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432A -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432A
KR20140111432A KR1020130025551A KR20130025551A KR20140111432A KR 20140111432 A KR20140111432 A KR 20140111432A KR 1020130025551 A KR1020130025551 A KR 1020130025551A KR 20130025551 A KR20130025551 A KR 20130025551A KR 20140111432 A KR20140111432 A KR 2014011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nels
wall
connecting membe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64073B1 (en
Inventor
남궁영환
Original Assignee
남궁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영환 filed Critical 남궁영환
Priority to KR102013002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4073B1/en
Publication of KR2014011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4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6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fillings for cavity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body constructed without using a mold. The disclosed concrete wall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panel sets assembled in one direction am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ncrete charged in a concrete pouring space restricted by the panel sets. Each of the panel sets includes a pair of opposed panel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fixed interval;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a pair of panels at the fixed interval. The panels ar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charged between the panels to form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of the wall body, and the connector is buried in the concrete.

Description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시스템{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a form, and a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a formwork and a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주택(단독 또는 공동 주택), 공장, 창고, 담장, 방음벽 등 다양한 종류의 건축물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는 거푸집을 이용하는 콘크리트 주입 공법에 의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주입 공법은 벽체의 형상을 한정하도록 거푸집을 제작하고, 다음,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부은 후, 콘크리트를 경화시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콘크리트가 충분하게 경화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이 요구된다.In various types of buildings such as houses (single or multi-family houses), factories, warehouses, fences, soundproof walls, and the like, the walls of buildings are formed by a concrete injection method using a formwork. Generally, the concrete injec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form is formed to define the shape of a wall, and then, the concrete is poured in a form, and then the concrete is hardened to form a concrete wall. At this time, if the concrete is sufficiently cured, it is required to disassemble the formwork.

위와 같이 거푸집을 이용하는 종래 건축물의 벽체 시공 방법은 거푸집을 해체한 후에야 다음 공정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많은 위험한 작업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 후에는 내장공사 및 외부 마감 공사가 필요한데, 내장 공사와 외부 마감 공사에 드는 시간이나 비용을 줄이려는 시도가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 왔다. The wall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building using the mold as described above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and involves a lot of dangerous work because the next process can be started after the form is dismantled. In addition, after the wall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the interior construction and the exterior finishing work are required, and an attempt has been made in the technical field to reduce the time and cost for the interior finishing work and the exterior finishing work.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는 거푸집 없이 간단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건축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In contrast,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a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wall of a building simply and safely without a form.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하나의 과제는 벽체 시공 전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한정하는 형틀의 일부로 이용되고 벽체 시공 후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벽체의 내벽과 외벽으로 남는 패널들을 이용하여, 거푸집 없이 간단하고 안전하게 시공될 수 있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one of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structure, which is used as a part of a mold for defining a concrete installation space before a wall construction and is integrated with concrete after the construction of a wall, And to provide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that can be constructe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건축물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가 제공되며, 상기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는,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조립되는 복수의 패널 세트들과,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에 의해 한정된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 각각은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패널과, 상기 한 쌍의 패널을 상기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상기 한 쌍의 패널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상기 벽체의 외벽과 내벽을 이루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of a building constructed without a form, wherein the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comprises a plurality of panel sets assembled in at least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crete formed by filling the concrete pouring space defined by the panel sets of the panel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nel sets includes a pair of panels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air of panels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s, Is integrated with the filled concrete to form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of the wall, and the connecting hole is embedded in the concret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수직 홀이 형성된 홀통들을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들에 대칭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두개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다리 각각은 상기 홀통들의 상기 수직 홀 각각에 끼워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ir of panels comprises symmetrically symmetrically the opposed faces opposing each other with the vertical holes formed therein, the connecting legs including two legs, And is fitted into each of the vertical hole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은 종방향 삽입부가 하단 또는 상단에 형성된 패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세트의 종방향 삽입부가 다른 패널 세트의 상단 또는 하단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웃하는 패널 세트들의 조립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anel sets comprises a set of panels in which the longitudinal inserts are formed at the bottom or top, and the longitudinal inserts of the set of panels are insert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ther panel set, Assembly of the panel sets is don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는 횡방향 삽입부가 일측단에 형성된 패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세트의 횡방향 삽입부가 다른 패널 세트의 측단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웃하는 패널 세트들의 조립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anel sets includes a set of panels with transverse inserts formed at one end, and the transverse inserts of the set of panels are inserted at the ends of the other set of panels, Assembly takes plac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는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은 하단 또는 상단에 종방향 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횡방향 삽입부가 형성된 제1 패널 세트와, 상기 종방향 삽입부가 상단 또는 하단으로 끼워져 상기 제1 패널 세트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2 패널 세트와, 상기 횡방향 삽입부가 측단으로 끼워져 상기 제1 패널 세트와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3 패널 세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may include a first panel set in which the plurality of panel sets have a longitudinal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r an upper end thereof and a transverse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third panel se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panel set and the first panel set and assemb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transverse insertion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는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 중 동일 선상에 있는 두 패널 세트의 패널들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재들은 연결구의 두 다리가 끼워지는 홀통들을 대칭되게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재들 각각은 상하로 조립된 복수의 패널들과 측면에서 연결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further comprises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s connecting panels of two sets of panels that are on the same line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sets, And eac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s i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anels assembled up and down in a side view.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는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 중 두 패널 세트 사이에서 일정 각도로 교차하는 패널들을 연결하는 외곽 코너 연결부재 및 내부 코너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와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는 연결구의 두 다리가 끼워지는 홀통들을 구비하며,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정해지고,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홀통까지의 거리는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홀통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정해지며,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 및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 각각은 상하로 조립된 복수의 패널들과 측면에서 연결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further comprises an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an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panels crossing each other at an angle between two panel sets of the plurality of panel sets, Wherein a distance between a vertex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an end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is larger than a distance from a vertex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to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to the hole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to the hole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s each of which is connected at a plurality of side panels and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패널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nel is made by molding thermoplastics or metal material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패널은 단열재 채움 구조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채움 구조는 상기 해당 패널과의 사이에 단열재 채움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판과 상기 해당 패널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 채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면서 상기 이격판을 상기 해당 패널에 연결하는 복수의 칸막이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칸막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단열재 채움 공간 내로 단열재가 채워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corresponding panel of the pair of panels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includes a spacing plate forming a space for fill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with the panel A plurality of partitioning walls for partitioning the space for fill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connecting the spacing plates to the corresponding panel are formed between the spacing plate and the corresponding panel, Is fill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전술한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를 포함하는 건축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건축시스템은, 여러 위치에서 마주하게 배치된 패널들이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복수의 패널 세트들로 세팅되고,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과 상기 콘크리트가 일체화된 벽체가 1층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가 슬라브 또는 지붕과 연결되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rchitectural system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wherein the panels arranged facing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re set into a plurality of panel sets by a plurality of connectors, The plurality of panel sets are assemb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concrete is laid in a space defined by the plurality of panel sets so that the wall in which the plurality of panel sets and the concrete are integrated is formed into one or more layers , And the wall is connected to the slab or the roof.

본 발명은 적은 비용과 시간을 들여 건축물의 벽체를 간단하고 안전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 시공 전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한정하는 형틀의 일부로 이용되고 벽체 시공 후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벽체의 내벽과 외벽으로 남는 패널들을 이용함으로써, 거푸집 없이 간단하고 안전하게 시공될 수 있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너 또는 중간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사이즈와 복수의 패널 세트를 결합한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는 시공상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주의 요구가 있는 경우, 패널 세트의 적어도 한 패널을 벽돌 모양, 격자 모양 등 다양한 모양 또는 뮈늬가 있도록 입체적으로 성형하여, 벽체 형성 후 무늬 또는 모양을 포함하는 별도의 외장재 또는 내장재를 추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주고, 패널 자체가 모양 또는 무늬를 포함하는 외장재 또는 내장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세트의 패널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구가 패널들 사이에서 콘크리트에 매립된 구조를 제공하므로, 하중, 좌굴 및 휨 모멘트 등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인 건축물의 벽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패널들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장기적으로 볼 때 경제성이 뛰어나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form a wall of a building easily and safely with low cost and time.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panels that are used as a part of a mold defining a concrete installation space before a wall construction and integrated with a concrete after the construction of a wall, the walls remain as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wall,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nd a buil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can be realized.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construction problem in which the size of the wall to be installed and the combined size of the plurality of panel sets do not match by using the corner o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case in which at least one panel of a panel set is molded in three dimensions such as a brick shape or a lattice shape to have a shape or pattern, and a separate exterior material or interior material It eliminates the need to add and allows the panel itself to be used as an exterior or interior that includes shapes or patterns.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connectors connecting the panels of the panel set are buried in concrete between the panels, so that a more stable building wall can be realized with respect to load, buckling and bending moment. In addition, panels can be mass-produced, which is economical in the long ru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건축물의 한 예로서 주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에 이용되는 패널 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좌우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이용하여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이용하여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를 일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특정 위치들에서 패널 세트들의 조립에 부가적으로 이용되는 부속부재들을 도시한 단면도들이고,
도 8 및 9는 도 7에 도시된 부속 부재들을 채용하여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들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에 이용되는 패널 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패널 세트를 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벽체 일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e as an example of a buildin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nel set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vertically connecting panel set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panel set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part of a building formed using panel 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wall of a building formed using panel sets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cessory members additionally used in assembling panel sets at specific locations,
Figs. 8 and 9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wall portion of a building formed by employing the accessory members shown in Fig. 7,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nel set used for constructing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ll portion of a building constructed using the panel set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allo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건축물의 한 예로서 주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에 이용되는 패널 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좌우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이용하여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 일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널 세트들을 이용하여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를 일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특정 위치들에서 패널 세트의 패널 연결에 이용되는 중간 연결 패널들을 도시한 단면도들이고, 도 8 및 9는 도 7에 도시된 중간 연결 패널들이 채용되어 형성된 건축물의 벽체 일부를 도시한 횡단면도들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nel set used in the construction of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nel-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panel set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necting panel 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wall of a building formed using panel 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ll of a building formed using panel s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termediate connection panels used for panel connection of a panel set at specific positions, and Figs. 8 and 9 are cross- Panels are transvers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wall structure is formed is employed.

도 1을 참조하면, 건축물은 벽체(1)와 슬라브를 포함한다. 또한 건축물은 지붕(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건축물은 상기와 같은 벽체(1), 슬라브, 그리고 지붕(2)을 연결하여 건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벽체(1)는 이하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패널 세트(10; 도 2 참조)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uilding includes a wall 1 and a slab. The building may further include a roof 2. The building as shown in Fig. 1 can be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wall 1, the slab, and the roof 2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l 1 can be formed by a panel set 10 (see FIG. 2) and an assembled structure comprising it, which is characteriz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를 참조하면, 패널 세트(10)는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마주하는 한 쌍의 패널(11, 11), 즉, 내벽용 패널과 외벽용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패널(11, 11) 각각은 수직으로 홀이 형성된 홀통(hole cylinder; 112)들을 내부 대향면들에 일체로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통(112)들은 3개의 어레이를 구성하며, 각 어레이(112) 내에 홀통(112)들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11) 사이에서, 하나의 패널(11)의 내부 대향 면에 구비된 홀통(112)은 이웃하는 다른 패널(11)의 내부 대향면에 구비된 홀통(112)과 대칭적으로 마주한다. 또한 상기 패널 세트(10)는 두 다리(legs)를 갖는 대략 "ㄷ"형의 연결구(1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12)의 두 다리는 상기 두 홀통(112)들의 수직 홀들에 끼워진다. 상기 연결구(12)는, 두 패널(11, 11)의 두 마주하는 홀통(112)들의 수작 홀들에 끼워짐으로써,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해 있는 두 패널(11, 11)을 일정 간격 그리고 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panel set 10 includes a pair of panels 11, 11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that is, an inner wall panel and an outer wall panel. Each of the pair of panels 11 and 11 integrally includes hole cylinders 112 having vertically formed holes on the inner opposite surfaces. In this embodiment, the holes 112 constitute three arrays, and the holes 112 in each array 112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le 112 provided in the inner opposing surface of one panel 11 is symmetrical with the hole 112 provided in the inner opposing surface of the other panel 11 adjacent to the adjacent panel 11, Facing enemies. The panel set 10 also includes a generally "C" shaped coupling 12 having two legs, and the two legs of the coupling 12 are fitted into the vertical holes of the two holes 112 . The connector 12 is sandwiched between two opposed holes of the two panels 11 and 11 so that the two panels 11 and 11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t plays a role of fixing in position.

또한 패널 세트(10)는, 패널(11)들 하단의 단차에 의해 패널(11)들 간 간격이 좁아져 형성된 종방향 삽입부(114)와, 패널(11)들 일측단의 단차에 의해 패널(11)들 간 간격이 좁아져 형성된 횡방향 삽입부(116)를 포함한다. 벽체 형성시, 상부에 위치한 패널 세트(10) 하단의 종방향 삽입부(114)가 하부에 위치한 다른 패널 세트(10) 상단에 삽입되어 패널 세트(10)들의 상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패널 세트(10) 일측단의 횡방향 삽입부(116)가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한 다른 패널 세트(10)의 이웃하는 측단에 삽입되어 패널 세트(10)들의 좌우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anel set 10 also includes a longitudinal insertion portion 114 formed by narrow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nels 11 by the step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s 11 and a vertical insertion portion 114 formed by a step at one end of the panels 11, And a transverse insertion portion 116 formed by narrowi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insertion portions 11. When the wall is formed, the longitudinal insertion portion 114 at the lower end of the panel set 1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panel set 1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panel sets 10 can be assembled up and down, The lateral insertion portions 116 at one side of the panel set 10 located on the right side can be inserted into the neighboring side ends of the other panel set 10 located on the right or left side so that the left and right assemblies of the panel sets 10 can be made.

상기 패널 세트(10)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는 패널(11)들 각각은 불연성 또는 준 불연성의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널(11)의 재료는 하중 및 휨 모멘트 전단력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다. 또한 상기 패널(11)은 압축 다이를 이용한 압축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패널(11)의 성형 과정에서 전술한 홀통(112) 및/또는 상기 삽입부(114 또는 116) 형성을 위한 단차들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패널(11) 성형시, 패널(11)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패널(11)의 외부 표면에 모양이나 무늬를 형성하여, 벽체 형성 후 별도의 작업 없이도 건축주가 원하는 모양 또는 무늬를 벽체에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제작된 패널들은 앞에서 설명한 복수의 패널 세트로 나뉘어 세팅되고, 시공 현장에서, 1차 공정에 의해,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을 상하 좌우로 조립 연결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립된 패널 구조물은 패널 세트들의 전후 마주하는 패널들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 공간을 한정한다. Each of the panels 11 constituting the main part of the panel set 10 may be formed by molding a thermoplastic p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of incombustible or semi-incombustible. The material of the panel 11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ad and the shearing force of the bending moment. Further, the panel 11 may be formed by compression molding using a compression die. Steps for forming the hole 112 and / or the insertion portion 114 or 116 may be form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anel 11. Further, when the panel 11 is formed, a shape or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anel 11, preferably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11, so that the shape or pattern of the desired shape It can be implemented on the wall. On the other hand, pre-fabricated panel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nel set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lurality of panel sets are assemb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a primary process at a construction site. As mentioned earlier, the assembled panel structure defines a concrete pouring space between facing panels facing the panel sets.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패널 세트(들)(10)에 대하여 상부 패널 세트(들)(10)이 연결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우측 패널 세트(들)에 대하여 좌측 패널 세트(들)(10)이 연결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단위 패널 세트(10) 내에서 서로 마주하는 두 패널(11, 11)은 마주하는 홀통(112)들의 수직 홀들에 전술한 연결구(12)의 다리부들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부 패널 세트(10) 하단의 종방향 삽입부(114)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패널 세트(10)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패널 세트(10)들의 상하 조립(수직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한 좌측 패널 세트(10) 우측단의 횡방향 삽입부(116)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패널 세트(10) 좌측단에 삽입됨으로써 패널 세트(10)들의 좌우 조립(수평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 패널 세트(10)의 외부면들과 하부 패널 세트(10)의 외부면들은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좋으며, 우측 패널 세트(10)의 외부면과 좌측 패널 세트(10)의 외부면들도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평 또는 수직 조립시, 연결 또는 조립 부위에 혹시 있을 수 있는 뒤틀림을 억제하도록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더 하는 것이 좋다. Referring to FIG. 3,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upper panel set (s) 10 to the lower panel set (s) 10 can be seen. 4 (a) and 4 (b), it can be seen that the left panel set (s) 10 are connected to the right panel set (s). As described above, the two panels 11 and 11 facing each other in each unit panel set 10 are fixed to the vertical holes of the opposing holes 112 by fitting the legs of the connector 12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insertion portion 114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nel set 1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panel set 10 as shown in FIG. 3 to thereby vertically assemble the panel sets 10. Left and right assembling (horizontal assembling) of the panel sets 10 is performed by inserting the lateral insertion portions 116 at the right end of the left panel set 10 into the left end of the right panel set 10 as shown in Fig. 4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rfaces of the upper panel set 10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lower panel set 10 are coplanar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right panel set 10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left panel set 10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same plane. Furth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of fixing with a glue so as to suppress warpage that may possibly occur at the connection or assembling site during the horizontal or vertical assembly.

패널 세트(10)의 외부면들은 완성된 벽체의 외벽면 및 내벽면과 같을 수 있음에 주목한다. 건출물의 벽체 구조물은 통상 교차되는 부분들을 포함하는데, 이 교차되는 부분들에서 패널 세트(10)들을 연결하는 수단에 대해서는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t is noted that the outer surfaces of the panel set 10 may be the same as the outer and inner wall surfaces of the finished wall. The wall structure of the rupture usually includes intersecting portions, the means of connecting the panel sets 10 at these intersec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패널 세트들이 건축물의 벽체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게 조립되면, 패널 세트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패널 세트(10)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콘크리트(20)가 타설되어 형성된 벽체(1) 일부의 종단면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6은 패널 세트(10)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콘크리트(20)가 타설되어 형성된 벽체(1)의 일부를 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각 패널 세트(10)의 이웃하는 두 패널(11)은 그들 사이에 위치한 콘크리트(20)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때, 정해진 간격으로 두 패널(11, 11)을 고정하고 있던 연결구(12)는 콘크리트(20) 내에 매립된다. 패널(11)들을 콘크리트(2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건축물의 벽체(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일측 패널(11)의 외부면의 벽체(1)의 외벽면이 되고, 타측 패널(11)의 외부면은 벽체(1)의 내벽면이 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측 또는 타측의 패널(11)의 외부면에 모양이나 무늬를 형성할 경우, 그 모양이나 무늬가 벽체(1)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에 그대로 남는다.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panel sets are assembl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all structure of the building, a process of casting the concrete into the space defined by the panel sets is performed. 5, a longitudinal section of a part of the wall 1 formed by pouring concrete into a space defined by the panel sets 10 can be seen. 6 shows a part of the wall 1 formed by placing the concrete 20 in a space defined by the panel sets 10. Referring to FIGS. 5 and 6, two adjacent panels 11 of each panel set 10 ar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20 located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connector 12 fixing the two panels 11 and 1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s embedded in the concrete 20. The wall 1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s. 5 and 6 can be formed without separating the panels 11 from the concrete 20. Fig.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side panel 11 is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wall body 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side panel 11 i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ll body 1. As described above, when a shape or a patter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nel 11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the shape or pattern remains on the inner wall surface or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wall body 1.

담장이나 방음벽을 제외한 대부분 건축물의 벽체 구조물은 단위 벽체들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 부위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것과 같이 패널 세트들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패널 세트 일체형 벽체를 시공하는데 있어서는, 패널 세트의 길이 부족 위치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출입문이나 창호 부분과 특정 위치에 대한 고려도 요구된다. 위와 같은 점들로 인하여, 전술한 패널 세트들과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부속 부재들이 이용될 수 있다.Wall structures of most buildings, except for fences and soundproof walls, include intersections where unit walls cross each other. And, when using the panel set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panel set integrated wall, the position of the panel set may be shortened. Also,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door and window portions and specific locations. Due to these points, various types of accessory members such as those shown in Fig. 7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panel sets.

도 7의 (a)에 도시된 부속 부재는 패널(11)의 길이 부족으로 인해 동일 선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패널(11)들 사이에 생긴 갭을 메우는데 이용되는 중간 연결부재(17a)이다. 상기 중간 연결부재(17a)는, 수직으로 기다란 패널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전술한 패널들이 완성하고자 하는 벽체 높이에 상응하게 상하 조립되는 것과 달리, 그 자체로 완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패널(11)들은 상기 중간 연결부재(17a)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나란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부재(17a)는 전술한 패널(10)과 마찬가지로, 전술한 연결구(16; 도 2 내지 도 6 참조)의 한 다리에 끼워지는 수직 홀을 갖춘 홀통(172a)을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부재(17a)는 측단에 단차부를 구비하며, 이 단차부는 대응 중간 연결부재의 측단에 형성된 단차부와 함께 전술한 패널 세트의 두 패널 사이로 삽입 조립되는 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accessory member shown in Fig. 7 (a) is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used to fill a gap formed between the adjacent panels 11 on the same line due to the shortage of the panel 11.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has a vertically elongated panel shape. Unlike the above-described panels, which are assembled up and down corresponding to the wall height to be completed,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wall to be completed Lt; / RTI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panels 11 are assembled upside down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integrally includes a hole 172a having a vertical hole to be fitted to one of the legs 16 (see Figs. 2 to 6) described above, similarly to the panel 10 described above . Furthe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may have a stepped portion at its side end, and the stepped portion may form an insertion portion to be inserted and assembled between the two panels of the panel set described above together with a step formed at a side end of the corresponding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중간 연결부재(17a)는 다른 대응 중간 연결부재와 한 세트를 이루며, 상기 대응 중간 연결부재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17a)의 홀통(172a)과 대응되는 위치에 그와 쌍을 이루는 홀통을 구비한다. 상기 대응 중간 연결부재는 상기 중간 연결부재(17a)와 완전한 대칭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또 다른 중간 연결부재(17b)와 같이, 수직으로 교차하는 또 따른 패널과의 연결을 위해 교차 리세스(174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중간 연결부재(17b) 또한 연결구의 다리에 끼워지는 수직 홀을 구비한 홀통(172b)들을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 연결부재(17b)는, 도 7의 (a)에 도시된 중간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완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져, 자신의 측면에서 전술한 패널(11)들이 상하로 나란하게 조립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is in one set with another corresponding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and the corresponding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hole in its pai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le 172a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 The corresponding intermediate linking member may have a completely symmetrical structure with the intermediate linking member 17a and may include another vertically crossing panel such as another intermediate linking member 17b shown in Figure 7 (b) A cross recess 174b may be provided for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o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b shown in FIG. 7 (b) also integrally includes a hole 172b having a vertical hole to be fitted to the leg of the connector.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b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wall to be completed, like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7 (a) To be assembled side by side.

도 7의 (c) 및 도 7의 (d)는 벽체의 코너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외곽 코너 연결부재(17c) 및 내부 코너 연결부재(17d)를 잘 보여준다. 외곽 코너 연결부재(17c)와 내부 코너 연결부재(17d)는 한 세트를 이루는 것으로서, 서로에 대해 마주하는 홀통(172c, 172d)을 구비한다. 한 세트를 이루는 외곽 코너 연결부재(17c)와 내부 코너 연결부재(17d)는 꼭지점들이 45도 선상에서 일치한 상태로 대응되는 홀통(172c, 172d)들이 서로 마주하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외곽 코너 연결부재(17c)의 꼭지점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거리가 내부 코너 연결부재(17d)의 꼭지점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정해지고, 외곽 코너 연결부재(17c)의 꼭지점으로부터 외곽 코너 연결부재(17c)의 홀통(172c)까지의 거리도 내부 코너 연결부재(17d)의 꼭지점으로부터 내부 코너 연결부재(17d)의 홀통(172d)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정해진다. 도 7의 (c) 및 도 7의 (d)에 도시된 코너 연결부재(17c, 17d)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코너 연결부재의 세트는 완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져, 자신의 측면에서 전술한 패널(11)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패널 세트(10)들이 상하로 나란하게 조립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7C and 7D show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c and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which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wall.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c and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constitute one set and have a hole 172c and 172d facing each other.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c and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which form one set, are preferably positioned so that the corresponding holes 172c and 172d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vertexes aligned on a 45-degree line.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to the end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c is determined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to the end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and from the vertex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c,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to the hole 172c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is determined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to the hole 172d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17d. The corner connecting members 17c and 17d shown in Figs. 7 (c) and 7 (d) and the set of corner connecting members including them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wall to be completed, The panel 11 described above and the panel sets 10 including them can be allowed to be assembled side by side in a side-by-side manner.

도 7의 (e)에 도시된 부속 부재는 예컨대 벽체의 출입문 또는 창호 부분의 마감을 위해 이용되는 마감부재(17e)로서, 상기 마감부재(17e)는 상하로 나란하게 조립된 패널 세트(10)의 일측 개방부를 막아 마감한다. 상기 마감부재(17e)는 완성하고자 하는 벽체의 높이, 창호의 높이 또는 출입문의 높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7 (e) is a closing member 17e used for finishing, for example, a door or a window portion of a wall, and the closing member 17e is a panel set 10 assemb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losing the one-side opening portion of the door. The closing member 17e may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wall to be completed, the height of the window, or the height of the door.

도 8은 하나의 벽의 단부가 다른 벽의 단부와 직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벽체 구조물을 보여주며, 도 8을 참조하면, 이 벽체 구조물 형성을 위한 패널 세트(10)들의 조립을 위해, 전술한 부속부재들 중, 중간 연결부재(17a), 외곽 및 내부 코너 연결부재(17c, 17d), 마감부재(17e)가 채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하나의 벽 중간에 다른 벽의 단부가 직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벽체 구조물을 보이며, 도 9를 참조하면, 이 벽체 구조물 형성을 위한 패널 세트(10)들의 조립을 위해, 전술한 부속부재들 중, 중간 연결부재(17a, 17b) 및 마감부재(17e)가 채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8 shows a wall structure in which the ends of one wall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ends of the other wall, and referring to Fig. 8, for the assembly of the panel sets 10 for forming this wall structure, It can be seen that among the members,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 17a, the outer and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s 17c and 17d, and the closing member 17e are employed. 9 shows a wall structure formed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other walls at right angles to the middle of one wall. Referring to Fig. 9, for assembling the panel sets 10 for forming the wall structure, Middle and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s 17a and 17b and a closing member 17e are employed.

이하 본 발명의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에 이용되는 패널 세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패널 세트를 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의 벽체 일부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nel set used for constructing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a wall of a building constructed using the panel set shown in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세트(10)는 서로 대칭을 이루면서 마주하는 한 쌍의 패널(11a, 11b)을 포함한다. 한 쌍의 패널 중 하나의 패널의 벽체의 외벽을 이룰 수 있고 다른 패널은 벽체의 내벽을 이룰 수 있다.10 and 11, the panel se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panels 11a and 11b which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face each other. The outer wall of the wall of one of the pair of panels can be formed and the other panel can form the inner wall of the wall.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패널(11a, 11b) 각각은 수직으로 홀이 형성된 상기 홀통(hole cylinder; 112)들을 내부 대향면에 일체로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통(112)들은 3개의 어레이를 구성하며, 각 어레이(112) 내에 홀통(112)들은 길이 방향으로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11a, 11b) 사이에서, 하나의 패널(11a) 내부 대향면에 구비된 홀통(112)은 이웃하는 다른 패널(11b)의 내부 대향면에 구비된 홀통(112)과 마주한다. 또한 상기 패널 세트(10)는 두개의 다리(leg)가 두 패널(11a, 11b)의 두 마주하는 홀통(112)들의 홀들에 끼워지는 대략 "ㄷ"형의 연결구(1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구(12)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해 있는 한 쌍 패널(11a, 11b)을 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each of the pair of panels 11a and 11b integrally includes the hole cylinders 112 having vertically formed holes on the inner facing surfa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le cylinders 112 constitute three arrays, and the hole cylinders 112 in each array 112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hole 112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ne panel 11a between the neighboring pair of panels 11a and 11b includes the hole 112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djacent panel 11b, Face to face. The panel set 10 also includes a generally "C" shaped connector 12 with two legs that fit into the holes of the two opposed receptacles 112 of the two panels 11a, 11b. The connector 12 serves to fix the pair of panels 11a and 11b facing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패널(11a, 11b) 중 하나의 패널 중 제1 패널(11a)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하되, 나머지 다른 하나의 패널, 즉, 제2 패널(11b)은 단열재(30)가 채워지는 공간(19v; 이하, '단열재 채움 공간'이라 함)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하기 위해 단열재 채움 구조와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재 채움 구조는 상기 제2 패널(11b)과의 사이에 상기 공간(19v)를 형성하는 이격판(19a)를 포함한다. 상기 이격판(19a)과 상기 제 2 패널(11b)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 채움 공간(19v)을 복수개로 구획하면서 상기 이격판(19a)을 상기 제2 패널(11b)에 연결하는 복수의 칸막이(19c)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칸막이(19c)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단열재 채움 공간(19v) 내로 단열재(30)가 채워진다. 단열재(30)는 고체 상태로 삽입되는 스티로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동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기포 콘크리트를 상기 단열재 채움 공간(19v)에 채운 후 경화하여 단열재(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칸막이(19c) 각각에 유동하는 단열재가 하나의 채움 공간에서 다른 채움 공간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anel 11a of one of the pair of panels 11a and 11b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the other panel, that is, the second panel 11b,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to form a space 19v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is filled. In this embodimen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includes a spacing plate 19a that forms the space 19v with the second panel 11b. A plurality of partitions 19c for partition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 19v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connecting the spacing plates 19a to the second panel 11b are provided between the spacing plates 19a and the second panel 11b. Is forme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is filled in the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s 19v defined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ing portions 19c.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may be styrofoam or the like which is inserted in a solid state. Alternatively, a material having fluidity, for example, foamed concrete, may be fill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 19v and then cured to form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In this case, a hole may be formed to allow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low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9c to flow from one filling space to the other filling space.

도 11을 참조하면, 콘크리트(20)가 한 쌍의 패널(11a, 11b) 사이에서 그 한 쌍의 패널(11a, 11b)와 일체화되어 있으며, 한 쌍의 패널 중 제2 패널(11b)에 마련된 단열재 채움 공간(19v)에는 단열재(30)이 채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패널 중 하나의 패널에만 단열재 채움 구조 및 그로 인한 단열재 채움 공간(19v)을 마련하고 있지만, 한 쌍의 패널 모두에 단열재 채움 구조 및 그로 인한 단열재 채움 공간(19v)을 마련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11, the concrete 20 is integrated with the pair of panels 11a and 11b between the pair of panels 11a and 11b, and the concrete 20 is provided on the second panel 11b of the pair of panel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0 is filled i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 19v. In this embodiment,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 19v are provided in only one panel of the pair of panels. However,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and thus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 19v It should be noted that

전술한 패널 세트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 더 나아가, 상기 벽체를 포함하는 건축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ll system using the panel set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struction system including the wall system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우선 기초 공사가 완료되면, 설계도에 따라 철근을 배근한다. 다음, 전술한 패널들을 여러 위치에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한 후 연결구로 마주하는 패널들을 연결하여 패널 세트(10)들을 세팅한다. 패널 세트(10) 세팅시, 다수의 패널 세트(10)들에 대한 상하 또는 좌우 조립도 이루어진다. 패널들의 배치 또는 패널 세트들의 세팅시, 바닥과 벽체 부분이 움직이지 않도록 "L"자 형의 앵글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다음, 현장에서 패널 세트(10)들을 세팅 및 조립하여 형성된 패널 구조물 내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건축물의 벽체(1; 도 1 참조)를 만든다. 콘크리트가 굳으면, 패널 세트(10)의 패널들은 콘크리트에 일체화되어 벽체의 내벽과 외벽으로 남는다. 그리고, 패널들의 연결에 이용되었던 연결구(12; 도 1 내지 도 11 참조)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Once the foundation work is completed, reinforcements are laid out according to the plan. Next, the above-described panels are placed facing each other at various positions, and the panel sets 10 are set by connecting panels facing each other. At the time of setting the panel set 10, up and down or right and left assembling of the plurality of panel sets 10 is also performed. When arranging the panels or setting the panel sets, it is advisable to fix them with "L" shaped angles so that the floor and wall parts do not move. Next, concrete is placed in the concrete installation space in the panel structure formed by setting and assembling the panel sets 10 in the field to make the wall 1 (see FIG. 1) of the building. When the concrete hardens, the panels of the panel set 10 are integrated into the concrete and remain as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wall. Then, the connector 12 (see Figs. 1 to 11) used for connection of the panels is embedded in the concrete.

부가적으로, 일반 주택 시공시에는 철근 없이 무근 콘크리트만을 이용하는 한 번의 공정만으로 벽체 시공의 마무리가 가능하다. 예컨대, 공통 주택 시공시에는, 구조 계산에 의한 철근 시공과 더불어 패널을 설치 고정한 후 콘크리트 타설을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wall construction only by one process using only plain concrete without reinforcement at the time of general house construction. For example, when constructing a common house, it is advisable to install concrete after installing th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by structural calculation.

전술한 벽체 구조물의 시공시, 패널 세트들을 상부로 적층 조립하여 올린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통해 한 층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를 완성하고, 그 위에서 위의 공정을 반복하여 여러 층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를 완성한다. 한 층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다른 층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는 공정 중간에 슬라브를 시공할 수 있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structure, the panel set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then the concrete is laid on the concrete, thereby completing the one-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on the one- Complete the wall.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slab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of forming one layer of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nd the process of forming another layer of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위에서는 주택용 벽체에 대해 주로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은 일반 주택은 물론이고, 아파트, 빌라, 창고, 공장, 방음벽, 담장 등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general houses, but also to various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villas, warehouses, factories, soundproof walls, fences, and the like.

1: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10: 패널 세트
11, 11a, 11b: 패널 12: 연결구
20: 콘크리트 30: 단열재
112: 홀통 114: 종방향 삽입부
116: 횡방향 삽입부
1: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10: Panel set
11, 11a, 11b: panel 12: connector
20: concrete 30: insulation
112: hole tube 114: longitudinal direction insertion portion
116:

Claims (10)

거푸집 없이 시공되는 건축물의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로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조립되는 복수의 패널 세트들; 및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에 의해 한정된 콘크리트 타설 공간에 채워져 형성된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 각각은 정해진 간격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패널과, 상기 한 쌍의 패널을 상기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상기 한 쌍의 패널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상기 벽체의 외벽과 내벽을 이루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It is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of buildings constructed without form,
A plurality of panel sets assembled in at least on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d concrete formed by filling the concrete pouring space defined by the plurality of panel set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panel sets includes a pair of panels facing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pair of panels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
Wherein the pair of panels are integrated with the concrete filled between the pair of panels to form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of the wall,
And the connector is embedded in the concr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은 수직 홀이 형성된 홀통들을 서로 마주하는 대향면들에 대칭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두개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두개의 다리 각각은 상기 홀통들의 상기 수직 홀 각각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panels comprises symmetrically symmetrically opposed faces opposing each other with a vertical hole formed therein, the connector including two legs, And each of the vertical holes is fitted into each of the vertical ho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은 종방향 삽입부가 하단 또는 상단에 형성된 패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세트의 종방향 삽입부가 다른 패널 세트의 상단 또는 하단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웃하는 패널 세트들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anel sets comprises a set of panels with longitudinal inserts formed at the bottom or top, and wherein the longitudinal inserts of the set of panels are inserted at the top or bottom of another set of panels, Wherein the assemblage of the panels is per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는 횡방향 삽입부가 일측단에 형성된 패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세트의 횡방향 삽입부가 다른 패널 세트의 측단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웃하는 패널 세트들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Th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anel sets comprises a set of panels formed at one side of the transverse inserts, the transverse inserts of the set of panels being inserted at the ends of the other set of panels, Is formed on the wall of the concrete wal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은 하단 또는 상단에 종방향 삽입부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횡방향 삽입부가 형성된 제1 패널 세트와, 상기 종방향 삽입부가 상단 또는 하단으로 끼워져 상기 제1 패널 세트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2 패널 세트와, 상기 횡방향 삽입부가 측단으로 끼워져 상기 제1 패널 세트와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3 패널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The panel set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anel sets comprises a first panel set having a longitudinal insertion portion formed at a lower end or an upper end thereof and a transverse insertion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A second panel set assembl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hird panel set in which the lateral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a side end to be assembl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anel s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 중 동일 선상에 있는 두 패널 세트의 패널들을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재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재들은 연결구의 두 다리가 끼워지는 홀통들을 대칭되게 구비하고, 상기 중간 연결부재들 각각은 상하로 조립된 복수의 패널들과 측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s for connecting panels of two sets of panels on the same line among the plurality of panel sets, wherein the intermediate connection members are symmetrically provided with hole- Wherein each of the intermediate connecting members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anels assembled up and down in a side view.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 중 두 패널 세트 사이에서 일정 각도로 교차하는 패널들을 연결하는 외곽 코너 연결부재 및 내부 코너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와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는 연결구의 두 다리가 끼워지는 홀통들을 구비하며,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정해지고,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의 홀통까지의 거리는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의 홀통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정해지며, 상기 내부 코너 연결부재 및 상기 외곽 코너 연결부재 각각은 상하로 조립된 복수의 패널들과 측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2. The panel assembly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utboard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an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panels that cross at an angle between two panel sets of the plurality of panel sets, wherein the outboard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Wherein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to the end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is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to the end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ex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the hole of the outer corner connecting member is determined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vertex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to the hole of the inner corner connecting member, And each of the outline corner connecting members A plurality of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panel and th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The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nel is formed by molding thermoplastics or a metal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패널은 단열재 채움 구조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단열재 채움 구조는 상기 해당 패널과의 사이에 단열재 채움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판과 상기 해당 패널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 채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면서 상기 이격판을 상기 해당 패널에 연결하는 복수의 칸막이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칸막이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단열재 채움 공간 내로 단열재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 The pan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corresponding panel of the pair of panels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tructure includes spacing plates for forming a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 between the panels, Wherein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ormed between the spacing plate and the corresponding panel to divide the space for fill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connect the spacing plate to the corresponding panel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plurality of heat insulating material filling spaces defined by the plurality of partitions Wherein the wall is filled with a panel.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널 일체형 콘크리트 벽체를 포함하는 건축시스템으로서, 여러 위치에서 마주하게 배치된 패널들이 복수의 연결구에 의해 복수의 패널 세트들로 세팅되고,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에 의해 한정된 공간 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복수의 패널 세트들과 상기 콘크리트가 일체화된 벽체가 1층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벽체가 슬라브 또는 지붕과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시스템.An architectural system comprising a panel-integrated concrete wa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panels arranged facing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re set by a plurality of connectors into a plurality of panel sets, And a wall formed by integrating the plurality of panel sets and the concrete is formed in one or more layers, and the wall is formed in the slab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Or a roof.
KR1020130025551A 2013-03-11 2013-03-11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464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51A KR101464073B1 (en) 2013-03-11 2013-03-11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51A KR101464073B1 (en) 2013-03-11 2013-03-11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432A true KR20140111432A (en) 2014-09-19
KR101464073B1 KR101464073B1 (en) 2014-11-21

Family

ID=5175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551A KR101464073B1 (en) 2013-03-11 2013-03-11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407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05A (en) 2019-04-11 2020-10-21 남궁민우 Foam assembly integrated with wall for architecture
KR20200134511A (en) 2019-05-22 2020-12-02 (주)다정하이테크 Building wall panel concurrently used as mold form
KR20210047215A (en) * 2019-10-21 2021-04-29 류지춘 Construction structure of wall with insulation material
US11525260B2 (en) * 2020-11-10 2022-12-13 Forma Technologies Inc. Composite subgrade formwork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0793B2 (en) * 2003-04-18 2005-10-26 淳一 藤巻 Assembly construction wall
JP2005325600A (en) * 2004-05-14 2005-11-24 Star House International:Kk Connecting bar for heat insulating panel, and building form
KR101079646B1 (en) 2011-04-06 2011-11-03 (주)비온디 A construction method for inside and outside insulation of structure using hybrid panel and form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005A (en) 2019-04-11 2020-10-21 남궁민우 Foam assembly integrated with wall for architecture
KR20200134511A (en) 2019-05-22 2020-12-02 (주)다정하이테크 Building wall panel concurrently used as mold form
KR20210047215A (en) * 2019-10-21 2021-04-29 류지춘 Construction structure of wall with insulation material
US11525260B2 (en) * 2020-11-10 2022-12-13 Forma Technologies Inc. Composite subgrade formwork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4073B1 (en)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0484B1 (en) Interconnectable formwork elements
US10006200B2 (en) Insulated concrete panel for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546484B2 (en) Concrete panel, panel kit, and concrete panel connector structure for form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mponents
US8443560B2 (en) Concrete form block and form block structure
KR101389203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residential building using precast concrete and modular unit
KR101798537B1 (en) LEGO-type PC house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1348379B1 (en) The building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464073B1 (en)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20130044855A (en) Precast panel, wall structure using such precast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8827235B1 (en) Concrete form for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with form insert creating recessed sections
KR102259453B1 (en) Foam assembly integrated with wall for architecture
KR102252141B1 (en) Building wall panel concurrently used as mold form
KR20140112175A (en) Forms integrated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376232B1 (en) Module for Assembly-Typ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Using the Same
CZ2011646A3 (en) Modular system for exact building development
CN112262245A (en) Void former
KR102060278B1 (en) Concrete structure culvert type house
KR101895803B1 (en) Housing construction method
KR102174760B1 (en) Roof structure for culvert houses
RU94601U1 (en) BLOCK FORMWORK
KR20140112185A (en)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beam buried slab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423643Y1 (en) Connection structure of i-slab using plate
RU2803346C1 (en) Method for connecting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for assembling a construction module (options)
KR100504350B1 (en) A method manufacturing of building
KR100540643B1 (en) Wall of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6