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627A -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 - Google Patents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627A
KR20140112627A KR1020130026128A KR20130026128A KR20140112627A KR 20140112627 A KR20140112627 A KR 20140112627A KR 1020130026128 A KR1020130026128 A KR 1020130026128A KR 20130026128 A KR20130026128 A KR 20130026128A KR 20140112627 A KR20140112627 A KR 20140112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protrusion
lever
retracto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77615B1 (en
Inventor
이경상
김두용
신동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2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615B1/en
Priority to PCT/KR2014/001993 priority patent/WO2014142508A1/en
Publication of KR20140112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electrically actuated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2/3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2/3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 B60R22/353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in response to belt movement when a wearer applies the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 retractor capable of checking whether an infant seat is mounted or not. The seat belt retractor includes a spool where webbing is wound therearound; a frame where the spool is rotatably coupled and which accommodates the webbing wound around the spool; a flywheel gear which includes a driving gear on the same shaft as a rotary shaft of the spool at the center and unidirectional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which is mounted at an end of the spool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pool; a lever which allows the webbing to be pulled in but not to be pulled out, by being caught with the unidirectional teeth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to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which allows the webbing to be pulled in and to be pulled out, by separating from the unidirectional teeth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pulled in, and then pulled out again to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an integrated plate which has a follower gear interlocked with a driving gear of the flywheel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spool and the flywheel gear, and a first plate adjusting the lever based on the pulled out length of the webbing; and a sensing unit which checks whether or not the lever is adjusted with a sensor adjacent to the lever when the lever is adjusted by the first plate, to check whether an infant seat is mounted or not.

Description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or for a seat belt,

본 발명은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록킹 리트랙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여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ractor for a seat belt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a child seat is attach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tractor for a seat belt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an infant seat is mounted by confirming the operation of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

일반적으로,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하여 탑승자가 차량 또는 기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량 또는 기구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안전장치가 마련된다.Generally, various safeguards are provided in the vehicle or mechanism to protect the occupant so that the occupant can be prevented from leaving the vehicle or the apparatus by collision with the vehicle or with other objects.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시트 벨트(seat belt)와 에어백(air bag)이라고 할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 시트 벨트는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하복부와 흉부를 시트에 안정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라면, 에어백은 차량 또는 기구에 탑승한 사람의 전방에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벌룬을 생성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Among them, a seat belt and an air bag are typical examples. More specifically, the seat belt protects the passenger by stably fixing the abdomen and chest of the person aboard the vehicle or apparatus to the seat The airbag is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the occupant by playing the role of generating a balloon capable of buffering the shock in front of a person aboard the vehicle or the apparatus.

그런데 시트 벨트와 에어백은 이러한 기본적인 역할만으로 어느 정도의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지만, 유아의 탑승을 위해 유아 시트가 장착된 경우에는 이러한 기본적인 역할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종종 있다.Although the seat belt and the airbag can protect the occupant from a collision with a certain vehicle or another object only by this basic role, such a basic role is often insufficient when the infant seat is mounted for the infant .

즉, 유아 시트가 장착된 경우에는, 유아 시트의 구조상 차량 간 또는 다른 물체와의 충돌에 의하여 시트 벨트로부터 유아 시트가 분리되어 유아 시트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더욱 해할 가능성이 있으며, 유아 시트 앞에서 에어백이 작동하는 경우 벌룬의 부피로 인해 유아의 호흡을 방해하여 유아 시트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더욱 해할 가능성이 있다.That is, when the infant sheet is moun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fant sheet is separated from the seat belt due to collision with the vehicle or other object in the structure of the infant sheet, thereby further improving safety of the infant on the infant sheet. When the airbag is in operation, the volume of the balloon may interfere with the breathing of the infant and may further jeopardize the safety of the infant on the infant seat.

따라서 이와 같은 부족한 경우를 보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시트 벨트에서는 리트랙터(retractor)에 대한 기술이고, 에어백에서는 유아 시트 감지에 대한 기술이다.Accordingly, various techniques for compensating for such deficiencies have been developed. Typically, a seat belt is a retractor technique, and an air bag is a technology for detecting a baby seat.

즉, 시트 벨트에 장착되는 리트랙터에 자동 록킹 리트랙터(ALR; Automatic Locking Retractor) 기능을 부가하고, 에어백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에어백 모듈에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감지할 수 있는 센싱 기능을 부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부족한 안전성을 보충할 수 있다.That is,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ALR) function is added to the retractor mounted on the seat belt, and a sensing function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nfant seat is mounted on the airbag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bag So that the insufficient safety can be supplemented as described above.

그러나 리트랙터에 이와 같은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부가하는 기술과 에어백 모듈에 유아 시트 감지 기능을 부가하는 기술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이를 통합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어서, 현재에는 각각의 기술을 개별적인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하고 있다.However, it is quite difficult to integrate such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into the retractor and the technology to add infant seat detection to the airbag module, so it is now difficult to integrate each technology into individual components .

따라서 이를 통합하여 구현할 수만 있다면, 각각의 기술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유아 시트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f it can be integrated,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required to implement each technology, as well as to protect infants on the infant seat more reliably and reliably.

이에 본 발명에 대한 발명자들은 이전에 본 발명에 대한 발명자들이 발명하여 특허 등록받은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602호에 대한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과 연관지어 어떻게 하면 에어백 모듈과 연관지어 유아 시트 감지 기능을 부가할 수 있을지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Accordingl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retractor for a seat belt for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52602, which was previously invent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gistered with the patent, and how it relates to an airbag module, To the exten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add to i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동 록킹 리트랙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여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tractor for a seat belt capabl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an infant seat is mounted by confirming whether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operates or no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 상기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수용하는 프레임; 중심부에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동축의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플라이 휠 기어;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입을 허용하되 인출을 방지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의 인입과 인출을 모두 허용하는 레버;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구동 기어와 연동하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스풀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웨빙의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레버를 조정하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통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레버가 조정될 때, 상기 레버에 인접하여 마련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레버가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ool comprising: a spool in which a webbing is wound; A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spool and receiving a webbing wound on the spool; A flywheel gear which is provided at its center with a driving gear coaxial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spool and which has one-directional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which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pool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pool;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the webbing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to allow the webbing to be pulled out but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and after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the predetermined first length, A lever that allows both the pulling-out and pulling-out of the webbing apart from the unidirectional teeth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length; An integrated plate having a driven gear interlocked with a driving gear of the flywheel gea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pool and the flywheel gear, the integrated plate having a first plate for adjusting the lever according to a drawn-out length of the webbing;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lever is adjusted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lever when the lever is adjusted by the first plate, And can be accomplished by a retractor for a seat belt that can be mounted or not.

여기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1 외주면과,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2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레버를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거나 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Here, the first plate may include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lever when the webbing is pulled back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lever when the webbing is retracted by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Wherei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as circumferential surfaces having different radii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lever while rotating so that the lever is engaged with the one- Or fall off.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는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경사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통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체형 단차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센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for preventing the webbing from being pulled ou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when the frame is inclin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The integrated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late to determine whether the inclination sensor is operated.

이때,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센서와 접하는 제3 외주면과 제4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3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3 길이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진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plate may have a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ation sensor, and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the webbing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frame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lows the webbing to be pulled out regardless of an angle at which the frame is inclined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third leng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lination sensor from being caught by the one-way tooth.

한편, 상기 레버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 및 상기 통합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린 이후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may include a body disposed adjacent to the flywheel gear and the integrated plat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 second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jection, the second projection being engaged with the one-way tooth when the webbing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a position fixing unit for preventing the second projection from falling off the one-way tooth due to an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bbing is pulled after the second projection is caught by the one-way tooth.

이때,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은 더 이상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2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은 다시 인출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the first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caught in the one-way tooth so that the webbing can not be drawn out any more When the webbing is retracted after being drawn out by the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the first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rojection Away from the unidirectional teeth, the webbing can again be drawn out.

한편,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되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게 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진 경우에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되,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고 확인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게 될 때까지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떨어져 있더라도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ebbing is taken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ne-way tooth, It is confirmed that the infant sheet is attached. However, even if the second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until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 있는지 또는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unit for sens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can be checked whether the first protrusion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or not.

이때, 상기 위치 센서부는, 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일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질 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가는 자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가게 되면,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홀 센서가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고,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 있는지 또는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진 경우에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hall sensor is mounted, a housing on which the circuit board is mounted, and a second protrusion provided opposite to the second protrusion, wherein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ne- And a magnet member inserted into the housing, wherein when the magne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magnets and the hall sensor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or apart from the circuit board by determining whether the strength of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changed or no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fant sheet is attached.

한편,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서 떨어지기 이전에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자석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다시 걸릴 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간 자석부재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ing unit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agnet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before the second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one-way tooth, and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ne-way tooth, And may further comprise an elastic member for restoring the magnet member.

아울러,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서 떨어질 때 상기 자석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향하는 상기 자석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유도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n induction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gnet member facing the second protrusion so as to help the magnet member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

또한, 상기 위치 센서부는, 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상기 제2 돌출부에 장착된 자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지게 되면,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홀 센서가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고,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 있는지 또는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진 경우에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홀 센서에 반응하는 극성을 가진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이 갖는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제2 부분을 구비하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홀 센서에 대향하게 상기 돌출부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sensor unit may include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Hall sensor is mounted, and a magnet member mounted on the second protrusion.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and then falls, the magnet member and the hole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ne-way tooth or the second protrusion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changed while the sensors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chang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hild seat is attached whe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hooked on the one-way tooth as described above. Here,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polarity of the first portio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may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as to prevent the second portion from being mounted on the protrusion opposite the hall sensor.

이때,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사출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gnet member can be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so tha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can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감지 유닛은,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제어유닛(ECU)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fant seat is mounted and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airbag.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의하면, 자동 록킹 리트랙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여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hild seat is attached or not by confirming whether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is operated or not.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로 인해, 유아 시트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벨트에서는 리트랙터에 대한 기술과 에어백에서는 유아 시트 감지에 대한 기술을 통합할 수 있어 각각의 기술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the seat belt retractor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infant seat is m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elt for protecting the infant on the infant seat is provided with a technique for retractor, The technology can be integrated to reduce the number of parts needed to implement each technology, as well as to protect children more reliably and reliably.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통합적인 기술 구현뿐만 아니라, 블록 아웃 기능 또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which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child seat is mou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integrated technology described above but also a block-out function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레버, 통합 플레이트, 감속 기어 등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감속 기어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감지 유닛을 확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 및 웨빙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이 작동하기 이전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이 작동한 이후를 도시한 모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의 변형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의 다른 변형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감지 유닛의 다른 변형례를 분리하여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레버 및 자석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레버의 제2 돌출부에 자석부재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홀센서가 부착된 회로기판 및 보호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a lever, an integration plate, a reduction gear, and the lik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integrated plat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4 is an enlarged bottom view of the integrated plat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reduction ge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nsing unit in an enlarged mann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ool and webbing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s.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detection unit before opera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S. 10 and 11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operation after the sensing unit operat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12 and 13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dification of the sensing uni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s. 14 and 15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nsing uni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 1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s. 14 and 15; Fig.
1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and the magnet member shown in Fig.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gnet member is coupled to a second projection of the lever shown in FIG. 16;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rotection member with the Hall sensor shown in FIG. 16, looking from the other direc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1 to 6, a configuration of a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레버, 통합 플레이트, 감속 기어 등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통합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감속 기어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감지 유닛을 확대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view of the integrated plat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tegrated plat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reduction gear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sensing uni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는, 스풀(100), 프레임(200), 플라이 휠 기어(300), 경사센서(400), 레버(500), 통합 플레이트(600), 감속 기어(700), 감지 유닛(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an embodiment of a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ool 100, a frame 200, a fly wheel gear 300, An inclination sensor 400, a lever 500, an integrated plate 600, a reduction gear 700, and a sensing unit 800. [

스풀(spool, 100)은 웨빙(110)이 감겨있는 원통형의 감게(winder)이다. 이때, 웨빙(110)은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에 의해 항상 후술할 프레임(200)에 인입되는 방향으로 스풀(100)에 감겨 있다.The spool 100 is a cylindrical winder on which the webbing 110 is wound. At this time, the webbing 110 is always wound on the spool 100 by the return spring assembly 120 in a direction to be drawn into the fram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프레임(frame, 200)은 내부에 웨빙(110)을 수용하는 것으로, 스풀(100)이 프레임(200)에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풀(100)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200)의 일측 외부면에는 전술한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스풀(100)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프레임(200)의 타측 외부면에는 후술할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200)의 일측 외부면과 타측 외부면 사이에는 웨빙(110)이 한 방향으로만 나올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frame 200 receives the webbing 110 therein so that the spool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200. The return spring assembly 120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rame 200 to which one end of the spool 100 is coupled and the other side of the frame 20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pool 100 is coupled A case 330 that surrounds the flywheel gear 3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Meanwhile, a guide gro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2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to guide the webbing 110 in only one direction.

플라이 휠 기어(fly wheel gear, 300)는 스풀(10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스풀(1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후술할 경사센서(400), 레버(500), 통합 플레이트(600) 등과 함께 스풀(100)의 회전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스풀(100)의 회전 여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웨빙(110)의 인출 또는 인입과 상관관계를 갖는다.The fly wheel gear 3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pool 100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spool 100 and includes a inclination sensor 400, a lever 500, an integration plate 60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pool 100 rotates. 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spool 100 rotates has a correlation with the pull-out or pull-in of the webbing 110 as described later.

이러한 플라이 휠 기어(300)는 중심부에 스풀(100)의 회전축과 동축의 구동 기어(310)를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톱니(320)가 형성된다.The flywheel gear 300 is provided with a driving gear 310 coaxial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spool 100 at its central portion, and unidirectional teeth 320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구동 기어(310)는 스풀(100)의 타단부 중앙에 돌출된 회전 중심축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 기어(3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합 플레이트(600)의 종동 기어(6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감속 기어(7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 기어(310)는 웨빙(110)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른 스풀(100)의 회전이 플라이 휠 기어(300)와 통합 플레이트(600)에도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driving gear 310 may be coupled with a rotation center shaf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spool 100. The drive gear 3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driven gear 610 of the integrated plate 600 or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reduction gear 700 as described later. The driving gear 310 serves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spool 100 to the flywheel gear 300 and the integrated plate 600 as the webbing 110 is drawn or drawn.

일방향 톱니(320)는 웨빙(110)이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후술할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가 걸리지 않으나, 웨빙(11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는 후술할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가 걸리도록 형성된다.The inclination sensor 400 or the lever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enga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bbing 110 is pulled in. Howev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the inclination sensor 400 The lever 500 is engaged.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라이 휠 기어(300)는 케이스(33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통합 플레이트(600)와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기 위한 목적을 포함한 다양한 목적으로 마련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ywheel gear 3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surrounded by the case 330. This is provid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the purpose of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with the integrated plate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더욱 구체적으로, 케이스(330)는 후술할 경사센서(4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경사센서(400)가 수용공간(3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덮개(334)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레버(500), 통합 플레이트(600), 감속 기어(700) 등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각종 돌기들(336a, 336b, 336c)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레버(500), 통합 플레이트(600), 감속 기어(700) 등이 케이스(3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이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덮개(338)도 구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se 330 may have a receiving space 332 for receiving the inclination sensor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a cover 334 covering the inclination sensor 400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332 may also be provided. Various protrusions 336a, 336b, and 336c may be provided to allow the lever 500, the integrated plate 600, the reduction gear 700, and the like to be rotatably connected. A lid 338 may also be provided to cover the lever 500, the integrated plate 600, the reduction gear 700, and the like so as not to be detached after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330.

경사센서(vehicle sensor, 400)는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서 웨빙(110)의 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경사센서(4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경사센서(400)는 일방향 톱니(320)를 향해 있는 누름부와,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누름부를 가압하는 구 형상의 무게 추로 구성될 수 있다.The vehicle sensor 400 is engaged with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to prevent the webbing 110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frame 200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The inclination sensor 400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function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inclination sensor 400 included in the embodiment of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ing portion directed toward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a pushing portion for pushing when the frame 200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And a weight of a spherical shape for pressing the part.

레버(lever, 500)는 특정 길이만큼 웨빙(110)이 인출되었을 때 웨빙(110)이 더 이상 인출될 수 없도록 하여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레버(500)는,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되었을 때에는,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서 웨빙(110)의 인입은 허용하되, 웨빙(110)의 인출은 방지한다. 그리고, 레버(500)는,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웨빙(110)이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7 참고)만큼 인출되었을 때에는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져서 웨빙(110)의 인입과 인출을 모두 허용한다.The lever 500 serves to prevent the webbing 110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reby realizing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That is, the lever 500, but the webbing 110 is drawn in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7 Note) drawn out, took the webbing 110, the one-way teeth 320. When it is as much as is allowed, and the webbing ( 110 from being drawn out. Then, the lever 500 include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7 Note) by the webbing 110 is drawn drawn out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of the one-way teeth When it is pulled out by (l 2, see Fig. 7) Both of the pulling-out and pulling-out of the webbing 110 are allowed.

또한, 레버(500)는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의 구현과 함께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lever 500 serves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infant seat is mounted together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즉, 레버(500)는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되면서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레버(50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렸다가 떨어진 경우에 유아 시트가 장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That is, the lever 500 includes a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while drawn out as (l 1, 7 Note) based on whether or not engaged with the one-way teeth 320, a lever 500, the one-way teeth (320 ), And then the child seat is attached.

이러한 레버(500)의 작동은 스풀(100) 및 플라이 휠 기어(300)와 함께 회전하는 후술할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1 플레이트(620)에 의해 조정된다.The operation of this lever 500 is adjusted by the first plate 620 of the integration plate 600 described later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spool 100 and the flywheel gear 300.

이와 같이 작동하는 레버(500)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lever 500 that operates in this manne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ut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mplarily configured in the following manner.

먼저, 레버(500)의 일 예는, 몸체(510), 제1 돌출부(520), 제2 돌출부(530) 및 위치 고정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an example of the lever 500 may include a body 510, a first protrusion 520, a second protrusion 530, and a position fixing portion 540.

몸체(510)는 플라이 휠 기어(300) 및 통합 플레이트(600)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 또는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5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520) 및 제2 돌출부(530)가 돌출될 수 있으며, 위치 고정부(540)가 마련될 수 있다.The body 5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lywheel gear 300 and the integrated plate 600 an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330 or the frame 200 surrounding the flywheel gear 300. The first protrusion 520 and the second protrusion 530 may protrude from the body 510 and a position fixing unit 540 may be provided.

제1 돌출부(520)는 몸체(5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플레이트(620)와 접하는 것으로, 제1 플레이트(620)에 의한 조정을 받아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protrusion 520 protrudes from the body 51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620. The first protrusion 520 is adjusted by the first plate 62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moved along the length of the webbing 110, To be engaged with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즉, 기설정된 길이만큼 인출된 웨빙(110)이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에 의해 인입되면, 웨빙(110)이 감겨 있는 스풀(100)이 회전하게 되고, 스풀(100)과 연동하는 통합 플레이트(60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합 플레이트(600)가 회전하면, 통합 플레이트(600)를 구성하는 제1 플레이트(620)도 회전하게 되어, 제1 돌출부(520)를 이동시킨다. 제1 돌출부(520)가 이동하게 되면, 몸체(510)는 회전하게 되고, 몸체(510)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530)가 이동하게 되어,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webbing 110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pulled by the return spring assembly 120, the spool 100 wound with the webbing 110 is rotated, and the integrated plate 600). When the integrated plate 600 rotates in this manner, the first plate 620 constituting the integrated plate 600 also rotates to move the first protrusions 520. When the first protrusion 520 moves, the body 510 rotates and the second protrusion 530 protruding from the body 510 moves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53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

제2 돌출부(530)는 제1 돌출부(520)로부터 이격되어 몸체(510)로부터 돌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하여,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 일방향 톱니(320)에 걸린다.The second projection 530 includes a first protrudes from the projec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520 body 510 moves as described above, the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see Fig. 7) as And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when it is drawn out.

더욱 구체적으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제1 돌출부(520)는 제1 플레이트(620)의 제1 외주면(622)과 접하며 제2 돌출부(630)는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서, 웨빙(110)은 더 이상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제1 돌출부(520)는 제1 플레이트(620)의 제2 외주면(624)과 접하며 제2 돌출부(530)는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져서, 웨빙(110)은 다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webbing 110 when the take-off as much a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see Fig. 7), the first projection 520 is tangent to the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622 of first plate 620 The second protrusion 6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so that the webbing 110 can no longer be drawn out. Moreover, the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Fig. 7 reference by a predetermined been re-drawn after the take-off second length (l 2, see Fig. 7 in the case as long as the take-off, the first projection (52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peripheral surface 624 of the first plate 620 and the second projection 530 is separat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so that the webbing 110 can be pulled out again.

위치 고정부(540)는 이러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린 이후 웨빙(110)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osition fixing portion 54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separated from the one-way tooth 320 due to an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after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향 톱니(320)가 웨빙(110)이 인입되는 방향으로는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가 걸리지 않도록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톱니의 특성상 어느 정도 높이의 나사산을 가지므로, 웨빙(110)이 인입될 때 경사센서(400) 또는 레버(500)와의 접촉으로 충격력 또는 마찰력과 같은 외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 있는 제2 돌출부(530)가 이탈시킬 수도 있는데, 위치 고정부(540)는 제2 돌출부(530)의 이탈을 방지한다.That is, even if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are formed so as not to catch the inclination sensor 400 or the lever 5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ebbing 110 is draw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eeth have a certain height , An external force such as an impact force or a frictional force may be generated due to contact with the inclination sensor 400 or the lever 500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This external force may cause the second projection 530 engaged with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to disengage, and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prevents the second projection 530 from coming off.

이러한 위치 고정부(540)를 구성하는 방법도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하면 어떠한 구성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위치 고정부(540)를 탄성 유닛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걸쇠로 형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plays the role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will be described as an elastic unit and as a latch.

먼저, 위치 고정부(540)는 일측이 프레임(2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돌출부(520) 또는 제2 돌출부(530)에 연결되는 탄성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치 고정부(540)는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웨빙(110)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is fixed to the case 330 which surrounds the frame 200 or the flywheel gear 3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520 or the second protrusion 530, Unit. That is,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appli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projection 530 faces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so that the second projection 530 due to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is moved in one direction And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teeth 320.

이와 같이, 위치 고정부(540)가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 레버(500)는 위치 고정부(540)로 인해 제1 돌출부(520)가 제1 플레이트(6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510)로부터 돌출된 제3 돌출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40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the lever 500 prevents the first protrusion 5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plate 620 due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40,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protrusion 550 protruding from the body 510.

또한, 위치 고정부(540)는 프레임(2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 마련된 돌기(350)에 걸리는 걸쇠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린 이후에, 위치 고정부(540)가 돌기(350)에 걸림으로써, 웨빙(110)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sition fixing unit 540 may be formed as a latch that engages with the protrusion 350 provided in the case 330 that encloses the frame 200 or the flywheel gear 300. That is, after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the position fixing portion 540 is caught by the protrusion 350,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540 due to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53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한편, 위치 고정부(540)를 걸쇠로 형성하는 경우와 탄성 유닛으로 형성하는 경우와 무관하게, 프레임(2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는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를 향해 이동하거나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안내부(5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560)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 레버(500)의 이동 범위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562)도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530 is formed in the case 330 surrounding the frame 200 or the flywheel gear 300 regardless of whether the position fixing unit 540 is formed by a latch or an elastic unit A guide portion 560 may be provided which moves toward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or moves away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A latching jaw 562 for preventing the lever 500 from moving beyond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lever 500 may also be formed as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guide portion 560. [

통합 플레이트(600)는 스풀(100) 및 플라이 휠 기어(300)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레버(500) 및 경사센서(400)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통합 플레이트(600)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가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이다.The integrated plate 600 rotates together with the spool 100 and the flywheel gear 300 and functions to adjust the lever 500 and the inclination sensor 400 according to the drawing length of the webbing 110. That is, the integrated plate 600 is a component that allows one embodiment of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and the block-out function together.

특히, 통합 플레이트(600)는 별도의 부품이 조립된 조립품이 아니라 후술할 각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일체품이므로,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과 블록 아웃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데 있어서 조립품이 갖는 마찰, 소음 등과 같은 단점이 없다.Particularly, since the integrated plate 600 is not an assembly in which separate components are assembled but is an integrated product including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realize both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and the block-out function, There is no such disadvantage.

이러한 통합 플레이트(600)는 종동 기어(610)와, 제1 플레이트(620) 및 제2 플레이트(630)를 포함할 수 있다.This integrated plate 600 may include a driven gear 610 and a first plate 620 and a second plate 630.

종동 기어(610)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구동 기어(310)와 연동하는 기어이다. 즉, 종동 기어(610)는 통합 플레이트(600)가 스풀(100)과 결합된 플라이 휠 기어(3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driven gear 610 is a gea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gear 310 of the flywheel gear 300. That is, the driven gear 610 serves to allow the integrated plate 60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flywheel gear 300 coupled with the spool 100.

이러한 역할을 하는 종동 기어(610)는 구동 기어(310)와 연동할 수 있는 기어이면 될 뿐, 그 형상이나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어(61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후술할 제1 외주면(622) 내지 제4 외주면(634)의 반대측에 마련된 내측 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The driven gear 610 having such a role is only a gear capable of interlocking with the driving gear 310, and its shape and structure are not limited. 3 and 4, the driven gear 61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2 to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integration plate 600 And may be formed of an internal gear provided.

이때, 구동 기어(310)와 종동 기어(610) 사이에는 감속 기어(700)가 마련될 수 있다. 감속 기어(700)는 구동 기어(310)에 대한 종동 기어(610)의 회전비를 감소시킴으로써, 플라이 휠 기어(300)의 회전속도보다 통합 플레이트(6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a reduction gear 7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gear 310 and the driven gear 610. The reduction gear 700 serves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integrated plate 600 by reducing the rotation rate of the driven gear 610 with respect to the drive gear 310 so as to be lower than the rotation speed of the flywheel gear 300.

이러한 역할을 하는 감속 기어(700)는 일측이 구동 기어(310)와 연동하고 타측이 종동 기어(610)와 연동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구동 기어(310)에 대한 종동 기어(610)의 회전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구동 기어(310)와 연동되는 일측의 기어수가 종동 기어(610)와 연동되는 타측의 기어수보다 크다.The reduction gear 700 is disposed such that one side of the reduction gear 700 interlocks with the driving gear 310 and the other side of the reduction gear 700 interlocks with the driven gear 610. At this time, in order to reduce the rotation ratio of the driven gear 610 with respect to the driving gear 310, the number of gears on one side linked to the driving gear 310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gears on the other side linked to the driven gear 610.

제1 플레이트(620)는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레버(500)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을 구비한다.The first plate 620 has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2 and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4 to adjust the lever 500 according to the pull-out length of the webbing 110.

제1 외주면(622)은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레버(500)와 접하는 외주면이고, 제2 외주면(624)은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레버(500)와 접하는 외주면이다.A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622 is the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Fig. 7 reference)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lever 500. When the re-drawn after being drawn out by the second outer peripheral surface 624 a webbing (110) i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set length of the second lever 500 when the re-drawn after the (l 2, see Fig. 7) drawn by.

이때,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레버(500)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레버(500)를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거나 떨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2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4 are formed with circumferential surfaces having different radii so that the lever 500 is rotated while the lever 500 is rotated to the one- You can adjust it to hang or fall.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외주면(624)의 반경은 제1 외주면(622)의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레버(500)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되어 다시 인입될 때에는,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가 제1 외주면(622)에 접하고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 있다. 그러나, 계속하여 인입되던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7 참고)만큼 인출되어 있을 때에는, 반경이 더 큰 제2 외주면(624)에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를 밀어내면서 접하게 되어, 레버(500)의 몸체(5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레버(500)의 몸체(510) 회전은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를 이동시켜,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radius of the second outer peripheral surface 624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622, so that the lever 500 can be adjusted. That is, the webbing 110, this group is pulled out is set by a first length (l 1, see Fig. 7), when again be drawn, the first projection 520 of the lever 500 in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622, the lever (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30 of the one-way tooth 320 is engaged. However, continues to the first projection of the release of the webbing 110, is set the period incoming second length (l 2, 7 Note) as the lever (500) to when it is pulled out, a second outer peripheral surface 624, the radius is larger ( 520, and the body 510 of the lever 500 is rotated. The rotation of the body 510 of the lever 500 moves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lever 500 so that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lever 500 is separat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제2 플레이트(630)는 웨빙(110)의 인출 길이에 따라 경사센서(4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플레이트(620)에 일체형 단차로 형성된다. 즉, 제2 플레이트(630)는 제1 플레이트(620)와 계단형의 형상을 갖는 하나의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630)는 그 넓이가 제1 플레이트(620)의 넓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630 func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inclination sensor 40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pull-out length of the webbing 110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late 620. That is, the second plate 630 may be formed of a single molded article having a stepped shape with the first plate 620. In addition, the second plate 630 may be formed to have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plate 620.

이러한 제2 플레이트(630)는 경사센서(400)와 접하는 제3 외주면(632)과 제4 외주면(634)을 구비한다.The second plate 630 has a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2 and a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4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clination sensor 400.

제3 외주면(632)은, 경사센서(400)가 작동하여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웨빙(110)의 인출이 방지될 때, 경사센서(400)가 제2 플레이트(630)와 접하는 외주면이다. 또한, 제4 외주면(634)은,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와 무관하게 웨빙(110)의 인출이 허용될 때, 즉 경사센서(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경사센서(400)와 접하는 외주면이다.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when the webbing 110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inclination sensor 400 is operated and the frame 200 is inclin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630, respectively.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4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regardless of the angle at which the frame 200 is tilted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third length l 3 That is, when the tilt sensor 400 is not operated, the tilt sensor 40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때, 제4 외주면(634)은 제3 외주면(632)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7 참고)만큼 인출된 경우에, 경사센서(400)를 플라이 휠 기어(30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경사센서(40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2, and when the webbing 110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third length l 3 (see FIG. 7), the inclination sensor 4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clination sensor 400 from being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by pushing it out of the flywheel gear 300.

더욱 구체적으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7 참고)보다 더 많이 인출되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7 참고)에 도달하기 전까지 인입될 때, 경사센서(400)는, 제3 외주면(632)과 접하고 있으며, 프레임(200)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일방향 톱니(320)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 도 7 참고)만큼 인출되어 인입될 때, 경사센서(400)는 제4 외주면(634)과 접하게 되고, 돌출된 제4 외주면(634)은 경사센서(400)를 플라이 휠 기어(300)의 외측으로 밀어내어, 경사센서(400)가 더 이상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와 무관하게 웨빙(110)의 인입 및 인출을 자유롭게 허용한다.More specifically, the webbing when 110 is more withdrawn than the third length set is a group (l 3, see Fig. 7) group to be drawn until it reaches the third length (l 3, see Fig. 7) is set, the inclination sensor The third contact surface 400 contacts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2 and can be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when the frame 200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However, the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third length of time the inlet is withdrawn as (l 3, Fig. 7 reference), the inclination sensor 400 is the fourth, and flush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634), overhanging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face (634 Pushes the tilt sensor 400 outwardly of the flywheel gear 300 so that the tilt sensor 400 is no longer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110) is allowed to freely enter and withdraw.

한편, 통합 플레이트(600)는, 종동 기어(610)와, 제1 플레이트(620) 및 제2 플레이트(630) 이외에도, 기준자(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grated plate 600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gear 640 in addition to the driven gear 610 and the first and second plates 620 and 630.

기준자(640)는 플라이 휠 기어(300) 또는 플라이 휠 기어(300)를 감싸는 케이스(330)에 마련된 기준점(340)에 대응하는 것으로, 웨빙(11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를 웨빙(110)의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로 설정할 때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이 연결되는 일측(650)에 레버(5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reference member 640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point 340 provided in the case 330 surrounding the flywheel gear 300 or the flywheel gear 300. When the webbing 110 is completely drawn out of the frame 200 a first length of a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622 and the second outer peripheral surface 624, the lever 500 on one side 650, which is connected to set (l 1, 7 Note) the preset of the webbing 110, the length of the It can be used as a place to be located.

이러한 기준자(64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일면에 화살표와 같은 도형으로 표시할 수 있거나, 제2 플레이트(63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The reference plate 64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n arrow on one surface of the integrating plate 600 or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late 630.

감지 유닛(800)은 제1 플레이트(620)에 의해 레버(500)가 조정될 때 레버(500)에 인접하게 마련된 센서부를 통해 레버(500)가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ensing unit 800 detects whether the lever 500 is adjusted through the sensor portion provided adjacent to the lever 500 when the lever 500 is adjusted by the first plate 620, . ≪ / RTI >

이러한 감지 유닛(800)은 레버(500)와 연동하여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나아가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면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면 어떠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다양한 구조 및 형상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The sensing unit 8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ny structure and shape as long as the infant seat is mounted on the lever 500 in cooperation with the lever 500 so that the infant seat can not be operated if the infant seat is mounted. And shap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레버(500)의 일 예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owever, for the sake of more detailed explanation, an example of the lever 50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for example.

즉, 감지 유닛(800)은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되면서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렸다가 떨어지게 된 것으로 센서부가 감지한 경우에는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한다.That is, whether engaged with the detecting unit 800 includes a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of the second one-way teeth 320, the projections 530 of the lever 500. As the take-off as (l 1, see Fig. 7)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and the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rusion 530. When the sensor unit senses that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in contact with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다만,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고 확인된 이후에는 다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될 때까지는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되지 않더라도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even if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not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until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after the infant sheet is affix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확인하지 않으면, 유아 시트가 장착된 이후에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 도 7 참고)만큼 인출되었을 때에 유아 시트가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If not confirmed in this way, so when the webbing (110) after the infant seat is equipped with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is drawn out by (l 2, see Fig. 7) can be a case of mistaken as not equipped with the infant seat occurs Because.

그러나 다시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되면, 즉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 도 7 참고)만큼 인출되고 나면, 유아 시트를 다시 장착하게 되는 경우라 할 것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However, when engaged with the back second projection 530, the one-way teeth 320, that is, the webbing 110, which is mounted once the group is drawn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see Fig. 7), the infant seat back And therefore, there is no possibility of misidentification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오인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로 보조 유닛(미도시)을 두어 이를 재차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 유닛(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도 있음은 당연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a mistake, there is a method in which an auxiliary unit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it can be confirmed again,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o be able to notify the user through a display unit (not shown).

한편, 센서부 역시 그 종류에 대한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센싱하기 위해서는 후술할 홀 센서(840, 840')와 같이 제2 돌출부(530)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센서부인 것이 유리하다.In order to easily detect whether or not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the sensor part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sensor,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osition sensor portion is capable of sensing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two protrusions 530.

더욱 구체적으로 감지 유닛(800)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감지 유닛(800)의 일례와 다양한 변형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More specifically, to describe the sensing unit 800, an example of the sensing unit 800 and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5 as follows.

여기서,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이 작동하기 이전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이 작동한 이후를 도시한 모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의 변형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 유닛의 다른 변형례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Here, FIGS. 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nsing unit is operat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FIGS. 10 and 11 show a state in which the sensing unit operat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FIGS. 12 and 13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modification of the sensing uni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FIGS. 14 and 15 are diagrams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nsing uni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유닛(800)은 홀 센서(840)가 부착되어 있는 회로기판(830)과, 회로기판(830)이 일면에 장착된 하우징(810)과,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렸다가 떨어질 때 하우징(810) 내부에 들어가는 자석부재(8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8 to 11, the sensing unit 800 includes a circuit board 830 to which a Hall sensor 840 is attached, a housing 810 mount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830, And a magnet member 820 which is provided opposite to the second protrusion 530 of the first protrusion 530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810 when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and then falls off .

이와 같이 감지 유닛(800)이 구성되는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 있는 상태라면 제2 돌출부(530)가 자석부재(820)를 하우징(810) 내부로 밀어내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자석부재(820)와 홀 센서(840)가 인접하고 있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홀 센서(8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변경이 없다. 따라서 회로기판(830)에도 홀 센서(8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의 변경 사실에 대한 인지가 없기에 아직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8 and 9, when the second protrusion 530 of the lever 500 is engaged with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the second protrusion 530 (see FIG. 8) The magnet member 820 and the hall sensor 840 are not adjacent to each other because the magnet member 820 does not push the magnet member 820 into the housing 810. As a result, The strength is unchanged.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child seat is not yet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830 because there is no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840 is changed.

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있다가 떨어지게 된 상태라면 제2 돌출부(530)가 자석부재(820)를 하우징(810) 내부로 밀어내기 때문에, 자석부재(820)와 홀 센서(840)가 인접하게 되고, 이로 인해 홀 센서(840)에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변경된다. 따라서 회로기판(830)에도 홀 센서(84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의 변경 사실에 대한 인지가 있어서 유아 시트가 장착된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10 and 11, when the second protrusion 530 of the lever 50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and then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rusion 530,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inserted into the magnet member 820, The magnet member 820 and the hall sensor 840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840 is changed. Therefore, the circuit board 830 also recognizes that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840 has changed, confirming that the baby seat is attached.

이와 같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되는 감지 유닛(800)의 일례에는 탄성부재(8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8 to 11, the elastic member 850 may be further included in an example of the sensing unit 800 that operates as described above.

이때, 탄성부재(850)는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떨어지기 이전에는 하우징(810)에 대한 자석부재(820)의 위치를 조정하고,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로 떨어진 이후에는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다시 걸릴 때 하우징(810) 내부에 들어간 자석부재(820)를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elastic member 85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magnet member 82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810 before the second protrusion 530 falls to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and the second protrusion 530 moves in one directio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530 restores the magnet member 820 that has entered the housing 810 when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53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again.

이러한 탄성부재(8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이외에 다른 부재로 설계변경되어도 무방하다.Such an elastic member 850 may be designed to have other members other than the coil spring as shown in the drawing if it can perform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되는 감지 유닛(800)의 변형례는 감지 유닛(800)의 작동에 도움을 주기 위한 유도돌기(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protrusion 860 for assisting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800. The sensing unit 800 may include a sensing unit 800,

이때, 유도돌기(860)는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떨어질 때 자석부재(820)가 하우징(8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제2 돌출부(530)에 대항하는 자석부재(8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구성요소이다.The guide protrusion 860 is provided to assist the magnet member 820 into the housing 810 when the second protrusion 530 of the lever 500 falls to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Is a component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agnet member 820 against the magnet member 530.

즉,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와 자석부재(820)의 구조상 제2 돌출부(530)가 자석부재(820)를 하우징(810) 내부로 밀어내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돌기(860)를 자석부재(820)에 마련함으로써, 제2 돌출부(530)가 자석부재(820)를 하우징(810) 내부로 밀어내기 쉽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it is difficult to push the magnet member 820 into the housing 810 by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lever 500 and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magnet member 820, The second protrusion 530 can facilitate pushing the magnet member 820 into the housing 810 by providing the guide protrusion 860 in the magnet member 820 as shown in Fig.

이러한 유도돌기(860)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설계변경되어도 무방하다.The induction protrusion 860 may be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shape without being shaped as shown in the drawings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게 되는 감지 유닛(800)의 다른 변형례는, 하우징(810) 및 탄성부재(850)를 생략하기 위해 설계변경한 것으로, 홀 센서(840')가 부착된 회로기판(830')이 케이스 덮개(338)에 인접하여 마련되고, 홀 센서(840')와 연동하는 자석부재(820')가 제2 돌출부(530)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nsing unit 800 that operates as shown in FIGS. 14 and 15 is a design modification to omit the housing 810 and the elastic member 850, and the hole sensor 840 '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circuit board 830'attached to the case cover 338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ase cover 338 and a magnet member 820'interacting with the hall sensor 840'is mounted to the second protrusion 530 have.

이러한 감지 유닛(800)의 다른 변형례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further explain another modification of this sensing unit 800,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9. Fig.

이때,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감지 유닛의 다른 변형례를 분리하여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레버 및 자석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레버의 제2 돌출부에 자석부재가 결합된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홀센서가 부착된 회로기판 및 보호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nother modification of the sensing unit shown in FIGS. 14 and 15, FIG. 1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r and the magnet member shown in FIG. 16,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gnet member is coupled to the second projection of the lever shown in FIG. 16, FIG. 19 is a view showing the circuit board and the protection member with the Hall sensor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부재(820')는 제2 돌출부(530)에 장착되는데, 단순한 접착으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극성을 고려하여 제작자의 오장착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6 to 19, the magnet member 820 'is mounted on the second protrusion 530 and is not mounted with a simple adhesive, but in order to prevent erroneous mounting by the manufacturer in consideration of polarity, Can be mounted together.

즉, 자석부재(820’)는 홀 센서(840’)에 반응하는 극성(S극)을 가진 제1 부분(820’a)과 제1 부분(820’a)이 갖는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N극)을 갖는 제2 부분(820’b)을 구비하는데, 제2 부분(820’b)이 홀 센서(840’)에 대향하는 오장착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 부분(820’a)과 제2 부분(820’b)을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제1 부분(820’a)과 제2 부분(820’b)을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자석부재(820’)가 제2 돌출부(530)에 오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magnet member 820 'has a polarity opposite to the polarity of the first portion 820'a and the first portion 820'a having the polarity (S pole) responsive to the hall sensor 840' The first portion 820'a has a second portion 820'b having a first portion 820'a and a second portion 820'b having a second portion 820'b having N poles, And the second portion 820'b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hapes. That is, by forming the first portion 820'a and the second portion 820'b asymmetrical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gnet member 820 'from being erroneously mounted on the second projection portion 530.

이와 같이 제1 부분(820’a)과 제2 부분(820’b)을 비대칭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페러라이트(ferrite) 가공 방식, 즉 절단을 통한 가공 방식으로는 불가능하므로, 복합재료(ferrite와 PA6 혼합)에 대해 사출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In order to form the first portion 820'a and the second portion 820'b asymmetrically, it is not possible to form the ferrit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errite processing method, And PA6), it is advantageous to use an injection method.

한편, 홀 센서(840')가 부착된 회로기판(830')은 내구성이 약하므로, 케이스 덮개(338)에 인접하여 마련될 때 회로기판 보호구(870)에 끼워지는 것이 유리하며, 이때 회로기판 보호구(870)의 형상은 권리범위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ircuit board 830 'with the Hall sensor 840' is weak in durability, it is advantageous to fit the circuit board protector 870 when it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ase cover 338,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hape of the protector 870 has no effect on the scope of the rights.

이와 같이 감지 유닛(800)이 구성되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 있는 상태라면 제2 돌출부(530)에 마련된 자석부재(820')가 홀 센서(840')와 인접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홀 센서(840')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따라서 회로기판(830')에도 수신되는 전류가 없기에 아직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14, when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lever 500 is engaged with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second projection 530 is engaged with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second projection 530. In this case, The current does not flow through the hall sensor 840 'since the magnet member 820' is not adjacent to the hall sensor 840 ', and therefore the current is not received by the circuit board 830'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렸다가 떨어지게 된 상태라면 제2 돌출부(530)에 마련된 자석부재(820')가 홀 센서(840')와 인접하게 되기 때문에 홀 센서(840')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며, 따라서 회로기판(830')에도 수신되는 전류가 있어서 유아 시트가 장착된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15, when the second protrusion 530 of the lever 50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and then is dropped, the magnet member 820 'provided on the second protrusion 530 is inserted into the hole The sensor 840 'is adjacent to the sensor 840', so that a current flows through the Hall sensor 840 ', thus confirming that the child seat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83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감지 유닛(800)의 일례 및 다양한 변형례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제어유닛(ECU; 900)과 연결된다.One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sensing unit 800 a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90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nfant seat is mounted and operating the airbag.

이때, 전자제어유닛(900)과 연결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 유닛(800)이 마련된다면 회로기판(830, 830')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회로기판(830, 830’)와 연동하는 회로기판 연계부(880)일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900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s 830 and 830 'if the sensing unit 80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circuit board connecting portion 880 may be a circuit board connecting portion.

또한, 전자제어유닛(900)은 에어백 모듈 내에 마련될 수도 있지만, 차량 내에 다른 안전장치들과 함께 연동시키는 통합 모듈 내에 마련되고 캔(CAN) 통신으로 에어백 모듈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자제어유닛(900)에 대한 설계변경으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900 may be provided in an airbag module, but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ted module that cooperates with other safety devices in the vehicle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irbag module via CAN communic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design changes to such electronic control unit 900.

다음으로, 도 7 및 앞서 참조한 도 8 내지 도 13을 재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과정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ext, referring back to FIG. 7 and FIG. 8 to FIG. 13 referred to above, the operation and effect of one embodiment of a retractor for a seat belt in which the infan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rm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여기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풀 및 웨빙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Here, FIG.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ool and the webbing in order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가 웨빙(110)이 인출된 길이에 따라 어떠한 기능을 구현하는지 설명한다.First, referring to FIG. 7,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embodiment of a retractor for a seat belt that can confirm whether or not a child seat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ebbing 110 taken out.

웨빙(110)은 리턴 스프링 조립체(120)에 의하여 항상 인입되도록 스풀(100)에 감기게 되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웨빙(110)을 다음과 같은 기설정된 길이로 인출하게 된다.The webbing 110 is wound around the spool 100 to be always pulled by the return spring assembly 120. However,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to a predetermined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need.

그러나,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1 플레이트(620)의 제1 외주면(622)에 접하게 되고,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웨빙(110)은 더 이상 인출되지 않으며 인입만 된다.However,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 the first protrusion 520 of the lever 500 is engaged with the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late 620 of the integrated plate 600 And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530 of the lever 50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of the flywheel gear 300. Thus, the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when drawn out by the webbing, the 110 is just no longer take-occupancy.

이러한 웨빙(110)의 인출 방지와 인입 허용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의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시키는 것을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구현하는 시점이 될 수 있다.The take-off protection with the incoming allow the webbing 110 by a first length (l 1) that implement one embodiment of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for, a predetermined webbing 110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time to implement a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즉, 시점을 레버(500)가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이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620)의 일측(650)에 있을 때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웨빙(110)은 기설정된 제1 길이(l1)만큼 인출되어 있다.The webbing 110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lever 500 is positioned at one side 650 of the first plate 620 to which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2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4 are connected, And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

한편, 시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조정할 수 있으나, 시점 설정의 편이성을 위하여 웨빙(11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로 할 수 있다. 즉,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1 길이(l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11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길이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iewpoint can be adjusted as desired by the user, but can be made when the webbing 110 is fully drawn out from the frame 200 for convenience of setting the viewpoint. That is, the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of the webbing 110 may be the length when the webbing 110 is completely drawn out of the frame 200, as shown in Fig.

이후, 웨빙(110)이 계속 인입되다가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레버(500)의 제1 돌출부(520)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1 플레이트(620)의 제2 외주면(624)에 접하게 되고, 레버(500)의 제2 돌출부(530)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웨빙(110)은 인출과 인입이 자유롭게 된다.When the webbing 110 is continuously pulled and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l 2 , the first projection 520 of the lever 500 is pulled out of the first plate 620 of the integrated plate 600 And the second projection 530 of the lever 500 is releas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of the flywheel gear 300. Accordingly,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by the predetermined second length l 2 , the webbing 110 is free to be pulled out and pulled in.

이러한 웨빙(110)의 자유로운 인출과 인입의 허용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의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해제하는 것으로,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시키는 것을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구현하는 종점이 될 수 있다.A second length such webbing permit the free take-off and pulling of 110 is predetermined to be, the webbing 110 to disable one embodiment of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of the seat belt retr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 2) Can be an end point implementing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즉, 종점을 레버(500)가 제1 외주면(622)과 제2 외주면(624)이 연결되는 제1 플레이트(620)의 타측(660)에 있을 때로 할 수 있으며, 이때, 웨빙(110)은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되어 있다.That is, the end point may be defined as being on the other side 660 of the first plate 620 to which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2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4 are connected, And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l 2 .

한편, 이와 같이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2 길이(l2)만큼 인출시키는 것을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구현하는 종점으로 하는 동시에 유아 시트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지점으로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by the predetermined second length l 2 , the end point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is determined, and a point serving as a switch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infant seat is mounted .

즉,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1 길이(l1)와 기설정된 제2 길이(l2)에 있다면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간에 있다고 할 것이고 이는 유아 시트를 장착할 의도가 있는 것이라 할 것이지만,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 이하가 되면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간에 있지 않다고 할 것이고 이는 유아 시트를 장착할 의도가 없는 것이라 할 것이다.That is, if the webbing 110 is in the predetermined first length l 1 and the predetermined second length l 2 , the webbing 110 is in the section for implementing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However, if the webbing 110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length 12 , it will not be in the section for implementing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which is not intended to mount the infant seat.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2 길이(l2) 이상으로 인출되었는지를 기준으로 하여, 즉 레버(50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있다가 떨어지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유아 시트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us, the webbing 110 on the basis of whether the predetermined second length (l 2) at least take-off, that is, based on whether or not the lever 500 falls is hanging on the one-way teeth 320 infant seat is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it is mounted.

이때, 레버(500)가 일방향 톱니(320)에 걸려있다가 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감지 유닛(80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이라 할 것이며, 이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도 15를 통해 이미 살펴본 바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sensing unit 800 is inclu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lever 500 is hooked on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or not, As already discussed above,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 록킹 리트랙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여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이를 토대로 하여 유아 시트가 장착된 경우에는 에어백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하여 유아를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child seat is mounted by confirm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infant more stably by not operating the airbag when the infant seat is mounted on the base.

한편, 웨빙(110)의 기설정된 제1 길이(l1)와 제2 길이(l2)와 상관없이,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2 플레이트(620)의 제4 외주면(634)에 접하게 되고,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와 무관하게 경사센서(400)는 작용하지 못하여 웨빙(110)은 인출과 인입이 자유롭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third length l 3 regardless of the first and second predetermined lengths l 1 and l 2 of the webbing 110,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ensor 4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4 of the second plate 620 of the integrated plate 600 and the pressing portion of the inclination sensor 4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nidirectional tooth 320 of the flywheel gear 300, . Thus, the webbing 110 is a predetermined third length (l 3) as it is drawn out the incoming frame 200 is independent of the angular tilt sensor 400 is tilted is failure to effect the webbing 110 is drawn out and the incoming Becomes free.

이와 반대로, 만약 웨빙(110)이 기설정된 제3 길이(l3)보다 더 많이 인출된 경우에는, 경사센서(400)의 누름부는 통합 플레이트(600)의 제2 플레이트(620)의 제3 외주면(632)에 접하게 되고, 프레임(200)이 기울어지는 각도에 따라 경사센서(400)의 누름부가 플라이 휠 기어(300)의 일방향 톱니(320)에 걸리는지 여부가 결정된다.On the contrary, if the webbing 110 is pulled out more than the third predetermined length l 3 , the pushing portion of the inclination sensor 400 is pressed against the thir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plate 620 of the integrated plate 60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ushing portion of the inclination sensor 400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320 of the flywheel gear 300 according to the angle at which the frame 200 is tilted.

이러한 웨빙(110)의 인출 방지와 인입 허용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의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웨빙(110)을 기설정된 제3 길이(l3)만큼 인출시키는 것을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The take-off protection with the incoming allow the webbing 110 is to implement an embodiment of the block-out function for a seatbelt retra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take-off by a third length (l 3) preset the webbing 110 It can be a reference point for implementing the block-out function.

이때, 블록 아웃 기능을 구현하는 기준점은 전술한 자동 록킹 리트랙터 기능의 시점 및 종점과 무관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웨빙(110)의 기설정된 제3 길이(l3)는 기설정된 제2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point for implementing the block-out function is independent of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unction. 6, the predetermined third length l 3 of the webbing 110 may be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second length l 2 .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의 일 실시예는 자동 록킹 리트랙터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여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블록 아웃 기능 또한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retractor for a sea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child seat is mounted or not by confirm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locking retractor, It can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out being implemented as a part of the devic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스풀
110 : 웨빙 120 : 리턴 스프링 조립체
200 : 프레임
300 : 플라이 휠 기어 310 : 구동 기어
320 : 일방향 톱니 330 : 케이스
332 : 경사센서 수용공간 334 : 수용공간 덮개
336a, 336b, 336c : 돌기 338 : 케이스 덮개
340 : 기준점 350 : 돌기
400 : 경사센서
500 : 레버 510 : 몸체
520 : 제1 돌출부 530 : 제2 돌출부
532 : 경사센서 연계부 534 : 자석부재 수용부
540 : 위치 고정부 550 : 제3 돌출부
600 : 통합 플레이트 610 : 종동 기어
620 : 제1 플레이트
622 : 제1 외주면 624 : 제2 외주면
630 : 제2 플레이트
632 : 제3 외주면 634 : 제4 외주면
700 : 감속 기어
800 : 감지 유닛
810 : 하우징 820, 820' : 자석부재
820'a : 자석부재의 제1 부분 820'b : 자석부재의 제2 부분
830, 830' : 회로기판 840, 840' : 홀 센서
850 : 탄성부재 860 : 유도돌기
870 : 회로기판 보호구 880 : 회로기판 연계부
900 : 전자제어유닛
l1 : 웨빙의 기설정된 제1 길이
l2 : 웨빙의 기설정된 제2 길이
l3 : 웨빙의 기설정된 제3 길이
100: spool
110: webbing 120: return spring assembly
200: frame
300: flywheel gear 310: drive gear
320: one-way tooth 330: case
332: inclination sensor accommodation space 334: accommodation space cover
336a, 336b, 336c: projection 338: case cover
340: reference point 350: projection
400: inclination sensor
500: lever 510: body
520: first protrusion 530: second protrusion
532: inclination sensor connecting portion 534: magnet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540: Position fixture 550: Third protrusion
600: integrated plate 610: driven gear
620: first plate
622: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24: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0: second plate
632: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34: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700: Reduction gear
800: Detection unit
810: Housing 820, 820 ': Magnet member
820'a: first portion of the magnet member 820'b: second portion of the magnet member
830, 830 ': Circuit board 840, 840': Hall sensor
850: elastic member 860: guiding projection
870: Circuit board protector 880: Circuit board connector
900: Electronic control unit
l 1 : predetermined first length of webbing
l 2 : predetermined second length of the webbing
l 3 : predetermined third length of webbing

Claims (15)

웨빙이 감겨있는 스풀;
상기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풀에 감겨있는 웨빙을 수용하는 프레임;
중심부에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동축의 구동 기어를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스풀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풀과 함께 회전하는 플라이 휠 기어;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입을 허용하되 인출을 방지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의 인입과 인출을 모두 허용하는 레버;
상기 플라이 휠 기어의 구동 기어와 연동하는 종동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스풀 및 상기 플라이 휠 기어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상기 웨빙의 인출 길이에 따라 상기 레버를 조정하는 제1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통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레버가 조정될 때, 상기 레버에 인접하여 마련된 센서부를 통해 상기 레버가 조정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 유닛;을 포함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A spool in which webbing is wound;
A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spool and receiving a webbing wound on the spool;
A flywheel gear which is provided at its center with a driving gear coaxial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spool and which has one-directional teeth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which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spool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pool;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the webbing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to allow the webbing to be pulled out but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and after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the predetermined first length, A lever that allows both the pulling-out and pulling-out of the webbing apart from the unidirectional teeth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length;
An integrated plate having a driven gear interlocked with a driving gear of the flywheel gea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pool and the flywheel gear, the integrated plate having a first plate for adjusting the lever according to a drawn-out length of the webbing; And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lever is adjusted through a sensor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lever when the lever is adjusted by the first plate,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1 외주면과,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될 때 상기 레버와 접하는 제2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외주면과 상기 제2 외주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원주면으로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레버를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거나 떨어지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late includes:
A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lever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a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the lever when the webbing is retracted after being drawn out by the predetermined second length, , ≪ / RTI &
Wherein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formed as circumferential surfaces having different radii so as to adjust the lever so as to be caught or fallen by the unidirectional teeth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lever while rotating.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는 경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체형 단차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센서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3.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clination sensor for preventing the webbing from being pulled ou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when the frame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herein the integrated plat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lat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late to determine whether the inclination sensor is operated or not.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경사센서와 접하는 제3 외주면과 제4 외주면을 구비하되,
상기 제3 외주면은, 상기 프레임이 기설정된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상기 웨빙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4 외주면은,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3 길이만큼 인출되어 인입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이 기울어진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웨빙의 인출을 허용하도록, 상기 경사센서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plate
A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clination sensor,
Wherein the thir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llows the inclination sensor to be caught by the one-way tooth so as to prevent the webbing from being pulled out when the frame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Wherein the fourth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prevents the inclination sensor from being caught by the one-way tooth so as to allow the webbing to be pulled out regardless of an angle at which the frame is inclined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third length ≪ / RTI >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플라이 휠 기어 및 상기 통합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접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린 이후 상기 웨빙이 인입될 때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ever
A body disposed adjacent to the flywheel gear and the integrated plat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plate;
A second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rojection, the second projection being engaged with the one-way tooth when the webbing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And a position fix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cond projection from falling off the one-way tooth due to an external force generated when the webbing is pulled after the second projection is caught by the one-way tooth.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1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서, 상기 웨빙은 더 이상 인출이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된 이후에 다시 인입되어 기설정된 제2 길이만큼 인출된 경우에,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제2 외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일방향 톱니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웨빙은 다시 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the first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caught in the one-way tooth, so that the webbing is no longer able to be drawn out ,
Wherein when the webbing is pulled out again after being drawn out by the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second length, the first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one- , The webbing is allowed to be pulled out again.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웨빙이 기설정된 제1 길이만큼 인출되면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게 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진 경우에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되,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고 확인된 이후에 다시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리게 될 때까지는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떨어져 있더라도 상기 유아 시트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ns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webbing is pulled out by a predetermined first length, and based on whether or not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is caught by the one-way tooth,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an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rotrusion,
Wherein it is confirmed that the infant seat is mounted even if the second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until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ooth after it is confirmed that the infant sheet is mounted thereon ,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 있는지 또는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대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position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second protrusion so that the second protrusion can be checked whether the first protrusion is caught or separated by the one-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부는,
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이 일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향하여 마련되어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질 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가는 자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가게 되면,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홀 센서가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고,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 있는지 또는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sition sensor unit includes:
And a magnet member which is provided to face the second protrusion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housing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unidirectional teeth and then fall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circuit board comprising: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hall sensor is mounted; Including,
When the magne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magnet member and the Hall sensor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changed.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changed, Wherein the second protrusion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or separated from the one-way tooth.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서 떨어지기 이전에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자석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다시 걸릴 때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간 자석부재를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ing unit includes:
And an elastic member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 member with respect to the housing before the second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and returning the magnet member that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housing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again caught by the one- Lt; RTI ID = 0.0 > 1, < / RTI &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서 떨어질 때 상기 자석부재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들어가는 것을 보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돌출부에 대향하는 상기 자석부재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 유도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ns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n induction protrus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gnet member opposite to the second protrusion so as to assist the magnet member to enter the inside of the housing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separated from the unidirectional tooth ,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부는,
홀 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상기 제2 돌출부에 장착된 자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렸다가 떨어지게 되면, 상기 자석부재와 상기 홀 센서가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고 상기 홀 센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상기 회로기판을 통해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 톱니에 걸려 있는지 또는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osition sensor unit includes:
A circuit board on which a Hall sensor is mounted, and a magnet member mounted on the second protrusion,
Wherein when the second protrusion is caught by the one-way tooth and falls, the magnet member and the hall sensor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reby determining whether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changed and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hall sensor is changed Wherein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one-way tooth o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projecting portion by judging via the circuit board,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홀 센서에 반응하는 극성을 가진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이 갖는 극성에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제2 부분을 구비하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홀 센서에 대향하게 상기 돌출부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gnet member comprises:
A first portion having a polarity responsive to the hall sensor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polarity of the firs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formed a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as to prevent the second portion from being mounted on the protrusion opposite the hall sensor.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이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사출을 통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magnet member comprises:
Wherei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are formed through injection so that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can be formed a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제7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유닛은,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제어유닛(ECU)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시트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4,
The sensing unit includes:
Is connected to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fant seat is mounted and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the airbag.
Retractor for seat belt to check whether infant seat is fitted.
KR1020130026128A 2013-03-12 2013-03-12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 KR1014776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128A KR101477615B1 (en) 2013-03-12 2013-03-12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
PCT/KR2014/001993 WO2014142508A1 (en) 2013-03-12 2014-03-11 Seat belt retractor for securing equipment of baby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128A KR101477615B1 (en) 2013-03-12 2013-03-12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627A true KR20140112627A (en) 2014-09-24
KR101477615B1 KR101477615B1 (en) 2014-12-31

Family

ID=5153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128A KR101477615B1 (en) 2013-03-12 2013-03-12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7615B1 (en)
WO (1) WO201414250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805B1 (en) * 2016-02-02 2017-06-30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Seatbelt Fastening Detecting Apparatus by Drawing Quantity of Webbing and Retractor for Seatbelt Having the Same
CN107728494B (en) * 2016-08-11 2020-06-02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Slave plate numbering method of vehicle controller and vehicle controller
CN106696886A (en) * 2016-12-24 2017-05-24 江阴市达安汽车零部件有限公司 Retractor and automobile safety belt provided with retractor
CN113428107B (en) * 2021-08-09 2023-05-23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Electric control locking retractor with controll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5753A (en) * 1998-03-05 1999-09-14 Honda Motor Co Ltd Seat belt device
KR100412432B1 (en) * 2001-07-1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air bag inflation
DE10310019A1 (en) * 2003-02-28 2004-09-09 Takata-Petri (Ulm) Gmbh Belt retractor for a seat belt
KR101152602B1 (en) * 2010-05-25 2012-06-04 주식회사 셀트리온디비아이 Retractor for seat bel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2508A1 (en) 2014-09-18
KR101477615B1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615B1 (en) Retractor for seat belt being able to check installation of child seat
JP2013099540A (en) Buckle device with switch
JP4435128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EP0562740A1 (en) Seat belt warning device
US8613470B2 (en) Seat belt system with buckle latch and tension sensor
KR20120068046A (en) Buckle device
US20150254916A1 (en) Vehicle input device
US7014005B2 (en) Seat belt latch sensor assembly
KR101152602B1 (en) Retractor for seat belt
JP2001199309A (en) Seat belt winder
US10441036B2 (en) Buckle device
US6978687B2 (en) Seat belt tension sensor
KR101148166B1 (en) Buckle Hall Switch For Seat-Belt of Vehicle
JP2011148387A (en) Webbing winding device
EP4299391A1 (en) Vehicle sensor device and seat belt retractor employing same
US20170334391A1 (en) Buckle
KR101752805B1 (en) Seatbelt Fastening Detecting Apparatus by Drawing Quantity of Webbing and Retractor for Seatbelt Having the Same
CN114667243B (en) Seatbelt retractor with vehicle sensor
KR101593414B1 (en) Electronic Type Retractor for Seat Belt
KR101148167B1 (en) Buckle Structure For Seat-Belt of Vehicle
KR101459663B1 (en) A seat belt locking device
KR101749655B1 (en) Webbing Clip Sensing Module and Retractor for Seatbelt Having the Same
JP3814634B2 (en) Sensor, coupling device sensor, buckle and seat belt device
JP4676104B2 (en) Buckle device
KR101113183B1 (en) Retractor for seat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