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471A - 멀티 트랜시버 시스템들에 동적 트랜시버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트랜시버 시스템들에 동적 트랜시버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471A
KR20140113471A KR20140029824A KR20140029824A KR20140113471A KR 20140113471 A KR20140113471 A KR 20140113471A KR 20140029824 A KR20140029824 A KR 20140029824A KR 20140029824 A KR20140029824 A KR 20140029824A KR 20140113471 A KR20140113471 A KR 2014011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ceiver
transceivers
node
queue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니 테테
크리스토프 장-클로드 머린
Original Assignee
레이던 비비엔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던 비비엔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레이던 비비엔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11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4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랜시버 리소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의 실시예들이 본원에 기술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MXRM)는 트랜시버들의 수를 제공된 로드에 동적으로 적응시킨다. 노드는 큐 깊이 및 큐 사용에 기초하여 필요한 트랜시버의 수를 계산한다. 그 후에, MXRM은 요청되는 트랜시버들의 수 A를 다음-홉 이웃들과 공유한다. 노드는 X개의 트랜시버들을 할당하여, 그들이 다음-홉 타겟들일 경우 X가 그들의 A 값의 최대치이고 그들이 수신하는 최상의 A 값이 되게 한다. MXRM은 노드들 및 이전-홉 이웃들로부터의 추가 트랜시버들에 대한 요청들을 프로세싱하여 송신자-수신자 쌍이 호환가능한 수의 트랜시버들을 할당하게 한다. MXRM은 또한 트래픽 흐름을 따라 캐피시티를 증가시키기 위해 주파수 할당을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MXRM은 트랜시버 할당들을 트래픽 경로에 적응시킨다.

Description

멀티 트랜시버 시스템들에 동적 트랜시버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METHODS FOR DYANAMIC TRANSCEIVER RESOURCE ALLOCATION IN MULTI-TRANSCEIVER SYSTEMS}
정부의 권리
정부는 FA8750-11-C-0201의 계약에 따라, 공군에 의해 수상된 본 발명의 권리를 소유한다.
미래의 네트워크는 임의의 국한된 네트워크에서 그리고 임의의 국한된 네트워크로 음성 및 비디오 스트림을 전달할 것이다. 특히, 멀티캐스트 비디오 트래픽은 네트워크의 스루풋(throughput) 및 딜레이 능력들을 확장하고, 다수의 타겟에 대한 향상된 동시 다발성 전송 관리에 의지할 것이다. 멀티캐스트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목표 설정은, 주파수-호핑 MACs(media access control) 또는 다른 인지 라디오들에서 통상적인 것과 같이 상이한 주파수 또는 데이터 레이트들(data rates) 상의 타겟에 대한 전송들을 관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더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와 같은 새로운 통신 디바이스들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셀룰러 3G 및 4G 네트워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과 같은 상이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한다.
시스템들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컴퓨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표준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 세트의 조합으로서 구축되며, IEEE 802.15.4 표준은 LR-WPANs(low-rat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에 대한 물리적 레이어 및 미디어 액세스 제어를 특정한다. IEEE 802.15.1 표준은 WPAN에 대한 BluetoothTM 무선 기술의 더 낮은 수송 레이어들(lower transport layers) 등을 정의한다. 표준들의 802.xx 군의 다른 표준들은 초광대역,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 브릿징, 모바일 광대역 무선 액세스 등과 같은 다른 기술들을 정의한다. 그러나, MAC 레이어에서의 중요한 이슈는 상이한 인터페이스들, 동시 링크 사용 등에 의한 이웃하는 범위를 어드레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많은 트랜시버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디바이스들 상의 높은 에너지 유출을 일으킨다. 부가적인 에너지 소비는 통상적으로 더 높은 스루풋을 산출하지만, 네트워크가 이용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음성 또는 비디오 스트림들이 턴 오프된 경우 낭비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수면상태로 된 트랜시버에 대해, 제공된 로드가 증가하고 트랜시버들이 다시 작동하는 경우 네트워크의 성능은 보존된다.
상이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제공하는 비균질(non-homogeneous) 트랜시버들은 다른 비용에서 다른 이웃들과 통신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기 위해 통합된 추상(abstraction) 레이어를 제공한다. 이동 전화, PDAs(personal digital assistants), 무선 시스템 등은 배터리에 있어서 복합 에너지 소비가 많이 유출되는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트랜시버 시스템들에서, 트랜시버들은 그것들이 사용되지 않더라도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트랜시버가 켜져도 사용되지 않는 경우 에너지의 낭비를 유발한다. 트랜시버 관리는, 송신되고 수신되는 트래픽의 양에 기초하여 순수히 분산된 의사 결정에까지 연관된다. 분산된 의사 결정의 접근에 있어서, 노드는 노드가 송신하고 수신하는 트래픽에 기초하여 사용할 트랜시버들의 최적의 수를 계산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트랜시버들의 수가 부가적인 트랜시버들의 할당을 통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노드가 그것의 제공된 로드를 송신할 수 없다는 컨텐션(contention)을 무시한다. 따라서, 수신기들은 수신 노드에서 트랜시버들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서 송신 노드를 돕는 것이 금지된다. 또한, 분산된 의사결정 접근법은, 제3 트랜시버가 요청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두 개의 할당된 트랜시버들로부터 하나의 주파수를 노드가 전송하는 것 외에는 다른 옵션이 없는 경우의 주파수 할당을 무시한다.
도 1은 복수의 노드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흐름을 갖는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노드에 대한 전송 한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노드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겟 노드들의 주파수 로크 아웃(lockout)을 야기하는 트랜시버 활성화의 사용을 보여주는 노드들의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4b는 타겟 노드들의 주파수 로크 아웃을 막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된 트랜시버 활성화의 사용을 보여주는 노드들의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적인 트랜시버들의 요청 활성화를 위한 광고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 리소스들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하기의 설명 및 도면들은 특정한 실시예들을 충분히 설명하여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그것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은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프로세스 및 다른 변경들을 통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들과 대체될 수 있다. 청구항들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그들 청구항들의 동등물을 포함한다.
멀티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multi-transceiver resource manager; MXRM)는 제공된 로드에 기초하여 트랜시버들의 수를 동적으로 적응시킨다. MXRM은 노드들 및 이전-홉 이웃들(previous-hop neighbors)로부터의 추가 트랜시버들에 대한 요청들을 프로세싱하여 송신자-수신자 쌍이 호환가능한 수의 트랜시버들을 할당하게 한다. 더 상세하게는, MXRM은 로드에 대한 캐패시티를 적응시키기 위해 트랜시버들의 수를 스케일링 업 또는 스케일링 다운하도록 노드들 및 그들의 이전-홉 이웃들로부터 큐들의 상태(state of queues)를 고려한다.
MXRM은 제공된 로드, 컨텐션, 및 이웃 입력 상에서 동작하는 송신자-기반 트랜시버 매니저이다. 노드는 큐 깊이 및 큐 사용에 기초하여 필요한 트랜시버의 수를 계산한다. 그 후에, MXRM은 요청되는 트랜시버들의 수 A를 다음-홉 이웃들(next-hop neighbors)과 공유한다. 노드는 X개의 트랜시버들을 할당하여, 그들이 다음-홉 타겟들일 경우 X가 그들의 A 값의 최대치이고 그들이 수신하는 최상의 A 값이 되게 한다. 이 마지막 포인트는 노드들로 하여금 데이터 경로들을 따라 더 많은 트랜시버들을 활성시키게 한다. 따라서, 주파수 할당 알고리즘은 네트워크 연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의 활성화된 트랜시버들을 이용할 수 있다. MXRM은 데이터 경로 밖에서 활성화된 트랜시버들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한다. MXRM은 또한 트래픽 흐름을 따라 캐패시티를 증가시키기 위해 주파수 할당을 구동(drive)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MXRM은 트래픽 경로들에 대한 주파수 할당을 더 적응시킨다.
도 1은 복수의 데이터를 갖는 통신 네트워크(100)가 복수의 노드들을 통해 흐르는 것을 도시한다. 도 1에서, 아홉 개의 노드들(110-126), 즉, Node0-Node8은 네트워크(100)에 도시된다. 제1 데이터 흐름(130)은 노드들(126, 124, 114, 112, 110)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140)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41)로 흐른다. 제2 데이터 흐름(132)은 노드들(112, 114, 116, 120)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142)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43)로 흐른다. 제3 데이터 흐름(134)은 노드들(122, 114, 116, 118)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144)로부터 무선 디바이스(145)로 흐른다. 노드2(114)와 노드3(116)을 통하는 데이터나 트래픽 로드 때문에, 데이터 큐들(150, 152)에 대한 큐 깊이는 선택된 임계치보다 크게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추가적인 트랜시버는 트랜시버들의 수를 제공된 로드에 적응시키도록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멀티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MXRM)는 캐피시티를 노드3(116)에서의 로드에 적응시키기 위해 노드3(116)에서의 트랜시버들의 수를 스케일링 업 또는 스케일링 다운하기 위해, 이전 홉 이웃 노드, 예컨대 노드2(114), 및 노드, 예컨대 노드3(116)에 대한 큐의 상태를 고려한다.
그러나, 아이들 트랜시버들은 에너지를 소비하지만,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을 서빙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것은 트랜시버들의 수를 제공된 로드에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을 돕는다. 높은 처리량이 즉각적인 에너지 절약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가 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MXRM은 트랜시버들을 턴오프하는 것보다 그것들을 턴온하거나 활성화시키는 것에 더 적극적이다. MXRM는 이동하는 윈도우 내에서 노드들에 대해 전송되고 수신된 패킷들의 수를 고려한다. 노드가 더 많은 패킷들을 다루는 경우, 노드는 추가 트랜시버들을 켜도록 결정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주파수 할당 프로토콜들은 멀티캐스트 트래픽 내의 트랜시버 램프 업(ramp-up)을 복잡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노드3(116)와 같은 노드는, 두 개의 멀티캐스트 타겟들, 노드4(118) 및 노드5(120)를 가질 수 있고, 타겟들은 두 개의 활성 트랜시버들을 가질 수 있고, 채널은 주파수 할당 컨버전스(convergence)를 가속화하고 접속을 보장하기 위하여 모든 노드들에 의해 할당된다. 노드들은 동일한 주파수를 할당할 수 없거나 각 노드 상에 물리적 트랜시버들 또는 인터페이스들이 있는 만큼 채널이 있을 것이고, 이는 주파수 다양성 및 공간 재이용을 촉진하지 않는다. 따라서, 타겟 노드들 중 하나는 N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들을 할당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노드(200)에 대한 전송 한계들을 도시한다. 도 2에서, N0(210)는 주파수 f0(212) 상의 N1(220) 및 N2(230)와 통신한다. 또한 N0(210) 및 N1(220)은 주파수 f1(214)를 사용한다. N2(230)는 주파수 채널 f1(214)를 할당하지 않았고 대신 주파수 채널 f2(216)를 할당하였기 때문에, N0(210)는 하나의 주파수, f0(212)에서 전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N0(210)는 하나의 트랜시버 X0(240)에 의해 허용되는 만큼의 트래픽을 전송하고, 세 개의 노드들, N0(210), N1(220), N2(230)로 하여금 그들이 N0(210)가 이미 할당한, 두 개의 트랜시버들, X0(240), X1(242)을 필요로 한다고 계산하도록 한다. 트랜시버들 X2(244), X3(246)은 활성화 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오프 상태(250)로 도시된다. 노드들 N1(220), N2(230)에 대해, 두 개의 트랜시버들은 N1(220)에서의 주파수들 f0(212) 및 f1(214)와 N1(220)에서의 주파수들 f1(214) 및 f2(216)에 의해 나타내진다. 더 많은 패킷들이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노드들 N0(210), N1(220), N2(230)는 캐패시티를 램프 업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할당 프로토콜에서의 공통적인 한계들 때문에, 노드 N0(210)는 패킷들을 두 개의 타겟들, N1(220), N2(230)에 전송하고, 이와 함께 한 개 및 두 개의 주파수들, f0(212) 및 f1(214)를 각각 공유한다. 트랜시버 X0(240)에 대한 큐(260)가 캐패시티가 꽉 찼거나 거의 꽉 찼고(at or near capacity) X1(242)에 대한 큐(262)는 커패시티가 거의 꽉 차지 않더라도(not near capacity), N0는 그의 타겟들 N1(220), N2(230)에 도달하기 위해 f0 상에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완전 분산 트랜시버 관리 방식들에서는, 하나의 트랜시버에서 나오는 패킷들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노드들은 추가의 트랜시버들을 깨울 이유가 없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노드(300)의 예시적인 구현을 도시한다. 노드(300)는 진화된 노드 B(eNode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라우터 등일 수 있다. 노드(300)는 복수의 트랜시버들(305), 프로세싱 유닛(310), 메모리(315), 인터페이스(320) 및 버스(325)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305)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340, 342)을 통해 무선 주파수 신호들을 사용하여 심볼 시퀀스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트랜시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310)은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310)은 노드(300)의 디바이스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들 및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들(305)의 방식으로 노드(300)는 프로세싱하고 후속 노드들에 전달하기 위한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MXRM)(312)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XRM(312)는 독립형 디바이스로 구현되거나 임의의 특정 노드로부터 추가적인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XRM은 광 통신 시스템, 3G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이동 교환 센터, 4G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에서의 서빙 게이트웨이 및/또는 이동성 관리 개체(MME), 또는 패킷 기반 통신 인프라의 다른 컴포넌트들에서의 헤드엔드(headend)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당업자는 이러한 설명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여기에 언급 된 개체들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현된 기술 또는 다른 설계 결정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메모리(315)는 디바이스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프로세싱 유닛(310)에 의한 사용을 위한 명령어들 및 데이터의 영구적,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인 작업 저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15)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및/또는 광학 기록 매체와 그에 대응하는 드라이브와 같은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들, 및/또는 메모리 디바이스들의 다른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2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링크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325)는 컴포넌트들이 서로 통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노드(3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디바이스(300)의 컴포넌트들의 배열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컴포넌트들의 더 많은, 더 적은, 또는 상이한 배열의 다른 배열들, 또는 상이한 또는 관련된 표준들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다.
MXRM(312)는 큐들(350)의 깊이를 고려하고 명시적으로 더 많은 트랜시버들에 대한 요청을 공유한다. 그러나 MXRM(312)가 자신의 큐들의 깊이를 고려하더라도, 컨텐션(contention)을 무시하기 때문에, 이 순수하게 분산된 의사 결정은 부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드(300)가 그의 이웃의 컨텐션으로 인해 그의 제공된 트래픽 로드의 일부 이상을 전송할 수 없는 경우, 그것의 큐(350)의 깊이는 성장하지만, 매우 적은 트래픽을 전송하는 것처럼 외부에서 보인다. 이웃들은 새로운 트랜시버들을 추가할 이유가 없고, 노드(300)는 그것의 큐들(350)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링크를 생성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프로세싱 유닛(310)은 이웃 노드들과 이 숫자(A)를 요청하고 공유하기 위해 트랜시버들의 수를 계산한다. MXRM(312)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노드에 최적의 수의 트랜시버들을 제공하는 송신자 기반 트랜시버 관리 방식이다. MXRM 에 의해 행해진 결정은 데이터 흐름과 컨버전스 시간에 라우팅 트리를 매칭하는 측면에서 주파수 할당에 대한 중요한 결과를 갖는다.
로드를 추정하기 위해, MXRM(312)는 트랜시버 x에 대한 모든 큐의 깊이 dx의 집계 큐(350)의 깊이 D를 임계치 q와 비교한다. 큐 깊이는 하나의 트랜시버를 턴오프하면 (여전히 활성화된) 다른 트랜시버로 로드를 이동시킨다는 사실을 반영하기 위해 노드에서 모든 트랜시버 큐로부터 집계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개별적인 트랜시버 큐는 임계치 q 미만이 될 수 있지만, 이들의 집계된 사이즈가 q를 능가(top)한다면, MXRM은 이들 중 어느 것도 턴오프할 수 없을 수 있다. 큐(350)의 깊이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기간 Tq에 대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즉, D>q인 경우, 노드는 추가적인 트랜시버들에 대하여 A를 광고(advertise)하는데, A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A=Q+1,
여기서
Figure pat00001
이고
Figure pat00002
이도록 Q=p임.
그러나, 앞서 도 2에 관련하여 논의한 주파수 할당 프로토콜에서의 한계(limitations)는 새로운 트랜시버들(305)이 실제로는 직접적으로 유용하지 않은 주파수들에 할당되는 상태로 두어서, 송신자가 자신의 목적지들과 동일한 개수의 링크들을 가지는 상태로 두게 될 수 있다. MXRM은, 큐 깊이가 계속 증가하고 이미 할당된 것들이 충분하지 않다면 더 많은 트랜시버들을 추가함으로써 이 FA(frequency assignment) 한계를 처리한다. 따라서, 큐(350)들의 깊이 d가 더 높은 임계치, q2 및 q3 (여기서,
Figure pat00003
이도록 Q=p임) 등과 비교될 수 있다. 노드(300)는 그들의 A 값을 이웃들에게 송신하는데, 그러면 이웃들은 이들이 수신한 요청된 트랜시버(305)의 최대 수, 즉, maxi(Ai)와 동일한 트랜시버(305)의 개수, X를 할당한다. 로드 상태(loaded state)로의 천이는 빠른 반면 그 반대는 매우 느리다. 로드된 트랜시버는, 자신의 큐 깊이가 적어도
Figure pat00004
에 대한 임계치
Figure pat00005
미만이 된 경우 언로드 상태(unloaded state)로 되돌아간다.
Figure pat00006
보다 큰 몇 개의 큐 슬롯들인 복수의
Figure pat00007
임계치가 존재한다.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타겟 노드들의 주파수 로크 아웃(lockout)을 일으키는 트랜시버 활성화의 이용을 보여주는 노드들의 네트워크(400)을 도시한다. 도 4a에서, 노드 N0(410)은 5개의 이웃, N1(420), N2(422), N3(424), N4(430), N5(432)를 가진다. 이웃 노드, N1(420), N2(422), N3(424)은 다음 홉(next hop)이기도 하다. 노드 N0(410), N1(420), N2(422), N3(424), N4(430), N5(432)는 하나의 블랭킷 채널 할당(blanket channel assignment) f0(440)으로 시작한다. 5개의 이웃 노드, N1(420), N2(422), N3(424), N4(430), N5(432)은, 각각, 트랜시버 X10(461), X20(462), X30(463), X40(464), X50(465)을 가진다. 그러나, N0(410)에 대한 로드가 증가하고 트랜시버 X00(460)의 큐(448)가 채워진다. 노드 N0(410)은 광고(advertisement) A(412), 예를 들어, A=2를 노드 N1(420), N2(422), N3(424), N4(430), N5(432)에 송신함으로써 다른 트랜시버가 적어도 하나의 다음 홉 노드 상에서 활성화될 것을 요청한다. 타겟 노드 N1(420), N2(422), N3(424), N4(430), N5(432)가 다른 트랜시버를 활성화하는 것을 알고, 노드 N0(410)로부터 오는 패킷들 내의 A 값(412)을 보았다면, 각각, 다른 트랜시버 X01(470), X11(471), X21(472), X31(473), X41(474), X51(475)를 할당하여 이제 노드들이 2개의 트랜시버들을 가지게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파수 할당 프로토콜들의 임의성(randomness)에 의하여, 노드 N1(420)에 대한 트랜시버 X11(471), 노드 N4(430)에 대한 트랜시버 X31, 및 노드 N5(432)에 대한 트랜시버 X51은 타일 f1(441)에 조인함으로써 노드 N2(422) 및 N3(424)를 노크 아웃한다. 패킷들은 계속하여 타겟 N1(420), N2(422) 및 N3(424)에 도달하기 위하여 f0(440) 상에서 빠져나갈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 노드 N0(410)은 주파수 f1(440)을 사용하는 제2 트랜시버를 활성화한다. 노드 N4(430), N5(432) 및 N1(420)은 주파수 f1(440)을 사용하는 트랜시버를 활성화한다. 그러나, 노드 N2(422) 및 N3(424)은 f1(440)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로크 아웃되고 따라서 f2(442)를 사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주파수 로크 아웃은 주파수 재사용을 촉진하기 위한 주파수 할당 프로토콜들의 내재적인 역효과(inherent side-effect)이다.
도 4b는 실시예에 따른 타겟 노드들의 주파수 로크 아웃을 방지하기 위해 관리되는 트랜시버 활성화의 이용을 보여주는 노드들의 네트워크(450)를 도시한다. 도 4b에서, 노드 N0(410)은 5개의 이웃, N1(420), N2(422), N3(424), N4(430), N5(432)를 가진다. 이웃 노드, N1(420), N2(422), N3(424)은 다음 홉이기도 하다. 노드 N0(410), N1(420), N2(422), N3(424), N4(430), N5(432)는, 각각이 주파수 f0(440)을 이용하는 트랜시버들 X00(460), X10(461), X20(462), X30(463), X40(464), X50(465)을 가지는 하나의 블랭킷 채널 할당으로 시작한다.
도 4b에서, MXRM은 다음 홉 타겟들, 노드 N1(420), N2(422) 및 N3(424)가 광고 A=2(412)를 고려하는 것을 보장한다. 다음 홉이 아닌 이웃이 타겟 이웃들을 송신자에 의해 이용되는 주파수들로부터 로크 아웃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MXRM은 노드들이 다음 홉 이웃일 경우에만 A 값들(412)을 고려할 것을 보장한다. 그 다음, 타겟이기도 한 이웃, N1(420), 노드 N2(422) 및 노드 N3(424)은 새로운 트랜시버, 즉, 노드 N1(420)에 대한 트랜시버 X11(471), 노드 N4(422)에 대한 트랜시버 X21, 및 노드 N3(424)에 대한 트랜시버 X31을 할당한다. 이는 다음 홉 이웃들, 노드 N1(420), 노드 N2(422) 및 노드 N3(424)가 송신자와 동일한 주파수들을 할당할 것임을 보장하진 않겠지만(예를 들어, 주파수 할당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이 프로세스는 한 경로를 따라 목적지들 간의 링크들을 구축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각 노드는 자신의 모든 이웃들 각각에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최근 시점을 추적하고 제안된 값이 10s인 THdata 동안(over) 패킷을 자신에게 송신하지 않은 이웃들로부터의 A 광고들을 폐기한다. 이는 데이터 경로를 벗어난 노드들이 이들의 트랜시버들을 턴오프 상태로 두게 해줘서, 이들이 이용가능한 주파수들을 더 많이 수집하도록 흐름(flow)을 향상(forward)시키게 해준다.
모든 이웃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데이터 트래픽의 목적지인지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패킷이 명시적으로 다음 홉 타겟들을 열거해야 한다. 하나의 어드레스 또는 브로드캐스트 어드레스로 각각 설정된 다음 홉 필드를 통상 포함하는 순수한 유니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패킷들에 대해서 이것은 사소한 것이다. 그러나, 멀티캐스트 패킷들은 확장성 과제(scalability challenge)를 제기하는데: 이들은 데이터 프레임에 맞지 않을 수 있는 어드레스들을 가지는 많은 수의 타겟들이 목적지일 수 있다. MXRM은 에일리어스들(aliases), 예를 들어, 매 노드가 각 이웃에 부여한 정수 값을 이용한다. 에일리어스들은 노드 ID들이 0 내지 N의 범위로 매핑되도록 이웃들 사이에서 교환되고 이웃들의 수가 노드에 의해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 트래픽이 유래한 노드들은 이들의 목적지 노드 ID들을, 패킷 헤더들에 포함된 에일리어스들로 번역(translate)한다. 수신 노드들은 소스 노드를 가지는 이들의 에일리어스를 인식하고 이들이 다음 홉 타겟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도 4b는 MXRM이 다음 홉 타겟들, 노드 N1(420), 노드 N2(422) 및 노드 N3(424)만이 광고 A(412), 예를 들어, A=2를 고려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노드 N1(420), 노드 N2(422) 및 노드 N3(424)은 동일한 주파수 f0(440) 및 f1(441)에 의해 접속된 노드들의 그룹을 형성한다. MXRM은 A를 계산하는데 큐 깊이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노드 N0(410)에서 트랜시버 X00(460)에 대한 제1 큐(448)와 같은 큐의 깊이는 임의의 시점에서 MAC 큐들의 최대 수의 패킷들로 정량화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여 로드 상태가 된 트랜시버들을 가지는 노드는 광고들을 통해 추가적인 트랜시버들을 할당하여 증가된 트래픽 로드를 수용할 수 있다. 광고들은 Heartbeats 및 Hellos 내에 위치하여 트랜시버들이 필요한 것보다 더 길게 활성화 상태에 있지 않을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노드 N0(410)는 다음 홉 타겟 노드 N1(420)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고 A=2 트랜시버들이 필요함을 광고할 수 있는데, 노드 N1(420)은 주파수 f1(441)을 사용하는 새로운 트랜시버 X11(471)를 할당한다.
그러나, 일단 N0(410)이 더 이상 2개의 트랜시버들을 필요로 하지 않고, 1개의 트랜시버만 필요하며, N1(420)으로의 트래픽이 중지된다면, N1(420)은 트랜시버 X11(471)을 유지하기를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Node N1(420)은 N0(410)의 데이터 패킷이 없음에도 새 광고 A=1을 통지 받는다. 따라서, 노드 N1(420)은 추가 트랜시버 X11(471)이 더이상 필요 없음을 통지 받는다.
따라서, 이전과 현재의 다음-홉 타겟을 수용하기 위해서, 광고 A(412)가 하트비트 및 헬로 메시지 내에 배치된다. Heartbeat 및 Hello의 주기 및 방송 본질은 그들이 광고를 전달하는 것을 매우 적합하게 한다. 이웃이 선택된 타임프레임 THdata 내의 소스 노드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광고들은 주의가 기울여진다. 따라서 이전의 다음-홉 타겟, 예를 들면 노드 N1(420)은 그것의 트랜시버 X11(471)이 서서히 멈추는 것을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XRM은 일부 주파수 할당 알고리즘이 컨버징하는 것을 방지하는 불안정한 피드백 루프를 생성할 수 있다. 영향을 받는 FA 알고리즘은 트랜시버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명령을 통해 이전에 할당된 채널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보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FA는, FA가 트랜시버의 수를 증가시키는 주문을 수신하고 트랜시버를 할당하는 일반 알고리즘을 통과하기 전에, FA의 존재하는 할당을 지울 수 있다. 송신기 노드가 더 많은 트랜시버를 요청하면, 수신기는 FA 및 MXRM이 한 방향으로 컨버징하도록 강요한다.
그러나, 다음 번의 트랜시버 증가 동안에 수신기 노드가 송신기에게로 갖는 유일한 링크를 끊으면(예를 들면 전체 타일을 더 이상 할당할 수 없으면), 단축 경로 트리는 변할 것이며, FA 및 MXRM이 다른 방향으로 컨버징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한다. 이 동작은 FA 및 MXRM이 안정화되지 않게 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그 대신에, FA는 MXRM에 의해 요청된 트랜시버 변경을 통해서 FA의 채널 할당의 대부분을 보존해야 한다. 타일을 위해서, 풀 타일이 할당된 트랜시버들은 MXRM로부터의 요청 이후에 그것을 유지하는 것이 허용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트랜시버들(500)의 활성화 요청을 위한 광고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5에서, 노드(502)는 4개의 트랜시버 X0(510), X1(520), X2(530), X3(540)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며, 이들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에서, 2개의 트랜시버 X0(510), X1(520)이 활성화되고, 제1 버퍼(512)는 트랜시버 X0(510)에 대해 도시되었고, 제2 큐(522)는 트랜시버 X1(520)에 대해 도시되었다. 2개의 큐(512, 522) 모두 내부에 데이터를 갖는다. 트랜시버 X0(510)에 대한 제1 큐(512)는 라인 d0(514)에 채워진다. 트랜시버 X1(520)에 대한 제2 큐(522)는 라인 d1(524)에 채워진다.
가상 집계 큐 D(580)를 참조하면, 이는 노드(502)의 모든 큐들(512, 522, 532, 542)에 대한 결합 깊이를 표시한다. 마커들은 3개의 임계치, 즉, 2개의 트랜시버에 대한 필요성을 표시하는 임계치(550), 3개의 트랜시버에 대한 필요성을 표시하는 임계치(552), 및 4개의 트랜시버에 대한 필요성을 표시하는 임계치(554)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제1 마커(560)는 트랜시버 X0(510)의 제1 큐(512)에 대한 레벨을 나타내기 위해 제공되고, 제2 마커(562)는 트랜시버 X0(510)의 제1 큐(512)와 트랜시버 X1(520)의 제2 큐(522)에 대한 결합 깊이, 즉, d0+d1를 표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큐들(512, 522)의 결합 깊이(562)는 3개의 트랜시버에 대한 임계치(552)보다 크다. 단 2개의 트랜시버인 트랜시버 X0(510) 및 트랜시버 X1(520) 이후에, 제3 트랜시버 X2(530)가 필요하다.
따라서, 추가될 트랜시버의 수 A(570)가 송신기 노드에 의해서 이하와 같이 계산된다:
A=Q+1
여기서
Figure pat00008
이고
Figure pat00009
이도록, Q=p이다.
상기 방정식들에서, Q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큐를 갖는 트랜시버의 수에 근접한다. p=2=Q에 대해
Figure pat00010
이다. 따라서, 그 다음에 A=2+1=3이다. 따라서, 가상 집계 큐들(580)은 3개의 트랜시버가 필요하다는 것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결합 큐 깊이(562)의 수는 3개의 트랜시버에 대한 필요성을 표시하는 임계치(552)보다 크다. 따라서, 3개의 트랜시버가 필요하고, 추가 트랜시버, 즉, 트랜시버 X2(530)를 위한 광고(590)가 필요하다.
송신기 노드(502)는 필요한 트랜시버의 수 A(590)을 이웃 노드들, 예를 들면 다음-홉 노드들과 공유한다. 필요한 트랜시버의 수 A(590)는 패킷 헤더 내의 이웃 노드들로 송신된다. 따라서, 광고된 A의 값은 3이며, 이는 추가 트랜시버 X2(530)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MXRM은 미리 결정된 깊이보다 큰 부하의 큐를 갖는 트랜시버의 수를 결정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시버 리소스(600)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제1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는 미리 결정된 임계치와 비교된다(610). 언제 제1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지가 결정된다(620). 제1 노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다음-홉 노드 상에 활성화될 다른 트랜시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음-홉 노드로 요청이 전송된다(630). 요청은 활성화될 트랜시버의 수 및 다음-홉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트랜시버에 의해 사용될 선택된 주파수를 식별한다(640).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들에 대한 참조를 포함하며, 이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를 형성한다. 예시의 방법으로, 도면들은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예시들"로도 지칭된다. 이러한 예시들은 도시되거나 설명된 것 이외에도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도시되거나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는 예시들도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자는, 특정 예시(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대해서 또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다른 예시들(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태)에 대해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구성요소들(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태)의 임의의 조합 또는 치환을 사용하는 예시들도 고려한다.
본 문서에서, 특허 문헌에서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용어 "하나"(a 또는 an)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또는 다른 경우와 관계없이 하나 또는 하나 초과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본 문서에서, 다르게 표시되지 않는 한, 용어 "또는(or)"은 비배타적인 것을 지칭하도록 사용되는데, 즉 "A 또는 B"는 "B 아닌 A", "A 아닌 B", 및 "A 및 B"를 포함하도록 사용된다.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용어 "including" 및 "in which"는 각각의 용어 "comprising" 및 "wherein"의 일반 영어 등가물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용어 "including" 및 "comprising"은 개방형(open-ended)이며, 즉, 그러한 용어 이후에 나열되는 청구항의 구성요소들 이외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물품, 장치, 또는 시스템도 여전히 그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항들에서,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단순히 레이블로서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반드시 일련의 순서, 리스트 또는 시퀀스를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제한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된 예시들(또는 그것의 하나 이상의 양태)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을 검토시에 다른 실시예들이 당업자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요약서는, 예를 들면 37 C.F.R. §1.72(b)를 준수하기 위해, 읽는 사람이 기술적 개시의 본질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청구항들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해석하거나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이해를 수반하여 제출된다. 또한, 상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개시를 간소화하기 위해 각종 특징들이 함께 그룹화될 수 있다. 청구되지 않은 개시된 특징들은 임의의 청구항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발명의 대상이 특정 개시된 실시예의 특징들보다 소수개 자리잡을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항들은 여기에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편입되고, 청구항은 그 자체로 별도의 실시예로서 독립적이다.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러한 청구항들이 권리 부여된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첨부된 청구항에 대한 참조로 결정될 것이다.

Claims (15)

  1. 네트워크 내 노드들에 대해 인터페이스들, 트랜시버들 및 트랜시버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송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queue depth)를 미리 결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전송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때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노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다음-홉 노드(next-hop node)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트랜시버가 활성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은 때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다고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전송 노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다음-홉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트랜시버가 비활성되기 위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노드의 트랜시버의 큐 깊이가 적어도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때를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큐 깊이 대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치의 비율 이하인 가장 큰 정수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활성될 트랜시버들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개수의 트랜시버들의 활성을 요청하는 광고(advertisement)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음-홉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될 트랜시버들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는, 사용 중인 트랜시버들의 추정된 개수 더하기 1과 동일한 개수의 트랜시버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 중인 트랜시버들의 추정된 개수는 미리 정해진 큐 임계치들과 상기 큐 깊이들의 합의 함수여서 상기 추정은 상기 합해진 큐 깊이에 가장 가까운 하한 임계치가 되게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는, 비활성될 트랜시버들의 개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개수의 트랜시버들의 비활성을 요청하는 광고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음-홉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네트워크 내의 노드로서,
    노드들의 네트워크에서 패킷들을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결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대한 패킷들을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큐를 제공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결합된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를 구현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큐의 깊이를 분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큐의 상기 분석된 깊이에 기초하여 다음-홉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트랜시버의 개수를 조정하라고 상기 다음-홉 노드에게 요청하는 광고를 상기 네트워크 내의 다음-홉 노드에 송신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다음-홉 노드의 캐패시티(capacity)를 상기 분석된 적어도 하나의 큐의 깊이에 의해 표현되는 트래픽 로드에 적응시키게 하는, 노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홉 노드에 의해 사용되는 트랜시버의 개수를 조정하라고 상기 다음-홉 노드에게 요청하는 광고는, 상기 다음-홉 노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트랜시버에 대한 요청을 더 포함하는, 노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큐의 상기 분석된 깊이에 기초하여, 타겟팅된 다음-홉 노드에게만 적어도 하나의 추가 트랜시버를 추가하게끔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노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는 상기 다음-홉 노드에게 상기 다음-홉 노드에 추가된 트랜시버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을 통지하는, 노드.
  11.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트랜시버를 추가하기 위해 상기 다음-홉 노드에게 전송된 상기 광고는 상기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로부터 상기 다음-홉 노드로 전송되는 패킷 내에 제공되는, 노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큐의 상기 분석된 깊이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 트랜시버를 추가하라고 상기 다음-홉 노드에게 요청하는 상기 다음-홉 노드에게 송신되는 상기 광고는 미리 정해진 임계치 더하기 선택된 값보다 큰 큐 깊이의 큐를 갖는 트랜시버들의 개수를 판정하는 상기 트랜시버 리소스 매니저에 기초하는, 노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될 트랜시버들의 개수를 식별하는 것은, 사용중인 트랜시버들의 추정된 개수 더하기 1과 동일한 개수의 트랜시버들을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중인 트랜시버들의 추정된 개수는 미리 정의된 큐 임계치들 및 큐 깊이들의 합의 함수여서 상기 추정은 상기 합해진 큐 깊이에 가장 가까운 하한 임계치가 되게 하는, 노드.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실행될 때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거나 장치를 실현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 판독가능 매체.
KR20140029824A 2013-03-14 2014-03-13 멀티 트랜시버 시스템들에 동적 트랜시버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KR201401134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03,109 US20140269267A1 (en) 2013-03-14 2013-03-14 Methods for dynamic transceiver resource allocation in multi-transceiver systems
US13/803,109 2013-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471A true KR20140113471A (ko) 2014-09-24

Family

ID=5042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9824A KR20140113471A (ko) 2013-03-14 2014-03-13 멀티 트랜시버 시스템들에 동적 트랜시버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69267A1 (ko)
EP (1) EP2779540A1 (ko)
KR (1) KR201401134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575A1 (ko) * 2015-04-30 2016-11-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3758B1 (en) * 2013-11-27 2014-06-03 M87, Inc. Concurrent uses of non-cellular interfaces for participating in hybrid cellular and non-cellular networks
CN110278547B (zh) * 2018-03-13 2022-04-08 博通集成电路(上海)股份有限公司 用于建立低功耗蓝牙网状网络的装置和方法
CN111278017B (zh) * 2020-01-20 2022-07-19 大唐联诚信息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虚拟链路的资源分配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2481B2 (en) * 1998-06-01 2003-04-01 Tantivy Communications, Inc.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ing session queues
US6987753B2 (en) * 2001-10-09 2006-01-17 Alcatel Canad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with minimum bandwidth guarantee
US20040139473A1 (en) * 2003-01-10 2004-07-15 Adc Broadband Access Systems, Inc. Increasing capacity in a 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CMTS) with passive redundancy
US20090022090A1 (en) * 2007-07-19 2009-01-22 Motorola, Inc. Switching allocation in ad hoc network
US8867378B2 (en) * 2007-10-05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multi-carrier requests
US8397267B2 (en) * 2010-01-26 2013-03-12 Cisco Techology, Inc. Hi-split upstream design for DOCSIS
US9413498B2 (en) * 2010-05-26 2016-08-09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uffer status repor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72082B2 (en) * 2010-07-29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using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US8762760B2 (en) * 2010-09-14 2014-06-24 Xilin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power control in a multi-lane communication channel
EP2469721B1 (en) * 2010-12-22 2014-04-23 NTT DoCoM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nod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98011B2 (en) * 2011-04-29 2014-08-0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Enhancement of download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s
US8958461B2 (en) * 2011-08-29 2015-02-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channel efficiency in a wireless link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575A1 (ko) * 2015-04-30 2016-11-03 엘지전자(주)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47995B2 (en) 2015-04-30 2020-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Bluetooth mesh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9540A1 (en) 2014-09-17
US20140269267A1 (en) 201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08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user equipment (UE) over side link in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US2021032948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ervic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7843817B2 (en) Congestion control in wireless mesh networks
JP4714274B2 (ja) 複数の無線を用いて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容量を増加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05048B1 (ko) 무선 네트워크 재진입 시스템 및 프로세스
WO2020038172A1 (zh) 一种流量控制的方法及装置
WO2017192241A1 (en) Determination of a data transmission schedule
US20100097946A1 (en) Optimized data transfer between approaching devices
TWI538550B (zh) 用於行動寬頻網路之裝置對裝置競爭管理方案
WO20210981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wer-saving in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
WO202109810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ower-saving in wireless sidelink communication
CN107710846A (zh) 数据传输的功率控制方法和装置
JP2017527164A (ja) 複数の無線アクセスのうちの少なくとも1つを用いてデータを送信する方法、ユーザ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要素
Zhao et al. A reliable and energy-efficient opportunistic routing protocol for dense lossy networks
Darabkh et al. An improved reactive routing protocol over mobile Ad-hoc networks
KR20140113471A (ko) 멀티 트랜시버 시스템들에 동적 트랜시버 리소스 할당을 위한 방법
EP2989851A1 (en) Mobile infrastructure assisted ad-hoc network
US9374292B2 (en) Frequency assignment with dynamic multi-transceiver resources
Lim et al. Dynamic power management in Wi-Fi Direct for future wireless serial bus
Malarkod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OMDV-PAMAC protocols for ad hoc networks
US10873897B2 (en) Base station device, base station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KR2012001286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Mao et al. Laar: Long-range radio assisted ad-hoc routing in manets
JP2007221568A (ja) 転送遅延制御方法および無線端末
Ghrab et al. NDRECT: Node-disjoint routes establishment for critical traffic in WS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