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706A -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706A
KR20140112706A KR1020130027109A KR20130027109A KR20140112706A KR 20140112706 A KR20140112706 A KR 20140112706A KR 1020130027109 A KR1020130027109 A KR 1020130027109A KR 20130027109 A KR20130027109 A KR 20130027109A KR 20140112706 A KR20140112706 A KR 2014011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ing
cement
layered
pres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옥
Original Assignee
김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옥 filed Critical 김문옥
Priority to KR102013002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706A/ko
Publication of KR2014011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의 외관, 특히 전원 주택과 같은 단독 주택의 외장재로 주로 사용되는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결합되는 제1 사이딩; 상기 제1 사이딩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사이딩; 및 상기 제2 사이딩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3 사이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 사이딩 판재에 있어서, 상기 일 측에 제2 사이딩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타측에 제1 사이딩과 제3 사이딩이 돌출되어 홈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사이딩은 사이딩의 측면을 커터 등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벽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장식되어 있어 미려한 외관을 가진다.

Description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MULTI LAYER CEMENT SIDING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주택의 외관, 특히 전원 주택과 같은 단독 주택의 외장재로 주로 사용되는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택 외벽을 마무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사이딩 재료들이 개발되어 있다. 목재 사이딩, 시멘트 사이딩, 비닐사이딩, 드라이비트, 파벽돌, 석재, 또는 벽돌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상세 형태와 장단점들이 http://pamicha.com 등의 웹페이지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목재사이딩은 원목으로 된 사이딩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베벨은 판자형으로 우드사이딩 중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법이 간단해 많은 시공자와 건축주들이 찾는 편이며, 로그 사이딩은 통나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소재는 햄록, 스푸르스, 적삼목등이다. 반달모양을 하고 있어 통나무집과 같은 모양을 내고 싶을 때 사용한다. 우드사이딩은 다른 사이딩에 비해 단열이나 색상이 우수하고 자연미가 뛰어난 편이지만, 화재의 위험이 있다.
또한, 시멘트 사이딩은 비닐사이딩보다 시공단가는 올라가지만 사계절 기후의 변화가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외장재로 적합하다. 화재에 대한 내화성도 우수하며 변형이 적고 칠이 잘 벗겨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외부의 습기와 공해로 인한 부식과 충격에도 강해서 실용적이다. 외벽구조물에 대한 시공도 편리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내구성은 50년 이상 중후한 느낌의 주택 외벽마감재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외관이 단순하고 색상이 없어 외관에 다시 칠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비닐사이딩의 경우, 자연 그대로의 나뭇결무늬의 자연미와 다양한 디자인패턴으로 다른 외벽 구조물과도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목재나 시멘트사이딩과 달리 가격이 저렴하며 건축물의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무게가 가볍고 시공이 간편해 공기단축 및 건축비 절감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이라 화재에 약하다는 점은 취약점으로 꼽히며, 베이스 수지를 이루는 PVC의 변색으로 인해 색채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목재 사이딩, 시멘트 사이딩, 및 비닐 사이딩의 경우, 평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시 밋밋한 형태를 나타내게 되므로, 입체감을 주고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사이딩과 하부 사이딩을 겹쳐서 조립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사이딩(1)의 하단부가 하부 사이딩(2)의 상단부에 포개진 형태를 이루는데, 입체감을 부여하고, 하부 사이딩(2)을 벽면에 고정한 피스가 상부 사이딩(1)의 하면에 가려져 외관상으로 장점이 있지만, 겹쳐진 부위만큼 재료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시멘트 사이딩의 경우, 별도의 도색이 필요하여 공기가 길어지고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드라이비트는 영어 드라이(DRY)와 불어 비트(VIT)의 합성어로 빨리 마른다는 뜻이다. 드라이비트, 스타코플렉스는 상품명이며 정확한 건축용어는 “외부단열마감공법”이라고 한다. 구입시는 “드라이비트” 라는 용어로 대부분 통용이 된다. 뿜질과 흙손시공방법에 따라서 다른 질감을 보여준다. 이 자재는 마감기능과 단열기능을 동시에 해결한 새로운 페인트 공법으로 순도 100%의 아크릴 수지와 화학물질 및 특수 규사의 합성으로 제조하며 내구성이 좋고 변색이 없다. 드라이비트로 외벽을 마감하면 부수적인 단열 및 방수시공이 필요 없고 벽체를 경량화해 구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5~7년 경과시 표면 재도장 시공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파벽돌이란 깨지고 낡은 벽돌을 의미하지만 현재는 이미테이션 제품의 명칭으로 통용 되고 있다. 시멘트와 모래 그리고 화산석등이 경량재를 각각3:3:4의 비율로 섞어 만들며 일반벽돌보다 부피당 무게가 훨씬 가볍다. 인공적으로 모양과 색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분위기에 맞춰 색과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크기는 20.5cmx6.5cmx1.2cm(가로x세로x두께)로 통일되어 있지만 가로가 7~8cm더 길거나 세로가 2배 길어진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한편, 점토벽돌과 같은 사이딩 재료는 점토 흙이나 고령토 ,황토 등의 천연연료를 1100~1200C의 고열로 구워낸 건축용 및 보도용 자재다. 주로 건축외장재로 많이 쓰이기 때문에 미장벽돌, 치장벽돌이라 하고 붉은 색을 띠어 적연와, 적벽돌로 일컬어진다. 점토벽돌은 불연재 및 내수재로서 단열, 보온, 방음효과가 클 뿐 아니라, 돌 마감이나 타일마감에 비해 공기가 짧고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역이 비싸고 무늬가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상기 사이딩 재료들은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여러 사이딩 재료의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사이딩 재료, 특히 시멘트 사이딩과 벽돌 사이딩의 장점을 함께 가지는 새로운 사이딩 재료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62886호에서는 전체적으로 외장마감판과 이를 수용하는 마감판 수용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긴 판상의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일측 장변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며 외향 돌출된 결합돌부가 일체 구성된 연장판; 및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서 타측 장변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부와 대응하여 끼움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형상의 결합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감판수용체;와 바탕재 및 마감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삽입되는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및 한 쌍의 측면판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외장마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이딩 판재를 공개하고 있다. 특허 제807998호에서는 화이버시멘트 사이딩 플렝크, 그 제조 및 설치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 제853733호에서는 투피스 사이딩 플랭크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 제577090호에서는 조립식 사이딩을 개시하고 있고,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109179호에서는 천연광물을 이용한 내외벽 사이딩 판넬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상부 사이딩과 하부 사이딩이 포개지는 과정에서 재료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면서도 입체감이 뛰어나고, 다양한 무늬의 형성이 가능한 새로운 건축 내외장용 사이딩재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시멘트 사이딩과 벽돌 사이딩을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사이딩 재료에 대한 해법이 없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12-0004159호에서 도 2에서와 같이, 시멘트 사이딩의 측면을 가공하며 상호 결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였으나, 시멘트 사이딩의 측면 가공시 사이딩의 측면과 커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안정적인 생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멘트 사이딩을 벽면에 부착하기 위해서 별도의 판재를 시멘트 사이딩에 부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시장 확대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시멘트 사이딩의 측면 가공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벽면의 부착이 용이하고, 문양의 제조가 용이한 새로운 시멘트 사이딩에 대한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멘트 사이딩의 측면 가공 없이 상호간에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시멘트 사이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시멘트 사이딩의 측면 가공 없이 상호간에 결합할 수 있으며 벽면 부착이 용이한 새로운 시멘트 사이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시멘트 사이딩의 측면 가공 없이 상호간에 결합할 수 있으며 벽면 부착이 용이하고, 다양한 문양 가공이 가능한 새로운 시멘트 사이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벽면에 결합되는 제1 사이딩;
상기 제1 사이딩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사이딩; 및
상기 제2 사이딩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3 사이딩;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층 사이딩 판재에 있어서,
상기 일 측에 제2 사이딩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타측에 제1 사이딩과 제3 사이딩이 돌출되어 홈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딩은 재료 자체에서 불연성 내지 내화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무기재료 사이딩이며, 바람직하게는 시멘트 사이딩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벽면에 결합되는 제1 사이딩은 벽면에 타카나 피스를 이용해서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사이딩은 제3 사이딩 보다 더 돌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시멘트로 이루어진 제1 시멘트 사이딩을 피스나 타카를 이용하여 결합할 경우, 피스나 타카에 의해서 시멘트 사이딩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시멘트 사이딩의 돌출부에는 금속 판재, 예를 들어, Gi 판재, 알루미늄 판재, 철자재를 절곡이나 압출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사이딩의 벽면측 면에는 사이딩의 단열성을 높일 수 있도록 우레탄이나 은박지를 이용한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딩은 판재 형태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며,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격자형 판재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이딩과 사이딩 사이에 삽입되는 다양한 재료상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이딩은 상부 표면에 문양층이 형성된다. 상기 문양은 블럭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문양은 무기재료를 이용한 곤죽이나 드라이비트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이딩의 일측에는 벽면 부착시 사이딩 사이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박킹이 형성되고, 상기 박킹은 밀도가 낮은 핫멜트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벽면에 결합되는 제1 사이딩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2 사이딩과 문양층이 형성되는 제3 사이딩을, 일측에 제2 사이딩이 돌출되고, 대향하는 타측에 제1 사이딩과 제3 사이딩이 돌출되도록 겹쳐서 부착하고, 여기서 벽면에 부착되는 제1 사이딩이 제3 사이딩에 비해서 더 돌출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층 사이딩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사이딩 제조 방법은 제3 사이딩의 표면에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사이딩의 부착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시멘트 사이딩을 포함하고, 2 이상의 사이딩 판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다층 사이딩 판재에 있어서, 사이딩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최상층에는 문양층이 형성된 시멘트 사이딩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층 사이딩의 돌출부와 수용부는 적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사이딩은 사이딩의 측면을 커터 등으로 가공할 필요가 없으며, 벽면에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장식되어 있어 미려한 외관을 가진다.
도 1은 종래 시멘트 사이딩을 이용한 벽면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측면부를 가공하고, 표면에 문양층을 형성한 시멘트 사이딩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층 시멘트 사이딩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층 시멘트 사이딩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층 시멘트 사이딩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층 시멘트 사이딩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층 시멘트 사이딩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다층 시멘트 사이딩을 설치한 상태의 벽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멘트 벽돌 사이딩을 제조하기 위해서 시멘트 사이딩은 7.5 x 205 x 4000 mm 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시멘트 사이딩(A)는 벽면에 부착되는 제1 사이딩(100)과 제1 사이딩(1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사이딩(200)과 제2 사이딩(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3 사이딩(300)으로 이루어진다. 제1 사이딩(100)의 벽면에는 우레탄이나 은박지로 이루어지는 단열층(400)이 형성되고, 제3 사이딩(300)의 표면에는 무기질 재료를 이용한 장식층(500)이 형성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판재 형태의 제1 사이딩(100), 제2 사이딩(200), 및 제3 사이딩(300)들 나란히 어긋나게 부착된다. 제1 사이딩(100)의 상면에 제2 사이딩(200)은 아랫쪽으로 나란히 어긋난 상태로 부착되고, 제3 사이딩(300)은 제1 사이딩(100)과 제2 사이딩(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나란히 어긋난 상태로 부착된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멘트 다층 사이딩(A)은 하부에 제2 사이딩(200)에 의해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사이딩(100)의 돌출부(110)과 제3 사이딩(300)의 돌출부(310)에 의해 그 사이에 수평으로 연장되는 홈(220)이 형성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다층사이딩(A)들은 상하로 나란히 적층되면, 제1 사이딩(100)의 상단 돌출부(110)을 통해서 벽면에 고정되고, 상단 다층 사이딩(A)의 돌출부가 하단 다층 사이딩의 홈(A)에 끼워진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사이딩(A)은 제1 사이딩(100)의 돌출부(110)에는 홈(220)측 표면에 금속 판재(111)가 부착된다. 금속 판재(111)는 돌출부가 피스에 의해서 천공되는 과정에서 제1 사이딩(110)의 돌출부(11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금속 판재(111)는 Γ 형태로 절곡되어 돌출부(111)에 부착된다.
또한, 다층 사이딩(A)의 제3 사이딩(130)의 하측단에는 핫멜트로 이루어진 박킹(131)이 형성되어, 다층 사이딩(A)이 적층되어 벽면에 고정될 때, 제3 사이딩(130)의 상측단과의 사이에 끼워져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또한, 다층 사이딩(A)의 제3 사이딩(130)의 돌출부(131)의 홈(220)측 표면은 제2 사이딩(120)의 돌출부(1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금속 판재(111)의 두께만큼 연삭된다.
제2 사이딩(200)은 평판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격자형태와 같이 일부 천공된 형태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쫄대 형식으로 넣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사이딩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제1 사이딩(100)은 돌출부(110) 영역에 Γ 자 형태로 절곡된 Gi 금속판재(111)을 부착하고, 배면에 우레탄 단열재(400)를 부착한다.
다음 제2 사이딩(200)은 제1 사이딩(100)의 표면에 에폭시 접착제를 바른 후 금속 판재(111)의 하부에 겹쳐서 부착한다.
다음 제3 사이딩(300)은 제2 사이딩(200)의 표면에 부착하기 전에 표면에 장식층(500)을 형성한다. 상기 장식층(500)이 형성된 시멘트 사이딩(300)은 무기물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도 9 및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행된다.
무기물 페이스트는 각종 무기물 혼합물, 바인더, 안료, 유기 용제 등을 교반조에 투입하고 교반기로 혼합한 후, 압출기로 덩어리로 압출하여 제조하였다. 무기물 페이스트는 무기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바인더 10-100 중량부, 안료 0.1-10 중량부, 용제 10-10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천연 무기물 혼합물은 점토, 황토, 화산석, 수산화알루미늄, 경탄 등을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무기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천연 무기물 혼합물은 점토 또는 황토, 수산화알루미늄, 경탄, 화산석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다양한 유기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표적으로 폴리우레탄 바인더, 아크릴 바인더와 같은 폴리머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사용하였다.
상기 안료는 다양한 색상의 구현을 위해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적벽돌이나 황토 벽돌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적색 안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제는 물,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케톤과 같은 극성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건조가 용이하도록 아세톤과 같은 저비점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점도, 수산화 알루미늄, 및 경탄을 동량으로 혼합한 무기물 100 중량부와 폴리우레탄 바인더와 아크릴 바인더를 동량으로 혼합한 바인더 30 중량부, 백색 안료 5 중량부, 및 유기 용제 20 중량부를 믹서기에 넣고 믹싱하였다.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를 압출기(1)에 넣고 토출하여 곤죽 형태의 무기물 페이스트(2)를 시멘트 사이딩(10)의 표면에 길게 놓아둔 후 이를 회전 롤러(3)로 가공하여 문양층(20)을 형성하였다. 건조기(6)를 통과시켜 이를 건조한 후, 벽돌문양으로 천공된 커버(30)를 형성하고, 도료를 뿌려 도료층(40)을 형성하였다. 이후 커버를 제거한 후, 표면에 전체적으로 UV코팅 또는 우레탄 상토 코팅을 실시하여 투명 코팅층(50)을 형성하였다.
도 10 내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사이딩(10)에는 무기물 페이스트로 이루어진 벽돌 문양층(20)이 형성된다. 상기 문양층(20)의 두께는 1-10 mm 내외로 조절되며, 충분한 입체감이 형성되도록 돌출부는 5-10 mm, 오목보는 1-3 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돌 문양층(20)에서 직사각형의 돌출부(21)에는 다양한 벽돌 무늬의 구현을 위해 별도의 도료층(40)이 형성되며, 표면 전체적으로 제품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투명코팅층(50)이 형성된다. 투명 코팅층(50)은 공지된 UV코팅이나 우레탄 상도 코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이딩(300)은 돌출부(310)의 홈의 내면이 제1 사이딩의 금속 판재의 두께에 해당되는 깊이로 연마된 연마부(313)이 형성되고, 하측단에는 핫멜트 박킹(312)이 부착된다.
제조된 제3 사이딩(300)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 사이딩(100)의 돌출부(110)의 금속판재(111)가 일부 돌출되도록 제2 사이딩(200)의 표면에 에폭시로 접착되어 부착된다.
100 : 제1 사이딩
200 : 제2 사이딩
300 : 제3 사이딩
400 : 단열층
500 : 장식층

Claims (10)

  1. 벽면에 결합되는 제1 사이딩;
    상기 제1 사이딩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2 사이딩; 및
    상기 제2 사이딩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3 사이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일 측에 제2 사이딩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타측에 제1 사이딩과 제3 사이딩이 돌출되어 홈을 형성하여,
    인접하는 사이딩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딩은 상기 제3 사이딩 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딩의 돌출부에는 금속 판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딩의 벽면측에는 사이딩의 단열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단열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이딩은 상부 표면에 문양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이딩의 일측에는 박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딩과 제3 사이딩은 시멘트 사이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8. 벽면에 결합되는 제1 사이딩과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2 사이딩과 문양층이 형성되는 제3 사이딩을, 일측에 제2 사이딩이 돌출되고, 타측에 제1 사이딩과 제3 사이딩이 돌출되도록 겹쳐서 부착하고, 여기서 벽면에 부착되는 제1 사이딩이 제3 사이딩에 비해서 더 돌출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층 사이딩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3 사이딩의 표면에 장식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선택적으로 제1 사이딩의 부착면에 단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제조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시멘트 사이딩을 포함하고, 2 이상의 사이딩 판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다층 사이딩 판재에 있어서,
    사이딩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최상층에는 문양층이 형성된 시멘트 사이딩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사이딩 판재.
KR1020130027109A 2013-03-14 2013-03-14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12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09A KR20140112706A (ko) 2013-03-14 2013-03-14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09A KR20140112706A (ko) 2013-03-14 2013-03-14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706A true KR20140112706A (ko) 2014-09-24

Family

ID=5175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109A KR20140112706A (ko) 2013-03-14 2013-03-14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7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33B1 (ko) 2015-11-16 2016-11-09 이병화 시멘트 사이딩, 세라믹 사이딩 또는 외부마감재로 마감되는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벽 단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833B1 (ko) 2015-11-16 2016-11-09 이병화 시멘트 사이딩, 세라믹 사이딩 또는 외부마감재로 마감되는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의 외벽 단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39939C (en) Engineered flooring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9074380B2 (en) Decorative brick mould for in-situ production on building
EP3314066B1 (en) Modified osb board and its use in walls for house building systems
CN105442782A (zh) 一体化板
CN201297015Y (zh) 木瓷地板
CN105464316A (zh) 一体化板的制作方法
KR20130129562A (ko)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209686A1 (en) Coating or cladding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20140112706A (ko) 다층형 시멘트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CA2511758A1 (en) Decorative exterior wall panel
WO2005118241A3 (en) Building material for forming an architectural surface cover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559671B1 (ko) 단열판넬
RU2708296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защитно-декоративн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CN204940750U (zh) 一体化板
CN104631734A (zh) 一种免漆板
EP2799642A1 (en) Wainscot panel and its production method
KR20130083533A (ko) 시멘트 벽돌 사이딩 및 그 제조 방법
CN204456717U (zh) 一种免漆板
KR101277469B1 (ko) 기능성 복합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41186Y1 (ko) 한지 마루판
CN210482739U (zh) 一体化压缩装饰外墙板
EP3666993A1 (en) Multilayer floor covering
CN102108741A (zh) 门窗洞口用仿石保温复合板及其制造方法
CN108316583A (zh) 一种基于格栅单面板的高分子材料特性及在施工装修中的应用方法
KR200431077Y1 (ko) 마그네슘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