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390A - 스마트 인식표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인식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390A
KR20140115390A KR1020130010616A KR20130010616A KR20140115390A KR 20140115390 A KR20140115390 A KR 20140115390A KR 1020130010616 A KR1020130010616 A KR 1020130010616A KR 20130010616 A KR20130010616 A KR 20130010616A KR 20140115390 A KR20140115390 A KR 2014011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curity
present
smart
commun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860B1 (ko
Inventor
조진만
진승헌
조영섭
조상래
최대선
노종혁
김수형
김승현
김석현
박지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1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86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20Direction indicator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인식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스마트 인식표 장치는 외부에 유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정도가 돌출 또는 음각 형태로 기록되고, 보안 메모리 기능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보안 통신용 칩,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중거리 통신용 칩,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 비상용 전원 공급기, 체온 측정 센서 및 심장박동 센서가 내부에 탑재되며, 근거리 또는 중거리 통신을 통해 고정형 출입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 소형 단말기 또는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과 보안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출입 관리, 잠금 해제 또는 비상 신호 발신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인식표 장치{SMART TAG}
본 발명은 스마트 인식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 신원 확인 및 실시간 건강 체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인식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군인용 인식표는 금속 재질에 사용자 이름, 군번, 혈액형 등의 신상정보를 새겨서 항시 휴대하도록 하고, 사고 발생시 신원 파악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 미국에서는 PIC(Personal Information Carrier)란 이름의 전자식 인식표를 개발하여 시험한 예가 있다. 이러한 PIC는 개인 의료정보를 담고 있으며, 약 10m이내의 근거리에서 지정된 판독기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인식표는 사고 발생시 사용자의 신원 확인 또는 기존 의료기록 파악을 통해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일방향 활용으로 인하여 정보에 대한 보안성이 취약하다.
예컨대, 판독기가 모사된 경우에 종래의 전자식 인식표는 개인 의료정보가 무방비하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1-0122235, 공개일자 2011년 04월 01일. 일본 등록특허 4939757, 등록일자 2012년 03월 02일.
본 발명은, 휴대형 인식표를 전자화하여 출입 관리, 개인 화기 관리, 개인 신체 건강상태 파악, 비상시 긴급 호출 기능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단말기(판독기)와 상호 인증을 통한 양방향 활용 및 보안 통신 프로토콜 적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켜서 정보를 보호하는 스마트 인식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 인식표 장치와 연동하는 고정형 출입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 개인화기에 연결되는 소형 단말기,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으로서 스마트 인식표 장치는, 외부에 유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정도보가 돌출 또는 음각 형태로 기록되고, 보안 메모리 기능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보안 통신용 칩,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중거리 통신용 칩,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 비상용 전원 공급기, 체온 측정 센서 및 심장박동 센서가 내부에 탑재되며, 근거리 또는 중거리 통신을 통해 고정형 출입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 소형 단말기 또는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과 보안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출입 관리, 잠금 해제 또는 비상 신호 발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식표를 패용한 사용자는 지정된 내무반 출입, 경비 초소 출입 및 근무, 무기고 출입, 행정반 및 지휘관실 출입시 인식표를 활용하여 본인 신원을 확인 받고, 출입문 개폐 및 근무 기록 유지가 가능하다.
생체 센서 및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와 연계하여 건강상태의 체크가 가능하고, 이상 발생시 긴급 호출을 통한 신속한 구호가 가능하다. 개인 소화기의 경우, 타인 사용이 불가능하여 분실 및 절취 방지가 가능하다.
지휘관의 경우에는 지휘 계통 내 각 병사의 현재 위치 파악이 가능하고, 지정된 시간에 지정된 장소 이탈시 파악이 가능하며, 부정한 접근시 즉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식표 장치의 활용 분야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식표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기에 부착되는 소형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식표 장치와 각 단말기간의 보안 프로토콜 통신 절차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식표 장치의 활용 분야를 예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 신원 확인 및 실시간 건강 체크 기능이 부여된 스마트 인식표 장치(101)는 군인 등의 사용자에 의해 패용 및 휴대된다.
경비초소(102)에 스마트 인식표 장치(101)를 인식하는 고정형 출입 단말기를 설치하여 보안 통신을 통해 상호 인증 후 근무 위치 파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부대 정문이나 내무반(103)에 스마트 인식표 장치(101)를 인식하는 고정형 출입 단말기를 설치하여 보안 통신을 통해 상호 인증 후 출입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무기고나 문서고(104) 등의 제한 구역에 스마트 인식표 장치(101)를 인식하는 고정형 출입 단말기를 설치하여 보안 통신을 통해 상호 인증 후 출입 관리 및 접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행정반, 전산실, 통신실, 부대의 일정 구역 내에 고정형 출입 단말기를 설치하여 근무 위치 파악, 출입 관리, 접근 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이나 전차(105)의 시동 장치에 소형 단말기를 장착하여 등록된 사용자만 차량이나 전차(105)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개인화기(106)에 소형 단말기를 부착하여 등록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는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스마트 인식표 장치(101)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를 병사(107)에게 착용시켜서 스마트 인식표 장치(101)가 병사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비상 시에 관리센터(108)를 통해 긴급 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관리센터(108)는 스마트 인식표 장치(101) 및/또는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훈련, 경비 또는 이동 중인 병사의 위치를 파악하며, 조난 또는 낙오된 병사에 대한 위치 파악 및 긴급 구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식표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는 금속 재질 또는 내열/내화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하며, 기존의 군인용 인식표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 및 형태의 외형을 갖는다. 외부에는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이름과 군번, 혈액형 등이 돌출 또는 음각 형태로 기록된다.
이러한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의 내부에는 보안 메모리 기능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보안 통신용 칩(202),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203), 지그비(Zigbee) 등 100m 이내 통신거리를 갖는 중거리 통신용 칩(204),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205), 콘덴서와 전지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의 긴급 호출을 위한 비상용 전원 공급기(206), 체온 측정 센서(207), 심장박동 센서(208)가 탑재되어 있다.
사용자가 출입 등을 위해 고정형 출입 단말기(209)에 접근하여 근거리 통신용 칩(202)과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203)를 통해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를 인식시키면, 보안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경우에 접근 이력을 고정형 출입 단말기(209)에 기록하고 출입을 허용한다. 비정상적인 경우에 지휘관에게 자동으로 통보하며 출입을 차단한다. 여기서, 수행하는 보안 프로토콜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형 단말기(210)를 사용하면 지휘관 또는 의무병 등은 순찰 시에 특정 병사의 신원, 병력(혈액형, 질병 이력, 투약 이력, 알러지 정보 등),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도 근거리 통신용 칩(202)과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203)가 활용된다. 여기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보안 메모리로 활용하여 상용의 스마트폰을 휴대형 단말기(210)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폰에는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와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를 패용한 사용자의 건강상 문제 발생 및 비상시에는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211)에서 일정 주기로 신호를 발신하여 신속한 구호가 가능하게 한다.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211)와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는 근거리 통신용 칩(202)과 안테나(203)를 활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는 체온 측정 센서(207)를 통해 일정 주기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며, 이상 발생시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211)에게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달하고, 중거리 통신용 칩(204)과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205)를 이용하여 관리센터(212)로 비상 신호를 발신한다.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는 심장 박동 센서(208)를 통해 일정 주기로 사용자의 심장 박동 여부를 측정하며, 이상 발생시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211)에게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달하고, 중거리 통신용 칩(204)과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205)를 이용하여 관리센터(212)로 비상 신호를 발신한다.
관리센터(212)에서 특정 병사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신호를 발신하면 스마트 인식표 장치(201)는 보안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상호 인증 후에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301)는 기존의 군인용 버클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 크기 및 형태의 외형을 가지며, 버클로서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고, 스마트 인식표 장치(310)와 함께 보조적 수단으로 사용한다.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301)의 내부에는 보안 메모리 기능 및 NFC 등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보안 통신용 칩(302),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303), 지그비 등 100m 이내 통신거리를 갖는 중거리 통신용 칩(304),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305), 심장박동 센서(306), 체온 측정 센서(307), 지문 인식 센서(308), 건전지 또는 충전지 등의 전원 공급기(309)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301)는 심장 박동 센서(306)을 통해 사용자 심장 박동 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이상 발생시 이를 보안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스마트 인식표 장치(310)로부터 심장 박동 이상 신호가 근거리 통신용 칩(302)과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303)를 통해 전달되면 자체의 심장 박동 센서(306)에 의한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이상으로 판단되면, 중거리 통신용 칩(304)과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305)를 이용하여 관리센터(311)에게 일정 주기로 긴급 호출 신호를 발신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지문 센서(308)에 사전 등록된 지문을 입력하면 긴급 호출 신호의 발신을 중단한다.
아울러,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301)는 체온 측정 센서(307)을 통해 사용자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이상 발생시 이를 보안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스마트 인식표 장치(310)로부터 체온 이상 신호가 근거리 통신용 칩(302)과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303)를 통해 전달되면 자체의 체온 측정 센서(307)에 의한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이상으로 판단되면, 중거리 통신용 칩(304)과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305)를 이용하여 관리센터(311)에게 일정 주기로 긴급 호출 신호를 발신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지문 센서(308)에 사전 등록된 지문을 입력하면 긴급 호출 신호의 발신을 중단한다.
그리고,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301)는 심장 박동 센서(306) 및 체온 측정 센서(307)에 의한 측정값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 사용자가 지문 센서(308)에 지문을 입력하면 중거리 통신용 칩(304)과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305)를 이용하여 관리센터(311)로 긴급 호출 신호를 발신한다.
또한,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301)는 스마트 인식표 장치(310)보다 고출력의 지속적 호출 신호를 발신하기 위해 건전지 또는 충전지 등의 전원 공급기(309)를 사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인화기에 부착되는 소형 단말기의 구조 및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소형 단말기(401)는 소총, 권총 등 개인화기(410)의 잠금 장치 역할을 하도록 부착된다.
이러한 소형 단말기(401)의 내부에는 보안 메모리 기능 및 NFC 등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보안 통신용 칩(402),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403), 지그비 등 100m 이내 통신거리를 갖는 중거리 통신용 칩(404),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405), 지문 인식 센서(406), 건전지 또는 충전지 등의 전원 공급기(407)가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소형 단말기(401)는 근거리 통신용 칩(302)와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30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인식표 장치(408)와의 보안 프로토콜을 수행한 후에 개인화기(410)의 잠금을 해제한다. 잠금 해제시 사용 이력을 보안 메모리 기능이 포함된 근거리 보안 통신용 칩(402)에 저장한다.
개인화기(410)에 부착되는 소형 단말기(401)는 분실 및 도난시 관리센터에서 중거리 통신용 칩(404)과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405)를 이용하여 긴급 호출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소형 단말기(401)는 지문 센서(406)에 기 등록된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하면 스마트 인식표와의 보안 프로토콜 없이 잠금을 해제 할 수 있다. 이때 보안 메모리(402)에 그 사용 기록을 저장, 유지한다.
개인 소화기에 부착되는 소형 단말기(401)는, 안정적인 동작 및 장기 사용을 내부에 건전지 또는 충전지 등의 전원 공급기(407)를 사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인식표 장치와 각 단말기간의 보안 프로토콜 통신 절차도이다.
스마트 인식표 장치(501)와 각 단말기(502)는 보안 세션을 체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도 5에서 단말기(502)는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고정형 출입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 또는 소형 단말기 등에 해당한다.
시도 & 응답(Challenge & Response) 방식으로 사전에 등록된 부대의 고유 암호키를 이용하여 난수 및/또는 비보안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전송한다. 상호 복호화 후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상호 인증을 수행하여 보안 세션을 체결(503)한다.
보안 세션 체결 이후, 단말기(502)는 해당 단말기의 등급 정보 또는 운영자 접근 권한 정보(504)를 스마트 인식표 장치(501)로 전달하며, 스마트 인식표 장치(501)는 해당 접근 권한 등급에 따른 정보만을 제공한다(507). 또한 스마트 인식표 장치(501)는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의 권한 등급 정보(504)를 단말기(502)에 제공하며, 각 단말기(502)는 해당 사용자의 접근 권한 등급에 따라 출입 및 접근을 허용하거나 불허하고, 지휘체계에 비상 연락 등의 조치를 취한다(507).
스마트 인식표 장치(501)는 각 단말기(502) 접근시 각 단말기 접근 이력을 기록 및 유지한다(508). 각 단말기(502)는 접근한 각 스마트 인식표 장치(501)의 접근 이력을 기록 및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그 기이록을 부대 내 관리센터로 전송한다.
스마트 인식표 장치(501) 및 각 단말기(502)에서 접근 이력 기록이 완료되면 보안 세션은 종료(506)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외부에 유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 정도가 돌출 또는 음각 형태로 기록되고, 보안 메모리 기능 및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근거리 보안 통신용 칩,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 중거리 통신용 칩, 중거리 통신용 안테나, 비상용 전원 공급기, 체온 측정 센서 및 심장박동 센서가 내부에 탑재되며, 근거리 또는 중거리 통신을 통해 고정형 출입 단말기, 휴대형 단말기, 소형 단말기 또는 요대 부착 버클형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과 보안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출입 관리, 잠금 해제 또는 비상 신호 발신을 수행하는 스마트 인식표 장치.
KR1020130010616A 2013-01-30 2013-01-30 스마트 인식표 장치 KR10204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16A KR102048860B1 (ko) 2013-01-30 2013-01-30 스마트 인식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616A KR102048860B1 (ko) 2013-01-30 2013-01-30 스마트 인식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390A true KR20140115390A (ko) 2014-10-01
KR102048860B1 KR102048860B1 (ko) 2020-01-08

Family

ID=5198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616A KR102048860B1 (ko) 2013-01-30 2013-01-30 스마트 인식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8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9757A (ko) 1972-08-26 1974-04-13
JP2003233782A (ja) * 2002-02-07 2003-08-22 Toppan Forms Co Ltd Rfidメディア用リーダー
KR20040104854A (ko) * 2003-06-04 2004-12-13 박미경 알에프 태그에 저장된 제품 확인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와 통신하는 컴퓨터에서실행 가능한 서비스 관리 방법
KR20100108779A (ko) * 2009-03-30 2010-10-08 정달도 알에프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1048523A (ja) * 2009-08-26 2011-03-10 Kyocera Corp 携帯無線端末
KR20110035420A (ko) * 2009-09-30 2011-04-06 이정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KR20110122235A (ko) 2010-05-04 2011-11-10 김경중 알에프아이디 군인 인식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9757A (ko) 1972-08-26 1974-04-13
JP2003233782A (ja) * 2002-02-07 2003-08-22 Toppan Forms Co Ltd Rfidメディア用リーダー
KR20040104854A (ko) * 2003-06-04 2004-12-13 박미경 알에프 태그에 저장된 제품 확인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와 통신하는 컴퓨터에서실행 가능한 서비스 관리 방법
KR20100108779A (ko) * 2009-03-30 2010-10-08 정달도 알에프를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JP2011048523A (ja) * 2009-08-26 2011-03-10 Kyocera Corp 携帯無線端末
KR20110035420A (ko) * 2009-09-30 2011-04-06 이정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KR20110122235A (ko) 2010-05-04 2011-11-10 김경중 알에프아이디 군인 인식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860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7633A (zh) 识别方法和系统和对其适用的装置
Zhang et al. MedMon: Securing medical devices through wireless monitoring and anomaly detection
US80781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and asset management
WO2015098384A1 (ja) 携帯鍵装置及び装置制御方法
CN102037706B (zh) 通信设备的暂时个人化的方法
WO2015085434A1 (en) Augmented reality advanced security authentication methodologies
CN105992125B (zh) 一种电子设备安全保护的方法和装置
CN103390297A (zh) 多重安全管制保全系统与保全信息处理方法
KR101826298B1 (ko) 비상벨 단말 및 m2m 통신을 이용한 비상벨 시스템 그리고 그 운용 방법
EP3497923A1 (en) Wearable transponder(s), alert and monitoring system
CN108257266A (zh) 一种多功能的智能锁
CN108615279A (zh) 基于物联网的变电站智能门禁系统
CN109102605A (zh) 一种基于权限开启的智能锁系统
KR20140021874A (ko) 스마트 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8000278A (ja) 健康状態管理システム
CN105610792A (zh) 近场通信移动签到系统
ES2953868T3 (es) Procedimiento y sistema de monitorización de un desarrollo de un trabajo
CN202939674U (zh) 多重安全管理保全装置与系统
US2017023611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non-contact radio frequency detection and automatic establishment of corresponding communication channel
KR102098936B1 (ko) 스마트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40115390A (ko) 스마트 인식표 장치
CN108564701A (zh) 印章保护器及印章保护器的使用方法
CN109241791B (zh) 基于rfid的旅游团自动点名系统
CN107680205A (zh) 使用sim卡认证并电子加密技术的安全装置
KR20160131815A (ko) 입원환자의 본인 여부와 현재위치 인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