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258A -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258A
KR20140112258A KR1020130026780A KR20130026780A KR20140112258A KR 20140112258 A KR20140112258 A KR 20140112258A KR 1020130026780 A KR1020130026780 A KR 1020130026780A KR 20130026780 A KR20130026780 A KR 20130026780A KR 20140112258 A KR20140112258 A KR 20140112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widget
data
web
outputting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2125B1 (ko
Inventor
정용식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125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1Display for diagnostics, e.g. diagnostic result display, self-test user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웹 위젯을 통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 요청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해할 수 없는 에러 메시지가 아닌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내용을 출력하는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WIDGET DATA WHEN ERROR OCCURS}
본 발명은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에 의한 에러 발생시 유의미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기능 등을 지원하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은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과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분될 수 있다.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content provider server)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받고, 다운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가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서 수신된 웹 페이지 데이터를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을 포함하는데, 최근에는 시계, 달력, 메모장, 검색, 지도, 뉴스, 실시간 카메라 등과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실행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의 위젯(widget)이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
다시 말해서, 휴대 단말기가 웹 페이지 등과 같은 웹 위젯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작된 웹 위젯(Web Widget)을 설치한 경우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 웹 위젯의 패널 영역 내에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받고, 다운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그대로 표시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기존의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에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반영하기 위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다운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할 시 네트워크 연결 및 컨텐츠 제공자에 의한 에러가 발생되면 발생된 에러를 그대로 화면에 노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러 발생 시 컨텐츠 제공자에서 제공하는 에러 화면이 아닌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화면을 나타내는 웹 위젯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웹 위젯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웹 위젯을 통해서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웹 위젯을 통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 요청에 따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웹 위젯을 통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 요청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웹 위젯을 통한 출력이 요청되면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캐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거나 미리 설정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해할 수 없는 에러 메시지가 아닌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내용을 출력하는 웹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여부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위젯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한 웹 위젯을 나타내는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어부(10), 이동통신 모듈(20), 서브통신 모듈(30), 디스플레이부(40), 입출력 모듈(50), 저장부(6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히 이동통신 모듈(20), 서브통신 모듈(30), 디스플레이부(40), 입출력 모듈(50), 저장부(60)를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기 위한 요청이 있으면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 경우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웹 위젯을 통한 출력 요청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웹 페이지 등과 같은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한다.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0)는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는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캐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캐시 데이터는 장치가 미리 설정된 주소 정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에 한번 이상 성공적으로 접속을 수행한 경우 저장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캐시 데이터는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인터넷 브라우저, 모바일 브라우저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웹 페이지의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통해 저장부(6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는 웹 위젯 데이터에 관련하여 저장부(60)에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이러한 알림 데이터는 웹 위젯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알림 데이터는 웹 페이지에 접속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안내 문구 또는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웹 위젯을 통한 출력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장치와 컨텐츠 제공자 서버간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웹 위젯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를 포함한다. 장치와 컨텐츠 제공자 서버간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웹 위젯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는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었으나 컨텐츠 제공자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웹 위젯 데이터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전달하지 못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웹 위젯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한다.
본 발명에서 웹 위젯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요청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른 웹 위젯 데이터 요청, 사용자 요청에 따른 웹 위젯 데이터 요청,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된 푸시에 의한 웹 위젯 데이터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른 웹 위젯 데이터 요청은 제어부(10)가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 주기에 의해서 웹 위젯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요청하는 것이다. 제어부(10)는 주기적으로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할지 여부와 요청한다면 얼마나 자주 요청할지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에 따른 웹 위젯 데이터 요청은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수신이 요청된 경우 제어부(10)가 웹 위젯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요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웹 위젯 상의 새로고침 아이콘의 선택이 있으면 제어부(10)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새로운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된 푸시에 의한 웹 위젯 데이터 요청은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서 특정 웹 위젯의 웹 사이트가 업데이트되어 특정 웹 위젯이 업데이트되길 바라는 경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알리는 푸시가 수신되면 제어부(10)가 업데이트된 웹 위젯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요청하는 것이다.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0)는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0)는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캐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0)는 웹 위젯 데이터에 관련하여 저장부(60)에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이동통신 모듈(20)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20)은 장치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30)은 무선랜 모듈과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과 근거리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장치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의 이동통신 모듈(20) 또는 서브통신 모듈(30)은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웹 위젯 데이터 수신에 대한 요청을 전달하고,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웹 위젯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위젯을 통해서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한다.
입출력 모듈(50)은 복수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모터, 커넥터, 및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20), 서브통신 모듈(30), 디스플레이부(40), 입출력 모듈(5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장치 또는 제어부(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저장부(60)는 하나 이상의 웹 위젯과 그에 관련된 웹 위젯 데이터를 저장하고, 하나 이상의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60), 제어부(10)내 롬, 램 또는 장치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00단계에서 웹 위젯을 통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면 제어부(10)는 210단계에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이 가능하면 220단계를 진행하고,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230단계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하고,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면 220단계를 진행하고, 웹 위젯 데이터 수신되지 않으면 230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와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220단계로 진행하고,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230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22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23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부(6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캐시 데이터가 존재하면 240단계로 진행하여 캐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고, 캐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250단계로 진행한다.
25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여부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00단계에서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출력이 요청되면 제어부(10)는 310단계에서 장치와 컨텐츠 제공자 서버간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320단계로 진행하여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330단계로 진행한다.
330단계에서 제어부(10)는 해당 네트워크가 바로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바로 연결이 가능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여 320단계로 진행하고, 바로 연결이 가능하지 않으면 340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이 사용자의 동의 없이 바로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인 경우 제어부(10)는 네트워크 연결을 바로 수행하여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34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장치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동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네트워크 연결에 동의하면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여 320단계로 진행하고, 네트워크 연결에 동의하지 않으면 350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3G 네트워크 등과 같이 사용자의 동의가 있어야 연결이 가능한 네트워크인 경우 제어부(10)는 네트워크 연결을 동의하는지 여부를 질의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입출력 모듈(50)을 통해서 동의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0)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여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35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부(6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캐시 데이터가 존재하면 360단계로 진행하여 캐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고, 캐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370단계로 진행한다.
37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웹 위젯 데이터 수신 여부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0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41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 주기에 의해서 웹 위젯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입출력 모듈(50)을 통해서 새로운 웹 위젯 데이터 수신을 요청하는 입력이 있으면 웹 위젯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0)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업데이트를 알리는 푸시가 수신되면 웹 위젯 데이터를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42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면 43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고,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440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서 에러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를 포함한다.
44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요청된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부(6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캐시 데이터가 존재하면 450단계로 진행하여 캐시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하고, 캐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460단계로 진행한다.
46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40)에 출력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한 웹 위젯을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제어부(10)는 장치와 컨텐츠 제공자 서버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지 않고,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도 5와 같은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데이터는 텍스트만을 포함하거나 도 6와 같이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데이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0)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한 후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응답이 없거나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에러 메시지가 수신되면 도 7과 같은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알림 데이터로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출력이 요청되면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출력이 가능한지 판단하고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웹 위젯 데이터의 캐시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거나 미리 설정된 알림 데이터를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이해할 수 없는 에러 메시지가 아닌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내용을 출력하는 웹 위젯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웹 위젯 제공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웹 위젯 제공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웹 위젯 제공 장치가 기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웹 위젯 제공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웹 위젯 제공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웹 위젯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10: 제어부
20: 이동 통신 모듈
30: 서브 통신 모듈
40: 디스플레이부
50: 입출력 모듈
60: 저장부

Claims (16)

  1.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웹 위젯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웹 위젯을 통해서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웹 위젯을 통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 요청에 따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면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치와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간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상기 캐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 위젯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캐시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장치.
  9.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웹 위젯을 통한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 요청에 따라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면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웹 위젯을 통한 출력 요청에 따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장치와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간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상기 캐시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위젯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웹 위젯을 통한 출력 요청에 따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 상기 웹 위젯 데이터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상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웹 위젯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웹 위젯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캐시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웹 위젯 데이터에 대한 캐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미리 저장된 알림 데이터를 상기 웹 위젯을 통해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위젯 출력 방법.
KR1020130026780A 2013-03-13 2013-03-13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08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80A KR102082125B1 (ko) 2013-03-13 2013-03-13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80A KR102082125B1 (ko) 2013-03-13 2013-03-13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258A true KR20140112258A (ko) 2014-09-23
KR102082125B1 KR102082125B1 (ko) 2020-02-27

Family

ID=5175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780A KR102082125B1 (ko) 2013-03-13 2013-03-13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12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023A (ko) * 2008-08-05 2010-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KR20110009493A (ko) * 2009-07-22 2011-01-28 (주)인사이트미디어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32668A (ko) * 2009-09-23 2011-03-30 (주)애드앤이슈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29011A (ja) * 2010-07-22 2012-02-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7263A (ko) * 2010-08-18 201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인쇄하는 화상형성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023A (ko) * 2008-08-05 2010-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
KR20110009493A (ko) * 2009-07-22 2011-01-28 (주)인사이트미디어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32668A (ko) * 2009-09-23 2011-03-30 (주)애드앤이슈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29011A (ja) * 2010-07-22 2012-02-0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17263A (ko) * 2010-08-18 2012-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인쇄하는 화상형성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125B1 (ko)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67221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US9577692B2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642879B1 (ko) 실내 포지셔닝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방법
JP5760716B2 (ja) アプリ提供システム、アプリ提供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57379B1 (ko) 원격 환경에 대해 데이터 엔트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76272B1 (ko) 홈 스크린 페이지를 추가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832607B2 (en) Method of processing beacon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710846B2 (en) Method, terminal, and server for submitting and processing order
KR101820933B1 (ko) 단말 및 그의 이벤트 기록 방법
KR102294040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177802B1 (ko) 멀티 심이 구비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267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착신 전환 제어 방법
JP5997848B2 (ja) 移動端末リソースの処理方法、装置、クライアント側のコンピュータ、サーバ、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70033335A (ko) 응용프로그램을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861306B1 (ko) 휴대용단말기에서 응용프로그램의 제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053676A (ko) 사용자 장치, 사용자 장치의 구동방법, 서비스제공장치 및 서비스제공장치의 구동방법
CN109145182B (zh) 数据采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系统
EP3185515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US107212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loading time in electronic device
US11522870B2 (en) Method for URL analysi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40112258A (ko) 에러 발생 시 웹 위젯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8475367B (zh) 用于显示支付方式的指示的方法和装置
KR102372180B1 (ko) 유알엘의 안전도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5975125B2 (ja) アプリ提供システム及びアプリ提供方法
KR102042815B1 (ko) 전자 장치에서 시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