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127A -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127A
KR20140115127A KR1020130029835A KR20130029835A KR20140115127A KR 20140115127 A KR20140115127 A KR 20140115127A KR 1020130029835 A KR1020130029835 A KR 1020130029835A KR 20130029835 A KR20130029835 A KR 20130029835A KR 20140115127 A KR20140115127 A KR 20140115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vehicle
case
bar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731B1 (ko
Inventor
서동찬
Original Assignee
서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찬 filed Critical 서동찬
Priority to KR102013002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5731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텐트;를 포함하되, 상기 텐트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서 펼쳐져 상기 차량과 지면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시켜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설치된 텐트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를 제공하여, 차량으로부터 카텐트를 용이하고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카텐트를 설치한 뒤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되는 강점이 있다.

Description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A tent for car and the method of using it}
본 발명은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캠핑이란 산이나 들 또는 바닷가 따위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거나 그러한 생활을 가리킨다.
캠핑을 하기 위한 필수 수단은 바로 텐트로서 텐트는 야외에서 비나 바람으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하나의 바운더리 수단으로 볼 수도 있다.
최근 아웃도어(야외)관련 상품들이 캠핑문화의 보급과 함께 대중적으로 급속도로 공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캠핑도구가 미리 구비된 캠핑장을 찾아가 가져간 텐트를 캠핑장 바닥이나 마루위에 설치하고 야영을 하는 형태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캠핑장을 이용하는 것은 한정된 캠핑장만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사용자는 길을 가다 원하는 곳에서 텐트를 치고 야영을 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캠핑장이 아닌 원하는 장소에서 텐트를 바닥에 설치하게 되면 바닥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나 냉기때문에 사용자는 잠자리에 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2816호는 차량상부에 카텐트를 치고 차량상부에서 야영을 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상부가 텐트의 바닥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닐진대 이를 바닥으로 이용함으로써 차량지붕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가 하면, 차량지붕은 면적이 넓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용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으며, 사용자가 차량지붕위로 올라가야하는 매우 큰 불편함과 위험이 함께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406550호 역시 차량 지붕위에 텐트 바닥을 설치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인 일본공개특허 1997-220936호는 차량의 지붕에서 측면으로 천막을 빼내어 설치하는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인 일본공개특허 1997-220936호는 단순한 차양막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캠핑에 필요한 텐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차량을 이용하여 캠핑을 할 때 캠핑장소로 이동 후 텐트 등 캠핑 도구들을 차량에서 꺼내어 설치장소에 이동 후 설치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존재하였다. 다시 말해서 텐트를 설치하고 난 뒤 차량으로부터 필요한 물품을 꺼내어 설치해 놓은 텐트까지 이동하여 옮기는 불편함이 따랐던 것이다.
특히, 종래의 카텐트는 텐트를 설치한 다음 사용자가 급히 차량을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캠핑 도중에 차량의 운행을 필요로할 때에는 설치해 둔 카텐트를 다시 철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281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06550호, 일본공개특허 1997-220936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텐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특히 카텐트를 설치한 뒤에 차량의 운행이 필요할 때에는 카텐트로부터 차량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텐트;를 포함하되, 상기 텐트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서 펼쳐져 상기 차량과 지면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시켜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설치된 텐트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바와; 상기 바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텐트에 형성된 구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텐트는 상기 장착부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1바를 갖는 제1텐트와; 상기 장착부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2바를 갖는 제2텐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바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바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에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텐트는 상기 차량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관이 관통하는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텐트가 설치되는 방향을 표시한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장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차량에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텐트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텐트의 타단을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펼쳐서 지면에 설치하는 텐트설치단계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장착부와 분리시켜 상기 차량을 상기 설치된 텐트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 설치방법를 포함한다.
또한, 내부에 장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된 천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텐트가 설치되는 방향을 표시한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으로부터 카텐트를 용이하고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카텐트를 설치한 뒤에도 차량을 독립적으로 운행할 수 있게 되는 강점이 있다.
셋째, 제1텐트와 제2텐트를 체결부재 등으로 서로 결합하거나 서로 분리하여 사용가능 함으로써 공간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넷째, 카텐트를 설치 후 차량을 이용한 냉난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계절용 캠핑카로서의 장점이 있다.
다섯째, 텐트를 설치 후 차량을 인포테인먼트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어 캠핑이 보다 주거친화적 공간으로 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케이스에는 방향표시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텐트를 설치할 방향을 매우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텐트 설치가 매우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텐트를 설치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텐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를 설치후 차량을 이동하는 모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카텐트의 설치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 설치방법의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설치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를 설치후 차량(500)을 이동하는 모습도이다.
차량(500)의 지붕에는 케이스(100)가 설치되는데, 내부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카텐트가 보관되며 뚜껑(110)으로 닫혀있다.
케이스(100)에는 방향표시부(90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텐트를 설치할 때 카텐트의 설치 방향을 미리 파악한 후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한 번에 카텐트를 원하는 설치방향대로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방향표시부(900)에는 카텐트의 설치방향 뿐만 아니라 카텐트의 설치 안내도 또는 카텐트의 설치 완성도 등이 포함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뚜껑(110)은 케이스(1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텐트(200)를 설치한 사시도이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카텐트를 보관하게 되는데 도2는 도1의 뚜껑(110)이 분리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100) 내부에는 장착부(400)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00)는 차량(500)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이다.
텐트는 장착부(400)에 결합되는 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는데, 결합부(210)는 바와 돌출부(212), 그리고 천막(220) 상측단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213)으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10)는 장착부(400)와 끈 또는 원터치 후크방식 등으로 탈착될 수 있으며, 탈착가능한 구조이면 상관없으며, 바는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과 천 등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도 있음을 일러둔다.
바는 케이스(100)의 장착부(4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는 얇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2)가 형성된다.
돌출부(212)는 원형 봉 형상의 돌기로서 바의 상면에서 서로 이격된 채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카텐트를 이루는 천막(220)에는 제2가장자리부(262) 가까이에서 구멍(213)이 형성되는데, 구멍(213)은 바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212)에 끼워지게 되고, 천막(220)은 방수기능이 있어 우천시 비를 막아주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천막(220)에는 작은 창(미도시)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천막(220)에는 모기장(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케이스(100)에 접혀져서 보관되어 있는 천막(220)을 잡고 구멍(213)을 돌출부(212)에 끼운 뒤에 천막(220)을 차량(500)의 측면으로 늘어뜨리게 되면 천막(220)에 형성된 구멍(213)이 돌출부(212)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천막(220)을 펼쳐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가장자리부(261)는 제2가장자리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차량(500)의 좌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게 되며, 제1가장자리부(261)에는 지퍼나 밸크로 등 체결부(600)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3가장지리부(미도시)는 제2가장자리부(262)의 우측단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500)의 좌측후미방향으로 늘어져 배치된다.
천막(220)에는 차량(500)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270)가 형성된다.
지지부(270)는 제1지지부(271)와 , 제1지지부(271)로부터 나란하게 이격되는 제2지부(272)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70)에는 에어가 주입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25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공기주입구(250)를 통해 에어를 주입하여 텐트의 형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공기주입구(250)는 지지부(270)의 임의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가 서로 연통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270)에는 공기주입구(250)로 에어가 주입되는 대신에 로드바(미도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텐트(200)의 분리사시도이다.
제1바(211)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가장자리부(262) 주위에는 돌출부(212)에 끼워지도록 구멍(213)이 형성되어 있다.
천정(231)은 제2가장자리부(262)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텐트(200)의 지붕을 이룬다.
제1가장자리부(261)는 제2가장자리부(262)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까지 연장된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제1텐트(200) 및 제2텐트(300)를 설치한 사시도이다.
제2텐트(300)는 도4를 기준할 때 차량(500)의 좌측에 설치되고 제1텐트(200)는 차량(500)의 우측에 설치된 모습이다.
제2텐트(300)는 앞서 설명한 제1텐트(200)와 구조가 동일하다.
캡(700)은 제1텐트(200)와 제2텐트(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바(211) 및 제2바(310)에 돌출되는 돌출부(212)에 결합됨으로써 제1바(211)와 제2바(310) 사이의 틈을 막아 비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역할을 수행한다.
캡(700)은 제1바(211)와 제2바(310)를 서로 연결하여 제1텐트(200)와 제2텐트(300)를 서로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제1바(211)와 제2바(310)는 각각 케이스(100)로의 장착부(400)에서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텐트(200)와 제2텐트(300)가 케이스(100)로부터 펼쳐져 설치된 상태에서 제1바(211) 및 제2바(310)를 케이스(10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사용자는 차량(500)을 텐트 외부로 빼내어 운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차량(500)이 텐트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텐트(200)와 제2텐트(300)가 전체적으로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1텐트(200)에 형성된 제1가장자리부(261)에는 지퍼나 밸크로 등 체결부(600)가 설치될 수 있고 제2텐트(300)에도 제1텐트(200)에 설치된 체결부(600)에 대응되어 결합가능한 체결부(600)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1텐트(200)의 제1가장자리부(261)와 제2텐트(300)의 가장자리부가 서로 지퍼결합 또는 밸크로 결합 등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도5와 같이 차량(500)을 텐트외부로 빼내고 설치된 제1텐트(200)와 제2텐트(300) 사이를 체결부(600)를 사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완전한 텐트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제1텐트(200)의 천정(231)에는 제2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연장부(미도시)를 펼쳐서 제1텐트(200)의 제1가장자리부(261) 및 제3가장자리부(263에 형성된 체결부(600)를 이용하여 제1텐트(200)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2텐트(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텐트(200)와 제2텐트(300)를 서로 연통되도록 결합하지 않고 각각 독립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제1텐트(910)와 제2텐트(920)는 서로 포개어져 체결부(600)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차량(500) 전체를 에워싸도록 설치된다.
텐트에 마련되는 결합부(210)는 차량(500)에 설치된 케이스(100)의 장착부(40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삽입구(800)는 차량(500)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관(미도시)이 관통하도록 홀로 형성되어 있고, 배기관(미도시)의 일측은 차량(500)의 배기구에 연통되고 배기관(미도시)의 타측은 삽입구(800)의 우측방향으로 길게 빠져 나와 대기 중으로 배기가스를 발산하여 배기가스가 텐트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기관(미도시)은 속이 빈 원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차량(500)의 배기구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리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6처럼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500)을 시동하여 에어컨이나 히터를 작동함으로써 텐트 내부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데, 특히 겨울철에는 차량(500)의 시동만으로 엔진열을 이용하여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500)의 운행이 필요할 때에는 결합부(210)를 장착부(400)로부터 이탈시키고, 차량(500)의 전방측 체결부(600)를 일부 개방한 뒤 차량(500)을 텐트로부터 분리시켜 차량(500)을 운행에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카텐트의 설치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카텐트는 상부에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결합부(210) 양 측으로 하나의 천막으로 형성된 카텐트이며, 카텐트의 상부에는 결합부(210) 상측에 캡(720)이 설치된다.
도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텐트 설치방법의 흐름도이다.
고정단계는 장착부(400)가 형성된 케이스(100)를 차량(50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텐트설치단계는 케이스(100)에 수납된 텐트이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210)를 장착부(400)에 고정하고 텐트의 타단을 차량(500)의 측면으로 펼쳐서 지면에 설치하는 단계로서 텐트의 내부 공간을 이루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분리단계는 결합부(210)를 장착부(400)와 분리시켜 차량(500)을 설치된 텐트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이는 사용자가 텐트가 설치된 상황에서 차량(500)의 운행이 필요할 경우 매우 요긴하다.
사용자는 앞서 언급한 바 대로 카텐트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500)의 도어 측면 등에 빔프로젝트 등을 조사하여 영화관람 및 텔레비전 시청 등을 할 수 있고, 차량(500)에 설치되어 있는 카오디오 등을 이용하여 음악감상 또는 라디오 청취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카텐트를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활용할 수 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텐트의 설치도이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첨언하자면, 본 발명의 카텐트는 내부에 장착부(400)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장착부(400)에서 탈착 가능한 결합부(210)가 형성된 천막(220)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승용차, 오토바이 등 이륜차, 버스, 트레일러, 화물차 등에 설치되어 텐트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차량과 독립적으로 텐트를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100)에는 방향표시부(90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카텐트를 설치할 때 카텐트의 설치 방향을 미리 파악한 후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한 번에 카텐트를 원하는 설치방향대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방향표시부(900)에는 카텐트의 설치방향 뿐만 아니라 카텐트의 설치 안내도 또는 카텐트의 설치 완성도 등이 포함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 케이스 110 : 뚜껑
200, 910 : 제1텐트 210 : 결합부
211 : 제1바 212 : 돌출부
213 : 구멍 220 : 천막
231 : 천정
241 : 제1측면 242 : 제2측면
243 : 제3측면 244 : 제4측면
250 : 공기주입구 261 : 제1가장자리부
262 : 제2가장자리부 263 : 제3가장자리부
270 : 지지부 271 : 제1지지부
272 : 제2지지부 300,920 : 제2텐트
310 : 제2바 400 : 장착부
500 : 차량 600 : 체결부
700, 720: 캡 800 : 삽입구
900 : 방향표시부

Claims (8)

  1. 내부에 장착부가 형성되고 차량에 탈부착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텐트;를 포함하되,
    상기 텐트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에서 펼쳐져 상기 차량과 지면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시켜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설치된 텐트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바와;
    상기 바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텐트에 형성된 구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카텐트는,
    상기 장착부의 좌측에 설치되는 제1바를 갖는 제1텐트와;
    상기 장착부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2바를 갖는 제2텐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바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바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에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
  4. 청구항1 내지 청구항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는,
    상기 차량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배기관이 관통하는 삽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텐트가 설치되는 방향을 표시한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
  6. 장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차량에 고정하는 고정단계;
    상기 텐트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장착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텐트의 타단을 상기 차량의 측면으로 펼쳐서 지면에 설치하는 텐트설치단계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장착부와 분리시켜 상기 차량을 상기 설치된 텐트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텐트 설치방법.
  7. 내부에 장착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한 결합부가 형성된 천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텐트가 설치되는 방향을 표시한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1020130029835A 2013-03-20 2013-03-20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KR10146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35A KR101465731B1 (ko) 2013-03-20 2013-03-20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835A KR101465731B1 (ko) 2013-03-20 2013-03-20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127A true KR20140115127A (ko) 2014-09-30
KR101465731B1 KR101465731B1 (ko) 2014-12-10

Family

ID=5175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835A KR101465731B1 (ko) 2013-03-20 2013-03-20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5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701B1 (ko) * 2020-06-01 2021-11-11 서홍제 차량연결형 캠핑 텐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654B1 (ko) 2021-10-27 2022-08-02 주식회사 아이두젠 승용차 사이드 설치용 차박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936A (ja) * 1996-11-12 1997-08-26 Kiyatsutsu Hanzu Kk 車載用天幕装置
KR100406550B1 (en) * 2003-07-09 2003-11-21 Sung Jin Gang Car tent
KR100578742B1 (ko) * 2003-12-12 2006-05-16 양원동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KR200382816Y1 (ko) * 2005-01-20 2005-04-25 (주)우코텍 차량용덮개를 겸한 카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701B1 (ko) * 2020-06-01 2021-11-11 서홍제 차량연결형 캠핑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5731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KR101436951B1 (ko) 차량용 루프탑텐트
EP1516981B1 (en) Screen room enclosure and method of attachment thereof
US6481784B2 (en) Pickup truck tent camping system
KR101260794B1 (ko) 트레일러형 캠핑카
WO2005120870A2 (en) Convertible top for an all-terrain vehicle
KR101700663B1 (ko) 차량 연결 기능을 갖는 텐트
KR101465731B1 (ko)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EP1577463A1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KR101237387B1 (ko) 캠핑카 카텐트
KR200470393Y1 (ko) 탈 부착형 전실 텐트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KR200415842Y1 (ko) 설치가 용이한 천막 겸용 텐트
CN205713421U (zh) 多功能户外帐篷
KR20130004129U (ko) 거실 확장형 텐트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KR101702363B1 (ko) 차량용 텐트
KR101923307B1 (ko) 모듈형 텐트
KR20110012058U (ko) 탈 부착형 전실 텐트
KR101418541B1 (ko) 카텐트
KR102032301B1 (ko) 루프탑 텐트용 고정대
KR200317380Y1 (ko) 의자가 구비된 낚시용 텐트
KR200160002Y1 (ko) 조립식 간이 샤워장
CN209585794U (zh) 帐篷
CN203120658U (zh) 折叠狗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