;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 설치되어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원판(106)과;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와;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밀폐용기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1고무패킹(112)과;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관통공(102)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되, 몸체의 내부 일측에 통공(도시는 생략함)을 가지면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보조뚜껑(114)과;
상기 보조뚜껑(114)의 외면 일측을 따라 설치된 체결홈(116)과;
상기 보조뚜껑(114)의 체결홈(116)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2고무패킹(118)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조립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를 위치시킨 후,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내벽에 미세하게 밀착돌기(105)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원판(106)을 연장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을 연장 설치한 후,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제1고무패킹(112)을 끼운다.
그리고, 몸체의 내부 일측에 통공을 가지면서 외면을 따라 체결홈(116)이 설치된 보조뚜껑(114)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보조뚜껑(114)의 체결홈(116)에 제2고무패킹(118)을 끼운다.
그리고, 제2고무패킹(118)이 끼워진 보조뚜껑(114)을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관통공(102)에 끼운다. 이때,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밀착돌기(105)에 보조뚜껑(114)의 외면이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내벽에 제2고무패킹(118)이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용기용 압착판(100)을 밀폐용기(200) 내에 삽입한 후, 압착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밀폐용기용 압착판
102 : 관통공
104 : 링 형상의 플렌지
105 : 밀착돌기
106 : 원판
108 : 삽입홈
110 : 수용플렌지
112 : 제1고무패킹
114 : 보조뚜껑
116 : 체결홈
118 : 제2고무패킹

Claims (2)

  1.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와;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 설치되어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원판(106)과;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와;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밀폐용기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1고무패킹(112)을 포함하되,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함과 아울러 압착판의 높이를 줄여 밀폐용기 내에 음식물을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용 압착판.
  2.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되, 몸체의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링 형상의 플렌지(104)와;
    상기 링 형상의 플랜지(104)의 내벽 일측을 따라 설치된 밀착돌기(105)와;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하단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 설치되어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원판(106)과;
    상기 원판(106)의 단부 상면을 따라 연장 설치되되, 몸체의 내부에 삽입홈(108)을 갖는 수용플렌지(110)와;
    상기 수용플렌지(110)의 삽입홈(108)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밀폐용기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1고무패킹(112)과;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관통공(102)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되, 몸체의 내부 일측에 통공을 가지면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보조뚜껑(114)과;
    상기 보조뚜껑(114)의 외면 일측을 따라 설치된 체결홈(116)과;
    상기 보조뚜껑(114)의 체결홈(116)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링 형상의 플렌지(104)의 내벽에 밀착되어 음식물을 밀폐 압착하는 제2고무패킹(118)을 포함하되,
    밀폐용기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밀폐 압착함과 아울러 압착판의 높이를 줄여 밀폐용기 내에 음식물을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한 밀폐용기용 압착판.








KR1020130030470A 2013-03-21 2013-03-21 밀폐용기용 압착판 KR20140115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70A KR20140115651A (ko) 2013-03-21 2013-03-21 밀폐용기용 압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70A KR20140115651A (ko) 2013-03-21 2013-03-21 밀폐용기용 압착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651A true KR20140115651A (ko) 2014-10-01

Family

ID=5198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470A KR20140115651A (ko) 2013-03-21 2013-03-21 밀폐용기용 압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6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91U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이지앤 쌀 퍼냄이 용이하면서 제습기능을 갖는 쌀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91U (ko) *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이지앤 쌀 퍼냄이 용이하면서 제습기능을 갖는 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759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6093909B2 (ja) 缶蓋の密閉構造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20160002245U (ko) 화장품 용기
CA2768405C (en) Grinder container
KR20140115651A (ko) 밀폐용기용 압착판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5295816B2 (ja)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飲料用ボトル
JP2009219777A (ja) 化粧料容器
KR101669228B1 (ko) 밀폐부재를 이용한 밀폐용기
KR200314922Y1 (ko) 밀폐용기용 뚜껑의 밀폐구조
CN104843306A (zh) 托盘弯曲吸管盖
KR200485154Y1 (ko) 용기용 캡의 구조
KR101780035B1 (ko) 밀폐용기
KR20080043932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JP2010264997A (ja) 保存容器
CN111169795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KR20170025090A (ko) 밀폐 용기 뚜껑 구조
KR101597903B1 (ko) 밀폐용기 누름판
KR200311105Y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101383581B1 (ko) 속마개
KR101703907B1 (ko) 용기용 밀폐 뚜껑
KR20100008515A (ko) 밀폐용기
KR20190007728A (ko) 식품 보관용 진공 방식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