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554A - 삽입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삽입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554A
KR20140113554A KR1020140030532A KR20140030532A KR20140113554A KR 20140113554 A KR20140113554 A KR 20140113554A KR 1020140030532 A KR1020140030532 A KR 1020140030532A KR 20140030532 A KR20140030532 A KR 20140030532A KR 20140113554 A KR20140113554 A KR 2014011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st
electrical discharge
operating volta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엄 알. 스태기
Original Assignee
유틸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틸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틸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1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은, 테스트를 위한 케이블을 선택하는 단게,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상에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삽입 프로토콜{INJECTION PROTOCOL}
본 발명은 삽입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전력 케이블이 노후되면서, 전력 케이블 절연의 절연 내력이 감소되어, 전력 케이블 수명의 기대치를 감소시킨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케이블 노후화와 함께 절연 내력이 감소하는 주된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물-트리(water-treeing)라고 하는 현상이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분자 단위에서 그리고 고 전기 스트레스 및 이온성 오염의 존재시, 물은 케이블 절연 구조를 열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화는 일반적으로 포인트 결함이 절연에서 국부화된 전기 스트레스 레벨을 증가시키는 케이블 길이를 따라서 있는 이산 포인트에서 발생한다. 열화는 추가로 이산 포인트 전기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점진적인 상태(progressive condition)로 이끄는 절연 내력을 감소시킨다. 최초의 결함 위치로부터 상태가 성장하면서, 그것은 대개 자신의 일반적인 명칭: 물-트리를 가져온 수풀-형상(bush-like)을 취한다.
물-트리는 케이블 고장을 가져오는 느린 성장 구조이지만, 물-트리는 케이블 고장의 메커니즘 자체는 아니다. 일종의 전압 섭동, 즉, 낙뢰, 갑작스런 스위칭(switching surge), 등과 같은 것이 강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의 측면에서 케이블 절연에서의 부분적인 브레이크다운을 가져올 때 고장이 발생한다. 부분적인 브레이크다운은 전기-트리라고 일반적으로 말해지는 새로운 구조를 형성한다. 전기-트리의 결함은 절연부를 통해 매우 빠르게 전파하여, 대개 최초 발단의 수 시간 내지 수 일내에 케이블의 고장을 일으킨다. 따라서, 요약하면, 물-트리는 열화가 케이블에서 빠르게 전파하고 케이블을 고장내는 전기 트리를 일으킬 때까지 케이블 절연을 열화시키는 것을 느리게 전개시킨다. 물-트리 성장은 십년 단위의 시간 규모로 발생할 수 있지만, 전기-트리 성장은 대개 수시간 또는 수일의 시간 프레임으로 고장을 가져온다.
물-트리 성장은 이온 함유 물(ionic laden water)을 그 위치로부터 제거하는 임의의 프로세스를 통해 중단될 수 있다. 잔여 물-트리 구조의 유해한 효과는 물-트리 구조의 불연속성에 연관된 전기 스트레스가 스트레스 조절된다면(stress graded) 감소될 수 있다. 도전체 다발의 케이블로 삽입될 때, 케이블의 절연속으로 확산하고 절연의 구조적 결함에 존재하는 물과 화학적으로 결합하여, 추가적인 물-트리 전개를 위한 연료를 제거하는 화학적 솔루션(복구(restorative) 유체 또는 삽입 유체)이 있다. 일부 복구 유체 프로세스에서, 이러한 반응의 부산물이 구조적 결함의 포인트 결함을 스트레스 등급화(stress grade)하여, 케이블의 절연에 대해 그의 유해한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기능할 수 있다. 가장 정교한 복구 유체 솔루션에서, 상기의 부산물들이 물-트리 구조내의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되어 물-트리 열화에 대한 의사-영구적인(pseudo-permanent) 솔루션을 형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물-트리 성장의 유해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해서만 의도된 복구 유체 솔루션은 전기-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러나, 케이블이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고, 그것이 임의의 서비스 두절 또는 자신의 표준 동작 상태에서 변하는 임의의 상태에 놓이지 않을 경우, 케이블이 복구 유체 삽입을 위해 선택되는 시간에 전기-트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은 매우 가능성이 낮다. 전기-트리는 일반적으로 수시간 또는 수일동안에 케이블을 고장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15년 이상의 수명을 가진 임의의 특정한 케이블은 삽입을 위해 그것이 선택된 시간에 자신의 수명의 마지막 수일 내에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표준 동작 상태에서 적절하게 기능하고 있는 케이블에 대해 수행될 때, 케이블 삽입을 일반적으로 순향적(proactive) 케이블 삽입이라고 한다.
그러나, 노후화된 케이블이 자신의 표준 동작 상태를 벗어난 임의의 상태에 최근에 노출된다면, 상술한 전체 통계적 안정성은 더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화학적 삽입을 위해 노후화된 상태의 케이블이 고려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현재 기능하는 동작 상태와 케이블 절연의 실제 알려지지 않은 값의 최종 절연내력 사이의 안정성의 고유한 팩터를 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케이블 절연 열화의 정확한 정도를 알지 않고서는, 그것이 견딜수 있는 자신의 표준 동작 조건 이상의 섭동 레벨이 어느 정도인지를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섭동의 예시는 하기와 같다:
· 케이블을 서비스 상태로 넣었다가 빼도록 스위칭하는 것에 기인한 서지
· 분석 목적을 위해 시스템 전압을 초과하여 전압을 인가
· 케이블 고장 동안 및 결함 위치에서 발생한 서지
· 공간 전하 발달을 일으키는 DC 전압 테스트의 애플리케이션
자신의 표준 동작 상태에서 벗어난 비표준 상태 또는 섭동에 놓인 케이블에 대해 수행될 때, 케이블 삽입을 일반적으로 반응성(re-active) 케이블 삽입이라고 한다. 대개 "비표준 상태"는 실제 케이블 결함이다. 그러한 경우, 케이블을 삽입시키는 결정은 적어도 한번 이미 케이블이 고장났었다는 사실에 의해 지시된 케이블의 명확한 취약점에 대한 반응이 된다. 그러나, 상기 나열한 것과 같은, 표준 동작 상태로부터의 다수의 섭동 또는 편차 중 하나는 삽입을 반응성 케이블 삽입으로 분류한다.
예측하는 바와 같이, 반응성 방식으로 삽입된 케이블의 고장률은 순향적 방식으로 삽입된 케이블에 대한 고장률에 비해 현저하게 더 높은 고장률이다.
이미 전기-트리를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 삽입은 재료와 노동력이 극도로 낭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삽입 이전에 전기-트리의 존재를 검출하는 것이, 따라서 매우 바람직하다. 다행히, 전기 트리 구조의 처음과 전기 트리가 실제로 케이블을 고장내는 시간 사이에서, 전기 트리의 존재가 케이블 절연 내에서의 활성 국부 방전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는 임의의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추가로, 활성 전기 트리의 국부 방전을 검출하기에 충분히 민감한 테스트는 또한 일반적으로 아크, 표면 방전 등과 같은 기타 전기 시스템 방전 활동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전은 또한 케이블 삽입 전에 어드레스를 아는 것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케이블 회복(cable rejuvenation) 프로토콜은, 이하 때때로 집합적으로 시스템 전압에서 케이블 회복 프로세스로 발생하는 "전기 방전" 또는 "방전"이라고 하는, 활성 국부 방전 또는 전체 방전 활동을 검출하는 분석 방법을 통합시킨다. 이러한 방법은 시스템 전압 또는 시스템 전압 근방에서 방전하는 전기 트리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을 삽입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 전용 테스트 프로시저를 포함한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은 또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세스의 표준 코스에서 수행된 임의의 수작업물(craftwork) 또는 스위칭 프로세스가 새로운 전기-트리 또는 기타 케이블 또는 시스템 결함을 유발시키지 않았다는 것을 보장하도록, 그것이 화학적으로 삽입되고 서비스 상태로 복귀된 후에 즉시 케이블을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체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수행되는 테스트는 케이블 점유의 교체 순서에 우선순위를 정하는 목적을 위해 케이블의 전체 상태를 평가하도록 설계된 테스트 프로토콜과 구별되어야 한다. 현재, 케이블 절연의 건전성(health)의 정성적인 분석을 보장하는 것을 시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에 가용한 다수의 테스트 장치와 프로시저가 있다. 대개, 목적은 교체할 케이블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다. 가장 열화된 절연을 가진 케이블이 교체를 위해 우선순위가 정해지는 반면, 가장 덜 노후된 케이블이 서비스 상태를 유지하도록 허용된다.
일반적인 테스트는 케이블을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그런다음 자신의 동작 전압의 배수에서 케이블의 전압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외부 전력원을 이용한다. 이러한 테스트의 다수는 전기 방전이 어떤 전압에서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해 일부 지시자를 이용한다. 물 트리 평가의 특정한 경우에, 상이한 기술이 이러한 판정을 하기위해 상이한 현상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원리 상에서 작동하는 대부분의 테스트는 테스트 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방전 이벤트를 유발시켜 케이블의 동작 전압과 테스트에 의해 유발된 방전의 최초 전압 사이의 갭의 크기에 크게 기초하여 케이블의 상태에 관한 결론을 유도한다.
하지만, 이러한 테스트는 케이블 삽입 적합성을 판정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러한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수행될 테스트에 대한 서비스로부터 케이블이 스위칭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한다. 추가로, 이들 테스트는 방전 이벤트를 유발하기 위해 과전압이 케이블에 인가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테스트 자체는 케이블을 자신의 순향적 상태에서 반응성 상태가 되도록하는 환경을 생성한다. 또한, 이러한 테스트의 목적은 가장 노후된, 물 트리 상태의 케이블을 식별하고 교체하는 것이다. 이는 이러한 테스트 접근 방식에 의해 심각하게 손상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케이블이다. 그러나, 케이블 교체를 위한 우선순위를 판정하는 데에 테스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테스트에 의해 유발되는 케이블에 대한 잠재적 손상이 합리적인 위험으로 간주될 수 있다. 비교시, 본 발명의 삽입 프로토콜의 목적은 가장 노후된(가장 높게 물-트리된) 케이블을 회복시키는 것이고, 이는 과전압 테스트에 의해 손상되고 삽입에 적합하지 않게 제공될 가능성이 가장 많은 케이블이다. 따라서, 상기로부터,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세스시, 그리고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세서의 일부로서 적절하게 수행되는 케이블 삽입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에 대한 요구가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은, 테스트를 위해 케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전기 방전 활동이 케이블의 동작 전압 및 상기 동작 전압 근방에서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도록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상에서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및 상기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전기 방전 활동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시키는 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 프로토콜은 삽입을 위해 상기 케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시키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후에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에서 또는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한 오프라인 공정중(in-process)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상에서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를 진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상기 전기 방전 활동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 프로토콜은 상기 케이블이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되고 시스템 전원에 연결된 후에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에서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해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상에서 상기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상기 전기 방전 활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온라인 상태로 유지하는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 프로토콜은 케이블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하기 전에 상기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를 진행시키는 단계,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상기 검출된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을 삽입 시키는 단계 또는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상기 검출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진행시키는 단계 중 하나를 진행시킬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요약부는 상세한 설명에서 하기에 더 설명되는 간략한 형태의 개념의 선택을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부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으로 식별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범위를 판단시 도움을 주는 것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상기 양태 및 본 발명의 부수적인 효익의 다수는,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이 첨부도면과 함께 취해질 때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잘 이해되면서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제 1 부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제 2 부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c는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대안의 예시적 실시예의 제 1 부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은 활성 전기 트리 활동을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발생하는 기타 시스템 결함을 검출하는 분석 방법을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세스에 통합시킨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분석 방법 또는 테스트는 시스템 전압 또는 시스템 전압 근방에서 국부적으로 방전하는 전기 트리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케이블을 삽입시키는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케이블 재생 삽입 프로토콜은 또한 케이블 삽입 프로세스 동안 수작업물이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 그리고 케이블을 다시 서비스 상태로 스위칭하는 것이 임의의 새로운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 시스템 결함을 유발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배경기술 섹션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수행된 테스트는 교체를 위해 케이블의 우선순위를 정할 목적으로 케이블의 전체적인 상태를 평가하도록 설계된 테스트 프로토콜과 구별되어야 한다.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은 자신의 표준 사용중 케이블에 영향을 줄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측될 수 있는 임의의 서지 및 전압 섭동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시스템 동작 전압 이하의 임의의 전압을 포함할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압 레벨의 등급은 일반적으로 약 +15% 만큼 정상 시스템 동작 전압 동작 레벨을 초과하는 전압 레벨을 포함한다. 그러나, 테스트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전압 레벨은 케이블의 시스템 동작 전압의 약 1.75배 값까지의 범위 내에 있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테스트를 실행하는 데에 적합한 전압 레벨의 범위는 과도한 실험을 통해 당업자 의해 용이하게 판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문에 설명된 값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양태를 더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은 삽입 후보로서 노후된 케이블을 선택하고 그런다음 삽입전 적합성을 위해 상기 노후된 케이블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삽입전 적합성 테스트는 케이블이 삽입에 적합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으로 명확하게 되는 바와 같이,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전기 트리 활동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이나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서의 케이블에서 기타 방전을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적절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테스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 선택시, 테스트는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이 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서 케이블에 나타났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실행된다. 삽입전 테스트가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이 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서 케이블에 나타난다고 표시하면, 방전의 정도가 평가될 것이고, 삽입이 진행되고, 삽입이 폐기되거나 케이블의 손상부가 복구 또는 교체되어 선택적으로 재테스트될 수 있다. 삽입전 테스트가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이 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서 케이블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표시하면, 케이블은 추가적인 물 트리 발달을 중단시키고 나머지 물 트리 구조의 유해한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된다.
케이블 삽입을 수행하기 위해, 케이블은 서비스 상태가 중단되어야 한다. 또한, 현저한 양의 수작업물이 케이블 삽입에 대한 후속을 위해 그리고 후속으로서 준비하여 수행될 필요가 있다. 궁극적으로, 케이블을 서비스 상태로부터 중단시키고, 케이블 상의 종단 및 접합부(splice)를 변화시키고, 그런다음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re-energizing)하는 것은 모두 전기 트리 발달 또는 기타 시스템 결함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을 생성한다.
이에 관해, 수작업물이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 그리고 케이블 절연, 조인트, 종단 또는 기타 케이블 시스템 컴포넌트들이 전기 트리 또는 기타 결함이 없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공정중(in-process) 전기 방전 테스트가 삽입중에 그리고 삽입에 후속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테스트가 모든 접합부, 종단(termination) 등이 교체된 후에(그러나 삽입 이전에)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잘못 설치된 접합부, 종단 등은 유체가 케이블로 삽입된 후에 복구될 필요가 없다. 전기 트리 또는 기타 전기 방전이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검출되지 않으면, 케이블이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된다. 전기 트리 또는 기타 전기 방전이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동안 검출되면, 방전의 정도가 평가될 것이다. 평가에 기초하여, 케이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삽입될 수 있고, 프로토콜은 아마도 폐기될 수 있거나, 또는 케이블의 손상부(접합부, 종단 등을 포함)는 복구되거나 또는 교체되어 선택적으로 재테스트될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하여,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테스트가 유체 삽입이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는, 전기 트리 발달 또는 기타 결합이 유체 삽입 공정동안 유발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케이블에 재전력공급되기 전에 수행된다. 전기 트리 또는 기타 전기 방전이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 중에 검출되지 않는 경우, 케이블은 재전력공급되고 담궈진다(soak). 전기 트리 또는 기타 전기 방전이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검출된다면, 방전의 정도가 평가될 것이다. 평가에 기초하여, 케이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전력공급되고(즉, 다시 온라인으로 되고), 프로토콜이 폐기되거나 또는 케이블의 손상부(접합부, 종단 등을 포함)가 복구 또는 교체되어 선택적으로 다시 테스트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는 또한 보다 손상을 주는 DC 하이-팟 테스트(hi-pot Test)에 대한 요구를 제거하는 프루프 테스트 또는 연속성 테스트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서 방전이 있는 지를 다시 판정하기 위해 케이블이 전력 재공급된 서비스 상태로 스위칭된 후에 즉시 처리된 케이블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삽입 공정 동안 수행된 숙련기능(craftsmanship)이 적절했는지, 그리고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하는 데에 요구되는 최종 "스위칭 인" 공정(때때로 전압에서 서지를 일으키는)이 임의의 추가적인 전기 트리 발달 또는 기타 시스템 결함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삽입후 온라인 테스트의 이용은 모든 삽입 프로시저의 공정이 완료된 후에 최종 체크를 제공한다. 방전이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검출되면, 방전의 정도가 평가될 것이다. 평가에 기초하여, 케이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상태 또는 온라인일 수 있고, 프로토콜은 아마도 폐기되거나 또는 케이블의 손상부(접합부, 종단 등)이 복구 또는 교체되어, 선택적으로 재테스트될 수 있다. 방전이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나타나지 않으면, 케이블은 삽입된 복구 유체를 흡수하도록 서비스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후 실질적으로 가능한 빨리 수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케이블 회복 프로토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케이블의 삽입 및 전력 재공급후 약 7일 내에 수행된다. 그러나,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삽입 및 전력 재공급후 임의의 적절한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다.
새로 삽입된 케이블은 케이블 절연으로의 합리적인 양의 유체 확산 및 분산이 발생할 때까지 손상에 대해 취약한 상태로 남아있다. 이에 관해, 케이블이 삽입된 복구 유체를 흡수하도록 동작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전기 트리 활동 또는 방전에 대해 케이블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효익이 있을 것이다. 케이블은 방전 활동에 대해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온라인 전기 방전 모니터링은 케이블 또는 케이블에 의해 생성된 전자기장에 하나 이상의 센서를 유도적으로, 용량성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이의 조합으로 설치하고, 자동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지고 센서의 출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은 전기 방전이 삽입 공정의 상이한 스테이지에서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테스트에 대해 참조하여 더 기술될 것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예시적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테스트는 편의의 목적으로만 간략하게 기술될 것이고, 여기서 각각의 테스트에 대한 상세한 요구조건을 기술 및 설명하는 표준, 참조 등은 폭넓게 가용하고 당업자에 공지된 것이다. 임의의 적절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테스트는 전기 방전이 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서 나타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테스트의 간략한 설명은 기술 및 청구된 바와 같이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다양한 레벨의 자신의 동작 전압에서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전기 방전이 케이블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다수의 테스트가 가용하다. 실질적으로, 이들 테스트 모두는 5kV 이상의 정격전압의 피복된 파워 케이블 시스템의 절연 평가를 필드 테스트하기 위한 IEEE 표준 번호 400-2012 IEEE Guide에 기술된다. 이들 테스트는 2개의 매우 폭넓은 카테고리, 온라인과 오프라인 테스트로 분류된다. 온라인 테스트는 케이블이 서비스 중이고 전력공급되는 동안 수행된다. 오프라인 테스트는 케이블이 일시적으로 서비스 중단된 후에 수행된다.
온라인 테스트는 케이블이 여전히 자신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삽입 전문가가 케이블 삽입을 수행하기 위해 도달하는 시간에 시스템 전압으로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에 순향 케이스의 경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에 이상적이다. 온라인 테스트는 또한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작업물과 최종 스위칭 공정이 추가적인 전기 트리 발달 또는 기타 시스템 결함을 일으키기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된 후에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에 사용된다.
서비스 상태이고 및 전력공급된 케이블을 가지고, 온라인 테스트는 케이블 또는 케이블의 전자기장(EMF)에 센서를 용량성으로, 유도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이의 조합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진행한다. 케이블 절연에서 발생하는 부분적인 방전 이벤트(이하, 때때로 "PD 이벤트"라고 함)는 동작 케이블에 의해 산출된 예측된 EMF에서의 측정가능한 변화를 생성한다. PD 이벤트는 전기 트리가 케이블에 있다는 표시이다.
온라인 방법을 이용한 국부적 방전을 분석하는 방법의 상세한 설명이 N. H. Ahmed 및 N. N. E. Srinivas의 "On-line Partial Discharge Detection in Cables",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5, No.2, pp.181-188(1998년 4월)의 개시물에 의해 제공되고, 그의 개시물이 본문에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된 1998년 10월 16일 출원된 "전력 시스템에서의 부분적인 방전의 온라인 검출"이라는 제하의 미국특허 제 6,809,523에 더 기술된다. 이러한 온라인 테스트는 국부 방전을 주변의 전자기 간섭과 구별시키는 온라인 파워 케이블에서의 PD 이벤트의 검출을 포함한다. 이러한 온라인 테스트는 또한 풀 방전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온라인 테스트는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전기 방전이 검출되고 케이블 시스템의 결함으로부터 나온것이라고 판정되면, 케이블 결함이 분석되고 삽입되기 전에 미리 액션이 취해질 필요가 있는지가 판정된다. 액션이 취해질 필요가 있으면,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을 재시작하기 전에 케이블의 방전 섹션을 절단해내고 교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케이블은 그대로 삽입되거나, 또는 삽입을 위한 좋은 후보가 되지 못한다고 판정될 수 있다. 피시험 케이블에서 방전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케이블은 복구 유체 삽입에 적절한 것으로 판정된다.
상술한 온라인 테스트는 또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삽입후, 케이블은 전력 재공급되어 다시 서비스 상태가 된다.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전기 방전이 검출되면, 케이블의 손상부가 복구 또는 교체되고, 그런다음 선택적으로 재테스트될 수 있다.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부분 또는 전체 방전이 없거나, 또는 방전이 미미한 것으로 간주된다면, 케이블은 삽입된 복구 유체를 흡수하기 위해 서비스중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온라인 PD 검출 테스트의 다수의 추가적인 예시는 각각의 문서가 본문에 참조에 의해 통합된 하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Cantin, B., et al., "On-Line Location of Partial Discharge in an Electrical Accessory of an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Network," Proceedings Jicable '07, 7th International Conf. Insulated Power Cables, Versailles, France, Paper A.7.2, 2007; Cigre, W.G., D1.33.03, "Guidelines for Unconventional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준비중 브로셔, 2009; Stennis, F. et al., "Permanent on-Line Monitoring of MV Power Cables Based on Partial Discharge Detection and Localisation - an Update," Proceedings Jicable '07, 7th International Conf. Insulated Power Cables, Versailles, France, Paper A.4.1, 2007. 이들 상술한 온라인 PD 테스트 중 임의의 것이 전체 방전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방전이 시스템 동작 전압 또는 시스템 동작 전압 근방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케이블의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한 제 2 옵션은 오프라인 부분 방전(PD) 테스트이다. 이러한 옵션은 특히 삽입이 발생할 시간(반작용의 경우)에 고장 나거나 또는 서비스가 중단되는 케이블의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에 적합하다. 오프라인 PD 테스트는 또한 선택적인 오프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한 부분 또는 전체 방전을 검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이는 모든 삽입 단계가 수행된 후에, 그러나 전기 트리 발달이 스위칭 공정동안 유발되는지를 판정하고, 모든 수작업물이 적절하게 수행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되기 전에 발생한다.
오프라인 PD 테스트는 케이블 시스템과 분리된 케이블에 전력공급하기 위해 외부 전원을 이용한다. 케이블에 유도하여, 용량성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그의 조합으로 결합되는 센서가 온라인의 경우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케이블에서의 방전이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프라인 PD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시스템 전압의 일부 배수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시스템 전압 또는 시스템 전압 근방에서 그리고 삽입 바로 전후에 오프라인 PD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케이블이 일반적으로 동작되는 전압을 넘어서는 잠재적으로 손상을 줄 수 있는 전압에 케이블을 노출시키지 않고서 자신의 방전 특징에 의해 전기 트리 또는 기타 케이블 또는 시스템 결함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할수 있다는 것이 현재 개시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주장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에 대해, 케이블 삽입은 삽입으로부터 효익이 없는 케이블 상에서 수행되지 않고,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에 대해, 케이블은 손상된 상태로 남아있지 않는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바람직한 삽입전 및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부분 방전 진단 방법을 이용하여 케이블 절연의 능동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의 존재 또는 부재를 조사한다. 그러나 방전 이외의 현상을 측정하는 다수의 케이블의 절연 진단 방법이 있다. 일부 경우에 그들이 측정하는 현상은, 실제로는, 방전의 존재의 간접적인 표시자이다. 삽입 바로 전후에, 시스템 전압 또는 시스템 전압의 근방에서의 전압 레벨에서 측정될 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케이블의 절연, 종단, 접합부, 또는 케이블 시스템의 임의의 부분에서 부분 또는 전체 방전 이벤트의 존재 또는 부재를 구축하는 임의의 기술이 상기 삽입 프로토콜의 부분의 테스트 동안 사용되기에 적합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간접적으로 부분 방전 이벤트의 존재를 구축하는 테스트의 예는 탄젠트 델타(tan delta) 진단 테스트이다. 탄젠트 델타 진단 테스트는 AC 전기장의 존재에서 케이블 절연의 유전 손실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케이블의 도체가 완전한 유전체로 절연되어있는 경우, 유전체 재료 전체의 용량성 전류(capacitive current)는 도체에 인가된 AC 전압과 위상이 90도(90°) 벗어난다. 이러한 위상 각도에서의 편차는 완벽한 유전체에서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90°의 위상 각도 기준으로부터의 위상 각도의 오프셋의 탄젠트는 종종 재료의 탄젠트 델타라고 부르는 전통적인 유전체의 표준 측정 값이다.
탄젠트 텔타 테스트가 일반적으로 대량 재료 속성으로서 표시되지만, 그것은 두 가지 방식으로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 사용할 수있다. 제 1 방법은 탄젠트 델타 측정치의 역사적(historical) 탄젠트 델타 데이터에 대한 비교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 재료의 역사적 탄젠트 델타 데이터와 비교시, 탄젠트 델타 측정치가 매우 높은 경우, 측정치는 부분 (또는 전체) 방전이 케이블 시스템의 일부를 가로 질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제 2 방법은 유전체 재료에서의 방전 활동을 나타내기 위하여 증가하는 전압을 가지고 탄젠트 델타 '팁-업(tip-up)'의 존재를 찾는 것이다. 자신의 기능적인 한계 내에서 작동하는 적절하게 기능하는 유전체 재료에서, 탄젠트 델타 값이 전압 증가와 함께 현저하게 변화하지 않는지가 판정된다. 탄젠트 델타 값이 인가된 전압의 값에 매우 의존적이 되는 포인트를 팁업 포인트라고 하고, 이는 케이블 절연에서의 부분 방전의 시작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에 관해서, 탄젠트 델타 '팁 업' 포인트가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자신의 변곡점을 가진다면, 그것은 전기 트리 결함 또는 기타 방전이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에서 나타났고, 결함 위치가 찾아지거나 교체되지 않는다면 케이블은 삽입되어서는 안되고, 서비스 등으로 복귀되어서도 안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케이블 절연에서의 전기 트리 또는 기타 결함의 존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기타 방법은 유전체 분광법(Dielectric Spectroscopy)으로 알려져있다. 유전체 분광법은 전압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유전 손실 변동의 주파수 영역의 측정이다. 유전 분광법을 사용하여 부분 방전 분석을 하는 방법론의 상세한 설명은 그 개시물이 본문에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된 1997년 10월, 미국 미니애폴리스에서의, J.T. Holboll, U. Gafvert, H. Edin, "Time Domain PD-detection vs. Dielectric Spectroscopy,"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 pp. 498-503에 의해 제공된다. 유전체 분광법이 시스템 전압 또는 시스템 전압 근방에서 수행될 때, 그것은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전기 방전 활동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테스트는 유전 응답의 시간 영역 측정 값인 DC 누설 전류 테스트이다. DC 누설 전류 테스트는 DC 스텝 전압이인가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케이블의 충전 전류를 측정한다. 케이블이 양질의 절연 상태에 있을 때 DC 누설 전류는 시간에 대하여 지수 함수적 감쇠 곡선이다. 케이블 결함이 부분 방전에 들어가면 전류 스파이크와 같은 이상이 DC 누설 전류 곡선에 존재할 것이다. DC 누설 전류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더 상세한 설명은 본문에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된 "Final Report on Non destructive water-tree detection in XLPE cable insulation", CIGRE SC B1 DOC 10/27에서 설명된다.
방전 이벤트를 검출하는 기타 조사 기술은 유전 손실 전류의 고조파 측정인 고조파 변형(Harmonic Distortion)으로 알려져있다. 고조파 성분은 측정된 AC 손실 전류의 고속 푸리에 변환으로부터 분석된다. 케이블 유전체로부터의 내부 부분 방전에 관련된 신호 패턴에 기인하여, 제 3 고조파가 손실 전류의 주를 이룬다. 팁업은 부분 방전이 케이블 불량을 입력했을 때 전압 증가와 함께 제 3 고조파 전류를 가져온다. 유사한 팁업이 더 적은 진폭을 가진 기타 고조파에서 발생한다. 고조파 변형을 수행하는 방법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그 개시물이 본문에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된 1998년 10월, 미국 아틀란타에서의, H. Edin, U. Gafvert, "Harmonic Content in the Partial Discharge Current Measured with Dielectric Spectroscopy," Conference on Electrical Insulation and Dielectric Phenomena, pp. 394-398에서 설명된다.
이것은 물론 및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전기 방전을 검출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다른 테스트 뿐만 아니라, 상기 테스트(탄젠트 델타 테스트, 탄젠트 텔타 팁업 테스트, 유전체 분광법, DC 누설 전류 테스트 및 고조파 변형) 중 임의의 것이 다른 방전뿐 아니라 전기 트리(국부 방전) 모두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상술한 임의의 오프라인 테스트 및 동일한 목적으로 의도된 기타 테스트가 임의의 적절한 대안의 전원을 가지고 수행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테스트는 대개 사용되는 대체 전원의 이름을 취하면서, 테스트의 원리는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테스트 목적을 위한 교류 전압으로 연결해제된 케이블에 통전하는 대안의 방법은 감쇠된 AC 또는 DAC 테스트의 사용을 통한 것이다. 발진파 테스트 세트(OWTS)는 감쇠 AC 전압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케이블(커패시터)은 가변 고전압 직류(HVDC) 소스를 이용하여 직렬 인덕턴스에 의해 천천히 충전된다. 원하는 전압에서, 스위치는 내려지고(thrown), 케이블이 인덕터를 통해 방전된다. 세트의 정전 용량(C)과 인덕턴스(L)의 조합은 하기의 식을 통해 발진 주파수(f)를 결정한다:
Figure pat00001
짧은 여기 시간에 기인하여, 전압 테스트의 값 및 감쇠 특성은 연속한 AC에서 얻은 것과 비교 할 수 없다. OW 테스트는 단지 수초만 지속되기 때문에, 초 저주파수(VLF) 보다 덜 파괴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발진 AC 전압이 발달되면, 케이블의 응답은 상술한 기술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테스트는 부분 방전을 측정하고, 및/또는 절연체의 유전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상술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의 예시적 실시예는 활성 전기 트리 활동 또는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에서 발생하는 기타 방전을 검출하는 분석 방법을 통합한다. 대안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은 케이블의 특정 속성을 식별하는 온라인 시간 영역 반사계 삽입전 평가 및 케이블이 삽입에 적합한지를 판정하는 케이블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시간 영역 반사계(TDR)는 임피던스 변화에 연관된 이상(anomaly)을 위치시키기 위해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변화에 대해 케이블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이다. TDR은 전기 에너지 펄스를 케이블로 전송한다. 전기 펄스가 케이블 길이를 따라서 임피던스 변화를 경험할때, 펄스 에너지의 일부가 TDR을 향해 다시 반사된다. 예를 들면, 반사파의 진폭 및 극성을 측정함으로써, 임피던스 변화의 비가 판정될 수 있다. 추가로, 펄스 전파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임피던스 변화 위치가 판정될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화를 가져오는 일반적인 이상은 접합부, 고장, 중성 부식(neutral corrosion), 파손된 도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TDR 평가는 스플라이스의 카운트, 스플라이스 위치 및 케이블의 중성 상태를 식별하는 대부분의 오퍼레이터에 의해 채용되는 표준 차단전(pre-screening) 케이블 삽입 프로세스이다. 케이블은 대개 그것이 다수의 스플라이스를 포함하는 경우, 또는 케이블의 중성 시스템이 케이블의 절연의 회복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확실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 삽입 후보로서 고려에서 제거될 것이기 때문에, 이들 케이블 시스템 속성의 식별이 중요하다. TDR 차단전 평가는 그러나 현재 실시중이기 때문에, 케이블은 전원이 차단되어야 하고(즉, 그것은 오프라인이 되어야 한다), 대개 케이블은 효과적으로 TDR 설비를 케이블에 부착시키기 위해 제거되는 자신의 종단을 가져야 한다. 케이블을 서비스로부터 꺼내거나 또는 평가를 위해 다시 서비스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삽입 프로세스에 비용을 부가시키고, 그것은 케이블 상의 손상을 가져온다. 또한, 비용 및 손상은 물론 테스트가 케이블을 삽입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불필요한 것이고 노력을 낭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은 먼저 케이블 동력을 중단시키지 않고서 채용된 TDR이 온라인이 되도록 허용한다. 온라인 TDR 평가의 상세한 설명은 2010년 6월 22일 출원된 "온라인 시간 영역 반사계 시스템"이라는 제하의 미국특허출원 제 12/820886에 기술되며, 그의 개시물은 본문에 참조에 의해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온라인 TDR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케이블은 케이블을 서비스로부터 중단시키지않고서 삽입 이전에 차단될 수 있다.
대안의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 실시예의 온라인 TDR 삽입전 평가 테스트를 사용하면, 케이블이 다수의 접합부를 포함하거나 케이블의 중성 시스템이 케이블 절연 회복을 보장하기에 충분히 확실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 케이블을 삽입 후보로서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온라인 TDR 삽입전 평가 테스트는 전기 방전 활동을 검출하기 위해 상술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 중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온라인 TDR 삽입전 평가 테스트는 케이블 삽입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한 단독 삽입전 테스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온라인 TDR 삽입전 평가 테스트가 미국특허출원 제 12/820886에 설명된 개시물을 참조하여 기술된다고 하더라도, 현재 공지되거나 또는 추후 개발되는 임의의 적절한 온라인 TDR 평가 테스트 또는 방법이 사용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노후된 케이블이 복구 유체 삽입에 적절한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된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은 상술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테스트 또는 임의의 적절한 테스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를 시작하기 위해, 적절한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가 전기 트리 활동 또는 기타 방전 활동이 시스템 전압 또는 시스템 전압 근방에서 발생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선택되어야 한다. 온라인 전기 방전 테스트 또는 오프라인 전기 방전 테스트를 이용할지를 판정할 때, 케이블이 서비스 상태인지, 또는 결정 블록(14)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시 온라인인지가 먼저 판정될 수 있다. 선택시 케이블이 온라인이면,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블록(18)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될 수도 있다.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적절한 설비 및 테스트 디바이스가 블록(22)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기 위해 케이블에 연결된다.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그런다음 전기-트리 활동(또는 기타 방전 활동)이 블록(24)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전압 또는 시스템 전압의 근방에서 발생하는지를 판정하도록 실행된다.
선택시 케이블이 오프라인이면, 오프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가 블록(28)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대신에 선택될 수도 있다. 적절한 설비, 테스트 디바이스, 및 외부 전원(들)이 그런다음 케이블에 연결되고, 블록(3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에서 전기 트리 활동 또는 기타 방전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오프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그런다음 전기-트리 활동(또는 기타 방전 활동)이 블록(32)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의 근방에서 발생하는지를 판정하도록 실행된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테스트를 위해 선택시 선택된 케이블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적절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 실행시, 전기 트리 활동 또는 기타 방전 활동이 결정 블록(34)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동작 전압 레벨에서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에서 발생했는지 여부에 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방전 활동이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검출되면, 방전 활동의 정도가 평가되고, 결정 블록(36)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을 가지고 진행하는지 여부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방전 활동의 평가에 기초하여, 케이블이 양질의 삽입 후보가 아니라고 판정되는 경우, 다음에 결정 블록(37)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 프로토콜을 폐기할지 여부가 판정될 것이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이 폐기되지 않고, 결정 블록(38)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이 온라인인 경우, 케이블은 결정블록(39)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중단된다. 서비스 중단의 경우, 케이블의 손상부는 블록(4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교체 또는 복구되고,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오프라인일 수 있음)가 복구된 케이블이 삽입에 적합한지를 판정하기 위해 다시 실행될 수 있다.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전기 트리 활동 또는 기타 방전 활동이 검출되지 않으면, 케이블은 시스템 전원 또는 외부 전원과 임의의 테스트 설비로부터 연결해제되고, 케이블은 블록(41)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삽입을 위해 설정된다.
케이블이 삽입을 위해 설정(예를 들면, 모든 접합부, 종단 등을 교체)된 후에, 결정 블록(4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설정이 적절하게 수행되는지를 보장하기 위해 선택적인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할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를 우회하는 경우, 블록(46)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로 진행하는 경우, 테스트가 실행되고, 전기 트리 활동 또는 기타 방전 활동이 결정 블록(43)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에서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전기 트리 또는 기타 전기 방전이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블록(46)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이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된다. 전기 트리 또는 기타 전기 방전이 제 1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검출되는 경우, 방전의 정도가 평가될 것이다. 평가에 기초하여, 케이블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삽입될 수 있고, 프로토콜은 결정 블록(4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폐기되거나, 또는 케이블의 손상부(접합부, 종단, 등을 포함하는)가 복구되거나 교체되어 블록(45)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재테스트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케이블이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된 후, 그러나 케이블을 다시 서비스 상태로 스위칭하기 전에, 선택적인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가 블록(48)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유체 삽입 프로세스를 평가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방전 테스트가 전기 트리 발달이, 테스트 및 공정의 스위칭 부분을 포함하는 삽입 프로세스 동안 유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제 2 오프라인 공정중 테스트는 수작업 오류를 지시하는 방전이 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오프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가 선택되면, 적절한 설비, 테스트 디바이스, 및 외부 전원(들)이 케이블에 연결되고, 블록(5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에서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 활동을 검출하도록 설정된다. 오프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그런다음 방전 활동이 블록(56)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동작 전압 레벨 또는 동작 전압 레벨 근방에서 발생하는지를 판정하도록 실행된다.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이 오프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 동안 검출되는 경우, 방전 활동의 정도가 평가되고, 블록(62)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블을 삽입할지 및/또는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할지 판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방전 활동의 평가에 기초하여, 케이블의 삽입 또는 전력 재공급이 바람직하지 않다면, 결정 블록(64)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다음으로 삽입 프로토콜을 폐기할지가 판정된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이 폐기되지 않으면, 케이블의 손상부는 블록(66)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복구 또는 교체될 수 있고, 그런다음 선택적으로 케이블 삽입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해 재테스트된다. 전기 트리가 검출되지 않으면, 케이블은 전력 재공급되고 블록(68)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화학물질을 흡수하도록 한다.
케이블이 삽입되고 다시 전력공급된 서비스로 스위칭된 후에,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블록(68)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하는 데에 요구되는 최종 "스위칭 인" 프로세스가 임의의 추가적인 전기 트리 또는 기타 방전 발달을 유발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선택된다.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가 선택되면, 블록(76)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적절한 테스트 설비에 연결되고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방전 활동이 블록(8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동작 전압 레벨에서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시행된다.
방전 또는 부분 방전이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동안 검출되면, 방전 활동의 정도는 평가되고, 블록(86)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에 전력공급을 할지 또는 서비스 상태로 유지할 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방전 활동의 평가에 기초하여, 케이블을 서비스 상태로 유지하지 않도록 판정되는 경우, 다음으로 블록(88)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삽입 프로토콜을 폐기할 지가 판정될 것이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이 폐기되지 않으면, 케이블의 손상부는 그런다음 블록(66)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복구 또는 교체될 수 있고, 케이블은 선택적으로 케이블 삽입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해 재테스트될 수 있다.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동안 방전이 있지 않으면, 케이블은 삽입된 복구 유체를 흡수하기 위해 서비스 상태로 유지되고 전기 트리 또는 블록(9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기타 방전 활동에 대해 모니터링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10)의 대안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10)은 케이블 삽입 적합성을 판정하기 위해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하고 분석하는 TDR 삽입전 평가 테스트를 이용한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10)은 단독 삽입전 테스트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대신에 추가적인 삽입전 테스트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재생 삽입 프로토콜(10)에 통합될 수 있다.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10)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결정 블록(11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변화를 검출 및 분석하기 위해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를 실행할지가 결정된다.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케이블이 도 1a의 블록(1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인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것을 진행할 수 있다.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케이블은 적절한 설비 및 테스트 디바이스로 구성되고,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가 블록(116)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상에서 실행된다. 케이블에서의 임피던스 변화는 그런다음 블록(122)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삽입 적정성을 판정하기 위해 분석된다. 예를 들면, 분석은 케이블 접합부 개수를 조사하는 것, 케이블 중성 상태 등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피던스 변화의 분석에 기초하여, 결정 블록(126)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삽입에 적절한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임피던스 변화는 접합부 개수가 너무 높고, 케이블 중성이 부식된 것 등을 나타내는 경우, 케이블이 삽입에 부적절하다고 판정될 수 있다. 케이블이 삽입에 부적절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삽입 프로토콜(110)은 블록(127)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폐기될 수 있다. 삽입 프로토콜(110)이 폐기되는 경우, 다음으로 도 1a의 블록(37)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삽입 프로토콜(10)을 가지고 진행할지 여부가 판정될 것이다. 삽입 프로토콜(110)이 폐기되지 않은 경우, 케이블은 서비스에서 벗어나고 블록(128)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교체 또는 복구될 수 있고, 케이블은 다시 테스트될 수 있다.
케이블이 삽입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다음으로 결정 블록(130)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할지 여부가 판정될 것이다.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가 불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하지 않으면, 케이블은 도 1a의 블록(4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삽입될 수 있다.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로 진행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도 1a의 블록(18)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변경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a-1c 참조하여 설명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 및 110)은 단지 예시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한다. 따라서 케이블 회복 삽입 프로토콜(10과 110)의 특정 단계 또는 일부는 재정렬되거나, 제거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33)

  1. (a) 테스트할 케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b) 전기 방전 활동이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해 삽입전(pre-injection)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구성(configure)하는 단계;
    (d) 상기 케이블 상에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전기 방전 활동에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복구(restorative) 유체와 함께 삽입할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온라인 부분 방전 테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오프라인 부분 방전 테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을 오프라인시키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한 경우 상기 케이블의 손상부를 복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전기 방전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오프라인 테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테스트는 탄젠트 델타(tan delta), 탄젠트 델타 팁업(tip up), 유전체 분광법, DC 누설 전류 테스트 및 고조파 변형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삽입 프로토콜.
  8. 제 3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테스트는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의 1.75배 이하의 전압을 상기 케이블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9. 제 3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테스트는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의 1.25배 이하의 전압을 상기 케이블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0. 제 1 항에 있어서,
    (a) 삽입을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 후에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해 삽입후(post-injection)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b) 오프라인 공정중(in-process)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c) 상기 케이블 상에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상기 전기 방전 활동을 평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상기 전기 방전 활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한 후에 상기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할 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전기 방전 활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할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전력 재공급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을 오프라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의 손상부를 복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는 오프라인 부분 방전 테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는 전기 방전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오프라인 테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는 탄젠트 델타(tan delta), 탄젠트 델타 팁업(tip up), 유전체 분광법, DC 누설 전류 테스트 및 고조파 변형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삽입 프로토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는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의 1.75배 이하의 전압을 상기 케이블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공정중 전기 방전 테스트는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의 1.25배 이하의 전압을 상기 케이블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0.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a) 케이블이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되고 시스템 전원에 연결된 후에,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해,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b)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케이블 상에 상기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검출된 상기 전기 방전 활동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온라인 상태로 유지할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는 온라인 국부 방전 테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케이블을 온라인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오프라인으로 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전기 방전 활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의 손상부를 복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전원에 연결한 약 7일 이내에 상기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한 후에 전기 방전 활동에 대해 상기 케이블을 자동으로 감지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및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온라인 삽입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한 후에 적어도 첫번째 3개월 동안의 케이블 동작에 대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7. 제 1 항, 제 10 항, 또는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케이블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하기 전에, 상기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d)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검출된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및
    (e)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단계 또는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상기 검출된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온라인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진행할지를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8. 제 27 항에 있어서, 케이블 임피던스에서 상기 검출된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는 접합부(splice) 개수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29. 제 27 항에 있어서, 케이블 임피던스에서 상기 검출된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는 케이블 중성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30. (a) 테스트할 케이블을 선택하는 단계;
    (b) 전기 방전 활동이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한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 및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 중 하나를 제 1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제 1 선택된 삽입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d) 상기 케이블 상에 상기 제 1 선택된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e) 상기 제 1 선택된 삽입전 테스트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 1 선택된 삽입전 테스트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할지를 제 1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31. 제 30 항에 있어서,
    (a) 전기 방전 활동이 상기 케이블의 동작 전압 또는 동작 전압 근방에서 발생하는 지를 판정하기 위한 삽입전 전기 방전 테스트 및 케이블 임피던스에서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 중 다른 하나를 제 2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제 2 선택된 삽입전 테스트를 위해 상기 케이블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케이블 상에 상기 제 2 선택된 삽입전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d) 상기 제 2 선택된 삽입전 테스트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 2 선택된 삽입전 테스트의 결과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케이블을 복구 유체와 함께 삽입할지를 제 2 판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테스트가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인 경우, 상기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스플라이스 카운트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테스트가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인 경우, 상기 온라인 삽입전 TDR 평가 테스트의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는 케이블 중성 상태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삽입 프로토콜.

KR1020140030532A 2013-03-15 2014-03-14 삽입 프로토콜 KR20140113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43,708 US9239351B2 (en) 2013-03-15 2013-03-15 Injection protocol
US13/843,708 2013-03-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554A true KR20140113554A (ko) 2014-09-24

Family

ID=5141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532A KR20140113554A (ko) 2013-03-15 2014-03-14 삽입 프로토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9351B2 (ko)
JP (1) JP2014195399A (ko)
KR (1) KR20140113554A (ko)
AU (1) AU2014200429A1 (ko)
CA (1) CA2841340A1 (ko)
DE (1) DE102014201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30957A1 (en) * 2015-07-31 2017-02-02 Aktiebolaget Sk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relay matrix for multiple lead analysis
JP6571452B2 (ja) * 2015-08-28 2019-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検査装置
US11933834B2 (en) * 2019-12-31 2024-03-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elf-clearing, sub-cycle fault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9523B1 (en) 1998-10-16 2004-10-26 The Detroit Edison Company On-line detection of partial discharge in electrical power systems
US6161077A (en) * 1999-01-05 2000-12-12 Hubbell Incorporated Partial discharge site loc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faults in a high voltage cable
US20010052778A1 (en) * 2000-06-07 2001-12-20 Smith Paul Samuel Device for detecting and locating insulation defects
GB0517994D0 (en) * 2005-09-05 2005-10-12 Univ Glasgow High voltage insulation monitoring sensor
WO2011005541A2 (en) 2009-06-22 2011-01-13 Utilx Corporation On-line time domain reflectometer system
US8847606B2 (en) * 2011-06-02 2014-09-30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insulation deterioration in live underground power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41340A1 (en) 2014-09-15
JP2014195399A (ja) 2014-10-09
DE102014201783A1 (de) 2014-09-18
US20140266271A1 (en) 2014-09-18
AU2014200429A1 (en) 2014-10-02
US9239351B2 (en)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190758A (ja) 電力ケーブルの劣化診断方法
Su Case study: lessons learned from the failure of a new 230-kV transformer-cable termination
KR20140113554A (ko) 삽입 프로토콜
KR100823724B1 (ko) 인버터 구동 교류전동기의 고정자권선 절연 진단장치 및방법
Su et al. Using very-low-frequency and oscillating-wave test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distribution cables
CN102288881B (zh) 变压器油纸绝缘尖刺放电缺陷严重程度诊断方法
CN110702338A (zh) 低压电缆绝缘材料缺陷的测试方法
Vahlstrom Strategies for field testing medium voltage cables
Bolliger Simultaneous Partial Discharge and Tan Delta Measurements: New Technology in Cable Diagnostics
Gulski et al. On-site testing and PD diagnosis of HV power cables
Mohaupt et al. VLF testing and diagnosis on medium voltage power cables
JP3524345B2 (ja) ゴム・プラスチック絶縁電力ケーブルの耐電圧試験方法
Densley Review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practices for medium voltage power cable diagnostics
Fauziah et al. Evaluation of 20 kV cable diagnostic method in field condition
Gorgan et al. Monitoring and Diagnosis of Electrical Equipment Insulation with the Support of Combined Conventional and Alternative Partial Discharge Methods
Hongyan Investigation on distribution XLPE cable joint failure modes and detection
Sumereder A comparison o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with 50 Hz and 0, 1 Hz at XLPE Cables
Van Schaik et al. Condition based maintenance on MV cable circuits as part of asset management; philosophy, diagnostic methods, experiences, results and the future
JP3808914B2 (ja) 小型電気機械の非破壊絶縁試験法及び装置
Abdolall et al. Effects of testing on service aged XLPE cables
JP4681391B2 (ja) 低圧ケーブルの劣化診断方法
Dwijayatno et al. Early Warning of XLPE Power Cable Breakdown by Using Partial Discharge Testing
Hartshorn et al. Medium voltage cable predictive diagnostics technique
Hartshorn et al. Assuring cable reliability
GULSKI Effective on-site testing and non-destructive diagnosis of new installed and service aged (E) HV power cables up to 230 kV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